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동양

 



1. 동아시아
1.1. 중국
1.1.1. 선진 시대(춘추전국시대)
1.1.1.1. 유가
1.1.1.1.1. 내성파
1.1.1.1.2. 숭례파
1.1.1.2. 도가
1.1.1.3. 묵가
1.1.1.4. 명가
1.1.1.5. 법가
1.1.1.6. 병가
1.1.2. 시대
1.1.2.1. 황로학
1.1.2.2.1. 금문경학
1.1.2.2.2. 고문경학
1.1.3.2. 불교
1.1.3.2.1. 격의불교
1.1.3.2.2. 불경 번역
1.1.3.2.3. 천태종
1.1.3.2.4. 화엄종
1.1.3.2.5. 북종선
1.1.3.2.6. 남종선
1.1.3.3. 유학
1.1.4. 시대
1.1.5. 시대
1.1.5.1. 유학
1.1.5.1.1. 즙산학파(蕺山學派)
1.1.5.1.2. 고증학 - 절서학파
1.1.5.1.3. 안리학파(顔李學派):실학
1.1.6. 근현대
1.1.6.3. 현대 신유학
1.1.6.3.1. 1세대
1.1.6.3.2. 2세대(대만홍콩신유가)
1.1.6.3.3. 3세대(해외신유가)
1.1.6.4. 대륙신유가
1.1.6.4.1. 신캉유웨이주의자(康黨)
1.2. 한국
1.3. 일본
1.3.2.1. 가마쿠라 불교
1.3.2.1.1. 정토종
1.3.2.1.2. 일련종
1.3.4. 근대
1.3.4.1. 국가주의
1.3.4.2. 교토 사철(四哲)
1.3.4.3. 교토 학파
1.3.5. 현대
2. 인도
2.1. 불교
2.1.1. 중관파
2.1.2. 유가행파
2.2. 자이나교
2.4. 힌두교
2.4.1. 상키야
2.4.1.1. 주석
2.4.2. 요가
2.4.2.1. 주석
2.4.3. 미맘사
2.4.3.1. 주석
2.4.4. 바이세시카
2.4.4.1. 주석
2.4.4.2. 니야야 학파와 혼합
2.4.5. 니야야
2.4.5.1. 주석
2.4.5.2. 신니야야
2.4.6. 베단타
2.4.6.1. 비슈누파
2.4.6.2. 시바파
2.4.6.3. 샤크티파
2.4.6.4. 스마르타파
2.5.1. 박티 운동
2.5.2. 시크교
2.6. 근현대
2.6.1. 내셔널리즘
2.6.1.1. 힌두 내셔널리즘
2.6.2. 힌두교
2.6.2.1. 인도 구루
2.6.3. 불교
3. 이슬람 세계


1. 동아시아



1.1. 중국



1.1.1. 선진 시대(춘추전국시대)



1.1.1.1. 유가


1.1.1.1.1. 내성파


1.1.1.1.2. 숭례파


1.1.1.2. 도가


1.1.1.3. 묵가


1.1.1.4. 명가


1.1.1.5. 법가


1.1.1.6. 병가

  • 손무(손자)
  • 오기(오자)[1]

1.1.2. 시대



1.1.2.1. 황로학


1.1.2.2. 경학(훈고학)


1.1.2.2.1. 금문경학


1.1.2.2.2. 고문경학


1.1.3. 위진남북조/ 시대



1.1.3.1. 위진현학


1.1.3.2. 불교


1.1.3.2.1. 격의불교

  • 도안

1.1.3.2.2. 불경 번역


1.1.3.2.3. 천태종

  • 지의

1.1.3.2.4. 화엄종

  • 법장

1.1.3.2.5. 북종선


1.1.3.2.6. 남종선


1.1.3.3. 유학


1.1.4. 시대



1.1.4.1. 불교


1.1.4.1.1. 선종

  • 대혜종고 - 간화선
  • 굉지정각 - 묵조선

1.1.4.2. 유학


1.1.4.2.1. 성리학

  • 주희(주자)
  • 북송오자
    • 주돈이(염계)
    • 소옹
    • 장재
    • 정이(이천)[2]
    • 정호(명도)
  • 나흠순
  • 여곤

