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1. 개요
2. 역사
3. 헌액 조건과 과정
3.1. 후보 대상자
3.2. 헌액자 투표와 헌액 조건
3.3. 헌액식과 동판
4. 그 외
5. 헌액자 목록
5.1. 투표로 입성한 메이저리그 선수
5.2.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입성한 선수
5.3. 야구 발전에 공헌한 이유로 헌액된 인물
5.4. 니그로리그 출신 선수
5.5. 감독 입성자
6. 방문하는 방법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에 남을 명선수, 명감독, 해설자, 커미셔너 등 야구 발전에 기여한 이들을 기리기 위해 만든 공간이다.

2. 역사


1936년에 야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서 더블데이 장군이, 야구를 발명했다고 알려진 뉴욕 주 쿠퍼스타운에 세워졌다. 이 시기는 대공황이 전국을 휩쓸고 있었고, 쿠퍼스타운도 경기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명예의전당을 세워서 관광객들을 끌어모으려는 취지였다.
2000년 초반만 해도 1839년 당시 장교 후보생이던 애브너 더블데이가 켄터키 주 쿠퍼스타운이란 곳에 있던 사관학교 분교에서 동기들과 같이 야구에 대한 규칙를 창안했다면서 미국에서 만들어진 스포츠라고 홀로 주장해왔으나 조사 결과 메이저리그 초창기 유명선수이던 앨버트 스팰딩이 돈을 댄 메이저리그 특별위원회가 1905년부터 야구에 대한 역사 및 여러 정리를 하면서 뻥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이 뻥에 얼씨구나 메이저리그 쪽에서도 적극적으로 밀어줬는데, 이유는 크리켓과의 연관성을 부정하고 야구가 미국이 죄다 창안한 미국의 국기이자 하나의 신화로서 작용하기를 바란 것. 어쨌든 그렇게 명예의 전당은 지어졌고, 이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명예의 전당 내부의 야구의 기원에 대한 전시물에도 이 스토리가 '창작'된 것이라 명시되어있다. 그리고 알렉산더 카트라이트가 현대 야구를 발전시킨 위인으로 재평가되었으나 2010년대 들어서 닥 애덤스가 사실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기록과 증거가 발견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상세한 것은 야구/기원 문서를 참조할 것.
명예의 전당을 이르는 'Hall of Fame'의 앞글자를 따면 'HoF'이기 때문에 이 약어를 자주 사용한다. 이를 활용해 명예의 전당 입성자들을 'HOFer'라고도 이른다.

3. 헌액 조건과 과정




3.1. 후보 대상자


초기에는 은퇴, 현역인 모든 메이저리그 선수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규칙이 확립되어, 현재는 메이저리그 선수, 구단 관계자 및 감독과 심판, 그리고 인종차별로 인해 메이저리그에 뛸 기회를 잡지 못한 니그로리그 선수들을 대상으로 헌액한다.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최소 10년 이상 뛰어야 하며, 은퇴 후 5년이 지나면 전미야구협회 소속 기자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2명 이상에게 추천을 받으면 후보가 된다.

3.2. 헌액자 투표와 헌액 조건


위 조건에 해당하는 선수들을 후보로 하여 미국야구기자협회(BBWAA) 소속 기자들 가운데, 10년 이상을 취재한 야구기자들이 11월 말에 기명으로 투표하여 헌액자를 선정한다. 이전에는 해당 조건을 만족했다면 은퇴한 기자라도 죽을 때까지 투표권을 유지했지만, 2015년 규정을 개정하면서 '''은퇴 후 10년이 지나면 투표권이 사라지게'''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총 투표자 총 549명이었던 2015년 이후로, 2016년 440명, 2017년 442명, 2018년 424명으로 유권자 수가 대폭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아무래도 나이 많고 보수적인 기자들이 투표인단에서 많이 제외되면서, 약물관련 선수들의 득표율이 20% 가량 상승하거나, 세이버메트릭스 관점이 명예의 전당 투표에 반영되는 비율이 늘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등의 변화가 생겼다.
[image]
2015년 투표에서 탬파베이 레이스 담당 비트라이터 마크 톱킨의 투표용지.
이 투표 용지에 최대 10명의 선수를 체크하고 기자 본인의 서명을 첨부하여 투표하게 된다. 기자들은 투표 직후 자신의 투표용지를 촬영하여 자신의 SNS, 혹은 블로그에 그것을 공개한다. 어차피 투표 결과가 발표될 때 BBWAA 홈페이지에 투표권을 가진 각 기자들이 누구를 투표했는지 전부 나오기도 하고. 각 기자들마다 중요시하는 스탯도 다르고, 가치관도 다르기에 공개 직후 SNS나 블로그에서 키배가 벌어지곤 한다. 2014년 투표에서의 켄 거닉이 '나는 약물시대에 뛴 선수 모두를 거부한다'면서 그렉 매덕스에게 투표를 하지 않은 것을 공개하자 있었던 키배가 하나의 예.
명예의 전당 헌액을 위해 투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투표자는 선수의 기록, 능력, 정직함, 스포츠맨십, 인성, 소속 구단에 대한 공헌도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다'고 돼 있다.#
이 투표에서 75% 이상 득표한 선수는 명예의 전당 헌액이 확정된다. 75%를 득표하지 못한 경우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5%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다면 다음 해에 재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5% 미만의 득표율을 한 번이라도 기록하면 투표 대상에서 제외된다(소위 '탈락'). 2014년까지는 5% 이상을 득표했을 시 재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총 15년까지 주어졌지만, 2015년 투표부터는 그 재도전 기회가 15년에서 10년으로 줄어들었다.[1] 단, 2015년 투표 대상자 중에서 이미 10년차를 넘어버린 선수들[2]은 예외적으로 15년차까지 후보 자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 투표 이외에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베테랑 위원회'''가 그것이다. 구단 관계자, 감독, 심판의 경우는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서만 헌액되며, 투표 연한 마지막 해에도 5% 이상 75%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한 선수의 경우 베테랑 위원회에서 심사를 거쳐 헌액되기도 한다. 선수의 경우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입성하게 되면 BBWAA 투표를 통해 입성한 선수보다는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3.3. 헌액식과 동판


헌액식은 이듬해 7월 말에 명예의 전당이 있는 뉴욕 주 쿠퍼스타운에서 개최된다. 이 7~8개월의 시간동안 헌액이 확정된 선수들은 명예의 전당 관계자와 동판에 새길 팀 로고를 논의하기도 하고,[3] 쿠퍼스타운에 방문해 본인의 동판이 걸릴 자리를 미리 구경하기도 하고, 선수가 주로 뛰었던 팀이 주최하는 기념행사에 참여하기도 한다. 명예의 전당 헌액은 선수 본인에게 뿐만 아니라 그 선수가 뛰었던 팀에게도 큰 영광이기 때문. 이 때문에 메이저리그 팀들은 레전드 선수의 등번호를 그냥 비워만 놓다가, 명예의 전당 헌액이 확정되면 바로 영구결번을 지정하기도 한다.
[image]
이 헌액식을 전후로 하여 3~4일의 기간동안 쿠퍼스타운에서 헌액되는 선수들의 퍼레이드나 대담 등의 행사가 개최되는데, 이를 'Hall of Fame Weekend' 라고 한다. 헌액식 자체는 누구든지 와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고, 헌액 선수의 팬들이 쿠퍼스타운에 많이 방문한다. 2014년 헌액식 당시 헌액식장에 온 관객이 48,000여명 정도. 여기에서 헌액 선수들은 명예의 전당에 걸릴 동판을 수여받고, 감사 연설을 한다.
[image]
헌액식에서 본인의 동판을 든 2014년 헌액자들. 왼쪽부터 바비 콕스, 토니 라 루사, 톰 글래빈, 프랭크 토머스, 그렉 매덕스, 조 토레
면면을 보면 알겠지만 역대급 선수뿐 아니라 감독들까지 몰린 역대급 헌액식이었다 이렇게 많이 동시에 받는 경우는 아주 아주 드물다. 2014년은 이례적인 해였다.
[image]
2014년 헌액 선수 톰 글래빈의 동판.
동판에는 헌액 선수의 모자 쓴 얼굴이 조각되어 있고, 선수의 풀 네임과 별명, 선수가 뛰었던 팀들과 기간, 그리고 선수의 커리어를 기리는 문구가 모두 대문자로 새겨져 있다. 명예의 전당 공식 홈페이지(baseballhall.org)에서 역대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들의 동판을 모두 열람할 수 있다.

