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하라인

 



언어별 명칭
영어
Tocharians
그리스어
Τόχαροι
라틴어
Tocari
[image]
1. 개요
2. 역사
2.1. 기원
2.2. 초기 역사
2.3. 박트리아 이주
2.4. 불교 전래 이후
2.5. 마니교의 전파와 멸망
3. 언어
4. 문화
5. 관련 문서


1. 개요



기원전 2000년경부터 9세기경까지 오늘날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일대에 거주한 코카소이드계 민족으로, 인도유럽어족 계열 언어를 쓰는 민족들 중에서는 가장 동쪽에 거주한 민족이다.[1] 신장 지역의 타림 분지 일대의 선주민으로 그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소하공주 미라 등으로 미루어보아 꽤 오랜 옛날부터 중국의 역사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민족명인 '토하라'는 알란족의 언어로 '무사'를 뜻하는 토하르(tokhar)에서 유래한 말로 기원전 2세기의 그리스 측의 기록에서 고대 그리스어로 '토카로이'라고 불린 것이 다시 로마인들에 의해 라틴어로 '토카리'라고 번역되면서 그대로 민족명으로 굳어졌다. 토하라인은 달리, 토하리인, 토카리아인으로 불린다.

2. 역사



2.1. 기원


[image]
파란색 부분은 켄툼어군(Centum) 사용지역, 빨간색 부분은 사템어군(Satem) 사용지역
토하라인의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인도유럽어족 계열 민족들 중에서는 인도유럽조어를 쓰던 공통 조상에서 직접 갈라져 나온 부류로 추정되며, 켈트족[2]라틴족[3]과는 공통의 조상을 가진다고 보여진다. 이런 추측은 인도유럽어족아르메니아에서 기원했다는 아르메니아 가설러시아쿠르간 지역에서 기원했다는 쿠르간 가설과도 연결되어 현재 주류 학계의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학자들은 기원전 3500년경에 처음 발생하여 기원전 2000년경까지 타림 분지 북부와 시베리아 일대에 걸쳐 존속한 아파나세보 문화가 토하라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으며, 실제로 기원전 2000년경의 타림 분지의 선사 유적지에서 타림 미라라고 불리는 미라 한 구가 하플로그룹 조사 결과, 토하라인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명났다.

2.2. 초기 역사


기원이야 아무튼간에 토하라인은 기원전 2000년경에 오늘날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간쑤성 서부 일대에 정착하여 거주하기 시작했고, 이곳의 선주민이 되었다. 당시 신장 지역의 동쪽에 있는 황허 지역에서는 상나라가 건국되었고, 토하라인들은 강족을 통해 상나라와 상당한 수준의 교류를 했다.
그 증거로 당시 갑골 문자에 기록된 글자인 蜜(꿀 밀)[4], 城(성 성), 里(마을 리) 등의 몇몇 한자와 당시의 마차 유물, 소하공주 미라의 존재[5] 등이 그 예다.
중국인들이 역사상 최초로 조우한 기마 민족이지만, 본격적으로 최초로 조우한 기마 유목민은 아니다. 이 시기의 토하라인은 말과 양을 사육하고 고대 전차를 도입시킨 민족이었을 뿐, 말을 타며 이동하는 유목 생활을 한 건 아니었기 때문이다.
중국사에 최초로 등장한 유목민은 호(胡)라고 불리는 이들로[6] 이들의 정체에 대해 논란이 많지만, 대체로 이후에 등장하는 동호[7]의 전신격의 민족이라고 추정된다. 중국 측의 기록에서 토하라인은 차사국, 고차국, 누란[8] 등의 국가를 이루었던 것으로 언급된다.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자세한 건 알 수 없지만, 전한 대의 기록에 나오는 서역의 유목민들인 오손월지가 이들과 동계라는 설도 있다. 다만, 주류 학계는 월지는 몰라도 오손은 토하라계가 아닌 인도이란어파 계열이라고 보고 있다.[9]
당시 한무제흉노에 대한 견제와 더불어 부유한 서역과의 무역을 목표로 장건을 파견하여 토하라계 제국(諸國)과 기타 국가들을 탐험하게 했고, 그 이후인 후한 시대에는 반초를 통해 이들에 대한 통제를 시도하였다.[10] 비록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실패했으나 중앙아시아 문명과 동북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성립되며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중앙아시아와 문물 교류가 활발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 개척된 실크로드를 통해 동북아시아에 불교가 전래되기 시작했다.

