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분류해 놓은 문서.
군주
| 시호·이름
| 출생
| 사망
| 아버지(본관)
| 어머니(생모)
| 능호
| 비고
|
태조(太祖)
| 신혜왕후 유씨 神惠王后 柳氏
| ?
| ?
| 삼중대광 유천궁(정주)
| -
| 현릉(顯陵)
| 태조의 1비
|
장화왕후 오씨 莊和王后 吳氏
| ?
| ?
| 오다련(나주)
| -
| -
| 태조의 2비, 혜종의 모후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神明順成王太后 劉氏
| ?
| ?
| 태사내사령 유긍달(충주)
| -
| -
| 태조의 3비, 정종(定宗)·광종·문원대왕의 모후, 딸 낙랑공주
|
신정왕태후 황보씨 神靜王太后 皇甫氏
| ?
| 983
| 태위삼중대광 황보제공(황주)
| -
| 수릉(壽陵)
| 태조의 4비, 대종의 모후, 딸 대목왕후, 손자 성종
|
신성왕태후 김씨 神成王太后 金氏
| ?
| ?
| 김억렴(경주)
| -
| 정릉(貞陵)
| 태조의 5비, 안종의 모후, 손자 현종
|
정덕왕후 유씨 貞德王后 柳氏
| ?
| ?
| 문하시중 유덕영(정주)
| -
| -
| 태조의 6비, 딸 선의왕후, 외손자 성종
|
혜종(惠宗)
| 의화왕후 임씨 義和王后 林氏
| ?
| ?
| 대광 임희(진천)
| -
| 순릉(順陵)
| 혜종의 왕비
|
정종(定宗)
| 문공왕후 박씨 文恭王后 朴氏
| ?
| ?
| 삼중대광 박영규(승주)
| 국대부인 견씨[5]
| 안릉(安陵)
| 정종의 왕비, 친자매
|
문성왕후 박씨 文成王后 朴氏
| ?
| ?
| -
|
광종(光宗)
| 대목왕후 황보씨 大穆王后 皇甫氏
| ?
| ?
| 태조 왕건
| 신정왕후 황보씨
| 헌릉(憲陵)
| 이복오빠인 광종과 혼인, 경종의 모후, 딸 문덕왕후
|
경종(景宗)
| 헌숙왕후 김씨 獻肅王后 金氏
| ?
| ?
| 신라 경순왕 김부(경주)
| ?[6] 어머니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다. 경주 김씨 문중이 조선 때 만든 신라경순왕전비(新羅敬順王殿碑)에는 죽방부인 소생이라는 식으로 적혀 있으나, 역사학계에선 낙랑공주 소생이라는 추정이 정설에 가까운데 낙랑공주 소생임을 분명히 하는 증거가 발견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낙랑공주의 딸이라면 경종은 그녀의 외사촌이 된다.
| 영릉(榮陵)
| 경종의 1비
|
헌의왕후 유씨[7] 獻懿王后 劉氏
| ?
| ?
| 문원대왕 왕정
| 문혜왕후 유씨
| -
| 경종의 2비이자 사촌 관계
|
헌애왕태후 황보씨 獻哀王太后 皇甫氏
| 964
| 1029.1.3.
| 대종 왕욱
| 선의왕후 유씨
| 유릉(幽陵)
| 경종의 3비, 목종의 모후, 오빠 성종, 여동생 헌정왕후
|
헌정왕후 황보씨 獻貞王后 皇甫氏
| 965
| 992.7.1
| 원릉(元陵)
| 경종의 4비, 안종과 사통, 현종의 모후, 오빠 성종, 언니 헌애왕태후
|
성종(成宗)
| 문덕왕후 유씨[8] 성과 본관은 할머니 신명순성왕태후 유씨를 따름 文德王后 劉氏
| ?
| ?
| 광종 왕소
| 대목왕후 황보씨
| 강릉(康陵)
| 성종의 1비이자 사촌, 딸 선정왕후
|
문화왕후 김씨 文和王后 金氏
| ?
| ?
| 화의군개국후 김원숭(선주)
| 화의군대부인 왕씨
| -
| 성종의 2비, 딸 원정왕후
|
목종(穆宗)
| 선정왕후 유씨[9] 宣正王后 劉氏
| ?
| ?
