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부산광역시)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1978년 2월 15일에 부산진구의 일부와 김해군 대저읍·명지면·가락면(일부)을 조합하여 출범하였다. 북구에서 떨어져 나온 자치구로는 강서구·사상구 등이 있다. 특히 사상구의 분구로 현재의 북구는 서로 다닥다닥 붙어 있는 중부산권인 중·동·서구와는 달리[5] 혼자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경부고속선이 아닌 경부선을 타고 오면 가장 먼저 접하는 동네다.
[image]
북구 출범 당시의 영역. 당시에는 지금의 사상구와 강서구 대부분에 을숙도까지 포함하는 굉장히 넓은 구였다.
1995년 이후 구포동, 금곡동, 화명동, 덕천동, 만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포동, 덕천동, 만덕동 3개의 동이 차례대로 개발되었고
90년대말 부터 화명신도시가 개발됨에 따라 화명동금곡동 일대가 아파트촌으로 탈바꿈했다. 모든 도시가 그러하듯 구도심에 해당되는 구포,덕천은 북구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지만 연식이 오래된 건물과 재건축한 아파트가 혼재되어 있는 편이다, 그이후 개발된 만덕의 경우 주택촌으로 형성된 구만덕과 아파트촌으로 형성된 신만덕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구만덕의 경우 재개발로 아파트촌으로 바뀌었다.
가장 위쪽에 위치한 금곡동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과 맞닿아 있고 그 아랫쪽 화명동은 대동화명대교를 통해 김해시와 맞닿아 있고 산성터널로 금정구와 맞닿아 있고 그 밑에 덕천동은 남해고속도로로 강서구 대저와 맞닿아 있고 그 밑에 구포동은 구포대교를 통해 강서구 대저동과 맞닿았고 만덕동은 제1만덕터널과 제2만덕터널을 통해 동래구와 연결된다.북구에 있는 몇몇 시설이나 가게는 구포동이 아니라도 구포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6] 특히나 덕천교차로 상권이 구포지점와 덕천지점의 이름이 혼재되어 있는데 구포와 덕천의 경계선이기도하고[7] 시외 관점으로 보는 경우 덕천보다 구포로 더 유명하기에 삼성전자서비스 구포지점 등 대기업 지점으로 구포지점이라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옛날 북구 전체가 동래군 구포읍이었기 때문이다.
2. 역사
원삼국시대 거칠산국의 영역에 해당하며,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래부와 양산군으로 소속이 여러차례 변경된 전력이 있다. 최종적으로 동래부(부산)의 영역이 된 것은 1906년. 지금은 구포라는 지명은 공식적으로 북구 안의 구포동으로만 남아 있지만 과거에는 구 전체가 구포면/구포읍이었고, 그 영향으로 지금도 구포동 이외 북구 일대를 구포로 통칭하기도 한다.
- 1906년 : 양산군 좌이면이 동래부로 편입되었다.
- 1910년 : 동래부가 부산부로 개칭되면서 부산부 좌이면이 됨.
- 1914년 1월 1일 : 부산부의 개항장 이외지역이 동래군으로 분리되면서, 동래군 좌이면이 됨.
- 1918년 1월 1일 : 좌이면이 구포면으로 개칭.
- 1943년 10월 1일 : 구포면이 구포읍으로 승격.
- 1963년 1월 1일 : 구포읍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고 부산진구 구포출장소로 전환.
- 1975년 10월 1일 : 구포출장소가 폐지되고 부산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로 전환.[8]
- 1978년 2월 15일 : 북부출장소와 김해군 대저읍·명지면(신호리 제외)·가락면(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을 조합하여 북구 신설. 북부출장소의 금성동은 동래구로 소속변경.[9]
- 1979년 8월 8일 : 구포동이 구포1동과 구포2동으로 분리.
- 1983년 5월 1일 : 직할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 1983년 10월 1일 : 덕천동이 덕천1동과 덕천2동으로 분리.
- 1983년 12월 15일 : 대저2동 을숙도·일웅도가 사하구로 소속변경.
- 1989년 1월 1일 : 강서출장소가 강서구로 승격되어 북구에서 분리됨.
- 1990년 1월 1일 : 만덕동이 만덕1동과 만덕2동으로 분리.
