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로봇대전 시리즈/아군부대
1. 개요
말 그대로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플레이어 부대.
건담 시리즈의 '지구연방 우주군 제13독립부대 론도 벨'에서 모티브를 따온 부대로 초창기에는 부대의 이름도 건담 시리즈의 그 부대처럼 론도 벨이란 이름을 돌려 썼다. 물론 이후에는 론도 벨 대신 독자적인 이름을 갖게 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본이라 할 수 있는 건담 시리즈의 론도 벨도 실로 무시무시한 부대이지만,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이놈들은 한술 더 떠서 우주정복도 가능하다!''' 플레이어로 하여금 실로 주인공 보정의 극한이란 게 뭔지를 뼈저리게 실감하게 만드는 부대다.
처음에는 지구연방군 소속으로 모빌슈트 정도나 끌고 다니지만, 나중에는 엄청난 수의 우주괴수, 슈퍼로봇들이 모여 100만 파워!
당장 생각해봐도 '''건담''' 시리즈와 우주괴수들, 드라고나, 마징가Z, 그레이트 마징가, 그렌다이저, 겟타로보, 겟타 드래곤, 진 겟타로보, 콤바트라V, 볼테스 V, 다이모스, 점보트3, 다이탄3, 고쇼군, 단쿠가, 가이킹, 브라이거, 달타니어스, 단가이오, 엘가임, 단바인, 레이즈너, 갓마즈, 나데시코, 마크로스, 라이딘, 에반게리온, 건버스터, 가오가이가, 테카맨 블레이드, '''이데온''' , 레이어스, 오리지널 시리즈 등등 전부 한군데 뭉쳐다니는데 이놈들을 누가 이길 수 있을까.......
그 악명(?)은 가히 우주의 JV-44 & 익스펜더블이라 칭할 만 하다. 대장은 원본인 건담 시리즈의 론도 벨과 마찬가지로 보통 브라이트 노아(!).
부대원들의 면면을 봐도 평범한 에이스 파일럿들은 기본이요 초능력자에, 뉴타입에, 외계인들에, 왕자님에, 공주님에 여왕님에다가 제 17 사도에 다른 우주에서 오고 평행우주에서도 오고... 인조인간도 들어오는 등, 평범한 사람이 손에 꼽을 정도의 구성을 자랑한다. 이래저래 좀 짱인듯.
그러다보니, 어쨌든 함대라는 군사조직형태임에도 여성들이 매우 많은 것이 특징. 에이스 파일럿은 물론이고 지원부대, 평범한 민간인 참전자, 한 세력의 수장급 여성들도 여럿 있다. 그래서 군부대로써의 군율 하에 움직이기보다는 수호지의 양산박같은 여러 세력의 연합같은 모습을 가진다. 대부분의 시리즈에서 함장이자 리더는 브라이트인데, 그보다 훨씬 높은 한 나라의 왕, 여왕,수장급 인물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작전을 전개한다.
또 한가지 특이사항이라 할만한 점은 많아야 3~4척의 전함에 수십대의 로봇을 우겨넣고 다닌다는 점. 사실 마크로스나 엑셀리온쯤 되면 말이 안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문제는 저 전함이라는게 보통 아가마나 라 카이람, 그리고 나데시코(…).
반프레스토도 처음에는 별로 신경도 안쓰는 것 같지만, 도저히 수납할 수 없는 크기의 다이탄3이나 이데온, 건버스터 같은건 '''전함 외부에 고정시켜둔다'''는 식으로 어떻게든 짜맞추고 있다. 결국 '''전투 중에도 수리 및 보급을 하면서'''"다이탄 3는 밖에서 날아가!"라고 성질을 부리거나(A),[1] "기체가 지나가게 길을 비켜줘!"(3차 알파)등등의 대사로 공밀레를 연출하는 아스토나지 메돗소를 비롯한 메카닉들만 불쌍하다. 뭐 덕택인지 아닌지 아스토나지 메돗소는 업계에서 '전설의 메카닉' 취급을 받게 되긴 했지만(…).
