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실/서울/폐업
1. 작성 전 유의사항
2. 강남구
2.1. 강남 플레이원
2.2. 강남역 세종게임랜드
2.3. 강남 얼짱 게임시티
2.4. 강남구청 로터리 게임장
2.5. 개포동 챔피언 오락실
2.6. 대치동 재미나 오락실
2.7. 대치동 e게임장
2.8. 선릉역 맘모스 게임장
2.9. 압구정 조이플라자
2.10. 삼성동 코엑스 게임챔프
2.11. 삼성동 코엑스 메가박스 큐브존
2.12. 신논현역 논현 철권 게임카페
2.13. 대치동 점프게임랜드
3. 강동구
3.1. 명일 게임천국
3.2. 천호 청운게임센터
3.3. 천호 해피게임파크
3.4. 천호 판타지아 게임파크
3.5. 천호 라스베가스 게임파크
3.6. 천호 G2존
3.7. 굽은다리 사차원 게임장
3.8. 고덕 제우스 게임장
3.9. 고덕동 게임월드
3.10. 고덕동 엘바게임장
4. 강북구
5. 강서구
6. 관악구
6.1. 신림 태영게임월드
6.2. 신림 펀스테이션
6.3. 신림 타가존
6.4. 신림 X게임존
6.5. 신림 사이버 게임랜드
6.7. 서울대 오렌지 게임랜드
6.8. 서울대 동방게임월드
6.9. 서울대 21세기 게임프라자
7. 광진구
8. 구로구
9. 금천구
10. 노원구
11. 동대문구
11.1. 외대 게임월드
11.2. 시립대 제이테크 게임장
11.3. 경희대 게임랜드
11.4. 경희 게임존
11.5. 청량리 롯데백화점 크리오네
11.6. 청량리 롯데백화점 롯데시네마 게임존
11.7. 이문동 컴퓨터 게임랜드
11.8. 휘경동 300냥 노래방 (휘경게임장)
12. 동작구
12.1. 노량진 사이버 게임랜드
12.2. 노량진 아카데미 게임랜드
12.3. 노량진 어뮤즈월드
12.4. 노량진 댄스댄스
12.5. 노량진 레인보우 게임장
12.6. 노량진 나노게임파크
12.7. 노량진 정인게임장
12.8. 신대방삼거리 미미게임장
12.9. 이수 메가박스 오락실
12.10. 이수 스위치 오락실 1호점
12.11. 이수 메가박스 스위치 오락실 2호점
12.12. 이수 짱오락실
12.13. 이수 테마파크 게임랜드
12.14. 이수 게임빌리지
12.15. 이수 윌랜드 코인노래방
12.16. 숭실대 숭실게임랜드
13. 마포구
13.1. 홍대 놀러와오락실
13.2. 상암 서울월드컵경기장 CGV 펀잇 (구 조이맥스)
13.3. 상암 서울월드컵경기장 CGV 아이존 게임플렉스
13.4. 홍대 넷아레나
13.5. 홍대 게임파크
14. 서대문구
14.1. 신촌 넷아레나
14.2. 이대 와와게임장
14.3. 동교동 드림게임랜드
14.4. 명지대 점보게임장
14.5. 충정로 목마게임장
14.6. 신촌 슈퍼게임장
14.8. 신촌 짱오락실
14.9. 신촌 게임플라자
15. 서초구
16. 성동구
17. 성북구
17.1. 성신여대 게임팩토리
17.2. 성신여대 풀락게임장
17.3. 성신여대 아이존 팝 (구 아이존 게임플렉스 신도림점)
17.4. 안암동 안암게임장
17.5. 안암동 조이월드
17.6. 안암동 모 오락실 2곳
18. 송파구
18.1. 잠실 롯데월드 게임월드
18.2. 잠실 롯데월드 버츄얼 게임타운
18.3. 잠실 롯데월드 웨스트 아케이드
18.4. 잠실 롯데월드몰 롯데시네마 큐브존
18.5. 오금동 명랑게임장
18.6. 송파 토탈게임랜드
18.7. 잠실 플레이그라운드
18.8. 장지 가든파이브 CGV 조이박스
19. 양천구
19.1. 목동 행복한백화점 메가박스 탑게임 (구 게임포토)
20. 영등포구
20.1. 영등포 판타지아 게임랜드
20.2. 대림 환상게임랜드
20.3. 신길동 게임랜드
20.4. 대림 극동빌딩 전자오락실
20.5. 당산 청소년 오락실
20.6. 당산 제일 오락실
20.7. 당산 펌프 오락실
20.8. 당산 원더파크
20.9. 대림 그린게임랜드
20.10. 영등포 플레이박스
20.11. 영등포 롯데시네마 팡팡존 (구 탑스탑스)
21. 용산구
22. 은평구
23. 종로구
24. 중구
25. 중랑구
1. 작성 전 유의사항
2. 강남구
2.1. 강남 플레이원
2017년 초 강남역 사거리 인근에 개업했었던 오락실이였다. EZ2AC는 버튼과 화면이 리파인되어 있지만 LCD 잔상이 심한 편이며 바로 맞은편 뽑기 기기의 밝은 조명이 화면에 직접 비치고 있어 플레이하기 힘들다.
펌프 잇 업의 상태도 2대 모두 영 좋지 않은 편. 오른쪽 기기는 카드 인식이 되지 않으며 왼쪽 기기는 1P 왼쪽아래 발판의 감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증상이 있다. 2018년 11월에 폐업하였다.
2.2. 강남역 세종게임랜드
지하철 2호선 강남역 4번 출구, 강남지하상가와 연결이 되어 있어 출구 바로 앞이라 찾아가기 쉬웠다. 강남 특성상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라 몇몇 게임의 인컴테스트를 했던 곳으로 유비트의 첫 인컴테스트가 여기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최초로 유비트를 가동한 오락실.
2010년 3월 기준으로 내부에 철권 6 BR 8조에 슈팅게임 4대, EZ2DJ 7th Violet 1대, 드럼매니아 V7 1대가 있으며 외부에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3 4대정도, 그리고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등이 있다. 노래방도 2대 정도 있었다.
주 종목은 철권6. 컴퓨터가 있어 그 자리에서 철권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레버 상태와 기계 셋팅이 좋지 않은 편이었다. 레버는 수시로 고치긴 하는데 악질적인 몇 대가 있으며, 기계셋팅은 '40초 3판 2선승제'로 운영되어 게임이 빨리 끝나지만 한번 말리면 답이 없어진다. 그래서 주황단이 3단에게 발리는 경우도 발생.
장점이라면 유동인구가 많다는 것. 그리고 원래 철권이 200원이어서 메리트가 있었는데, 300원으로 올라 싼 편은 아니다. 단점은 게임의 종류가 적은 점(철권 6 BR을 제외한 스틱게임은 고작 '''4개'''뿐이다. 그것도 슈팅게임만...)과 공간이 좁다는 것.
입지조건이 좋아 철권을 주로 하는 유저들과 역에서 잠시 시간을 때우기 위한 라이트유저들이 많이 찾아온다.
2010년 9월, 강남역 지하상가 보수공사의 여파로 영업을 중단했으며 2011년 6월 보수공사가 마무리된 후에도 재개되지 않는 걸 보면 아예 사업을 접은 듯.
이곳에 있던 철권 6 BR은 대구 거성오락실로 갔다. [1]
2.3. 강남 얼짱 게임시티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28 다음 로드뷰
- 보유 했던 기기
강남얼짱이 입점한 건물은 월관리비가 3000만원인데[3] , 이 돈을 스티커사진 장사로 마련하는 것을 보면 오락실이 얼마나 돈이 안 남는 장사인가를 잘 알 수 있다. 우선 오락기들은 한 번 플레이하는데 500원이면 충분하지만, 스티커사진의 경우 최소 2000원, 일반적으로 5000원 정도를 내야 한다. 무엇보다 이 곳에 가면 오락실 유저와 스티커 사진을 찍으러 온 사람들의 비율이 거의 1:10이다. 결국 11/23까지 영업하고 문을 닫는다는 공지가 업소 내에 올라온 후 문을 닫았다. 망한 이유는 '건물주들의 담합'으로 인한 어른들의 사정.
오락실 폐업 후 현재는 이수근의 술집이 들어서 있다.
2.4. 강남구청 로터리 게임장
- 주소: 서울시 강남구 논현2동 다음 로드뷰
2004년 비트매니아 IIDX의 당시 최신 버전이었던 10th Style을 입하[4] 했는데, 이것은 압구정 조이플라자보다도 더 빠르게 입하한 사례였다. 비트매니아 뿐만 아니라 드럼매니아 시리즈 또한 세션 플레이는 없지만 V ~ V3까지는 조플보다 빨리 입하했을 정도.[5] 이 두 가지로 인해 사용자들 사이에 입소문을 타고 단숨에 유명 게임장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후 2006년 12월 30일 건물 재건축을 이유로 문을 닫았다. 가동중이던 드럼매니아 V3은 방학동 우리들의 놀이터로, 케츠이는 이수 테마파크로 옮겨갔다. 가장 관심이 모였던 것은 비트매니아 IIDX의 행방인데, 2013년 이후부터야 여러 게임장에서 IIDX를 가동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조이플라자에서 두 대를 가동하던 게 전부였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받았지만, 폐업 이후 이 기계가 업그레이드되어 다른 오락실에 들어갔다는 카더라소식만 있을 뿐 정확한 행방이 묘연하다.
여담이지만 레이시티에서 강남구청역부분을 지날 때 과거 이 오락실의 외형을 볼 수 있었다. 이런 이유는 2005년쯤 이쪽 지역이 업데이트되어 그쪽의 지도가 그대로 반영된 채 서비스 종료될 때까지 계속 유지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서비스를 종료한 상태.
2.5. 개포동 챔피언 오락실
개포동에 있었던 오락실. 버스로 5분 정도 거리에 이와 비슷한 규모의 오락실이 있었으나 그곳은 일찌감치 2002년에 폐업되고, 오랫동안 개포동의 유일한 오락실로 남아있었다.
KOF, 철권 태그 등의 각종 격투게임 기판들을 필두로, EZ2DJ, 드럼게임, Pump it up 등의 리듬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아케이드 기판들을 총망라한 곳이었다. 개포동 쪽에서는 나름대로 꽤 이름있는 오락실이었으나 2005년에 소리소문없이 폐업했고, 그 자리에는 복싱장이 들어섰다.
참고로 간판에 적혀있는 점포명이 심히 쌍팔년도스러워서 개포동 학생들의 놀림거리가 되곤 하였는데, 간판에 적힌 정식 상호가 '''챰피온'''이었다!
2.6. 대치동 재미나 오락실
- 주소: 강남구 남부순환로 2915 다음 로드뷰
위의 점프 오락실과 비슷하게 기기 관리가 좀 슬프다. 그러나 철권 BR이 2세트나 되고 점프보다 BR관리는 철저히 하기 때문에(거의 유일한 수입원이니...) 철권 BR을 하고 싶다면 재미나가 더 낫다. 그러나 나머지 기기들은 열악 그 자체. 레버 관리를 아예 안하는 것 같다. 아뚱이 가끔 온다.
가장 큰 단점은 오락실이 너무 작은데 어느정도냐 하면 보통 학교 교실보다 작다. 근데 철권을 할려는 사람들로 북적거려서 너무 덥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틀어도 사우나를 방불케 한다. 그래도 꾸역꾸역 사람들이 들어온다. 근처 학교의 학생들이 주 고객.
가동했던 게임
- 철권 6 BR 2세트
- 철권 5 DR 2세트
- 철권 태그토너먼트 6세트
- 위닝일레븐 4 세트
- 이지 투 디제이 1대
- DJMAX TECHNIKA 3 * 1대
2012년 2월 16일 영업을 마지막으로 문을 닫았다. 현재는 가츠동 음식점으로 대체되었다.
2.7. 대치동 e게임장
- 주소: 서울 강남구 대치동 1019-14 다음 로드뷰
- 위치: 농협 건물 지하 1층 (구 당구장 위치), 버스 정류소 '농협대치지점'에서 하차하면 바로 앞이다.
이름이 조이월드에서 e게임장으로 변경되었다.
철권 6을 10연속 이길땐 음료 혹은 PC방 1시간 이용권을 증정한다. 다른 여러 격투 게임도 비슷한 이벤트 진행중.
이후에 유비트 코피어스가 3기로 업데이트 될지도 모르며 이미 리듬게임 위주로 운영하실듯.
유비트 기기 두개 다 간접미스 및 동전 먹는 현상이 꽤나 자주 발생했으며 그런 현상 발생시에는 카운터에 문의하면 빠르게 고쳐주신다.
사장님이 10시 넘어서도 귀가 안하는 미성년자 들로 인하여 성난 학부모들의 전화를 받으시는 듯 하다. 관련 주의문이 있을 정도.
결국 폐업 수순을 밟는 상황까지 다가왔고 2013년 7월 23일을 끝으로 문을 닫았다. 학부모들의 압력으로 인해 문을 닫았다는 것이 그저 씁쓸할 따름.
2012년 12월 23일 위에서 서술한 피시방과 통합 리모델링을 해서 현재 이곳은 피시방이다.
보유 했던 게임
- 유비트 코피어스 * 2대
- 펌프 잇 업 FIESTA EX * 1대
- DJMAX TECHNIKA 3 * 1대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1대
- 철권 6 BR * 4조
- EZ2DJ BE * 1대
- EZ2DJ AE * 1대 (100 * 4)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3조
- 길티기어 * 1조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UM * 1조
- 에어하키 * 1대
- 부스형 노래방 * 5대
- 버블보블 * 1대
- 건버드 * 1대
- 버츄어 스트라이커 * 1대
- 아타리 테트리스 *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 1대
- 맥스라이더 (따로 별도의 방에서 존재)
- 농구 * 1대
2.8. 선릉역 맘모스 게임장
선릉역 인근에 존재했던 게임장이며, 주력 게임은 펌프 잇 업이였다. 실제로 펌프 잇 업 EXTRA의 출시 전 사전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었다. 2004년 폐업한 것으로 보인다.
2.9. 압구정 조이플라자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54길 6 2층 다음 로드뷰
2002년부터 비트매니아, 드럼매니아/기타프릭스, 팝픈뮤직 등 국내에서 접하기 힘들어진 BEMANI 시리즈 라인업을 충실하게 갖춰서 리듬게이머들 사이에서 성지가 되었었다. BEMANI 외에도 선광의 윤무, 크래킨 DJ 등 국내의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희귀한 게임들이 이 곳을 거쳐갔다. 리듬게임 매니아들도 가지만, 버추어 파이터 5 같은 게임도 보유하고 있다. 전성기때는 이카루가(!), 선광의 윤무, 이바라 등 슈팅 라인도 이수 테마파크와 비교해서 꿀리지 않을정도로 강했으나 2008년경 이후는 1945 시리즈 위주+레어 슈팅게임(2011년 기준으로 라이덴 4)정도만 가동했다. 아케이드 시장의 침체와 더불어 바다이야기 폭탄까지 터져서 오락실 업계가 가장 암울했던 시기인 2006~2007년에도 빠른 신작 입하로 국내 아케이드 유저들의 한줄기 희망의 빛이 되었던 곳이다.
