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씨)

 



1. 개요
2. 全
2.1. 분파
2.2. 한자 표기
3. 田
4. 錢
5. 기타
6.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는 전씨 인물
6.1. 全 (온전할 전)
6.2. 천안 전씨 (유명 인물)
6.3. 정선 전씨 (유명 인물)
6.4. 옥천 전씨 (유명 인물)
6.5. 용궁 전씨 (유명 인물)
6.6. 완산 전씨 (유명 인물)
6.7. 田 ( 전)
6.8. 錢 ( 전)
6.9. 전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6.10. 가상 인물



1. 개요


한국의 성씨. 2015년 기준 749,257명 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16번째로 흔한 성씨이다.
한자로는 全, 田, 錢 세 종류가 있다.
고려 멸망 당시 고려의 국성(國姓)이었던 왕씨(王氏)가 탄압을 피해 살아남기 위해 들 입(人)을 위에 붙이거나(全) 양 옆에 획을 붙여(田) 전씨로 변성했다는 야사가 유명하다.[1] 물론 全씨와 田씨 모두 왕씨와는 무관한 인물을 시조로 하므로 어디까지나 일설에 불과하다. 다만 조선 건국 뒤 대규모 왕씨 학살 사건은 실제로 있었고, 이 과정에서 변성을 통해 생존을 꾀했던 사람들의 사례가 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만큼 본래는 왕씨였으나 현재는 전씨인 가계가 있을 수는 있다. 일단 태조실록에는 왕씨들이 대개 어머니의 성씨를 따라 바꾸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발음 표기에 따라서 정씨랑 헷갈릴수 있다.

2. 全


온전할 전() 자를 사용하는, 전씨 중 가장 인구수가 많은 성씨. 인구는 2015년 기준 559,110명. 현재 18개 정도의 본관이 전하여 오나 이들 모두 백제 개국 공신인 환성군(歡城君) 전섭(全聶)을 도시조로 하는 단일 계통임을 자처하고 있다. 전섭은 온조고구려를 떠나 남하하여 백제를 개국할 때 다른 9명의 신하와 함께 그를 보좌하였으므로 그 공을 인정받아 십제공신(十濟功臣)이라는 공신호를 받고 환성군[2]에 봉해졌다고 한다.
다만 대종[3]이 어디인지를 두고 정선파천안파 사이 갈등이 있다. 옥천, 완산(전주), 옥산(경산) 등 대개의 분파들은 정선을 대종으로 하는 상계(上系)를 존중하는 편인 반면, 천안파의 경우 전섭으로부터 정선 득관조인 전선(全愃)까지의 세대 연수(年數)가 합리적이지 않은 점, 도시조인 전섭이 천안을 식읍으로 받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정선파 위주의 상계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1924년 『전씨총보(全氏總譜)』, 1966년 『전씨대동보(全氏大同譜)』를 간행한 이래 모든 全씨를 아우르는 대동보 편찬이 번번이 무산되어 왔다. 1991년 『전씨대동보』가 한 차례 더 발간되긴 했지만 천안파가 앞과 같은 이유로 불참하였고, 정선파의 일부 계파가 관향(貫鄕)을 명시하지 않고 단지 '전씨대동보'라고 명명하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 참여하지 않아 불완전한 대동보에 그치고 말았다.
18개 본관(분파) 중에선 단연 천안정선이 양대 분파로, 각각 10만 명을 상회한다. 본래 정선 전씨의 인구가 더 많았으나 2015년 기준 통계로 천안 전씨에게 역전되었다.[4] 이외에 옥천, 용궁, 경산(옥산), 완산이 중견급의 규모를 보이며 나주, 죽산, 성산, 성주, 안동, 평강, 부여, 함창, 계림, 기장, 황간, 팔거 등의 분파가 현전한다.
천안 전씨는 충청도전라도에서 주로 볼 수 있다.[5] 정선 전씨는 정반대로 강원도경상도에 주로 거주한다.[6] 용궁과 옥산은 90% 경상도 지역이다.

