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코트/지자체
1. 개요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자체 홍보를 위해 지자체의 특성을 살린 마스코트를 만들어 지자체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1] . 대략 90년대 부터 여러 지자체들이 마스코트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마스코트를 만들때는 주로 시조, 시화 등의 시 상징이나 특산물, 해, 산 등의 자연이나 미래를 지향하는 요소를 의인화하여 만들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일부 마스코트들은 촌스럽다거나 해당 지자체의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를 인식한 일부 지자체들은 2010년대부터 기존 마스코트를 리뉴얼하거나 아예 새로운 마스코트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는 sns를 통해 젊은층들에게 지자체를 어필하기 위함도 크다.
지자체 마스코트는 도시 곳곳에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응용파일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각 지자체에서는 홈페이지에서 ai파일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편이다. 필요한 위키러라면 참고할 것.
2. 목록
지방자치단체들의 마스코트를 모아놓았으며 표의 여담 목록이나 해당 지자체 나무위키 문서 또는 외부 링크에서 각 캐릭터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1. 대한민국
2.1.1. 서울특별시
2.1.2. 부산광역시
2.1.3. 대구광역시
2.1.4. 인천광역시
2.1.5. 광주광역시
2.1.6. 대전광역시
2.1.7. 울산광역시
2.1.8. 세종특별자치시
2.1.9. 경기도
2.1.10. 강원도
2.1.11. 충청북도
2.1.12. 충청남도
2.1.13. 경상북도
2.1.14. 경상남도
2.1.15. 전라북도
2.1.16. 전라남도
2.1.17. 제주특별자치도
2.2. 일본
3. 참고자료
-
2009년 10월호 樣式 생활양식의 이미지: 한국의 마스코트, 21세기 토테미즘 - 대교학습백과
- 전국 지자체 홈페이지
- 우리 동네 캐릭터[81]
- 유루캬라 그랑프리(우리 동네 캐릭터의 원조)
[1] 물론 마스코트가 없는 지자체도 많이 존재한다. 강남구, 용산구 등이 그 예.[2] 해치 마스코트는 그린나라에서 디자인을 맡았다.[3] 현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 한편, 본 마스코트는 둘리를 좀 더 밀어주느라 좀 묻히는편..[4] sns등에 내세우고있는 캐릭터는 잠누리&잠에리. 잠실의 한자를 살려서 누에고치를 모티브로 캐릭터를 제작했다고 한다.[5] 스펀지에서 양천구 지도 모양이 강아지 모양이라는 내용을 방송하면서 유명해진 것에 착안하여 2017년에 새로운 마스코트를 제작했다. 한편, 양천구는 기존 마스코트도 계속 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6] 공식 로고에 쓰이던 것을 그대로 마스코트화 한 것.[7] 금정구 전설에 등장하는 물고기. 5색 구름을 타고 하늘로부터 내려와 그 샘에서 놀았으므로 산 이름을 금정산이라 하고, 그 산 아래 절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라 이름했다'라고 한다. 일러스트상으로는 잉어와 비슷하다.[8] 수아&영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9] 요즘은 함박이&생글이가 마스코트처럼 활동하고 있는 사진을 종종 볼 수 있다.[10] 대구무형문화재 제4호인 천왕메기(지신밟기의 일종)를 모티브로 하였다.[11] 리뉴얼 전 비슬이 마스코트는 매스캐릭터(현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12] X4 design branding에서 제작을 맡았다.[13] 강돌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 서브캐릭터도 해당 업체에서 맡은 것으로 보인다.[14] '금남로'라는 도로 이름도 정충신의 군호인 금남군(錦南君)에서 따온 것이다.[15] 가운데 위 휴머노이드는 미래, 가운데 아래 강아지 로봇은 우주, 오른쪽 앞 여자 마스코트는 소망이, 맨 오른쪽 할아버지는 박사.[16] 꿈돌이 마스코트는 디파크브랜딩에서 디자인을 맡았다.[17] 장생이 마스코트는 매스캐릭터(현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18] 울산큰애기는 문화관광도시 브랜드이자 그 마스코트이다. 2017년 4월 지방관광서기보(='''9급 공무원''')로 임명되었다.[19] 우리 동네 캐릭터 2회(2019) 우승[20] 자치시 승격 전 연기군 시절 캐릭터.[21] 한국도자재단의 마스코트이다. 경기도 마스코트 자리에선 밀려났지만, 한국도자재단에서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22] 조선 정조대왕의 어린 시절을 모티브로 했다.[23] 토야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24] 고양고양이 캐릭터는 sns로 크게 성공하여 고양시 홍보에 널리 기여하였다. 예전 마스코트였던 코코는 현재 고양국제꽃박람회 캐릭터로 사용되고 있다.[25] X4 design branding에서 제작을 맡았다. 다만 홈페이지 포토폴리오에 해당 캐릭터는 없는 상태.[26] 판타&시아 마스코트는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을 맡았다.[27] 꿈보&쏭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28] 디자인 때문에 유명해지긴 했지만, 정식 마스코트는 아니다.[29] 수원청개구리패밀리에서 맨 위의 분홍색 리본을 달고 있는 개구리가 여자친구 다정이, 맨 오른쪽 청색 개구리가 사촌 형 청돌이, 양동이에 담겨있는 올챙이가 동생 올망이이다.[30] 수원청개구리패밀리, 화성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31] 1990년대 중후반 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되었던 마스코트. 평택의 이전 마스코트와 동일한 이름이지만, 평택의 무동이는 풍물놀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이다. 