무엇보다 발빠른 신기종 입하와 철저한 기계 관리 덕에, 국내 최고의 오락실로 손꼽히는 명소였다. 오락실이 큰 편은 아니라 매출이 적은 게임은 바로바로 빠졌다. 국내유일 비트매니아 III the Final 같은 물건이 조플 창고에 데굴데굴 굴러다니기 때문에, "사실 조플 창고가 한국 최강의 오락실이다" 라는 농담까지 있었는데,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희귀게임이나 리듬게임 최신버젼이 자주 들어오기에 사장이 부자다, 취미로 오락실 운영한다 등의 소문이 나돌았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전북 전주대 인근에 2호점이 있는데, 규모는 오히려 본점보다 크지만 레어 게임들은 적다. 과거에는 전주 분점에 선광의 윤무 new.ver 나오미용 롬이 보관되어있었다고도 한다. 강원랜드[6] 분점과 종각 분점도 있었지만 강원랜드 분점은 2009년 말 리모델링 명목으로 강원랜드 분점이 있던 지하 테마파크를 통째로 셔터 내렸을때 같이 문닫았고, 종각은 수익성 문제로 폐점. 참고로 종각점은 종로 포그니의 1/3정도 규모인데 그안에 비트매니아와 팝픈뮤직 있을건 다 있었다.
비마니 시리즈의 경우, e-amusement가 연결되지 않은 기기에선 해금곡을 플레이할 수 없지만[7] , 이곳 게임장의 비트매니아는 크랙을 적용하여 해금곡을 플레이할 수 있었다. 한때 논란거리가 되었지만, 한국에서 정발되지 않는 이상 어찌할 수도 없기 때문에 현재는 많은 유저들이 이를 '''"조플매직"'''으로 칭송하면서 즐기는 수준. 당시엔 비트매니아나 팝픈뮤직, DDR 같은 게임은 리듬게임팬들조차 전부 정발을 포기한 마니악한 게임이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이런 게임들을 제대로 즐기려면 이런 '매직'에 기대는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BEMANI 시리즈의 정식 발매가 시작되고, 철권 등의 격투 게임도 유저층이 살아남에 따라 다른 업소들의 여건히 많이 좋아진 2012년 부터는 전성기 시절에 비해 사람이 줄어들었다. 때문에 조이플라자가 2012년 내에 문을 닫는다는 이야기도 나왔고 결국 폐점하였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1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해온 곳이 문을 닫는 만큼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는 아쉬움을 토하는 목소리가 컸다. 이런 만화나 이런 만화가 그려질 정도. 게임 관련 언론에서도 조플의 폐점을 보도했는데 기사 댓글에서 오락실 게임 인식의 차이가 상당히 큰 것을 볼 수 있는 것도 또한 아쉬움을 자아낸다. 오락실게임이 다른 플랫폼의 게임처럼 현재진행형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대부분의 의견에서 오락실게임은 '50원, 100원' '어릴때의 추억' 정도로 여겨지고 있다.
2012년 2월 10일에 유비트에 입력되어 있던 점포명이 '''SHOUT!! JOY!!!'''로 변경되었다. 2012년 2월 12일을 끝으로 영업을 종료했다. 이후 남은 조이플라자 분점들은 군산과 익산의 분점들 뿐이다. 그리고 2012년 2월 13일부터 15일까지 무료개방 행사를 진행했다. 오락실이 있던 자리는 이후 '메밀마을'로 바뀌었고, 2014년 10월 이름을 송연(松淵)으로 바꾸었다. 경영자는 옛날 조이플라자와 동일하다. 식당에서 쓰는 텔레비전이 비트매니아에 쓰이던 모니터이다.
2.10. 삼성동 코엑스 게임챔프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3 코엑스몰 B1층
그렇지만 이 오락실이 망하지 않았던 이유는, 지리적 위치가 좋고 코엑스 중앙에 있지만, 기기 관리가 너무나도 허술했었다. 결국 2010년 4월에 폐업했고 2011년 2월에 현대백화점 별관이 들어섰다가 현재는 지오다노가 들어서 있다.
2.11. 삼성동 코엑스 메가박스 큐브존
게임챔프가 폐업한 지 5년 만에 코엑스에 생긴 오락실로 메가박스가 리뉴얼을 하면서 생겼다. 여담으로 주인이 마니아 유저들을 차별하기로 악명이 높다. 2020년 6월 1일부터 리뉴얼로 인한 휴장에 들어간다고 했지만 기기가 모두 없고 불이 꺼져 있다. 사실상 폐업했다고 봐도 무방.
2.12. 신논현역 논현 철권 게임카페
- 주소: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14길 10
- 가동 했던 기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 15조 (300원 3승)
- 부스형 노래방 2기
다음tv팟 철권 방송을 하고 있다. 철권 태그2가 막 나왔을때 비싼 기판 가격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게임 기판을 철권 태그2로 채우며 신장개업하여 떠올랐다. 태그1, DR, BR이 빠지고 오래방 2기가 들어왔다. 인터넷 검색용 컴퓨터도 두 대 있다.
내부 인테리어도 괜찮고 오락실 사장님도 친절한 편이며 정기적인 대회도 있기 때문에 고수들도 즐겨 찾는다. 1차 신논현 철권 대회때 네임드 철권유저인 잡다캐릭이 우승을 차지했고 마찬가지 네임드 유저인 지삼문에이스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차대회때는 세인트가 우승을 차지했고 전대회 우승자 잡다캐릭은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했다. 3차 대회는 듀얼매치로 진행됐었는데 우승은 '''진주 폭시'''팀의 구라와 헬프미가 차지 했고 준우승은 블루사이드팀의 무릎과 홀맨이 차지했다.
교통편은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중간정도지만 서울 강남권 철권 매니아들은 지리적 이점이 있어서 그린 게임랜드만큼이나 즐겨 찾고 있다.
초창기 개장했을때, 태그2 기판의 비싼 가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태그2 기판을 들여놓는 모습에 태그2 기판 유통사인 윈디 소프트의 직영점이라는 소문도 있었으나 사실 무근으로 밝혀졌다. 사장님이 여러모로 대인배인듯…
선불카드 시스템(MR2000)을 운용하고 있다. 발급 비용은 무료, 5000원 단위로 충전 가능하며 10% 추가 적립된다.
2013년 8월 10일자로 폐업했다. 이유는 대여제의 남발로 인한 수입 감소와 철권태그2 언리미티드의 인기 감소에 의한 매출 하락인듯. 처음부터 철권 전용 오락실로 준비했으며 태그2 아케이드 기판 가격이 상당한걸 생각한다면, 매출 감소가 지속될 경우 폐업을 택할 수 밖에 없긴하다.[8]
2013년 12월 30일 찾아가 본 결과 간판이 그대로 있었다가 어느 날 식당으로 바뀌었다.
2.13. 대치동 점프게임랜드
위치가 위치이다 보니, 평소에는 꽤 한적한 느낌의 오락실이지만 SETEC에서 코믹월드가 개최되는 날이면 그야말로 불지옥이 된다. 농담이 아니라 주말에도 기기당 대기가 3개를 넘는것이 보기 힘든 오락실인데 코믹월드만 되면 대기가 배로 많아진다. [9] 저녁 즈음에는 다시 한산해지지만 그 많던 사람 중 한 명은 꼭 머신 브레이커가 존재했다.
점프 커뮤니티에 의하면 곧 폐업을 한다는 소문이 나돌았으며, 결국 3월 1일 정말로 폐업했다. 기기에 대해서는 유비트와 사볼 1대는 경기도 구리의 진주게임랜드로 이동했다.
현재 사장님은 예전에 점프가 있었던곳 바로 앞에 있는 CU사장님으로 돌아오셨다!!
3. 강동구
3.1. 명일 게임천국
-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75길 29
- 위치: KEB하나은행 고덕역지점 건물 지하 1층
- 영업시간: 11:00~26:00
- 보유 중인 게임
- 펌프 잇 업 XX 1대 1000원 (기체 미확인, AM.NET 연결)
- EZ2AC FN 1대
- 펌프 잇 업 PRIME 1대 (손펌프)
- 철권 6 BR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 부스형 노래방 10곡 1000원
3.2. 천호 청운게임센터
20세기 말 천호동을 휘어잡았던, 천호동 '청방마트 사거리'에 위치했던 동네 상가건물 1층+지하가 모두 오락실로 운영되었던 동네 네임드 오락실이었다.
DDR, 펌프 등의 리듬게임이 유행했던 20세기 말~21세기 초에 절정을 이루다가 그 열풍이 사그라들은 2002년 즈음해서는 지하는 청운 PC방으로 영업하다가 PC방은 얼마가지않아 폐업하고 오락실 마저도 폐업되었다.
2007년쯤 가게 입구쪽은 일반 오락실로, 가게 뒷편은 성인 오락실로 운영되다가 2009년 이마저도 다 사라지고 야채가게로 바뀌며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2015년 현재는 미니스톱 편의점이 들어서있다.
3.3. 천호 해피게임파크
천호동에 있었던 게임센터. 천호역에서는 조금 걸어야 하고 길도 하나 건너야 했으나 그리 멀지는 않았다. e-amusement를 지원했으며 오락실 내에서 음료수를 판다. 서비스 음료수를 받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의 2차 인컴테스트 장소였으며, 2009년 무렵부터 유비트, 드럼매니아, 완간 미드나이트 맥시멈 튠 3 등을 들여오면서 유명 오락실로 성장했다. 철권 시리즈는 6 BR 3조가 있었으며 그 외 스틱 게임은 450가지 게임기가 들어가 있어서 그나마 좀 나아진 형편.
당시 펀존과 공존했었는데, 초행일 경우는 역에서 가장 가까운 오락실이 펀존이기 때문에 헷갈릴 경우가 있었다. 해피가 매니아를 주로 노리면서 라이트 유저들을 포용한다면, 펀존은 반대로 라이트 유저 중심의 오락실에 가까우며, 라인업을 나름대로 제대로 갖추고 있다.
2011년 1월 26일 새벽,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다. 사장에 따르면 청소년 오락실에서 성인 오락실로 업종을 변경한 것이라고 한다.원문 당시 미성년자들의 야간 출입을 너그럽게 넘어가주다가 단속에 걸려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던 사건이 있다고 하는데, 폐업과의 연관성은 알 수 없다. 이 곳에 있던 유비트 2대는 동맹 오락실인 건대 게임천국에 이동되었다가 행방을 알 수 없다.
2014년 4월 기준으로도 해피게임파크라는 이름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간판도 그대로지만, 청소년 오락실로서의 해피게임파크는 문을 닫은 것이 맞다. 나무위키에선 성인 오락실은 등록하지 않으므로 이 문서에 작성.
3.4. 천호 판타지아 게임파크
-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159길 33
- 위치: 코오롱 프라자 상가 근처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EZ2AC: EVOLVE 1대, 2.02b, 리파인기체
- 펌프 잇 업 FIESTA EX 1대 (500원, FX기체, 1.51버전)[10]
- 라이덴 파이터즈 1
- 건버드 2
- 스트라이커즈 1945-2
- 그레이트 챔프 비시바시
- 틀린 그림찾기 3 1대[11]
- KOF 98
- 철권 TT
- 철권 5 DR
- 철권 6 BR
- 부스형 노래방 4대 (TJ 질러 L30)
- 기타 일반 아케이드 게임기
2017년 여름에 내부 공사중이더니 결국 폐업했다. 현재 같은 자리에 열두테이블이라는 술집이 영업 중이다.
3.5. 천호 라스베가스 게임파크
-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62길 40
- 위치: 강동 롯데시네마를 지나친 뒤에 정면을 보면 있다.
- 보유 했던 기기 (2017년 2월 17일 기준)
- EZ2AC NT 1대 (300원)
- 이니셜 D Ver.3 1조
- 렛츠 고 정글 1대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 라이덴 파이터즈 1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조 (3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조
- 버블보블
- 아타리 테트리스
- 스트라이커즈 1945
- 노래방
3.6. 천호 G2존
2016년 8월에 생긴 오락실이다. 리듬게임 존 입구에 음료수를 보관할 수 있는 곳이 있다.
2019년 8월초에 폐업하였다.
3.7. 굽은다리 사차원 게임장
수도권 전철 5호선 굽은다리역 부근 위치. 소규모 동네 오락실의 전형이지만 좁아터진 공간에 킹오파 등 격투게임과 노래방이 빼곡히 들어 차있다. 실내 공간이 '''매우''' 협소한 편이며 내부 인테리어는 지하감옥(...)을 연상케한다. 특이한 점은 리듬액션게임 EZ2DJ가 무려 5대나 가동중이라는 것. 작은 동네 오락실에 강동구 이지팸('''KFAM''')이 들어오면서 EZ2DJ를 차차 늘려나간 케이스.
주인장 키비토가 커피, 비타오백 등을 서빙한다. 사차벅스로 유명.
그러나 2010년 10월 1일에 알 수 없는 이유로 폐업했다.
3.8. 고덕 제우스 게임장
- 게임메카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함.
- 가동 게임(폐업 직전인 2007년)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V3
- 드럼매니아 7th, 9th
- 팝픈뮤직 피버!
- 펌프 잇 업 NX
- EZ2DJ 4th, 6th, 7th
굿모닝 티처 만화에서 배경으로 가끔 나오는 오락실의 모티브로 추정된다. [12]
3.9. 고덕동 게임월드
고덕동에 마지막으로 남았던 오락실로 비트매니아 5th 정발판인 비트스테이지 5th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키보드매니아가 존재했던 오락실이기도 하다. 2011년 무렵 문닫은 것으로 보인다.
3.10. 고덕동 엘바게임장
- 고덕 골목시장 근처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캡콤 VS SNK 1
-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
- 드럼매니아 버전 불명
- 기타 일반 아케이드 게임기
영화 아저씨에서 주인공이 아이를 찾는 장면에 오락실의 내, 외부 모습이 잠깐 나온다.
