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정치

 


1. 국회의원 목록
2. 최근 선거 결과
2.1. 총선
2.1.1. 지난 총선과의 비교
2.2. 지선
2.3. 대선
2.3.1. 지난 대선과의 비교
3. 개요
4. 역대 서울 선거 결과


1. 국회의원 목록




2. 최근 선거 결과



2.1. 총선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구별)'''
'''국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의석수/비례1위'''
'''41석'''
8석
17개[1]
8개[2]
-
-
-
'''득표수
(득표율)'''
'''3,049,272
(53.53%)'''

'''2,386,630
(41.89%)'''
'''1,846,902
(33.20%)'''

'''1,841,544
(33.10%)'''
'''541,583
(9.73%)'''
'''459,479
(8.26%)'''
'''327,109
(5.88%)'''
'''종로구'''
58.38%
39.97%
32.81%
33.30%
9.75%
7.70%
6.51%
'''중구'''[3]
53.72%
45.42%
33.40%
33.23%
9.40%
8.39%
5.85%
'''용산구'''
47.14%
47.80%
28.55%
38.19%
9.63%
8.09%
5.66%
'''성동구'''
52.85%
43.37%
32.65%
34.01%
10.14%
8.63%
5.74%
'''광진구'''
52.00%
44.25%
34.93%
31.61%
9.93%
7.70%
5.84%
'''동대문구'''
53.65%
42.82%
34.22%
32.20%
9.34%
7.98%
5.52%
'''중랑구'''
58.62%
37.29%
36.85%
30.93%
9.35%
6.62%
5.38%
'''성북구'''
60.18%
37.30%
35.76%
29.57%
10.17%
8.04%
6.05%
'''강북구'''
'''61.15%'''
37.06%
'''38.20%'''
28.94%
9.29%
6.90%
5.60%
'''도봉구'''
53.50%
43.11%
35.17%
31.73%
10.38%
7.26%
5.62%
'''노원구'''
57.72%
39.80%
34.87%
29.60%
10.53%
8.74%
6.16%
'''은평구'''
60.81%
35.10%
37.21%
28.24%
10.99%
7.34%
6.29%
'''서대문구'''
57.39%
39.61%
34.28%
30.19%
10.67%
8.36%
6.28%
'''마포구'''
54.70%
39.39%
32.85%
30.26%
'''12.23%'''
9.01%
'''6.64%'''
'''양천구'''
54.32%
43.36%
33.90%
32.75%
9.54%
8.64%
6.14%
'''강서구'''
57.26%
39.18%
36.02%
29.95%
9.89%
7.99%
6.14%
'''구로구'''
55.21%
38.65%[4]
35.55%
30.92%
10.46%
7.40%
5.65%
'''금천구'''
49.63%[5]
35.47%
37.58%
29.44%
8.94%
7.13%
5.50%
'''영등포구'''
53.73%
40.83%[6]
32.33%
33.50%
10.29%
8.69%
5.81%
'''동작구'''
53.78%
43.92%
33.71%
31.98%
10.26%
8.55%
5.98%
'''관악구'''
54.96%
19.77%[7]
36.91%
26.12%
10.31%
8.71%
6.00%
'''서초구'''
41.31%
57.74%
23.38%
45.41%
7.40%
'''9.57%'''
5.78%
'''강남구'''
39.73%
'''58.40%'''
22.30%
'''47.46%'''
6.86%
9.32%
5.32%
'''송파구'''
48.97%
47.99%[8]
29.63%
37.86%
8.88%
8.94%
5.65%
'''강동구'''
52.74%
45.38%
32.66%
34.42%
9.58%
8.28%
5.80%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지역구별)'''
'''국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의석수/비례1위'''
'''41석'''
8석
30개[9]
19개[10]
-
-
-
'''득표수
(득표율)'''
'''3,049,272
(53.53%)'''

'''2,386,630
(41.89%)'''
'''1,846,902
(33.20%)'''

'''1,841,544
(33.10%)'''
'''541,583
(9.73%)'''
'''459,479
(8.26%)'''
'''327,109
(5.88%)'''
'''종로구'''
54,902
(58.38%)

37,594
(39.97%)
32.81%
33.30%
9.75%
7.70%
6.51%
'''중구·성동구 갑'''
70,387
(54.25%)

53,107
(40.93%)
33.47%
32.76%
10.62%
8.53%
5.69%
'''중구·성동구 을'''
64,071
(51.96%)

58,300
(47.27%)
32.28%
34.82%
9.15%
8.58%
5.87%
'''용산구'''
63,001
(47.14%)
63,891
(47.80%)

28.55%
38.19%
9.63%
8.09%
5.66%
'''광진구 갑'''
56,608
(53.68%)

42,822
(40.60%)
35.22%
31.50%
10.33%
7.21%
5.78%
'''광진구 을'''
54,210
(50.37%)

51,464
(47.82%)
33.98%
33.32%
9.15%
8.15%
5.43%
'''동대문구 갑'''
51,551
(52.72%)

40,874
(41.80%)
32.47%
33.85%
9.07%
8.04%
5.08%
'''동대문구 을'''
55,230
(54.54%)

44,360
(43.81%)
35.08%
32.59%
9.09%
7.84%
5.43%
'''중랑구 갑'''
55,185
(57.76%)

34,670
(36.28%)
37.42%
31.40%
9.34%
6.10%
5.00%
'''중랑구 을'''
74,131
(59.28%)

47,603
(38.07%)
36.03%
32.07%
8.99%
6.92%
5.20%
'''성북구 갑'''
82,954
(60.90%)

49,727
(36.50%)
34.98%
30.03%
10.39%
8.32%
6.14%
'''성북구 을'''
70,740
(59.35%)

45,543
(38.21%)
36.00%
30.82%
9.42%
7.81%
5.30%
'''강북구 갑'''
49,490
(57.75%)

33,840
(39.49%)
36.67%
31.22%
8.93%
6.53%
5.01%
'''강북구 을'''
'''57,013
(64.45%)'''

30,708
(34.71%)
'''39.14%'''
28.40%
9.30%
7.24%
5.54%
'''도봉구 갑'''
50,653
(54.02%)

37,967
(40.49%)
34.95%
31.71%
11.01%
7.50%
5.44%
'''도봉구 을'''
51,756
(53.01%)

44,554
(45.63%)
34.81%
33.51%
9.37%
6.99%
5.19%
'''노원구 갑'''
53,911
(56.78%)

36,782
(38.74%)
34.14%
31.42%
9.30%
7.91%
5.79%
'''노원구 을'''
71,708
(62.67%)

41,792
(36.52%)
35.31%
28.92%
10.95%
9.50%
6.31%
'''노원구 병'''
55,556
(53.15%)

46,373
(44.36%)
34.37%
30.67%
10.62%
8.77%
5.64%
'''은평구 갑'''
86,351
(64.29%)

45,589
(33.94%)

38.21%
28.55%
9.89%
7.15%
5.96%
'''은평구 을'''
78,897
(57.41%)

49,796
(36.23%)
35.65%
29.51%
11.68%
7.56%
6.07%
'''서대문구 갑'''
47,980
(53.24%)

37,522
(41.64%)
31.89%
32.43%
10.37%
8.90%
5.91%
'''서대문구 을'''
58,328
(61.33%)

35,853
(37.69%)
35.60%
29.89%
10.43%
8.06%
6.03%
'''마포구 갑'''
53,160
(55.99%)