안산의 무동이는 갓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고 부채를 펼치며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의 마스코트였으며, 단원 김홍도의 작품 '무동'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마스코트로 추정된다. 현재는 무동이의 이름을 인터넷 기사로만 찾아 볼 수 있다.[32] 까산이의 여동생[33] 오산대학교 시각디자인과 학생들이 개발한 캐릭터이다.[34] 2016년에 만들어진 SNS 전용 캐릭터를 2019년 리뉴얼 이후 "2020 우리동네캐릭터대상" 본선에 진출하여 통과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을 보면(통과하면 후속활동을 모색할 수 있다.) 의외로 인기는 있는 모양이다. 리뉴얼과 동시에 서브 마스코트 수준으로 격상된듯.[35] 이전에는 은돌이·은순이 였으며, 2013년을 기해 하남이·방울이로 개명하였다. 공식 유튜브 영상 중 한편에서도 (구)하남이·방울이로 소개되고 있다.[36] 현재 쓰이고 있는 물사랑이&행복이 마스코트는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을 맡았다.[37] 반비 홈페이지[38] 반비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39] 범이, 곰이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반다비의 2세라는 설정으로, 수호랑과 반다비를 디자인한 매스씨앤지에서 제작해 2019년 9월 말 공개했다.[40] 박쥐의 모습은 리뉴얼 전후가 동일하다.[41] 해오미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42] 소양강처녀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43] 기존 군 캐릭터 이름인 '해돌이'가 타 업체에서 이미 등록해 사용되고 있음에 따라 해(태양과 바다를 동시에 의미)와 아이(kid)를 조합해 '해키(HAEKI)'라는 이름을 새로 붙였다(캐릭터도 리뉴얼). 해키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44] 예전 눈동이 캐릭터를 글로벌 브랜드 개발을 위해 2013년에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을 맡겨 리뉴얼하고, 스노토리 마스코트도 새롭게 개발했으나, 현재는 쓰이고 있지 않다.. 현재는 리뉴얼 전 기존 눈동이 캐릭터를 마스코트로 쓰고 있는 중이다.기사1기사2[45] 캐릭터의 모티브는 무궁화이나, 군화는 진달래이다.[46] 화천군 메인마스코트 및 서브마스코트는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했다.[47] 꼬마신선 박달, 꼬마선녀 금봉, 제천 10경 마스코트는 그린나라에서 디자인했다.[48] 통합 이전 구 청원군 마스코트.[49] 음성 전통민속놀이인 거북놀이에서 유래.[50] 고추미 마스코트는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했다.[51] 공식 페이스북에 사용되는 공무원 캐릭터. 이 쪽이 당진 마스코트로 인지도가 높다.[52] 2018년 겨울에 추가된 사탕 모양 생명체.[53] 머돌이&머순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54] 아랑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55] 태랑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56] 금이&관이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57] 은어의 영어명인 Sweetfish에서 따왔다.[58] 혹시나 해서 적어두지만 절대로 '''카우와 검열삭제'''라는 뜻이 아니다! 카우 & 붕가라는 뜻.[59] 변신싸움소 바우 라는 애니로 제작된 적이 있다.[60] 온라인홍보대사인 산기_슭곰을 2020 우리동네 캐릭터에 참가신청을 하였으나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61] 양이의 모델은 태양이지만 양산의 한자 표기는 陽山이 아니라 梁山이다.[62] 통합 이전 마산시 마스코트[63] 통합 이전 마산시 마스코트[64] 통합 이전 진해시 마스코트[65] 통합 이전 창원시 마스코트. 이들의 이름은 명곡로타리를 중심으로 창원을 십자로 가르는 2개의 대로인 창이대로(용원교차로 ~ 성주광장)와 원이대로(도계광장 ~ 가음정사거리)로 남아 있다.[66] 해양수산부 측 해랑이와는 다른 캐릭터다. 남해군의 경우는 따로 '바다왕자'라는 호칭이 붙는다.[67] 물레동자&신비, 서브 마스코트는 그린나라에서 디자인했다.[68] 성춘향&이몽룡 마스코트는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69] 장수가 고향이다.[70] 여니&수니는 시 마스코트가 아닌 엑스포 마스코트 캐릭터다.[71] 곡성군 심청&심학규 마스코트는 매스캐릭터(현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했다.[72] BS삼총사는 보성군의 농산물 홍보 캐릭터이다.[73] 우리 동네 캐릭터 3회(2020) 지역부문 우승[74] sindybmk 측에 의뢰하여 만든 캐릭터로 보인다.[75] 3차 홍길동은 그린나라에서 디자인을 맡았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서브캐릭터도 볼 수 있으나, 디자인만 받고 쓰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76] sindybmk 측에 의뢰하여 만든 캐릭터로 보인다.[77] 현재 쓰이고 있는 땅끝이&희망이 마스코트는 X4 design branding에서 디자인을 맡았다.[78] 이누스&나누스 마스코트는 매스캐릭터(현 매스씨앤지에서 디자인을 맡았다. 현재는 해남공룡박물관 마스코트로 사용 중.[79] 꼬마하르방 제돌이의 경우 사회적 기업인 (주)시와월드에서 제작한 캐릭터로, 정식 마스코트는 아니다. 하지만 각종 제주특별자치도 행사에 참석하고, 다양한 상품이 나오는 등으로 미루어 봤을때, 인지도가 꽤 높은 캐릭터인 것 같다.[80] 행정시로 격하된 이후 마스코트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81] 단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사실상 최종선정작만 담아놓는다. 그외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