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kémon GO/레이드배틀/4성

 

1. 개요
2. 진행 중인 레이드
3. 진행되지 않는 레이드


1. 개요


일부 예외를 빼면 솔플이 불가능한 레이드였다. 물론 그에 걸맞게 600족이나 희귀한 포켓몬들이 주로 4성 레이드 보스로 등장했으나, 성능이 애매한 포켓몬들 또한 상당히 많았고 무엇보다 알 상태에서는 어떤 포켓몬인지 알 수가 없었기에 인기가 낮았다. 2020년 8월 레이드 시스템 변경으로 3성 레이드와 통합되었다. 2021년 관동 이벤트때 한시적으로 잠만보 한정 등장하였다.

2. 진행 중인 레이드


CP: 26380
기술 배치: 사념의박치기핥기 / 로케트박치기파괴광선역린지진헤비봄버엄청난힘누르기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84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304
체력이 무지막지하게 높은 잠만보의 장점은 레이드 시스템상 조금 퇴색되지만, 그 외의 능력치들도 충분히 높고 노말 타입이라 약점이 격투 타입 단 하나뿐이라서 공략은 쉽지 않다. 체육관에서 잠만보를 많이 상대해본 플레이어들에게는 익히 알려져 있듯 사념의박치기와 핥기로 카운터 포켓몬들을 위협하는 능력도 갖추고 있으며 스페셜 어택도 지진을 빼면 자속 받는 파괴광선과 2차징이라 쉴 새 없이 날아오는 역린 & 헤비봄버, 자속도 받고 충전도 빠른 로케트박치기와 누르기까지 모두 위력적인 편이다. 노말 어택의 위력 자체가 강하지는 않고, 자속기로 상성 포켓몬의 약점은 못 찌른다는 점이 그나마 다행이다.
가장 인기 있는 포켓몬은 카운터 / 폭발펀치 괴력몬과 기합구슬 뮤츠다. 괴력몬은 화력이 더 강하고 뮤츠는 더 오래 살아남는다. 화력이라면 4세대까지의 격투 타입 중 제일인 버섯모도 강력한 편으로, 특히 지진 잠만보 상대 시 땅 타입을 반감하는 풀 타입이라는 점 덕분에 괴력몬 등에 비해서도 우월한 성과를 낼 수 있다. 카운터 / 기합구슬 번치코는 지진에 약점을 찔리고 루카리오는 엄청난힘에도 약점을 찔리나 헤비봄버를 반감하므로 헤비봄버 상대로 쓸만하다. 그밖에는 범용 어태커로서 라이코, 파이어 등이 그럭저럭 제 역할을 한다. 망나뇽 등의 드래곤 타입들은 역린을 주의해야 한다. 유일하게 역린에 약하지 않은 디아루가의 경우 지진과 엄청난힘이 거슬린다.
잠만보는 야생에서 대단히 희귀한 포켓몬일 뿐만 아니라, 체육관 방어용으로 손가락 안에 꼽히는 성능을 보유하고 있기에 4성치고는 상당히 가치가 있다. 충분한 파티원을 구할 수 있다면 도전해볼 만하다.

3. 진행되지 않는 레이드


CP: 28861
기술 배치: 덩굴채찍잎날가르기 / 꽃보라솔라빔오물폭탄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5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943
이상해풀 강화판. CP가 꽤 높고 이중 약점이 없어서 난이도는 꽤 높은 편이다. 그래도 불꽃과 에스퍼라는 딜러진이 강력한 타입을 사용할 수 있고 비행과 얼음 타입도 효율적이기에 적당한 파티를 짜서 도전하면 그럭저럭 클리어할 수 있다. 오물폭탄 외에는 전부 풀 타입 기술만을 배워서 역저격당할 일은 거의 없다. 굳이 풀 타입에 약점을 찔리는 복합 타입 포켓몬을 사용하지만 않으면 된다.
이상해꽃의 성능은 거북왕 따위보다는 훨씬 경쟁력이 있지만, 이상해꽃 역시 굳이 4성 레이드를 돌아서 얻지 않아도 충분히 입수할 수 있는 포켓몬이기에 1성 이상해씨 또는 이상해풀과는 달리 레이드 인기가 많지 않다.
2020년 '포켓몬 데이' 이벤트에서는 뮤츠의 역습에서 등장한 복제 이상해꽃이 4성으로 나왔으며, 이 때 포획 시 커뮤니티 데이 기술인 하드플랜트를 배웠다.
-
CP: 30958
기술 배치: 에어슬래시회오리불꽃 / 불대문자오버히트드래곤크루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5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64
반감할 방법이 거의 없는 드래곤크루를 사용한다는 점과 불꽃 타입 내에서 상위권에 들어가는 기술을 배운다는 점 때문에 어태커들의 체력 관리는 다소 까다롭지만, 바위에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며 바위 타입에 대처할 수단도 마땅히 없다는 점 때문에 바위 타입 포켓몬을 다수 가지고 있는 플레이어는 꽤 수월하게 깰 수 있으며 40레벨 램펄드 6마리로는 솔플도 가능하다. 비가 오는 날에는 물이나 전기 타입도 비슷한 효율을 낸다.
다만 자포코일은 불꽃에 약점을 찔리기에 가급적 투입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스타팅 포켓몬 중 불꽃 타입은 상대적으로 야생에서 만나기 어려운 편이라 4성 스타팅 보스치고는 그나마 가치가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일 뿐, 다른 4성 레이드 보스들에 비하면 딱히 희소한 것도 아니고 성능상으로는 훨씬 쉽게 구할 수 있는 부스터가 낫기에 리자몽 역시 1성 파이리 또는 리자드 레이드와 달리 선호되지는 않았다.
2020년 '포켓몬 데이' 이벤트에서는 뮤츠의 역습에서 등장한 복제 리자몽이 4성으로 나왔으며, 이 때 포획 시 커뮤니티 데이 기술인 블러스트번을 배웠다.
-
CP: 26291
기술 배치: 물대포물기 / 하이드로펌프냉동빔러스터캐논로케트박치기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0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761
어니부기의 강화판. 아쿠아제트 대신 러스터캐논이 들어온 것 빼고는 기술이 다 같고 방어 타입도 동일하다. CP는 높지 않아도 약점이 많지 않고 냉동빔으로 풀 타입을 카운터치기에 까다로운 편이다. 물 타입 기술을 쓸 때는 물 타입을 반감하는 풀 타입이 가장 좋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전기 타입이 더 유용하다. 냉동빔에 약점을 찔리지 않고 러스터캐논은 반감하기 때문. 풀 타입 중 나시는 노말 어택 물기에도 약점을 찔린다.