2.3. 박트리아 이주




2.4. 불교 전래 이후


[image]
기원전 6세기경에 인도에서 불교가 발생하고 기원전 1세기경에 토하라인들의 쿠샨 왕조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유행하면서 신장 지역에 남아있던 토하라인들의 점차 불교로 개종하게 된다. 이는 토하라인들의 역사는 물론, 동북아시아 전체의 역사를 바꾸어놓는다. 토하라인들에게 전파된 불교가 서기 1세기경부터 중국에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당시 중국 후한 왕조의 수도인 낙양에 동북아시아 최초의 백마사가 세워지기도 했다. 동북아시아 불교 교리 확립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쿠마라지바[11]는 토하라계 도시 국가인 쿠처의 유력자 출신 어머니와 카슈미르 출신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이다.
서기 2세기에는 본격적으로 인도인 승려와 파르티아인, 토하라인 승려들이 대거 중국으로 건너가서 불교의 전파에 힘썼고, 이미 위진남북조 시기에 이르면 난세에 대한 한족 지식인의 염세주의와 유목민 정복 왕조의 진흥 정책[12]으로 불교가 확고하게 주류 종교로 자리잡는다[13]. 이로써 토하라인들과 소그드인, 중국인들간에는 불교라는 공통점이 생기면서 더욱 활발한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시기부터 유목 왕조들이 본격적으로 중앙아시아 통제에 나서면서 토하라계 국가들의 전성기가 하나둘씩 끝나버렸다.
오호십육국시대에 이르러서 후량이 타림 분지 일대를 침략하면서, 상술한 쿠마라지바 역시 후량의 건국자인 여광에게 모국인 쿠차가 멸망하면서 온갖 굴욕을 당해야했다. 여광은 이미 출가해서 승려가 된 쿠마라지바에게 모욕을 주고자, 인질로 붙잡은 쿠마라지바의 친척인 쿠차 공주와의 결혼을 강요하는 등으로 엄청나게 괴롭혔다. 사족으로, 이렇게나 악랄한 성격이었던 여광은 그 후손들이 자신의 죗값을 대신 치르기라도 한건지, 본인이 세운 후량이 자기가 죽은 후에 곧장 국가 막장 테크를 타면서 후량의 황족들은 쿠마라지바 이상으로 불우한 삶을 살게 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토하라인들은 위기의 상황에서도 교역에 힘쓰고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데 성공한다. 전한에서 기록을 남길 당시 본래 26~36개에 불과하던 신장 지역의 도시 국가들이 인도로부터 관개 농업 기술의 도입과 동서 무역 증진으로 인구 부양책이 증가한 덕분에 2배 가까이 되는 55개국으로 증가하였다.
신장 지역 도시 국가들이 중화권에 편입된 데는 같은 토하라계 국가이던 사차국과 북쪽의 흉노 때문인 것도 있었다. 이 두 강대국들이 요구하는 조공품의 양이 엄청나서 짓눌릴 지경이던 서역의 도시 국가들이 원교근공 논리에 따라 한나라에게로 붙은 것이 서역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을 늘리는 계기가 되었다[14]. 이렇게 중국의 정세에 따라 토하라계 국가들과 중국과의 관계가 가까워졌다 멀어졌다를 반복하면서 서역의 도시 국가들은 크게 번영하였다. 하지만, 8세기경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2.5. 마니교의 전파와 멸망