1.1.4.2.2. 신법당/구법당


1.1.4.2.3. 양명학

  • 육구연
  • 왕수인(양명)
  • 양명우파
    • 전서산
    • 추수익
    • 나종선
    • 유종주
  • 양명좌파(태주학파)
    • 왕용계
    • 왕간
    • 나여방
    • 이지(탁오)

1.1.4.2.4. 동림학파

  • 고헌성
  • 고반룡
  • 방이지

1.1.5. 시대



1.1.5.1. 유학

  • 왕부지(선산)

1.1.5.1.1. 즙산학파(蕺山學派)


1.1.5.1.2. 고증학 - 절서학파

  • 고염무
  • 대진

1.1.5.1.3. 안리학파(顔李學派):실학

  • 안원(顔元)
  • 이공(李塨)

1.1.5.1.4. 공양학

  • 장존여
  • 유봉록
  • 위원
  • 공자진

1.1.6. 근현대



1.1.6.1. 공양학


1.1.6.2. 마르크스주의


1.1.6.3. 현대 신유학


1.1.6.3.1. 1세대

  • 량쑤밍(梁漱溟)
  • 펑유란(馮友蘭)
  • 허린(賀麟)
  • 슝스리(熊十力)
  • 마이푸(馬一浮)
  • 찐위에린(金岳霖)

1.1.6.3.2. 2세대(대만홍콩신유가)

  • 모우쫑산(牟宗三)
  • 탕쥔이(唐君毅)
  • 쉬푸관(徐復觀)
  • 팡동메이(方東美)

1.1.6.3.3. 3세대(해외신유가)

  • 뚜웨이밍(杜维明)
  • 위잉스(餘英時)
  • 청중잉(成中英)

1.1.6.4. 대륙신유가

  • 리쩌허우(李泽厚)

1.1.6.4.1. 신캉유웨이주의자(康黨)

  • 장칭(蔣慶)
  • 캉샤오광(康曉光)
  • 천밍(陳明)
  • 정이(曾亦)
  • 간춘송(干春松)
  • 탕원밍(唐文明)

1.2. 한국



1.2.1. 삼국시대



1.2.1.1. 고구려


1.2.1.2. 백제


1.2.1.3. 신라

  • 원측 - 유식학

1.2.2. 통일신라



1.2.2.1. 불교

  • 경흥
  • 태현
  • 원효
  • 의상 - 화엄종
  • 월충 - 석마하연론

1.2.2.2. 유학


1.2.3. 고려



1.2.3.1. 불교


1.2.3.2. 유학


1.2.4. 조선



1.2.4.1. 사림파 (지치주의)


1.2.4.2. 성리학


1.2.4.2.1. 사단칠정논쟁


1.2.4.2.2. 인심도심논쟁


1.2.4.2.3. 예학


1.2.4.2.4. 호락논쟁

  • 이간(외암)
  • 한원진(남당)

1.2.4.3. 불교


1.2.4.4. 양명학 - 강화학파


1.2.4.5. 실학


1.2.4.5.1. 성호학파:중농학파


1.2.4.5.2. 북학파:중상학파


1.2.4.5.3. 고증학


1.2.4.5.4. 국학


1.2.4.6. 성리학


1.2.4.6.1. 주리파


1.2.4.6.2. 주기파

  • 한원진(남당)
  • 임성주(녹문) - 유기론
  • 최한기(혜강) - 실학

1.2.4.6.3. 절충파

  • 김창협(농암)
  • 김원행(미호)
  • 오희상(노주)

1.2.4.7. 공양학

  • 이병헌(진암)

1.2.4.8. 도가

  • 노자 주석
  • 전병훈(서우)