어니부기 레이드 설명에서 언급했듯 거북왕의 성능은 좋지 않은 편이고, 굳이 4성 레이드를 뛰어서 구해야 할 정도로 희귀하지도 않다.
2020년 '포켓몬 데이' 이벤트에서는 뮤츠의 역습에서 등장한 복제 거북왕이 4성으로 나왔으며, 이 때 포획 시 커뮤니티 데이 기술인 하이드로캐논을 배웠다.
-
CP: 21286
기술 배치: 염동력벌레의저항 / 벌레의야단법석사이코키네시스시그널빔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04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305
벌레+비행 타입이면서 비행 타입 기술을 안 배우고 에스퍼 타입 기술을 배우는 것이 특징. 약점은 많지만 이중으로 약점을 찌르는 바위 타입으로 공략하는 것이 가장 쉽다. 다만 마기라스는 벌레에, 테라키온은 에스퍼에 약점을 찔리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1성 캐터피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버터플의 가치는 낮고 이 경우는 4성이라 솔플이 불가능했기에 1성 캐터피와 단데기 레이드보다도 가치가 없다.
-
CP: 21019
기술 배치: 독찌르기엉겨붙기 / 제비반환오물폭탄시저크로스마지막일침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05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318
이중 약점은 없지만, 방어 종족치가 낮아서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다만 에스퍼 타입은 벌레 타입 기술에 약해서 실용성이 보다 떨어진다. 에스퍼 타입 중 메타그로스는 벌레에 약하지 않아서 보다 안정적으로 활약할 수 있다. 불꽃과 비행, 바위 타입의 경우 마기라스는 벌레에, 번치코는 제비반환에 약점을 찔려서 실용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것이 단점. 독침붕의 기술을 전부 반감시키는 보스로라, 1배 제비반환을 제외하고 전부 반감시키는 샹델라 등이 최적의 카운터.
뿔충이는 야생에서 매우 흔한 포켓몬이며, 독침붕은 성능까지 안 좋아서 레이드의 가치는 낮다.
-
CP: 22322
기술 배치: 강철날개에어슬래시 / 폭풍제비반환브레이브버드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21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521
2020년 4주년 기념 이벤트 때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5364
기술 배치: 독찌르기물기 / 대지의힘오물웨이브지진스톤에지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2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777
같은 방어 타입과 거의 비슷한 기술 배치를 갖고 있던 니드킹과 비교하면 공격이 낮아서 CP도 뒤처지지만, 방어가 더 높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쓰러뜨리기는 더 까다로운 편이다.
최선의 카운터는 사이코키네시스를 가르친 뮤츠다. 별로 강하지도 않은 노말 어택 물기를 제외하면 어떠한 공격에도 약점을 찔리지 않으면서 에스퍼 타입 최고의 화력을 뿜어낸다. 후딘과 에브이는 화력은 거의 동등한 대신 내구도가 뮤츠보다 꽤 떨어지는 편이므로 회피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니드퀸의 스페셜 어택이 스톤에지가 아닐 경우에는 루기아가 든든한 탱킹력으로 후봉 역할을 잘 하는 편이다.
물 타입에도 쓸만한 포켓몬이 많다. 대표적으로 폭포오르기와 하이드로펌프를 배운 갸라도스는 스톤에지가 들어가지 않는 모든 기술 조합을 상대로 준수한 활약을 하고, 특히 지진을 상대로는 비행 타입 덕분에 탱킹력도 받쳐 준다. 물대포 / 하이드로펌프 조합의 샤미드와 폭포오르기 / 파도타기 조합의 밀로틱은 갸라도스에 비해 화력은 부족한 대신 스톤에지에 약하지 않다. 오물웨이브와 스톤에지를 반감하며 커뮤니티 데이 때 하이드로캐논을 배웠다면 후술되는 가이오가급 화력을 뽑는 대짱이도 좋은 편이다. 스톤에지 걱정할 필요도 없고 능력치로 보나 기술 배치로 보나 일반 물 타입을 압도하는 가이오가를 사용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다. 하이드로캐논 장크로다일도 화력은 가이오가와 대짱이 못지 않다.
니드퀸의 약점으로는 땅과 얼음도 있기는 한데, 땅 타입의 경우 계속 언급하게 되는 지진의 화력 문제로 인해 공격력이 조금 아쉽고 얼음 타입은 스톤에지에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땅/바위 타입의 경우 지진과 대지의힘에 약하다는 문제도 존재한다. 그나마 투입할 만했던 포켓몬은 땅 타입의 그란돈 외에 CP가 3000을 넘는 일부 포켓몬, 얼음 타입 중 맘모꾸리와 스톤에지가 아닐 경우에 한해서 프리져 등 정도다.
니드퀸은 좋은 포켓몬도 아닌데다 니드런♀️가 야생에서 매우 흔하기 때문에 레이드의 가치는 낮다. 게다가 진화체라 색이 다른 포켓몬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레이드 선호도는 4성 중에서 특히 낮은 편이다.
-
CP: 27168
기술 배치: 독찌르기아이언테일 / 대지의힘오물웨이브지진메가폰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 최대 CP: 146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33
니드퀸보다 화력이 강한 대신 체력은 더 잘 깎인다. 방어 타입상으로는 니드퀸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 기술 배치가 조금 다른데, 아이언테일이 얼음 타입을 저격하고 메가폰은 에스퍼 타입에게 위협을 넣으므로 파티를 짜기가 조금 더 까다롭다.
그래도 기본적으로는 니드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쓸모없다는 점에서도 니드퀸 레이드와 동일하다. 심지어 1성 니드런♂️ 레이드만도 못한데, 니드킹 레이드에서는 색이 다른 포켓몬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는 일본의 포켓몬센터 체육관 한정으로 CP 32111짜리 5성 니드킹 레이드가 열렸다. 비주기의 니드킹이라 강하다는 명목. 레이드를 클리어하고 니드킹을 포획하면 스티커를 받을 수 있었다. 이를 니드킹 레이드가 다시 열렸다고 보기는 애매하지만, 비슷한 처지의 니드퀸이나 우츠보트에 비해서는 그나마 한 번이라도 이름을 더 알렸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가 있다.
