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장기집권

 



1. 개요
2. 집권이 종료된 독재자
2.1. 50년 이상
2.2. 40~49년
2.3. 35~39년
2.4. 30~34년
2.5. 25~29년
2.6. 20~24년
2.7. 15~19년
2.8. 10~14년
3. 현재도 집권 중인 독재자
4. 관련 문서


1. 개요


독재자들 중에는 어지간한 보다도 오랫동안 국가를 지배한 사람들이 많다. 독재 문서 참조. 물론 그 와중에도 폴 포트운게른 슈테른베르크 등처럼 짧고 굵게 독재하다가 끝난 사람들도 있지만, 독재자들이 장기집권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 독재 치하에 있는 국민들은 후새드할 뿐.

아래 항목에 기재된 독재자들 중 현역인 사람들의 임기가 조만간 종료될지도 모르는 상황이 2010년 말에서 2011년 초부터 아랍권에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카다피, 살레, 무바라크 등 상위 랭킹들은 대거 사라졌다.

  • 독재자들 문서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으실 때에는 1900년 이후에 집권한 군주가 아닌 사람들을 추가할 것.[1][2]
  • 10년 이상을 기본으로 하되 프랑수아 미테랑이나[3], 앙겔라 메르켈[4] 마가렛 대처, 헬무트 콜, 타게 엘란데르, 피에르 트뤼도와 같이[5] 합법적으로 집권하였으며[6], 헌법으로 보장된 권력분립에 의해 의회나 사법부 및 기타 기관의 견제를 받아 온 지도자는 추가하지 않는다.
  • 현재 집권 중인 사람은 '현재도 집권중인 독재자'에 표시되어 있다.
  • 정식 국가의 독재자를 추가할 것. 예외라면 서사하라로, 여기는 미승인국이지만 그래도 여긴 사실상 독립을 아프리카에서 인정한 국가가 많으며, 독재자인 압델 라지즈는 사실상 홀로 독재를 누리는 경우다. 팔레스타인 역시 반쯤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기도 하고 상임 회원국이기도 하다.
  • 재임 기간이 긴 순서대로 서술되어있다.
  • 독재자/목록에서 가져온 등재 기준으로 다음의 경우는 제외한다.
독재자와 장기집권 지도자와는 구별이 필요하며 민주적/합법적 절차에 따른 장기집권은 '''등재하지 말 것.'''
군주제 국가의 군주폭군 문서에 등재할 것.


2. 집권이 종료된 독재자



2.1. 50년 이상


[[파일:1px 투명.png
''' 50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피델 카스트로[7]

90세
1926.08.13.
2016.11.25.
52년 61일
1959.02.16.
2011.04.19.
사임, 은퇴

2.2. 40~49년


[[파일:1px 투명.png
''' 40~49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장제스

87세
1887.10.31.
1975.04.05.
46년 188일[8]
1928.10.10.
1975.04.05.
사망
'''김일성'''[9]

82세
1912.04.15.
1994.07.08.
45년 302일
1948.09.09.
1994.07.08.
사망
무아마르 카다피

69세
1942.06.07.
2011.10.20.
42년 173일
1969.09.01.
2011.08.23.
시민혁명내전암살
오마르 봉고

73세
1935.12.30.
2009.06.08.
41년 199일
1967.12.02.
2009.06.08.
사망
엔베르 호자

76세
1908.10.16.
1985.04.11.
40년 171일
1944.10.22.
1985.04.11.
사망


2.3. 35~39년


[[파일:1px 투명.png
''' 35~39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모하메드 압델아지즈[10]

69세
1946.08.17.
2016.05.31.
39년 276일
1976.08.30.
2016.05.31.
사망
프란시스코 프랑코

82세
1892.12.04.
1975.11.20.
39년 51일
1936.10.01.
1975.11.20.
사망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82세
1942.08.28.
(현재)
38년 10일
1979.09.10.
2017.09.20.
임기 종료, 은퇴
냐싱베 에야데마