[image]
당시에 토번[15]중앙아시아를 침공하면서 당나라의 지배를 받던 토하라인들은 그대로 토번의 지배를 받고 있었는데, 탈라스 전투 이후로 토번 역시 우마이야 왕조의 뒤를 이어 성립된 압바스 왕조의 침공으로 대차게 타격을 입으면서 토하라인들의 영역은 마니교를 믿던 위구르족이 세운 위구르 제국에게 정복되었다.
하지만, 위구르 제국 역시 키르기스족[16]에게 멸망하였고, 키르기즈인들에게서 도망친 위구르족은 신장 지역을 정복한 뒤에 그대로 정착하였다.[17] 이 당시 위구르의 국교는 마니교였기에 신장 지역에 마니교가 뿌리내리고 마니교로 개종하는 토하라인들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토하라인의 튀르크화가 시작되었고, 위구르어널리 퍼지고 중요해지면서 토하리인의 도시 국가들은 토하리어가 어닌 위구르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얼마 후 카라한 왕조의 서타림분지 영토화로 타림분지의 투르크화가 완료되었다. 호탄을 위시한 타림 분지 서부의 샤카족은 카를루크인에 급속히 동화되었다. 9세기경에는 토하라어로 된 기록이 더이상 등장하지 않으면서, 그대로 위구르족에게 동화되어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3. 언어




4. 문화


비록 위에서 언급했듯이, 동북아시아 역사상 최초의 기마 유목민족은 아니었으나, 동북아시아사 최초의 기마민족이었다. 토하라인은 중국마차, 각종 청동기 문물을 비롯하여 양(동물)을 처음 소개한 이들이었고, 이들과의 접촉으로 중국의 역대 왕조들은 전쟁에 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됐다[18][19]. 청동기와 고대 전차를 도입한 중국인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타이카다이어족, 몽몐어족에 속하는 이웃한 여러 부족들을 정복, 흡수하며 동화시켰는데, 이는 오늘날의 한족의 기원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렇게 중국티베트어족에게 밀려난 타이카다이어족 민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민족들은 오늘날 태국인베트남인의 조상이 되었다.
그래서 토하라인들은 이미 상나라 시대부터 중국을 비롯 여러 중국티베트어족 민족들과 꾸준한 교류를 했고, 또, 북쪽으로는 흉노, 서쪽으로는 오손, 월지 등과 교류하면서 막대한 경제력을 확보하는 한편, 동서양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면서 동서양 간의 문물 교류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는 실크로드의 개척으로 이어지게 된다.[20]
토하라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인 토하라어를 표기하기 위한 누란에 정착한 인도인 이주민들로부터 카로슈티 문자를 받아들여 사용하기도 했다. 이 문자는 기원전 4세기에 처음 만들어져서 근 800년을 사용하다가 서기 3세기경에 사용이 중단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인도에서 들어온 브라흐미 문자도 사용되었지만, 역시 서기 3세기경에 사용이 중단되었다. 이후에는 소그드 문자에 기반한 마니교 문자로 대체되었다.
이들이 믿던 종교는 불교마니교이며, 이 두 종교가 전래되기 전의 고대 토하라인의 신화는 현전하지 않고 있다. 다만 그 흔적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닌데, 중국 신화에 나오는 몇몇 여신들은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섬기던 태양신, 새벽의 여신인 h₂éwsōs[21]와 유사하며 이는 실크로드를 통해 영향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외에도 토하라어 B에는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섬기던 태양의 여신 swāñco에서 파생된 명사가 있었으며, 토하라어 A에는 고대 튀르크 신화에 나오는 태양신 Gun Ana[22][23]와 언어적으로 연결된 외래어 koṃ[24]이란 단어가 있었다.
기원전 6세기경에 불교인도에서 발흥한 뒤, 중앙아시아의 각 지역으로 전래되면서 토하라인들은 불교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8세기경에 위구르족의 침공 이후로는 마니교 역시 받아들인 바 있다. 현재 적지 않은 수의 토하라인들의 프레스코화가 남아있기는 하나, 신장 지역에 이슬람교가 전파되면서 무슬림들이 이 프레스코화에 대한 반달리즘을 벌여서 상당수가 제대로 판독하기가 어려운 상태다.

