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불교)/한국
1. 개요
대한민국의 유명한 불교 절(사찰, 寺刹) 일람이다.
2. 수도권
- 조계사: 서울 종로구.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 현임 주지는 지현스님.
- 정각원: 서울 중구. 동국대학교/서울캠퍼스의 법당.
- 도선사: 서울 강북구.
- 화계사: 서울 강북구.
- 길상사: 서울 성북구.
- 보문사: 서울 성북구. 경상북도 경주시 석굴암을 본떠서 만든 석굴암이 있다. 비구니 스님만 있다.
- 봉원사: 서울 서대문구. 태고종의 총본산.
- 호압사: 서울 금천구.
- 봉은사: 서울 강남구. 현임 주지는 원명스님.
- 관문사: 서울 서초구.
- 진관사: 서울 은평구.
- 회암사: 경기도 양주시. 조선 왕실의 왕사(王寺)
- 한국불교연구원 서울구도회 : 서울시 종로구 익선동 55번지 현대뜨레비앙148호. 한국불교연구원은 한국 근현대의 대표적인 원효사상 연구자인 고 불연 이기영 동국대 교수가 설립한 단체다.
- 한국불교연구원 유마정사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연곡길 105
- 영화사: 서울 광진구.
- 봉선사: 경기도 남양주시. 조계종 제25교구본사.
- 흥국사: 경기도 남양주시.
- 봉녕사: 경기도 수원시
- 수종사: 경기도 남양주시
- 신륵사: 경기도 여주시
- 용문사: 경기도 양평군
- 수도사: 경기도 평택시
- 흥국사: 경기도 고양시.
- 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조계종 제2교구본사.
- 삼막사: 경기도 안양시.
- 안양사#s-4: 경기도 안양시.
- 와우정사: 경기도 용인시
- 전등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보문사: 인천광역시 강화군.[1] 현임 주지는 선조스님.
- 의선당: 인천 차이나타운 내에 위치.
- 석왕사: 경기도 부천시
- 적석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청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백련사(강화): 인천광역시 강화군.
- 홍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묘적사: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리
- 용암사: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 봉정사(김포):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오니산로 169-56
3. 강원도
- 신흥사: 강원도 속초시. 조계종 제3교구본사.
- 도피안사: 강원도 철원군.
- 백담사: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낙산사: 강원도 양양군.
- 정암사: 강원도 정선군.
- 상원사: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 오세암: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봉정암: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월정사: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조계종 제4교구본사.
- 청평사: 강원도 춘천시.
- 건봉사: 강원도 고성군
- 선정사: 강원도 양구군
4. 충청도권
- 용화사: 충북 청주시.
- 덕주사: 충북 제천시. 법주사의 말사이다. 마의태자 전설로 알려져 있다.
- 정방사: 충북 제천시.
- 구인사: 충북 단양군.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
- 법주사: 충북 보은군. 조계종 제5교구본사. 팔상전으로 유명하다.
- 갑사: 충남 공주시.
- 갑사 대전포교당 법천사: 대전광역시 중구 계룡로 768[2]
- 동학사: 충남 공주시.
- 마곡사: 충남 공주시. 조계종 제6교구본사.
- 마곡사불교회관 : 충청남도 공주시 전막1길 15-6[3]
- 무량사: 충남 부여군.
- 장곡사: 충남 청양군. 대웅전이 2개인 사찰이다.
- 개태사: 충남 논산시.
- 신원사(사찰)
- 쌍계사: 충남 논산시.
- 수덕사: 충남 예산군. 조계종 제7교구본사.
- 금강반야원/금강유치원 : 대전광역시 동구 성남동 35-5
- 관음사/대전비구니청림회[4] 문화회관/제16호 사찰도서관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197번안길 59[5]
- 광수사 :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서로63번길 26 광수사. 천태종 사찰.