2.1. 분파


전체 인구: 559,110명
1. 천안 전씨 (天安 全氏)
고려조 천안부원군(天安府院君) 전락(全樂)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76,239명
2. 정선 전씨 (旌善 全氏)
신라조 정선군(旌善君) 전선(全愃)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76,226명[7]
3. 옥천 전씨 (沃川 全氏)
고려조 동정(同正) 전학준(全學浚)을 중시조로 하며, 전학준의 현손 관성군(管城君) 전유(全侑)가 옥천을 식읍으로 받아 이를 관향으로 삼았다.
인구: 47,681명
4. 용궁 전씨 (龍宮 全氏)
고려조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 전방숙(全邦淑)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 30,142명
5. 전주 전씨 (全州 全氏)
고려조 완산군(完山君) 전집(全潗)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24,886명
6. 옥산 전씨 (玉山 全氏)
고려조 옥산군(玉山君) 전영령(全永齡)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5,659명
7. 경산 전씨[8] (慶山 全氏)
인구: 23,923명
8. 죽산 전씨 (竹山 全氏)
고려조 죽산군(竹山君) 전한(全僩)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0,757명
9. 성산 전씨[9] (星山 全氏)
성산군파(星山君派): 고려조 성산군(星山君) 전흥(全興)을 중시조로 한다.
성산백파(星山伯派): 고려조 성산백(星山伯) 전순(全順)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2,772 가구, 8,738명
10. 완산 전씨[10] (完山 全氏)
인구: 2,526 가구, 7,568명
11. 강릉 전씨 (江陵 全氏)
인구: 2,044 가구, 6,333명
12. 경주 전씨 (慶川 全氏)
고려조 계림군(鷄林君) 전공식(全公植)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892 가구, 6,005명
13. 온양 전씨 (溫陽 全氏)
인구: 1,729 가구, 5,606명
14. 나주 전씨 (羅州 全氏)
고려조 나성군(羅城君) 전경(全卿)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629 가구, 5,169명
15. 성주 전씨[11] (星州 全氏)
인구: 1,410 가구, 4,654명
16. 감천 전씨 (甘泉 全氏)
고려조 감천군(甘泉君) 전언(全彦)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237 가구, 3,870명
17. 안동 전씨[12] (安東 全氏)
인구: 1,123 가구, 3,680명
18. 평강 전씨 (平康 全氏)
고려조 평강백(平康伯) 전빈(全賓)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865 가구, 2,734명
19. 김해 전씨 (金海 全氏)
인구: 530 가구, 1,634명
20. 원주 전씨 (原州 全氏)
인구: 524 가구, 1,606명
21. 광산 전씨 (光山 全氏)
인구: 494 가구, 1,519명
22. 선산 전씨 (善山 全氏)
인구: 459 가구, 1,519명
23. 진주 전씨 (晉州 全氏)
인구: 487 가구, 1,501명
24. 거창 전씨 (居昌 全氏)
인구: 467 가구, 1,474명
25. 강원 전씨 (江原 全氏)
인구: 451 가구, 1,431명
26. 경성 전씨 (鏡城 全氏)
인구: 431 가구, 1,374명
27. 남원 전씨 (南原 全氏)
인구: 426 가구, 1,288명
28. 고령 전씨 (高靈 全氏)
인구: 340 가구, 1,120명
부여 전씨 (扶餘 全氏)
조선조 부여에 수령으로 부임했던 전권(全綣)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148 가구, 473명
함창 전씨 (咸昌 全氏)
고려조 함창군(咸昌君) 전살리(全撒里)를 중시조로 한다.
인구: 115 가구, 392명
황간 전씨 (黃澗 全氏)
고려조 황간군(黃澗君) 전익(全翼)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64 가구, 237명
기장 전씨 (機張 全氏)
고려조 기장백(機張伯) 전영(全泳)을 중시조로 한다.
인구: 68 가구, 223명
팔거 전씨 (八莒 全氏)
고려조 팔거군(八莒君) 전원태(全元台)를 중시조로 한다.
인구: 34 가구, 115명