-
CP: 26364
기술 배치: 거품바위깨기머드숏 / 그로우펀치폭발펀치하이드로펌프냉동펀치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7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47
이중 약점은 없지만 단일 약점이 꽤 많고, 냉동펀치에 견제당하는 비행과 풀 외에는 딱히 약점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서 파티 짜기도 간단하다. 괴력몬 레이드에 쓰던 포켓몬을 그대로 가져다 써도 되고 거기에 전기 타입을 적당히 추가해도 좋다. 전기 타입은 머드숏에 약점을 찔리지만 비자속 노말 어택을 뿐이라 받아낼 수 있고 뮤츠, 가디안, 후딘, 라이코 등이 쓸만하다는 이야기. 자포코일이 격투에, 파이어가 물에 견제당하는 정도.
다만 기본적으로 지금은 강챙이의 실용성이 높지 않은데, 1성 발챙이 레이드와는 달리 색이 다른 포켓몬도 안 나오면서 난이도는 훨씬 어렵다 보니 인기는 발챙이 레이드만도 못하다.
-
CP: 31159
기술 배치: 불릿펀치카운터 / 크로스촙인파이트폭발펀치헤비봄버스톤샤워
포획 확률: 1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74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83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당연히 공략법은 동일하다. 4성은 솔플이 불가능하기에 3성과는 달리 인기는 없다.
-
CP: 25794
기술 배치: 용해액잎날가르기 / 그래스믹서리프블레이드솔라빔애시드봄오물폭탄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8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736
방어 종족치가 낮고 약점도 적지 않아 공략은 그럭저럭 쉽다. 배우는 기술이 독과 풀 타입 뿐이라 견제 폭도 넓지 않은 편.
최고의 카운터는 불꽃 타입 전설의 포켓몬파이어앤테이다. 무척 강력한 화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풀 타입으로부터 받는 피해를 반감하기까지 하기에 내구도도 좋다. 특히 파이어는 비행 타입까지 포함되어서 풀 타입을 이중으로 반감해 버린다. 전설의 포켓몬이 없다면 부스터나 번치코, 리자몽 등을 투입해도 좋다. 그 외에는 독 타입에 유리한 뮤츠 등의 에스퍼 타입 어태커도 강한 편이고, 돈크로우와 포푸니라 등도 꽤 활약한다. 얼음 타입에서 성능 자체는 맘모꾸리가 가장 좋지만 풀에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우츠보트 상대로는 다소 효율이 떨어진다.
니드퀸 니드킹 시리즈만큼은 아니라도, 우츠보트 역시 4성 레이드를 돌아서 구할 정도의 가치는 없다. 모다피가 꽤 흔한 편이기도 한데다 풀 타입에는 우츠보트에 비해 딱히 구하기 어렵지도 않으면서 성능은 훨씬 좋은 나무킹, 나시, 로즈레이드, 이상해꽃 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독 타입으로도 4세대에 추가된 로즈레이드가 압도적이다.
-
CP: 31291
기술 배치: 돌떨구기진흙뿌리기 / 스톤에지락블레스트지진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85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06
원래 딱구리 자리에 있던 코뿌리와 비교하면, 체력은 레이드 시스템상 동일한 상태에서 공격은 코뿌리가 높고 방어는 딱구리가 높다. 허나 이중 약점 앞에서는 방어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며, 배우는 기술이 바위와 땅 타입 뿐이라 견제 폭이 코뿌리에 비해 좁아서 코뿌리와 비교하면 난이도가 쉬운 편이다. 어쨌든 전체적으로 코뿌리와 유사하며 공략법도 거의 같다.
꼬마돌 레이드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미 언급했듯 딱구리의 가치는 낮은 편이다. 꼬마돌이 야생에서 흔하게 보이기 때문에 정 바위타입 공격수가 없으면 고레벨 꼬마돌을 진화시키는 방법이 있기도 하고. 이 경우는 4성이라 난이도가 훨씬 높으면서 진화체라 색이 다른 포켓몬도 구할 수 없기에 더욱 인기가 저조하다.
-
CP: 27501
기술 배치: 드래곤테일기관총 / 솔라빔씨폭탄용의파동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722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53
2성에서 4성으로 올라온 최초의 포켓몬이다. 능력치 차이로 인해 레이드가 훨씬 더 어렵다는 것 외에 기본적인 공략법 및 성능은 2성과 동일하므로 생략. 나시가 안 좋은 포켓몬은 아니지만, 4성 레이드 특성상 2성보다 인기는 떨어진다. 이 때문에 지금은 2성으로 떨어졌다.
-
CP: 14386
기술 배치: 사념의박치기핥기 / 짓밟기파괴광선파워휩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80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008
2020년 2월 내루미 레이드데이 때 4성으로 올라왔다. 당연히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6106
기술 배치: 몸통박치기 / 오물공격파괴광선치근거리기오버히트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10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37
약점은 3개 뿐이고 이중 약점이 없으며 격투와 드래곤 타입을 이중으로 반감시키기까지 해서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그나마 노말 어택이 비자속에 약점을 찌르지도 못하는 몸통박치기 뿐이며 약점을 찌르는 3개의 타입 중에서 에스퍼와 땅 타입에 강력한 포켓몬이 다수 포진해 있으며 약점을 찔리지 않는 점이 다행이다. 파괴광선이 스페셜 어택으로 뜰 경우 어떠한 포켓몬의 약점도 찌르지 못하기에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편이다. 일부 복합 타입 포켓몬이 특정 스페셜 어택에 견제당하는 정도. 그중에서 오버히트가 가장 어려운데, 이유는 강철 타입의 경우 커뮤니티 데이 때 코멧펀치를 얻은 메타그로스가 아니면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데다가 구하기가 어려우며 오버히트에 약점을 찔린다는 점이 거슬리기 때문. 땅 타입 DPS 1위인 몰드류 역시 강철 타입이라 약점을 찔린다. 다만 오버히트를 제외한 나머지 기술은 전부 반감시키는 점에서 차별화가 가능하다.
가라르 리전 폼 또도가스의 성능은 썩 좋지 않으나 레이드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기에 수집용으로는 가치가 있다.
-
CP: 30663
기술 배치: 진흙뿌리기바위깨기 / 스톤에지지진파도타기메가폰(레거시)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81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270
초창기 기준으로 CP가 당시 4성 보스 중 마기라스 다음으로 높았던데다, 이중으로 약점을 찌르는 두 타입 중 물 쪽은 샤미드가 최강이라 화력이 애매했던 상황에서 풀을 메가폰으로 견제할 수 있어 난이도가 높은 편이었다. 이후 메가폰이 파도타기로 바뀌고 가이오가 등이 풀리면서 난이도가 상당히 낮아진 상태.