- 1992년 9월 1일 : 덕천1동의 일부가 덕천3동으로, 만덕2동의 일부가 만덕3동으로 분리.
- 1994년 7월 1일 : 구포1동의 일부가 구포3동으로 분리.
- 1995년 3월 1일 : 북구의 일부(구 사상출장소)가 사상구로 승격되어 분리됨.
- 2003년 7월 1일 : 화명동이 화명1동과 화명2동으로 분리.
- 2003년 12월 22일 : 화명1동의 일부가 화명3동으로 분리.
3. 교통
4. 문화/명소/상권
5. 금융
6. 정치
비교적 새누리당의 세력이 강한 부산에서 새누리당 지지가 비교적 약하고 상대적으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비교적 높다. 북구 뿐만 아니라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로 이어지는 일명 '''낙동강 벨트 라인'''은 부산에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이 높은 곳이라 할 수 있다. 이번 1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경쟁하여 43% 가까이 득표해 선전하기도 했다. 2014년 지방선거 결과를 통해 새정치민주연합이 구의회 다수당을 차지했다[13] . 또한 부산시장선거에선 1%여 차로 분패한 무소속 오거돈 후보가 새누리당 서병수 당선자를 꺾은 몇 안 되는 곳이기도 하다.[14]
국회의원 선거구는 강서구와 묶어서 갑구와 을구로 분리되어 있다. 구포동·덕천동·만덕동은 갑구, 화명동·금곡동은 을구에 속한다. 20대 총선부터 을구에 속했던 덕천2동이 갑구로 옮겨지면서 지역구분이 단순해졌다. 참고로 강서구는 전부 을구에 속하는데, 이 때문에 강서구가 월경지 신세가 됐다(...). 북구 갑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후보는 20대 총선 전까지 3번 모두 이 지역에서 연거푸 낙선했지만, 20대 총선에서는 4수 끝에 박민식 새누리당 후보를 모든 동에서 꺾고 55.92% 득표율, 10,360표 차 압도적 기록으로 당선되었다.
참고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을 선거구에 출마해 민주당 계열 후보로는 최다 득표를 기록했으나 지역주의의 벽을 넘지 못하고 아깝게 낙선하였다. 이 낙선을 계기로 동정표를 받아 최초로 노사모가 결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2년 뒤에 있었던 제16대 대통령 선거의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원을 당선시키면서 가능성을 보여준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서서히 변해가던 북구의 정치 성향은 거의 친 민주당, 반 새누리당으로 뒤집혔다. 단 한개동(덕천1동)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승리를 하면서, 최종 11.1% 격차로 문재인 대통령이 큰 격차로 1위를 했기 때문이다. 홍준표 후보는 당초 여론조사보다 10% 이상 지지도를 끌어올리면서 북구에서도 30%를 넘기는 데에 성공했지만, 41%를 기록한 문재인 후보에게 큰 격차로 패하면서 입지를 잃게 되었다.
만약에 덕천1동까지 넘어왔더라면 올킬을 달성할 수 있었기에 더불어민주당 및 문재인에게는 살짝 아쉬운 결과지만, 부산의 정치 구도를 바꾼 데에 선봉장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아무리 낙동강벨트라 해도 이 지역도 새누리당이 강세를 보였던 지역이었고, 구포동 · 덕천동 · 만덕동과 같이 개발된지 오래된 구도심은 고령화가 심하게 진행된 것은 다른 부산 지역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에 민주당의 승리를 마냥 낙관할 수만은 없는 곳이었다. 그렇기에 이번 대선의 부산 결과는 민주당의 약진, 보수정당의 몰락을 상징하고, 그 중에서도 북구의 결과가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특히 화명지구 일대에서는 득표율이 45%에 육박했고, 정의당 심상정 후보를 합하면 과반에 가까운 득표율을 얻었다.
이러한 민주당의 강세는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이어졌지만, 동남권 신공항의 좌초와 조국 사태, 부동산 문제 등 정부 여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서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탄핵 이전 보수정당 강세 성향으로 회귀하였다. 지난 선거에서 11.9%의 큰 격차로 이긴 전재수 현직 의원은 이번 선거에서 불과 2.0%로 격차가 크게 좁혀진 것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가 여실히 드러났다.