2.2. 한자 표기


간단하게 설명 하자면
全 온전할 전자의 부수는
1. 들 입 (入) + 임금 왕 (王)으로 쓰는게 아니다.
2. 사람 인 (人) + 임금 왕 (王)으로 쓰는게 맞는 것이다.
全(온전할 전)은 강희자전 부수에 따르면 入(들 입) 부수자이기 때문에 윗부분을 入로 쓰는 것이 바른 자형이다. 현재 한자 급수시험에서도 윗부분을 入로 쓰도록 하고 있으며, 정체자를 쓰는 대만과 홍콩에서도 윗부분을 入로 쓰는 것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대법원 선정 인명용 한자표에서도 윗부분을 入로 쓰며, 허용자체는 없다. 보기
그러나 전씨 중앙 종친회에서는 꼭 人(사람 인)을 윗부분에 쓰는 것을 고집하고 있다. 그 근거로 설문해자의 소전(小篆)[13] 자형을 들고 있는데, 자형만으로 보면 윗부분이 人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설문해자에는 현재의 全을 或體(혹체, 이체자)로, 仝의 윗부분을 入로 쓴 모양을 정자로 삼아 入로 쓴다는 것을 밝혔다.[14]
그러다가 청나라 때 段玉裁(단옥재)의 설문해자 注에 이르러, "소전을 따르는 것은 마땅히 대전(大篆)[15]의 잘못이다. 仝과 全은 모두 人으로 쓰니 앞뒤를 따질 필요가 없다. 오늘날은 모두 대전을 따르고 仝은 同(같을 동)으로 여긴다."[16]라고 밝혀, 현재 전씨 중앙 종친회의 의견과 어느 정도 공통점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윗부분을 人으로 쓰는 형태는 일본 신자체중국 간체자가 따르고 있으며, 강희자전을 기준으로 한 옥편에서는 윗부분을 人으로 쓰는 형태를 속자로 여기고 있다. 이러한 人과 入의 혼란은 內(안 내)[17]를 内로, 兪(점점 유)[18]를 俞로 쓰는 것에서도 나타난다. 內의 자형 변천, 兪의 자형 변천.
기계 유씨 측에서는 '점점 유'를 兪로 쓰는지, 俞로 쓰는지 정확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자형의 입장을 밝힌 성씨로는 제주 고씨거창 신씨도 있다.