69세
1935.12.26.
2005.02.05.
37년 307일
1967.04.14.
2005.02.05.
사망
로버트 무가베

95세
1924.02.21.
2019.09.06.
37년 213일[11]
1980.04.18.
2017.11.21.
쿠데타 후 하야
요시프 브로즈 티토

87세
1892.05.07.
1980.05.04.
36년 157일
1943.11.29.
1980.05.04.
사망
안토니우 살라자르

81세
1889.04.28.
1970.07.27.
36년 91일
1932.07.05.
1968.09.25.
의식불명을 틈탄 실각[12]
토도르 지프코프

86세
1911.09.07.
1998.08.05.
35년 260일
1954.03.04.
1989.11.10.
사임


2.4. 30~34년


[[파일:1px 투명.png
''' 30~34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94세
1912.11.03.
2006.08.16.
34년 181일
1954.08.15.
1989.02.03.
쿠데타
알리 압둘라 살레[13]

75세
1942.03.21.
2017.12.04.
33년 224일
1978.07.18.
2012.02.27.
시민혁명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88세
1905.10.18.
1993.12.07.
33년 130일
1960.08.07.
1993.12.07.
사망
욤자깅 체뎅발

74세
1916.09.17.
1991.04.20.
32년 219일
1952.01.26.
1984.08.24.
실각
다우다 자와라

95세
1924.05.16.
2019.08.27.
32년 40일
1962.06.12.
1994.07.22.
쿠데타
카다르 야노시

77세
1912.05.26.
1989.07.06.
31년 214일
1956.10.25.
1988.05.27.
실각
하비브 부르기바

96세
1903.08.03.
2000.04.06.
31년 210일
1956.04.11.
1987.11.07.
궁정 쿠데타
모부투 세세 세코

66세
1930.10.14.
1997.09.07.
31년 181일
1965.11.24.
1997.05.16.
내전 패배
리콴유

91세
1923.09.16.
2015.03.23.
31년 176일
1959.06.05.
1990.11.28.
사임[14]
헤이스팅스 반다[15]

98세
1899.02.15.
1997.11.25.
31년 120일
1963.02.01.
1994.05.24.
선거
수하르토

87세
1921.06.08.
2008.01.27.
31년 78일
1967.03.12.
1998.05.21.
시민혁명
이오시프 스탈린[16]

74세
1878.12.18.
1953.03.05.
30년 344일
1922.04.03.
1953.03.05.
사망
라파엘 트루히요

69세
1891.10.24.
1961.05.30.
30년 295일
1930.08.16.
1961.05.30.
암살
아브두 디우프

89세
1935.09.07.
(현재)
30년 35일
1970.02.26.
2000.04.01.
선거
마우문 압둘 가윰

86세
1937.12.29.
(현재)
30년
1978.11.11.
2008.11.11.
선거


2.5. 25~29년


[[파일:1px 투명.png
''' 25~29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오마르 알 바시르

80세
1944.01.01.
(현재)
29년 285일
1989.06.30.
2019.04.11.
군사 쿠데타로 인한 실각
하페즈 알 아사드

69세
1930.10.06.
2000.06.10.
29년 209일
1970.11.21.
2000.06.10.
사망
호스니 무바라크

91세
1928.05.04.
2020.02.25.
29년 127일
1981.10.14.
2011.02.11.
시민혁명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84세
1940.07.06.
(현재)
28년 357일
1990.04.24.
2019.03.20.
사임
블레즈 콩파오레

73세
1951.02.03.
(현재)
27년 16일
1987.10.15.
2014.10.31.
시민혁명
케네스 카운다

100세
1924.04.28.
(현재)
27년 9일
1964.10.24.
1991.11.02.
선거
마오쩌둥

82세
1893.12.26.
1976.09.09.
26년 360일
1949.09.21.
1976.09.09.
사망
프랑스 알베르 르네

83세
1935.11.16.
2019.02.27.
26년 322일
1977.06.05.
2004.04.16.
사임
네 윈

92세
1911.05.24.
2002.12.05.
26년 207일
1962.03.02.
1988.09.18.
시민혁명→궁정 쿠데타
이슬람 카리모프[17]