4. 강북구
4.1. 수유 음악게임장
2000년대 초반, 리듬게임의 전성기를 풍미했던 오락실로 비마니 올드 유저들이 기억하고 있는 성지이다. Ryunan이 쓴 게임메카의 기사에 따르면
- beatmania IIDX 1st, 5th, 6th 직수입
- 댄스 댄스 레볼루션 MAX, 댄스 댄스 레볼루션 솔로 BASS MIX 직수입
-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2ndMIX 직수입
- 전차로 고 프로페셔널 직수입
- EZ2DJ 3rd, EZ2DJ 4th 인컴 테스트
2015년 5월에 구 오신 청소년 오락실이 있던 자리에 개장한 오락실이었다. 의정부점에서 하던 이벤트 일부를 까치산에서도 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과거 서울에서 영업하던 연신내 게임빌리지(현 게임파크 빌리지)하고 무관하며 JnS 엔터테인먼트라는 업체가 관리하고 있다. 까치산점 이외에도 의정부점, 안산롯데마트점, 이수테마파크점 등 수도권 각지에 지점이 있다. EZ2의 총기획자 역할을 맡은 Vilkas가 이 오락실의 주인이었으며, 2013년 5월부터 2년 간 운영했다. 수리에 관해선 카페에 올린 문의에 대한 답변이 빠른 편이다. 2019년 3월에 리뉴얼 공사를 마치고 정발 투덱 1대, 사볼 2대, DDR 1대 더 들어 왔다. 그리고 직수 투덱 1대는 폐기되었다. 드라마 미스 함무라비에 나왔다.
이수점과 같이 요일별로 기기할인 이벤트를 하니 근처에 사는 리듬게임 유저들은 이용해 보자. https://cafe.naver.com/gamevillage2011/6946 2020년 1월 28일 게임빌리지 카페글에서 2020년 1월 31일까지 영업후 폐업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내부회의로 하루이틀 더 연장될 수 있으며 1월 29일부터 게임빌리지데이 할인 요금적용을 한다고 한다. 1월 30일날 카페에서 1월 31일 오후 6시에 마감한다고 못을 박았다.
5.5. 짱구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 위치: 한국건강관리협회 건너편 신한은행 왼쪽 옆 골목으로 들어간 후 들어가면 바로 보였다.
- 영업시간: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TX기체) 1000원 4라이프
- EZ2AC EV 1대
- 렛츠 고 정글 1대
- 스틱게임들
- 노래방 (TJ B60)
- 인형뽑기들
5.6. 화곡 강서게임파크
- 주소
- 기존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33길 110 1층
- 이전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253 B1층
- 위치: 지하철 5호선 우장산역 3번 출구로 나가서 오른쪽을 보면 나오는 건물 B1층에 있었다.
- 영업시간: 11:00 ~ 01:00
- 전화번호: 02-2608-3331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1대 500원 (DX 기체 + LCD TV + 2세대 발판 / 상판은 FIESTA 2 / 1p 봉 흔들림 / 발판상태 C급)[15]
- EZ2DJ CV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500원 (SD 기체, 영문판)[16]
- 철권 6 BR 2대
- 철권 7 FR 6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4대
- 거치형 게임기 8대 (크라운 203 기체)
- 월광보합 2대 (뉴델타 기체)
- 부스형 노래방 10대 1곡 300원, 4[17] /5곡 1000원 (뉴짱 부스 5대 + TJ 질러 C45, 센스 2 부스 3대 + TJ B60[18] , 엣지 플러스 부스 2대 + TJ S60F)
- 농구 1대 500원 (슈터 트윈)
- 뽑기 1대
2018년 7월 3일부터 동년 7월 8일까지 재정난을 이유로 3000원에 유비트, 사운드 볼텍스에 쓰이는 이어뮤 카드 재고 떨이를 해서 유비트와 사운드 볼텍스는 부산 게임D 대연점으로 매각되었다.[19] 결국 동년 7월 9일부로 폐업하였다.
이 오락실에 있던 기기들의 행방은 다음과 같다.
- 타임 크라이시스: 부산 대왕게임센터로 이동.
- EZ2, 크라운 203 거치형 게임기 8대, 농구, 뽑기: 폐기처분.
6. 관악구
6.1. 신림 태영게임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59길 12 양지순대타운 1층
- 보유 했던 기기
- DDR
- 드럼매니아 1st (일본 직수입 기체)
6.2. 신림 펀스테이션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76길 8
- 위치: 지하철 2호선 신림역 4번 출구에서 설빙하고 유스퀘어 핸드폰매장 사이 골목으로 들어가면 나오는 골목길의 오른편 두번째 건물에 있다.
- 보유 했던 기기
- 리듬게임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TX 기체, 1000원)
- 건슈팅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기타
- 히든캐치 5 1대 (1000원)
- 더 비시바시 1대
- 농구대
- 인형뽑기 다수
- 리듬게임
6.3. 신림 타가존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59길 22-11 2층
- 위치: 지하철 2호선 신림역 4번 출구로 나와서 보이는 방향으로 직진하다가 두 번째 골목으로 들어가 우회전 해서 모텔이 정면으로 보이는 뒷골목으로 들어가면 된다. 혹은 4번 출구에서 계속 직진하다가 미샤 매장이 있는 골목으로 들어가면 바로 정면에 보였다.
- 영업시간: 오전 12:00 ~ 오후 11:00
- 보유 했던 기기
- BEATCRAFT CYCLON 1대
- 유비트 프롭 2대 [20]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1대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FX 기체)
- 철권 7 2대 (500원 2크레딧)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대
- 철권 6 BR 2대
- 부스형 노래방 5대 (300원 1곡, 금영퀴즈노래방 부스 + 금영 KMS-A100)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아침이나 낮시간대 사람이 매우 적다. 때에 따라 방문시 기계가 꺼져있는 날도 있으나 1층 카운터에 말하면 바로 켜준다. 리겜 유저가 거의 없다시피 하니 기기 잡고 계속 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5년 11월 30일까지 영업을 하고 문을 닫는다고 카페에 공지했다. 그러다 2015년 12월까지 영업하고 2016년 부로 폐점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2016년 1월 7일 부로 안에 있는 기기들을 모두 빼는 것을 끝으로 폐점했다. 그 자리는 핫셰프라는 식당으로 대체되었다.
6.4. 신림 X게임존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327
- 위치: 지하철 2호선 신림역 3번 출구에서 1분 거리에 있었다.
- 영업시간: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1000원, TX기체)
- 철권 7 FR 3대 (500원)
- 철권 7 1대 (5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3 1대 (500원)
- 킹 오브 파이터즈 2002 1대 (500원)
- 농구대 2대 (500원)
- 해머 2 1대 (500원)
- 사격게임 2사로 (2000원)
- 인형뽑기 21대
- 펀치 1대 (가게 앞에 위치)
2017년 9월 공사중이라고 써 붙은 뒤 2017년 10월에 파리바게트로 바뀌었다.
6.5. 신림 사이버 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6가길 31
- 가동했던 게임
- EZ2DJ 7th 2.0 1대 (200원)
- 닌자 어설트 1대
- 라이덴 파이터즈 1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2 1대
- 기타 격투게임들
- 동전노래방 6대 (금영 필통 150B 3대, TJ 질러 C20 3대)
EZ2DJ는 일단 요금이 200원이고 이제는 쉽게 보기 힘든 구버전이라는 장점이 있었으나, 화면 테두리 변색이 심했고, 가운데 부분도 잘 보면 EZ2DJ 3rd 로고가 번인되어 있었다. 컨트롤러는 기름스크를 제외하면 무난한 수준이나 이펙터 버튼은 다소 안 눌리는 느낌이 있었다.
연도/일자 미상에 페업하고 그 자리는 공실상태로 남아있다.
6.6. 신림 포도몰 아이존 게임플렉스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 330 포도몰 9층
- 위치: 지하철 2호선 신림역 1, 2번 출구와 연결된 포도몰 안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9층에서 내려서 왼쪽으로 가면 보인다.
- 영업시간: 10:30 ~ 22:30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500원, FX 기체 + 3세대 발판)
- 태고의 달인 13 1대 (5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500원, SD 기체, 영문판)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DX 기체, 일본어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000원)
- 렛츠 고 아일랜드 1대 (1000원, DX 기체)
- 스트라이커즈 1945 II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III 1대
- 메탈슬러그 4 1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 2대 (1000원)
- 철권 6 BR 2대 (5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500원)
- KOF 98 1대
- 버블보블 1대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 부스형 노래방 4대 500원 1곡, 1000원 2곡 (뉴짱플러스 부스 + TJ 질러 C10 3대, 질러 L10 1대)
- 더 비시바시 1대
- 히든캐치 5 1대
- 해머 2 1대
- 에어하키 1대 (1000원, 패스트트랙)
- 두더지 잡기 1대 (스트레스 킬러)
- 농구 2대 (1000원, 슈퍼 루키)
- VR 2대
- 뽑기 5대
- 스티커 사진기 2대
6.7. 서울대 오렌지 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4가길 2 네이버 거리뷰
- 위치: 152번, 5517번, 5522번, 6515번 버스를 타고 삼성동 주민센터에서 내려서 길 건너서 언덕 올라가면 나왔었다.
6.8. 서울대 동방게임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2길 72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5515번 버스를 타고 강원약국 앞 하차 후 약 150m 거리에 있었다.
- 영업 시간: 오전 10시 ~ 오전 3시
- 가동 했던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4 1조
- 철권 7 1조 (3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조 (200원)
-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 AE 1조 (300원, 이어서 할 경우 200원)
- 450가지 게임 1조 (200원)
- 부스형 노래방 5대 (500원 1곡, TJ 질러 S20 2대, 질러 L30 2대, 금영 KMS-A100 1대)
은근히 철권의 고수가 많으며 이곳을 주축으로 한 철권팀도 있었다. 한 블럭 차이인데도 21세기 게임프라자보다 철권 유저의 수준이 훨씬 높았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4의 경우 유저풀은 적으나 유저들이 대부분 고수였다.[21] 스파4의 경우 금요일~일요일 6시 이후에 유저가 있었다.
2015년 9월에 오락실의 반부분이 음식점으로 만들어졌다. 돈이 안돼서 오락실 사장이 오락실의 반을 팔았다고 생각됐으나, 그게 아니라 사실은 음식점의 주인이 오락실 사장님의 와이프로 추정된다. 실제로 오락실 사장이 오락실에 상주하고 않고 음식점에 있거나 음식점의 일거리를 도와주는 게 많이 목격됐다.
오락실 아래에 있는 PC방을 오락실 사장이 인수했기 때문에 동전교환기에 문제가 생기거나 기판 오류시 PC방에 찾아가면 됐다.
2016년 12월에 폐업했다.
6.9. 서울대 21세기 게임프라자
-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암로24길 76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와서 5515번 버스를 타고 녹두거리로 진입한 뒤 대학동치안센터 정류장에서 내리면 '강원약국' 바로 옆에 있었다. 또는 501번을 타고 차고지까지 가서 조금 걸어올라와도 된다. 신림역에서 오는 경우는 서울대나 난향동 쪽으로 가는 버스 아무거나 타고 삼성동주민센터 또는 대학동고시촌 정류장에서 내리면 된다. 단, 삼성동주민센터나 건너편인 관악농협신림지점 앞 정류장에서 내린다면 김밥천국이 있는 골목으로 조금 걸어올라가거나 횡단보도를 건넌 뒤에 그 골목(호암로24길)으로 대략 3분에서 5분 정도 걸어가야 했다.
- 영업 시간: 불규칙[22] (고정적 영업시간은 11:00~22:00)
- 가동 중인 게임
- 리듬 게임
- 유비트 페스토 1대 (+이어폰 단자) (500원)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 1대 (+이어폰 단자) (500원)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1대 (500원)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1대 (+이어폰 단자) (1000원)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500원 / TX 기체)
- 격투 게임
- 고전 게임
- 기타
- 인형 뽑기 4대
- 리듬 게임
기기 관리는 잘 되는 편으로 고장이 나면 바로바로 주인 아저씨가 고치러 오신다. 전체적으로 좁은 편이지만 그런 만큼 여름에 냉방이 잘 되는 편이다. 오락실 안에는 천원짜리만 받는 교환기만 있으며 500원짜리 2개와 100원짜리 10개로 교환이 가능하다.[23] [24] [25] 5천원, 만원 지폐는 카운터에 가서 사장님께 바꿔달라고 하거나 인형뽑기 공간에서 바꾸면 된다.[26] 펌프의 경우 발판 아래에 방진판이 있으며 1P 오른쪽 아래의 발판의 조명이 흰색이 아닌 다른 색이다.
2018년 10월 13일 팝픈뮤직이 없어졌다. 이유는 플레이하는 유저가 적었기 때문이다.
2018년 11월 1일에 사장님이 며칠 뒤면 문을 닫으신다고 했다. 결국 2018년 11월 일자 미상에 폐업했으며, 이제 녹두거리에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이 오락실마저도 사라지게 되었다.
7. 광진구
7.1. 강변 테크노마트 DMZ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 테크노마트 1층
- 위치: 테크노마트 1층에 있었다.
- 가동 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1대
- DDR 1대 (버전은 모름)
- EZ2DJ 1대
- 스타워즈 체감형 게임 1대
- 기타 스틱게임류
다만 오락실의 자체적인 수익성의 이유로 2008년에 문을 닫았다. 폐업 당시 10층 CGV에는 체인점 형태로 조이맥스(현재는 펀잇)가 들어가있던 상태였고 오락실 수요가 분산되어서 오락실의 수입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코즈니를 거쳐서 엔터식스가 들어가 있다.
7.2. 강변 테크노마트 CGV 펀잇 (구 조이맥스)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나루로56길 85 테크노마트 10층
- 위치: 지하철 2호선 강변역 1,2번 출구로 나가면 보이는 테크노마트 10층 CGV에 있다.
- 영업시간: CGV 시간과 비슷함
- 보유 했던 기기
- 건슈팅 게임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일본어판)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1000원, 일본어판)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000원)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1000원)
- 오퍼레이션 고스트 1대 (1000원)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1000원, 일본 내수용, 카드 사용 불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GP 2 2대 (1000원)
- 격투 게임
- 철권 6 BR 4대 (500원)
- 고전 게임
- 건버드 2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2 1대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 버블보블 1대
- 버블 메모리즈 1대
- 테트리스 1대
- 기타
- 더 비시바시 1대
- 부스형 노래방 7대 (500원 1곡, 1000원 2곡 / 엣지플러스 부스 + TJ B70 4대, B80 3대, 퀴즈모드 가동)
- 농구 2대
- 인형 뽑기 8대 (500원, 1000원, 2000워ㆍ)
- 대형 경품뽑기 2대 (2000원)
- 건슈팅 게임
7.3. 건대 게임천국 1호점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29길 28
7.4. 건대 넷아레나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동일로20길 114 지하 1층
- 위치: 지하철 2, 7호선 건대입구역 5번 출구로 나오자 마자 오른쪽으로 꺾어서 건대 로데오거리 골목으로 들어가서 1블럭 지나가면 나온다.