40,775
(42.95%)
30.92%
34.15%
10.29%
10.10%
6.00%
'''마포구 을'''
69,336
(53.75%)

47,443
(36.78%)
33.62%
28.59%
'''13.37%'''
8.39%
'''6.69%'''
'''양천구 갑'''
78,196
(51.85%)

67,814
(44.96%)
30.15%
35.67%
9.81%
10.07%
6.27%
'''양천구 을'''
66,759
(57.53%)

47,897
(41.28%)
38.01%
30.58%
8.85%
6.91%
5.42%
'''강서구 갑'''
63,397
(55.89%)

43,519
(38.37%)
37.23%
29.73%
9.63%
7.72%
5.91%
'''강서구 을'''
66,684
(56.15%)

50,281
(42.33%)
34.34%
32.21%
9.50%
8.00%
5.77%
'''강서구 병'''
64,515
(59.92%)

39,355
(36.55%)
35.51%
29.93%
10.20%
8.30%
6.02%
'''구로구 갑'''
75,865
(53.92%)

55,347
(39.34%)
34.58%
32.38%
10.89%
6.68%
5.12%
'''구로구 을'''
56,065
(53.92%)

37,018
(37.66%)[11]
36.14%
30.63%
9.44%
8.46%
5.84%
'''금천구'''
64,735
(49.63%)[12]

46,278
(35.47%)
37.58%
29.44%
8.94%
7.13%
5.50%
'''영등포구 갑'''
72,445
(56.26%)

49,292
(38.28%)
32.84%
31.95%
11.50%
9.17%
5.98%
'''영등포구 을'''
47,075
(50.26%)

41,537
(44.35%)[13]
30.51%
37.83%
8.16%
8.10%
4.98%
'''동작구 갑'''
70,290
(55.29%)

54,526
(42.89%)
34.38%
31.63%
9.64%
8.59%
5.78%
'''동작구 을'''
61,407
(52.16%)

53,026
(45.04%)
32.14%
34.26%
10.41%
8.58%
5.63%
'''관악구 갑'''
83,479
(55.92%)

-[14]
36.49%
24.85%
11.11%
9.74%
6.01%
'''관악구 을'''
72,531
(53.90%)

56,130
(41.71%)
36.83%
29.20%
8.86%
7.59%
5.40%
'''서초구 갑'''
42,971
(36.90%)
72,896
(62.60%)

20.39%
49.67%
7.00%
10.00%
5.24%
'''서초구 을'''
62,442
(45.01%)
74,445
(53.66%)

24.47%
43.76%
7.41%
9.46%
5.70%
'''강남구 갑'''
40,935
(39.63%)
60,324
(58.40%)

20.87%
50.27%
6.25%
8.77%
4.82%
'''강남구 을'''
47,157
(46.41%)
51,762
(50.94%)

26.05%
41.83%
7.76%
9.29%
5.51%
'''강남구 병'''
36,423
(33.57%)

'''70,917
(65.38%)'''

18.08%
'''53.19%'''
6.15%
'''10.15%'''
4.69%
'''송파구 갑'''
54,704
(48.02%)
58,318
(51.20%)

28.68%
39.56%
8.43%
9.44%
5.47%
'''송파구 을'''
65,763
(46.04%)
72,072
(50.46%)

27.10%
41.64%
9.04%
9.40%
5.38%
'''송파구 병'''
78,789
(52.48%)

64,869
(43.21%)[15]
31.64%
35.06%
8.64%
8.26%
5.51%
'''강동구 갑'''
80,361
(51.50%)

74,441
(47.70%)
31.11%
35.94%
9.26%
9.07%
5.82%
'''강동구 을'''
59,175
(54.54%)

45,617
(42.04%)
33.85%
34.21%
9.65%
7.23%
5.20%

2.1.1. 지난 총선과의 비교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민생당, 열린민주당)
'''중도''' (국민의당)
'''범보수''' (새누리당,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선거'''
'''20대 총선'''[16]
'''21대 총선'''[17]
'''증감률'''
'''20대 총선'''[18]
'''20대 총선'''[19]
'''21대 총선'''[20]
'''증감률'''
'''격차'''
'''득표율'''
'''1,701,173
(34.44%)'''

'''2,851,028
(51.25%)'''

'''+ 1,149,855
{△16.81}'''
'''1,424,383
(28.83%)'''
'''1,522,417
(30.82%)'''
'''2,301,023
(41.36%)'''
'''+ 778,606
{△10.54}'''
'''550,005
(+ 9.89%)'''
'''종로구'''
36.69%
51.46%
△14.77
25.10%
32.39%
41.00%
△8.60
+ 10.46
'''중구'''[21]
29.14%
50.94%
△21.80
33.11%
32.75%
41.62%
△8.87
+ 9.32
'''용산구'''
32.44%
46.29%
△13.84
26.80%
34.99%
46.28%
△11.29
+ 0.00
'''성동구'''[22]
35.04%
50.79%
△15.75
28.78%
31.35%
42.64%
△11.29
+ 8.15
'''광진구'''
35.30%
53.41%
△18.11
29.34%
29.89%
39.31%
△9.42
+ 14.10
'''동대문구'''
34.92%
52.24%
△17.32
27.65%
32.06%
40.18%
△8.12
+ 12.05
'''중랑구'''
34.56%
54.46%
△19.89
28.01%
31.17%
37.55%
△6.38
+ 16.91
'''성북구'''
35.80%
54.67%
△18.87
29.05%
29.03%
37.61%
△8.58
+ 17.06
'''강북구'''
33.90%
55.71%
'''△21.81'''
28.93%
31.16%
35.85%
△4.69
+ 19.86
'''도봉구'''
33.14%
53.59%
△20.44
29.28%
32.26%
39.00%
△6.73
+ 14.59
'''노원구'''
32.42%
53.92%
△21.50
'''33.78%'''
28.27%
38.35%
△10.08
+ 15.57
'''은평구'''
36.64%
56.98%
△20.34
28.58%
27.22%
35.59%
△8.37
+ 21.39
'''서대문구'''
37.57%
53.63%
△16.06
25.70%
29.92%
38.55%
△8.62
+ 15.08
'''마포구'''
'''39.07%'''
53.68%
△14.61
26.38%
27.83%
39.28%
△11.45
+ 14.40
'''양천구'''
34.85%
51.77%
△16.92
29.38%
29.80%
41.40%
△11.60
+ 10.37
'''강서구'''
35.50%
54.38%
△18.88
28.28%
29.66%
37.94%
△8.28
+ 16.44
'''구로구'''
37.10%
54.02%
△16.92
26.73%
29.20%
38.32%
△9.12
+ 15.69
'''금천구'''
33.67%
54.92%
△21.25
30.28%
29.29%
36.57%
△7.28
+ 18.35
'''영등포구'''
34.90%
51.10%
△16.21
28.20%
31.61%
42.20%
△10.59
+ 8.90
'''동작구'''
34.23%
52.18%
△17.95
30.15%
29.63%
40.53%
△10.90
+ 11.65
'''관악구'''
36.95%
'''56.74%'''
△19.79
31.14%
25.66%
34.83%
△9.17
'''+ 21.91'''
'''서초구'''
30.21%
38.27%
△8.06
28.14%
36.52%
54.98%
△18.46
- 16.71
'''강남구'''
29.88%
36.34%
△6.46
27.08%
'''38.17%'''
'''56.78%'''
'''△18.60'''
'''- 20.43'''
'''송파구'''
32.94%
46.91%
△13.97
29.24%
32.52%
46.80%
△14.28
+ 0.11
'''강동구'''
33.01%
50.27%
△17.26
29.12%
32.31%
42.71%
△10.40
+ 7.56
'''20대 총선'''
'''21대 총선'''
정당
'''범진보'''[23]
'''중도'''[24]
'''범보수'''[25]
'''격차'''
정당
'''범진보'''[26]
'''범보수'''[27]
'''격차'''
'''강북권'''[28]
34.99%
28.83%
30.20%
+4.79
강북권
53.48%
38.98%
+14.50
'''강남권'''[29]
33.93%
28.85%
31.41%
+2.52
강남권
49.22%
43.54%
+ 5.67
정당
'''범진보'''[30]
'''중도'''[31]
'''범보수'''[32]
'''격차'''
정당
'''범진보'''[33]
'''범보수'''[34]
'''격차'''
'''강남3구+용산'''[35]
31.36%
28.06%
35.39%
- 4.03
강남3구+용산
41.72%
51.45%
- 9.73
'''기타'''[36]
35.14%
29.01%
29.78%
+ 5.36
기타
53.56%
38.91%
+ 14.65