5. 관련 문서


  • 누란의 미녀
  • 소하공주
  • 인도유럽어족
  • 아르메니아 가설
  • 상고한어[25]
  • 쿠샨 왕조
  • 토하라어
[1] 흉노 연맹의 스키타이계 유목민 구성원 제외. 백인종 중에서 가장 동쪽에 살았던 민족은 오호십육국시대에 처음 중국사에 나타나서 위진남북조 시기의 왕조들 중 하나인 후조를 건설했던 갈족(羯)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다만, 갈족에 대해서는 예니세이어족 계통이라는 설과 코카소이드계는 맞는데 중국 진출 당시에 이미 튀르크계에 동화된 이들이라는 설이 있다. 현재 제일 동쪽에 살고 있는 인도유럽계 민족은 연해주, 하바롭스크, 사할린, 캄차카, 추코트카 등과 같은 극동 러시아 지역에 정착한 러시아인들이다.[2] 오늘날의 아일랜드인스코틀랜드인, 브르타뉴인이 여기에 속한다.[3] 스페인인, 포르투갈인, 이탈리아인 등이 라틴족에 속한다.[4] 당시의 상고한어로는 mjit이라고 발음했는데, 이는 고대 토하라어 ḿətə의 차용어다. 그래서 벌꿀술을 뜻하는 영단어 미드(mead)와 꿀 밀은 어원이 같다.[5] 소하공주 미라의 하플로그룹중국 연구진들이 분석한 결과, 코카소이드계임이 밝혀졌다.[6] 진시황이 이들이 진나라를 멸망케 할 족속이라고 여겨 만리장성을 쌓게 했으나, 정작 진나라를 멸망시킨 호(胡)의 정체는 자기 아들 호해(胡亥)였다는 얘기는 매우 유명하다.[7] 이들의 후신이 바로 선비족오환족이다.[8] 이탈리아의 작곡가인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로 유명한 나라다.[9] 물론 토하라계나 인도이란어파 계열이나 둘 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하기는 하지만, 그것 외에는 촌수가 먼 편이다.[10] 참고로 반초의 부하이던 감영이라는 사람이 중국인으로서는 물론 동아시아인으로서로도 최초로 유럽까지 갔다오는데 성공했다. 비록 후한로마 제국 간의 무역이 성사되는 것을 방해하려던 파르티아의 훼방으로 인해 로마 영토까지 들어가는 것은 좌절됐으나, 감영은 당시 로마 제국에서 일반화되어있던 양자세습제도와 공동황제제도에 대해 정확하게 기술하고 유럽중앙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1] 우리나라에는 구마라습이라고 알려졌다. 이 사람이 번역한 불경들이 오늘날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이 사용하는 불경의 표준이 되었다.[12] 유교를 비롯한 중국 전통 사상은 화이관, 중화주의가 강했기 때문에 유목민 정복 세력들은 유교 대신에 이민족과 한족 모두가 평등한 인간이라고 주장하는 불교를 통해 민족 화합을 추구했던 것[13] 다만 초창기 시기에 삽질이 좀 있었다. 삼국지에도 등장하는 인물로, 후한 말의 불교 신자였던 착융이 서주자사였던 도겸의 비호 아래 불교를 앞세워서 온갖 비리를 저질렀는데, 조조가 자기 아버지 조숭이 도겸의 부하에게 살해당한 것에 빡쳐서 서주대학살을 일으키는 등으로 도겸의 세력을 쳐부숴버리자, 그대로 양주자사인 유요에게로 달아났다. 그러나 이번에는 막 원술의 산하에서 독립한 손책이 유요의 세력을 공격하였고, 이를 두려워한 그는 유요를 배신하려했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유요의 군대가 금방 착융의 본거지로 쳐들어왔고, 이에 호응하여 봉기한 백성들의 손에 그대로 끔살당하고 말았다(...). 하도 착융이 부정축재 등으로 불교의 이미지를 망쳐놓은 지라서, 손책의 동생인 손권이 훗날에 오나라 황제로 등극하고 불교 진흥 정책을 실시하기까지 중국에서의 불교 전파는 한동안 지지부진했다.