코뿌리의 약점은 많으나 그 중에서도 약점을 이중으로 찌르는 물과 풀 타입의 상위권 어태커들을 사용하면 큰 어려움 없이 잡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풀 타입의 로즈레이드와 나무킹, 물 타입의 가이오가, 하이드로캐논(레거시) 대짱이 또는 장크로다일 등이 있다. 풀 타입은 아니지만 높은 공격력으로 강력한 솔라빔을 발사할 수 있고 타입상 바위를 반감하는 이점도 갖는 그란돈 역시 권장할 만하나, 파도타기는 피해야 한다. 그밖에 복합 타입 포켓몬 중 갸라도스처럼 코뿌리의 특정 기술에 약점을 찔리는 포켓몬이 존재하므로 이들의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1성 뿔카노 레이드에서도 언급했듯 거대코뿌리의 가치는 높기 때문에 레이드의 가치는 그럭저럭 있다.
-
CP: 8508
기술 배치: 막치기사념의박치기 / 사이코키네시스매지컬샤인파괴광선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71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896
2020년 발렌타인데이 이벤트 때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으며, 4성 보스 중 유일하게 CP가 1만을 넘기지 않는 보스다. 공략법은 3성 럭키와 동일하다. 4성 레이드 특성상 인기는 3성보다 떨어진다.
-
CP: 33687
기술 배치: 벌레먹음바위깨기연속자르기 / 시저크로스인파이트찝기엄청난힘
포획 확률: 3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90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13
3성에서 4성으로 한 번 더 올라왔다.

2성&3성 쁘사이저 레이드의 강화 버전. 당연히 공략법은 동일하다. 4성은 솔플이 불가능하기에 이 경우는 2성&3성과는 달리 선호되지 않는다.
-
CP: 33893
기술 배치: 폭포오르기물기용의숨결 / 깨물어부수기하이드로펌프역린회오리#s-4
포획 확률: 1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93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422
약점은 2개 뿐이고 CP도 높아서 난이도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전기에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고 전기 타입을 견제할 기술마저 없어서 전기 타입으로 공략하면 난이도가 대폭 쉬워진다. 자포코일, 라이코 등 전기 타입 1티어 포켓몬으로 공략하면 상성상 우위를 접할 수 있다. 바위 타입의 경우는 물 타입 기술에 약하며 배율이 더 낮기에 쓰기가 편치 않으며, 심지어 땅+바위 타입은 물 타입 기술에 치명적으로 약하기에 하이드로펌프 상대로 봉인된다.
갸라도스는 좋은 성능의 포켓몬이지만 4성 레이드를 돌아야 될 정도로 희소하지도 않고 색이 다른 포켓몬도 구할 수 없기에 1성 잉어킹 레이드와는 달리 선호되지 않는다.
-
CP: 23476
기술 배치: 물대포얼음숨결얼음뭉치(레거시) / 눈보라파도타기하이드로펌프로케트박치기냉동빔(레거시)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0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86
-
CP: 38490
기술 배치: 드래곤테일강철날개용의숨결] / 역린폭풍파괴광선드래곤크루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216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709
-
CP: 28260
기술 배치: 불꽃세례섀도크루 / 불대문자솔라빔오버히트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5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64
난이도는 중간에서 조금 어려운 정도. 리자몽과 똑같은 스탯을 가지고 있지만, 이중 약점이 없는 단일 불꽃 타입이기에 리자몽보다는 난이도가 조금 높다. 약점이 되는 타입 대부분을 솔라빔으로 역저격할수 있다는 것 역시 난이도를 올리는 원인. 개중에는 방어 타입 때문에 솔라빔에 치명상을 입는 포켓몬들도 있다.
1성 마그케인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블레이범의 가치는 높지 않고, 4성 레이드를 돌아서 구해야 될 정도로 희소하지도 않다.
-
CP: 27740
기술 배치: 폭포오르기물기얼음엄니 / 하이드로펌프깨물어부수기냉동빔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5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943
2018년 2월 업데이트 때 등장했다. 단일 물 타입이라 약점이 둘 뿐이고, 풀 타입은 얼음엄니/냉동빔이 뜰 경우 곤란해지기에 난이도는 높은 편이다. 풀/에스퍼 타입인 나시는 악 타입에도 약점을 찔리고, 복합 타입 포켓몬들 중 일부는 얼음에 이중으로 약점을 찔려서 냉동빔 장크로다일 상대로 봉인된다. 범용 어태커를 쓰기도 어려운 편인데, 드래곤 타입은 풀 타입처럼 얼음에 약하고 뮤츠는 악 타입에 약하며 메타그로스는 악 타입에 약할 뿐만 아니라 물 타입에게 가하는 피해량까지 반감당하기 때문이다. 전기 타입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쓸만한 포켓몬이 몇 없는데다 썬더는 얼음에 약해서, 무난하게는 라이코, 에레키블, 자포코일, 렌트라만이 정답이다. 4세대에 나온 디아루가와 펄기아도 괜찮은 대안이 될 수 있다.
1성 엘리게이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기본적으로 장크로다일의 가치는 높지 않기에 레이드의 필요성은 떨어지는 편이다. 그러면서 난이도가 어렵기까지 해서 도전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커뮤니티 데이 한정으로 풀린 하이드로캐논 장크로다일은 갸라도스보다 강력하지만, 해당 커뮤니티 데이 기간에는 장크로다일 레이드가 진행되지 않았기에 레이드에 끼친 영향은 없었다.
-
CP: 20453
기술 배치: 신통력잠재파워 / 매지컬샤인제비반환원시의힘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97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220
약점은 많지만 방어 종족치가 제법 높고 이중 약점이 없으며 상성 포켓몬 중 일부는 특정 기술에 약점을 찔릴 수 있어 낮은 CP에 비해 쉽지만은 않다. 격투와 드래곤 타입을 이중으로 반감시키기 때문에 범용 어태커 중 상당수를 사용할 수 없으며, 바위 타입에서 램펄드와 마기라스, 강철 타입에서 메타그로스가 가장 유효한 카운터로 평가받는데 마기라스와 메타그로스는 레거시 무브를 갖고 있는 것을 전제로 깔기 때문에 아무나 사용할 수는 없는 것도 난점. 대신 이 포켓몬들을 많이 갖고 있다면 상당히 쉬워지기는 한다. 특히 메타그로스의 경우 토게틱의 모든 기술을 반감하여 받으며 화력 또한 강력하기에 대활약한다. 그 외에는 라이코, 썬더, 자포코일, 알로라 리전 폼 딱구리, 뮤츠 등이 고려 대상이다. 얼음 타입은 극소수의 포켓몬들만 쓸만할 뿐이고, 모두 상성상 원시의힘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서 추천되지 않는다. 특히 프리져는 원시의힘에 약점을 이중으로 찔린다.