여기서 론도 벨의 이름을 쓴다면, 그 의미를 풀어쓰면 한 마디로, 농담 아니고 '''적으로 만나면 인생 종친다'''는 뜻(…).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의 강룡전대는 구성원이 판권작과 비교해보면 대체로 군인이나 정부측 인물들이 많아서 구성원에서 차이가 나오고 있다.
1.1. 협력조직들
- 지구연방[2]
- 에우고
- 카라바
-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
- 샹그릴라 칠드런
- 론드 벨[3]
- 네오지온[4]
- 신생 크로스 본 뱅가드
- 리가 밀리티어
- 셔플동맹
- 프리덴
- 프리벤터
- 디아나 카운터
- 밀리샤
- 클라인파[5]
- 정크길드
- 서펜트 테일
- 솔레스탈 비잉
- 해적부대
- 철화단
- 알가스 기사단
- 사오토메 연구소
- 광자력 연구소
- 과학요새 연구소
- 우주과학 연구소
- 미래공학 연구소
- 난바라 커넥션
- 빅 팔콘
- 다이모빅
- 빌드 베이스
- 킹 다이아몬드 기지
- 진 패밀리
- 하란 재벌
- 타케오 제네럴 컴퍼니
- 대공마룡 부대
- 굿선더
- 기븐가
- 나 국
- 라우 국
- 스페이스 나이츠
- 센푸지 콘체른
- GGG
- 네르프
- TERRA
- 네르갈
- 미스릴
- 마크로스 함대
- 마크로스 7 선단
- 이민선단
- SMS
- 특무함 야마토
- 버스터 군단
- 국제경찰기구
- 특수기동부대 MARZ
- 아르제날
- 란도우 가문
- 단나 베이스
- 트리니티 시티
- 블루 픽서
- 21세기 경비 보장
- 라스트 가디언
- 흑의 기사단
- 팔릉곽
- 자유조약연합군
- 하도우 재벌
- 야판의 천장
- 수전기대
- 드래곤즈 하이브
- 생 제르맹 성의 주민들
- DEAVA
- 월광 스테이트
- 그렌단
- JUDA
- 실버캐슬
- 케로로 소대
- 이스미 발키리즈
- J9
- 지구방위반
- 간바팀
- 자우라즈
- 단켓츠
- 타츠미야 섬
- 테슬라 라이히 연구소
- 마오 인더스트리
- 아즈마 연구소
- 모가미 중공
- 발스토크 패밀리
- VTX 유니언
- 새벽회
- 마법기사 일행
- 오토잠[6]
1.2. 이들에게 털린 악의 조직들
- 지온 공국
- 데라즈 플리트
- 티탄즈
- 네오지온[7]
- 소데츠키
- 크로스 본 뱅가드
- 목성 제국
- 잔스칼 제국
- 데빌 건담 군단
- OZ
- 화이트 팽
- 마리메이아군
- 신지구연방군
- 우주혁명군
- 깅가남 함대
- 자프트
- 블루 코스모스
- 로고스
- 어로우즈
- 이노베이드
- ELS
- 베이건
- 걀라르호른
- 토와산가
- 캐피털 아미
- 지트단
- 지온족
- 포세이달군
- 아 국
- 쿠 국
- 호죠 국
- 기가노스
- 닥터 헬 군단
- 미케네 제국
- 베가성 연합군
- 키바 군단
- 가란 군단
- 공룡 제국
- 백귀 제국
- 인베이더
- 오니
- 요마제국
- 쟈마다이 왕국
- 캠벨
- 보아잔
- 소 밤
- 자르성간 제국군
- 가루라 제국
- 벙커
- 가이조크
- 메가노이드
- 가르파 제국
- 로봇제국
- 버프 클랜
- 기신성간 제국군
- 누비아 커넥션
- 무게 졸바도스 제국
- 딜라도 행성
- 도쿠가
- BF단
- 제레
- 그라도스
- 목련
- 화성의 후계자
- 갠들러 군단
- 더 붐
- 드라고 제국
- 사룡족
- 가밀라스
- 보돌 저 함대
- 프로토 데빌룬
- 바즈라
- GAIL
- 마달군
- 존다
- 솔 11 유성주
- 거대한 악
- 사악 제국
- 대마계
- 기계화제국
- 도아쿠다 군단
- 시베리아 철도
- 라담
- 이바류더
- 아말감
- 엘다군
- 알데바론군
- 디갈드 무국