- 가동중인 게임
- 철권 7 FR 8대
다음팟에서 거의 매일 방송을 하고 있다. 초기에는 아르바이트생 계정으로 방송했다가 이후 정식으로 건레나 계정을 생성해 방송하고 있다. 방송중인 경우 '건대'나 '철권'으로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으니 참조. 사물을 보관할수있는 락커가 존재. 음료수도 판매 중.
철권 7 아케이드 비용은 그대로 400원, 플레이스테이션4의 경우 시간당 1인 1500원, 2인 3천원(1인 조이스틱 사용시 시간당 500원 추가, 2인일 경우 조이스틱 대여료 포함 3천원) 데스크탑[27] 은 시간당 1인 1000원(조이스틱 대여시 시간당 500원 추가).
여담으로 건대 넷아레나의 사장은 다름아닌 '''헬프미'''다! 헬프미 레버 구매를 원하는 경우 현장에서 직구 및 교체까지 가능하다.
2019년 1분기에 폐업했다.
7.5. 건대 스타시티 크리오네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272 스타시티 3층
- 위치: 스타시티 3층에 있었다.
- 영업 시간:
- 가동 했던 게임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 드럼매니아 V8 1대
- 기타프릭스 V8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5 2대
- 레이징 스톰 1대
- 레일 체이스 2 1대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3 4대
-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3 DX 2대 ((구)청량리 롯데백화점 크리오네 출신)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FX 기체 + 3세대 발판)
- 펌프 잇 업 NX2 1대 (DX 기체)
- 철권 6 BR 4대
- 철권 5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2대
- DJMAX TECHNIKA 2 1대
- EZ2DJ AE 1대 (LCD 모니터)
- 태고의 달인 12 2대 (1대는 증량판)
- 부스형 노래방 8대 (500원 1곡, 금영 비바우스 1 6대, TJ 질러 C30 2대)
완간 미드나이트 맥시멈 튠 3가 있는 곳이다 보니 괴수유저가 은근히 많았다. 완간대회도 몇 번 했었고, 탑랭커들도 많이 오기 때문에 완간유저들에게는 성지급의 오락실이기도 했다. 몇몇 기록은 국내최속기록을 가지고 있다. 2011년 4월에 3DX+가 들어왔는데, 4인 배틀은 안되고 2인 배틀만 가능한 상황이었다. 다만 새 기기라서 상태는 매우 좋은 편이었으며, 차 강화를 하고 싶다면 사람 없을 때 하는 것이 좋았다.
2013년 2월 17일에 스타시티와 재계약을 하지 못해 폐업했으며, 그 자리는 셀렉 다이닝. 오버 더 디쉬라는 식당으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해당 오락실 사장님이 병점 롯데시네마 조이폴리스로 옮겨서 영업중이다.
7.6. 건대 짱오락실 1호점
건대입구역 1번 출구에 붙어 있는 오락실. 과거에는 인형 뽑기나 블랙홀 프라이즈 정도만 있었지만 2018년 2월쯤에 비트온 1대와 농구 2대가 입고되어서 어느정도의 구색을 갖춘 오락실이었다.
현재는 폐업하였다.
7.7. 건대 짱오락실 2호점
넷아레나 건대점에서 10분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오락실로 체감형 게임들만 존재했다.
2019년 5월 5일 확인결과 폐업
7.8. 구의 게임천국
구의역 1번 출구 바로 앞에 있던 오락실이었으며, 광진구에 유일하게 살아남았던 오락실이었다.
광진구 지역 스틱게임 성지로 불리 왔으나 건대 게임천국이 생기자 마자 유저들이 그쪽으로 몰리는 바람에 2011년에 자금난으로 폐업하고 현재는 과일가게로 바뀌었다.
7.9. 능동 어린이대공원 과학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16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7.10. 영동 우리들의 놀이터
항목 참조.
8. 구로구
8.1. 고척스카이돔 스카이워크몰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430 고척스카이돔 B1층
- 위치: 동양미래대학, 구로성심병원 정류장에 내려서 횡단보도 건너서 고척스카이돔 B1층 스카이위크몰로 내려가면 왼쪽에 보였다.
- 영업 시간: 고척스카이돔 영업시간이랑 동일.
- 보유 했던 기기
- 리듬 게임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1000원, 후기형 FX 기체 + 3세대 발판)
- 태고의 달인 10 1대 (1000원)
- EZ2AC EV 1대 (500원)
- 건슈팅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500원, SD 기체)
- 렛츠 고 정글 1대 (1플레이 1000원, 2플레이 2000원, DX 기체)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플레이 1000원, 2플레이 2000원)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6 더블 에이스 2대 (1000원)
- MANX TT 슈퍼바이크 1대 (1000원)
- 격투 게임
- 철권 6 BR 4대
- 고전 게임
- 월광보합 4 4대
- 기타
- 다트 3대
- 야구 2대
- 펀치 2대
- 농구 2대 (엔슛)
- 에어하키 1대 (패스트트랙)
- 사격 1대
- 킥 1대
- 두더지 잡기 1대
- 부스형 노래방 2대[28] (500원 1곡 / 탑 온 더 뮤직 부스 + TJ B70 / 2017년 7월 11일 수록곡까지만 있었음)
- 히든캐치 5 1대
- 인형 뽑기 10대
- 리듬 게임
2018년 3월 3일, 타임 크라이시스 3, 렛츠 고 정글을 제외한 모든 기기들이 철거되면서 폐업확인. 이후 타임 크라이시스 3, 렛츠 고 정글은 슈퍼마켓으로 운영되었던 곳으로 이동되었다가 매각되었다. 현재 그 자리는 버스킹존이 들어서 있다.
8.2. 구로 CGV 펀잇 (구 조이맥스)
-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52 5층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구로역 1번 출구와 연결된 건물 5층 CGV에 있었다.
- 영업시간
- 월~목요일: 10:00 ~ 22:00
- 금요일: 10:00 ~ 23:00
- 토요일, 공휴일: 09:00 ~ 23:00
- 일요일: 09:00 ~ 22:00
- 보유 했던 기기
- 스폰지밥 히트 더 비트 1대 500원 (코엑스 메가박스 큐브존 출신)
- 레이징 스톰 2대 1크레딧 1000원 (DX 기체, 한국어판 1대, 일본어판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1크레딧 1000원 (DX 기체)
- 렛츠 고 정글 2대 1크레딧 1000원 (DX 기체)[29]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2대 1크레딧 1000원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1크레딧 1000원 (SD 기체)
- 트랜스포머 섀도우 라이징 1대 1크레딧 1000원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1크레딧 1500원, 컨티뉴 500원 (DX 기체, 일본어판, 의자 움직이지 않음)
- 아이스맨 1대 10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II 2대 500원 (큐브존 출신)
- 스트라이커즈 1945 III 1대 500원
- 메탈슬러그 3 1대 500원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1크레딧 1000원 (해외판, 2인 플레이 불가, 카드 사용 가능)
- 스피드 라이더 2 2대 1크레딧 1000원
- 철권 6 BR 4대 500원 (2대는 태그 2 언리미티드 기기 개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500원
- KOF 98 1대 500원
- 버블보블 2대 500원 (1대는 큐브존 출신)
- 스노우 브라더스 1대 500원 (큐브존 출신)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500원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500원
- 더 비시바시 1대 1크레딧 1000원, 컨티뉴 500원 (일본 직수입 기체)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500원
- 히든캐치 5 1대 1크레딧 1000원
- 딥 씨 파티 1대 1크레딧 1000원
- 천방지축 50 1대 1크레딧 1000원 (구기체)
- 두더지 잡기 1대 500원 (큐브존 출신)
- 럭키 볼 1대
- 농구 2대 1000원 (슈퍼 루키 2, 큐브존 출신)
- 다트 4대 (2대는 코엑스 메가박스 큐브존 출신)
- 펀치 2대
- 에어하키 2대 1000원
- 마리오와 소닉 리우 올림픽 아케이드 2대 1크레딧 1500원 (코엑스 메가박스 큐브존 출신)
- 뽑기 29대
- 부스형 노래방 8대 500원 1곡, 1000원 2곡 (엣지 플러스 부스 + TJ B70, 퀴즈모드 가동 / 6~8번 부스는 녹음 안됨)
- 손금 1대
- 스티커 사진기 1대
9. 금천구
9.1. 독산 홈런 야구장
- 위치: 독산 CGV 오락실이 있는 시티렉스 빌딩 건너편 골목에 존재함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피에스타 2 (SD기체, USB 사용불가)
- 타임 크라이시스 2
- 야구 배팅시설
- 타격형 기기들과 크레인 기기들
9.2. 시흥 일성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50길 9 2층
- 위치: 시흥사거리의 홈플러스 시흥점 맞은편 미스터피자 골목 30m 병천 아우내장터 순댓국 건물 2층에 있었다.
- 가동했던 게임
- 철권 6 BR 1조
- 철권 5 4조
- KOF 시리즈
- 사이쿄 슈팅게임 시리즈
- 펌프 잇 업 ZERO 1대
- EZ2DJ (버전불명)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3 1조
그리고 노래방이 200원인것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기기가 100원인 은혜로운 오락실이었으며 규모에 비해 최신 기기가 많고 정비도 잘 되어있는 편이었지만 2013년 3월에 알 수 없는 이유로 폐업했으며, 현재 그 자리는 떡볶이집이 되어 있다.
9.3. 시흥 짱구오락실
시흥 먹자골목 인근에 생긴 오락실이었다. 일자 미상에 폐업하고 술집으로 바뀌었다.
10. 노원구
10.1. 노원 롯데시네마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1414
- 위치: 롯데시네마 노원점 내에 있는 매표소 근처에 존재했다.
- 보유 했던 기기
- 더 비시바시
- 틀린그림찾기 5
- 렛츠 고 정글
10.2. 노원 아이존 팝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해로 485 B2층
- 영업시간
- 월~목: 11:00 ~ 23:00
- 금: 11:00 ~ 익일 02:00
- 토,일: 10:00 ~ 익일 02:00
- 이용요금
- 평일 낮: 2000원 (30분), 4000원 (1시간), 6000원 (2시간)
- 평일 저녁, 주말, 공휴일: 3000원 (30분), 5000원 (1시간), 8000원 (2시간)
- 보유 중인 기기
- 철권 6 BR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일본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2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3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일본 내수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SD 기체)
- 렛츠 고 정글 1대 (DX 기체)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일본 내수판)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DX 기체, 일본판)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일본 내수판, V1.2+D)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 2대 (일본 내수판)
- 완간 미드나이트 멕시멈 튠 3DX+ 2대 (일본 내수판, 카드 사용 불가)
- MAXT TT 슈퍼바이크 2대 (트윈 기체)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LX 백기체)
- 펌프 잇 업 FIESTA 2 1대 (FX 기체)
- 비트온 PRIME 2 1대
- EZ2AC NT 1대
- 태고의 달인 11 1대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 오피스 여인천하 1대
- 더 비시바시 1대
- 히든캐치 5 1대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 슈퍼 팡 1대
- 버블보블 1대
- 농구 3대 (비트 앤 덩크)
- 다트 아레나 3대
- 너티 빈스 1대
- 룸형 노래방 4실 (TJ)
- 방탈출 게임 1실
10.3. 노원 펀펀
지하철 4호선 노원역 근처에 위치. 운영과 관리가 혜화 우리 오락실 수준으로, 더 이상 망가질래야 망가질 수 없을 정도로 고장난 걸, 못 고치고 그대로 방치해 둔 것도 꽤 자주 볼 수 있다. 그나마도 건의를 해도 안 고치고 있었다가 폐업.
- 가동했던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2, 3
- 텐가이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 3
- EZ2DJ Platinum, 6th TRAX 각 1대
- 펌프 잇 업 제로, 익시드 2 (DX기체)
- 드럼매니아 5th, 10th
10.4. 마들 청소년 DDR 게임장
[image]
[30]
마들역 안에 있었던 오락실로, 꽤 큰 규모를 자랑했다. 규모뿐 아니라 가동하는 게임기도 성지급이었다. 무엇보다 beatmania IIDX 8th style을 처음이자 유일하게 직수입하여 화제를 모았으며, EZ2DJ도 버전별로 있었다. 또 규모가 커서 그런지 공간을 크게 차지해 많이 못 놓는 펌프 잇 업도 3대나 있었다. Ryunan이 쓴 게임메카 기사에 따르면 카드에 돈을 충전해서 플레이하는 최첨단 시스템도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신작은 자주 업데이트 되지 않았으며, 결국 사람도 점점 줄어갔다. 마지막에는 마들역을 운영하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31] 와 계약기간이 만료되어 결국 문을 닫았다. 비트매니아는 이후 압구정 조이플라자로 옮겨졌다. 그리고 위의 게임메카 기사를 보면, 그 자리에는 새 점포가 들어오지 않아 오락실 간판과 카운터 시설, 그리고 벽에 붙은 사장의 마지막 인사말까지 그대로 남아있었지만 사라졌다.
10.5. 월계동 짱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광운로 52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광운대역에서 내린 뒤 광운대쪽으로 조금 걸어가면 나온다.
- 가동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2015 PRIME 1기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기
- 태고의 달인 10 1기
- DJMAX TECHNIKA 3 1기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1기 (400원. 화면이 LCD 화면이다.)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1기 (400원)
- 기타프릭스 11 1기
- 드럼매니아 10 1기 (세션 가능, 각 200원)
- 철권 6 BR 2조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기
- 도전 OX 서바이벌 1기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기
- 타임 크라이시스 3 1기
- 크라이시스 존 1기
- 농구대 2대
- 동전노래방 6대
- 기타 스틱게임
10.6. 월계동 야사노
과거 광운대학교 근처에 존재하던 짱 오락실이 폐업한 지 1년여 만에 새로 생긴 오락실이었다.
외부에 500원 짜리 뽑기기계가 하나 있는데 집게힘이 세다고 너무 무리하게 플레이하지말자.
사격은 티켓팅 머신이 따로 있어서 거기서 선불 계산을 한 뒤 표를 직원[35] 에게 제출해야 한다. 일정 점수를 달성하면 인형 상품을 제공하며, 미달일 경우 획득한 만큼의 포인트를 지급해 주는데 모아서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야구의 경우 타석이 보이는 스크린에 공을 던지는 방식이다. 점수(정확도에 비례)와 구속 데이터는 게임이 끝나고 프린트되어 나온다.
장사가 안 돼서 2020년 7월에 폐업했다.
11. 동대문구
11.1. 외대 게임월드
- 가동했던 기기
펌프 잇 업 2015 PRIME 2대 = 500원
테크모 월드컵 '98 1대 = 300원
데이토나 USA 2 1조 = 300원
철권 5.1 4대 = 200원
철권 6 BR 2대 = 300원
버추얼 테니스 2 2대 = 300원
메탈슬러그 3 1대 = 200원
파이트 클럽 1대 = 200원
갈스 패닉 SU 1대 = 200원
오피스 레이디 1대 = 200원
킹 오브 파이터즈 2003 1대 = 200원
스트라이커즈 1945 3 1대 = 200원
건버드 2 1대 = 200원
퍼즐보블 1대 = 200원
스노우 브라더스 1 1대 = 200원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 200원
동전노래방 14대
외대 주변에 존재했던 오락실이나, 2018년 8월 11일 폐업 후 코인노래방이 들어왔다.