야생에서 토게틱이 거의 나오지 않기는 하지만 토게틱은 진화가 덜 끝난 포켓몬이라 성능은 기대할 것이 못 되기에, 토게틱 자체보다는 4세대에 추가된 토게키스를 생각하고 돌게 될 레이드다. 토게키스는 적절한 능력치와 준수한 방어 타입, 그리고 4세대까지 쓸만한 포켓몬이 많지 않은 페어리와 비행 타입에 속한다는 이점 덕분에 쓸만한 포켓몬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가디안, 맘모꾸리, 포푸니라 등 드래곤 슬레이어들이 많더라도 얻으면 좋은 것이, 유리대포에 가까운 이들의 내구력을 생각하면 토게키스의 TDO(전체 딜량)는 이들에 비해 실질적으로 밀리지 않거나 오히려 더 높다. 때문에 드래곤 타입에 제법 괜찮은 하드카운터가 되며, 4세대에 가디안과 함께 애교부리기를 배우면서 더욱 강해졌다. 야생에서 흔하지 않은데다 가디안과는 달리 커뮤니티 데이도 한 적이 없어 희소성도 높기에, 4성치고는 제법 인기가 있는 편. 이후 PvP 리그의 개최가 발표되고 애교부리기 토게키스가 하이퍼리그, 마스터리그의 슈퍼루키로 떠오르면서 더욱 인기가 올라갔다.
-
CP: 19499
기술 배치: 바크아웃속여때리기 / 속임수악의파동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22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526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4성은 솔플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치는 3성보다도 없다.
-
CP: 24765
기술 배치: 벌레먹음벌레의저항 / 지진암석봉인헤비봄버모래지옥미러숏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0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30
방어 종족치가 높고 반감시키는 타입은 9개나 되는데다가 약점은 불꽃 뿐인 대신 불꽃에는 이중으로 약점을 찔린다. 다만 비자속 스페셜 어택들로 불꽃 타입의 약점을 찌르고 일부 복합 타입 포켓몬은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는 경우도 있기에 쏘콘의 기술 배치에 따라서 포켓몬을 잘 투입하는 것이 좋다. 암석봉인 상대로는 격투 또는 강철 타입을 겸하는 포켓몬을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모래지옥이나 지진 상대로는 비행 타입을 겸하는 포켓몬을 투입하는 것이 좋다. 헤비봄버나 미러숏 상대로는 어떠한 불꽃 타입 포켓몬을 투입해도 된다.
2성 피콘 레이드도 가치가 거의 없는데 이 경우는 진화체라 색이 다른 포켓몬도 안 나오기에 가치가 더 떨어진다.
-
CP: 26020
기술 배치: 애교부리기바크아웃물기 / 치근거리기깨물어부수기인파이트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58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23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공략법은 3성과 동일. 4성은 솔플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레이드 가치는 3성일 때보다도 더 없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지금은 3성으로 내려왔다.
-
CP: 30025
기술 배치: 섀도크루메탈크로우카운터 / 파괴광선인파이트치근거리기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7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971
파괴광선 외에는 자속 기술이 하나도 없는 것이 특징. 노말 타입인 링곰을 상대로는 대개 격투 타입을 사용하게 되는데, 잠만보보다 공격 종족치가 높고 페어리 타입 기술 치근거리기가 범용성 좋은 드래곤 타입 어태커들과 격투 타입 포켓몬을 카운터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치근거리기에 약하지 않은 디아루가도 격투 타입 기술에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다. 그래도 잠만보에 비해 방어 종족치가 낮아서, 약점 역저격을 당하지 않는 이상 범용 어태커들로도 큰 어려움 없이 쓰러뜨릴 수 있다.
깜지곰이 야생에서 흔한 포켓몬은 아니나, 링곰의 성능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레이드의 가치는 없다.
-
CP: 28590
기술 배치: 바크아웃불꽃엄니 / 깨물어부수기속임수불대문자화염방사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05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82
요코하마 레이드로부터 3번째로 본가에 유입된 보스. 난이도는 앱솔과 비슷하다.
격투 타입 쪽에서 대 헬가전에 가장 강력한 포켓몬은 바로 번치코다. 격투 타입 최상급의 화력을 보유한 포켓몬이면서, 불꽃과 악 타입으로만 구성된 헬가의 모든 공격을 반감하기 때문이다. 강챙이의 경우 반감이라는 측면에서는 번치코와 같은데, 화력은 상당히 떨어지나 대신 내구도가 우월하다. 종합적인 면에서 격투 타입 1티어인 괴력몬 역시 당연히 준수한 활약을 펼친다.
물 타입과 땅 타입에서는 당연히 가이오가와 그란돈이 최강이다. 하이드로캐논(레거시) 대짱이 또는 장크로다일, 갸라도스, 한카리아스, 거대코뿌리 등 일반 포켓몬 중에도 쓸만한 포켓몬이 많다. 거대코뿌리는 바위 타입 스페셜 어택을 사용하는 편이 더 효율적이다. 헬가 레이드에서 예외적으로 활용도가 올라가는 포켓몬으로는 샤크니아가 있는데, 내구도가 지나치게 낮아 사용하기 어렵다는 평을 듣는 포켓몬이지만 헬가를 상대할 때는 악 타입 덕분에 헬가의 모든 공격을 반감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도 문제가 조금 가려지니 초반에 폭딜을 넣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1성 델빌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헬가의 가치는 낮은 편이고 이 경우는 진화형이라 색이 다른 포켓몬을 구할 수도 없다.
-
CP: 37599
기술 배치: 물기아이언테일 / 깨물어부수기스톤에지불대문자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219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739
CP는 높지만, 약점이 7개나 되고 무엇보다 격투 타입에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4성치고는 쉬운 편이다. 격투 타입에 약한 만큼 최선의 카드는 당연히 그림자 괴력몬과 루카리오, 노보청이다. 루카리오는 마기라스의 불대문자를 제외한 모든 공격을 반감 이하로 받으며 그림자 괴력몬은 공격력이 압도적이다. 노보청은 이 중에서 안전성이 제일 높다는 이점이 있다. 없으면 일반 괴력몬도 괜찮다. 워낙 격투 타입과 그 외 타입의 격차가 크고 격투를 제외한 다른 상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마기라스의 기술에 견제당할 확률도 높은 편이라서, 격투 타입 외에는 별로 고려되지 않는다.