- 다이몬
- 다이아몬드 로즈 기사단
- 갈고리 손톱의 남자
- 고블린 일족
- 콩기스타 군
- 암흑 호러 군단
- 다리우스 제국
- 헤테로다인
- 하우 드래곤
-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
- 스크럭
- 블랙로지
- 히디어즈
- 제라바이아
- 타천시
- 알테어
- 안티 스파이럴
- 탑주연방군
- 카토 기관
- 인류군
- 페스툼
- 대조길리아 공화국 국방군
- 네오 아틀란티스
- 우주괴수
- BETA
- 다크브레인 군단
- 가이아 세이버즈
- 디바인 크루세이더즈
- 인스펙터
- 게스트
- 골라이큰르
- 제 발마리 제국
- 앤세스터
- 바랄
- 아인스트
- 예츠트
- 수라
- 섀도우 미러
- 듀미나스 일당
- 루이나
- 퓨리
- 지식의 기록자
- 이딕스
- 가디소드
- 에른스트 기관
- 신통합정부
- 신 지구연방
- 카이메라
- 신제국 임페리움
- 파이어버그
- 성 인살라움 왕국
- 사이데리얼
- 사자
- 데스트룩
- 초문명 가딤
- 마종교단
- UND
- 신관 자가토와 그 일당들
- 에메로드 공주
- 데보네아
- 세피로의 마물들
2. 역대 시리즈의 명칭
초기작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리즈에선 부대 이름을 플레이어가 직접 지을 수 있다. 여기에 적힌 부대명들은 해당작들의 디폴트 명칭, 혹은 부대명 커스텀이 불가능한 작품에서의 명칭.
2.1. X차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 건담팀, 마징가팀, 겟타팀
3가지 중에 1개를 골라서 길길간에게 도전한다. 다른 팀에 속한 기체는 설득해서 아군으로 만들 수 있다.
- 제2차 슈퍼로봇대전 - 화이트 베이스대
기동전사 건담의 화이트 베이스 부대에서 따왔다.
- 제3차 ~ 제4차 슈퍼로봇대전 (F, F 완결편 포함) - 론드 벨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의 론드 벨 부대에서 따왔다. EX는 특별히 없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 부대의 이름하에 모두들 동료가 되어주니 어찌보면 의미가 더 크다.
2.2. 알파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α - SDF
신기동전기 건담 W 엔드리스 왈츠에서 따온 이름. 전작 α 엔딩에서 에우고, 카라바, 리가 밀리티어등의 잔존세력이 손을 잡아 결성한 군사비밀조직. 티탄즈와 마리메이아군의 동란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멤버들도 합류했다가 통째로 미래로 날라갔다. 근데 정식 명칭과는 별개로 알외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세력인 턴 A건담, 건담X, 자붕글의 적세력들은 플레이어 부대를 주로 '이레귤러'라고 부르며 작중 사용 빈도도 이쪽이 훨씬 많다.
- 제2차 슈퍼로봇대전 α ~ 제3차 슈퍼로봇대전 α - 알파 넘버즈
2차 α에서 치룬 봉인전쟁 때 결성된 독립유격대. 제안자는 킨케두 나우. 별의 별 해괴한 네임들이 다 나오다가 킨케두의 '첫 걸음'이라는 의미를 담았다는 제안에 채택.[8] 3차 α 종반에서는 은하중심타격함대에 편입된다. 소대 시스템을 첫 적용한 작품이라 그런지 소대명 붙이기 기능엔 '알파' 넘버즈 이름을 따서 디폴트 소대명도 a 01, a 02, a 03...이런식이다.
