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 한중일 세계사 만화/실존인물

 



1. 개요
2. 아편전쟁 이전(~1840년대)
2.1. 중국사(프롤로그~1화, 3~5화)
2.1.1. 프롤로그
2.1.2. 1화
2.1.3. 3~5화
2.2. 일본사(2, 6~8화)
2.2.1. 2화
2.2.2. 6~9화
3. 제1차 아편전쟁(1840년대)
6.1. 베트남사(92, 96화)


1. 개요


웹툰 본격 한중일 세계사 만화에서 나오는 실존인물에 대한 문서.[1] 동물 말고 사람으로 묘사된 인물은 #이 붙어있다.
그리고 작가 자신도 오너캐로 나오는데 너무 많아 다 쓸 수가 없다.

2. 아편전쟁 이전(~1840년대)



2.1. 중국사(프롤로그~1화, 3~5화)



2.1.1. 프롤로그



2.1.2. 1화


  • 삼황오제: 왼쪽부터 여와, 복희, 신농, 오제이다.
  • 시황제: 중국을 통일하고 China의 유래가 진(Chin)에서 왔다는 걸 알리지만 죽는다.
  • 유방, 항우: 유방이 유방 건드면 성추행으로 잡혀간다고 하자 항우가 유치해서 상대 못 하겠다고 한다.
  • 왕망#(5화 한정): 신나라를 세우고 "아이~ 신나라~!!"라고 한다. 옆의 "좋은데?"라고 하는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은 덤.[2]
  • 사마천: 사기를 보여주며 "이건 사기야!"라고 한다.
  • 채륜: 종이를 개발한다.
  • 십상시: 한나라라 적혀진 돌무더기를 무너뜨린다.
  • 양제(수): 대운하를 건설한다.
  • 공제(수): 이연에게 쫓겨난다.
  • 고조(당): 수공제를 쫓아낸다.
  • 주전충: 축구선수 주전 시켜달라고 징징댄다. 그래서 주전충이라고.
  • 기황후#: 원조의 한류스타(?).
  • 홍무제: 명나라를 건국한다.
  • 정화: 인도, 동남아에서 대명천자 섬기고 구원받으라고 한다.
  • 정통제: 토목보의 변 때 포로로 잡힌 명 황제. "황제 보쌈은 예상 밖"(...)이라고 한다.[3]
  • 알탄 칸: 북경을 포위한다.(경술의 변)
  • 척계광: "400년 후의 본편을 위한 예고편입니다."라며 온 왜구들을 격퇴한다.
  • 숭정제: "못 살겠다! 갈아보자!"라며 죽창을 겨누는 농민반란군에게 갈아봤자 더 못산다고 한다.[4]
  • 정성공: "Taiwan No.1!"이라 말하며 네덜란드를 쫓아낸다.
  • 강희제: 지정은제를 실시하고 반대하는 부자들을 " 내놓을래? 내놓을래?"라고 찍어누른다. 4화에서는 4곳(광저우, 푸저우, 자싱, 항저우)을 항구로 열어준다.
  • 조지 매카트니: 건륭제에게 개항, FTA, 미세먼지 감축을 요구한다. 그리고 큰절 요구를 세뱃돈 안 준다고 거절한다.
  • 건륭제: 매카트니한테 후손 중에 싱어송라이터 있지 않냐고 한다. 4화에서는 안보상 이유로 강희제가 연 항구 중 광저우만 남기고 나머지(푸저우, 자싱, 항저우)를 폐쇄한다.

2.1.3. 3~5화



2.2. 일본사(2, 6~8화)



2.2.1. 2화



2.2.2. 6~9화


  • 아케치 미츠히데: 7화에서 오다 노부나가죽인다. 그러나 바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쫓겨난다.
  • 제임스 1세: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요로이(鎧)라는 일본 갑옷을 선물 받았는데 입으면 결석 걸릴 것 같다는 이름이라 한다.
  • 윌리엄 애덤스: 스페인 신부들의 주작[8]에도 불구하고 외교 고문까지 오르고(사무라이 신분은 덤), 일본 최초의 서양식 범선도 만들고, 북극항로(당시엔 서북항로) 구상도 했다. 죽을 때 360년 후에 땅값보고 감사할거라며 집(니혼바시(日本橋) 소재)을 절대 팔지 말라고 한다.
  • 바바 사주로(사다요시): 원래 사다요시가 본명이다. 무려 네덜란드어, 불어, 영어, 러시아어, 만주어를 마스터하고, 프랑스 백과사전을 번역한 능력자.
  • 루이 14세: 사진으로만 등장한다. 네덜란드 상관장이 태양왕이라 불린다 하자, 막부 인물이 천황이라 비슷한건가 라고 한다.
  • 나폴레옹: 사진으로만 등장한다. 막부 인물이 "유럽의 노부나가인가?"라며 경악한다.
  • 주지유: 명청 교체기의 명나라 유학자. 라멘을 처음으로 선보였다고 한다.