4. 그 외


  • 농구 명예의 전당에 비해 입성하기가 매우 까다롭다고도 잘 알려져 있다. MVP 2회 수상자이자 백투백 MVP인 로저 매리스데일 머피도 탈락할 정도.[4]
  • 마쓰이 히데키의 양키스 55번 저지가 걸려있다. 타이틀은 "최초의 월드시리즈MVP를 받은 일본인선수"
  • 류현진의 다저스 99번 저지도 걸려있다. 옆에 붙어있는 제목은 "월드시리즈에 최초로 선발 등판한 한인선수".
  • 오타니 쇼헤이의 첫승때 모자와 첫홈런을 쳤을때 배트가 베이브 루스의 기념물과 같이 전시 되어 있다. 이외에도 사이클링 히트 당시 배트도 전시되어 있다.
  • 한국인 출신 메이저리거로는 메이저리그에서 17시즌을 보낸 박찬호가 2016년부터 후보에 오를 수 있는 요건을 충족했다.[5] 하지만 위에서 언급된 심사회의 2인 이상 추천도 받지 못하며 정식후보가 되지 못했다. 대신 박찬호와 같은 팀에서 뛰었던 동양인 메이저리거의 선구자이자 메이저리그에서 12년을 뛰었던 노모 히데오가 아시아 최초로 2010년 후보에 오르긴 했는데 5%를 간신히 넘기는 저조한 득표를 기록하더니 2014년에 6표(1.1%)를 얻으며 탈락했다. 노모와 비슷한 레벨이라고 평가받는 박찬호 또한 어차피 후보가 됐더라도 입성은 커녕 첫해를 버틸 가능성도 없다. 또한 마쓰이 히데키 역시 2018년[6] 아시아 2번째이자 최초의 타자로 후보에 올랐으나 4표를 받고 탈락했다.
  • Hall of Fame의 약어가 HOF이기 때문에 국내 메이저리그 팬들은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다'를 '호프집에 갔다' 라고 말하기도 한다.
  • 타격이 평균 이하거나 살짝 들어가기 애매해도 그 부분은 엄청난 수비로 커버해 높은 지지를 받아 들어간 선수들도 꽤 많다. 대표적으로 아지 스미스[7], 필 리주토.[8]
  • 2017년 기준 지금까지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은퇴한 선수는 1만7500여 명. 이 중 0.7%에 해당되는 123명 만이 전미야구기자협회(BBWAA) 투표를 통해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다. 반면 117명의 신인왕 출신 은퇴 선수(호세 페르난데스 포함) 중에서는 16명이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 13.7%라는 대단히 높은 비율이다.#
  • 명예의 전당 초창기에는 최초의 5인을 제외하면 기자단들이 표를 박하게 주었다. 그래서인지 첫 턴에 당연히 입성해야 되는 선수들이 첫 턴에 입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났다.[9]
  • 일반적인 상식과는 달리 현대 특히, 2001년 이후 명전 입성자가 역대 가장 적다.#
  • 이곳에 전시되어있는 물건들은 박물관이 소장한 전시물들의 10%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중요한 전시물들은 항상 전시되어있지만 덜(?)중요한 물건들은 정기적으로 교체된다고. 예를 들면 2019년 여름 기준으로 월드시리즈 코너는 2018년 우승팀인 레드삭스 관련품을 전시하지만 2019년 월드시리즈가 끝나면 그때의 우승팀 전기로 바뀔것이다.
  • 2020년 입회식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취소되고 내년으로 미뤄졌다. 따라서 데릭 지터, 래리 워커와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헌액된 카디널스 출신 포수 테드 시몬스와 이미 고인인 메이저리그 노조 위원장 출신인 마빈 밀러의 입회식은 2021년도에 열릴 예정이다. 마침 2021년엔 헌액된 사람이 한명도 없어서 행사가 2021년 내에 치뤄지긴 한다면 2020년 헌액자들만 참석할 전망이다.
  • 현역중에서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는게 확실하다고 평가받는 선수들은 타자로는 알버트 푸홀스, 마이크 트라웃, 미겔 카브레라가 있으며 투수로는 저스틴 벌랜더, 클레이튼 커쇼, 맥스 슈어저, 잭 그레인키가 있다. 은퇴 후 5년 유예기간이 지나지 않은 선수들 중에서는 스즈키 이치로, 아드리안 벨트레, CC 사바시아가 있다. 비록 첫 턴에는 들어가지 못하지만 그래도 입성은 확정적이라 분류되는 선수는 오마 비즈켈이 있다. 조이 보토, 야디어 몰리나 같은 선수는 현재로는 애매하지만 이들은 향후 3~4년간 기량을 유지해 준다면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10][11]

5. 헌액자 목록



5.1. 투표로 입성한 메이저리그 선수


  • 굵은 글씨는 1회 투표로 입성한 선수.
순서
연도
이름
포지션

선수생활
득표율
비고
1
1936
'''타이 콥
(Ty Cobb)'''
중견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05-1928
98.23%
(1회)
최초의 5인
2
'''호너스 와그너
(Honus Wagner)'''
유격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897-1917
95.13%
(1회)
3
'''베이브 루스
(Babe Ruth)'''
우익수
뉴욕 양키스
1914-1935
95.13%
(1회)
4
'''크리스티 매튜슨
(Christy Mathewson)'''
투수
뉴욕 자이언츠
1900-1916
90.71%
(1회)
5
'''월터 존슨
(Walter Johnson)'''
워싱턴 세네터스
1907-1927
83.63%
(1회)
6
1937
냅 라조이
(Nap Lajoie)
2루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896-1916
83.58%
(2회)

7
트리스 스피커
(Tris Speaker)
중견수
1907-1928
82.09%
(2회)

8
사이 영
(Cy Young)
투수
클리블랜드 스파이더스
1890-1911
76.12%
(2회)

9
1938
피트 알렉산더
(Pete Alexander)
투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911-1929
80.92%
(3회)

10
1939
'''루 게릭
(Lou Gehrig)'''
1루수
뉴욕 양키스
1923-1939
-[12]
루게릭병으로 인한 조기 은퇴로 5년 유예기간 면제
11
조지 시슬러
(George Sisler)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915-1922, 1924-1930
85.77%
(4회)

12
에디 콜린스
(Eddie Collins)
2루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06-1930
77.74%
(4회)

13
윌리 킬러
(Willie Keeler )
우익수
브루클린 슈퍼배스
1892-1910
75.55%
(4회)

14
1942
로저스 혼스비
(Rogers Hornsby)
2루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5-1937
78.11%
(5회)

15
1947
칼 허벨
(Carl Hubbell)
투수
뉴욕 자이언츠
1928-1943
87.00%
(3회)

16
프랭키 프리시
(Frankie Frisch)
2루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9-1937
84.47%
(6회)

17
미키 코크런
(Mickey Cochrane)
포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5-1937
79.50%
(6회)

18
레프티 그로브
(Lefty Grove)
투수
보스턴 레드삭스
1925-1941
76.40%
(4회)

19
1948
허브 페녹
(Herb Pennock)
1912-1934
77.69%
(8회)

20
피 트레이너
(Pie Traynor)
3루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20-1935, 1937
76.86%
(8회)

21
1949
찰리 게링거
(Charlie Gehringer)
2루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4-1942
85.03%
(6회)

22
1951
멜 오트
(Mel Ott)
우익수
뉴욕 자이언츠
1926-1947
87.17%
(3회)

23
지미 폭스
(Jimmie Foxx)
1루수
보스턴 레드삭스
1925-1942, 1944-1945
79.20%
(7회)

24
1952
해리 헤일먼[13]
(Harry Heilmann)
우익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14, 1916-1931
86.75%
(12회)

25
폴 워너
(Paul Waner)
피츠버그 파이리츠
1926-1940
83.33%
(6회)

26
1953
디지 딘
(Dizzy Dean)
투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30, 1932-1941, 1947
79.17%
(9회)

