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영화
1. 개요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영화의 총칭. 이 중 유아용 애니메이션이나 아동용 애니메이션은 어린이 영화의 하위 분류로 볼 수 있다.[1]
2. 한국에서
한국 극장가의 장편 애니메이션은 크게 5가지 성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디즈니-픽사와 같은 북미 대형 스튜디오의 작품
- <언더독> <점박이2>와 같은 국내 오리지널 창작 애니메이션
-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2018),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2018)처럼 인기 TV시리즈나 완구를 기반으로 한 프랜차이즈 애니메이션의 극장판
-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와 같이 검증된 시리즈로 탄탄한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 <빅샤크: 매직체인지>(2018) 등 북미와 유럽의 3D 애니메이션.
북미, 유럽의 저예산 3D애니메이션 때문에 개봉 편수가 증가한 것과 달리 전체적인 관객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난해부터 애니메이션 투자, 개발, 배급에 힘을 쏟고 있는 NEW 배급팀의 류상헌 대리는 “<너의 이름은.>의 흥행으로 시장이 반짝 증가했던 2017년을 제외하면 (북미 직배사 제외) 평균 400만~500만 관객 시장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NEW의 경우 이러한 판단 아래 시장의 확장과 다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을 바탕으로 2018년 의욕적으로 애니메이션 배급과 확장에 공을 들였다. 문제는 시장의 확장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수입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 개봉 편수 증가하면서 몇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단순히 계산해도 총 관객수가 그다지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편수가 증가했다는 말은 관객이 개별 영화들로 분산되었다는 뜻이다. 실제로 2018년 개봉 애니메이션의 관객 추이를 보면 도드라지는 작품 없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2018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중 100만명 이상 동원한 작품은 북미 대형 애니메이션 3편뿐이다. <명탐정 코난> 등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들도 예전에 비해 미세한 수치이긴 하지만 관객이 줄었다. <너의 이름은.> <펭귄 하이웨이> 등을 수입한 미디어캐슬의 강상욱 이사는 “마니아층 관객의 체감 관객수는 확실히 줄었다. 코난, 도라에몽 등 전통적인 팬들이 탄탄한 시리즈물은 그나마 감소 폭이 낮지만 여타 일본 애니메이션의 경우 확실히 타격을 받고 있다. 10만 관객을 목표로 들여오면 4만~5만명에 그치는 정도다”라고 밝혔다. 2018년 국내 장편애니메이션 중 성과를 거둔 작품은 <극장판 헬로카봇: 백악기 시대>(87만명)와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67만명) 정도다. 국내 애니메이션 중 두각을 드러낸 작품이 모두 TV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프랜차이즈 극장판이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이들 TV시리즈의 극장판은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제작할 수 있고 안정된 부가판권을 거둘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따라서 당분간 국내 창작 애니메이션의 제작 편중 현상이 일어난다고 해도 이상할 것이 없다. 정리하자면 관객층의 확장과 새로운 관객의 유입 없이 물리적인 편수가 증가해 수익을 나눠 가지는 분위기 속에서 제작, 창작 시장은 도리어 안정 지향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이 일어날 거라는 전망이다. 강상욱 이사는 “그럼에도 아직 시장의 포화 상태라고 말하기엔 이르다. 물리적으로도 1년에 100편 남짓이 한국 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양이라고 보진 않는다. 다만 작품의 수적 증가에 비해 다양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애니메이션의 주 수요층인 어린이들의 출산율은 점차 낮아지는데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까지 겹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가족 단위 관람객이 줄어들어서 안 그래도 부진한 애니메이션 영화 장르 자체가 고사 직전까지 몰리게 됐다. 그래도 그런 상황에서도 성우들이 홈레코딩을 하는 것과 같은 재택근무를 통한 협업으로도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은 실사물보다는 그나마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2]
3. 연도별 목록
- 등재 기준
- 오리지널 극장용 애니메이션
- TV 방영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지 않는 극장용 애니메이션[3]
- 분류
-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하였거나(2000년 이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애니메이션 상을 수상(2001년 신설 이후)한 영화: ★
- 10억 달러 돌파 영화 혹은 당해 애니메이션 영화 중 최고 월드와이드 흥행 성적을 기록한 영화: ☆
3.1. 1980년대 이전
- 곰돌이 푸
- 덤보 ★☆
- 동물 보물섬
- 라틴 아메리카의 밤
- 레이디와 트램프 ☆
- 로빈 훗 ☆
- 마녀 배달부 키키
- 멜로디 타임
- 미키와 콩나무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 반딧불이의 묘
- 밤비 ☆
- 백사전
-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
- 생쥐 구조대 ☆
- 슬픔의 벨라돈나
- 신데렐라 ☆
- 아더왕의 검 ☆
- 아리스토캣 ☆
- 올리버와 친구들
- 위대한 명탐정 바실
- 음악의 세계
- 이웃집 토토로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 이카보드와 토드경의 모험
- 인어공주 ★☆
- 잠자는 숲속의 공주 ☆
- 정글북 ☆
- 천공의 성 라퓨타
- 타란의 대모험
- 토드와 코퍼 ☆
- 피노키오 ★☆
- 피터 팬 ☆
- 헤라클레스 ☆
- 호피와 차돌바위
- 홍길동
- 환타지아 ★
- 101마리 달마시안
- 3인의 기사
- AKIRA(1988)
- Porky In Wackyland
- 15소년 우주 표류기
3.2. 1990년대
- 공각기동대
- 노틀담의 꼽추 ☆
- 라이온 킹 ★☆
- 모노노케 히메
- 뮬란
- 미녀와 야수 ★☆
- 벅스 라이프 ☆
- 붉은 돼지
- 알라딘 ★☆
- 이웃집 야마다군
- 이집트의 왕자 ★
- 인랑
- 추억은 방울방울
- 코디와 생쥐 구조대
- 타잔 ★
- 토이 스토리 ★☆
- 토이 스토리 2 ☆
- 퍼펙트 블루
- 포카혼타스 ★
-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 환타지아 2000
3.3. 2000년대
3.3.1. 2000년~2004년
-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
- 고양이의 보은
- 니모를 찾아서 ★☆
- 다이너소어 ☆
- 릴로 & 스티치
- 몬스터 주식회사 ☆
- 보물성
- 브라더 베어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 슈렉 ★
- 슈렉 2 ☆
- 아이스 에이지 ☆
- 아틀란티스: 잃어버린 제국
- 인크레더블 ★
- 천년여우
- 치킨 런
- 카우 삼총사
- 쿠스코? 쿠스코!