3. 제1차 아편전쟁(1840년대)



3.1. 제1차 아편전쟁(10화~14화)


  • 도광제: 황태자 시절에 아편을 복용하며 사냥을 즐기다가, 보위에 오른 뒤부터 아편의 패악을 경험한 뒤 아편이라면 치를 떨며 아편 엄금 정책을 펼치는 황제가 되었다.
  • 임칙서: 원 역사처럼 흠차대신 임명 뒤 아편에 대한 단속 정책을 펼치고 제1차 아편전쟁에서도 나름대로 노력을 하지만 흠차대신에서 짤려버린 후 위구르에서 유배생활을 보낸다(...)
  • 찰스 엘리엇: 임칙서의 아편 몰수에 항의하며, 아편 금수 각서에 서명하려는 영국 상인들을 막고, 처음에는 포르투갈령 마카오 그 다음에는 홍콩까지 내려가서 농성을 펼친다.

4. 태평천국 운동 초중반, 제2차 아편전쟁, 흑선내항~사쿠라다 문 밖의 변(1850년대)



5. 태평천국 운동 후반, 사쿠라다 문 밖의 변~조슈 정벌(1860년대)



6. 남북전쟁, 임술농민봉기~병인양요, 염군의 난~양무운동, 보오전쟁, 조슈 정벌~무진전쟁(1860년대)



6.1. 베트남사(92, 96화)


  • 민제(레): 찐씨 정권의 허수아비 황제.[9] 찐씨 정권이 응우옌반후에에게 멸망하자 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청군이 박살 난다.[10]
  • 응우옌반후에: 떠이선당의 난을 일으켜 응우옌씨 정권을 멸망시키고, 찐씨 정권도 멸망시키고, 청군도 격퇴시킨다. 하지만 요절한다.
  • 응우옌푹아인: 응우옌씨 정권이 망하자 태국으로 도망간다.
  • 피에르 피뇨 드 베엔느:
  • 응우옌푹까인: 푹아인의 아들로 베엔느를 따라 프랑스에 가 베르사유 궁을 방문한다. 하지만 요절한다.
  • 명명제: 동아시아에서는 무조건 유교라며 유교 통치를 한다. 조카인 미드엉이 근친상간 혐의로 체포당하자 놀란다. 이후 레 반 코이의 반란이 진압되자 가톨릭을 역적으로 규정한다.
  • 응우옌푹미드엉: 푹까인의 아들로 근친상간 혐의로 체포된다. 이때 옆에서 "Tag-, -꺼라"라고 한다.
  • 레 반 코이: 미드엉의 복권, 가톨릭 세력 분쇄 음모 저지를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키지만 실패한다.
  • 소치제: 선교사 5명의 석방을 요구하는 프랑스 함대[11]의 다낭 포격 직후[12] 죽는다.
  • 사덕제: 프랑스 선교사는 건들면 포탄이 날아오지만 스페인 선교사는 처형해도 별일 없겠다며[13] 스페인 선교사 2명을 처형한다. 96화에서 코친차이나 서부 3성이 점령당하자 당황한다.
  • 이사벨 2세#
  • 나폴레옹 3세#: 베트남에서 스페인 선교사 2명이 처형당하자 똥양인들 때찌 해준다며 이사벨 2세한테 접근한다.
  • 엘긴 백작(제임스 브루스), 장바티스트 루이 그로, 예프피미 푸탸틴(푸챠틴), 윌리엄 브래드포드 리드: 톈진 조약 체결 장면에서 등장.
  • 판 타인 쟌: 페이지를 만날 땐 강화 요구를 거부했으나, 미토가 점령당하자 샤르네에게 조정의 결론이 신앙의 자유를 허가하는 쪽이 됐다고 하지만 땅을 원하는 프랑스를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했고, 결국 망국의 문을 연 역신(逆臣)[14]으로 기억되겠다며 제1차 사이공 조약을 체결한다. 이후 월경지가 된 코친차이나 서부 3성을 다스리다가, 게릴라를 이유로 프랑스에 점령당하자 음독 자결한다.
  • 프랑수아 페이지(파주): 판 타인 잔에게 그냥 신앙의 자유만 보장해주면 철수한다고 하지만 판 타인 쟌이 조정의 입장이 완고하다며 거부한다.
  • 레오나르(로나르) 샤르네: 미토를 점령하고 판 타인 쟌의 강화 요구에 땅을 요구하지만 베트남 조정이 시간을 끌자 빈롱비엔호아를 점령해 사이공 조약을 이끌어낸다. 그리고 사이공 조약에서 인증샷을 찍는다.
  • 피에르 폴 드 라 그랑디에르: 96화에서 매콤한 쌀국수 맛이나 보라고 코친차이나 동부 3성에 대한 게릴라를 하는 세력에게 베트남 쌀국수는 프랑스식 육수 도입 후에 완성된다고 하며 등장. 그리고 판도를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7. 파라과이 전쟁 종전, 엠스 전보 사건~, 톈진 교안(1870년대)