- 광제사(홈피/카페)/중앙불교회관[6] : 대전광역시 동구 자양동 89-9[7] . 1,2 층을 열린 도서관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경로잔치/어린이청소년 수련회 등을 열어 사회봉사도 하고있다.
- 대한불교금강회관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342
- 덕수암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42
- 만불선원/대전불교대학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91번길 24. 불교인재 양성교육과 각종 사회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비래사: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골길 47-74
- 보문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440. 고려 때 사찰 유적인 보문사지와는 별개의 작은 암자 수준의 절이다.[8] 본래 대웅전은 양옥이 아니었으나 1999년 이교도의 방화로 원래 대웅전은 전소되었다.
- 복전암(복전선원)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의 비구니 수행사찰.
- 보현불교대학/보현문화회관 : 대전광역시 동구 대자양5길 5. 교회를 매입해 사찰로 쓰는 곳으로, 숭산이 세운 공성회가 모체다.
- 봉국사 : 대전 유성구 문화원로6번길 48[9] . 1층의 열린 도서관 겸 카페와 무료미용실 운영으로 사회봉사가 활발하다.
- 백제불교회관/백제불교문화대학/(사)백불복지회(링크) :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491번길 56
- 불광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72
- 약불사[10] : 대전 동구 계족로 184-52. 1996년 개독들의 방화사건으로 고생한 바 있다.
- 여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399-9.
- 여진선원/여진미술관 : 대전 유성구 엑스포로 624[11] . 불교미술관을 겸하는 곳인지라 오전 9시~오후17시 30분까지 개관한다. 분위기가 보통 절들하곤 많이 다르지만 엄연히 조계종 소속이다.
- 용수사(통도사 대전포교원/통도사대전불교대학) : 대전광역시 중구 동서대로 1191 2층
- 연화사/맑고향기롭게 대전지부 : 대전 중구 문화2동 583-7
- 신흥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735번길 24-9. 대한불교정토종 사찰이다.
- 삼문사/삼문사유치원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15번길 29. 천태종 사찰.
- 송학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 364
- 생활불교회관 : 사단법인 대한생활불교회 소속.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536번길 20. 관련기사
- 세등선원 :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로 35 세등선원. 창시자 세등 비구니의 법명을 따 이름지은 곳으로, 도심 속 비구니 수행정진 사찰이다.
- 영선사: 대전광역시 서구 배재로91번길 22-11. 사찰요리로 유명하다.
- 정수사/수덕사대전불교대학 : 대전 중구 대흥로111번길 17
- 자광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학하동.
- 죽림정사 :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36번길 177[12] . 지역 봉사활동이 활발하다.
- 태조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199번길 55. 테미공원 근처의 태고종 사찰이다.
- 형통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179-12. 테미공원 근처의 조계종 사찰이다.
- 화암사/도솔노인복지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서로 27번 길 20-3. 2007년 문을 연 곳으로, 노인복지와 무료 급식/한방치료 봉사도 하고 있다.
- 한국불교연구원 대전구도회 : 대전시 서구 신갈마로 262 대업빌딩 302호
- 형통사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산공원로497번길 81-10. 24시간 개방하는 지장기도 도량이다.
- 충효사 : 대전광역시 서구 남선로 14[13] .
- 각연사: 충북 괴산군.
- 보덕사: 충남 예산군.
- 보원사: 충남 서산시.
- 고란사: 충남 부여군.
- 부석사(서산): 충남 서산시. 쓰시마 섬에서 반출된 불상이 원래 봉안되어 있었던 절이다. 쓰시마 섬 항목 참조.
- 비암사: 세종 전의면. 진입로 일부가 도깨비도로로 불리며, 세종시에서 출토된 국보 중 하나가 바로 이곳에 있었다. 지금은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있다.
- 영평사: 세종 장군면. 구절초축제로 유명하며, 세종시 편입 이전에는 공주시 장기면이었다.
- 황룡사: 세종 연동면. 공주 마곡사 말사.