3. 田


전라남도 담양을 본관으로 하는 담양 전씨(田氏)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담양 전씨에서 분파된 연안, 하음, 평택 전씨가 있으며 그외 예산, 남양, 영광 전씨가 있다. 남양 전씨의 경우 개성 왕씨에서 변성된 거라고 알려져 있다.[19] 담양 전씨의 시조는 전득시(田得時)이다. 담양 시조 묘역에서 매년 양력 5월 5일 대제가 열린다. 인구는 2015년 기준 186,469명이다.
이 성을 쓰는 유명 인사로는 탤런트 전광렬이 있다. 배우 하지원의 본명 또한 전해림(田海琳)으로 담양 전씨이다. SBS 드라마 올인의 모델이자 카지노로 잘 알려진 파라다이스 그룹 전락원(田樂園) 창업주와 손자 파라다이스 그룹 전필립(田必立) 회장이 있다. 스트리머 과로사도 담양 전씨라고 알려졌다.[20] 조선시대의 유명한 도사 전우치는 담양 전씨와 남양 전씨가 자기네 인물이라고 서로 주장하는 중이다. 또한 방탄소년단의 정국이 있고, (여자)아이들의 소연과 이달의 소녀 희진도 있다.
전씨 삼은(三隱)으로 불리는 야은 전녹생, 뇌은 전귀생, 경은 전조생 삼형제가 유명하며, 현재 담양 전씨들은 모두 이들 삼형제의 후손이다.
田 자를 쓰는 담양 전씨는 삼남(三南)지방인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전북, 충남, 대전, 부산/울산/경남권에 많은 편으로 경상북도 울진에도 집성촌이 있다. 울진 입향조는 경은 전조생의 네명의 아들 중에서 장남인 전순(田順)의 아들 전자수(田子壽)이다. 전자수의 손자 전훈(田勳) 즉 경은 전조생의 6세손이 경상남도 의령에 뿌리를 내리니, 전훈은 의령 입향조가 된다. 전훈의 여섯 아들이 의령은 물론 경남 일대에서 가문을 크게 일으켰다. 요즘도 의령 일대에서는 담양 전씨가 사돈에 팔촌까지 얽혀 있어서 다른 성씨가 담양 전씨 가문의 흉을 봤다가는 의령을 떠나야 한다고 할 정도로 가문이 번성하였다.
일본 성씨로 잘 알려진 다나카(田中) 성씨가 담양 전씨에서 파생된 성씨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총리를 지낸 다나카 가쿠에이[21] 가 자신의 가계에 대해 "담양 전씨의 후손으로 시조 전득시의 12대손이 일본으로 건너왔다"고 언급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총리 재임 당시 김영선 주일대사와의 만남에서 이를 밝히며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표시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일본 정계의 대표적인 친한파 인물이기도 했다. 다나카 가쿠에이의 딸은 일본 외무상을 지낸 다나카 마키코[22]이고, 사위는 일본 방위상을 지낸 다나카 나오키[23]이다.

4. 錢


2015년 기준 3,678명으로 전씨 중 가장 적다. 이 성을 쓰는 유명 인사로는 대한민국 초대 사회부 장관인 전진한, 탤런트 전인화와 농구 선수 전주원이 있다. [24] 중국 성씨와 관련된 책인 백가성 중 두 번째다.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상괴리에 문경 전씨(聞慶錢氏) 집성촌이 있다.

5. 기타


가장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는 Jeon이다. 2011년 외교부 여권 통계에 따르면 Jeon이 약 54%, Jun이 약 25%, Chun이 약 10%, Chon이 약 3%, Jeun이 약 1.54%, Cheon이 약 1.48%, Joun 등 다른 표기는 1% 미만이다. 참고로 Ch를 사용하는 경우(예: 전두환, 전인지, 전수경 등) '전' 씨인지 '천' 씨인지 알 수 없으므로, '천' 씨와의 혼동을 피하고자 한다면 Ch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음운론적으로 성씨 '전'의 ㅈ은 무성음이므로 Ch가 더 가깝기는 하지만).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Jeo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Chŏn이다.
창작물에서는 나씨와 더불어 '저는 ○○'이라는 뜻으로 말장난식 이름을 지을 때 이용되는 성씨이다. 또한 직위나 직책명과 결합하면 '''전'''(前)을 연상케 하여 드립으로 많이 이용된다. 대표적으로 전 대통령. 게다가 성만 따서 말하면 '''전 전 대통령'''이 된다. 전(全)씨 성을 가진 대통령인지, 이전 대통령을 말하는지 헷갈린다.

6.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는 전씨 인물


이 문단은 성씨의 한자가 알려지지 않은 인물을 위한 것이다.