27
알 시몬스
(Al Simmons)
좌익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24-1941, 1943-1944
75.38%
(9회)

28
1954
래빗 매랜빌
(Rabbit Maranville)
유격수
보스턴 브레이브스
1912-1933, 1935
82.94%
(14회)

29
빌 디키
(Bill Dickey)
포수
뉴욕 양키스
1928-1943, 1946
80.16%
(9회)

30
빌 테리
(Bill Terry)
1루수
뉴욕 자이언츠
1923-1936
77.38%
(14회)

31
1955
조 디마지오
(Joe DiMaggio)
중견수
뉴욕 양키스
1936-1942, 1946-1951
88.84%
(4회)

32
테드 라이언스
(Ted Lyons)
투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23-1942, 1946
86.45%
(10회)

33
대지 밴스
(Dazzy Vance)
브루클린 다저스
1915, 1918, 1922-1935
81.67%
(16회)[14]

34
개비 하트넷
(Gabby Hartnet)
포수
시카고 컵스
1922-1941
77.69%
(12회)

35
1956
행크 그린버그
(Hank Greenberg)
1루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30, 1933-1941, 1945-1947
84.97%
(9회)

36
조 크로닌
(Joe Cronin)
유격수
보스턴 레드삭스
1926-1945
78.76%
(10회)

37
1962
'''밥 펠러
(Bob Feller)'''
투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6-1941, 1945-1956
93.75%
(1회)
최초의 5인 이후 처음으로 1회 헌액과 90% 이상의 득표율을 동시에 기록
38
'''재키 로빈슨
(Jackie Robinson)'''
2루수
브루클린 다저스
1947-1956
77.50%
(1회)
최초의 5인 이후 처음으로 1회 헌액
흑인 최초 입성
39
1964
루크 애플링
(Luke Appling)
유격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30-1943, 1945-1950
84.00%
(7회)

40
1966
'''테드 윌리엄스
(Ted Williams)'''
좌익수
보스턴 레드삭스
1939-1942, 1946-1960
93.38%
(1회)

41
1967
레드 러핑
(Red Ruffing)
투수
뉴욕 양키스
1924-1942, 1945-1947
86.93%
(15회)

42
1968
조 메드윅
(Joe Medwick)
좌익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32-1948
84.81%
(9회)

43
1969
'''스탠 뮤지얼
(Stan Musial)'''
1941-1944, 1946-1963
93.24%
(1회)

44
로이 캄파넬라
(Roy Campanella)
포수
브루클린 다저스
1948-1957
79.41%
(5회)

45
1970
루 보드로
(Lou Boudreau)
유격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8-1952
77.33%
(10회)

46
1972
'''샌디 코팩스
(Sandy Koufax)'''
투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55-1966
86.87%
(1회)

47
요기 베라
(Yogi Berra)
포수
뉴욕 양키스
1946-1963, 1965
85.61%
(2회)

48
얼리 윈
(Early Wynn)
투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9-1962
76.01%
(4회)

49
1973
'''로베르토 클레멘테
(Roberto Clemente)'''
우익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55-1972
92.69%[15]
(1회)
푸에르토리코 국적 최초 입성
50
'''워렌 스판
(Warren Spahn)'''
투수
밀워키 브레이브스
1942, 1946-1965
82.89%
(1회)

51
1974
'''미키 맨틀
(Mickey Mantle)'''
중견수
뉴욕 양키스
1951-1968
88.22%
(1회)

52
화이티 포드
(Whitey Ford)
투수
뉴욕 양키스
1950, 1953-1967
77.81%
(2회)

53
1975
랄프 카이너
(Ralph Kiner)
좌익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46-1955
75.41%
(13회)

54
1976
로빈 로버츠
(Robin Roberts)
투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948-1966
86.86%
(4회)

55
밥 레몬
(Bob Lemon)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6-1958
78.61%
(12회)

56
1977
'''어니 뱅크스
(Ernie Banks)'''
유격수
시카고 컵스
1953-1971
83.81%
(1회)

57
1978
에디 매튜스
(Eddie Mathews)
3루수
밀워키 브레이브스
1952-1968
79.42%
(5회)

58
1979
'''윌리 메이스
(Willie Mays)'''
중견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48-1973
94.68%
(1회)

59
1980
'''알 칼라인
(Al Kaline)'''
우익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53-1974
88.31%
(1회)

60
듀크 스나이더
(Duke Snider)
중견수
브루클린 다저스
1947-1964
86.49%
(11회)

61
1981
'''밥 깁슨
(Bob Gibson)'''
투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59-1975
84.04%
(1회)

62
1982
'''행크 애런
(Hank Aaron)'''
우익수
밀워키 브레이브스
1952, 1954-1976
97.83%
(1회)

63
'''프랭크 로빈슨
(Frank Robinson)'''
볼티모어 오리올스
1956-1976
89.16%
(1회)

64
1983
'''브룩스 로빈슨
(Brooks Robinson)'''
3루수
1955-1977
91.98%
(1회)

65
후안 마리샬
(Juan Marichal)
투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60-1975
83.69%
(3회)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 최초 입성
66
1984
루이스 아파리시오
(Luis Aparicio)
유격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6-1973
84.62%
(6회)
베네수엘라 국적 최초 입성
67
하먼 킬러브루
(Harmon Killebrew)
1루수
미네소타 트윈스
1954-1975
83.13%
(4회)

68
돈 드라이스데일
(Don Drysdale)
투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56-1969
78.41%
(10회)

69
1985
호이트 윌헬름
(Hoyt Willhelm)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2-1972[16]
83.80%
(8회)
최초의 중간계투 명예의 전당 헌액자[17]
70
'''루 브록
(Lou Brock)'''
좌익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61-1979
79.75%
(1회)

71
1986
'''윌리 맥코비
(Willie McCovey)'''
1루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59-1980
81.41%
(1회)

72
1987
빌리 윌리엄스
(Billy Williams)
좌익수
시카고 컵스
1959-1976
85.71%
(6회)

73
캣피시 헌터
(Catfish Hunter)
투수
-[18]
1965-1979
76.27%
(3회)

74
1988
'''윌리 스타젤
(Willie Stargell)'''
좌익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62-1982
82.44%
(1회)

75
1989
'''자니 벤치
(Johnny Bench)'''
포수
신시내티 레즈
1967-1983
96.42%
(1회)

76
'''칼 야스트렘스키
(Carl Yastrzemski)'''
좌익수
보스턴 레드삭스
1961-1983
94.63%
(1회)

77
1990
'''짐 파머
(Jim Palmer)'''
투수
볼티모어 오리올스
1965-1984
92.57%
(1회)

78
'''조 모건
(Joe Morgan)'''
2루수
신시내티 레즈
1963-1984
81.76%
(1회)

79
1991
'''로드 커류
(Rod Carew)'''
2루수
미네소타 트윈스
1967-1985
90.52%
(1회)
파나마 국적 최초 입성
80
게일로드 페리
(Gaylord Perry)
투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62-1983
77.20%
(3회)

81
퍼거슨 젠킨스
(Ferguson Jenkins)
시카고 컵스
1965-1983
75.40%
(3회)
캐나다 국적 최초 입성
82
1992
'''톰 시버
(Tom Seaver)'''
뉴욕 메츠
1967-1986
98.84%
(1회)

83
롤리 핑거스
Rollie Fingers)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68-1982, 1984-1985
81.16%
(2회)

84
1993
'''레지 잭슨
(Reggie Jackson)'''
우익수
뉴욕 양키스
1967-1987
93.62%
(1회)

85
1994
'''스티브 칼튼
(Steve Carlton)'''
투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965-1988
95.82%
(1회)

86
1995
'''마이크 슈미트
(Mike Schmidt)'''
3루수
1972-1989
96.52%
(1회)

87
1997
필 니크로
(Phil Niekro)
투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64-1987
80.34%
(5회)

88
1998
돈 서튼
(Don Sutton)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66-1988
81.60%
(5회)

89
1999
'''놀란 라이언
(Nolan Ryan)'''
텍사스 레인저스
1966, 1968-1993
98.79%
(1회)

90
'''조지 브렛
(George Brett)'''
3루수
캔자스시티 로열스
1973-1993
98.19%
(1회)