6.1. 관련 문서
7. 행정 구역
[image]
7.1. 구포1동, 구포2동, 구포3동 - 甲
'''북구 개설이후 계속 북구청 소재지'''
서부산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구포 동원로얄듀크 비스타가 구포동에 위치한다.
'''구포동 철도역 목록'''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남역 구명역 덕천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역 덕천역
경부선: 구포역
'''1,000세대 이상 주거 공동주택'''
구포 현대아파트 (구포동): 15층 / 1,741세대 / 71㎡~101㎡
구포 유림 노르웨이 숲 (구포동): 21층 / 1,176세대 / 78㎡~141㎡
구포 동원로얄듀크 비스타 (구포동): 지하4층~48층 / 1,079세대 / 97㎡~131㎡
'''학군'''
가람중[15] '''since 1953''' 공립 공학
구포중 '''since 1974''' 공립 공학
구남중[16] '''since 1980''' 사립 공학
양덕여중'''since 1993''' 공립 여중
부산백양고[17] '''since 1955''' 공립인문계 공학
삼정고[18] ''' since 1973''' 사립일반계 여고
성도고 '''since 1978''' 사립인문계 남고
경혜여고''' since 1987''' 사립인문계 여고
7.2. 덕천1동, 덕천2동, 덕천3동 - 甲
북구의 '''젊은이들의 최대 번화가이자 교통의 중심'''.
'''덕천동 철도역 목록'''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덕천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덕천역 숙등역 남산정역
'''학군'''
덕천중 '''since 1981''' 공립 남중
덕천여중 '''since 1992''' 공립 여중
낙동고 '''since 1974''' 공립인문계 공학
7.3. 만덕1동, 만덕2동, 만덕3동 - 甲
동래지역을 이어주는 '''부산에서도 중요한 교통의 요지인 만덕터널'''이 있는 곳이다.
'''만덕동 철도역 목록'''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남산정역 만덕역
'''1,000세대 이상 주거 공동주택'''
만덕 삼정 그린코아 (만덕동): 15층 / 1,468세대 / 91㎡~170㎡
만덕 럭키아파트 (만덕동): 15층 / 1,614세대 / 96㎡~101㎡
금정산 LH 뉴웰시티 (만덕동): 지하3층~29층 / 1,677세대 / 84㎡~105㎡
e편한세상 금정산 (만덕동): 1,969세대 / 80㎡~114㎡
백양산 동문굿모닝힐[2] (만덕동): 지하3층~29층 / 3,160세대 / 81㎡~151㎡
'''학군'''
만덕중 '''since 1999''' 공립 공학
백양중 '''since 1985''' 공립 공학
신덕중 '''since 2004''' 공립 공학
만덕고 '''since 2002''' 공립인문계 공학
7.4.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 乙
부산을 대표하는 '''부산의 1기 신도시'''
'''화명동 철도역 목록'''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수정역 화명역 율리역
경부선: 화명역
'''1,000세대 이상 주거 공동주택'''
화명 롯데낙천대 (화명동): 30층 / 1,950세대 / 85㎡~185㎡
수정 강변타운 (화명동): 25층 / 1,780세대 / 67㎡~114㎡
대림쌍용 강변타운 (화명동): 29층 / 1,895세대 / 85㎡~168㎡
화명 동원 로얄듀크 1차 (화명동): 25층 / 1,627세대 / 87㎡~146㎡
화명 코오롱 하늘채 (화명동): 27층 / 2,624세대 / 85㎡~178㎡
벽산 강변타운 (화명동): 18층 / 1,044세대 / 94㎡~105㎡
화명 대림타운 (화명동): 25층 / 3,382세대 / 78㎡~168㎡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1] (화명동): 지하4층~35층 / 5,239세대 / 83㎡~204㎡
'''학군'''
화명중'''since 1986''' 공립 공학
화신중'''since 1993''' 공립 공학
대천리중'''since 1996''' 공립 공학
용수중 '''since 2002''' 공립 공학
명진중 '''since 2003''' 공립 공학
화명고 '''since 2002''' 공립인문계 공학
금명여고''' since 2007''' 공립인문계 여고
7.5. 금곡동 - 乙
양산 물금을 이어주는 '''부산의 입구'''