11.2. 시립대 제이테크 게임장
- 원래는 시립대 정문 옆 빌딩 1층에 위치 했으나 시립대 정문 정류장 앞 건물 지하 1층으로 이전했다.
- 가동했던 기기
- EZ2DJ 6th 1대 =300원
- 이니셜D 3rd 1조 = 3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300원
- 퍼쿠션프릭스 5th 1대 = 300원
- 건블렛 1대 = 100?200?
- 비시바시 스페셜 1대 200원
- 펌프 잇 업 1대 = 300?500?
- 메탈슬러그 6 2대 = 200원
- 킹 오브 파이터즈 네오웨이브 1대 = 200원
- 철권 5.1 2대 = 200원
- 철권 TT 4대 = 100원
- 킹 오브 파이터즈 2003 1대 = 200원
- X-Men VS 스트리트파이터 1대 = 200원
- 와호장룡 2005 SE 1대 = 200원
- 스트리트 파이터 2' 1대 = 200원
- 테트리스 1대
- 캐딜락 다이노소어 1대
- (퍼즐버블+메탈슬러그4+쇼크트루퍼?+봄버맨 네오)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3 1대
- 건버드 2 1대
- 버추어 테니스 2대
- 버추어 스트라이커 2대
- 버추어 파이터 4 파이널튠드 1대 = 200원
당시 수도권 지역에서 1~2층을 쓰던 울놀과 함께 정식판 메탈슬러그 6가 있던 유이한 오락실이었으며 이지투 등의 리듬게임의 상태도 좋은편이었다.
2012년 10월경 알 수 없는 이유로 폐업했다.
11.3. 경희대 게임랜드
경희대 정문 앞 Angel-in-Us 옆의 골목으로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 오락실. 경희대 정문에서 1분 거리라서 그런지 인구는 항상 많은 곳. 주요 기기로는 철권이 6BR이 2조(4대)돌아가고 있으며 5DR과 태그도 1조씩 있다. 그 외에는 KOF 2000이 1조, 사무라이 쇼다운(!), KOF 2002 등이 있으며 라이덴이나 Striker 시리즈 등 슈팅게임도 다수 구비되어 있고 마작같은 자잘한 게임이나 프로야구 등 온갖 게임이 존재한다. 리듬게임도 Ez2dj 7.5th violet이 1대 있고 드럼매니아는 5th와 9th 두 대가 있다. 하지만 드럼매니아 상태가 매우 조악하며(특히 9th는 거의 모든 패드가 씹힌다고 봐야 한다.) 이지투 바이올렛의 경우에는 E2, E3키가 먹통이라 7키랑 스페믹은 포기해야 한다. 거기다 스크래치도 자주 고장난다. 리듬게임 하기에는 매우 열악한 곳.
한때 DJMAX TECHNIKA도 있었지만 09년 가을을 기점으로 사라졌다. 때문에 리듬게임 인구는 더 줄어든 상황.
이니셜D 3를 포함한 레이싱 게임도 4대 존재했다.
2010년에 없어지고 그 자리엔 큰 약국이 들어섰다.
11.4. 경희 게임존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1길 8-6 네이버 지도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회기역에서 동대문01번 마을버스를 타거나 도보로 이동해 경희대 앞 사거리에서 KT매장 바로 뒷블럭으로 가면 보였다.
- 영업 시간: 연중무휴 24시간
- 가동 했던 게임
- 리듬 게임
- EZ2AC : TIME TRAVELER 1대
- 펌프 잇 업 2018 PRIME 2 1대 (LX 기체)
- 펌프 잇 업 2017 PRIME 2 1대 (비트온 손펌프)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1대
- 건슈팅 게임
- 레이싱 게임
- 격투 게임
- 철권 7 FR 2대
- 고전게임
- 기타
- 인형뽑기
- 사격게임
- 피닉스다트 2대
- 리듬 게임
하지만 눈에 잘 안 띄는 위치인데다 경희대는 오락실의 무덤이라고 불려도 좋을 정도로 근처의 오락실들이 굉장히 빨리 폐업한 곳이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매장이 잘 되지는 않았다. 결국 2018년 10월 경 폐업하고 11월부터 긱스타 pc cafe로 변경되었다. 사장님 입장에서는 본래 업종으로 다시 돌아간 셈이다.
11.5. 청량리 롯데백화점 크리오네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8층
- 보유 했던 게임
- 리듬게임
- 펌프 잇 업 FIESTA 1대 (후기형 FX기체 + 3세대 발판)
- 드럼매니아 V7 1대
- 기타프릭스 V7 1대
- 태고의 달인 1대
- 건슈팅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4 SD 1대
- 데드스톰 파이레츠 DX 1대
- 렛츠 고 정글 DX 1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3 2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대
- 완간 미드나이트 맥시멈 튠 DX 2대
- 정체불명의 레이싱 게임 2대
- 파이널 펄롱 2대
- 대전액션게임
- 철권 4대
- 기타
- 부스형 노래방 4대 (엣지 부스, TJ 질러 C30)
- 농구대 2대
- 하키 1대
- 인형뽑기 2대에서 4대 정도
- 사탕뽑기 2대
- 스티커 사진기 2대
- 에어하키 1대
- 리듬게임
11.6. 청량리 롯데백화점 롯데시네마 게임존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7,8층
- 위치: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4번 출구로 나오면 보이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건물로 들어가서 경의중앙선 전철 타는 곳하고 중앙선 기차 타는 곳 사이에 있는 계단으로 올라가면 롯데백화점과 롯데마트 사이 큰 계단과 에스컬레이터가 나오며 넓은 복도 끝에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출입문 바로 앞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는 7층까지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7층 롯데시네마 앞에 있는 계단으로 올라가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8층으로 올라가야 한다.(8층)[36]
- 영업시간: 10:00~22:00
- 보유 했던 기기
- 7층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1000원 (DX 기체)
- 8층
- 펌프 잇 업 XX 1대 1000원 (LX 흑기체, 4라이프)
- 비트온 PRIME 2 1대 1000원 (4라이프)
- EZ2AC FN 1대 500원 (LCD 개조)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500원 (SD, 일본 직수입 기체)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DX, 일본 직수입 기체)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DX 기체, 일본판)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1000원 (정발판)
- 좀비 좀비스 1대 1000원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1000원 (카드 사용 불가, 일본 내수판)
- 스피드 라이더 2 2대 1000원
- 철권 6 BR 2대 500원
- 철권 7 FR 4대 5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500원 (뷰릭스 L 기체)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4대 500원 (일본 내수판)
- 건버드 2 1대 500원 (뷰릭스 03 기체)
- 스트라이커즈 1945 II 1대 500원 (뷰릭스 03 기체)
- 메탈슬러그 4 1대 500원 (뷰릭스 03 기체)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500원 (뷰릭스 L 기체)
- 퍼즐보블 1대 500원 (뷰릭스 L 기체)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500원 (뷰릭스 L 기체)
- 틀린그림찾기 5 1대 1000원
- 더 비시바시 1대 500원 (일본 직수입 기체 + 정발 기판)
- 천방지축 50 1대 500원 (신 기체)
- 부스형 노래방 8대 1곡 500원, 2곡 1000원 2곡 (엣지 플레이 부스 + TJ S70F / 퀴즈모드)
- 농구 3대 1000원 (비트 앤 덩크)
- 딥 씨 파티(낚시) 1대 1000원
- 애어하키 2대 1000원 (패스트트랙 2)
- 사격 2대 (드림슛)
- 어린이용 놀이기구 2대
- 뽑기 10대
- 스티커 사진기 1대
- 너티 빈스 1대 1000원
- 픽셀크래프트 1대
- 7층
11.7. 이문동 컴퓨터 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로3길 74 다음 거리뷰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외대앞역과 신이문역 사이에 존재. 신이문역에서 간다면 5번 출구에서 내려서 외대역동8길 골목으로 가다가, 독구말지하차도가 보이면 독구말지하차도를 건너서 독구말길로 쭉 가면 '차고앞 주차금지'라는 노란색 철문이 보이는데 거기서 오른쪽 길을 타고 가면 현대수퍼가 보이고 몇걸음만 더 가면 보인다.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THE PREX 3 1대 400원
- 펌프 잇 업 EXTRA 1대 300원
-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개조판 1대[37]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 1대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1대 ●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1 1대
- WWF 레슬페스트 1대 ●
- 사무라이 스피리츠 아마쿠사 강림 1대
- 철권 2 1대 (Ver.B) ●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대
- 초강전기 키카이오 1대 ●
- 모탈 컴뱃 1대●
- 썬더 드래곤 1대[38] ●
- 세이부 컵 축구 1대
- 스타디움 히어로 1대
- 포켓 걸 1대 ●[39]
- 매직 스워드#s-2 1대 ●(단 2P만)
- 스노우 브라더스 1대 ●
- 카발 1대 ●
- SD건담 삼국지 횡스크롤 액션슈팅게임
- 햄버거하우스 (비디오 릴 게임)
- 오델로
펌프는 평시에는 꺼진 상태지만, 주인 할아버지께 켜달라고 하면 켜주신다 카더라. 주된 고객층은 동네 초딩이지만 가끔 20대도 보이는데 주변의 외대생일 가능성이 높다, 극소수로 입소문을 듣고 찾아온 레트로 게이머일 가능성도 있다. 오락실이 상당히 좁은편이다. 기계 상태는 천차만별인듯 하다. 썬더 드래곤은 오른쪽 레버상태가 A-급인거 빼면 의외로 멀쩡하며 카발 레버상태 역시 멀쩡하다. 다만 철권 2같이 레버상태가 B급인 게임도 몇개 있다. 아마 초딩들이 많이 다루는 게임을수록 레버상태가 안 좋은 듯. 그러나 오픈시간이 고정적이지 않다. 평일 저녁에는 대체로 일찍 문을 닫는 듯 하다.
일자 미상에 폐업하였고 슈퍼가 들어섰다.
11.8. 휘경동 300냥 노래방 (휘경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망우로12가길 33 1층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회기역 2번 출구에서 나와서 오른쪽으로 골목길을 나오면 대로변이 있었는데 그 건너편 11시방향으로 난 골목길(하얀 건물 바로 오른쪽)로 쭉 걸어 들어간다. 들어가서 3분 정도 걸으면 맥주창고라는 건물이 나오는데 그 건물 바로 옆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주니어 펌프 EXCEED 1대 200원 (중기형 기체, 1P 오작동)
- 주니어 펌프 EXCEED 2 1대 300원 (중기형 기체, 2P 오작동)
- 거치형 게임기 10대
- 부스형 노래방 7대 1곡 500원, 3곡 1000원 (뉴짱 부스 3대 + 금영 비바우스 II, 뉴짱 플러스 부스 1대 + 금영 비바우스, 금영퀴즈노래방 부스 3대 + TJ B70)
2019년 3월 말에 폐업하였고 강아지방이 확장되었으나 동년 일자 미상에 건물 자체가 아예 철거되었다.
12. 동작구
12.1. 노량진 사이버 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만양로18길 23 1층
- 위치: 정인게임장에서 지금은 폐업한 아카데미 게임장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나온다.
- 가동 중인 기기
- 철권 5 DR 1조
- 건버드 2
- 스트리트 파이터 2
- KOF
- 기타 스틱게임들
- 히든캐치 5 1대
- 동전노래방 11대 (뉴짱플러스 부스 7대, 엣지 부스 4대 / 200원 1곡, 500원 3곡, 1000원 6곡 / TJ 질러 C50L 3대, 질러 C50F 2대, S60F 6대)
12.2. 노량진 아카데미 게임랜드
가격이 강점. 철권 6(BR 아님) 2조가 100원에 가동 중이었으며, 철권 5 DR 도 다수.
불타라 져스티스 학원이 돌아가던 몇 안되는 곳이었으며. EZ2DJ와 드럼매니아가 200원이었다.
한때 폐업 상태였다가 다시 문을 열었다가 2010년 10월에 다시 폐점하고 그 자리에는 서점이 들어섰다가 2013년 일자 미상에 마트가 입점해 있다가 2015년 일자 미상에 편의점으로 바뀌었다.
12.3. 노량진 어뮤즈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66 1층
- 가동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2010 FIESTA 1대
- EZ2DJ 바이올렛 1대
- 드럼메니아 - 기타프릭스 V3 (세션 가능)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KOF XI 1조
- 라이덴 아케이드
- 철권 6 BR 3조
- 철권 5 DR 2조
- 이니셜D 3 1조
- 이니셜D 5 1조
- 더 비시바시 1대
- 부스형 노래방 5대 (금영 코러스 1000 3대, 코러스 HD 100S 2대)
일반 스틱게임들의 라인업이 나름 충실했었는데 버파4 에볼루션,CVS2,멜티블러드,SVC,길티기어,이카루가,라이덴2,라이덴 파이터즈,1945 시리즈,파이널파이트,캐딜락,버블보블,퍼즐보블,스노우브루스2,메탈슬러그 시리즈 등 고전게임과 최신작들이 뒤섞여 있었다. [43] . 그래서인지 매니아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많이 갔었다.
여담이지만 압구정 조이플라자에서 가동되던 기타프릭스8th,10th,V3와 드럼매니아7th,9th,V3가 어뮤즈타운에 먼저 있다가 타운이 신작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이곳으로 넘어왔었다. 그리고 상당히 오랫동안 타임 크라이시스2,데이토나 usa, 건블렛, 버츄얼 온이 현역으로 돌아갔던 곳으로 유명한데 건블렛,타임 크라이시스 2는 폐업할 때까지 있었다.
2011년 3월 중순에 폐업했으며, 현재 그 자리는 인쇄소가 되어 있다. 그리고 일부 기계들은 어뮤즈타운으로 이동했다. 어뮤즈타운의 사장이 동시에 운영을 했는데 굳이 문을 닫은 이유는 건물주가 임대료를 뻥튀기 시켰기 때문이다.
12.4. 노량진 댄스댄스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78
12.5. 노량진 레인보우 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78
12.6. 노량진 나노게임파크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78
- 위치: 노량진역에서 경찰서와 커핀그루나루 방향으로 직진후 횡단보도를 건너서 직진하면 있는 노량진 컵밥거리 안에 위치했다. 걷다보면 바로 보이니 찾기는 쉬운 편.