[14] 물론 한나라도 이들로부터 조공을 받았지만, 한나라를 포함한 중국의 역대 왕조들은 말로만 조공한다고 말하고는 실제로는 무역을 했기 때문에 중국이 형식적으로 왕초 노릇하면서 자국을 명목상의 신하국으로 삼았다고 해서 딱히 나쁠 것은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식의 외교 정책은 중국의 여러 왕조들의 기본 정책이자, 동북아시아의 국제 정세의 표준이 되어서 한국 역사상 가장 강대했던 고구려나, 한동안 몽골 초원을 제패한 돌궐은 물론, 심지어 아편전쟁 이전의 대영제국 조차도 무역권을 따내려고 일부러 중국에 칭신했다.[15] 오늘날의 티베트.[16] 당시 키르기스인들은 오늘날의 하카스인과 흡사했다.[17] 신장 지역이 아닌 간쑤성 일대에 정착한 위구르인들은 유고족이 되었다.[18] 다만, 이 시기의 은 중무장한 사람이 올라타면 그 무게를 버티지 못할 만큼 근력이 약했다. 그래서 당시에 전쟁에 말을 동원한 문명은 예외없이 전차를 이용했다. 당장 트로이 전쟁을 묘사한 일리아스에서도 헥토르나, 아킬레우스같은 수많은 영웅들이 허구헌 날 전차타고 싸우러나가는 것으로 나오는 걸 보면 쉽다. 하지만, 기원전 9세기경부터 이 직접 무장 군인의 몸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품종 개량이 이루어지면서, 전차는 그대로 도태되고 말았다. 물론, 춘추전국시대중국은 기원전 3세기경에나 처음 유목민과 조우했을 만큼, 말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전차가 필요없을 정도로 품종개량한 말도 도입하지 못한 상황이라서, 진나라에 의해 중국이 통일되기 직전에나, 전차가 조금씩 도태되기 시작했다. 당장, 사기의 기록에도 기원전 7세기의 사람인 공자전차를 잘 몰았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다.[19] 이러한 역사적 사실의 증거가 바로 乘(탈 승)이다. 이 글자는 상고한어 때의 갑골 문자들 중에도 있었던 글자인데, 중국어를 연구하는 언어학자들은 이 글자가 토하라어로 탈것을 뜻하는 'klenhe'나, '타다, 여행하다'라는 뜻의 'hlänk'를 차용한 어휘라고 보고 있다. 그 이외에도 軌(수레바퀴 궤), 壁(벽 벽), 城(성 성), 里(마을 리) 등의 탈것의 부품이나, 건축과 관련된 용어에 대한 한자들 모두 갑골 문자에서도 확인이 된다는 점에서 모두 토하라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0] 다만, 토하라인 자신들은 여러 도시 국가로 나뉜 채로, 단 한 번도 단일 토하라 국가를 세운 적이 없었으므로, 예로부터 중국, 흉노, 위구르 등에 계속 시달리다가 끝내 완전히 소멸해버리고 말았다. 이는 토하라인들이 정착한 신장 지역이 너무나도 척박한 곳이었던 탓이 컸다. 당장 이곳에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곳'이라는 뜻의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으니, 더이상 말할 것도 없다.[21] 그리스 로마 신화의 새벽의 여신인 에오스의 기원이 되는 신으로 추정된다.[22] 터키어: Gün Ana, 키르기스어: Күн Эне, 카자흐어: Күн Ана, 헝가리어: Nap Anya, 사하어: Күн Ий̃э, 카라차이-발카르어: Кюн Ана, 오스만어: گون آن[23] 카자흐-키르기스 신화에서는 여신으로 나오며, 생명과 다산, 따뜻함과 건강의 여신으로 가장 강력한 신들 중 하나이다. 불행한 사람들, 특히 고아들의 후견인이라고 한다. 터키어에서 태양, 날을 의미하는 Gün하고 관계가 있다.[24] 태양 혹은 날이란 뜻으로 토하라어 B로는 kauṃ.[25] 원시 토하라어로부터 전차와 그 부속 등에 관한 단어들을 받아들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