6.1. 全 (온전할 전)



6.2. 천안 전씨 (유명 인물)


天安 全氏 유명 인물을 모아놓았다.
전갑길 (정치인,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전국환 (배우)
이수(가수) (가수)
전민혁 (가수)
전무송 (배우)
전병관(역도) (역도 선수)
전보람 (가수)
전우람 (가수)
전석홍 (공무원, 정치인)
전소민 (배우)
전유성 (코미디언)
전연주 (2020년 미스 코리아 美 선발)
전영록 (가수, 배우)
레이디 제인(가수) (가수)
외질혜 (인터넷 방송인)
전주혜 (법조인, 변호사)
전지환 (가수)
전태홍 (기업인, 정치인)
전현무
전휴상 (기업인, 정치인)
전종한 (국회의원)
전해철 (법조인, 정치인, 국회의원)
전국근 (성우)
전광주 (성우)
전태열 (성우)
전해리 (성우)

6.3. 정선 전씨 (유명 인물)


旌善 全氏 유명 인물을 모아놓았다.
전관 (군인)
전군표 (국세청장)
전대영 (야구 선수, 감독)
전덕명 (독립 운동가)
전덕원 (독립 운동가)
전미선 (배우)
전백현 (독립 운동가)
전석호 (배우)
전성범 (독립 운동가)
전순옥 (노동 운동가, 국회의원)
전원책 (변호사, 작가, 방송인, 정치평론가, 언론인, 군인)
전월순 (독립 운동가)
전인권 (가수)
전인범 (군인)
전예용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독고성 (배우)
독고영재 (배우)
전정환 (정선군수)
전중윤 (기업인, 삼양식품 창업주)
전제국 (정무직 공무원, 방위사업청장)
전태일 (노동 운동가)
전효성 (가수)
전형필 (문화재 수집가)
전혜숙 (정치인)
전홍표 (독립 운동가)
전덕기

6.4. 옥천 전씨 (유명 인물)


沃川 全氏 유명 인물을 모아놓았다.
전기서 (독립 운동가)
전만표 (독립 운동가)
전우익 (농부, 작가)
전인평 (국악인)
전정구 (법조인, 정치인, 국회의원)
전정석 (독립 운동가)
전좌한 (독립 운동가)

6.5. 용궁 전씨 (유명 인물)


龍宮 全氏 유명 인물을 모아놓았다.
전병표 (독립 운동가)
전새얀 (배구선수)
전응팔 (독립 운동가)
전재희 (관료, 정치인, 국회의원)

6.6. 완산 전씨 (유명 인물)


完山 全氏 유명 인물을 모아놓았다.
전광훈 (목사, 정치인)
전경환 (군인, 공무원, 사회기관단체인)
전두환 (군인, 정치인, --前대통령)
전소희 (인터넷 방송인)
전상우 (농업인)
전재국 (기업인)
전재만 (기업인)
전재용 (기업인)
전현태 (야구 선수)
전효선 (대학교 교수)

6.7. 田 ( 전)



6.8. 錢 ( 전)



6.9. 전씨를 예명으로 쓰는 인물


  • 전지현 - 배우[26]
  • 전진 - 가수, 아이돌 그룹 신화의 멤버.[27]