78세
1938.01.30.
2016.09.02.
26년 169일
1990.03.24.
2016.09.02.
사망
아메드 세쿠 투레

62세
1922.01.09.
1984.03.26.
25년 182일
1958.10.02.
1984.03.26.
사망


2.6. 20~24년


[[파일:1px 투명.png
''' 20~24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24년 이상~25년 미만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71세
1918.01.26.
1989.12.25.
24년 281일
1965.03.22.
1989.12.22.
시민혁명 → 총살
대니얼 아랍 모이

95세
1924.09.02.
2020.02.04.
24년 136일
1978.08.22.
2002.12.30.
사임, 은퇴
23년 이상~24년 미만
사담 후세인

69세
1937.04.28.
2006.12.30.
23년 273일
1979.07.16.
2003.04.09.
미국의 침공으로 실각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83세
1936.09.03.
2019.09.19.
23년 74일
1987.11.07.
2011.01.14.
시민혁명
22년 이상~23년 미만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65세
1924.08.24.
1989.11.30.
22년 186일
1960.01.01.
1982.11.06.[18]
건강악화로 인한 승계
야히아 자메

59세
1965.06.25.
(현재)
22년 183일
1994.07.22.
2017.01.21.
선거 → 군사개입(ECOWAS)
무사 트라오레

88세
1936.09.25.
(현재)
22년 132일
1968.11.19.
1991.03.26.
쿠데타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99세
1925.07.10.
(현재)
22년 108일
1981.07.16.
2003.10.31.
사임[19]
21년 이상~22년 미만
수카르노

69세
1901.06.06.
1970.07.21.
21년 214일
1945.08.15.
1967.03.12.
실각
시아드 바레

75세
1919.10.06.
1995.01.02.
21년 102일
1969.10.21.
1991.01.26.
내전으로 인한 축출
멜레스 제나위

57세
1955.05.09.
2012.08.20.
21년 90일
1991.05.28.
2012.08.20.
사망
줄리어스 니에레레

77세
1922.04.13.
1999.10.04.
21년 7일
1964.10.29.
1985.11.05.
사임, 은퇴
20년 이상~21년 미만
발터 울브리히트

80세
1893.06.30.
1973.08.01.
20년 287일
1950.07.25.
1971.05.03.
사임[20]
베니토 무솔리니

61세
1883.07.29.
1945.04.28.
20년 272일
1922.10.31.
1943.07.25.
전쟁 패배로 축출[21]
마위야 울드 시디아흐마드 알타야

82세
1941.11.28.
(현재)
20년 239일
1984.12.12.
2005.08.03.
쿠데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72세
1917.09.11.
1989.09.28.
20년 52일
1965.12.30.
1986.02.15.
시민혁명


2.7. 15~19년


[[파일:1px 투명.png
''' 15~19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19년 이상~20년 미만
탄 슈웨

91세
1933.02.02.
(현재)
19년 341일
1992.04.23.
2011.03.30.
건강 악화로 은퇴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87세
1937.03.02.
(현재)
19년 340일
1999.04.27.
2019.04.02.
사임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60세
1896.02.01.
1956.09.29.
19년 276일
1937.01.01.
1956.09.29.
암살
포브스 버넘

62세
1923.02.20.
1985.08.06.
19년 138일
1966.05.26.
1985.10.06.
사망
18년 이상~19년 미만
에리히 호네커

81세
1912.08.25.
1994.05.29.
18년 173일
1971.05.03.
1989.10.18.
실각
박정희

61세
1917.11.14.
1979.10.26.
18년 115일[22]
1961.07.03.
1979.10.26.
암살
레오니드 브레즈네프

75세
1906.12.19.
1982.11.10.
18년 27일
1964.10.14.
1982.11.10.
사망
조제프 카빌라

48세
1971.06.04.
(현재)
18년 11일[23]
2001.01.17.
2019.01.24.
선거
17년 이상~18년 미만
풀헨시오 바티스타

72세
1901.01.16.
1973.08.06.
17년 345일[24]
(11년 47일)
(6년 298일)


1933.08.25.
1952.03.10.