5. 전라도권
- 동국사: 전북 군산시. 일본식 사찰건물로 유명하다.
- 금산사: 전북 김제시. 조계종 제17교구본사. 미륵전으로 유명하다.
- 실상사: 전북 남원시.
- 내소사: 전북 부안군.
- 보림사: 전남 장흥군.
- 선운사: 전북 고창군. 조계종 제24교구본사.
- 송광사: 전북 완주군.
- 송광사: 전남 순천시. 조계종 제21교구본사. 삼보사찰 중 승보(僧寶)사찰로 꼽힌다.
- 선암사: 전남 순천시. 태고종 총림. 종단간 분쟁이 있었다.
- 흥국사: 전남 여수시.
- 석천사: 전남 여수시.
- 백양사: 전남 장성군. 조계종 제18교구본사.
- 대흥사: 전남 해남군. 조계종 제22교구본사.
- 미황사: 전남 해남군.
- 백련사: 전남 강진군.
- 화엄사: 전남 구례군. 조계종 제19교구본사. 화엄종 아니다. 화엄종의 대본산은 인천 남동구에 있는 약사사.
- 운주사: 전남 화순군. 천불천탑으로 유명하다.
- 쌍봉사: 전남 화순군.
- 불갑사: 전남 영광군.
- 개암사: 전북 부안군.
- 증심사: 광주 동구.
- 불회사: 전남 나주시.
- 대원사: 전남 보성군. (천봉산)
- 구암사: 전남 순창군.
- 관음사: 전남 곡성군. 심청전의 유래가 된 근원설화가 전하는 절이다.
6. 경상도권
- 갓바위(선본사)[14] : 경북 경산시. 팔공산에 소재한 전국적으로 기도처로 매우 유명한 곳이다.
- 고운사: 경북 의성군. 조계종 제16교구 본사.
- 관룡사: 경남 창녕군.
- 골굴사: 템플 스테이로 한국인보다 외국인 관광객들한테 오히려 더 유명하다.
- 관음사: 대구 중구 공평로8길 15 관음사. 군산의 동국사처럼 일본식 건물이다.[15]
- 광덕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덕동길 33-20.
- 광명사: 부산 금정구.
- 기림사: 경북 경주시.
- 내원정사: 부산 서구. 절보다는 유치원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대각사: 부산 중구. 영화 <달마야 서울가자> 촬영지이기도 하다.
- 대견사: 대구 달성군. 원래 폐사되어 대견사지라고 불리다가 근래 들어 복원되었다.
- 도리사: 경북 구미시.
- 태화사: 울산 중구 태화루 자리에 있었던 대규모 사찰. 현재는 멸실되었다.
- 동화사: 대구 동구. 조계종 제9교구 본사.
- 만불사: 경북 영천시. 20만개의 불상들이 많은 사찰로 유명하다.
- 만어사
- 망해사: 울산시 울주군.
- 반룡사: 경북 고령군.
- 백률사: 경북 경주시.
- 백암사: 경남 함안군.
- 백양사: 울산 중구 .
- 범어사: 부산 금정구.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 법장사: 경북 경주시.
- 보리암: 경남 남해군.
- 봉림사: 경남 창원시.
- 봉암사: 경북 문경시.
- 봉정사: 경북 안동시. 국내 최고(最古)의 건물 극락전으로 유명하다.
- 부석사: 경북 영주시. 무량수전으로 유명하다.
- 부인사: 대구 동구. 몽골의 난 때 소실된 고려 전기 대장경을 보관한 곳으로 유명하다.
- 불국사: 경북 경주시. 조계종 제11교구 본사.
- 불굴사: 경북 경산시.
- 불영사: 경북 울진군.
- 삼광사: 부산 부산진구.
- 석굴암: 경북 경주시
- 석남사: 울산 울주군.
- 석불사: 부산 북구
- 선석사: 경북 성주군.
