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막장형

 


1. 개요
2. 목록


1. 개요


말 그대로 막장. 크게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가 막장인 경우와 인물이 처하게 되는 상황이 막장인 경우로 나뉜다.
태도가 막장인 주인공은 될 대로 되라 식의 사고방식과 그게 어쨌는데 하는 삐딱한 포즈, 삶에 의욕이 없는 자세 등의 요소로 나타난다. 하지만 중반쯤 무언가로 인해 각성하고 결국 '진정한 주인공'으로 부활하여 작품 끝까지 가는 경우가 대부분. 하지만 그렇지 않고 끝까지 막장으로 사는 경우도 있다. 대개 이 부류의 주인공들은 삿대질을 남발해도 전혀 불운이 따르지 않는다는 먼치킨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막장형이라고 인간쓰레기인 건 아니고, 막장형과 열혈형이 결합되어서 할 때는 하는 주인공도 있다.
두 번째 경우는, 주인공은 노력하지만 주인공이 처하게 되는 상황이 시궁창만 거듭되는 형태다. 대표적으로 베르세르크가츠. 이 경우는 밑의 안습 속성과 겹친다. 정반대로, 본작이 부조리 코미디나 세계관이 개그일 경우 본인이 멀쩡해도 부조리하게 주변에 휘둘리는 막장 사례도 매우 많다.

2. 목록


막장형에서 벗어나는 주인공들은 ☆표시


[1] 싸이렌소리가 마을 전체에 울려퍼지는데도 팬티 차림으로 컴퓨터를 조립한다(…) [2] 어릴 때 어떤 쳐죽여도 시원찮을 미치광이 전쟁광에게 세뇌된 상태에서 자기 가족을 자기 손으로 쏴 죽였고, 1기 시절은 훌륭한 테러리스트였다.[3] 오도로키의경우는 +열혈.[4] 주변 인물의 인생을 막장으로 만드는 일도 잦은 편이고, 인생 자체가 약간 막장이다. 성적도 낮은 편이지만 이상하게도 기계는 잘 다룬다.[PTSD] 알파스티그마로 인해 자신같은건 어떻게 되어버려도 상관없는 태도, 이러한 영향 때문에 만년 귀차니즘 성향을 갖게 됨. 이러한 귀차니즘은 과거에 겪었던 일들 때문에 PTSD(자포자기의 성향) 라이너의 귀차니즘의 근본은 여기에 온 것이라고 추정되고 있는 추세다.[5] 암울한 과거나 외전을 보면 불행 수치가 엄청나다.[6] 마법을 만들어낸 지성들을 보면 그 머리가 어디에서 나왔는 지 알 수 있다.[7] 1부 전용전 한정. 2부 대전용전에서는 아무래도 한 나라의 왕이 되다보니 적어도 3명 이상 인원으로 다닌다.[8] 자진해서 2년간 감옥에 간 적도 있으며, 사람을 사랑하는 라이너에게 있어서 사람들이랑 늘 가까이 하고 싶었지만 그런 사람들에게 늘 배척을 받아서 결국은 자신이 사람을 가까이 하는 걸 포기한 적이 있었다.[9] 전용전에서 보이는 모습. 과거편이나 타검용전 보면은 사실 능력이 꽤 되는데도 전용전에서는 또 사람들에게 배척을 당할까봐 일부러 힘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인다.[10] 이게 대단한것이, 작품 배경만 보아도 암울하기 그지없고, 특히 라이너 같은 경우는 사람들에게 여러 번 배척당하고, 본인의 환경을 생각해보면 이미 6살 때 부터 일탈을 하더라도 무리가 없던 상황이었다. 그만큼 여러 수난들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여태까지 삐뚤어진 적이 한 번도 없다. 불합리한 대우를 받아도 라이너는 끝까지 인간을 사랑하고 있다. 심지어 사람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끔찍한 힘 때문에 자신을 가까이 하지 못하니 스스로 두 눈을 없애려고까지 했다.. 이러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좀 친근하게 대하지 않을까 싶어서 이런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애정결핍을 보이는 부분이다. 그리고 한 번도 남을 원망하거나 미워해 본적이 없다….[11] 작품의 특성이나 긴토키가 겪어온 인생, 세계관등등으로 작품의 상황이 수시로 바뀌다 보니 그만큼 다양한 면을 보여준다.[12] 막장적인 면이 더 부각되지만 제3자의 입장에서 보면 민폐형도 가능하다...[13] 2부에 똑같은 이름의 아들이 등장하지만 이쪽은 막장보다는 성깔있는 열혈에 가깝다.[14] 1화에서 제로에게 당한 이후 스텟이 초기화됨.[15] 게다가 백신도 없다.[16]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바람을 피자 않는 이상은 수십명의 여성들과 사귀는 것이 불가능 하다. 그렇기에 이는 츠카사의 잘못이라기 보다는 그저 사디스트녀들의 변명일 뿐이다[17] 12권 부터.[18] 시작부터 교도소에 수감된 신세.[19] 본인의 왜곡된 가치관을 그대로 지니고 성장하면 아처와 같은 미래가 기다리고 있지만 작중에서는 이를 받아 들이거나 극복하거나 아예 버림으로서 아처와 같이 되지는 않는다.[20] 초중반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