1성 애버라스 레이드에서도 언급했듯이 마기라스는 마냥 좋다고 볼 수는 없지만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고 진화를 마친 포켓몬이라서 보상도 후하게 주어진다. 희소성과 성능 모두를 만족시키는 덕분인지, 4성 레이드 보스 중 인기가 많았다. 안정성보다 딜 중심으로 메타가 바뀌어 가는데다가 악타입에서는 다크라이가 출시되었고 바위타입마저도 거대코뿌리가 등장해서... 요즘은 고레벨 유저들에겐 선호되는 포켓몬은 아니다. 그렇지만 4성 레이드 보스 중에서는 이만한 포켓몬이 많지 않기에 여전히 4성 내에서는 높은 인기를 자랑하며 5성 레이드가 인기가 없는 전설의 포켓몬일 경우 다들 마기라스를 찾는데 혈안이 된다.
-
CP: 30215
기술 배치: 회오리불꽃카운터 / 오버히트브레이브버드기합구슬브레이즈킥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2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75
이중 약점이 없지만 약점 4개가 전부 메이저한 편이고 방어 종족치가 높지도 않아서 공략이 쉽다. 다만 땅+바위 타입은 격투에 약하고 특히 얼음 또는 강철 타입을 겸하는 포켓몬의 경우는 브레이브버드를 제외한 나머지 기술에 약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불꽃 타입 기술 상대로는 물 타입을, 격투 타입 기술 상대로는 에스퍼나 비행 타입을 투입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40레벨 사이코브레이크 뮤츠 4마리로 솔플이 가능하다.
번치코는 준수한 성능의 포켓몬이지만, 4성 레이드를 돌아서 구해야 할 정도로 희귀하지 않기에 2성 영치코 레이드와는 달리 선호되지 않는다.
-
CP: 29161
기술 배치: 머드숏물대포 / 지진오물웨이브파도타기탁류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9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24
약점은 풀 뿐이지만 풀에는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기에 난이도는 쉬운 편. 다만 오물웨이브가 뜨면 난이도가 대폭 올라가는데, 독+풀 타입을 제외한 풀 타입 포켓몬의 약점을 찌르기 때문이다. 그나마 오물웨이브만 아니면 나머지 기술은 물과 땅 타입 뿐이라 문제 없다.
대짱이는 좋은 성능의 포켓몬이지만, 4성 레이드를 돌아야 될 정도로 희귀하지 않기에 2성 늪짱이 레이드와는 달리 인기가 높지 않다.
-
CP: 24648
기술 배치: 잎날가르기거품 / 눈보라하이드로펌프솔라빔냉동빔에너지볼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2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59
방어 타입 때문에 약점이 3개 뿐이고 비행 타입을 빼고는 마이너하지만 CP가 높지 않아서 난이도는 어렵지 않다. 단, 냉동빔이나 눈보라 한정으로 난이도가 급등한다. 이유는 독+풀 타입 포켓몬과 비행 타입 포켓몬의 약점을 찌르기 때문. 심지어 레쿠쟈는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기까지 한다. 불꽃+비행 타입 포켓몬은 눈보라나 냉동빔에 약하지 않지만 물에 약하다.
1성 연꽃몬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로파파의 가치는 낮은 편인데 이 경우는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오지도 않으면서 난이도는 더 높기에 가치가 훨씬 떨어진다.
-
CP: 23786
기술 배치: 속여때리기잎날가르기바크아웃 / 그래스믹서리프블레이드속임수폭풍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3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66
CP는 4성 최하위권인데다 방어 종족치도 낮은 편이고, 약점은 무려 7개라 공략하기가 상당히 수월하다. 특히 다탱구의 약점을 이중으로 찌르는 벌레 타입에게는 극도로 취약하기에 벌레 타입으로는 솔플도 가능하다. 단, 비행 타입 기술인 폭풍으로 격투와 벌레 타입을 저격할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강철 타입을 겸하는 덕분에 비행 타입에도 약하지 않은 핫삼이 모든 면을 종합해 봤을 때 가장 이상적인 카운터. 파이어를 위시한 불꽃 타입 또한 다탱구를 상대로 무난하게 우위를 점한다. 괴력몬으로 대표되는 격투 타입도 강력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폭풍에 저격당할 위험이 있다. 특히 격투/풀 타입인 버섯모는 다른 기술에는 전부 강한 대신 폭풍에는 치명상을 입는다. 마이너한 타입에서 쓸만한 포켓몬을 찾자면 비행 타입 중에 돈크로우와 파이어, 얼음 타입 포켓몬으로 맘모꾸리와 포푸니라, 독 타입에서 로즈레이드와 페어리 타입의 가디안과 토게키스 정도를 꼽을 수 있다. 나머지는 성능도 다소 떨어지고, 방어 타입 면에서도 다탱구 상대로 별로 좋지 않다.
레이드 난이도가 낮은 것은 장점이지만, 다탱구의 가치는 높지 않다. 낮은 CP와 약점투성이 방어 타입 탓에 다탱구를 기용할 만한 상황은 극히 제한적이며, 풀 타입으로도 악 타입으로도 훨씬 강력한 포켓몬이 많다. 야생에서 도토링이 흔한 편이기도 해서, 레이드의 가치는 낮다.
-
CP: 22878
기술 배치: 연속자르기메탈크로우 / 벌레의야단법석제비반환섀도볼
포획 확률: 1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125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406
전체 CP와 방어 종족치가 모두 낮고 약점이 많으며 기술 배치가 상성 포켓몬을 제대로 견제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난이도는 낮은 편. 벌레/비행 복합 타입 보스들이 다 그렇듯 바위 타입으로 상대하면 아주 쉽다. 메탈크로우가 바위 타입의 약점을 찌르기는 하나, 공격 종족치가 높지도 않은 아이스크의 비자속 노말 어택에 대단한 의미를 부여할 이유는 없다. 심지어 자속기조차 위력이 강하지 않아 벌레 타입에 약한 마기라스로도 상대하기가 어렵지 않다. 덕분에 2019년 2월 1일 이후 처음으로 솔플이 가능한 4성이 되었다.
야생에서 토중몬이 나오지 않아 도감 등록용으로는 쓸만하지만, 진화체라 색이 다른 포켓몬도 구할 수 없고 실전 가치가 없는 포켓몬이라 도감만 채우고 나면 더 손을 댈 이유가 없어지게 된다. 그나마 4성인데도 솔플이 가능해 도전 정신을 자극하기는 한다.