'''금곡동 철도역 목록'''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율리역 동원역 금곡역
'''1,000세대 이상 공동주택'''
한일 유앤아이 (금곡동): 25층 / 1,026세대 / 86㎡~118㎡
금곡주공1단지 (금곡동): 24층 / 1,099세대 / 26㎡~31㎡
금곡주공2단지 (금곡동): 15층 / 1,460세대 / 39㎡~43㎡
금곡주공3단지 (금곡동): 15층 / 1,484세대 / 57㎡~82㎡
금곡주공8,9단지 (금곡동): 20층 / 1,366세대 / 54㎡~68㎡
'''학군'''
금곡중'''since 1995''' 공립 공학
금명중'''since 2003''' 공립 공학
금곡고 '''since 2003''' 공립인문계 공학
8. 관내 철도역 목록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남역, 구명역, 덕천역, 수정역, 화명역, 율리역, 동원역, 금곡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만덕역, 남산정역, 숙등역, 덕천역, 구포역
- 경부선: 구포역, 화명역
9. 관내 각급학교
9.1. 대학교
4년제 종합대학교는 없기 때문에 종합대학교로 가려면 구를 빠져나가야만 한다. 특히 북구의 경우 부산 관내 대학교까지 통학하는데 애로사항이 손꼽히는데 부산 북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특성상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나마 구포 덕천 만덕은 사정이 나은편이지만 화명 금곡에서는 다른곳까지 정말 멀다.[19]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연선의 신라대학교와 동서대학교, 동의대학교는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경성대학교, 부경대학교, 동명대학교, 영산대학교 등의 동부산권에 위치한 대학으로 가거나 동아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고신대학교 등등의 대학으로 가려면 대중교통 이용 편도로만 1시간 넘게 잡아야 한다.[20] 그런데 산성터널이 개통되어 부산대학교와 부산가톨릭대학교로의 이동이 예전보단 한층 수월해졌다.
9.2. 고등학교
- 부산백양고등학교 (구포동 888) [21]
- 삼정고등학교 (구포동 1251-1)[22]
- 성도고등학교 (구포동 867)
- 경혜여자고등학교 (구포동 3)
- 낙동고등학교 (덕천동 297-1)[23]
- 만덕고등학교 (만덕동 948)
- 화명고등학교 (화명동 2259)
- 금명여자고등학교 (화명동 307)[24]
- 금곡고등학교 (금곡동 1892)
9.3. 중학교
- 가람중학교 (구포동 1020-1)
- 구남중학교 (구포동 894)
- 구포중학교 (구포동 1139)
- 금곡중학교 (금곡동 99-2)
- 금명중학교 (금곡동 1893)
- 대천리중학교 (화명동 509)
- 덕천중학교 (덕천동 320-1)
- 덕천여자중학교 (덕천동 485-1) : 2022년 폐교 예정
- 만덕중학교 (만덕동 646-18)
- 명진중학교 (화명동)
- 백양중학교 (만덕동 878)
- 신덕중학교 (만덕동 946)
- 양덕여자중학교 (구포동 1)
- 용수중학교 (화명동 2302)
- 화명중학교 (화명동 2326)
- 화명중학교 부설 방송통신중학교 (화명동 2326)
- 화신중학교 (화명동 1408)
9.4. 초등학교
- 구남초등학교 (구포동 1076-1)
- 구포초등학교 (구포동 725)
- 금곡초등학교 (금곡동 99-1)
- 금창초등학교 (금곡동 56-2)
- 금명초등학교 (금곡동 1896)
- 대천리초등학교 (화명동 507)
- 덕성초등학교 (덕천동 335-1)
- 덕양초등학교 (만덕동 774-20)
- 덕천초등학교 (구포동 127-1)
- 만덕초등학교 (만덕동 646-1)
- 명덕초등학교 (화명동 2327)
- 명진초등학교 (화명동 2261)
- 백산초등학교 (만덕동 923)
- 백양초등학교 (만덕동 838-1)
- 상학초등학교 (만덕동 570)
- 신금초등학교 (금곡동 1109)
- 신덕초등학교 (만덕동 947)
- 신천초등학교 (구포동 801)
- 양덕초등학교 (덕천동 812)
- 양천초등학교 (덕천동 132-59)
- 와석초등학교 (화명동 755)
- 용수초등학교 (화명동 2305)
- 포천초등학교 (구포동 1231)
- 학사초등학교 (화명동 2296)
- 화명초등학교 (화명동 205)
- 화잠초등학교 (화명동 732-1)
- 화정초등학교 (화명동 898-15)
10. 출신 인물
- 강민: 보이그룹 VERIVERY의 멤버. 금곡동 출생.