- 선암사: 부산 부산진구.
- 성불사: 경북 울릉군.
- 성주사: 경남 창원시.
- 송림사: 경북 칠곡군.
- 수도사: 경북 영천시.
- 수도사: 경남 의령군
- 심원사: 경북 성주군.
- 쌍계사: 경남 하동군. 조계종 제13교구본사.
- 안민사: 울산 선암 호수 공원에 위치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작은 절. 현대에 지어졌다.
- 안일사: 대구 남구.
- 오어사: 경북 포항시.
- 용문사: 경남 남해군.
- 용문사: 경북 예천군.
- 용연사: 대구 달성군.
- 운문사: 경북 청도군.
- 유가사: 대구 달성군. 2010년 6월부터 주지였던 계성 스님이 음력 초하루법회를 없애고 일요법회를 강화했다.
- 은적사: 대구 남구.
- 은하사: 경남 김해시. 영화 <달마야 놀자> 촬영지이기도 하다.
- 은해사: 경북 영천시. 조계종 제10교구본사.
- 의곡사: 경남 진주시.
- 임휴사: 대구 남구.
- 정광사: 울산 남구. 현대에 지어졌다.
- 제석사: 경북 경산시.
- 중생사: 경북 경주시.
- 직지사: 경북 김천시. 조계종 제8교구본사.
- 천해사 : 경상북도 구미시
- 청곡사: 경남 진주시.
- 청량사: 경북 봉화군 청량산.
- 칠불사: 경남 하동군.
- 통도사: 경남 양산시. 조계종 제15교구본사. 삼보사찰 중 불보(佛寶)사찰로 꼽힌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파계사: 대구 동구. 영조의 탄생설화로 유명하다.
- 표충사: 경남 밀양시
- 홍제사: 경남 밀양시. 사명대사비가 있는 절로 유명한데, 이에 대한 전설이 잘 알려져 있다.[16]
- 해도사: 경북 울릉군.
- 해동용궁사: 부산 기장군. 게임 오버워치의 부산맵의 배경이 된 사찰이다.
- 해인사: 경남 합천군. 조계종 제12교구본사. 해인사 팔만대장경 및 장경판고로 유명하다. 삼보사찰 중 법보(法寶)사찰로 꼽힌다.
- 혜양사: 경남 거제시.
- 홍법사: 부산 금정구.
7. 제주특별자치도
8. 북한
북한지역 사찰의 경우 '''ktda.kr/archive/1/main.jsp''' 라는 싸이트에서는 북한지역 사찰소개(고화질)를 잘 다루고 있다.
- 관북지방
- 관서지방
- 해서지방
- 경기, 강원지방
9. 폐사지
- 갈항사: 경북 김천시.
- 감은사: 경북 경주시.
- 개경사: 경기 구리시.
- 경복사: 전북 전주시.
- 곤원사: 경북 경주시.
- 굴산사: 강원 강릉시.
- 노온사: 경기 광명시
- 능산리 절터: 충남 부여군. 유명한 백제금동대향로가 이 절터에서 발굴되었다.
- 단속사: 경남 진주시.
- 동천사: 경북 경주시.
- 마하연사: 강원도 회양군(현 금강군).
- 만복사: 전북 남원시. 김시습의 한문소설 <만복사저포기>의 배경이 되는 절이다. 가상의 공간으로 알고있는 사람이 많으나 실재했던 절이며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 망덕사: 경북 경주시.
- 무장사: 경북 경주시.
- 물산사: 경북 고령군.
- 미륵사: 전북 익산시.
- 미탄사: 경북 경주시.
- 법천사: 강원도 원주시.
- 법화사: 전남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 법화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1071번지. 1980년대에 와서 절의 건물이 일부 세워지기는 했다.
- 보제사: 경기도 개성시(현 황남 개성시).
- 불일사: 경기도 개성시(현 황해북도 판문군 선적리).