- 하울의 움직이는 성
3.3.2. 2005년~2009년
- 게드전기
- 공의 경계
- 공주와 개구리
- 라따뚜이 ★
- 로빈슨 가족
- 마다가스카 ☆
- 마다가스카 2
- 벼랑 위의 포뇨
- 볼트
- 슈렉 3 ☆
- 시간을 달리는 소녀
- 썸머 워즈
- 아이스 에이지 2 ☆
- 아이스 에이지 3 ☆
- 업 ★
-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 ★
- 월-E ★
- 초속 5센티미터
- 치킨 리틀
- 카
- 코렐라인: 비밀의 문
- 쿵푸팬더 ☆
- 파프리카
- 플러쉬
- 피아노의 숲
- 해피 피트 ★
3.4. 2010년대
3.4.1. 2010년~2013년
- 가구야 공주 이야기
- 거꾸로 된 파테마
- 겨울왕국 ★☆
- 곰돌이 푸
- 꼬마마녀 요요와 네네
- 늑대아이
- 드래곤 길들이기
- 라푼젤
- 랭고 ★
- 마다가스카 3
- 마당을 나온 암탉
- 마루 밑 아리에티
- 메리다와 마법의 숲 ★
- 모모와 다락방의 수상한 요괴들
- 몬스터 대학교
- 바람이 분다
- 별을 쫓는 아이
- 슈렉 포에버
- 아이스 에이지 4 ☆
- 언어의 정원
- 장난감이 살아있다
- 주먹왕 랄프
- 카 2
- 코쿠리코 언덕에서
- 쿵푸팬더 2 ☆
- 토이 스토리 3 ★☆
- 하루
- 후세: 말하지 못한 내 사랑
3.4.2. 2014년~2016년
- 괴물의 아이
- 굿 다이노
- 나의 붉은고래
- 낙원추방
- 너의 이름은.
- 도리를 찾아서 ☆
- 동급생
- 드래곤 길들이기 2
- 마음이 외치고 싶어해
- 모아나
- 목소리의 형태
- 미니언즈 ☆
- 배저로와 친구들: 신비한 모험
- 붉은 거북
- 빅 히어로 ★☆
- 세기말 하모니
- 씽
- 아이스 에이지 5
- 언더더씨
- 유니콘 원정대: 비밀의 다이어리
- 유리의 꽃과 부수는 세계
- 이 세상의 한 구석에
- 인사이드 아웃 ★
- 주토피아 ★☆
- 죽은 자의 제국
- 추억의 마니
- 팝핀Q
- 쿵푸팬더 3
- UFO 학원의 비밀
3.4.3. 2017년~2019년
- 겨울왕국 2 ☆
- 날씨의 아이
- 낮잠 공주: 모르는 나의 이야기
- 내일 세계가 끝난다 해도
- 너와 파도를 탈 수 있다면
- 너의 목소리
-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 더 브레드위너
- 더 크리스마스
- 드래곤 길들이기 3
- 래빗 스쿨
- 러빙 빈센트
- 레드슈즈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레이드배커스
- 리즈와 파랑새
- 리틀 뱀파이어
- 메리와 마녀의 꽃
- 몬스터 패밀리
- 미래의 미라이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 버스데이 원더랜드
- 보스 베이비
- 빅 배드 폭스
- 빅풋 주니어
- 산타 컴퍼니 크리스마스의 비밀
- 새벽을 알리는 루의 노래
- 슈퍼배드 3 ☆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 언더독
- 얼리 맨
- 옷코는 초등학생 사장님!
-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
- 인크레더블 2 ☆
- 작일청공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카 3: 새로운 도전
- 코코 ★
- 토이 스토리 4 ☆★
- 페르디난드
- 펭귄 하이웨이
- 프로메어
- 하늘의 푸르름을 아는 사람이여
- 학살기관
- 해수의 아이
- BLACKFOX
- HELLO WORLD
3.5. 2020년대
3.5.1. 2020년~2023년
-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
- 번 더 위치
- 보스 베이비 2
- 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
- 사이다처럼 말이 끓어올라
- 소울
- 스페이스 잼 2
- 씽 2
- 영화 너무 좋아 폼포 씨
-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 울고 싶은 나는 고양이 가면을 쓴다
-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트롤: 월드 투어
- 피터 래빗 2: 더 런웨이
[1] 다만 <금빛 모자이크> 등 일부 청소년 애니들은 현행 심의규정상 어린이 애니로 분류됨.[2] 애니업계의 재택근무는 교토 애니메이션 제1스튜디오 방화 사건 이후 확대되었는데 재택근무가 안되면 노트북 컴퓨터나 USB 메모리 등에 작업물을 백업시키기도 한다.[3] TV 방영 시리즈를 원작으로 하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극장판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