2.3. Z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Z- ZEUTH(제우스, Z of Emergency Union of Terrestrial Human)
Z의 의미는 불퇴전(不退転). 서로 의견이 갈려 활동도 따로하고 심지어 UN의 낚시에 걸려 치고박기까지 하지만 결국 오해가 풀려 다시 뭉치게 된다. 제안자는 카미키타 헤이자에몬. 알파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소대 시스템을 채용한지라 소대명 붙이기 기능도 디폴트명이 z01,z02,z03...이런식이다.
코드네임 BG(블랙게일)을 잡기 위해 편성된 부대. 어나더 사이드 레코드의 플레이어 부대지만 본편에서 대치하게 되는 적들로 구성된 부대라는 것이 특징.
-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 ZEXIS(젝시스, Z EXtra International Savers)
Z는 X도 Y도 아닌 제3의 존재, 중립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보트맨이란 인물의 중계로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조직들이 협력하는 수준으로 시작되기에 어느 정도 경계하고 갈등도 있었지만 결국 서로를 이해하여 같이 싸워나가게 된다. 캘러미티 버스 이후 ZEUTH 멤버들이 합류한다.
각 연구소나 기업체 등과는 달리 솔레스탈 빙, 흑의 기사단, 콜로니 건담 등은 대외적으로 테러리스트라서 뻔히 여기 소속임이 드러나지만 젝시스 소속이 아닌 척 눈가리고 아웅한다.
각 연구소나 기업체 등과는 달리 솔레스탈 빙, 흑의 기사단, 콜로니 건담 등은 대외적으로 테러리스트라서 뻔히 여기 소속임이 드러나지만 젝시스 소속이 아닌 척 눈가리고 아웅한다.
- 제3차 슈퍼로봇대전 Z - Z-BLUE(지 블루, Z Busters Link Universe & Earth)
엘건 로딕이 과거에 남겼던 말인 '이 푸르고 아름다운 지구를 지켜달라'라는 말을 찾아낸 프리벤터가 대통령으로부터 권한을 수락받고 만들어진 부대. 구 ZEUTH와 ZEXIS 멤버들을 비롯해서 미스릴, 프리벤터 등이 협력한다. 참고로 이름 후보중에 ZEUXIS(제우시스)라는 그냥 간단하게 합친 이름도 있다.[9]
2.4. OG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OG사가 마장기신 2 REVELATION OF EVIL GOD~ 마장기신 F - 안티라스 대(Antilles Corps)
랑그란 창세 신화에 나오는 여신의 이름에서 따왔다. 지휘권은 마장기신 조자들이 소유한다. 독립국가 취급이라 한다.
정규군인지라 다른 시리즈처럼 독립부대로서 별개의 부대명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배 이름으로 퉁친다.
2.5. 기타 콘솔 시리즈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 론드 벨은 원작과 비슷한 설정으로 나중에 합류.
- 슈퍼로봇대전 64 - 마치 윈드
유래는 영국 속담 3월의 바람, 4월의 비. 5월의 꽃을 피우기 위해서. 제안자는 아무로 레이. 참고로 이름결정시 트레이즈가 '엘레강트하게' 지어달라고 주문하는 이벤트가 있다. 그리고 D에서 아무로가 이 이름을 제안하려하자 루크레치아 노인이 황급히 아무로의 발언을 막는다. 시나리오 작자가 카가미 슌야로 동일하기 때문에 집어넣은 장난으로 보인다. 분기에 따라 후보명에 차이가 있는데, 데이비드 러더퍼드는 독립을 위해 싸운 게릴라의 이름이라며 솔라 팽을, 알바트로 나르 에이지 아스카는 용병부대의 이름이라며 어셈블 EX-11을 제안하지만 당연히 기각당했다.