- 박민식: 前 국회의원
- 김재한: 보이그룹 스펙트럼의 멤버
- 정국: 보이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만덕동 출생[28]
- 정진우: 정치인
- 한선화: 걸그룹 시크릿의 前 멤버이자 배우
- 이호원: 보이그룹 인피니트의 前 멤버이자 배우
- 한승우:보이그룹VICTON의 멤버
[1] 5개 법정동, 13개 행정동[2] 2021년 1월 주민등록인구[3] 본청사 (사실상 구의회) 공간부족으로 제1별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주변 건물을 매입하여 제2별관을 꾸렸다. 현재 사진으로 보이는 본관에는 알록달록 도색이 칠해져있다.[4] 거북 구 자를 쓰는 옛 지명 구포 + '북'구에서 따왔다.[5] 남구는 해운대구, 수영구와 함께 동부산권이다. 어쨌거나 동구와도 바로 접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 동, 서, 남구는 서로서로 붙어있는 모양새다.[6] 대표적으로 KT 구포지사(구포전화국). 덕천1동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비슷한 위치에 구포IC 또한 만덕동에 있기도 하고.[7] 일반인들은 동네 경계를 명확히 나누지 않는다. 덕천이나 구포나..[8] 같이 폐지되는 사상출장소와 한데 묶어서 출범하였다.[9] 금정산성 마을인 그 동네가 맞다. 나중에 금성동은 1988년 출범하는 금정구에 소속되어 지금에 이른다.[10] 서울 마장동축산물 도매시장 다음으로 큰 축산물도매시장이라고 한다.북구청 뒤에 있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1] 95.6.7 의원직 사퇴(부산시장선거 출마)[12]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13] 3인을 선출하는 마 선거구에서 2명을 공천했고, 통합진보당 후보까지 입후보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천자 전원이 당선되면서 과반수가 될 수 있었다.[14] 나머지는 강서구, 연제구, 기장군, 사상구. 참고로 부산진구가 왜 포함이 안되었냐면 그쪽은 당감동, 부암동, 개금동만 민주당 지지율이 강세이기 때문이다.[15] 구 구포여중[16] 구 모라여중[17] 구 구포여상[18] 구 동래여상[19] 그래서 구포,덕천,만덕이 먼저 개발되었을것이다.[20] 특히 영도구에 위치한 고신대와 해양대의 경우 편도로만 2시간 남짓 걸린다(..)[21] 구 구포여상, 북구 고등학교중에서 제일 오래된 학교[22] 구 동래여상, 이름에는 여자가 없지만, 여자고등학교다.[23] 팩트TV 기자를 하다 더불어민주당으로 입당해서 사하구에서 파란을 일으킨 오창석이 나온 학교다.[24] 화명2동 대천리중학교 근처에 위치한 여고로 접근성이 영 좋지 않다.[25] 부산국제고는 주 1회, 한과영은 월 1회 귀가한다.[26] 근처에 지하철역이 없으며, 유이하게 북구를 지나 학교 앞에 서는 버스인 부산 버스 1004와 부산 버스 124 모두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기숙사 생활을 하기에 등교 때마다 챙겨가야 하는 여행가방이 걸리적거리는 건 덤. 겨우 버스를 타더라도 내리면 눈앞에는 어마어마한 등산 코스가 펼쳐진다...[27] 대천리중학교 제외. 화명2동 안쪽에 들어가 있어 통학하는데 많이 불편해서 근처 아파트단지나 금성동 거주 학생들만 주로 통학하는 편이다.[28] 한끼줍쇼에 나왔을 때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