- 보유 중인 게임
- 리듬게임
- 펌프 잇 업 XX 1대 (TX 기체, 상부 간판 제거)
- 슈팅 게임
- 레이싱 게임
- 오버테이크 DX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 카드 사용 가능[44]
- 데이토나 USA 2
- 일반게임
- 갈스패닉 SU 1대
- 기타
- 농구대 2대
- 인형뽑기들
- 리듬게임
12.7. 노량진 정인게임장
2001년에 개업한 오락실로 각종 격투 게임들의 성지. 특히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의 성지'''로 유명해서 지방이나 해외 각지에서 찾아오는 사람들도 있었다. 대한민국 스트리트 파이터의 성지로서 대전 현황을 아프리카 TV로 생방송 제공하고 있었다. 스트리트 파이터만이 아니라 KOF나 철권도 나름대로 수준이 높다. 현재는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철권 태그 토너먼트를 인터넷 생방송 중이었다. 아프리카TV, 카카오TV에서도 동시중계. 그리고 SNL Korea GTA 스트리트 파이터에도 이 오락실이 나왔다. 참고로 화장실 천장이 낮아서 키가 큰 사람들은 부딪힐 수 있었다.
EZ2는 붐비지 않았는데, EZ2의 상태가 양호하므로 EZ2를 하고자 하면 여기에 오는 것도 나쁘지 않았다. EZ2는 오락실 근무자에게 원하는 시리즈를 요청하면 교체할 수 있었다.[53] EZ2[54] , 사운드 볼텍스, 팝픈뮤직 방송용 기기[55] 도 있었다. 리듬 게임 기기마다 이어폰도 가능하므로 주변 소리가 방해된다면 이어폰을 사용하면 좋았다.
밤샘대여 제도가 있으므로 여기를 통해 조건을 확인하고 신청해 평일, 금→ 밤샘은 신청만 하면 가능했었다. 기본적으로 주말 밤샘은 하지 않으므로 밤샘이 하고 싶다면 밤샘 신청을 하자.
하지만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래서 폐업 루머도 한동안 돌았다가 2020년 5월 27일 코로나19 확진자가 방문한 것이 결정적인 타격이 되어 결국 2020년 6월 15일에 폐업 공지가 올라왔으며 2020년 6월 16일에 폐업했다.공지
이 오락실에 있던 기기들의 행방은 다음과 같다.
- 크라운 203 거치형 게임기 28대
- SF2CE 6대, 철권 TT 8대: 아프리카TV 쪽에서 구입해 홍대 엘후에고에 설치.##
- 펌프 잇 업: 스텝 제작자이자 프로그래머인 WINDFORCE가 구매.#
- 팝픈뮤직 3대
- 사운드 볼텍스 3대: 2대는 일산 게임토피아, 나머지 1대는 남포동 게임D에 판매.
- 이지투 5대
- FN 2대: 1대는 일산 게임토피아에 판매.
- TT 1대: 작곡가 Sound Souler가 구매.#
12.8. 신대방삼거리 미미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77 다음 로드뷰
- 보유 했던 게임
- A구역
- EZ2AC : NIGHT TRAVELER 2대 300원
- EZ2AC : EVOLVE 3대 300원
- EZ2AC : ENDLESS CIRCULATION 4대 200원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1대 200원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4대 200원
- EZ2DJ 7thTRAX Ver 1.5 200원
- B구역
- 철권 6 BR 4대 200원
- 철권 5 DR 2대 1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4대 2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100원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2 4대 200원
- 블러드 브라더스 2대
- 스타디움 히어로 96 2대[56]
- 스트리트 후프 2대
- 스트라이커즈 1945 2
- 건버드 2
- 사무라이 쇼다운 4
- 런앤건 2
- 기타 거치형 게임기 (일부 기기 산와레버)
- 부스형 노래방 4대 (TJ 질러 C40 1대, 질러 C50L 1대, S60F 2대)
- A구역
12.9. 이수 메가박스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89
- 위치: 4, 7호선 이수역에서 모펀 방향 출구로 나오면 바로 보이는 메가박스 이수점 로비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그 외 크레인 기기들
12.10. 이수 스위치 오락실 1호점
EZ2에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는 최대볼륨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가끔 100원짜리 동전 교환기에서 50원짜리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카운터에 문의하면 바꿔 준다. 2018년 1월 5일 확인 결과 영업종료. 체감형 게임 일부는 이수 메가박스에 위치한 2호점, 스틱형 게임 일부는 캡틴플스 이수점으로 분산되어 옮겨졌다고는 하나, 메가박스점의 경우 이렇다 할 만한 기기는 거의 옮겨지지 않은 듯 하다. 스틱형 게임은 고전게임에 한해 옮겨진 듯.
12.11. 이수 메가박스 스위치 오락실 2호점
2016년 4월 29일에 이수 메가박스에 오픈한 오락실이다. 1호점이 폐업한 이후 일부 체감형 게임이 이곳으로 옮겨졌다고 하나, 실제로 옮겨진 기기는 사실상 없었다.
12.12. 이수 짱오락실
2018년 12월 21일에 구 놀자 게임존→G2존 자리에 개업했다.
투덱 버튼은 기본셋팅(100g)이 되었고, 스크가 기름스크로 인해 연사가 잘 안된다. 소리가 매우 크다.
상태가 괜찮은 댄스러시를 2대나 가동하는 강남지역의 유일한 장소다 보니 수많은 고인물들의 성지가 되었고 이에 피닉스다트에서 2019년 1월 25일에 댄스러시 퍼포먼스 대회를 열었다.
펌프 발판은 수시로 관리하고 있다. 에어컨과 각 기기마다 선풍기가 비치되어 있으며, 화장실 근처에 가보면 정수기가 있다. (물컵이 없다면 알바 분들에게 요청해보자. 가급적이면 물통을 들고 다니는 걸 추천)
2020년 2월 2일 기준으로 투덱 3차모니터가 화면잔상이 심해졌다. 추후 DDR모니터 또는 해상도SD설정 다른모니터가 교체될지 미지수.
2020년 10월 18일까지 운영하고 폐업했다. 그 이후로 다트점으로 바뀌었다.
12.13. 이수 테마파크 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27가길 12 네이버 거리뷰 구글 지도
- 위치: 지하철 4, 7호선 이수역 13번 출구 근방에 위치한 태평 백화점 뒤쪽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격투 게임
- KOF 시리즈 94~2003 (기판 전환 및 에뮬으로 플레이 가능) 1조 - 2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4대, 5선 3승제 400 원
- 철권 5 DR 4대 - 300원
- 철권 6 BR 4대 - 3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 200원
- 멜티블러드 Actress Again 1조 - 300원
- 블레이블루 CS2 (EXTEND) 1조 - 300원
- 슈팅 게임
- 스트라이커즈 1945 2 2대 - 300원
- 리듬 게임
- EZ2AC EC 2대 - 300원
- 드럼매니아 V8 - 500원
- 테크니카 3 2대 - 500원
- 팝픈뮤직 20 fantasia 2대 - 500원
- 리플렉 비트 콜레트 2대 - 500원
- 유비트 소서 4대 - 500원
- beatmania IIDX 19 Lincle 2대 - 500원[59]
- 사운드 볼텍스 부스 2대 - 500원
- 펌프 잇 업 FIESTA 2 1대 - 500원
- 그 외
- 이니셜D 7 - 1000원
- 고전게임 450여개 (에뮬로 실행하는 듯 하다.) 2대 - 300원 (테트리스 플레이 불가)
- 더★비시바시 - 500원
- 부스형 노래방 5대 - 1곡에 500원
- 틀린그림찾기 5 1대 - 5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500원
- 격투 게임
2005 ~ 2008년까지 대전/슈팅의 성지로 유명했다.
2005 ~ 2008년까지 대회의 역사를 보면 철권 이외에 격투 게임 (KOF, 길티 기어, 스파 서드, 소울 칼리버, 멜티 블러드) 이 매달 한 번 씩은 개최되었던 곳이다.
과거 길티 기어와 멜티 블러드 시리즈는 먼슬리 (매달 한 번씩 개최하는 대회) 까지 개최하게 되었다. 현재도 이수 테마파크 홈페이지 과거 글을 보면 당시 영상들 (계정 문제로 삭제), 대회 사진,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블레이블루가 활성화되었던 오락실이다. 2D 격투게임의 성지라고도 볼 수 있었다.
당시 캡콤계 아케이드 고수들 (풍림꼬마를 필두로 한 국대급 유저들) 과 사장님과 관계가 돈독했다.[61]
비단 캡콤계 뿐만 아니라 배틀페이지, 길티기어 카페, 멜티 블러드 커뮤니티, 소울 칼리버 커뮤니티 등등 격투 게임 대회 주최자들과 이수 테마파크 사장님과의 관계는 대부분 돈독했다. [62]
대전 액션 게임과 슈팅 게임이 새로 나온 게 한국으로 게임이 들어오면 이 오락실은 반드시 거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지만 결국 2012년 5월에 케츠이를 비롯하여 점포에 있던 슈팅 라인을 철거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슈팅 게임으로 들어오는 수입이 저조하여 이전부터 불안한 상황이었는데 결국 올 것이 왔다는 반응. 한때 슈팅 게임의 성지로 불렸던 곳이니만큼 많은 슈팅 게임 매니아들이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리듬게임은 각종 로케 테스트라든가 선행 발매 등의 옵션(?) 등이 많아져서 리겜 떡밥이 충만하는 오락실이 되고 있다. DJMAX TECHNIKA부터 시작해 유비트 초대작이나 리플렉 비트, 그리고 '''아스트로레인저'''에 이어 사운드 볼텍스 부스까지 웬만한 신작 리듬게임의 인컴테스트는 모두 이곳에서 이루어진다고 봐도 무방.[63]
DJMAX 시리즈의 신작 테크니카를 '''3대''' 설치했다. 또한 유비트도 다른곳은 1대나 짝수 (2대 / 4대) 로 들어가있지만, 이 곳은 초대 유비트가 끝날 당시에는 '''3대'''가 들어가있었다. 최초에 e-amusement 테스팅 당시(2008년 말~2009년 2월초) 유비트 1 기계[64] 가 1대 들어가있었으며, 그 뒤 정식발매하자마자 2대로 늘린 다음 2009년 6월에 전국 대회 (겸 국가대표 선발전) 에 사용한 기계를 그대로 구입해 3대로 늘려놓은 뒤에 유지하자다 2009년 말쯤에 4대로 증설해놓았다. 생각보다 몇몇 기기의 사운드가 옆의 유빗 기기에 묻힌다. 이어폰을 꼭 지참하자.
과거 대전 격투 게임은 KOF 시리즈가 강세였다. 희귀품인 KOF 2002 UM 일본 아케이드 버전이 들어와 있는가 하면 KOF XI의 성지이기도 했다. 그러나 한때는 라인 하나를 구축할 정도였던 KOF 시리즈의 영광은 사라지고 2012년 들어서는 단 2조로 줄어들었다. (XI마저 사라졌다!) KOF 시리즈가 이수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도 시간 문제다…[65]
더불어 블레이블루CS(2011년 1월 초 기준 1크레딧 300원)가 있는 곳이다. 스파4랑 멜티블러드 Actress Again도 한조씩 있다. (수정, 2011년 6월 15일 현재 홍콩 기판의 CS2가 가동되고 있다)
그 외에도 450개 가량의 오락실용 고전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게임기[66] 도 있다. 사람들이 주로 하는 게임은 역시나 '''천지를 먹다 II'''. 단 던전 앤 드래곤(게임) 쉐도우 오버 미스타라는 없다. 한 번 잡으면 주야장천하는 게임이니 어쩔 수 없겠지만.
사족으로 별명은 리갤살인마 집회소. 리갤러들이 많이와서 그런가보다...[67]
2011년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아스트로레인저가 추가되었으며 크리스마스가 지나자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를 들여왔다!! '''
2012년 1월 10일에 팝픈뮤직이 판타지아로 업그레이드 완료. 조플과 같이 500원으로 인하했다.(500원짜리 1코인)
1월 22일에는 비트매니아 IIDX 19 Lincle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동시에 모니터까지 교체했다. 이후 2월에 압구정 조이플라자에 있던 비트매니아 IIDX 19 Lincle 1대가 추가로 들어왔다.
6월 5일 렛츠 고 정글이 추가되었다.[68] 근데 하필이면 그 큰걸 통로에 놓아서 통로가 꽤나 답답해졌으나 14일에 기존 테크니카 기기와 자리를 바꿔버려서[69] 통로 문제는 해결했으나 오락실 앞문 절반이 봉인(…)되었다.
12월 28일에 저번에 철거되어 오랜 기간 동안 없었던 '''펌프 잇 업이 부활했다!''' 그러나 큰 기계를 들이면서 , 정전기의 원흉 기타프릭스 V7과 국내에서 거의 멸종됐다 싶은 아스트로레인저는 펌프를 입하하기 위하여 결국 빠져버렸다. 이로써 아스트로레인저[70] 와 V7은 사라졌다. 이제 가끔 정전기로 인해 투덱과 팝픈기기가 모조리 꺼지는일은 없어졌다.
2013년 2월 8일 이니셜 D6 더블에이스가 이니셜 D7 더블에이스 X로 교체되었다!!
2013년 4월 3일 렛츠 고 정글이 있던 자리에 승강기 공사가 시작되면서 스트리트 파이터 4 1조, 건버드 2, 라이덴3, 450가지 게임기 1대, 테크니카 1대, 렛츠 고 정글, 철권 태그 1조,킹오브 1조가 빠졌다.[71] 공사 예정완공일은 6월 말쯤으로 잡혀 있었는데...
2013년 5월 10일, '''폐업 공지'''가 올라왔다.''' 추후에 올라온 추가 공지를 통해 19일까지 영업을 하고, 이후 회전초밥집으로 업종변경이 된다고 밝혔다.
리듬게임계 쪽보다 격투 게임계쪽이 충격이 더욱 심했다고...격투게임 유저 중 이수를 10년 넘게 다녔던 사람들이 많았으니 충격이 심할 만하다. 이수 망하네 공짜네 머네 하면서 리듬게임계는 시끄러웠던 거에 비하면 격투 게이머들은 조용히 이수에 가서 감회에 잠겼다고 한다. 그도 그럴게 대부분 리듬게이머들은 격겜 → 리겜으로 추세가 옮겨지는 2008년부터 이수에 다닌 사람이 많다. 그에 비하면 격투게이머들은 10년을 다닌 사람들 비일비재하다.
마지막 날에 e-amusement 대응 게임 및 철권을 제외한[72] 대다수의 게임이 프리 플레이로 개방되었다. 건슈팅 및 일부 게임들도 프리플레이 설정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저녁 8시에 마지막 문을 닫았다. 그리고 이후에 그 곳에 있는 포스터 같은 것을 가져가도록 허락해주었다.