6.10. 가상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된 인물은 남성이 더 많지만 전씨의 여성적인 어감 때문에 여성 비율이 높다.
[1] 대충 저 야사의 내용은 왕씨의 씨를 말리라는 정책 때문에 王에서 온갖 마개조를 해서 나온 것이 전(全, 田), 주(主), 옥(玉) 등의 성이라는 내용. 더 나아가서 차(車) 등의 성도 여기에서 2차 가공되어 나온 성이라는 얘기가 있다. 보통 야사에서는 왕이 삿갓을 썼다거나(全) 속세와 단절한 민초가 된다거나(田) 점 하나 찍으면 모를 줄 알고(...) 위장했다거나(主,玉)등의 스토리텔링으로 묘사된다.[2] 환성은 지금의 천안이다.[3] 가장 종손(宗孫)이 되는 계열[4] 2015년 인구조사에서 선선 전씨(旋善全氏)와 시선 전씨(施善全氏)가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한자를 착각한 공무원의 실수로 보인다.# 이들을 모두 포함하면 정선 전씨는 176,226명이 된다.[5] 한반도 서쪽[6] 한반도 동쪽[7] 2015년 인구조사에서 선선 전씨(旋善全氏) 8858명과 시선 전씨(施善全氏) 403명이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한자를 착각한 공무원의 실수로 보인다. 이들을 모두 포함하면 176,226명이다. #[8] 사실상 경산 전씨와 옥산 전씨는 한 종파로 분류되며, 종친회에서도 두 종파를 묶어서 칭한다.[9] 관향은 같지만 성산군(星山君)파와 성산백(星山伯)파로 구분된다.[10] 완산(完山)은 전주의 옛 이름으로 전주 전씨와 같다.[11] 성산 전씨와 같다.[12] 감천(甘泉)은 예천의 지명인데, 한때 안동에 속했으므로 안동 전씨는 감천 전씨와 같다.[13]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고 나서 대전(大篆)을 중심으로 채용한 자형.[14] 《說文》:“仝(윗부분이 入),完也。从入,从工。全,篆文仝从玉。純玉曰全。(윗부분이 全, 아랫부분이 丣),古文仝。”[15] 중국 통일 이전에 진나라가 쓰고 있던 자형. 소전의 원형이 된다.[16] 按篆當是籒之誤。仝全皆从人。不必先古後篆也。今字皆从籒。而以仝爲同字。[17] '안 내'의 소전 자형만으로 보면 内의 형태로 되어 있지만, 설문해자 注에서는 內가 入을 따른다는 것을 밝혔다. 송나라 때의 설문해자에서는 入을 따른다는 설명이 없지만, 청나라 때의 注에서 "入也。从冂入。自外而入也。(들어가는 것이다. 冂과 入을 따른다. 밖에서 들어가는 것이다.)"라고 밝혔다.[18] 兪도 소전 자형에서는 윗부분이 亼으로 되어 있으며, 설문해자의 설명에서도 "空中木爲舟也。从亼从舟从巜。(빈 속의 나무로 배를 만드는 것이다. 亼과 舟와 巜를 따른다.)"라고 밝혔다. 강희자전에서는 斜(비낄 사)의 왼쪽 윗부분도 入으로 썼기 때문에, 무조건 入으로 쓰는 것이 정자는 아니며 人과 入의 혼란을 강희자전이 가중시켰다고도 볼 수 있다.[19] 다만, 조선시대 초기 왕씨 탄압으로 인해서 성씨를 바꿨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왕씨들이 살아 남기 위해 왕에서 한자를 바꾸었다는 설이 있다. 양쪽에 세로줄을 쳐서 바꿨다거나 사람 인을 써서 살아남았다는 설이 있다.[20] 참고로 본인은 자기가 지금까지 밭 전씨인 줄 알고 있었다고 한다.[21] 1970~1990년대까지 다나카 총리부터 타케시타 총리까지 일본 경제 부흥기를 이끌던 자민당을 지배한 주류 파벌은 다나카 가쿠에이로 대표되며, 다나카파로 불린다. 현재도 자민당 누카가파가 다나카파를 계승하고 있으며 또한 다나카 가쿠에이의 마지막 제자로 불리는 니카이 도시히로가 2021년 현재 일본 집권 여당 서열 2위인 자민당 간사장을 역임할 정도로 일본 정계에 영향력이 컸던 인물이다.[22] 다나카 가쿠에이의 부인이 병약해서, 어머니를 대신해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수행하며 국민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다나카 가쿠에이의 고향이자 '다나카 왕국'으로 불리던 니카타현에서 6선 중의원을 하며, 일본 최초의 여성 외무상이 됐다. 다만 외무상으로서 자질은 높게 평가받지 못했다.[23] 장인의 영향력 때문인지 처가의 성씨를 따랐다. 실제 일본 언론들도 처가의 후광으로 방위상이 됐다고 봤다.[24] 첸쉐썬 박사의 성도 이 전(錢)이다.[25] 한자 하나로 잘못 적어져 김씨로 알려 졌으나, 전씨로 판결이 내렸다[26] 본명은 왕지현.[27] 본명은 박충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