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음/노래 목록
1. 개요
음역이 전반적으로 낮은 노래를 음역대별로 정리
최고음이 '''남자 기준: 2옥타브 솔♯(G♯4), 여자 기준: 3옥타브 도♯(C♯5)''' 이하인 노래들과 0옥타브 대 저음이 나오는 노래로 구성되었다.
(보통 남자 기준: 2옥타브 라(A4), 여자 기준: 3옥타브 레(D5) 정도부터 고음으로 인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고음/노래 목록 참고.)
2. 최고음이 낮은 노래
2.1. 남성 가수
2옥타브 솔♯(G♯4) 이하
2.2. 여성 가수
3옥타브 도♯(C♯5) 이하
3. 최저음이 낮은 노래
남자라 해도 낼 수 없는 저음이 들어간 노래들이 많다.
남녀 공통으로 최저음이 '''1옥타브 도(C3) 이하'''인 노래를 서술한다.
3.1. 남성 가수
최저음이 내림차순[19] 으로 정렬되었다.
3.2. 여성 가수
4. 관련 문서
[1] '''내림마장조(E♭)'''[2] 프로듀스 101 시즌2에 출연한 김용진과는 동명이인이다.[3] 조빈,이혁 [4] 수평선 저 끝까'''지'''[5] 이쪽은 랩이 더 어렵다. 속사포 랩이 나오기 때문.[6] 널 용서 않'''겠'''다[미#없음] [7] 가성으로는 Ice Ice 부분('''3옥타브 도(C5)''') 이다. 랩도 그렇게 어렵지 않아 쉽게 부를 수 있다.[8] '''올림바장조(F♯) → 사장조(G)'''[9] '''너'''를 포기했어 너만 사랑했어 '''그'''것만으로도 부족했었나[10] 코러스 최저음은 0옥타브 시(B2)[11] 가성 최고음은 2옥타브 파♯(F♯4).[12] 코러스 최고음은 2옥타브 도♯(C♯4).[13] 후렴구 코러스 부분은 3옥타브 레 (D5)[14] 정말 도밖에 안 나온다... 가성으로는 '''4옥타브 도(C6)'''[15] 가성 최고음은 '''3옥타브 레♯(D♯5)'''.[16] 매달려 더 이상 울고 '''싶'''진 않아[17] 남은 게 없구'''요'''[18] 마지막 애드립으로 '''3옥타브 레♯(D♯5)'''을 냈지만 가성인데다가 기계음이라 실제적인 음이라 보기 어렵다.[19] 낮을수록 문서 위쪽이다.[20] 1분 17초부터 들어보자 .[21] 흉성과 보컬 프라이를 섞은 창법이다.[22] 보컬로이드 노래이므로 발성을 특정할 수 없다.[23] 3분 48초부터 잘 들어보면 '''C1 - F0''' 순으로 내려간다.[24] 여기에서 팀 파우스트 본인이 '''A0'''를 내지 않았다고 말한다.[25] 3분 2초부터 들어보자.[26] 3분 19초부터 잘 들어보면 '''D♯1 - C♯1 - C1 - B0''' 순으로 내려간다.[27] 4분 25초부터 들어보자.[28] 3분 35초부터 잘 들어보면 들린다.[29] 2분 54초부터 무지막지한 저음을 들려주다가 3분 33초에 '''C1'''까지 내린다.[30] 4분부터 매우 낮은 음을 들려주다가 4분 15초에 '''C1'''까지 내린다.[31] 3분 18초부터 잘 들어보면 C1과 C2가 번갈아가며 들린다.[32] 2분 31초부터. 노래를 부른다기보다 배경음으로 넣어주는데, '''A1 - E1 - D1'''을 두 번 반복한다. 잘 들어보면 무지막지한 저음이 들린다.[33] 여기 2분 45초부터는 1키를 낮춰서 '''G♯1 - Eb1- C♯1'''을 두 번 반복한다.[34] 홈 프리와 비슷하게 5인으로 구성된 아카펠라 그룹이다.[35] 2분 40초부터 들어보자. '''3옥타브 레(D5)'''에서 '''-1옥타브 레(D1)'''까지의 미친 음역대(총 49키)를 5초만에 소화해낸다[36] 영상 50초에 나옴.[37] 2분 28초부터 들어보면 '''C2 - G♯1 - D♯1''' 순으로 내려간다[38] 2분 45초부터 들어보면 '''G♯1 - D♯1''' 순으로 내려간다[39] 2분 00초에 A#1 - D2 - D#2 - '''D#1''' (D#2에서 서브하모닉스를 건다.)[40] 2분 15초부터 들어보자[41] 마지막에 D♯2~D♯1로 쫙 내리는 게 일품이니 들어보자. 또한, 처음에 '''-1옥타브 솔(G1)'''도 들려준다. 음높이는 Radio에서 'o'가 (A2~D♯2), '''on은 (D♯2~G1)'''이다. 마이크를 든 한 앉아 있는 할아버지가 J. D. 섬너다.[42] 2분 29초에 나온다. 약 5초간 소리를 낸다.[43] 2분 18초부터 들어보자.[44] 2분 20초부터 들어보자.[45] 3분 10초 부터 '''B1 - E1''' 순으로 내려간다.[46] 2분 5초부터 들어보자.[47] 2분 45초부터 들어보자 '''B1 - A1 - G1 - E1''' 순으로 내려간다.[48] 홈 프리와 비슷하게 5인으로 구성된 아카펠라 그룹이다.