91
'''로빈 욘트
(Robin Yount)'''
유격수
밀워키 브루어스
1974-1993
77.46%
(1회)

92
2000
칼튼 피스크
(Carlton Fisk)
포수
보스턴 레드삭스
1969, 1971-1993
79.56%
(2회)

93
토니 페레즈
(Tony Pérez)
1루수
신시내티 레즈
1964-1986
77.15%
(9회)
쿠바 국적 최초 입성
94
2001
'''데이브 윈필드
(Dave Winfield)'''
우익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73-1988, 1990-1995
84.47%
(1회)

95
'''커비 퍼켓
(Kirby Puckett)'''
중견수
미네소타 트윈스
1984-1995
82.14%
(1회)

96
2002
'''아지 스미스
(Ozzie Smith)'''
유격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78-1996
91.74%
(1회)

97
2003
'''에디 머레이
(Eddie Murray)'''
1루수
볼티모어 오리올스
1977-1997
85.28%
(1회)

98
게리 카터
(Gary Carter)
포수
몬트리올 엑스포스
1974-1992
78.02%
(6회)

99
2004
'''폴 몰리터
(Paul Molitor)'''
3루수
밀워키 브루어스
1978-1998
85.20%
(1회)

100
'''데니스 에커슬리
(Dennis Eckersley)'''
투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5-1998
83.20%
(1회)

101
2005
'''웨이드 보그스
(Wade Boggs)'''
3루수
보스턴 레드삭스
1982-1999
91.86%
(1회)

102
라인 샌드버그
(Ryne Sandberg)
2루수
시카고 컵스
1981-1994, 1996-1997
76.16%
(3회)

103
2006
브루스 수터
(Bruce Sutter)
투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76-1988
76.90%
(13회)

104
2007
'''칼 립켄 주니어
(Cal Ripken Jr.)'''
유격수
볼티모어 오리올스
1981-2001
98.53%
(1회)

105
'''토니 그윈
(Tony Gwynn)'''
우익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82-2001
97.61%
(1회)

106
2008
구스 고시지
(Goose Gossage)
투수
뉴욕 양키스
1972-1989, 1991-1994
85.82%
(9회)

107
2009
'''리키 헨더슨
(Rickey Henderson)'''
좌익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9-2003
94.81%
(1회)

108
짐 라이스
(Jim Rice)
좌익수
보스턴 레드삭스
1974-1989
76.44%
(15회)

109
2010
안드레 도슨
(Andre Dawson)
중견수
몬트리올 엑스포스
1977-1996
77.90%
(9회)

110
2011
로베르토 알로마
(Roberto Alomar)
2루수
토론토 블루제이스
1988-2004
90.00%
(2회)

111
버트 블라일레븐
(Bert Blyleven)
투수
미네소타 트윈스
1970-1992
79.70%
(14회)

112
2012
배리 라킨
(Barry Larkin)
유격수
신시내티 레즈
1986~2004
86.40%
(3회)

113
2014
'''그렉 매덕스
(Greg Maddux)'''
투수
-[19]
1986~2008
97.19%
(1회)

114
'''톰 글래빈
(Tom Glavine)'''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87~2008
91.94%
(1회)

115
'''프랭크 토머스
(Frank Thomas)'''
지명타자[20]
시카고 화이트삭스
1990~2008
83.71%
(1회)

116
2015
'''랜디 존슨
(Randy Johnson)'''
투수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1988~2009
97.3%
(1회)

117
'''페드로 마르티네즈
(Pedro Martinez)'''
보스턴 레드삭스
1988~2009
91.1%
(1회)

118
'''존 스몰츠
(John Smoltz)'''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88~2009
82.9%
(1회)

119
크레이그 비지오
(Craig Biggio)
2루수
휴스턴 애스트로스
1988~2007
82.7%
(3회)

120
2016
'''켄 그리피 주니어
(Ken Griffey Jr.)'''
중견수
시애틀 매리너스
1989~2010
99.32%
(1회)

121
마이크 피아자
(Mike Piazza)
포수
뉴욕 메츠
1992~2007
82.95%
(4회)

122
2017
제프 배그웰
(Jeff Bagwell)
1루수
휴스턴 애스트로스
1993~2005
86.19%
(7회)

123
팀 레인스
(Tim Raines)
좌익수
몬트리올 엑스포스
1979~2002
85.97%
(10회)

124
'''이반 로드리게스
(Ivan Rodriguez)'''
포수
텍사스 레인저스
1991~2011
76.01%
(1회)

125
2018
'''치퍼 존스
(Chipper Jones)'''
3루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93~2012
97.15%
(1회)

126
블라디미르 게레로
(Vladimir Guerrero)
우익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1996~2011
92.89%
(2회)

127
'''짐 토미
(Jim Thome)'''
1루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91~2012
89.81%
(1회)

128
트레버 호프먼
(Trevor Hoffman)
투수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93~2010
79.85%
(3회)

129
2019
'''마리아노 리베라
(Mariano Rivera)'''
뉴욕 양키스
1995~2013
100%
(1회)
사상 첫 100% 득표
130
'''로이 할러데이
(Roy Halladay)'''
-[21]
1998~2013
85.4%
(1회)

131
에드가 마르티네즈
(Edgar Martinez)
지명타자
시애틀 매리너스
1987~2004
85.4%
(10회)

132
마이크 무시나
(Mike Mussina)
투수
-[22]
1991~2008
76.7%
(6회)

133
2020
'''데릭 지터
(Derek Jeter)'''
유격수
뉴욕 양키스
1995~2014
99.7%
(1회)

134
래리 워커
(Larry Walker)
우익수
콜로라도 로키스
1989~2005
76.6%
(10회)

  • 탬파베이 레이스, 마이애미 말린스는 2020년 현재까지 명예의 전당에 팀 모자를 쓰고 들어간 선수가 없다.[23] 워싱턴 내셔널스도 엄밀히 말하자면 포함.[24]

5.2.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입성한 선수


베테랑 위원회는 1939년부터 선수들을 명예의 전당에 헌액하였고, 1939년 이전에 베테랑 위원회에서 헌액한 사람은 모두 선수 경력이 아닌 다른 이유로 헌액되었다.
연도
이름
포지션