1944.10.10.
1959.01.01.


선거
혁명(내전)

모크타르 울드 다다

78세
1924.12.15.
2003.10.14.
17년 228일
1960.11.28.
1978.07.10.
쿠데타
'''김정일'''[25]

70세
1941.02.16.
2011.12.17.
17년 162일
1994.07.08.
2011.12.17.
사망
16년 이상~17년 미만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91세
1915.11.15.
2006.12.10.
16년 185일
1973.09.11.
1990.03.11.
선거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87세
1937.05.21.
(현재)
16년 184일
1974.11.22.
1991.05.21.
내전 패배로 축출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66세
1940.02.19.
2006.12.21.
16년 53일
1990.11.02.
2006.12.21.
사망
후안 비센테 고메스

78세
1857.07.24.
1935.12.17.
16년 287일
(5년 122일)
(6년 342일)
(4년 188일)


1908.12.19.
1922.06.24.
1931.06.13.


1914.04.19.
1929.05.30.
1935.12.17.


사임
임기 종료
사망

15년 이상~16년 미만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93세
1876.03.05.
1969.12.13.
15년 338일
1933.02.01.
1949.01.01.
선거
허를러깅 처이발상

56세
1895.02.08.
1952.01.26.
15년 333일
1936.03.02.
1952.01.26.
사망
가파르 니메이리

79세
1930.01.01.
2009.05.30.
15년 320일
1969.05.25.
1985.04.06.
쿠데타


2.8. 10~14년


[[파일:1px 투명.png
''' 10~14년'''
'''이름'''
'''국가'''
'''나이'''
'''출생'''
'''사망'''
'''집권기간'''
'''집권시작'''
'''집권종료'''
'''종료사유'''
14년 이상~15년 미만
제툴리우 바르가스[26]

72세
1882.04.19.
1954.08.24.
14년 364일
1930.11.03.
1945.10.29.
쿠데타
장쩌민[27]

98세
1926.08.17.
(현재)
14년 319일
1989.11.09.
2004.09.19.
사임
덩샤오핑

92세
1904.08.22.
1997.02.19.
14년 319일
1978.03.08.
1989.11.09.
은퇴
장 클로드 뒤발리에

63세
1951.07.03.
2014.10.04.
14년 295일
1971.04.22.
1986.02.07.
시민혁명
프랑수아 톰발바예(은가르타 톰발바예)

56세
1918.06.05.
1975.04.13.
14년 246일
1960.08.11.
1975.04.13.
쿠데타, 암살
아스카르 아카예프

79세
1944.11.10.
(현재)
14년 152일
1990.10.27.
2005.03.24.
시민혁명
안타나스 스메토나

69세
1874.08.10.
1944.01.09.
14년 77일
1926.12.19.
1940.06.15.
소련 침공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77세
1905.02.06.
1982.09.10.
14년 60일
1956.10.21.
1970.12.20.
사임, 시민혁명
우고 차베스

58세
1954.07.28.
2013.03.05.
14년 31일
1999.02.02.
2013.03.05.
사망
13년 이상~14년 미만
장 베델 보카사

75세
1921.02.22.
1996.11.02.
13년 265일
1966.01.01.
1979.09.20.
쿠데타
우아리 부메디엔

46세
1932.08.23.
1978.12.27.
13년 194일
1965.06.19.
1978.12.27.
사망
프랑수아 뒤발리에

64세
1907.04.14.
1971.04.21.
13년 184일
1957.10.22.
1971.04.21.
사망
호르헤 우비코

67세
1878.11.10.
1946.06.14.
13년 144일
1931.02.14.
1944.07.04.
시민혁명→ 망명
12년 이상~13년 미만
오마르 토리호스

52세
1929.02.13.
1981.07.31.
12년 296일
1968.10.11.
1981.07.31.
사망
아돌프 히틀러

56세
1889.04.20.
1945.04.30.
12년 93일
1933.01.30.
1945.04.30.
전쟁 패배, 자살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55세
1925.12.05.
1980.09.17.
12년 77일
1967.05.01.
1979.07.17.
혁명, 망명
앙드레디외도네 콜링바

73세
1936.08.12.
2010.02.07.
12년 33일
1981.09.01.
1993.10.01.
선거
11년 이상~12년 미만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83세
1882.10.20.
1966.05.15.
11년 340일
(2년 268일)
(9년 72일)


1931.12.04.
1935.03.01.