| 홍덕원군 왕규[10]
| 문덕왕후 유씨[11]
| 의릉(義陵)
| 목종과는 6촌
|
현종(顯宗)
| 원정왕후 김씨[12] 元貞王后 金氏
| 999
| 1018
| 성종 왕치
| 문화왕후 김씨
| 화릉(和陵)
| 현종의 1비, 현종과는 5촌이자 고종사촌, 이복동생 원화왕후, 친사촌 원용왕후, 고종사촌 목종, 효숙왕태후(헌정왕후)는 시어머니이자 고모
|
원화왕후 최씨[13] 元和王后 崔氏
| ?
| ?
| 연창궁부인 최씨
| -
| 현종의 2비, 현종과는 5촌이자 고종사촌, 이복언니 원정왕후, 친사촌 원용왕후, 고종사촌 목종, 효숙왕태후(헌정왕후)는 시어머니이자 고모
|
원성태후 김씨 元成太后 金氏
| ?
| 1028.7.22
| 호부상서 김은부(안산)
| 안산군대부인 이씨[14] 인주 이씨의 시조 이허겸의 딸로, 이자연의 고모.
| 명릉(明陵)
| 현종의 3비, 덕종·정종(靖宗)의 모후, 동생 원혜태후·원평왕후, 딸 인평왕후
|
원혜태후 김씨 元惠太后 金氏
| ?
| 1022.6.20
| 회릉(懷陵)
| 현종의 4비, 문종·정간왕의 모후, 언니 원성태후, 동생 원평왕후, 딸 효사왕후
|
원평왕후 김씨 元平王后 金氏
| ?
| 1028
| 의릉(宜陵)
| 현종의 7비, 언니 원성태후·원혜태후
|
원용왕후 유씨[15] 元容王后 柳氏
| ?
| ?
| 경장태자
| -
| -
| 현종의 5비, 현종과는 5촌이자 고종사촌, 친사촌 원정왕후·원화왕후, 고종사촌 목종, 효숙왕태후(헌정왕후)는 시어머니이자 고모
|
원목왕후 서씨 元穆王后 徐氏
| ?
| 1057.5.12.
| 삼중대광내사령 서눌(이천)
| 이천군대부인 최씨
| -
| 현종의 6비
|
덕종(德宗)
| 경성왕후 김씨[16] 敬成王后 金氏
| ?
| 1086.7.23
| 현종 왕순
| 원순숙비 김씨
| 질릉(質陵)
| 덕종의 1비이자 이복남매, 이종사촌 인예태후
|
효사왕후 김씨[17] 孝思王后 金氏
| ?
| ?
| 원혜태후 김씨
| -
| 덕종의 3비이자 이복남매, 문종과 친남매
|
경목현비 왕씨 敬穆賢妃 王氏
| ?
| ?
| 왕가도(청주)[18] 원래 이씨였는데 현종에게 왕씨 성을 사성받았다. 덧붙여서 이 사람의 아들이 문종 때 일어난 쿠데타 모의 사건 때 처벌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인 왕무숭이다.
| 개성군부인 김씨
| -
| 덕종의 2비
|
정종(靖宗)
| 용신왕후 한씨 容信王后 韓氏
| ?
| 1036.7.24.
| 문하시중 한조(단주)
| -
| 현릉(玄陵)
| 정종의 1비, 동생 용의왕후
|
용의왕후 한씨 容懿王后 韓氏
| ?
| ?
| -
| 정종의 2비, 언니 용신왕후
|
용목왕후 이씨 容穆王后 李氏
| ?
| ?
| 공부시랑 이품언
| -
| -
| 정종의 3비
|
문종(文宗)
| 인평왕후 김씨[19] 仁平王后 金氏
| ?
| ?
| 현종 왕순
| 원성태후 김씨
| -
| 문종의 1비이자 이복남매, 덕종·정종(靖宗)과 친남매, 원혜태후는 시어머니이자 이모
|
인예태후 이씨 仁睿太后 李氏
| ?
| 1092
| 경원군개국공 이자연(인주)[20] 인주 이씨 가문 사람으로, 이석의 아버지이며 이자겸의 할아버지.
| 계림국대부인 김씨[21]
| 대릉(戴陵)
| 문종의 2비, 순종·선종·숙종·의천의 모후, 문종의 3,4비인 인경현비, 인절현비와 친자매
|
순종(順宗)
| 정의왕후 왕씨 貞懿王后 王氏
| ?
| ?
| 정간왕 왕기
| -
| -
| 순종의 1비, 현종과 원혜태후의 손녀, 문종은 시아버지이자 백부, 인예태후는 시어머니이자 백모
|
선희왕후 김씨 宣禧王后 金氏
| ?
| 1126.2.22.
| 대경 김양검(경주)
| -
| 성릉(成陵)
| 순종의 2비
|
선종(宣宗)
| 정신현비 이씨 貞信賢妃 李氏
| ?
