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

 



1. 개요


문서명대로 개찰구 안쪽, 즉 기차선로 ~ 개찰구 까지의 영역중에 공중화장실이 있는 지하철역들의 목록이다.
역마다 케바케이긴 하지만 개찰구를 통과하기 이전 영역에만 화장실이 있는 경우도 있고 이후에만 있는 경우도 있으며, 양 쪽에 다 있는 경우도 있다. 전동차가 들어오는 승강장뿐만 아니라 위층으로 올라가서 맞이방으로 가야 하는 경우도 있다.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있는 역이 의외로 많으며, 심지어 부산김해경전철은 전 역사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다. 지하철 탑승자들은 급할 때 잠시 내려서 볼일보고 오면 되지만 역으로 개찰구 안'''에만''' 화장실이 있는 경우는 길을 걷다가 급한데 들어왔다가 난감해진다. 정말 급할 경우 역무원에게 부탁하면 쪽문을 열어준다. 탑승 방향을 착각했을 경우도 마찬가지다. 단 화장실이 역 개찰구 내, 외 영역에 다 있어도 용산역처럼 '''유동인구가 많거나 지하철 탑승객/하차객이 많은 역'''이면 이용자가 그걸 압도할정도로 많으므로 특히 사람이 많이 몰리는 시간대엔 화장실을 가기위해 줄을 서는 대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으니 지하철탑승자 한정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역 말고 비교적 한산한 역을 찾아보는 게 좋다.
'''갈아타서 상대 노선의 승강장으로 가야만 화장실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대표적으로 동묘앞역은 1호선 승강장에 화장실이 있으며, 6호선은 개찰구 밖에 있다. 노원역은 4호선은 개찰구 안, 7호선은 개찰구 밖에 있다. 7호선에서 내려서 개찰구 안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 4호선으로 환승해야한다. 동묘앞역과 달리 상당한 막장환승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2. 목록


상대 노선의 승강장으로 환승해야 개찰구 안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해당 노선의 승강장에서는 개찰구 안에 화장실이 없는 경우는 취소선으로 처리.
  • ★: 계단 필요 없이 열차가 들어오는 승강장에서 바로 화장실로 들어갈 수 있는 역
  • ☆: 개찰구 밖에도 화장실이 있는 역[1]

2.1. 수도권 전철


【 노선도로 보기 】
[image]}}}}}}[3]
[image]
}}}[2]

2.1.1. 수도권 전철 1호선



2.1.1.1. 경인선, 경원선서울 지하철 1호선


2.1.1.2. 구로역 이남 경부선 구간


2.1.2. 서울 지하철 2호선



2.1.2.1. 본선(순환선)


2.1.2.2. 지선


2.1.3. 수도권 전철 3호선



2.1.4. 수도권 전철 4호선



2.1.5. 수도권 전철 5호선


  • 신정역: 2, 3번 출구 방향. 신정역은 전동차 양 끝을 기준으로 출구가 분리되어 있어 1, 4, 5번 출구 방향으로 가면 왔던 길을 다시 돌아가야 한다.
  • 양평역
  • 여의도역: 9호선 개화방면에 있다.
  • 종로3가역
  • : 개찰구 안과 밖 모두 존재하는 2호선, 4호선과 달리 5호선은 개찰구 밖에만 존재한다.
  • 왕십리역
  • 올림픽공원역: 9호선 환승통로에 있다.
  • 오금역
  • 미사역

2.1.6. 서울 지하철 6호선



2.1.7. 서울 지하철 7호선



2.1.8. 서울 지하철 8호선


  • 석촌역: 9호선 영역으로 게이트에서 환승해야 한다.
  • 가락시장역: 3호선 방향으로 내려가서 계단을 올라가야 한다. 많이 급하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자.

2.1.9. 서울 지하철 9호선



2.1.1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2.1.11.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2.1.12. 신분당선



2.1.13. 인천국제공항철도



2.1.14. 의정부 경전철



2.1.15.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2.1.16. 수도권 전철 경춘선



2.1.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2.1.18. 김포 도시철도



2.2. 인천 도시철도



2.2.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2.2.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암역은 공항철도로 환승하면, 주안역은 1호선 승강장으로 올라갔다가 지하상가 방향으로 내려가면 출구로 나가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

2.3. 동남권 광역전철


부산교통공사 운영구간에선 2호선을 제외하면 없다. 과거 1호선 지상구간에 있었으나 시설 재배치로 개찰구의 위치가 달라져 사라졌다.

2.3.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3.2. 부산김해경전철


  • 모든 역: 부산김해경전철의 모든 역사는 설계가 비슷하기 때문에 화장실 위치도 개찰구와 계단이 있는 길목에 일괄적으로 있다. 대신 운임구역 밖에는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표를 끊고 들어가야 한다.

2.3.3. 동해선 광역전철


  • 부전역: 개찰구 바로 앞 위치.
  • 벡스코역: 동해선 역사 1·2번 출구측 개찰구내부에 위치(환승통로가 있는 곳)

2.4. 대구 도시철도



2.4.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화장실이 밖에도 있고 안에도 있다.

2.4.2.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4.3.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5. 대전 도시철도



2.5.1.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신흥역은 장애인화장실만 안쪽에 있다.

2.6. 광주 도시철도



2.6.1.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 상대 노선으로 환승해야만 개찰구 밖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취소선으로 처리.[2] 2017년 노선도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