- 사천왕사: 경북 경주시.
- 삼랑사: 경북 경주시.
- 석장사: 경북 경주시.
- 선림원: 강원 양양군.
- 수정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외도 1동 소재.
- 숭복사: 경북 경주시.
- 성주사: 충남 보령시.
- 안양사: 경기도 안양시.
- 영묘사: 경북 경주시.
- 영명사: 평양.
- 옥룡사: 전남 광양시.
- 원당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원당로 16길41(삼양1동).
- 원원사: 경북 경주시.
- 오매리 절터: 함경남도 신포시 오매리.
- 유점사: 강원도 회양군(현 금강군).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하나.
- 장안사: 강원도 회양군(현 금강군).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하나.
- 장의사: 서울 종로구 신영동.
- 장항리 절터: 경북 경주시.
- 정릉사: 평남 중화군(현 평양).
- 정림사: 충남 부여군.
- 정혜사: 경북 경주시.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 남아서 국보로 지정되었다.
- 진전사: 강원 양양군
- 중흥사: 경기 고양시 북한산 경내. 1915년 홍수 때 산사태로 소실되었다가 2012년에 대웅전과 요사채가 복원되었다.
- 창림사: 경북 경주시.
- 천관사: 경북 경주시.[17]
- 청담사: 서울 은평구 진관내동. 은평뉴타운 건설 예정 부지 안에 있다.
- 청암리 사지: 평양.
- 청호리 절터: 평양.
- 황룡사: 경북 경주시.
- 황복사: 경북 경주시.
- 회암사: 경기도 양주시
- 흑련사(묵련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 흥덕사: 충북 청주시. 직지심체요절이 이곳에서 인쇄되었다. 절터만 남아있던 것이 현대에 와서 박물관으로 재건되었다.
- 흥륜사: 경북 경주시.
- 흥왕사: 경기도 개풍군(현 개성특별시).
10. 틀
[1] 석모도 안에 있는 절로 행정주소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남로 828번길.[2] 지번 : 대전 중구 오류동 188-2[3] 지번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476-1[4] 대전지역 비구니 스님들의 모임이다. 네이버 지도엔 여기로 검색해야 바로 나온다.[5] 지번: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 198-23. 다만 사실상 개인사찰로 외부인의 출입은 인근 절에 비해 좀 힘들다.[6] 광제사 바로 옆에 위치. 현재는 광제사 소속 카페로도 운영중.[7] 계족산 근처다.[8] 보문사지는 보문산 안인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에 있으며, 현 보문사하고는 정 반대에 위치하는 절터다.[9] 지번-대전 유성구 장대동 281-1[10] 네이버 길찾기에는 대동약불사라 나오지만 실제 절 현판에는 약불사라고만 되어 있다. 참고로 대전 중구 유천1동의 약불사라는 곳은 절이 아니라 무속인이 운영하는 점집이다.[11] 지번 탑립동 442-1[12] 지번 대전광역시 대덕구 연축동 27[13] 지번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1083[14] 갓바위 주차장에서 갓바위 방향이 아닌 오른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있다. 팔공산 갓바위를 관리하고 있는 절[15] 남구에 불교대학인 관음사가 하나 더 있다.[16] 일명 "땀 흘리는 비석"으로 유명한데, 나라에 큰 국난이 닥치기 전 , 땀을 흘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로 가 보면 표충비가 있는 곳 부근에 땀을 흘린 기록이 적혀 있는 게시판이 있다. 대부분 역사적 사건(ex. 3.1 운동)과 연관되어 있는데, 1997년 이후에는 외교/정치적 마찰 등을 우려하여 그냥 몇 리터(몇 되) 한출됨 이라는 기록만 적혀 있으니 참고하시길.[17] 전남 장흥군에도 동명의 절터가 있는데 사용하는 글자가 다르다. 경주는 天官寺, 장흥은 天冠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