선수생활
1939
찰스 레드본[25]
(Charles Radbourn)
투수
프로비던스 그레이스
1881-1891
벅 유잉
(Buck Ewing)
포수
뉴욕 자이언츠
1880-1897
캡 앤슨 [26]
(Cap Anson)
1루수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71-1897
1945
로저 브레스나한
(Roger Bresnahan)
포수
뉴욕 자이언츠
1897, 1900–1915
댄 브루더스
(Dan Brouthers)
1루수
버팔로 바이슨스[27]
1879–1896, 1904
프레드 클라크
(Fred Clarke)
좌익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894–1915
지미 콜린스
(Jimmy Collins)
3루수
보스턴 레드삭스
1895–1908
에드 델라헌티[28]
(Ed Delahanty)
좌익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888–1903
휴 더피[29]
(Hugh Duffy)
중견수
보스턴 빈이터스[30]
1888–1906
휴 제닝스[31]
(Hugh Jennings)
유격수
볼티모어 오리올스[32]
1891–1918
킹 켈리
(King Kelly)
우익수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
1878–1893
짐 오루크
(Jim O'Rourke)
좌익수
뉴욕 자이언츠
1872–1893, 1904
1946
제스 버켓[33]
(Jesse Burkett)
클리블랜드 스파이더스
1890–1905
프랭크 찬스
(Frank Chance)
1루수
시카고 컵스
1898–1914
잭 체스브로
(Jack Chesbro)
투수
뉴욕 하이랜더스
1899–1909
자니 에버스
(Johnny Evers)
2루수
시카고 컵스
1902–1917, 1922, 1929
토미 맥카시
(Tommy McCarthy)
우익수
보스턴 빈이터스
1884–1896
조 맥기니티
(Joe McGinnity)
투수
뉴욕 자이언츠
1899–1908
에디 플랭크
(Eddie Plank)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01–1917
조 팅커
(Joe Tinker)
유격수
시카고 컵스
1902–1916
루브 워델
(Rube Waddell)
투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897, 1899–1910
에드 월시
(Ed Walsh)
시카고 화이트삭스
1904–1917
1949
모데카이 브라운
(Mordecai Brown)
시카고 컵스
1903–1916
키드 니콜스
(Kid Nichols)
보스턴 빈이터스
1890–1901, 1904–1906
1953
치프 벤더
(Chief Bender)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03–1917, 1925
바비 월러스
(Bobby Wallace)
유격수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1894–1918
1955
홈런 베이커
(Home Run Baker)
3루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08–1914, 1916–1919, 1921–1922
레이 샬크
(Ray Schalk)
포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12–1929
1957
샘 크로포드[34]
(Sam Crawford)
우익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899–1917
1959
잭 위트
(Zack Wheat)
좌익수
브루클린 다저스
1909–1927
1961
맥스 카레이
(Max Carey)
중견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10–1929
빌리 해밀턴
(Billy Hamilton)
보스턴 빈이터스
1888–1901
1962
에드 로시
(Edd Roush)
신시내티 레즈
1913–1929, 1931
1963
존 클락슨
(John Clarkson)
투수
보스턴 빈이터스
1882, 1884–1894
엘머 플릭
(Elmer Flick)
우익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898–1910
샘 라이스
(Sam Rice)
워싱턴 세네터스#s-2
1915–1934
에파 릭시
(Eppa Rixey)
투수
신시내티 레즈
1912–1917, 1919–1933
1964
레드 페이버
(Red Faber)
시카고 화이트삭스
1914–1933
벌레이 그라임스
(Burleigh Grimes)
브루클린 다저스
1916–1934
팀 키프[35]
(Tim Keefe)
뉴욕 자이언츠
1880–1893
하이니 마누쉬
(Heinie Manush)
좌익수
워싱턴 세네터스
1923–1939
1965
퍼드 갤빈[36]
(Pud Galvin)
투수
버팔로 바이슨스
1875, 1879–1892
1967
로이드 워너
(Lloyd Waner)
중견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27–1942, 1944–1945
1968
키키 커일러
(Kiki Cuyler)
우익수
시카고 컵스
1921–1938
구스 고슬린
(Goose Goslin)
좌익수
워싱턴 세네터스
1921–1938
1969
스탠 코벨레스키
(Stan Coveleski)
투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12, 1916–1928
와이트 호이트
(Waite Hoyt)
뉴욕 양키스
1918–1938
1970
얼 콤스
(Earle Combs)
중견수
1924–1935
제시 헤인스
(Jesse Haines)
투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18, 1920–1937
1971
데이브 밴크로프트
(Dave Bancroft)
유격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915–1930
제이크 베클리
(Jake Beckley)
1루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888–1907
칙 하페이
(Chick Hafey)
좌익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24–1935, 1937
해리 후퍼
(Harry Hooper)
우익수
보스턴 레드삭스
1909–1925
조 켈리[37]
(Joe Kelley)
좌익수
볼티모어 오리올스(19th)
1891–1906, 1908
루브 마쿼드
(Rube Marquard)
투수
뉴욕 자이언츠
1908–1925
1972
레프티 고메즈
(Lefty Gomez)
뉴욕 양키스
1930–1943
로스 영스
(Ross Youngs)
우익수
뉴욕 자이언츠
1917–1926
1973
미키 웰치
(Mickey Welch)
투수
1880-1892
조지 켈리
(George Kelly)
1루수
1915-1917, 1919-1930, 1932
1974
샘 톰슨
(Sam Thomson)
우익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885-1898, 1908
짐 보텀리
(Jim Bottomley)
1루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22-1937
1975
얼 애버릴
(Earl Averill)
중견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30-1941
빌리 허먼
(Billy Herman)
2루수
시카고 컵스
1931-1943, 1946-1947
1976
로저 코너
(Roger Conner)
1루수
뉴욕 고담스
1880-1897
프레디 린드스트롬
(Freddie Lindstrom)
3루수
뉴욕 자이언츠
1924-1935
1977
아모스 루시
(Amos Rusie)
투수
1889-1895, 1897-1898, 1901
조 슈얼
(Joe Sewell)
유격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20-1933
1978
애디 조스
(Addie Joss)
투수
1902-1910
1979
핵 윌슨
(Hack Wilson)
중견수
시카고 컵스
1923-1934
1980
척 클라인
(Chuck Klein)
필라델피아 필리스
1928-1944
1981
자니 마이즈
(Johnny Mize)
1루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36-1942, 1946-1953
1982
트래비스 잭슨
(Travis Jackson)
유격수
뉴욕 자이언츠
1922-1936
1983
조지 켈
(George Kell)
3루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43-1957
1984
릭 페렐
(Rick Ferrell)
포수
보스턴 레드삭스
1929-1945, 1947
1985
피 위 리즈
(Pee Wee Reese)
유격수
브루클린 다저스
1940-1942, 1946-1958
에노스 슬로터
(Enos Slaughter)
우익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38-1959
아키 본
(Arky Vaughan)
유격수
피츠버그 파이리츠
1932-1943, 1947-1948
1986
어니 롬바르디
(Ernie Lombardi)
포수
신시내티 레즈
1931-1947
보비 도어
(Bobby Doerr)
2루수
보스턴 레드삭스
1937-1944, 1946-1951
1989
레드 션다인스트
(Red Schoendienst)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45-1963
1991
토니 라제리
(Tony Lazzeri)
뉴욕 양키스
1926-1939
1992
할 뉴하우저
(Hal Newhouser)
투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39-1955
1994
필 리주토
(Phil Rizzuto)
유격수
뉴욕 양키스
1941-1942, 1946-1956
1995
리치 애시번
(Rich Ashburn)
중견수
필라델피아 필리스
1948-1962
빅 윌리스
(Vic Willis)
투수
보스턴 브레이브스
1898-1910
1996
짐 버닝
(Jim Bunning)
필라델피아 필리스
1955-1971
1997
넬리 폭스
(Nellie Fox)
2루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47-1965
1998
래리 도비
(Larry Doby)
중견수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1942-1943, 1946-1959
1999
조지 데이비스
(George Davis)
유격수
뉴욕 자이언츠
1890-1909
올랜도 세페다
(Olando Cepeda)
1루수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1958-1974
2000
빌 맥피
(Bill McPhee)
2루수
신시내티 레드스타킹스
1882-1899
2001
빌 마제로스키[38]
(Bill Mazeroski)
피츠버그 파이리츠
1956-1972
2009
조 고든
(Joe Gordon)
뉴욕 양키스
1938-1950
2012
론 산토
(Ron Santo)
3루수
시카고 컵스
1960-1974
2013
디컨 화이트
(Deacon White)
3루수, 포수
버팔로 바이슨스
1871-1890
2018
잭 모리스
(Jack Morris)
투수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77-1994
앨런 트래멀
(Alan Trammell)
유격수
1977-1996
2019
리 스미스
(Lee Smith)
투수
시카고 컵스
1980-1997
해롤드 베인스
(Harold Baines)
우익수
시카고 화이트삭스
1980-2001
2020
테드 시몬스
(Ted Simmons)
포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68-1988