2013년 중순 이후로는 이수 테마파크가 있었던 자리에는 회전초밥집인 스시마이우 이수역점이 들어서 있었다. 그 뒤 2016년 11월에 의정부&까치산 게임빌리지를 운영하는 곳에서 게임빌리지 분점을 연다고 발표했다.관련 링크 이렇게 해서 스시마이우가 철수하고 다시 새로운 오락실이 그 자리에 생겼다. 이 오락실의 전통을 계승하려는 듯, 게임빌리지 '''이수테마파크점'''으로 오픈했으나 2020년경 폐업했다.
12.14. 이수 게임빌리지
2016년 11월 26일에 오픈하였으며 과거에 그 자리에 있었던 구 이수 테마파크 게임랜드를 계승하려는 듯 지점 이름도 이수테마파크점으로 정했다. 새로 오픈한 오락실이지만 대부분의 기기는 천안 리듬플래닛하고 다른 게임빌리지 지점에서 가져왔다. 요일 이벤트도 했었다. 사운드 볼텍스는 노브 상태의 기복이 심하다. 어떤 날에는 굉장히 잘 돌아가지만 힘을 줘서 돌려야 할 정도로 뻑뻑한 날도 있었다.
매장 안의 기기들이 비좁게 붙어있고, 인파가 몰릴 경우 복잡하고 시끄러운데, 일부 기기에는 엠프가 설치되어 있으니 이어폰을 지참하여 플레이 하기를 권했다.
가성비가 매우 좋은 오락실이었다. 2000원 단위로 기기 대여를 할 시 150%의 코인을 넣어주고, 제한시간이 없다! 리겜으로 예를 들자면 한곡이 끝난뒤 리절트 화면부터 의자에 앉아 주야장천 쉬면서 여유로운 포토타임과 함께 시간을 질질 끌어도 된다. 타 오락실에서는 4000~6000원에 1시간 제한시간 안에 빠듯하게 끝내야 하지만 여기서는 그냥 1코인 모드로만 계속 진행하여 약 3시간 가량을 할 수 있다. 물론 사람이 많은 시간대에는 다음에 올 사람을 위하여 볼일이 끝났는데도 시간을 끌지는 말자.
2019년 6월 7일부터 빠른년생은 대학생이어도 규정상 밤 10시 이후 이용할 수 없었다.
2019년 9월 30일에 철권 6 2대와 리플렉 비트가 빠졌다. 그리고 하오데 스칼렛 던이 입고됨에 따라 여러 기기들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2019년 12월 경 철권 7이 빠지고 킹오파 2대가 입고되었다. 그리고 2019년 12월 19일에 유비트가 1대 빠지고 WACCA 1대가 입고되었다.
2020년 1월 15일에는 maimai DX가 1대 입고되었다. 기존에 있던 maimai FiNALE는 500원으로 할인하여 운영된다.
2020년 2월 4일에는 폐업한 까치산 게임빌리지에서 가져온 사운드 볼텍스 3대, 비트매니아 2DX 1대, 기타도라 기타,드럼 1대씩 추가입고되었다.
2020년 4월 19일에 maimai DX 방송기체 설치된 날에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기체가 6대에서 4대로 줄었다.
2020년 8월 8일 기준 기기배치가 일부 변경되었으며 리플렉 비트가 재입고되었다.
2020년 11월 1일까지 영업 후 폐업했다. #
12.15. 이수 윌랜드 코인노래방
- 보유 했던 기기
- 주니어 펌프 1대
- 렛츠 고 정글 1대 (미니 기체)
- 노래방 다수
12.16. 숭실대 숭실게임랜드
숭실대학교 중문 근처에 있는 오락실이다. 원래는 1층에 있었는데 2010년 무렵 1층엔 GS25가 들어가고 오락실은 지하로 옮겼다. 대학교 근처 게임장이지만 숭실대생이 아닌 일반 게임 유저들도 자주 찾아오기 때문에 한산함을 기대해서는 곤란하다. 하지만 주위 상권이 그리 발달하지 않아서, 학생들이 없는 주말이나 방학 기간에는 매우 사람이 없다.
리듬게임 주변에는 소리가 큰 기기가 없기에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적당한 시간때만 되면 폐관 수련에 매우 용이한 오락실이기 때문에 평소 가는 오락실이 대기 발암 등 여러 요소로 불편을 겪은 유저는 이곳에 와서 수련이 몰입하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대기도 한산하고, 방해되는 소음이 없기 때문에 집중이 매우 잘 되는 편이다.
2018년 5월 31일부로 영업을 종료했다. 그리고 일부 직원들과 기기들은 정인게임장으로 이동했다. 현재는 이 자리에 PC방이 들어섰다.
이 오락실에서 옮기지 않은 기기들은 다음과 같다.
- DJMAX TECHNIKA 3 1대: Cosmograph가 구매.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SD 기체)
- 드럼매니아 V7 1대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DX 기체 + LCD TV)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SD 기체 + LCD TV)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 3 2대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 부스형 노래방 16대 (슈퍼스타뮤직 부스 + TJ 질러 L30, 질러 C40, 질러 C50L, S60L): 정인게임장의 13대와 함께 폐기처분.
12.17. 사당 모펀게임센터
13. 마포구
13.1. 홍대 놀러와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어울마당로 55-1
- 위치: 홍대거리 상상마당에서 주차장거리를 따라 약 100m 전방에 있다.
- 보유 중인 게임
- 리듬 게임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LX 검은색 기체 + 4세대 발판, 상부 간판 제거, 1000원)
- 격투게임
- 철권 7 FR 4대
- 기타
- 리듬 게임
13.2. 상암 서울월드컵경기장 CGV 펀잇 (구 조이맥스)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240 서울월드컵경기장 2층
2016년 4월에 폐업하고 그 자리는 아이존 게임플렉스가 되어 있다가 그마저도 폐점하고 현재는 키즈카페가 되어 있다.
13.3. 상암 서울월드컵경기장 CGV 아이존 게임플렉스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240 서울월드컵경기장 2층
- 보유 했던 게임
- 리듬 게임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500원 / FX 기체)[78]
- 태고의 달인 12 1대 (500원)[79]
- 건슈팅 게임
- LA 머신건 1대 (5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500원, 일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000원, 컨티뉴 500원)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컨티뉴 500원)
- 렛츠 고 아일랜드 1대 (1000원, 컨티뉴 500원)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1000원, 컨티뉴 500원)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4 2대 (500원)
- 데이토나 USA 2 1대 (500원)
- 격투 게임
- 철권 6 2대 (500원)
- 철권 6 BR 2대 (500원)
- 고전 게임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500원)
- 메탈슬러그 4 1대 (500원)
- 버블 메모리즈 1대 (500원)
- 스노우 브라더스 1대 (500원)
- 기타
- 더 비시바시 1대 (500원)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500원)
- 히든캐치 3 1대 (500원)
- 컴온 베이비 1대 (500원)
- 에어하키 1대 (1000원)
- 농구 3대 (1000원)
- 부스형 노래방 5대 (500원 1곡, 1000원 2곡 / 엣지 부스 + TJ 질러 C40)
- 펀치 기기 2대 (500원)
- 인형 뽑기 9대 (500원~1000원)
- 스티커 사진기 2대 (6000원)
- 리듬 게임
2018년 7월, 상암 CGV가 메가박스로 바뀌면서 폐업. 이후 그 자리는 리모델링을 거쳐서 키즈카페로 바뀌었다.
13.4. 홍대 넷아레나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 8-3(서교동)
- 위치: KT&G 상상마당에서 홍익대학교 쪽으로 가다가 청춘싸롱 옆 골목으로 들어가면 바로 다음 건물에 나온다. 합정역 4번출구와 5번 출구 사이의 마을버스 정거장에서 마포 16번을 타고 로데오거리에서 내려 상술한 포차 옆 골목으로 가면 된다.
- 영업시간: 오전 12시 ~ 익일 오전 05시
- 가동 중인 게임
- 철권 7 20대 (500원 2크레딧, 트레저 박스 500원 3크레딧)
- EZ2AC : EVOLVE (500원, 신기판, 와이드 모니터,리파인기체)
- 드럼매니아 V8 (5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2(간판에는 1945-3가 붙어 있다)
- 뽑기 기기들
4월 20일에 신 태고의 달인 1대가 들어왔었으나 8월 14일부로 빠졌다. 빠진 자리에는 펌프 잇 업 프라임이 CX기체로 입고되었다가 다시 빠졌다. 이외 EZ2AC,드럼매니아도 입고되었다.
신촌 짱게임장이 오픈하고나서는 사볼이 그쪽으로 보내졌다.
7월 31일을 마지막으로 폐점했다.
13.5. 홍대 게임파크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80 B1~2층
- 위치: 지하철 6호선 상수역 2번 출구에서 와우산로를 따라 홍익대학교 정문 방향으로 직진해서 걸어가다 보면 찾을 수 있었다.
- 가동 했던 게임
- 리듬 게임
- 펌프 잇 업 PRIME 2 3대 (1층 / TX 기체 2대, 1000원 / 비트온 손펌프 1대, 500원)
- EZ2AC : NIGHT TRAVELER 1대 (지하 1층, LCD 모니터, 리파인 기체, Ver.1.81)
- 유비트 클랜 2대 (지하 1층)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2대 (지하 1층)
-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 1대 (지하 1층)
- 드럼매니아 V8 1대 (지하 1층)
- 태고의 달인 14 1대 (지하 1층)
- 건슈팅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1층)
- 레이징 스톰 1대 (1층)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층)
- 렛츠 고 정글 1대 (1층)
- 다크 이스케이프 4D 1대 (1층)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2층, 1크레딧 500원, 카드 사용불가)
- 격투 게임
- 철권 6 BR 2대 (지하 1층)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지하 1층)
- 철권 7 FR 2대 (지하 1층)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대 (지하 1층)
- 고전게임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 기타
- 리듬 게임
2018년 4월 기준 수리중 이라고 써있었으나 기기가 계속 빠지는 것으로 보아서 해당 건물은 철거되었다. 그리고 여기에 있던 펌프 1대, 비트온 1대, 이니셜D 2대는 오리 게임파크로 갔다.
13.6. 홍대 EXiT 액션
문서 참조.
14. 서대문구
14.1. 신촌 넷아레나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물길 40
- 위치: 신촌역 2번 또는 3번 출구에서 내려서 바로 앞의 연세로로 걷다가 명물길에서 우회전해서 쭉 직진하면서 2블럭을 지나면 나온다. 넷아레나 간판이 있긴 하나 크지 않은 편이므로 넷아레나 바로 옆에 있는 얼짱스티커사진 신촌점을 검색해서 찾아가는 게 편하다. 후술하는 짱오락실하고 같은 건물을 사용하므로 짱 오락실 간판으로도 찾을 수 있다.
- 영업시간
- 월 ~ 목: 오후 12:00 ~ 익일 오전 00:00
- 금 ~ 일: 오후 12:00 ~ 익일 오전 01:00
- 가동했던 게임
- 철권 7 3조 - 500원 2코인
14.2. 이대 와와게임장
- 위치: 다음 로드뷰
꽤 역사와 전통이 깊은 게임장으로, 댄스 게임 전성기였던 2000년대 초반에는 댄스 게이머들 사이에서 성지로 불릴 정도로 매니아 유저들이 많은 곳이었다. 그러나 리듬게임 전성기가 지나간 2000년대 중반 이후 새로운 게임기나 새 버전의 입하에 소홀해졌다. 그래서 문을 닫기 직전인 2007년까지도 3DDX, 파라파라 파라다이스, 댄스 댄스 레볼루션 3rd MIX, 키보드매니아, 펌프 구버전 등 구닥다리 리듬 게임들이 돌아갔다. 이런 점이 역으로 리듬게임 올드비들에게 관심을 끌었고, 특히 파라파라나 DDR는 전국에 손에 꼽을 정도밖에 안 남아있기 때문에 이들 게임을 즐기려는 유저들이 자주 찾아오곤 했다.
2007년 폐업했다.
14.3. 동교동 드림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로 5 다음 로드뷰
- 위치: 버스 노선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110, 270, 271, 273, 602, 603, 604, 721, 5714, 6712, 7016, 7611, 7713, 7720, 7726, 7727, 7728, 72번 중 하나를 타서 동교동삼거리 정거장에서 내리고 뚜레쥬르 쪽으로 횡단 보도를 건너면 나온다.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조
- 철권 6 BR 2조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1대
- EZ2AC : ENDLESS CIRCULATION 1대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 오래방 5대
- 드럼매니아 V3 1대
- 스트리트 파이터 4 1조
- MVS 게임 1조 (KOF 95 / KOF 98/ KOF 2000 / KOF 2002)
- KOF 98 UM 1조
- 타임 크라이시스 3 1조
- DDR SuperNOVA 2 1대
- 팝픈뮤직 20 판타지아 1대
오락실 내에 DDR,팝픈뮤직과 펌프의 동영상 녹화가 가능한 컴퓨터가 있다.
4월 5일자로 팝픈 입고가 확인되었다.
2014년 5월 30일자로 폐업하게 되었다. 간판을 새로 교체한지 채 몇달도 되지 않아 문을 닫게 된 것을 보니, 장사가 심하게 되지 않았던 걸로 추정된다.(게임센터 사장님과 폐업직전에 이야길 나누어봤는데 가게주인이 내쫓는 식이었음)
폐업 이후 DDR SuperNOVA2는 까치산 오신 청소년 오락실로 옮겨졌다가 상태 불량으로 인해 창고로 들어갔으나 폐기되었다.
14.4. 명지대 점보게임장
- 주소: 서대문구 명지대1길 2 네이버 거리뷰
- 가동했던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조
- 철권 7 2조
- 스트리트 파이터 2 1조
- 유비트 프롭 2대
- EZ2AC : EVOLVE 1.3c 1대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1대
- 리플렉 비트 VOLZZA 1대
- 드럼매니아 V8 1대
- 이니셜D ver.5 2조
- 타임 크라이시스 3 1조
- 더★비시바시 1대
- 동전노래방 4대 1곡 300원, 3곡 1000원 (TJ 질러 L30)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얼티메이트 매치 1조
-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 1대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1대
- 비트매니아 IIDX 22 PENDUAL 1대
대중교통편은 명지대입구에 서는 버스를 타면 된다. 7017, 7018[81] , 7021, 7611, 7612, 7713이 이 근처를 통과한다. 반면 지하철 연계는 별로 좋지 않은 편으로, 새절역 1번출구 정류장에서 7017, 7018, 7021을 이용하는 방법과 가좌역에서 7611, 7713을, 홍대입구역에서 7612번을 타고 오는 방법이 있다.
타 오락실에 비하면 규모는 작지만 있을 만한 게임은 다 있다. 철권 고수들도 다수 포진해 있다. 리듬게임을 즐기는 유저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 근처에 명지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가 있는 관계로 고등학생이 많이 보인다. 방과후 시간(오후 5~7시)에는 고등학생들이 북적거린다.