2.2. 지선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서울특별시장'''
'''구청장'''
'''정당'''



'''정당'''


'''후보'''
'''박원순'''
김문수
안철수
'''의석수 '''
'''24석'''
1석
'''득표수
(득표율)'''
'''2,619,497
(52.79%)'''

'''1,158,487
(23.34%)'''
'''970,374
(19.55%)'''
'''득표수
(득표율)'''
'''2,975,837
(60.32%)'''

'''1,407,993
(28.54%)'''
'''종로구'''
51.37%
23.44%
19.90%
'''종로구'''
64.37%
24.62%
'''중구'''
52.28%
23.84%
19.56%
'''중구'''
51.36%
35.15%
'''용산구'''
47.06%
27.09%
20.99%
'''용산구'''
57.93%
33.46%
'''성동구'''
53.96%
22.37%
19.49%
'''성동구'''
'''69.46%'''
22.19%
'''광진구'''
55.70%
21.64%
18.11%
'''광진구'''
65.92%
25.63%
'''동대문구'''
53.44%
23.32%
19.02%
'''동대문구'''
64.47%
25.85%
'''중랑구'''
55.71%
23.39%
17.16%
'''중랑구'''
61.86%
38.13%
'''성북구'''
54.62%
21.53%
19.18%
'''성북구'''
64.32%
24.70%
'''강북구'''
55.74%
21.77%
18.27%
'''강북구'''
64.57%
23.60%
'''도봉구'''
53.71%
22.78%
19.40%
'''도봉구'''
66.87%
33.12%
'''노원구'''
53.88%
19.47%
22.24%
'''노원구'''
64.94%
23.39%
'''은평구'''
55.77%
20.84%
18.70%
'''은평구'''
66.55%
23.17%
'''서대문구'''
54.05%
21.32%
19.45%
'''서대문구'''
67.34%
24.77%
'''마포구'''
54.26%
20.61%
19.06%
'''마포구'''
57.72%
23.09%
'''양천구'''
53.18%
22.77%
19.93%
'''양천구'''
61.02%
23.83%
'''강서구'''
56.16%
21.52%
18.00%
'''강서구'''
61.57%
25.75%
'''구로구'''
54.51%
23.46%
18.09%
'''구로구'''
63.16%
28.10%
'''금천구'''
56.06%
21.81%
18.29%
'''금천구'''
63.37%
27.04%
'''영등포구'''
52.10%
24.09%
19.59%
'''영등포구'''
51.84%
25.37%
'''동작구'''
54.31%
21.85%
19.55%
'''동작구'''
61.52%
21.62%
'''관악구'''
'''58.02%'''
18.19%
18.79%
'''관악구'''[37]
58.93%
16.76%
'''서초구'''
42.86%
31.06%
'''22.43%'''
'''서초구'''
41.06%
'''52.38%'''
'''강남구'''
40.82%
'''33.07%'''
22.34%
'''강남구'''
46.08%
40.78%
'''송파구'''
49.61%
26.06%
20.63%
'''송파구'''
57.04%
37.39%
'''강동구'''
52.74%
24.98%
18.45%
'''강동구'''
62.71%
29.92%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광역의원)'''
'''시의회의원'''
'''비례대표'''
'''정당'''








'''의석수'''
'''102석'''
6석
1석
1석
'''2,523,110
(50.92%)'''

'''1,250,856
(25.24%)'''
'''569,224
(11.48%)'''
'''480,371
(9.69%)'''
'''종로구'''
2
0
0
0
48.62%
25.27%
11.87%
10.86%
'''중구'''
2
0
0
0
49.74%
26.63%
9.55%
8.43%
'''용산구'''
2
0
0
0
45.72%
29.47%
12.14%
10.00%
'''성동구'''
4
0
0
0
52.79%
24.43%
11.05%
9.18%
'''광진구'''
4
0
0
0
53.86%
23.33%
10.61%
9.51%
'''동대문구'''
4
0
0
0
52.11%
25.48%
10.65%
8.98%
'''중랑구'''
4
0
0
0
55.11%
25.43%
9.25%
7.63%
'''성북구'''
4
0
0
0
52.42%
22.83%
11.36%
10.56%
'''강북구'''
4
0
0
0
54.57%
23.40%
10.32%
8.83%
'''도봉구'''
4
0
0
0
52.35%
25.09%
10.32%
9.47%
'''노원구'''
'''6'''
0
0
0
51.87%
21.20%
13.13%
11.00%
'''은평구'''
4
0
0
0
53.90%
22.10%
10.75%
10.45%
'''서대문구'''
4
0
0
0
51.83%
22.85%
11.32%
10.93%
'''마포구'''
4
0
0
0
50.15%
21.97%
11.37%
'''13.25%'''
'''양천구'''
4
0
0
0
50.84%
24.28%
12.05%
10.50%
'''강서구'''
'''6'''
0
0
0
54.25%
23.12%
10.07%
10.13%
'''구로구'''
4
0
0
0
52.28%
25.01%
10.36%
9.74%
'''금천구'''
2
0
0
0
'''55.77%'''
23.40%
10.17%
7.92%
'''영등포구'''
4
0
0
0
50.14%
25.86%
11.67%
9.73%
'''동작구'''
4
0
0
0
51.91%
23.27%
12.43%
9.96%
'''관악구'''
4
0
0
0
54.99%
18.99%
12.15%
10.80%
'''서초구'''
4
0
0
0
40.95%
34.79%
13.85%
8.31%
'''강남구'''
3
'''3'''
0
0
39.05%
'''36.61%'''
'''13.86%'''
8.05%
'''송파구'''
'''6'''
0
0
0
48.49%
28.46%
12.43%
8.47%
'''강동구'''
4
0
0
0
51.60%
26.82%
10.43%
8.84%
'''지역구 합'''
'''97석'''
'''3석'''
'''0'''
'''0'''
'''5석'''
'''3석'''
'''1석'''
'''1석'''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구의회의원'''
'''교육감'''
'''정당'''