| ?
| 평장사 이예(인주)[22]
| -
| -
| 선종의 1비, 인예태후는 시어머니이자 당고모, 사숙태후와는 6촌, 딸 경화왕후
|
사숙태후 이씨 思肅太后 李氏
| ?
| 1107
| 공부상서 이석(인주)
| -
| 인릉(仁陵)
| 선종의 2비, 선종과는 내외종간. 헌종의 모후, 인예태후는 시어머니이자 고모, 정신현비와는 6촌
|
헌종(獻宗)
| 회순왕후 소씨 懷純王后 蘇氏
| ?
| ?
| 진산부원군 소계령(진주)
| -
| -
| 진주 소씨 문중 기록이며 고려사에는 기록이 없음
|
숙종(肅宗)
| 명의태후 유씨 明懿太后 柳氏
| ?
| 1112
| 문하시중 유홍(정주)
| 낙랑국대부인 김씨[23] 김원황의 딸로, 김인위의 손녀. 인예태후의 어머니는 그녀의 고모.
| 숭릉(崇陵)
| 예종의 모후, 인예태후와는 외5촌
|
예종(睿宗)
| 경화왕후 이씨[24] 敬和王后 李氏
| 1079
| 1109.7.29
| 선종 왕운
| 정신현비 이씨
| 자릉(慈陵)
| 예종의 1비이자 친사촌, 숙종은 시아버지이자 숙부
|
문경태후 이씨 文敬太后 李氏
| ?
| 1118.9.5
| 조선국공 이자겸(인주)
| 변한국대부인 최씨[25]
| 수릉(綏陵)
| 예종의 2비로 6촌관계[26] 예종은 이자연의 외증손자, 문경태후는 이자연의 증손녀 인종의 모후, 폐비 이씨들은 친동생이자 며느리
|
문정왕후 왕씨 文貞王后 王氏
| ?
| 1138.6.15.
| 진한공 왕유[27]
| -
| -
| 예종의 3비, 숙종은 시아버지이자 숙부
|
인종(仁宗)
| 폐비 이씨 廢妃 李氏
| ?
| 1139.8.4
| 조선국공 이자겸(인주)
| 변한국대부인 최씨
| -
| 인종의 1비이자 이모, 왕비가 된 후 연덕궁주로 책봉, 이자겸의 난 이후 폐위, 언니 문경태후, 여동생 복창원주(폐비 이씨)
|
폐비 이씨 廢妃 李氏
| ?
| 1195.11.25.
| -
| 인종의 2비이자 이모, 왕비가 된 후 복창원주로 책봉, 이자겸의 난 이후 폐위, 언니 문경태후·연덕궁주(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恭睿太后 任氏
| 1109.9.7
| 1183
| 정안후 임원후(장흥)
| 수평 이씨
| 순릉(純陵)
| 인종의 3비, 의종·명종·신종의 모후, 딸 창락궁주, 조카 장선왕후
|
선평왕후 김씨 宣平王后 金氏
| ?
| 1179
| 병부상서 김선
| -
| -
| 인종의 4비
|
의종(毅宗)
| 장경왕후 김씨[28] 莊敬王后 金氏
| ?
| ?
| 강릉공 왕온[29]
| -
| -
| 의종의 1비, 동생 광정태후·선정태후
|
장선왕후 최씨 莊宣王后 崔氏
| ?
| ?
| 참지정사 최단(직산)
| 장흥 임씨[30]
| -
| 의종의 2비, 공예태후는 시어머니이자 이모
|
명종(明宗)
| 광정태후 김씨[31] 光靖太后 金氏
| ?
| ?
| 강릉공 왕온
| -
| 지릉(智陵)
| 강종의 모후, 언니 장경왕후, 동생 선정태후, 딸 연희궁주
|
신종(神宗)
| 선정태후 김씨[32] 宣靖太后 金氏
| ?
| 1222
| 강릉공 왕온
| -
| 진릉(眞陵)
| 희종의 모후, 언니 장경왕후·광정태후
|
희종(熙宗)
| 성평왕후 임씨[33] 성과 본관은 모계(외증조모 공예태후 임씨)를 따름 成平王后 林氏
| ?
| 1247
| 숙의후 왕진[34]
| 연희궁주 왕씨
| -
| 희종과는 5촌, 딸 안혜태후·가순궁주
|
강종(康宗)
| 사평왕후 이씨 思平王后 李氏
| ?
| ?