5.3. 야구 발전에 공헌한 이유로 헌액된 인물


여기 거론된 인물들은 야구 선수가 아니거나, 적어도 헌액된 이유가 야구선수로서의 기록 때문만은 아닌 인물들이다. 명예의 전당의 포지션 항목에 야구 포지션이 아닌 다른 부분이 언급된 인물들.
연도
이름
직업
헌액사유
1937
모건 벌켈리
(Morgan Bulkeley)
이사장
정치가이자 구단주였으며, 무엇보다 내셔널리그 초대 이사장이었다.
1937
벤 존슨
(Ban Johnson)
이사장
이쪽은 아메리칸 리그의 개설주도자이자 이사장이었다.
1937
조지 라이트
(George Wright)
유격수
보스턴 레드스타킹스에서 1880-1892년간 뛴 선수이지만, 헌액된 이유는 야구선수로서 기록보다는 최초의 10인이라는 상징성 때문이다.
1938
핸리 채드윅
(Henry Chadwick)
기자
일명 야구기록의 아버지.
1938
알렉산더 카트라이트
(Alexander Cartwright)
구단주
니커보커 베이스볼 클럽의 구단주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공로는 야구라는 스포츠를 실질적으로 발명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게 또 새로운 최초가 나타난지라..
1939
알 스폴딩
(Al Spalding)
구단주
초기의 스타 투수이자 시카고 화이트 스타킹스의 구단주로 최초의 해외투어를 나간 인물. 역대 승률 1위 투수이기도 하다. 1871-1877 7년간 252승 65패. 승률 .795
1939
캔디 커밍스
(Candy Cummings)
투수
커브볼의 발명자[39]
1939
찰스 코미스키
(Charles Comiskey)
구단주
감독,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구단주. 1990년대까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홈구장이었던 '코미스키 파크'로 그 이름이 남아있던[40] 인물이기도 하지만, 블랙삭스 스캔들의 원흉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코치박스의 발명자이기도 하며, 선수 시절에는 1루수 최초로 1루에 붙어있지 않고 수비하면서 1루 수비의 혁신을 가져왔다.
1944
케네소 랜디스
(Kenesaw Landis)
커미셔너
메이저리그 최초의 커미셔너
1946
클라크 그리피스
(Clark Griffith)
구단주
투수, 감독, 당시 워싱턴 내셔널스(현 미네소타 트윈스) 구단주
1953
에드 바로우
(Ed Barrow)
단장
감독, 단장으로 명성을 날렸다. 보스턴에서 베이브 루스를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시켰고, 호너스 와그너를 발굴했으며, 양키스 제국의 기틀을 닦았다.
1967
브랜치 리키
(Branch Rickey)
단장
일명 메이저리그의 혁명가
1970
포드 프릭
(Ford Frick)
커미셔너
메이저리그 3대 커미셔너이자 내셔널리그 이사장이었고, 스포츠 기고가이기도 했다.
1971
조지 웨이스
(George Weiss)
단장
뉴욕 양키스에서 팜 시스템을 일궜고, 뉴욕 메츠의 초기 단장으로 이름을 날렸다.
1972
윌 해릿지
(Will Harridge)
이사장
아메리칸 리그 이사장 중 한 명
1978
래리 맥파일
(Larry MacPhail)
단장
다저스, 양키스, 레즈의 단장이자, 야간경기, 비행기 이동, 타자 헬멧의 고안자
1979
워렌 자일스
(Warren Giles)
구단주
신시내티 레즈의 구단주였으며, 내셔널리그 이사장도 역임
1980
톰 요키
(Tom Yawkey)
구단주
보스턴 레드삭스의 구단주
1981
해피 챈들러
(Happy Chandler)
커미셔너
케네소 랜디스의 뒤를 이은 2대 커미셔너. 즉, 흑인선수에게 문호를 개방한 커미셔너이다.
1982
빈 스컬리
(Vin Scully)
해설자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전담 해설가
1991
빌 빅
(Bill Veeck)
구단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구단주이자, '''메이저 리그 최고의 흥행사'''. 쇼맨쉽에 능했으며, 브랜치 리키 보다 먼저 흑인선수를 메이저리그에 진출시키려고 했다.
1995
윌리엄 헐버트
(William Hulbert)
구단주
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의 첫 구단주이자, 내셔널리그 창설을 주도한 인물
1998
리 맥파일
(Lee MacPhail)
단장
뉴욕 양키스와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프런트로 활약했다. 래리 맥파일의 아들로 최초의 부자 헌액
2006
에파 맨리
(Effa L. Manley)
구단주
니그로 리그 뉴왁 이글스의 구단주[41]이자 '''최초의 여성 헌액자'''[42]
2006
알렉스 폼페스
(Alex Pompez)
구단주
니그로 리그 쿠반 스타즈의 구단주
2006
컴 포지
(Cum Posey)
구단주
니그로 리그 홈스테드 그레이스의 구단주
2006
J.L. 윌킨슨
(J. L. Wilkinson)
구단주
니그로 리그 캔자스시티 모나키스의 구단주
2006
솔 화이트
(Sol White)
내야수
니그로 리그의 내야수, 감독, 저술가
2008
보위 쿤
(Bowie Kuhn)
커미셔너
메이저리그 5대 커미셔너
2008
바니 드레이퍼스
(Barney Dreyfuss)
구단주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초기 구단주
2008
월터 오말리
(Walter O'Malley)
구단주
LA 다저스의 초기 구단주
2011
팻 길릭
(Pat Gillick)
단장
빅마켓 단장의 좋은 예
2013
제이콥 루퍼트
(Jacob Ruppert)
구단주
베이브 루스루 게릭이 활약하던 시기 뉴욕 양키스의 구단주[43]
2017
호머 심슨
(Homer Simpson)
애니메이션 캐릭터
미국 프로야구의 대중성을 애니메이션으로 제대로 표현
2020
마빈 밀러
(Marvin Miller)
선수노조 위원장
최초의 노사 협약을 이끌어내고, FA 제도를 도입시키는 데 앞장선 인물

5.4. 니그로리그 출신 선수


연도
이름
포지션

선수생활
1971
사첼 페이지
(Satchel Paige)
투수
캔자스시티 모나키스
1927-1953, 1955, 1965
1972
조시 깁슨
(Josh Gibson)
포수
홈스테드 그레이스
1930-1946
1972
벅 레너드
(Buck Leonard)
1루수
홈스테드 그레이스
1933-1950
1973
몬테 어빈
(Monte Irvin)
좌익수
뉴워크 이글스
1937-1942, 1945-1956
1974
쿨 파파 벨
(Cool Papa Bell)
중견수
세인트루이스 스타스
1922-1938, 1942, 1947-1950
1975
주디 존슨
(Judy Johnson)
3루수
힐데일 데이지스
1918-1937
1976
오스카 찰스턴
(Oscar Charleston)
중견수
피츠버그 크로포즈
1918-1937
1977
마틴 디히고
(Martin Dihigo)
투수
쿠반 스타스
1923-1931, 1935-1936, 1945
1977
팝 로이드
(Pop Lloyd)
유격수
뉴욕 링컨 자이언츠
1906-1932
1981
루브 포스터
(Rube Foster)
감독
시카고 아메리칸 자이언츠
1902-1926
1987
레이 댄드리지
(Ray Dandridge)
3루수
뉴워크 이글스
1933-1939, 1942, 1944, 1949
1995
레온 데이
(Leon Day)
투수
뉴워크 이글스
1934-1939, 1941-1943, 1946, 1949-1950
1996
빌 포스터
(Bill Foster)
투수
시카고 아메리칸 자이언츠
1923-1938
1997
윌리 웰스
(Willie Wells)
유격수
세인트루이스 스타스
1923-1936, 1942, 1944-1948
1998
불릿 로건
(Bullet Rogan)
투수
캔자스시트 모나키스
1917, 1920-1938
1999
조 윌리엄스
(Joe Williams)
투수
뉴욕 링컨 자이언츠
1910-1932
2000
터키 스티언스
(Turkey Stearnes)
중견수
디트로이트 스타스
1920-1942, 1945
2001
힐튼 스미스
(Hilton Smith)
투수
캔자스시티 모나키스
1932-1948
2006
레이 브라운
(Ray Brown)
투수
홈스테드 그레이스
1931-1945
2006
윌라드 브라운
(Willard Brown)
중견수
캔자스시티 모나키스
1935-1950
2006
앤디 쿠퍼
(Andy Cooper)
투수
캔자스시티 모나키스
1920-1941
2006
프랭크 그랜트
(Frank Grant)
2루수
쿠반 자이언츠
1886-1903
2006
피트 힐
(Pete Hill)
중견수
시카고 아메리칸 자이언츠
1899-1926
2006
비즈 매키
(Biz Mackey)
포수
힐데일 자이언츠
1920-1947
2006
호세 멘데스
(José Méndez)
투수
쿠반 스타즈
1908-1926
2006
루이스 샌톱
(Louis Santop)
포수
힐데일 데이지스
1909-1926
2006
뮬 셔틀스
(Mule Suttles)
1루수
뉴워크 이글스
1921, 1923-1944
2006
벤 테일러
(Ben Taylor)
1루수
인디애나폴리스 ABC
1908-1929
2006
크리스토발 토리엔테
(Cristóbal Torriente)
중견수
시카고 아메리칸 자이언츠
1913-1928
2006
주드 윌슨
(Jude Wilson)
3루수
필라델피아 스타스
1922-1945