'''조희연'''
조영달
박선영
'''의석수'''
'''249석'''
157석
9석
5석
3석
'''2,271,413
(46.58%)'''

'''841,599
(17.26%)'''
'''1,762,658
(36.15%)'''
'''종로구'''
'''7'''
'''2'''
0
0
0
49.34%
15.91%
34.73%
'''중구'''
'''4'''
'''4'''
0
0
0
45.04%
17.73%
37.22%
'''용산구'''
'''5'''
'''5'''
0
'''1'''
0
44.84%
15.98%
39.16%
'''성동구'''
'''8'''
'''4'''
0
0
0
46.26%
18.45%
35.28%
'''광진구'''
'''8'''
'''4'''
0
0
0
47.40%
17.09%
35.50%
'''동대문구'''
'''9'''
'''7'''
0
0
0
47.30%
17.71%
34.97%
'''중랑구'''
'''8'''
'''7'''
0
0
0
47.60%
16.95%
35.43%
'''성북구'''
'''12'''
'''7'''
0
0
0
48.50%
18.01%
33.47%
'''강북구'''
'''8'''
'''3'''
0
0
'''1'''
49.03%
16.03%
34.92%
'''도봉구'''
'''7'''
'''5'''
0
0
0
48.03%
18.48%
33.48%
'''노원구'''
'''11'''
'''6'''
0
'''1'''
0
49.05%
17.38%
33.55%
'''은평구'''
'''14'''
'''3'''
0
0
0
'''50.55%'''
15.34%
34.10%
'''서대문구'''
'''8'''
'''3'''
'''1'''
'''1'''
0
48.72%
16.56%
34.71%
'''마포구'''
'''8'''
'''8'''
0
0
0
49.87%
18.17%
31.94%
'''양천구'''
'''9'''
'''7'''
0
0
0
47.01%
16.23%
36.75%
'''강서구'''
'''12'''
'''7'''
0
0
0
46.83%
18.17%
34.98%
'''구로구'''
'''7'''
'''6'''
0
'''1'''
0
47.73%
17.13%
35.13%
'''금천구'''
'''5'''
'''3'''
'''1'''
0
0
46.65%
'''18.75%'''
34.58%
'''영등포구'''
'''8'''
'''5'''
0
0
'''2'''
46.08%
17.06%
36.84%
'''동작구'''
'''9'''
'''6'''
0
0
0
49.23%
17.36%
33.39%
'''관악구'''
'''13'''
'''1'''
'''4'''
'''1'''
0
49.03%
18.11%
32.84%
'''서초구'''
'''6'''
'''6'''
'''1'''
0
0
39.74%
16.50%
43.74%
'''강남구'''
'''10'''
'''9'''
'''1'''
0
0
36.51%
17.16%
'''46.31%'''
'''송파구'''
'''13'''
'''10'''
0
0
0
43.03%
16.51%
40.44%
'''강동구'''
'''10'''
'''6'''
0
0
0
46.15%
18.53%
35.31%
'''지역구 합'''
'''219석'''
'''134석'''
'''8석'''
'''5석'''
'''3석'''
'''비례표'''
'''30석'''
23석
1석
0
0

2.3. 대선


'''서울특별시 개표 결과'''
'''정당'''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2,781,345
(42.34%)'''

'''1,365,285
(20.78%)'''
'''1,492,767
(22.72%)'''
'''476,973
(7.26%)'''
'''425,459
(6.47%)'''
'''종로구'''
41.59%
21.84%
21.83%
7.25%
6.95%
'''중구'''
41.23%
21.67%
23.45%
7.11%
6.04%
'''용산구'''
39.33%
23.85%
21.74%
8.00%
6.61%
'''성동구'''
42.80%
20.03%
22.55%
7.83%
6.38%
'''광진구'''
44.10%
19.38%
22.08%
7.15%
6.91%
'''동대문구'''
42.06%
21.94%
22.68%
6.43%
6.42%
'''중랑구'''
42.09%
21.35%
23.71%
6.04%
6.35%
'''성북구'''
43.82%
19.52%
22.55%
6.72%
6.95%
'''강북구'''
42.70%
20.13%
24.61%
5.65%
6.42%
'''도봉구'''
41.55%
20.78%
24.34%
6.34%
6.53%
'''노원구'''
42.41%
18.12%
'''25.83%'''
6.66%
6.56%
'''은평구'''
44.34%
19.01%
22.96%
6.15%
6.94%
'''서대문구'''
44.36%
19.16%
21.87%
7.00%
7.17%
'''마포구'''
'''45.79%'''
18.16%
20.50%
7.43%
'''7.72%'''
'''양천구'''
43.18%
19.62%
23.17%
7.41%
6.22%
'''강서구'''
44.43%
19.35%
22.26%
6.95%
6.56%
'''구로구'''
43.59%
21.31%
22.22%
6.17%
6.27%
'''금천구'''
43.65%
20.13%
23.75%
5.72%
6.27%
'''영등포구'''
42.67%
21.61%
21.77%
7.30%
6.22%
'''동작구'''
44.12%
19.73%
21.86%
7.46%
6.44%
'''관악구'''
45.67%
17.11%
22.71%
6.81%
7.22%
'''서초구'''
36.43%
25.63%
21.90%
'''10.00%'''
5.67%
'''강남구'''
35.36%
'''26.78%'''
21.99%
9.92%
5.56%
'''송파구'''
40.30%
22.40%
22.50%
8.51%
5.92%
'''강동구'''
41.31%
22.22%
22.76%
7.24%
6.05%

문재인 득표율 TOP10 [동 단위]

◎ 1위 관악구 신림동 (51.24%), 2위 구로구 구로3동 (51.01%), 3위 금천구 가산동 (48.81%), 4위 마포구 상암동 (48.01%), 5위 마포구 연남동 (48.00%), 6위 관악구 중앙동 (47.49%), 7위 동대문구 회기동 (47.42%), 8위 관악구 낙성대동 (47.36%), 9위 광진구 화양동 (47.32%), 10위 관악구 인헌동 (47.08%)

문재인 득표율 LOW10 [동 단위]

◎ 1위 강남구 압구정동 (21.03%), 2위 강남구 도곡2동 (24.91%), 2위 송파구 잠실7동 (25.95%), 4위 용산구 서빙고동 (27.20%), 5위 강남구 대치1동 (27.62%), 6위 서초구 반포2동 (28.36%), 7위 강남구 신사동 (28.79%), 8위 서초구 서초4동 (29.09%), 9위 강남구 청담동 (29.47%), 8위 강남구 삼성1동 (30.55%)

안철수 득표율 TOP10 [동 단위]

◎ 1위 노원구 상계3·4동 (31.11%), 2위 노원구 상계5동 (30.44%), 3위 노원구 상계1동 (29.93%), 4위 종로구 창신2동 (29.12%), 5위 노원구 상계2동 (28.86%), 6위 노원구 상계10동 (27.67%), 7위 종로구 창신1동 (27.40%), 8위 노원구 상계9동 (27.04%), 9위 노원구 중계4동 (26.98%), 10위 종로구 숭인1동 (26.91%)

안철수 득표율 LOW10 [동 단위]

◎ 1위 동대문구 회기동 (17.84%), 2위 관악구 신림동 (18.17%), 3위 마포구 연남동 (18.23%), 4위 서대문구 신촌동 (18.36%), 5위 광진구 화양동 (18.65%), 6위 마포구 서교동 (18.76%), 7위 종로구 삼청동 (19.15%), 8위 성북구 동선동 (19.21%), 9위 종로구 평창동 (19.25%), 10위 종로구 부암동 (19.29%)

