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성씨)

 


1. 개요
2. 나씨 성을 가진 유명인
2.1. 연예계
2.2. 스포츠계
2.3. 기타
3. 가상의 인물
4. 나씨가 예명인 유명인


1. 개요



한국의 성씨. 원래는 '라'이지만, 두음 법칙에 따라 '나'로 읽는 경우가 흔하다. 다만 '라'씨로 쓰는 사람들도 가끔 볼 수 있다.
나주 나씨의 시조 나부(羅富)는 남송 예장(豫章)[1]사람으로 나라가 위급해 지자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고려에 왔다가 남송이 멸망함에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고려에 귀화하였다고 한다. 전라도의 여황(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 정착하였는데, 어질고(累仁) 덕(德)을 많이 베풀었으므로 호남(湖南)의 망족(望族)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나부는 고려조에서 감문위상장군(監門衛上將軍)이란 무관직(武官職)을 지냈다. 감문위(監門衛)는 중앙군(中央軍)의 일부로서 궁성(宮城)의 수비(守備)를 담당(擔當)하는 부서이고 상장군(上將軍)은 그 부서(部署)의 책임자로서 품계는 정삼품(正三品)으로 정의대부(正議大夫)이다. 시조의 중국 행적은 사료로는 밝혀지지 않는다.
크게 나주 나씨와 금성 나씨가 있다. 금성은 나주의 옛 지명[2]으로, 두 본관은 시조가 다른 씨족이다. 이들의 차이는 김해 김씨김녕 김씨의 차이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여하튼 나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 씨족이 모두 전남을 기반으로 큰 씨족이기 때문에, 나씨의 지역별 인구 분포를 보면 대체로 전라도, 그중에서도 특히 전라남도에 압도적으로 많다. 인구는 나주 나씨가 금성 나씨보다 두 배 이상 많다. 나씨의 대성(大姓). 나주 및 금성 나씨 이외에도 금성에서 나온 수성과 경상도 군위, 의성, 안정, 비안 나씨가 있지만 경상도 나씨는 토착 성씨라 하며, 실제로 족보를 뒤져봐도 나주 및 금성 나씨와는 계통을 공유하지 않는다.[3] 다만 영조때 이인좌의 난에 나주 나씨가 참여하였다가 멸족당할 위기가 있었고, 이때 일부 아이들이 금성나씨에게 피난을 가서 살아남은 자들이 있다. 이때부터 금성 나씨와 나주 나씨간 결혼이 많이 일어났기에 그때부터는 사실상 한 집안이나 마찬가지인 경우가 많아졌고, 해당 집안의 후손들은 나씨간 결혼을 꺼리게 되었다.
한국어의 1인칭대명사와 발음이 같으므로(이 외에도 '전'씨 성이 해당된다) 서브컬쳐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나는 ○○"하는 식으로 말장난스러운 이름을 가진 캐릭터가 많이 나온다(주로 문영남이 잘 써먹는 작명법이다). 조역이나 단역 이름으로도 많이 나온다.
고려, 조선 시대보다는 의외로 근현대에 위인을 많이 배출했다. 대표적으로 나철, 나운규, 나석주, 나도향, 나혜석 등이 있다.
조선시대 이순신 장군의 오른팔이자, 임진왜란 때 맹활약한 거북선을 직접 설계 제작 및 창시한 나대용 장군 등이 있다.
총 인구수는 160,946명으로 48위다.

2. 나씨 성을 가진 유명인



2.1. 연예계



2.2. 스포츠계



2.3. 기타



3. 가상의 인물


나씨의 짙은 여성적 어감 때문에 여성의 비율이 높다.
자기중심적 인물에게도 많이 쓰인다.

4. 나씨가 예명인 유명인



[1] 현재 중국 장시성[2] 태조 왕건이 금성을 점령한 뒤 나주로 지명을 바꾸었다.[3] 참조.[4] 개명 전 나종덕[5] 다만 라건아의 경우는 귀화했기 때문에 용인 라씨이다. 그리고 해당 성씨의 시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