플레이어 부대에 론드 벨 같은 기존의 조직 이름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붙은 독자적인 부대 이름이다.
플레이어 부대에 론드 벨 같은 기존의 조직 이름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붙은 독자적인 부대 이름이다.
- 슈퍼로봇대전 MX - 마그네이트 텐(Magnate Ⅹ - 로마자10)
호시노 루리가 즉석에서 제안한 이름. 부대원과 상의 없이 정했기 때문에 코우지가 아쉬워했다.
-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 시스 (Sheath)
소디언에 대한 칼집이란 뜻으로 지었다.
-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the 2nd - A 포스
아군 전함 3척인 아우돔라, 아가마, 아크 엔젤의 머리 글자를 따와서 A 부대(A force)라는 뜻과 케이지가 소속되어 있던 A3의 뜻을 잇는 제 4의 A(A 4th)라는 중의적인 뜻을 가진다. 제안자는 케이지 타치바나.
- 슈퍼로봇대전 GC, 슈퍼로봇대전 XO - 화이트 베이스대
- 슈퍼로봇대전 NEO - 부대명 없음
- 슈퍼로봇대전 V - 지구함대 천구 (地球艦隊・天駆)[10]
시공간 융합을 막기 위해 야마토 뿐 아니라 서기 세계와 우주세기 세계 사람들도 이스칸다르에 가야 할 필요가 생겨 결성 된 3세계 합동 함대. 스토리상 그전부터 협력은 하고 있었으나 정식으로 부대를 결성하고 이름을 지은 것 자체는 40화 클리어 후에 이뤄진다. 보통 부대명칭 정하는 이벤트가 초반에 나오는 전통을 감안하면 매우 특이한 사례.이름을 지은 것은 오키타 쥬조. 이름에 영어가 들어가지 않고 한자로만 이루어진 것은 야마토 원작의 오키타의 취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1] 여담이지만 저 부대명 이벤트가 40화 이후에나 나오기 때문에 이후에 게임 설정에서 부대명 변경 기능도 40화 이후에나 개방된다(...).
- 슈퍼로봇대전 X - 엑스 크로스
일행에 다양한 입장의 사람들이 모여있기에 교차를 뜻하는 기호(엑스)와 단어(크로스)를 조합한 이름. 제안자는 주인공.
- 슈퍼로봇대전 T - T3
제안자는 에임 프레즈반드. 주제곡 이름인 "Tread on the Tiger's Tail"의 줄임말이며, "호랑이 꼬리를 밟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2.6. 휴대용 시리즈
- 슈퍼로봇대전 컴팩트 2 / 슈퍼로봇대전 IMPACT - 간돌대(1부), 론드 벨(2, 3부)
- 슈퍼로봇대전 컴팩트 3 - 아가마대
- 슈퍼로봇대전 A - 제13 독립부대 론드 벨
유래는 제13독립부대 화이트 베이스대 + 론드 벨.
- 슈퍼로봇대전 R - 라운드 나이츠(Round knight)
- 슈퍼로봇대전 D - 블루 스웨어
푸른 지구를 지키는 맹세라는 의미로 웃소 에빈이 제안했다.
- 슈퍼로봇대전 J - 특무분함대
정식명칭은 지구연합군 제3함대 특무분함대. 사실 이 부대는 연방군의 특무분함대로서 시작했기 때문에 독립부대와는 거리가 멀다. 그렇기에 후반부에 지구의 이변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 행동하다 반란 용병 부대로 낙인 찍혀 샌드위치 당하는 굴욕을 겪기도. 특무분함대로 시작됐다는 설정을 보아 나데시코의 설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슈퍼로봇대전 W - 벨터(1부, Welter), 노이 벨터(2부, Neue Welter)
- 슈퍼로봇대전 K - 부대명 없음.
대공마룡대, 아크엔젤대 등으로 호칭함.