홍준표 득표율 TOP10 [동 단위]

◎ 1위 강남구 압구정동 (41.93%), 2위 강남구 도곡2동 (36.16%), 3위 송파구 잠실7동 (36.07%), 4위 중구 을지로동 (35.26%), 5위 강남구 신사동 (34.43%), 6위 용산구 서빙고동 (33.76%), 7위 영등포구 여의동 (33.13%), 8위 강남구 청담동 (32.94%), 9위 서초구 서초4동 (32.11%), 10위 중구 회현동 (31.91%)

홍준표 득표율 LOW10 [동 단위]

◎ 1위 관악구 신림동 (13.22%), 2위 관악구 낙성대동 (13.86%), 3위 노원구 상계8동 (14.28%), 4위 관악구 중앙동 (14.43%), 5위 구로구 구로3동 (14.46%), 6위 노원구 중계1동 (14.51%), 7위 광진구 화양동 (15.19%), 8위 노원구 중계본동 (15.74%), 9위 관악구 인헌동 (15.86%), 10위 관악구 청룡동 (15.95%)


2.3.1. 지난 대선과의 비교


'''2012년 18대 대선 / 2017년 19대 대선 득표율 비교'''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중도''' (국민의당)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선거'''
'''18대 대선'''[38]
'''19대 대선'''[39]
'''증감률'''
'''19대 대선'''[40]
'''18대 대선'''[41]
'''19대 대선'''[42]
'''증감률'''
'''격차'''
'''득표율'''
'''3,227,639
(51.42%)'''
'''3,206,804
(48.81%)'''

'''- 20,835
{▼2.61}'''
'''1,492,767
(22.72%)'''
'''3,024,572
(48.18%)'''
'''1,842,258
(28.04%)'''
'''- 1,182,314
{▼20.14}'''
'''+ 20.77%'''
'''종로구'''
51.39%
48.55%
▼2.84
21.83%
48.15%
29.09%
▼19.06
+19.46
'''중구'''
50.77%
47.28%
▼3.49
23.45%
48.80%
28.78%
▼20.02
+18.50
'''용산구'''
47.28%
45.95%
▼1.33
21.74%
52.33%
31.86%
▼20.47
+14.09
'''성동구'''
51.59%
49.19%
▼2.40
22.55%
48.02%
27.86%
▼20.16
+21.33
'''광진구'''
53.26%
51.01%
▼2.25
22.08%
46.37%
26.53%
▼19.84
+24.48
'''동대문구'''
51.77%
48.48%
▼3.29
22.68%
47.81%
28.37%
▼19.44
+20.11
'''중랑구'''
51.45%
48.44%
▼3.01
23.71%
48.18%
27.40%
▼20.78
+21.04
'''성북구'''
53.87%
50.78%
▼3.09
22.55%
45.75%
26.24%
▼19.51
+24.54
'''강북구'''
53.91%
49.13%
▼4.78
24.61%
45.69%
25.79%
▼19.90
+23.34
'''도봉구'''
51.88%
48.08%
▼3.80
24.34%
47.72%
27.13%
▼20.59
+21.33
'''노원구'''
53.14%
48.98%
▼4.16
'''25.83%'''
46.46%
24.78%
▼21.68
+24.20
'''은평구'''
54.18%
51.28%
▼2.90
22.96%
45.39%
25.16%
▼20.23
'''+26.12'''
'''서대문구'''
54.04%
51.53%
▼2.51
21.87%
45.53%
26.16%
▼19.37
'''+25.37'''
'''마포구'''
55.34%
'''53.51%'''
▼1.83
20.50%
44.20%
25.60%
▼18.60
'''+27.91'''
'''양천구'''
51.92%
49.41%
▼2.51
23.17%
47.69%
27.03%
▼20.66
+22.38
'''강서구'''
53.06%
51.00%
▼2.06
22.26%
46.56%
26.31%
▼20.25
+24.69
'''구로구'''
53.65%
49.87%
▼3.78
22.22%
45.96%
27.48%
▼18.48
+22.39
'''금천구'''
54.44%
49.93%
▼4.51
23.75%
45.17%
25.85%
▼19.32
+24.08
'''영등포구'''
51.32%
48.89%
▼2.43
21.77%
48.26%
28.92%
▼19.34
+19.97
'''동작구'''
54.22%
50.57%
▼3.65
21.86%
45.37%
27.19%
▼18.18
+23.38
'''관악구'''
'''59.19%'''
52.90%
▼6.29
22.71%
40.38%
23.93%
▼16.45
'''+28.97'''
'''서초구'''
41.01%
42.10%
△1.09
21.90%
58.60%
35.64%
▼22.96
+6.46
'''강남구'''
39.46%
40.92%
△1.46
21.99%
'''60.14%'''
'''36.70%'''
▼23.44
'''+4.22'''
'''송파구'''
47.53%
46.23%
▼1.30
22.50%
52.09%
30.91%
▼21.18
+15.32
'''강동구'''
49.20%
47.37%
▼1.83
22.76%
50.42%
29.46%
▼20.96
+17.91
'''18대 대선'''
'''19대 대선'''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격차'''
'''강북권'''[43]
46.83%
52.78%
-5.95
강북권
43.00%
19.99%
23.07%
+19.93
'''강남권'''[44]
49.47%
50.14%
-0.67
강남권
41.73%
21.52%
22.40%
+19.33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격차'''
'''강남3구'''[45]
56.47%
43.15%
'''+13.32'''
강남3구
43.37%
34.10%
22.18%
+9.27
'''기타'''[46][47]
46.56%
53.05%
-6.49
기타
49.91%
26.83%
22.83%
+23.08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격차'''
'''관내투표'''
48.20%
51.42%
-3.22
관내투표
41.49%
21.68%
23.03%
+18.46
'''관외투표'''
47.71%
51.57%
-3.86
관외투표
48.14%
14.64%
20.62%
'''+27.52'''

문재인 18대 대선 득표율 TOP5

◎ 1위 관악구 (59.19%), 2위 마포구 (55.34%), 3위 금천구 (54.44%), 4위 동작구 (54.22%), 5위 은평구 (54.18%)

문재인 19대 대선 득표율 TOP5

◎ 1위 마포구 (45.79%), 2위 관악구 (45.67%), 3위 강서구 (44.43%), 4위 서대문구 (44.36%), 5위 은평구 (44.34%)

박근혜 18대 대선 득표율 TOP5

◎ 1위 강남구 (60.14%), 2위 서초구 (58.60%), 3위 용산구 (52.33%), 4위 송파구 (52.09%), 5위 강동구 (50.42%)

홍준표 19대 대선 득표율 TOP5

◎ 1위 강남구 (26.78%), 2위 서초구 (25.63%), 3위 용산구 (23.85%), 4위 송파구 (22.40%), 5위 강동구 (22.22%)

문재인 18대 대선 득표율 LOW5

◎ 1위 강남구 (39.46%), 2위 서초구 (41.01%), 3위 용산구 (47.28%), 4위 송파구 (47.53%), 5위 강동구 (49.20%)

문재인 19대 대선 득표율 LOW5

◎ 1위 강남구 (35.36%), 2위 서초구 (36.43%), 3위 용산구 (39.33%), 4위 송파구 (40.30%), 5위 중구 (41.23%)