1934.08.28.
1944.05.09.


대행 종료
시민혁명→망명

'''이승만'''

90세
1875.05.01.
1965.07.19.
11년 257일
1948.08.15.
1960.04.26.
시민혁명→망명
아우구스토 베르나르디노 레기아

68세
1863.02.19.
1932.02.07.
11년 55일
1919.07.04.
1930.08.25.
쿠데타
니키타 흐루쇼프

77세
1894.04.15.
1971.09.11.
11년 32일
1953.09.14.
1964.10.14.
실각
아흐마드 하산 알 바크르

68세
1914.07.01.
1982.10.04.
11년 1일
1968.07.17.
1979.07.16.
사임
10년 이상~11년 미만
안와르 사다트

62세
1918.12.25.
1981.10.06.
10년 359일
1970.10.15.
1981.10.06.
암살
장바티스트 바가자

69세
1946.08.29.
2016.05.04.
10년 299일
1976.11.10.
1987.09.03.
쿠데타
새뮤얼 케니언 도

39세
1951.05.06.
1990.09.09.
10년 152일
1980.04.12.
1990.09.09.
내전 중 암살
헤이다르 알리예프

80세
1923.05.10.
2003.12.12.
10년 130일
1993.06.23.
2003.10.31.
사망[28]
알베르토 후지모리

86세
1938.07.28.
(현재)
10년 120일
1990.07.28.
2000.11.22.
축출, 망명
로랑 그바그보

79세
1945.05.31.
(현재)
10년 107일
2000.12.26.
2011.04.11.
선거→내전→축출
오스왈도 로페즈 아레야노

88세
1921.06.30.
2016.05.16.
10년 23일
(7년 249일)
(2년 139일)


1963.10.03.
1972.12.04.


1971.06.07.
1975.04.22.


선거
쿠데타



3. 현재도 집권 중인 독재자


[[파일:1px 투명.png
''' 현재도 집권 중인 독재자'''
'''이름'''
'''국가'''
'''집권기간'''
'''집권시작'''
'''만 나이'''
'''출생'''
30년 이상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45년째
1979.08.03.
82세
1942.06.05.
폴 비야

41년째[29]
1982.11.06.
91세
1933.02.13.
드니 사수 응게소

40년째
1979.02.08.[30]
80세
1943.11.23.
훈 센[31]

39년째
1985.01.14.
72세
1952.08.05.
요웨리 무세베니

38년째
1986.01.26.
80세
1944.08.15.
알리 하메네이[32]

35년째[33]
1989.06.04
85세
1939.07.17.
이드리스 데비 이트노

33년째
1990.12.02.
72세
1952.06.18.
20년 이상~30년 미만
에모말리 라흐몬

31년째
1992.11.20.
72세
1952.10.05.
이사야스 아페워키

31년째
1993.05.24.
78세
1946.02.02.
알략산드르 루카셴카

30년째
1994.07.20.
70세
1954.08.30.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25년째
1999.05.08.
76세
1947.11.27.
블라디미르 푸틴

24년째[34]
1999.12.31.
72세
1952.10.07.
폴 카가메

24년째
2000.03.24.
67세
1957.08.23.
바샤르 알아사드

24년째
2000.07.17
59세
1965.09.11.
10년 이상~20년 미만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21년째
2003.03.14.
70세
1954.02.26.
일함 알리예프

20년째
2003.10.31.
62세
1961.12.24.
리셴룽

20년째
2004.08.12.
72세
1952.02.10.
포르 냐싱베

19년째
2005.05.04.
58세
1966.06.06.
마흐무드 압바스

19년째
2005.05.08.
89세
1935.03.26.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17년째
2007.02.14.
67세
1957.06.29.
알리 봉고 온딤바

15년째
2009.10.16.
65세
1959.02.09.
10년 미만
'''김정은'''

12년째
2011.12.17.
40세?
1984(?).01.08.
시진핑

11년째
2012.11.15.
71세
1953.06.15.