1.2.4.9. 동학


1.2.5. 현대



1.2.5.1. 일제강점기/해방정국/그 이후


1.2.5.2. 동양철학


1.2.5.3. 서양철학


1.3. 일본



1.3.1. 헤이안 시대



1.3.2. 가마쿠라 막부



1.3.2.1. 가마쿠라 불교


1.3.2.1.1. 정토종

  • 호넨
  • 신란

1.3.2.1.2. 일련종


1.3.2.1.3. 선종

  • 에이사이
  • 도겐

1.3.3. 에도 시대



1.3.3.1. 유학


1.3.3.1.1. 성리학

  • 후지와라 세이카 (1561–1619)
  • 하야시 라잔 (1583–1657)
  • 야마자키 안사이 (1619–1682)
  • 기노시타 쥰안 (1621–1698)
  • 아라이 하쿠세키 (1657–1725)
  • 무로 규소 (1658–1734)
  • 아메노모리 호슈 (1668–1755)

1.3.3.1.2. 양명학

  • 나카에 토주 (1608–1648)
  • 구마자와 반잔 (1619–1691)
  • 오시오 헤이하치로 (1793–1837)

1.3.3.1.3. 고학파

  • 야마가 소코 (1622–1685)
  • 이토 진사이 (1627–1705)
  • 오규 소라이 (1666–1728)

1.3.3.1.4. 국학

  • 가다노 아즈마마로 (1669-1736)
  • 가모노 마부치 (1697-1769)
  • 모토오리 노리나가 (1730-1801)
  • 히라타 아쓰타네 (1776~1843)

1.3.4. 근대



1.3.4.1. 국가주의


1.3.4.2. 교토 사철(四哲)

  • 와츠지 테츠로
  • 구키 슈조
  • 미키 기요시
  • 니시다 기타로 - 교토 학파

1.3.4.3. 교토 학파

  • 다나베 하지메

1.3.5. 현대



2. 인도



2.1. 불교



2.1.1. 중관파


  • 나가르주나(용수)
  • 아리야데바(제바)
  • 바바비베카(청변)
  • 찬드라키르티(월칭)
  • 다르마키르티(법칭)

2.1.2. 유가행파


  • 아상가(무착)
  • 바수반두(세친)
  • 디그나가(진나) - 유상무식, 불교논리학
  • 구나마티(덕혜) - 무상무식
  • 난다(난타)
  • 다르마팔라(호법)
  • 시라바드라(계현)

2.2. 자이나교



2.3. 육사외도


  • 니간타 나타풋타(Nigantha Nataputta)
  • 산자야 벨랏티풋타(Sanjaya Belatthiputta)
  • 아지타 케사캄발린(Ajita Kesakambalin)
  • 막칼리 고살라(Makkhali Gosala)
  • 파쿠다 캇차야나(Pakudha Kaccayana)
  • 푸라나 캇사파(Purana Kassapa)

2.4. 힌두교



2.4.1. 상키야


  • 카필라(Kapila)

2.4.1.1. 주석

  • 이스바라크스나(Isvarakrsna)
  • 가우다파다(Gaudapada)
  • 와차스파티(vacaspati)
  • 빅야나빅수(Vijnanabhiksu)
  • 아니루다(Aniruddha)

2.4.2. 요가


  • 파탄잘리(Patanjali)

2.4.2.1. 주석

  • 뱌사(Vyasa)
  • 바차스파티 미스라(Vachaspati Mishra)
  • 비갸나 빅슈(Vijnana Bhiksu)
  • 하리하라난다 아란야(Hariharananda Aranya)
  • 샹카라(Sankara)
  • 보자데바(Bhohadeva)
  • 바와카네샤(Bhavaganesa)
  • 나고지 바타(Nagoji bhatta)
  • 라마난다 야티(Ramananda Yati)
  • 나라야나 트리타(Narayana Tirtha)
  • 사다시바 브라흐멘드라(Sadasiva Brahmendra)