박근혜 18대 대선 득표율 LOW5

◎ 1위 관악구 (40.38%), 2위 마포구 (44.20%), 3위 금천구 (45.17%), 4위 동작구 (45.37%), 5위 은평구 (45.39%)

홍준표 19대 대선 득표율 LOW5

◎ 1위 관악구 (17.11%), 2위 노원구 (18.12%), 3위 마포구 (18.16%), 4위 은평구 (19.01%), 5위 서대문구 (19.16%)


3. 개요


'''서울특별시장'''
1기(95~98)
2기(98~02)
3기(02~06)
4기(06~10)
5기(10~14)
6기(14~18)
7기(18~22)
조순/초선
민주당
고건/초선
새정치국민회의
이명박/초선
한나라당
오세훈/초선
한나라당
오세훈/재선[48]
한나라당
박원순/재선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3선[49]
더불어민주당
박원순/초선[50]
무소속

경기도와 같은 대한민국의 최대 의석수를 가진 지역이자 최대의 표밭이다. 더불어 5.18 민주화운동 이후로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2007년의 17대 대선을 제외하고는 민주당계 정당이 서울을 모두 석권했을 정도로 민주당계 정당의 우세 지역이다.[51]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에게 있어서 서울은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서부(유성구, 서구)와 함께 호남 다음가는 험지인 셈이다. 다만 90년대까지는 상대적으로 민주당이 1위였을 뿐이지, 보수 후보들이 대선에서 서울에서도 득표율을 합치면 과반수 이상을 확실히 넘었었다. 이로 보면 서울도 나름 90년대까지는 경합지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52]
제1공화국 중엽부터 강한 반 이승만 성향을 보여왔고[53] 박정희 시절과 전두환때에도 마찬가지로 외지 출신 청장년층(특히 호남 출신)의 이주와 여촌야도 현상으로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이었던 탓에 야권의 보루지로 여겨졌으며, 심지어, 야권이 분열되었던 13대 대선에서도 김대중과 김영삼이 노태우에게 1-2% 정도 앞섰을 정도의 지지세를 보였다.
그러나 3대 총선에서 한 때 친 이승만 성향의 국회의원이 10명이나 당선되었고, 또한 1952년 대선과 1956년 대선에서는 서울에서 이승만 후보가 우세하기도 했다. 6대 총선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2석을 먹기도 했다. 그리고 야권이 서울 의석이 다수인 가운데서도 7~8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이 1석은 먹었고 9~12대 총선에서 중선거구제로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이 2등 당선의 혜택을 보기도 했다. 또 1967년 대선에서는 박정희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는데, 서울에서는 여전히 윤보선에게 뒤졌지만 이 때만큼은 서울에서 45% 이상으로 선전하기도 했다.[54] 13대 총선 이후 삼당합당으로 보수정당의 서울 의석이 늘어나기도 했다. 14대 총선에서도 김영삼 민자당 대세론으로 보수정당이 서울 의석 3분의 1 이상을 먹기도 했다. 1992년 대선에서도 보수표의 분산으로 김영삼 후보가 서울에서 졌지만, 나름 보수성향 전체로 보면 55% 이상이 보수성향에게 투표했으며 15대 총선에서도 신한국당 돌풍으로 서울 의석 과반수를 먹기도 했다.
16대 총선에서도 낙선운동에도 불구하고 이회창 대세론으로 역시 서울 의석 3분의 1 이상을 먹기도 했다. 그리고 부촌과 고층빌딩이 늘어나며 보수정당 지지율이 서울에서도 올라간다. 다만 1997년 대선과 2002년 대선에서 각각 진보성향에게 밀리지만, 1997년 대선에서는 서울 보수표의 분산으로 김대중 후보가 승리한 것이며 보수성향 후보들을 합치면 52%의 지지율에 달했다. 2002년 대선에서도 이회창 후보가 서울에서는 나름 40%를 넘는 선전을 하기도 했다. 이후 2002년부터 2011년도까지 보수정당이 서울시장직을 차지했으며 한 때 2004년 총선에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서울 의석 3분의 2가 열린우리당에 넘어갔지만, 3분의 1은 여권이 차지,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에서는 한나라당이 역대급으로 압승을 거두기도 했다. 그리고 나이가 어느정도 있는 계층의 경우에는 보수정당을 집중적으로 찍는 현상은 서울도 다른 지역에 비해서 덜하기는 하지만 마찬가지이기는 하다.[55] 2007년 대선에서는 이명박 후보가 53%의 지지를 얻었는데, 무소속 이회창 후보 표까지 합치면 64%의 지지율에 달했다. 당시 보수성향 후보들은 종로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동작구 등 서울 대부분의 구에서 60% 이상의 득표율을 넘었고, 심지어 진보성향이 강한 관악구와 금천구도 55% 이상을 넘었다.
또 용산구와 강동구, 송파구는 65% 이상을 보수성향에게 득표했고, 강남구와 서초구는 70% 이상이 보수성향에게 득표를 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도 서울특별시장과 강남 3구청장은 한나라당이 차지했고,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했다. 그러나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시장이 야권에 넘어갔다. 이후 2012년 총선에서 서울 의석 3분의 2가 야권이 차지했지만, 3분의 1은 여권이 차지했다. 재보궐선거로 여권이 3분의 1을 약간 넘어서기도 했다. 서울에서는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대선후보가 문재인에게 뒤쳤지만, 놀랍게도 48%의 지지율로 선전을 했다.
박근혜 후보는 강남구, 서초구, 강동구, 송파구 등 강남4구와 용산구에서 문재인을 앞섰고, 그 외에 종로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등 강남4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구에서도 45% 이상의 득표를 얻어 문재인 후보를 추격했다. 또 진보성향이 강한 마포구와 관악구에서도 나름대로 박근혜 후보가 40% 이상의 지지를 넘었다. 1회 지방선거와 2회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계가 압승을 거두었지만, 1회 지방선거가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 강남구, 서초구만은 민주자유당이 차지, 2회 지방선거는 강남구, 서초구는 물론, 노원구도 한나라당이 차지했다. 3회 지방선거는 중구, 성동구, 관악구를 제외한 전 구청장을 한나라당이 차지했으며 4회 지방선거의 경우는 서울의 전 구청장을 한나라당이 차지할 정도로 보수화되었다.