4. 관련 문서


  • 어린 나이에 즉위한 군주들
  • 실제로 장수한 군주들
  • 재위기간이 짧은 왕들
  • [35]

[1] 독재자의 정의에는 올리버 크롬웰, 최충헌 등 1900년 이전에도 포함되는 인물이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2] 샤를 드 골, 후안 페론 같은 케이스들은 일단 논란이 있으니 제외키로 한다. 호메이니의 경우는 9년 6개월, 이디 아민은 8년. 장쩌민의 경우는 9년 11개월이라곤 하지만 실질적인 중국의 최고 권력자 자리인 중앙군사위 주석 재임기간을 계산하면 14년에 달하므로 추가되었다.[3] 당시 프랑스 헌법에선 대통령 임기는 7년에다 1회 연임이 가능했기 때문에 14년이나 집권이 가능했던 거다.[4] 선거에서 계속 이기진 못했지만 연정을 통해서 다른 정파의 의견도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5] 이 4명은 의원내각제의 특성상 계속해서 선거에 이겼기 때문에 장기간 집권이 가능했다.[6] 히틀러도 국민들의 지지로 합법적으로 당선되었지만 수권법 통과,언론탄압,전쟁범죄,장기집권 등등 을 했기때문에 당연히 독재자다.[7] 현재까지 50년 이상 집권한 독재자는 피델 밖에 없다.[8] 대륙 국민정부 시절 + 국부천대 이후 시절 합계[9] 김일성의 독재기간은 좀 애매하다. 1948년 9월 9일은 북의 공화국창건일로 이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을 선포하고 내각 수상에 취임한 것은 맞지만, 소련민정청에 의해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장에 취임한 것은 1946년으로 이때부터 계산하면 기간이 늘어날 수도 있다. 실제로 이 1946년에 김일성 개인을 찬양하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가 발표됐다. 하지만 소군정 시기에는 사실상 소련의 지시를 수행하는 바지사장이었고, 공화국 선포뒤 에도 한국전쟁 이후시기까지는 조선로동당내의 여러 파벌들의 견제에 시달렸다. 김일성이 반대파들을 대거 숙청하고 본격적인 독재권력을 움겨쥔건 1956년 8월 종파 사건 부터이며, 지금 우리가 아는 신적인 위치가 된건 당의 유일적 령도체계확립의 10대 원칙를 확립한 1970년대 이후이다. 끝을 잡기도 애매한게 70년대 말부터 실권이 김정일에게 점점 넘어가면서 90년대에는 국가원수로써 외교적 권력이 거의 전부였다.김일성 암살설참조[10] 서사하라가 미승인국이고 국토 대부분을 모로코가 점령하고 있는 연유로 실제 서사하라 국토의 극히 일부에 대해서만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압델아지즈 대통령 본인도 알제리 틴두프에 거주하고 있었다. 사실 독재자라기보다는 독립운동가에 가까운 느낌.[11] 총리(1980~1987), 대통령(1987~2017) 재임기간 합계[12] 이후 의식을 되찾았으나 모든 권력을 상실한 상태였고, 측근들은 그가 진실을 아는 것을 막기 위해 연극을 했다.[13] 북예멘 시기 포함.[14] 사임 후부터 2011년까지 선임장관, 고문장관의 이름으로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여 근 52년간 독재했다고 보기도 한다.[15] 참고로 퇴임 당시 나이가 96세였다. 1997년에 향년 99세로 사망.[16] 이 사람도 조금 애매한 케이스다. 서기장직을 이렇게 해먹은 것은 맞지만 1924년까지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살아있었고, 사실상 권력의 정점에 서는 것은 1929년, 혹은 1930년대는 돼야하기 때문. 그렇게 따지면 25년 이하로 줄어든다.[17] 소련 우즈베크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재임 기간 포함시 1989년 6월 23일부터 24년.[18] 이 기록은 최고지도자 기준이고 대통령 집권으로 따지면 1961.10.01부터 시작이다.[19]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승리하여 갱신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나이가 90이 넘은 초로인지라 오래는 못 해먹을 듯. 참고로 자신이 직접 정권을 교체해 버렸다(...) 1기 집권기때는 리콴유와 비슷한 유형의 개발독재자라는 평이지만 2기 집권기때는 야당과 손을 잡아서인지 이보다는 많이 유해졌다는 평이기는하다.