2.4.3. 미맘사


  • 자이미니(Jaimini)

2.4.3.1. 주석

  • 사바라 스와민(Sabara Svamin)
  • 쿠마릴라 바타(Kumārila Bhaṭṭa)
  • 프라바카라(Prabhākara)

2.4.4. 바이세시카


  • 카나다(Kanada)

2.4.4.1. 주석

  • 프라샤스타파다(Prashastapada)
  • 스리다라(Sridhara)
  • 뵤마시바(Vyomashiva)
  • 우다야나(Udayana)
  • 발라바차랴(Vallabhacarya)

2.4.4.2. 니야야 학파와 혼합

  • 시바디탸(Sivaditya)
  • 비쉬바나타(Vishvanatha)

2.4.5. 니야야


  • 가우타마(Akṣapāda Gautama)

2.4.5.1. 주석

  • 왓챠야나(Vatsyayana)
  • 우됴타카라(Udyotakara)
  • 와차스파티(Vacaspati)
  • 자얀타(Jayanta Bhatta)
  • 우다야나(Udayana)

2.4.5.2. 신니야야

  • 강게샤(Gangesha Upadhyaya)
  • 라구나타 시로마니(Raghunatha Siromani)

2.4.6. 베단타


  • 바다라야나(Badarayana)
  • 샹카라(Sankara) - 불이일원론

2.4.6.1. 비슈누파

  • 라마누자(Ramanuja) - 한정불이론
  • 마드바(Madhva) - 이원론
  • 님바르카(Nimbārka) - 불일불이론
  • 발라바(Vallabha) - 순수불이일원론
  • 차이탄야(Chaitanya) - 불가사의불이일원론

2.4.6.2. 시바파

  • 라쿨리쉬(Lakulish)
  • 메이칸다르(Meykandar)

2.4.6.3. 샤크티파

  • 바스카라라야(Bhaskararaya)

2.4.6.4. 스마르타파

  • 샹카라

2.5. 무굴 제국



2.5.1. 박티 운동


  • 카비르

2.5.2. 시크교



2.6. 근현대



2.6.1. 내셔널리즘



2.6.1.1. 힌두 내셔널리즘

  • 람 모한 로이
  • 라마크리슈나
  • 스와미 비베카난다
  • 오로빈도 고슈

2.6.2. 힌두교


  •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2.6.2.1. 인도 구루


2.6.3. 불교



3. 이슬람 세계



3.1. 이란/트란스옥시아나


  • 알 파라비 - 신플라톤주의
  • 알 라지
  • 알 아미리
  • 이븐 시나(아비센나) - 신플라톤주의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이븐 미스카와이
  • 알 가잘리 - 아슈아리 학파
  • 아인 알 쿠자트 하마다니
  • 알 투시
  • 미르 다마드
  • 잘랄 웃 딘 루미 - 수피즘
  • 수라와르디 - 조명학파
  • 물라 사드라 - 시아파/초월론적 신지학

3.2. 인도:무굴 제국


  • 샤 왈리울라

3.3. 아랍


  • 알 킨디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알 아샤리 - 아슈아리 학파
  • 이븐 타이미야 - 한발리파

3.4. 안달루시아


  • 이븐 마사라
  • 이븐 바자
  • 이븐 투파일
  • 이븐 루시드(아베로에스) -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이븐 사바인
  • 이븐 할둔 - 역사철학
  • 이븐 아라비 - 수피즘

4. 유대인 디아스포라


  • 사아디아 가온
  • 이븐 가비롤
  • 유다 하레비
  • 마이모니데스
  • 게르소니데스
[1] 다만 오자는 분류가 애매한 것이, 혹자는 법가로, 혹자는 병가로 분류하며, 혹자는 또 다른 파로 분류한다. 그만큼 제자백가 사상가들의 혼합짬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오자. [2] 송대의 학자. 항목 내 후한 말 인물과는 동명이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