그러나 5회 지방선거는 한나라당이 구청장 선거에서 강남3구를 빼고, 한나라당 후보가 서울 내 보수정당 강세 지역에서도 거의 전사하는 듯 했지만 중랑구청장은 계속 보수정당이 당선되어 그래도 화제를 일으켰고 연이어서 재보궐선거에서 중구청장과 양천구청장을 되찾아서 그래도 좀 괜찮아진 듯 했지만 양천구청장이 당선무효가 되고 이후 6회 지방선거에서는 서울에서 구청장이 민주당계가 거의 우세했다. 그러나 중구청장과 중랑구청장이 계속 보수정당 소속으로 당선되며 화제를 계속 불러 일으켰다. 의회도 5회 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굉장히 열세였지만, 6회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나름 2석을 더 늘리기도 했다.
하지만, 20대 총선에서는 보수정권에 대한 피로로 강남구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는데 바로 3당 합당 이후 강남구 을에서 최초의 민주당계 의원이 나온 것이다. 또한 강남구 갑에서도 45%를 얻는 등 선전을 했기에, 앞으로 보수정당이 제대로 활동하지 않는 이상, 강남구,서초구에서도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서울에서는 부촌과 노인층, 보수층을 중심으로 새누리당에 지지율을 보내고, 젊은층이나 야권 지지층, 근로자나 화이트칼라 등은 야권에 지지율을 보내기는 하지만, 한 때 서울의 젊은층들도 여권 개혁파나 소장파에 투표한 적이 있었다. 서울은 대선에서 보수성향이 나름 선전하거나 유리했던 때는 1952년, 1956년 대선과 1967년 대선이며 그 외에는 전부 서울이 야권에 유리했지만 삼당합당 이후에는 1992년 대선부터 1997년 대선까지는 보수성향에 유리했다. 그러나 2002년 대선에서도 야권에 유리했지만 서울에서는 나름 40% 이상으로 선전을 했고 2007년 대선에서는 보수성향 후보들이 6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렸다. 2012년 대선도 보수성향이던 박근혜 후보가 48%로 선전하는 것을 보면 나름대로 서울도 개발영향으로 보수화가 되었다고 볼 수는 있다.
다만 총선에서는 2대 총선3대 총선에서 자유당이 유리했으며, 그 외에는 전원 야권이 유리했지만 한 때 6대 총선, 7대 총선, 8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이 1~2석은 먹었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이후에는 9대 총선, 10대 총선, 11대 총선, 12대 총선에서는 중선거구제로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이 유리했고 13대 총선에서도 삼당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유리, 14대 총선에서도 민주당 계열이 아주 압승을 거두지는 못했을 정도로 총선에서는 서울이 보수화 되었다. 15대 총선에서는 신한국당 돌풍으로 다시 서울의석이 과반수가 되고 16대 총선에서도 이회창 대세론으로 서울 의석을 얻는 것을 보면 거의 서울이 박정희 정권의 개발 영향으로 보수화가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17대 총선에서도 열린우리당이 압승을 거두기는 했지만 한나라당이 3분의 1을 지켰고 18대 총선에서는 서울의석 대부분을 한나라당이 가졌고 19대 총선에서도 서울의석 3분의 1이 새누리당에 들어온 것을 보면 서울도 보수성향의 표는 무시를 못하는 것을 알고 있다. 역대 선거를 봤을 때 서울은 진보성이 강한 스윙보터라고 할 수 있겠다. 서울은 야권의 텃밭이었지만, 여권이 당선된 횟수도 적지 않은데 2~3대 총선에서는 전쟁 상황으로 여권에 유리한 것 아니라는 분석이 있다. 그 외에는 야권이 유리했지만 70년대부터 서울이 개발 영향으로 여권이 유리해진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또 서울이 고령화로 인해 여권 후보가 유리해 진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게다가 관선으로 선출되었던 고재봉, 김태선, 허정, 임흥순, 이기붕, 장기영, 윤태일, 윤치영, 양택식, 김현옥, 구자춘, 염보현, 박세직, 정상천, 박영수, 김성배, 김용래, 이해원, 이상배, 이원종, 우명규, 최병렬 등 관선 서울특별시장들의 서울 개발 정책들이 서울을 보수화시켰다는 분석이 있다.[56]
하지만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인해 그래도 그동안 야권이 우위에 있으면서도 보수세가 상당한 구도를 유지해 왔던 서울특별시의 정치성향이 완벽히 뒤바뀌어서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모든 구에서 승리하며 42.3%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1위를 했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22.7%의 득표율로 2위를 했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불과 20.8%의 득표율로 3위로 밀려나며 서울에서 처참한 패배를 당했다. 경기, 인천과 비교했을 때 경기 42.1%, 인천 41.2%에 비해 문재인 후보가 더 높은 득표율을 올려 수도권 내 최대 민주당 텃밭 지위를 유지했으나 서울의 젊은층 인구가 지속적으로 경인지역으로 빠져나간 영향으로 그 차이는 이전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문재인의 압승으로 인해 앞으로 서울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실정이 없는 한 민주당계 정당의 완벽한 텃밭이 될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결국 7회 지방선거에서는 시장을 비롯한 구청장, 지방의원까지 민주당이 압승했다. 시장 선거에선 민주당의 박원순 후보가 과반을 차지했으며 구청장은 서초구를, 광역의원은 강남구 3석을 제외하고 모두 싹쓸이했다. 그나마 이중 서초구청장 선거도 민주당 측에서 공천 실책을 저지르고 현직 구청장인 자유한국당 조은희 후보가 인물론을 내세우며 잘 대처한 덕에 당선된 거지 그렇지 않았다면 민주당이 석권할 수 있었을 것이다.
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이 송파병을 제외한 강남3구를 다시 석권했지만 그 외 지역은 용산구를 제외하고 죄다 더불어민주당이 싹쓸이하면서 서울이 민주당의 텃밭임이 다시 확인되었다. 서울 49석 중 41석을 더불어민주당이 확보하여 역대급 압승이라고 평가되었던 20대 총선보다도 6석이나 늘렸다. 한편 강남3구+용산구의 부촌 지역과 비강남 지역의 정치 성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그러나 강남구 을이나 송파구 을처럼 더불어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이 45~47% 정도의 득표율을 얻고 낙선한걸 보면, 강남3구 내에서도 점점 민주당의 세력이 넒어진다고 볼 수 있다.