- 슈퍼로봇대전 L - LOTUS(로터스).
- 슈퍼로봇대전 CC - 카일루스(Caelus)
- 슈퍼로봇대전 UX - 언노운 엑스트라이커즈 (1부, Unknown eXtrikers), 울티메이트 크로스 (2부, Ultimate Xross)
1부에서는 언노운 엑스트라이커즈. '미확인 유격대'로 나온다. 그 의미대로 일반에는 단순히 소문으로만 알려져 있는 실체를 알 수 없는 용병부대이며, 각 국가의 수장급정도는 되어야 이들의 정체를 알고 의뢰를 할 수 있다. 의뢰를 할때의 극비코드는 'UX-E9' 초기에는 '해저드 파샤'등 수많은 적대자들로 인해 테러리스트라든지 침략자를 도와주는 배신자들로 불리다가, 1부 마지막에 그들의 진실이 알려지면서 불명예를 벗게 된다.
2부에서는 정식으로 지구연방의 독립부대로 채용되었으며, 그 의미는 울티메이트 크로스 '궁극의 혼성부대'가 되었다. 다만 2부부터는 변경이 가능.
2부에서는 정식으로 지구연방의 독립부대로 채용되었으며, 그 의미는 울티메이트 크로스 '궁극의 혼성부대'가 되었다. 다만 2부부터는 변경이 가능.
- 슈퍼로봇대전 Operation Extend - 커넥트 포스
세이시로가 소속된 대기업 커넥트의 군사부문. 지구를 지키기 위해 각지의 전력을 모은다.
- 슈퍼로봇대전 BX - 브라이틱스(BrightiX)
의미는 미지의 것을 밝히는 빛.
- 슈퍼로봇대전 X-Ω - H.I.A.W.D (하이어드, Hope Is A Waking Dream)
아리스토텔레스의 격언에서 따왔다.
- 슈퍼로봇대전 DD - 디바인 두어즈(ディバイン・ドゥアーズ), 의미는 신성한 실행자. 사족으로 디바인 크루세이더즈와 비슷한 이름이기에 작중의 몇몇 인물들이 어딘가 들어본 적이 있는 듯한 반응을 보였다.
[1] 실제로 공간 문제 때문에 출격이 1턴 늦어지는 이벤트가 있다.[2] 다만 여러 삽질로 인해 일시적으로 대립하게 되는 때도 있다.[3] 때때론 아예 이 이름으로 편성되기도 한다.[4] 과거에는 적대하는 악의 조직으로 주로 나왔지만, 갈수록 협력조직의 포지션으로 나오거나, 중도에 아군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5] 하이퍼 링크는 삼척동맹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쿠사나기는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작중에서 삼척동맹이라고 언급하지않고 팬들한테는 이척동맹이라고 부르거나 작중에서 아크엔젤 부대, 클라인파라고 칭한다.[6] 처음에는 적으로 등장하다가 중반부에 아군으로 합류한다.[7] 슈로대 아군부대에게 가장 많이털린 악의 조직이란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8] 참고로 쿠스하는 창졸간에 '머슬 봄버즈'라는 소리를 했다가 취향을 의심받았고, 쥬조는 전 레드 선 소속이었던 산시로 앞에서 '오사카 타이탄즈' 이름을 꺼냈다가 잔소리를 들었으며, 히이로가 자기 기체명에서 '제로'만 달랑 떼 붙였다가 태클을 먹자 옆에 있던 우페이는 '나타쿠'라고 제안하지 않길 잘했다며 속으로 가슴을 쓸어내렸다.[9] 게임 설정의 부대명 변경 기능의 '오마카세'기능을 사용하면 나오는 명칭중에 'ZEUXIS'도 있다.[10] 디폴트 네임이며 수정가능하다.[11] 원작에서 오키타는 죽을 때까지 코스모 제로는 영식, 코스모 팔콘은 하야부사 라고 부를 정도로 영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