5.5. 감독 입성자


연도
이름

감독생활
1937
코니 맥
(Connie Mack)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894-1950
1937
존 맥그로
(John McGraw)
뉴욕 자이언츠
1899, 1901-1932
1945
윌버트 로빈슨
(Wilbert Robinson)
브루클린 다저스
1902, 1914-1931
1953
해리 라이트[44]
(Harry Wright)
필라델피아 퀘이커스
1871–1893
1957
조 맥카시
(Joe McCarthy)
뉴욕 양키스
1926–1946, 1948–1950
1962
빌 맥케니
(Bill McKechnie)
신시내티 레즈
1915, 1922–1926, 1928–1946
1964
밀러 허긴스
(Miller Huggins)
뉴욕 양키스
1913–1929
1966
케이시 스텡겔
(Casey Stengel)
뉴욕 양키스
1934–1936, 1938–1943, 1946–1960, 1962–1965
1975
버키 해리스
(Bucky Harris)
워싱턴 내셔널즈
1924–1943, 1947–1948, 1950–1956
1977
알 로페즈
(Al Lopez)
시카고 화이트삭스
1951–1965, 1968–1969
1983
월터 알스턴
(Walter Alston)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54–1976
1994
레오 듀로셔
(Leo Durocher)
브루클린 다저스
1939–1946, 1948–1955, 1966–1973
1996
네드 핸론
(Ned Hanlon)
볼티모어 오리올스(19th)[45]
1889–1890, 1892–1907
1996
얼 위버
(Earl Weaver)
볼티모어 오리올스
1968–1982, 1985–1986
1997
토미 라소다
(Tommy Lasorda)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76–1996
1999
프랭크 세리
(Frank Selee)
보스턴 비니터스
1890, 1892–1905
2000
스파키 앤더슨
(Sparky Anderson)
신시내티 레즈
1970–1995
2008
빌리 사우스워스
(Billy Southworth)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29, 1940–1951
2008
딕 윌리엄스
(Dick Williams)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67–1969, 1971–1988
2010
화이티 허조그
(Whitey Herzog)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73–1990
2014
조 토레
(Joe Torre)
뉴욕 양키스
1977–1984, 1990-2010
2014
토니 라 루사
(Tony La Russa)
무소속[46]
1979-2011
2014
바비 콕스
(Bobby Cox)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78-1985, 1990-2010