[20] 고령과 건강상의 이유로 공산당 제1서기장에서 1971년 5월 사임했으며, 사임 후에도 국가원수격인 국가평의회 의장직은 1973년 사망할 때까지 유지했다.[21] 살로 공화국까지 치면 1945년 4월 25일까지로 22년 177일.[22] 집권기간을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한정하면 15년 312일.쿠데타를 일으키기전 군부의 실권을 잡은건 1960년이고 사실상 본격적으로 권력을 장악한건 알다시피 1961년이다.[23] 2001년 1월 17일 전임 대통령이던 아버지가 경호원에게 총격당해 권한대행을 맡았고 결국 1월 18일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사후 8일 후 1월 26일에 정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24] 초기 집권기간을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한정하면 10년 298일.[25] 집권을 시작한 1994년 7월 8일은 김일성의 사망일이지만, 집권 이전인 김일성 말년에도 고령의 김일성 대신 김정일이 길게는 몇십년간 사실상 실권을 거의 행사했다.[26] 1945년 쿠데타로 물러난 후 1951년~1954년 재집권한 바 있으나, 이는 헌법에 의한 선거로 집권했던 것이므로 독재 성격에는 논란이 있으나 일단 제외. 1954년에 대통령 재직 중 자살.[27] 집권을 종료한 2004년 9월 19일은 군통수권을 가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서 퇴임한 날이다. 국가주석과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2002년 가을에 후진타오에게 넘겨줬지만, 중군위 주석 자리는 2004년까지도 움켜쥐고 있었다.[28] 사망하면서 아들 일함 앨리예프가 자리를 물려받았으며, 2013년 선거에서도 부정선거의 힘으로 87% 득표율로 당선됨으로써 이 리스트에 올라가게 되었다.[29] 총리로서의 집권 기간을 포함할 경우 44년이지만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초대 대통령이 1982년까지는 집권을 하고 있었기에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만 따지면 1982년 11월 6일부터 41년째.[30] 1992년 8월 31일 선거에서 패배하면서 물러났으나, 내전을 일으켜서 1997년 8월 25일 다시 집권하였다.[31] 명목상 입헌군주국인 캄보디아 왕국에서 총리로서 독재자로 집권하고 있다. 공화국이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 않는 것처럼 입헌군주제가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과거의 사례로는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일본 제국, 루마니아의 이온 안토네스쿠가 있으며 현재는 군부 독재가 이어지는 태국이 있다.[32] 이란의 최고 종교 지도자(라흐바르)라는 이맘의 이름을 달고 있으나 실제로는 최고지도자 밑으로 3권분립이 되어있다는걸 감안해보면 이란의 최고 통치자는 이 사람이다.[33] 이란의 대통령은 실권이 전혀없는 정부수반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란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도 포함하면 1981년 10월 13일부터 43년째.[34]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대통령으로 있었지만 3선 연임만 안된다는 당시 러시아 헌법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고 저 기간에도 실권은 총리였던 푸틴이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2012년에 푸틴은 다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2018년 대선에서 또 당선되어 집권하였다. 그러므로 총 24년 동안 러시아를 통치한 것이 된다.[35] 16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