-
CP: 33326
기술 배치: 아이언테일드래곤테일떨어뜨리기 / 스톤에지헤비봄버번개
포획 확률: 1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714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143
2018년 1월 23일, 호연지방 포켓몬 23종이 추가로 등장한 패치 때 레이드 보스로 추가되었다. CP가 높고 약점은 3개밖에 안 되면서 반감시키는 타입은 무려 9개지만, 대신 격투와 땅에는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고 격투 및 땅 타입 어태커들을 견제하기에 적합한 기술을 배우는 것도 아니라서 인원수가 충분하다면 난이도는 무난한 편이다. 특히 땅 타입에 입히는 피해가 별 볼 일 없는 번개 또는 격투와 땅 타입에 반감당하는 스톤에지가 뜰 경우 꽤 수월하게 레이드에 임할 수 있다. 괴력몬, 버섯모, 그란돈, 한카리아스 등이 무난하다. 바위 또는 얼음 타입을 겸하는 포켓몬은 강철 타입 기술에 약해서 범용성이 떨어지는 편. 방어 종족치가 대단히 높으므로 격투와 땅 외의 외의 방법으로 상대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물 타입도 약점을 찌르기는 하지만 배율이 더 낮고 번개에 약해서 효율이 떨어지는 편이며, 물 타입 상위권 어태커인 갸라도스의 경우 번개는 스쳐도 기절하는 수준에 바위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웬만하면 안 쓰는 편이 낫다.
보스로라는 2세대까지 공격용으로는 핫삼, 방어용으로는 강철톤 외에 쓸만한 포켓몬이 거의 없던 강철 타입에서 가장 CP가 높은 포켓몬이라서 어느 정도 가치를 갖는다. 하지만 가보리가 꽤 잘 뜨는 편이라서 굳이 레이드를 돌 필요가 없고, 보스로라 자체도 어태커로는 공격이 약간 아쉽고 방어용으로는 체력이 다소 낮은데다[1] 이중 약점이 두 개나 존재하는 탓에 성능이 좀 애매해서 레이드의 수요는 적은 편이다. 진화형이라 색이 다른 포켓몬을 레이드로 수급하는 것도 불가능. 이후 강철타입에도 메타그로스를 비롯한 강자들이 추가된것도 보스로라에겐 아쉬운 부분.
-
CP: 16673
기술 배치: 사이코커터카운터 / 냉동펀치사이코키네시스폭발펀치그로우펀치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81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022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가치도, 공략법도 동일하다.
-
CP: 28769
기술 배치: 바크아웃사이코커터 / 악의파동번개메가폰
포획 확률: 5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4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805
3성 앱솔 레이드의 강화 버전.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3578
기술 배치: 얼음숨결폭포오르기 / 눈보라물의파동지진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5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947
전체적으로 라프라스 레이드와 유사하다. 보스로서 능력치 버프를 그리 많이 받지 못한 점도 그렇고, 방어 타입이 동일하며 견제 폭도 대동소이해서 공략법도 거의 같다. 지진으로 전기 타입을 견제할 수 있다는 점 정도가 약간의 차별점이지만, 비자속인데다 지진이 워낙 느려터졌기 때문에 별 문제는 안 된다. 지진 상대로는 썬더를 꺼내고 얼음 세팅 상대로는 자포코일을 꺼내는 정도의 융통성만 있다면 무난한 편.
씨카이저는 얼음 타입 중 몇 안 되는 실전 포켓몬이지만, 4성 레이드를 뛰어서 구하기에는 야생에서 데굴레오가 상당히 흔하고 2km 알에서도 잘 부화한다. 그나마도 4세대 때 고화력 포켓몬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빛이 바랜 지 오래다.
-
CP: 37473
기술 배치: 드래곤테일물기불꽃엄니 / 하이드로펌프용성군불대문자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2142
날씨 부스트 때 포획 가능한 최대 CP: 2678
망나뇽과 방어 상성이 똑같으므로 이중 약점인 얼음으로 패면 되지만, 보만다가 불꽃엄니/불대문자로 불꽃 통일을 하게 되면 얼음을 도리어 찌를 수 있다. 바위, 드래곤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추천 포켓몬을 통해 스킬을 잘 파악하여 딜러진을 꾸리는 것이 중요하다.
레이드로 잡은 보만다는 역린을 배우지 않고 색이 다른 포켓몬으로도 나오지 않기에 가치는 떨어진다. 따라서 보만다 자체의 성능을 보고 초반부에 쓰거나 아니면 커뮤니티데이 재복각 때 진화시킬 아공이용 사탕을 모으는 용도로 도는 것이 좋다.
-
CP: 40224
기술 배치: 불릿펀치사념의박치기 / 러스터캐논사이코키네시스지진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2166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708
600족답게 높은 종족치를 갖고 있으며, 같은 600족인 망나뇽과 마기라스와는 달리 이중 약점이 없고 단일 약점도 고작 넷 뿐이면서 반감하는 타입은 무려 10개나 되어 레이드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배우는 기술들의 위력이 그리 강력하지 않고, 메타그로스의 약점을 찌르는 네 타입이 전부 제법 메이저한 편이라는 점이 그나마 위안이 된다.
메타그로스를 빠르게 쓰러뜨리는 데에는 고스트와 불꽃 타입이 가장 적합하다. 고스트 타입 중 가장 화력이 강력한 팬텀은 메타그로스의 기술 배치가 불릿펀치 / 러스터캐논일 때를 제외하면 항상 약점을 찔리는 탓에 쓰기 어렵고, 기라티나(오리진폼)와 섀도볼 뮤츠가 가장 편하다. 불꽃 타입 중에는 당연히 파이어, 앤테이, 번치코, 블러스트번(레거시) 리자몽 등이 좋다. 앤테이처럼 단일 불꽃 타입인 경우 지진에 약점을 찔리지만, 비행 타입을 겸하는 파이어 등은 지진을 상대로도 부담이 없다.
땅과 악 타입도 쓸만하다. 특히 단일 땅 타입인 그란돈은 메타그로스의 어떠한 기술에도 약점을 찔리지 않으며 긴 시간 동안 딜을 넣어줄 수 있으므로 기대할 수 있는 화력의 총량으로는 웬만한 고스트, 불꽃 타입 1티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한카리아스도 그란돈 못지 않다. 다만 거대코뿌리 등 땅/바위 타입은 강철과 땅 타입에 모두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활용하기 어려운 편이다. 악 타입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마기라스의 경우 강철 타입 기술들과 지진에 약점을 공략당하는 흠이 있지만, 대신 에스퍼 타입 기술을 상대로는 어마어마한 탱킹력을 뽐낸다.