6. 방문하는 방법


쿠퍼스타운은 뉴욕시에서 운전해서 4시간정도 거리에 있는 시골마을이기때문에 방문하려먼 운전이 필수이다. 만약 뉴욕을 방문하는중 2-3일 정도 여유가 있다면 JFK, 라과디아, 뉴아크 공항에서 렌트하는게 편하다. 렌트할때 톨게이트 통과료가 자동으로 계산되는 기계도 꼭 빌릴것. JFK나 라과디아 공항이 위치한 롱아일랜드를 빠져나가려면 톨게이트를 지나가는게 필수이다.
명예의전당은 볼거리도 많고, 힘들게 들린만큼, 대충보고 지나가기는 아깝다. 사실 대충보고 지나가는것도 반나절만으로 빠듯하기에, 하루종일 구경할 계획을 하는데 좋다. 입장을 할때 손목에 도장을 찍어주고, 이 도장만 보여주면 밖에 나갔다가 재입장도 거능하다. 구경하다가 출출하면 밖으로 나가서 식사하면서 쉬다가 다시 입장하면 된다. 오후/저녁에 쿠퍼스타운이나 그 근처 마을에 도착해서 1박을 하고, 다음날 하루종일 명예의전당 구경을 하면 된다.
5월에는 근처에 있는 Doubleday field에서 은퇴한 야구선수들이 자선경기를 하기도 한다. 미리 문의해서 날짜를 맞추면 경기를 보거나 선수들을 직접 만날수도 있다.
7월에있는 명예의전당 헌핵 행사때는 사람들이 몰려들어 바글바글거리기때문에 숙소는 아주 미리 예약을 해야한다.
뉴욕시에서 쿠퍼스타운을 오가는길은 전형적인 미국 시골풍경이고 이것을 보는것도 재미있다.
[1] http://baseballhall.org/hall-of-famers/bbwaa-rules-for-election [2] 돈 매팅리, 앨런 트래멀, 리 스미스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은 결국 모두 탈락했다. 이후 트래멀, 스미스는 베테랑 위원회를 통해 헌액되었다.[3] 웨이드 보그스 이후로 명예의 전당 관계자들이 정해주는 로고를 새기도록 변경되었지만, 그래도 헌액 선수와의 협의를 통해 선수가 너무 뜬금없는 팀을 선택하지 않는 이상(예를 들어 말년에 1, 2년 뛴 팀의 로고로 정하겠다든지) 선수 본인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는 편이다. 대신 이 경우 명예의 전당에 등록되는 Primary Team과 동판에 새겨지는 로고의 팀이 달라지는 사례가 가끔씩 나온다.[4] 다만 베테랑 위원회로 헌액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5] 메이저리그에서 10시즌 이상뛴 선수들은 은퇴후 5년뒤 모두 명전 후보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있다.[6] 현장 선수 은퇴는 2012년이라 왜 2017이 아니냐고 궁금해할 수도 있는데 2013년 뉴욕 양키스 측에서 특별히 마쓰이와 일일 선수 계약을 맺고 홈구장에서 은퇴기념식을 치뤄줬기 때문이다.[7] 2500안타도 기록하지 못하고, 홈런도 28개 밖에 치지 못했지만 엄청난 수비, 13회 골드글러브 수상 경력으로 첫 턴에 90%를 넘겨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8] 이 사람은 수비만 빼면 들어갈 성적이 못된다. 다만 양키스의 주전 유격수, 엄청난 수비, MVP 1회 수상이 그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게 도와줬다. 다만 베테랑 위원회로써 헌액되었다.[9] 대표적으로 냅 라조이, 트리스 스피커, 사이 영, 피트 알렉산더, 로저스 혼스비, 레프티 그로브, 멜 오트, 에디 콜린스, 조지 시슬러 등. 이 들의 성적을 보면 두말할 것 없이 첫 턴이다. 근데 이 중에 이미지 문제가 없는 억울한 선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득표율을 깎인 선수들이 더 많다. 트리스 스피커는 승부조작 의혹이 있었으나 고발자가 갑자기 일체 증언을 거부해서 무혐의가 되었고, 로저스 혼스비는 사생활 문제, 에디 콜린스는 무혐의 판정을 받았음에도 블랙삭스 스캔들에 대한 얌체 이미지를 뒤집어쓰는 등 이미지로 손상들이 많았다. 즉 이미지로 기자들이 표 깎아버리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그러나 멜 오트나 냅 라조이 같은 경우는 이미지도 좋았고 인기 스타였기에 이래저래 아쉬운 상황이 됐다.[10] 몰리나는 꾸준히 기량만 유지한다면 역시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빌 디키의 성적과 비슷해지며, 보토 역시 에드가 마르티네즈와 성적이 비슷해진다.[11] 그외에도 크레이그 킴브럴, 콜 해멀스, 켄리 잰슨, 버스터 포지, 스캇 롤렌, 빌리 와그너, 무키 베츠 등에게도 명예의 전당 떡밥이 상당하다.[12] 투표 없이 입성.[13] 타이 콥의 팀 후배 겸 감독시절의 제자로, 4할 타자(1923년)이자 타격왕과 도루왕을 여러번 한 훌륭한 선수였고, 타이 콥의 전임감독이 타이 콥에게 그를 중용하라는 말을 남기고 감독생활을 은퇴했을 정도로 유망주였다. 은퇴 후에는 야구중계 해설자로도 활동했다. 그러나 30대때 성적이 안 좋아, 은퇴 후 명예의 전당 투표에 계속 떨어지다가 50대의 이른 나이로 암에 걸려 사망하자, 이를 안타까워 한 타이 콥이 사비로 뉴욕 타임스에 '해리 하일만을 명예의 전당으로'라는 광고를 냈고, 그 해 바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14] 15회 제한 규정이 없었던 시절이었다.[15]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여 5년 유예 면제.[16] 29세에 데뷔해서 49세에 은퇴했다.[17] 최초의 150승 미만 투수 헌액자이자 너클볼러이기도 했다.[18] 헌터는 현역 시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뉴욕 양키스에서 뛰었다. 활동했던 기간과 경력(퍼펙트 게임 1회 및 사이영 상 수상 경력)을 감안하면 그는 에이스의 모자를 쓰는 게 일반적인 수순이었지만, 그는 두 팀에서의 기록이 모두 소중하다고 말했고, 결국 어느 팀도 선택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명예의 전당 플레이트에 팀 로고가 없는 모자를 쓴 모습으로 새겨졌다. 명예의 전당에 등록된 그의 Primary Team 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다.[19] 본인이 데뷔한 시카고 컵스와 전성기를 보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의 시절 모두가 자신에게는 소중하다며 어떤 팀도 선택하지 않았다. 명예의 전당에 등록된 그의 Primary Team 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다.[20]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최초의 지명타자를 폴 몰리터로 보기도 한다. 다만 몰리터의 경우 커리어에서 지명타자 기록이 차지하는 비중이 40% 정도인 반면에 토머스는 그 비중이 커리어의 절반 이상이다. 따라서 토머스를 조금 더 '순수한' 지명타자로 볼 수 있다.[21] 본인은 생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다면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으로 들어가고 싶다는 견해를 밝인 적이 있으나, 특정 팀의 선수가 아닌 메이저리그 선수로 기억되기를 바란다는 유족의 의사에 따라 소속팀 없이 들어가기로 결정했다.[22] 본인이 볼티모어 오리올스 시절과 뉴욕 양키스 시절 모두 소중하다며 둘 중 하나를 고를 수 없다는 의사를 밝혀 빈 모자를 쓰기로 결정했다.[23] 참고로 명전 사이트에 있는 주요 활약팀(primary team)은 모자를 썼을 때의 팀과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놀란 라이언의 경우 모자는 레인저스의 것을 쓰고 갔지만 기록 상으로 primary team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라고 # 기록되어 있다. 칼튼 피스크도 마찬가지로 주요 활약팀은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모자는 레드삭스의 것을 쓰고 갔다.[24] 전신인 몬트리올 엑스포스 모자를 쓴 선수는 세 명(안드레 도슨, 팀 레인스, 게리 카터)이 있지만, 워싱턴 이전 후 워싱턴의 모자를 쓴 선수는 2020년 현재까지 없다.[25] 선수 시절에는 찰리 레드번이라 불렸으며, 별명은 올드 호스 레드본 Old Hoss Radbourn. 1884년 678⅔이닝을 던지며 60승을 기록해 2위와 아득한 차이가 나는 단일시즌 최다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놀라운 건 저 이닝 기록은 역대 2위다. 1위가 따로 있다. 윌 화이트라는 선수가 1위다.[26]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긴하나 태동기의 메이저리그에서 흑인선수들을 퇴출시킨 주동자이다.[27] 1879년부터 1885년까지 존속한 내셔널리그 초기 팀이다.[28] 타이 콥, 로저스 혼스비와 함께 3시즌 4할 타자(1894, 1895, 1899)라는 위대한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최초의 2년 연속 4할이라는 대기록도 가지고 있는 내셔널 리그의 전설적 선수이다.[29] 타이 콥, 로저스 혼스비, 테드 윌리엄스와 함께 트리플 크라운(1894)과 4할 타자를 둘 다 해본 4명뿐인 선수이며, 19세기 내셔널 리그의 가장 위대한 레전드 중 하나로, 영원히 깨지지 않는 메이저리그 한 시즌 최고타율 '''0.440'''(1894)을 가지고 있는 대선수이다.[30] Boston Beaneaters. 진짜 구단명이 콩먹는 사람들이었다.[31] 상술된 최초의 5인 중 한 명인 타이 콥을 감독 부임하자마자 처음으로 풀타임 주전으로 써서 바로 메이저리그 최고 타자 자리에 올려 준 은사인 것으로 유명하며, 메이저리그 통산 사구 1위(287개)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유격수였는데, 선수로서도 괜찮은 실력자로 통산타율 3할이 넘고, 메이저리그 역사상 16명뿐인 4할 타자 중 하나이다. 팀 후배 윌리 킬러보다도 먼저 4할을 친 게 이 사람. 실질적 선수경력이 13시즌 정도에 불과함에도 서술된 선수 경력이 28시즌이나 되는 것 때문에 의아할 수 있지만, 감독 시절 대타나 대수비를 몇 년에 한 번씩 나간 것 때문에 그렇다. 만 49세, 한국나이 50세에도 1루 대수비를 했다. 그 나이에 무려 메이저리그 타자 2명을 1루에서 아웃시켰다.[32] 1882년 창단하여 1899년 해체된 구단으로, 볼티모어 연고지라는 것과 구단명을 제외하면 현존하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와는 전혀 다른 구단이다. 같은 시기 볼티모어는 밀워키 브루어스라는 이름으로 창단해서 연고지 이전 이후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다. 여담으로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라는 이름도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타킹,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이 사용했던 이름이다. 오리올스 자체가 볼티모어가 위치한 메릴랜드 주의 상징이기 때문에 같은 이름의 전혀 구단이 마이너리그 2개를 포함해서 5개나 있었다. 베이브 루스도 볼티모어 출신이므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 마이너리그 생활을 시작했는데, 이 볼티모어도 19세기 볼티모어와 현존 볼티모어 사이에 존재했던 2개의 마이너리그 구단중 하나였다.(메이저 데뷔는 보스턴 레드삭스).[33] 1895~1896 시즌 2년 연속 4할을 기록한, 위대한 4할 타자로 19세기 내셔널 리그의 유명한 타격왕 레전드 중 한 명이다. 사이 영과 함께 클리블랜드를 투타에서 이끈 대표적인 선수이다.[34] 통산 3루타 1위이자, 타이 콥과 함께 디트로이트 타선을 이끌던 팀 동료로 유명한 선수였다.[35] 역대 단일시즌 WAR 1위와 역대 단일시즌 조정방어율 1위 기록을 가진 투수. 키프의 1883시즌 bWAR은 무려 20.2다. 그야말로 혹사를 극복하고 대기록을 낸 위대한 투수이다.[36] 작은 증기기관이라는 별명으로 19세기 내셔널리그를 대표하던 위대한 투수. 사이 영의 한 세대 위 레전드로, 사실상 최초의 메이저리그 레전드 투수로 통한다.[37] 윌리 킬러, 휴 제닝스와 함께 팀을 이끌던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레전드.[38] 1960년 월드시리즈 7차전 끝내기 홈런의 주인공이다.[39] 단, 커브의 발명자 후보에는 캔디 커밍스 외에도 다수가 존재한다. 프래드 골드스미스가 1870년에 커브 시범을 보였고, 맥스위니가 1866년에 처음 던졌고 커밍스는 1870년 이전에 던진적이 없다는 1910년대의 기사도 있으며, 포니 마틴의 경우는 커밍스도 '커브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공을 자신보다 먼저 던졌다'라고 인정한 경우이며, 1850년대 투수 짐 크레이턴이 최초의 커브 구사자라는 이야기도 있다. 커밍스가 최초의 커브볼 발명자로 인정된 것은 1905년 '나는 어떻게 최초의 커브볼을 던졌나'라는 책을 저술한 것과, 이 사실을 '''핸리 체드윅이 공인했기 때문'''이었다.[40] 코미스키 파크1, 코미스키 파크2. 코미스키 파크2가 2002년부터 U.S. 셀룰러 필드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2016년에는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로 바뀌었다.[41] 원래는 남편과 공동 구단주였는데, 남편이 먼저 죽었다.[42] 인권운동가로도 유명하다[43] 동시에 정치가로 뉴욕 시장 등을 역임했다.[44] 최초의 10인 문서 참조[45] 현재의 볼티모어 오리올스와는 전혀 다른 팀으로 19세기에 생겼다가 해체.[46] 감독 데뷔를 한 시카고 화이트삭스, 월드시리즈 우승을 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중 어느 한 팀을 고를 수 없다며 입회식에선 팀 로고가 없는 모자를 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