  •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즈: 국민 최후의 1인까지 옥쇄를 외치다가 전사한다.
  • 이와사키 야타로: 새시대의 첨단 경영기법은 정경유착이라며 미쓰비시 그룹을 창건한다.
  • 레오폴드 대공: 비스마르크가 스페인 왕위 후보로 밀어주다가, 나폴레옹 3세의 반발로 포기를 선언한다.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나폴레옹 3세: 독일 놈들이 프랑스 나와바리인 스페인 왕위 노린다고 반발해 레오폴드 대공이 자진포기하게 한다.
  • 무란진(武蘭珍): 영유아 납치범. 수갑이 채워져있다.
  • 유걸(劉傑): 톈진 지현(톈진시장). 인자당 교회에 대해 괴소문으로 백성들이 집단 민원을 넣자 교회에 압수수색을 통보한다. 만화에서는 안 나오지만 그 후 면직된다.
  • 앙리 빅토르 퐁타니에: 주 톈진 프랑스 영사. 조약(톈진 조약) 위반이라며 항의하다가 수행원 시몽이 관헌을 쏘자 분노한 군중에게 맞아 죽는다.
  • M.시몽(M.Simon): 퐁타니에의 수행원. 귀축 양귀는 꺼지라며 미는 관헌을 "어딜 만져!"라고 하다가 칭챙총은 Gun Bang지다며 관헌을 쏜다. 그리고 영사와 같이 맞아 죽는다. 여담으로 둘의 시체는 강에 버려졌다.

[1] 실존인물이라지만 신도 가끔 들어있다.[2] 신나라 항목을 보면 왜 중국이 좋아하는지 알 수 있다.[3] 단행본에서는 "어메이징! 황제 보쌈!"[4] 참고로 농민반란군의 대사는 제3대 대통령 선거 당시 민주당이 내세웠던 구호이고, 숭정제의 대사는 자유당의 구호다.[5] 단행본에는 수염도 생기고 "可?(뭐라고?)"라고 한다.[6] 이때 무로 March(행진하다)라면서 무들이 행진한다(...).[7] 옆 사람이 "똥은 내가 '다누마'라고 비리가 쩔던데"라고 하자, 그 옆 사람이 "비리 좀 있으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라고 한다.[8] "Nice to meet you(만나서 반갑습니다)"를 "쪽바리 죽어"라고 통역했다. 그러나 막부 측에서 똑바로 하라며 실패.[9] 이때 응우옌씨 정권이 찐씨 정권을 보고 조조라고 한다.[10] 다만 오류가 있는데, 실제론 1788년이지만 만화에서는 1789년이다.[11] 참고로 그 프랑스 함대는 기해박해에 대해 항의하러 조선으로 갔는데, 표류당했다(...). 자세한 내용은 쿠로후네 사건의 여담 문단 참고.[12] 다만 완전 직후는 아니고(다낭 포격은 3월에 일어났다.) 11월에 죽었다.[13] 옆의 신하가 스페인은 무섭지않냐고 하자 "스페인은 축구빼고 딱히...."라고한다.[14] 임금을 반역한 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