| 이의방(전주)
| 최씨
| -
| 강종의 1비
|
원덕태후 유씨[35] 종종 왕과 결혼한 왕족 출신의 왕비가 성을 유씨로 바꾼 경우가 있는데, 이유가 불명이다. 元德太后 柳氏
| ?
| 1239
| 신안후 왕성[36] 정간왕의 4대손으로, 숙의후 왕진의 아버지. 승화후의 증조부.
| 창락궁주 왕씨
| 곤릉(坤陵)
| 강종의 2비, 고종의 모후
|
고종(高宗)
| 안혜태후 유씨[37] 종종 왕과 결혼한 왕족 출신의 왕비가 성을 유씨로 바꾼 경우가 있는데, 이유가 불명이다. 安惠太后 柳氏
| ?
| 1232
| 희종 왕영
| 성평왕후 임씨
| -
| 원종의 모후, 조카 경창궁주, 강종은 시아버지이자 당숙
|
원종(元宗)
| 순경태후 김씨 順敬太后 金氏
| ?
| 1236
| 장익공 김약선(경주)
| 우봉 최씨[38] 짐작이 가겠지만 최충헌의 가문이다. 즉, 원종의 장모가 최우의 딸이다.
| 가릉(嘉陵)
| 원종의 1비, 충렬왕의 모후
|
경창궁주 유씨[39] 종종 왕과 결혼한 왕족 출신의 왕비가 성을 유씨로 바꾼 경우가 있는데, 이유가 불명이다. 慶昌宮主 柳氏
| ?
| ?
| 신안공 왕전[40]
| 가순궁주 왕씨
| -
| 원종의 2비, 안혜태후는 시어머니이자 이모
|
충렬왕(忠烈王)
| 제국대장공주 보르지긴씨 齊國大長公主 孛儿支斤氏
| 1259.6.28.
| 1297.5.21
| 원 세조 쿠빌라이
| 아속진가돈
| 고릉(高陵)
| 충렬왕의 1비, 충선왕의 모후
|
정화궁주 왕씨 貞和宮主 王氏
| ?
| 1319
| 시안공 왕인[41]
| -
| -
| 충렬왕의 2비, 조카 정비(靜妃), 심왕 왕고의 할머니, 공양왕의 외고조모
|
충선왕(忠宣王)
| 계국대장공주 보르지긴씨 薊國大長公主 孛儿支斤氏
| ?
| 1315
| 원 현종 카말라
| -
| -
| 충선왕의 1비, 원 진종의 누나[42] 원 진종과 계국대장공주가 쿠빌라이 칸의 증손이고 충선왕은 쿠빌라이의 외손자이므로, 충선왕 입장에서는 조카뻘인 여인과 결혼한 셈.(5촌조카)
|
의비 懿妃
| ?
| 1316
| -
| -
| -
| 충선왕의 2비, 충숙왕의 모후, 원나라 사람으로 추정[43] 원나라 황족은 아닌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신분은 알 수 없다. 이름은 야속진(也速眞).
|
정비 왕씨 靜妃 王氏
| ?
| 1345
| 변한국영헌공 왕영[44] 시안공 왕인의 아들. 보통 생전 작위인 서원후로 알려져 있다. 고손자 공양왕이 변한국영헌공으로 추존.
| 변한국순안비 황보씨
| -
| 충선왕의 3비, 고모 정화궁주
|
조비 趙妃
| ?
| ?
| 평양군 조인규(평양)[45]
| -
| -
| 충선왕의 4비
|
충숙왕(忠肅王)
| 복국장공주 보르지긴씨 濮國長公主 孛儿支斤氏
| ?
| 1319.9.26.
| 원 영왕 에센티무르[46] 쿠빌라이 칸의 6남 후게치의 아들. 그래서 충숙왕과 복국장공주는 6촌지간이다. 충숙왕의 할머니인 제국대장공주와 복국장공주의 할아버지인 후게치가 남매지간이므로.
| -
| -
| 충숙왕의 1비
|
조국장공주 보르지긴씨 曹國長公主 孛儿支斤氏
| 1308
| 1325.10.20
| 원 위왕 에무게[47] 원무종과 원인종의 이복형. 위왕 베이르테무르의 아버지. 그래서 조국장공주는 쿠빌라이 칸의 고손녀이고 충숙왕은 쿠빌라이 칸의 4대손(증손)뻘이라서, 충숙왕 입장에서는 7촌조카와 결혼한 셈. 참고로 복국장공주와 조국장공주도 서로 7촌간이다.
| -
| -
| 충숙왕의 2비, 조카 노국대장공주
|
경화공주 慶華公主
| ?