1성 메탕 레이드에서 언급했듯 코멧펀치 없는 메타그로스의 성능은 좋은 편이 아니며 이 경우는 진화체라서 색이 다른 포켓몬도 못 구한다. 그리고 GO배리 보상으로 메타그로스를 뿌리기 때문에, 더더욱 가치는 떨어졌다. 그래서 같은 600족인 망나뇽과 마기라스에 비해 수요가 적은 편이다.
-
CP: 29331
기술 배치: 물기잎날가르기 / 지진스톤에지솔라빔모래지옥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77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96
약점이 4개로 적지 않고 얼음 타입에는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기에 난이도는 낮다. 다만, 스톤에지는 얼음 외에도 상성 포켓몬의 상당수를 역저격하기에 난이도가 꽤 올라간다. 심지어 개중에는 스톤에지에 이중으로 약점으로 찔리는 포켓몬도 있고 일부 복합 타입 포켓몬은 풀에도 약하다. 기타 상성 중 불꽃 타입은 지진과 모래지옥에도 약점을 찔리기에 솔라빔 상대로만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벌레와 비행 타입은 스톤에지를 제외한 나머지 스페셜 어택을 반감시킨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가능하다. 스톤에지 상대로는 스톤에지에 약하지 않은 맘모꾸리나 히드런 등을 투입하면 보다 쉽다. 다만 맘모꾸리는 풀에 약점을 찔리기에 솔라빔 상대로 좋지 않다.
1성 모부기 레이드에서도 언급했듯이 토대부기의 가치는 낮은 편.
-
CP: 28968
기술 배치: 바위깨기회오리불꽃 / 화염방사솔라빔인파이트
포획 확률: 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53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916
CP가 낮지 않고 이중 약점이 없으며 솔라빔으로 물과 땅 타입을 견제할 수 있기에 조금 어렵다. 게다가 일부 복합 타입 포켓몬은 불꽃 또는 격투에도 약점을 찔리며 이중으로 약점을 찔리는 경우도 있고 특히 맘모꾸리는 모든 기술에 약점을 찔려서 봉인된다. 솔라빔 상대로는 에스퍼 또는 비행 타입으로 공략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2성 파이숭이 레이드에서도 언급했듯 초염몽의 가치는 낮은 편.
-
CP: 29409
기술 배치: 전광석화날개치기 / 브레이브버드열풍인파이트
포획 확률: 13%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55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18
3성 찌르호크 레이드의 강화 버전. 4성은 솔플이 불가능하기에 인기는 더욱 떨어진다.
-
CP: 25211
기술 배치: 염동력속여때리기 / 러스터캐논사이코키네시스헤비봄버사이코쇼크땅고르기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 최대 CP: 127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599
3성에서 4성으로 올라왔다.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9410
기술 배치: 물기불꽃엄니번개엄니얼음엄니 / 지진스톤에지누르기대지의힘
포획 확률: 14%
포획 가능한 최대 CP: 176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204
3성 하마돈 레이드의 강화 버전.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7251
기술 배치: 독침엉겨붙기물기얼음엄니 / 아쿠아테일오물폭탄깨물어부수기마지막일침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401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752
약점이 땅 뿐이지만 땅 타입 포켓몬 중에서는 성능이 좋은 포켓몬이 많기에 어렵지는 않다. 다만 아쿠아테일이 땅 타입을 저격하기에 이 기술 한정으로 난이도가 급등한다. 심지어는 땅+바위 타입의 경우 아쿠아테일에 이중으로 얻어맞기에 아쿠아테일 상대로 봉인된다.
1성 스콜피 레이드도 가치가 별로 없는데 이 경우는 진화체라 색이 다른 포켓몬도 안 나오기에 스콜피 레이드만도 못하다.
-
CP: 24082
기술 배치: 잎날가르기눈싸라기 / 눈보라에너지볼역린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4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87
3성 눈설왕 레이드의 강화 버전.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30737
기술 배치: 메탈크로우진흙뿌리기 / 지진드릴라이너스톤샤워아이언헤드
포획 확률: 2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853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317
이중 약점이 없고 단일 약점도 4개 뿐인데다가 반감시키는 타입은 무려 10개나 된다. 하지만 방어 종족치가 낮고 약점을 찌르는 타입 4개가 전부 메이저한 편이라 어렵지는 않다. 다만 불꽃 타입의 경우 강철 타입 기술을 제외한 나머지 기술에 약점을 찔린다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불꽃+비행 타입 포켓몬[2]은 다른 모든 기술을 반감시키지만 스톤샤워에는 치명상을 입는다. 땅 타입의 경우는 몰드류나 맘모꾸리 등 특정 기술에 견제당하는 라인업이 많기에 왠만하면 스톤샤워 상대로 투입하는 것이 좋다. 특히 땅+바위 타입은 스톤샤워를 제외한 나머지 자속 기술이 아프게 들어오기 때문에 왠만하면 넣지 않는 것이 좋다. 격투와 물 타입의 경우는 왠만하면 약점을 찔리지 않지만 번치코와 루카리오가 땅에 약점을 찔리고 갸라도스는 다른 모든 기술은 반감시키지만 스톤샤워에는 약하다.
두더류는 흔한 포켓몬이지만 몰드류는 땅 타입 내에서 그란돈 수준의 DPS를 가진 최상위 포켓몬이라 가치가 충분히 있다. 특히 땅 타입의 경우 전기 타입 레이드 보스의 하드 카운터로 활약한다. 무엇보다 몰드류가 꽤 최근에 풀린 포켓몬이다 보니 보유자가 많지 않아 일시적이긴 하지만 인기는 600족인 마기라스 급으로 높았다.
-
CP: 21385
기술 배치: 병상첨병회오리불꽃바위깨기 / 불대문자섀도볼뼈다귀치기화염자동차
포획 확률: 1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048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311
3성 알로라 리전 폼 텅구리 레이드의 강화 버전. 가치와 공략법은 동일하다.
-
CP: 29427
기술 배치: 핥기돌진얼음엄니 / 치근거리기와일드볼트꺠물어부수기
포획 확률: 12.5%
포획 가능한 최대 CP: 1615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2019
-
CP: 24877
기술 배치: 엉겨붙기돌진 / 씨폭탄더스트슈트누르기애시드봄
포획 확률: 10%
포획 가능한 최대 CP: 1339
날씨 부스트 때 최대 CP: 1675


[1]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 탱킹력은 강철톤은 물론 마기라스보다도 약간 떨어진다.[2] 파이어나 블러스트번 리자몽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