[49] 2분 5초부터 들어보자[50] 1분 55초부터 들어보자[51] 3분 28초부터 들어보자[52] 2분 40초부터 들어보자. '''2옥타브 시(B4)'''에서 '''-1옥타브 미(E1)'''까지의 미친 음역대(총 44키)를 10초만에 소화해낸다[53] 2분 45초부터 들어보면 '''High(E1)-way(G♯1)-to(A1)-glo(B1)-ry(G♯1)''' 순으로 진행한다[54] 2분 20초부터 들어보자[55] 2분 15초부터 들어보자 '''C2 - F1''' 순으로 내려간다.[56] 2분 3초부터 들어보자[57] 3분 31초부터 들어보자[58] 1분 23초부터 들어보자[59] 5인으로 구성된 한국 아카펠라 그룹이다.[60] 3분 10초부터 들어보자[61] 2분 40초부터 들어보자.[62] 1분 32초부터 들어보자.[63] 2분 10초부터 들어보자.[64] 2분 45초부터 들어보면 두 번 나온다.[65] 2분 44초부터 들어보자[66] 노래를 들어보면 -1옥타브, 0옥타브의 음이 대부분이다.[67] 58초부터 들어보자[68] 맨 마지막에서 아주 선명하게, 소름이 돋을 정도로 무지막지한 저음을 낸다.[69] 여기에서는 '''-1옥타브 파♯(F♯1)'''를 맨 마지막에 아주 선명한 소리로 낸다.[70] 현재는 탈퇴한 상태.[71] 1분 42초부터 들어보자.[72] 여기 1분 16초부터는 한 키를 낮춰서 '''-1옥타브 파♯(F♯1)'''를 낸다.[73] 2분 43초쯤에 나온다. 음을 '''0옥타브 레(D2)'''에서부터 '''-1옥타브 솔(G1)'''까지 무려 7초 가량을 끌어낸다.[74] 2분 34초쯤에 나온다.[75] 2분 25초부터 들어보자.[76] "서울역"과 마찬가지로 같은 앨범에 든 곡이다. [77] 2분 20초부터 들어보면 '''C2 - G1''' 순으로 내려간다.[78] 2분 23초부터 배경음으로 나오는데 잘 들어보면 '''C♯2 - B1 - G♯1'''를 두번 반복한다[79] 3분 37초부터 들어보자[80] 1분 57초부터 들어보자[81] 4분 4초부터 들어보자[82] 2분 45초부터 들어보자[83] 2분 55초부터 들어보자[84] 1분 42초부터 들어보자.[85] 2분 00초부터 들어보자.[86] 더 대단한 것은 이 노래의 원키 최고음이 '''3옥타브 미(E5)'''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노래를 원키로 완벽하게 부르려면 '''-1옥타브 솔♯~3옥타브 미'''를 진성으로 낼 줄 알아야 한다...[87] 20초 부분을 잘 들어보자[88] 2분 35초부터 들어보자[89] 20초부터 들어보자[90] 홈 프리로 영입되기 전 SCS라는 그룹에서 발표한 노래다.[91] 1분부터 참조[92] 2분 7초부터 들어보자[93] 2분 43초쯤에 나온다.[94] 2분 30초부터 들어보자 두번 나온다[95] 20초부터 들어보자[96] 1분 32초부터 들어보자. '''3옥타브 레♯(D♯5)'''에서 '''-1옥타브 라♯(A♯1)'''까지의 미친 음역대(총 42키)를 10초만에 소화해낸다[97] 3분 2초부터 들어보자[98] 2분 10초부터 들어보자[99] Throat Bass[100] 홈 프리로 영입되기 전 SCS라는 그룹에서 발표한 노래다.[101] 4분 27초부터 참조[102] 1분 45초부터 들어보자[103] 2분 35초부터 들어보자[104] 2분 5초부터 들어보자[105] 2분 9초부터 들어보자[106] 2분 16초[107] 2분 35초부터 블어보자[108] 58초부터 들어보자[109] 1분 10초부터 들어보자[110] 3분 40초부터 들어보자[111] 초반부 코러스[112] 1분 10초부터 들어보자[113] 2분 55초부터 들어보자[114] 40초부터 들어보자[115] 2분 53초부터 들어보자[116] 직접 들어보면 사람 목소리라기보단 초대형 괴수가 내는 소리 같다.[117] 이수는 3옥타브 레(D5)까지 올라간다.[118] 윤동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창작된 한국 가곡. 가사는 윤동주의 시 <별 헤는 밤>을 가져다 썼다.[119] 유세윤의 나레이션 다음에 나오는 뮤지의 조한이형 부분[120] 1978년 대학가요제 대상 수상곡[121] 모모는 '''외로운(0옥타브 솔, G2)''' 그림자[122] 최고음은 '''3옥타브 라(A5)'''이다. 마지막 부분에서 2옥타브 미(E4)부터 슬라이드로 고음을 올려서 3옥타브 라(A5)까지 도달한다.[123] 노래의 마지막 부분이다. 하현우는 <EBS 스페이스 공감>에 출연해서 이 노래를 불렀을 때, 이 부분을 한 옥타브 낮춰서 '''-1옥타브 라(A1)'''를 내고, '''3옥타브 레♯(D♯5)''' 샤우팅으로 마무리하는 기염을 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