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마을버스/목록
1. 개요
부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에서 인가하고 운영하는 모든 마을버스 노선을 본 항목에 수록하였다. 따라서 부산으로 들어오는 창원시, 양산시 마을버스는 여기에 수록하지 않았다.
시내버스의 경우 항목 참고.
2. 범례
- 표 우측의 배차란은 분 단위로 표시하되, 배차간격이 긴 경우에는 횟수로 표시한다.
- 번호 옆의 †표는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인 노선을 뜻한다.
3. 노선 개편
4. 노선 목록
4.1. 강서구[2]
4.2. 금정구
4.3. 기장군
4.3.1. 기장군버스
4.4. 남구
4.5. 동구
4.6. 동래구
4.7. 부산진구
4.8. 북구
4.9. 사상구
4.10. 사하구
4.11. 서구
4.12. 수영구
4.13. 연제구
4.14. 영도구
4.15. 중구
무번호 노선은 하버트란스의 한정면허 셔틀버스로, 운행구간의 대부분이 동구임에도 중구 면허로 운행한다.
4.16. 해운대구
5. 지난 개편 내역
- 2008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09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0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1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2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3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4년 부산 마을버스 개편
- 2015년 4월 18일
- 변경: 강서1, 강서7, 강서12, 동구1-1, 사상2-1, 연제6, 북구8-1 /신설: 북구8-2
- 2015년 8월 23일
- 변경: 기장2, 사상1-1, 서구2-2, 강서14[12] / 폐지: 사상1
- 2016년 3월 12일
- 변경: 금정3
- 신설: 서구3-1
- 2015년 11월 28일
- 신설: 해운대9
- 단축: 강서7, 강서7-2, 강서9-2, 북구7-2
- 변경: 강서14, 기장12, 남구2-1, 영도5, 해운대7, 해운대8, 북구9[13]
- 2016년 4월 9일
- 연장: 강서7, 강서7-2
- 단축: 동래10
- 변경: 사하14, 강서20
- 2016년 7월 30일
- 변경: 남구8, 강서14
- 2016년 11월 13일
- 변경: 부산진10-1, 강서5
- 2016년 11월 27일
- 변경: 금정구 2-1, 금정구 2-3, 사하구 14, 강서구 20
- 2017년 4월 22일
- 변경: 부산진구 11, 남구 8, 남구 9, 사하구 3-1, 사하구 5, 강서구 2, 강서구 9, 강서구 14, 강서구 21, 기장군 2, 기장군 2-3, 기장군 3, 기장군 6, 기장군 8, 기장군 8-1, 기장군 9, 기장군 11
- 폐선: 사하구 7
- 2017년 11월 4일
- 폐지: 사하구12, 금정구6-1
- 변경: 서구2-2, 연제3, 해운대9, 남구10, 사하6, 사하8, 기장2-3, 기장6, 사하15
- 2017년 12월 30일
- 통합: 남구2, 남구2-1 = 남구2
- 변경: 사하6, 사하8, 강서2, 영도7
- 2018년 5월 19일
- 변경: 강서1
- 2019년 2월 2일
- 변경: 남구9
- 2019년 7월 1일
- 변경: 영도2, 사상 7
- 2019년 8월 1일
- 변경: 기장2-3, 부산진 11
- 2019년 8월 28일
- 신설: 기장 5, 기장 7
- 2019 10월 15일
- 신설: 기장1, 기장 10
- 변경: 기장6, 기장 9
[1] 전 노선 구 바깥(구포시장, 하단역, 용원, 모라, 김해)으로 나간다.[2] 전 노선 구 바깥(구포시장, 하단역, 용원, 모라, 김해)으로 나간다.[3] 일3회 눌차도 경유[4] 일4회 중리2구마을 경유[5] 출퇴근시 미음산단 경유[6] 출퇴근시 미음산단 경유[7] 등교시간대 신암~동성고 운행[8] 동의과학대학교 셔틀버스와 노선이 동일하다.[9] 등하교시 도개공아파트~만덕고교간 운행[10] 등하교시 부산에너지과학고 경유[11] 오후시간대 양지공원 미경유[운휴] [12] 공식적이지는 않으나 금강,에일린의 뜰 경유로 바뀌었다. 만송유치원은 폐쇄됨[13] 16년 3월1일 부로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