'''缶'''장군 부
'''부수'''
'''획수'''
6획
'''교육용'''
미등재
'''급수'''
준특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フウ[A], フ[A]
'''일본어 훈독'''
ほとぎ
'''간체자'''
-
'''표준어 병음'''
fǒu
강희자전 부수
120{{{#!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121{{{#!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缶   →
122{{{#!wiki style="margin:-3px 0px; font-size:16px"
  [ 더보기 ]  
'''인명용 한자'''

'''부수+획'''

'''육서'''



'''이체자'''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사각호마'''



'''광둥어 병음'''

'''민남어 병음'''

'''일본어 오음'''

'''일본어 한음'''

'''일본어 당음'''

'''학년'''

'''상용한자표'''

'''베트남어 쯔꾸옥응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더보기2 ]  
U+7F35{{{#!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U+7F36{{{#!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缶   →
U+7F37{{{#!wiki style="margin:-4px; font-size:18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11px"
  [ 부수 ]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1. 지명
4. 부수
4.1. 부수 예
4.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장군[1] 부(缶).
술과 음료를 담아두는 도기를 뜻한다. 글자의 자원은 몸통이 불룩하고 입 부위가 좁은 뚜껑이 있는 용기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 유니코드는 7F36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준특급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는 이 한자가 워낙 안 쓰이기 때문에 罐의 신자체로 쓰인다. 에도시대 난학자들이 네덜란드어 'kan'을 罐으로 음역하면서 지금처럼 금속제 보존용기를 뜻하는 한자가 되었고, 2차대전 이후 신자체가 제정되면서 지금처럼 罐 대신 쓰기 편한 缶으로 대체되었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지명



4. 부수



명칭 : 장군부부
강희자전 안에 121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77 자가 수록돼 있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액체가 들어가는 용기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4.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2획

3획

4획

5획

14획

18획


4.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장군부부
  • 일본 : ほとぎ, ほとぎへん, かん
  • 미국 : Radical jar

[A] A B 상용독음 범위 밖[1] 將軍이 아니라 액체를 담는 용기를 뜻한다. 과거에 사용되던 똥장군의 장군이 이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