4. 역대 서울 선거 결과


역대 1위 횟수
'''민주당계 정당'''
보수정당
무소속
'''31'''
9
3
[57][58][59]
역대 선거
1위
2위, 3위
1위와 2위의 격차
1948년 총선
'''한국민주당 4석'''
무소속 2석
대동청년단 2석
'''2석'''
1950년 총선
'''무소속 5석'''
민주국민당 2석
대한국민당 2석
'''3석'''
1952년 대선
'''이승만 82.2%'''
조봉암 10.26%
'''71.94%'''
1954년 총선
'''무소속 6석'''
'''자유당 5석'''
민주국민당 3석
'''2석'''
1956년 대선
'''이승만 63.27%'''
조봉암 36.72%
'''27%'''
1956년 부통령선거
'''장면 76.89%'''
이기붕 16.27%
'''60.62%'''
1958년 총선
'''민주당 14석'''
자유당 1석
'''13석'''
1960년 총선
'''민주당 15석'''
무소속 1석
'''14석'''
1960년 지선
'''김상돈 60.3%'''
장기영 32.3%
'''28%'''
1963년 대선
'''윤보선 65.12%'''
박정희 30.17%
'''34.95%'''
1963년 총선
'''민정당 7석'''
민주당 4석
'''3석'''
1967년 대선
'''윤보선 51.28%'''
박정희 45.19%
'''6.09%'''
1967년 총선
'''신민당 13석'''
민주공화당 1석
'''12석'''
1971년 대선
'''김대중 59.39%'''
박정희 39.95%
'''19.44%'''
1971년 총선
'''신민당 18석'''
민주공화당 1석
'''17석'''
1973년 총선
'''신민당 8석'''
민주공화당 7석
'''1석'''
1978년 총선
'''신민당 11석'''
민주공화당 9석
'''2석'''
1981년 총선
'''민주정의당 14석'''
민주한국당 11석
'''2석'''
1985년 총선
'''신한민주당 14석'''
민주정의당 13석
'''1석'''
1987년 대선
'''김대중 32.62%'''
노태우 29.95%
김영삼 29.14%
'''2.67%'''
1988년 총선
'''평화민주당 17석'''
민주정의당 10석
통일민주당 10석
'''7석'''
1992년 총선
'''민주당 25석'''
민주자유당 16석
'''9석'''
1992년 대선
'''김대중 37.74%'''
김영삼 36.41%
정주영 17.98%
'''1.31%'''
1995년 지선
'''조순 42.35%'''
박찬종 33.51%
정원식 20.67%
'''11.84%'''
1996년 총선
'''신한국당 27석'''
새정치국민회의 18석
'''9석'''
1997년 대선
'''김대중 44.87%'''
이회창 40.89%
'''3.98%'''
1998년 지선
'''고건 53.46%'''
최병렬 43.99%
'''9.47%'''
2000년 총선
'''새천년민주당 28석'''
한나라당 17석
'''11석'''
2002년 지선
'''이명박 52.28%'''
김민석 43.02%
'''9.26%'''
2002년 대선
'''노무현 51.30%'''
이회창 44.95%
'''6.35%'''
2004년 총선
'''열린우리당 32석'''
한나라당 16석
'''16석'''
2006년 지선
'''오세훈 61.05%'''
강금실 27.31%
'''33.74%'''
2007년 대선
'''이명박 53.23%'''
정동영 24.50%
'''28.73%'''
2008년 총선
'''한나라당 40석'''
통합민주당 7석
'''33석'''
2010년 지선
'''오세훈 47.43%'''
한명숙 46.83%
'''0.6%'''
2011년 시장 보선
'''박원순 53.40%'''[60]
나경원 46.21%
'''7.2%'''
2012년 총선
'''민주통합당 30석'''
새누리당 16석
'''14석'''
2012년 대선
'''문재인 51.42%'''
박근혜 48.18%
'''3.24%'''
2014년 지선
'''박원순 56.12%'''
정몽준 43.02%
'''13.1%'''
2016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35석'''
새누리당 12석
'''23석'''
2017년 대선
'''문재인 42.34%'''
안철수 22.72%
홍준표 20.78%
'''19.62%'''
2018년 지선
'''박원순 52.79%'''
김문수 23.34%
안철수 19.55%
'''29.45%'''
2020년 총선
'''더불어민주당 41석'''
미래통합당 8석
'''33석'''

[1]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21개 지역 우세(종로구, 성동구, 영등포구, 강동구 추가)[2]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4개 우세(종로구, 성동구, 영등포구, 강동구 제외)[3] 선거구 일부가 성동구와 합산되어 순수 중구 영역으로만 계산함[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0.56%.[5]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3.70%.[6]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2.32%.[7] 관악구 갑 선거구에 냈던 후보가 제명되었다.[8]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8.59%.[9]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40개 지역구 우세(종로, 중구·성동 을, 동대문 갑, 서대문 갑, 마포 갑, 양천 갑, 동작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추가)[10]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9개 지역구 우세(종로, 중구·성동 을, 동대문 갑, 서대문 갑, 마포 갑, 양천 갑, 동작 을, 송파 병, 강동 갑, 강동 을 제외)[11]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1,576표 (42.30%).[12]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83,100표 (63.70%).[13]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4,848표 (47.88%).[14] 이곳에 냈던 후보가 제명되었다.[15]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7,284표 (44.82%).[16] 더불어민주당+정의당[17]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18] 국민의당[19] 새누리당[20] 미래한국당+국민의당[21] 성동구 금호동, 옥수동이 중구에 합산되어 이 지역을 제외하고 계산함[22] 성동구 금호동, 옥수동이 중구에 합산되어 이 지역을 포함하고 계산함[23] 더불어민주당+정의당[24] 국민의당[25] 새누리당[26]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27] 미래한국당+국민의당[28]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29]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30] 더불어민주당+정의당[31] 국민의당[32] 새누리당[33] 더불어시민당+민생당+정의당+열린민주당[34] 미래한국당+국민의당[35] 용산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은 지역으로 부촌 밀집지역으로 불리는 곳.[36] 강남3구, 용산구를 제외한 나머지 21개구[37] 유일하게 바른미래당 후보가 2위를 한 곳이다.[38] 문재인[39] 문재인+심상정[40] 안철수[41] 박근혜[42] 홍준표+유승민[43] 종로구, 중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44] 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45]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은 지역으로 부촌 밀집지역으로 불리는 곳.[46] 강남3구를 제외한 나머지 22개구[47] 용산구와 강동구도 강남3구의 송파구 못지 않게 보수성향이 강하지만 언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는 지역인 강남3구의 성향을 비교하기 위해 나머지 지역과 같이 묶어놓음.[48] 11.8.26 시장직 사퇴(무상급식 주민투표 패배 책임)[49] 20.7.9 사망[50] 11.10.26 재보궐선거[51] 국가 최대도시, 민주당 극강세라는 점에서 뉴욕과 비견하는 경우도 있다.[52] 다른 이유는 서울이 김영삼의 영향력이 막강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53] 이는 6.25 당시에 한강다리가 폭파되는 바람에 미쳐 빠져나오지 못한 서울시민들이 북한군 치하에서 이런저런 고생을 했는데 정작 국군이 탈환하고나서는 고생했던 서울시민들을 빨갱이 취급했던 것이 원인이 크다. 6.25 전쟁 직전 서울시민들이 약 180만여명이었는데, 피난간 사람들이 60만여명뿐, 정부말 그대로 믿고 피난못가 서울에 고립된 시민들만 약 120여만명이 되었다. 그렇게 '도강파'와 '잔류파'로 분류되기 시작. 그런데, 9.28 서울수복 직후 이승만은 대부분 고립되어 인민군치하 온갖 수모와 고통을 겪었던 서울시민들을 향해 '잠재적인 적'으로 간주해 '''부역자로 몰아갔고''', '도강파'들은 '잔류파'들을 향해 부역자로 찍어가며 잔혹하게 처벌했다. 이 과정에서 수십여만명의 서울시민들이 처벌받거나 조사받는 둥 온갖 고통을 겪었다. 그래서 서울시민들이 배신감에 치를 떨며 이승만을 강하게 비토하기 시작했고 이후로는 강하게 반 이승만 성향을 띄었다. 제1공화국 시기 내내 이승만과 자유당은 선거철만 되었다 하면 서울시민들로부터 온갖 야유와 비난의 대상이었으며, 심지어는 유세조차 하기 힘들었을 정도였다.[54] 반면 보수정당 텃밭이던 경기도는 윤보선이 크게 지지를 얻었다.[55] 이걸 역으로 따져본다면 이들 계층가운데서 과거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한 사람이 많았다는 얘기가 된다.[56] 당시 관선 서울시장들의 성향은 누가봐도 보수적인 성향이 꽤 강했고 친여성향도 꽤 강했다. 지방선거 부활 이후에도 선출된 초반기 민주당계 서울시장 두 명도 민정계 출신 정치인과 보수적인 정치인으로, 보수정당 계열 출신이라서 그런지 정책은 보수적이었다.[57] 지방선거는 시장선거만 포함[58] 기록부실로 1952년 부통령선거가 빠졌다.[59] 제3후보는 선거비 보존 득표율(15%) 이상의 결과만 반영[60] 야권(민주+진보) 단일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