| 1344.6
| -
| -
| -
| 충숙왕의 3비, 원나라 귀족으로 추정[48] 이름은 백안홀도(伯顔忽都). 의비처럼 가족에 대한 기록이 없다. 일단 원나라에 백안(伯顔)이라는 귀족 가문이 있는데, 그녀의 이름인 '伯顔忽都' 내에 성씨가 없을 가능성도 있어 학계에선 백안 가문의 일원으로 확정하기보다는, 귀족이었을 거라고 추정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
공원왕후 홍씨 恭元王后 洪氏
| 1298.7.18.
| 1380.1
| 남양부원군 홍규(남양)
| -
| 영릉(令陵)
| 충숙왕의 4비, 충혜왕·공민왕의 모후
|
충혜왕(忠惠王)
| 덕녕공주 보르지긴씨 德寧公主 孛儿支斤氏
| ?
| 1375
| 원 진서무정왕 초스발
| -
| 경릉(頃陵)
| 충혜왕의 1비, 충목왕의 모후
|
희비 윤씨 禧妃 尹氏
| ?
| 1380
| 찬성사 윤계종(파평)[49]
| 여흥 민씨
| -
| 충혜왕의 2비, 충정왕의 모후
|
충목왕(忠穆王)
| -
| -
| -
| -
| -
| -
| -
|
충정왕(忠定王)
| -
| -
| -
| -
| -
| -
| -
|
공민왕(恭愍王)
| 노국대장공주 보르지긴씨 魯國大長公主 孛儿支斤氏
| ?
| 1365.2.16
| 원 위왕 베이르테무르
| -
| 정릉(正陵)
| 공민왕의 1비, 고모 조국장공주, 마지막 원나라 출신 왕비[50] 동시에 한국사에서 등장하는 마지막 외국계 왕비이다. 참고로 마지막 외국계 황태자비는 이방자 여사.
|
혜비 이씨 惠妃 李氏
| ?
| 1408
| 계림부원군 이제현(경주)
| 수춘국부인 박씨
| -
| 공민왕의 2비
|
익비 한씨[51] 본래 왕씨이나, 공민왕과 혼인한 후 한씨 성을 받았다. 益妃 韓氏
| ?
| ?
| 덕풍군 왕의[52]
| -
| -
| 공민왕의 3비
|
정비 안씨 定妃 安氏
| ?
| 1428
| 죽성군 안극인(죽산)
| -
| -
| 공민왕의 4비, 조카 현비(賢妃)
|
신비 염씨 愼妃 廉氏
| ?
| ?
| 곡성부원군 염제신(서원)
| 진한국대부인 권씨
| -
| 공민왕의 5비, 염흥방의 누이
|
순정왕후 한씨 順靜王后 韓氏
| ?
| ?[53] 보통 1376년에 사망한 걸로 알려져 있는데, 봉은사에 있던 그녀의 묘를 의릉(懿陵)으로 1376년에 이장했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있으므로 1376년 이전에 사망한 게 된다.
| 면양부원대군 한준(면천)
| 한씨
| 의릉(懿陵)
| 공민왕의 6비, 우왕의 양모[54] 고려 왕비들의 서열은 일반적으로 고려사 내용이 기준이다. 그런데 우왕과 창왕은 신돈의 후손이라 하여 다른 왕들과 달리 고려사 세가에 실리지 않았으며, 순정왕후는 우왕의 어머니로서 왕후로 추존되었기 때문에 고려사 열전의 공민왕후비 편에 나오지 않는다. 추존 왕후가 되면서 서열이 올라가 2비가 되었을 테니 그렇게 설명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이런 사정 때문에 순정왕후를 6비라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
우왕(禑王)
| 근비 이씨 謹妃 李氏
| ?
| ?
| 철성부원군 이림(고성)[55]
| 변한국부인 홍씨
| -
| 우왕의 1비, 창왕의 모후, 이인임의 족질녀
|
영비 최씨 寧妃 崔氏
| ?
| 1380
| 문하시중 최영(동주)
| 은씨[56]
| -
| 우왕의 2비
|
현비 안씨 賢妃 安氏
| ?
| ?
| 판서 안숙로(죽산)[57]
| -
| -
| 우왕의 9비, 고모 정비(定妃)
|
창왕(昌王)
| -
| -
| -
| -
| -
| -
| -
|
공양왕(恭讓王)
| 순비 노씨 順妃 盧氏
| ?
| 1394
| 제효공 노진(교하)[58]
| 명의비 홍씨
| -
| 고려의 마지막 왕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