리듬게임류는 과거에는 전반적으로 기기 정비상태가 좋지 못했는데 최근에는 상당히 괜찮아졌다. 유비트는 청소도 깨끗이 하고 로컬플레이 설정을 하는 등 개선점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역시 가끔 먼지가 끼는 것은 어쩔수 없다. 기기 상태는 오른쪽보다 왼쪽이 더 좋은 편. 드럼매니아의 경우 하이햇이 자주 고장난다. 어느날 잘 먹히다가도 어느날 또 갑자기 안되고, 또 잘되다가도 어느날 또 안되고…의 순환이 반복되는중. EZ2DJ 과 마찬가지로 자주 고치긴 하는데 골병을 앓고 있는 듯. 그래도 무려 '''V6에 1크레딧 300원'''인지라 할 사람은 한다.
유비트를 비롯한 BEMANI 시리즈 게임들이 500원 주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500원짜리를 자주 바꿔야 하지만, 정작 오락실에 500원 주화 교환기가 없다. 지폐를 500원짜리로 바꾸려면 카운터에 문의하자. 사실 2007년 무렵까지만 해도 500원짜리 게임이 거의 없었는데, 리듬게임류가 대폭 보강된 2015년에도 500원짜리 교환기를 안 들여놓고 있다.
과거에는 화장실이 급하면 차라리 지하 피시방 화장실이나 명지대학교 경상관 화장실을 가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악취가 심하게 났으나 지금은 ~ 냄새 자체는 심하게 나지는 않는 편. 과거 압구정 조이플라자의 아성을 넘은 오락실 화장실계 원탑을 달리고 있었다. 여러 리듬게임 커뮤니티에서 이야기거리가 되었다[82] .
비트매니아 IIDX 20 tricoro가 정식발매되기 이전에 잠시 tricoro가 가동되었던 한국 내 유일한 오락실이다. 3월 3일에 가동이 시작되었지만 오랫동안 가동되지는 못했고, 다시 Lincle로 되돌아갔다. 이후 tricoro는 6월 24일 정발과 함께 다시 들어왔으며, 테크니카를 치우고 그 자리에 tricoro를 넣어 가동하였다.
2014년 10월, MBC의 예능 프로 우리 결혼했어요에 나왔다.사진
- 2015년 2월 기준, 드럼매니아가 V6에서 V8로 업그레이드 되고, DJMAX TECHNIKA는 BEAT CRAFT CYCLON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가 이용자가 적어 테크니카3으로 다운그레이드 시켜 사설 네트워크를 연결시켜놓은 상태다.
- 2015년 3월 쯤 이용자가 적어서 테크니카3가 빠졌다.[83]
14.5. 충정로 목마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39
- 위치: 충현동 자치회관 건너편 날아라분식 건물 지하에 있다.
- 가동 했던 게임
- EZ2DJ BErA 1대 200원
- EZ2DJ AEIC 1대 200원
- EZ2AC : ENDLESS CIRCULATION 1대 200원
- EZ2AC : EVOLVE 1대 300원
- EZ2AC : NIGHT TRAVELER 1대 300원 [84]
- BEATCRAFT CYCLON 1대 200원
- Sabin Sound Star 1대 200원 (올해금 카드 있음)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조 200원 3판 2선승제 2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3 오락기 위쪽에 킹오브파이터즈 11이라 쓰여있지만 막상 키면 이 게임이다. 200원 [85]
- 퍼즐버블
- 건버드 2
- 부스형 노래방 2대 500원 1곡
- 알 수 없는 기기 1대[86]
목마게임장은 규모나 입지만 놓고 보면 90년대 초 오락실을 보는듯한 후즐근한 내부 조경에 작은 규모까지 동네 오락실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조건에도 불구하고 멜티 블러드 및 EZ2DJ 등 일부 게임에 특화된 모습을 보여주어 특이한 수요층을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EZ2DJ의 기체 상태는 전국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좋았다. 덕분에 관련 동호회에서 주최하는 대회나 오프라인 모임 등이 이 오락실에서 개최되는 등 명실상부한 EZ2DJ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곳이었다. EZ2DJ 새 시리즈의 인컴 테스트가 이 게임장에서 개최된 적도 많았고, EZ2DJ의 신작이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입되는 곳 중 하나이기도 하였다. 또한 EZ2DJ의 형제뻘인 Sabin Sound Star를 폐업할 때까지 가동한 몇 안 되는 오락실이기도 하다.
2012년 4월 23일 폐업하였다가 5월 30일 부활하였다. 부활한 위치는 전에 충정로 중심부(?)에 있던 지하 오락실이었던 밀레니엄 게임장(?)[87] 이 있던 위치를 인수한듯 하다. 그리고 재개장 이후로는 멜티블러드 라인이 없어진것 같다.
단골 유저들이 매우 많은 곳이다. 무더운 여름날 사장님이 훈훈하게 수박을 서비스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밤 새워 EZ2DJ를 하고 나서 오락실에서 그대로 수면을 취하는 등, 일부 단골 유저들의 행태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
2016년 1월 28일 정식가동날에 맞춰서 EZ2AC: EVOLVE 2대중 1대가 EZ2AC: NIGHT TREVELER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016년 5월 12일 방송을 통해 폐업사실을 알렸다. 현재 그 자리는 교회선교부로 대체되었다.
14.6. 신촌 슈퍼게임장
- 주소: 서대문구 연세로 35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신촌역 2번출구 나와서 약 700m 직진. 할리스커피 맞은편에 위치.
- 영업시간: 오전 10시~오전 2시 (비정기적 휴무 있음)
- 가동중인 게임
- 철권 TT2 6조, 6BR 2조, TT 1조 7 1조
- 드럼매니아 V7 1대
- DJMAX TECHNIKA 3
- EZ2AC : ENDLESS CIRCULATION 1대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1대
- 부스형 노래방 4대
- 팝픈뮤직 20 fantasia 1대 (300원 3튠)
- 히든캐치 1대
- 스트리트 파이터 2 1조
- 스트리트 파이터 4 2조
- 스트라이커즈 1945 1 2대
철권 유저들의 매너는 전반적으로 평균 이상이고 금연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가 있어서 담배피는 모습은 찾을 수 없다. 그리고 고계급들이 카드를 꽂지 않는 문화가 있어서 노카드 유저인줄 알고 숫자단 카드를 꽂았다가 처참하게 발리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계급이 올라간다 → 다들 카드를 안 꽂기 때문에 카드 카운트만 올라가고 승단이 안됨 → 나도 카드를 꽂지 않는다 → 카드 유저가 더더욱 줄어든다는 기묘한 순환관계가 계속중이다.
철권6BR은 2조 남아있으며, 레버 상태는 중간 정도로 관리 상태가 아주 좋지는 않으나 패배의 원인을 레버에 돌리거나 진입장벽(…)을 느낄 정도는 아니다. 유동인구가 많은 신촌의 특성상 사람이 많이 몰리는 주말에 과거 철권을 잠시 즐겼던 사람들이 플레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기기 배치가 AABB 식이 아닌 ABAB 형태임에 주의!
EZ2AC는 근처 엔터와 다르게 300원이라는 강점이 있다. 옆쪽에 전원 스위치가 있으니 음파공격(뽂찡버그)이 발생하면 껐다 켜 주자.
TT2를 추가로 들이면서 계단쪽에 동전교환기와 정수기를 설치하였다. 400원 1크레딧이니 인력으로 교환은 아무래도 한계인 모양. 1천원→100원x10개 교환만 가능하여, 테크니카나 유비트를 할 거면 철권 인파를 뚫고 카운터까지 가서 교환해야 한다.
격겜 위주의 오락실임에도 의외로 팝픈뮤직이 있는데 상태가 굉장히 특이하다. 우선 200원에 3튠이라는 파격적인 가격도 가격이지만 2014년 5월 기준으로 소리가 굉장히 작아 옆에서 다른 게임이 돌아가고 있다면 음악이 절대 들리지 않고 기체 난이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는지 한 번 틀릴 때마다 배드 수가 2씩 카운트 된다. 즉, 한 번 틀릴 때마다 게이지가 2칸씩 까인다는 소리. 거기다가 uen 등의 해금곡이 해금되어 있지 않으니 주의.
2016년 5월에 폐업. 그 자리는 방탈출 전문점이 되어있다.
14.7. 신촌 엔터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물길 27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2호선 신촌역 3번 출구로 나와서 약 180m 직진.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돌아서 약 150m 전진하면 좌측에 보였다.
- 영업 시간: 11:00 ~ 23:30(기기정산일은 11시)
- 가동 했던 게임
- 유비트 큐벨 2대
- 펌프 잇 업 2015 PRIME 2대 (FX 기체 1대, TX 기체 1대)
- EZ2AC : EVOLVE 1대 (구기판 1.53)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2대
- 팝픈뮤직 éclale 1대
- 더★비시바시 1대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 철권 6 BR 2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3조
- 스트리트 파이터 4 1조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 터미네이터 살베이션 1대
- 틀린그림찾기 4 1대
- 동전노래방 6대 (금영 필통 400 1대, TJ TKR-900 2대, 질러 L20 1대, 질러 C30 1대, 질러 C40 1대)
- 농구게임 3대
- 핀볼 1대
- 태고의 달인 12 1대
- 신 태고의 달인 1대
- 틀린그림찾기 5 1대 (라이프 5개)
틀린그림찾기 시리즈 중에서 굉장히 레어한 틀린그림찾기 4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특기할 부분이었다.[88]
안다미로가 태고의 달인을 정발했기 때문인지 신 태고의 달인이 추가되었다! 1000원 3곡. 개인북채에 대해선 주인장이 까칠하게 군다. 너무 뾰족한 건 못 쓰게 한다고... 2015년 10월 17일 기준으로 1P 북채가 짝짝이이며 한 짝이 굵고 아름답다(...) 2P북채는 돌같이 단단하고 무겁지만 짝짝이가 아니다.
사운드 볼텍스 왼쪽 노브 상태가 심하게 좋지 않다가(고정대가 부러진듯) 2014년 10월에 노브를 수리한 듯하다!..는 다시 인식오류가 나는 듯하다.또 스틱게임 두개가 반출된 것이 확인 되었는데, 2016년 3월 기준으로도 왼쪽 노브가 매우 상태가 좋지 않았다. 조이스틱처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데 고렙곡에서는 노트와 노브의 텀이 짧기때문에 노브가 아래로 밀리게된다. 이렇게 되면 노브가 전혀 라고 할 정도로 돌아가지 않는다.
입구쪽에서 보이는 유비트가 코인을 잘 먹는편. 이럴 때는 직원을 부르자.[89]
사볼의 노브와 유비트 패널의 상태가 좋지 않았다.
2016년 4월 경 팝픈뮤직 신기체 1대가 들어오고 사운드 볼텍스 1대가 추가로 들어왔지만 팝픈은 소리가 아예 안들렸고[90] 사볼은 오른쪽 노브의 상태가 좋지 않았다.
모 카페 회원에 의하면 100원 5개를 500원으로 교환해 주지 않는다고 했다.
2016년 8월 10일에 뜬금없이 문을 닫았으며, 현재 그 자리에는 다이소가 입점해 있다. 펌프 잇 업 TX 기체가 대전 싱통방통에 들어왔음을 확인.
14.8. 신촌 짱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물길 40 B1층, 1층
- 위치: 착한돼지 신촌점이 있는 건물 1층과 지하 1층이다. 해당 건물 3층과 4층에는 락휴 코인노래방이 있어서 오락실의 코인 노래방을 갈 이유는 없다.
- 커뮤니티: 네이버 블로그
- 영업시간: 09:00 ~ 익일 03:00
- 보유 했던 게임
- 리듬 게임
- 유비트 페스토 2대 (라이트 500원/스탠다드 1000원/프리미엄 1500원)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 1대 (500원)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3대
- 리얼 제네레이터 1대[91]
- beatmania IIDX 26 Rootage 1대 (1000원 / 데모 사운드 ON / 1차 생산분 LG 모니터)[92]
- 팝픈뮤직 peace 1대
- DanceDanceRevolution A 1대 (500원)
- DANCERUSH STARDOM 1대 (1000원)
- GITADORA EXCHAIN 기타프릭스 1대
- GITADORA EXCHAIN 드럼매니아 1대
- 노스텔지어 Op.2 2대 (노멀 500원, 포르테 1000원) (지하 2대)
- 신 태고의 달인 1대 (500원/2곡)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1000원)
- 펌프 잇 업 XX 1대 (1000원)
- EZ2AC : TIME TRAVELER 1대 (LCD 모니터, 500원)
- 건슈팅 게임
- 타임 크라이시스 5 1대 (500원, 정발판, 한국어 번역, 진정한 흑막편 업데이트)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500원)
- 레이징 스톰 1대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 레이싱 게임
- 완간 미드나이트 맥시멈 튠 5DX 4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ZERO 4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DX 2대
- 격투 게임
- 일반게임
- 더 비시바시 2대 (정발판, 영문판 각 1대)
- 기타
- 리듬 게임
3월 31일(정확히는 4월 1일 오전 2시 마감 이후)폐업했다.# 투덱, 댄스러쉬, 사볼 등 다른 리듬 게임은 다른 짱오락실으로 매각되었다.
9월~10월에 걸쳐 기존 위치에 새로운 오락실이 들어섰으나 또 폐업했다.
14.9. 신촌 게임플라자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명물길 40 지하 1층 ~ 2층
- 위치: 신촌 지플렉스 거리 30m에 걸어가면 있다.
- 영업시간: ? ~ 오전 02:00
- 보유 했던 기기
- beatmania IIDX 27 HEROIC VERSE 1대 (1000원)
- 펌프 잇 업 XX 2대 (1000원, TX기체, LX기체, 4라이프)
- 비트온 2대 (1000원)
- 유비트 페스토 2대 (500원/1000원/1500원)
-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2대 (500원/1000원/1000원)
- 팝픈뮤직 peace 1대 (500원/1000원)
- 태고의 달인 14 1대
- WACCA 1대
15. 서초구
15.1. 반포동 센트럴시티 화성침공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76 센트럴시티 B1층
- 위치: 지하철 3, 7, 9호선 고속터미널역과 가까이 있는 센트럴시티 지하 1층에 있었다.
- 가동했던 게임
- 래피드 리버 1대
- 세가 렐리 1대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15.2. 강남 G팩토리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31
- 위치: 강남 펀시티 뒷편 먹자골목 거리에 있었다.
- 가동 했던 기기
- 신 태고의 달인 1대 1000원
- 인형뽑기들
- 펀치기기
- 사격게임
2018년 2월 일자 미상에 폐업확인. 그 자리는 카페가 되어있다.
15.3. 강남 펀시티
2016년 7월, 강남대로에 오픈했던 오락실이다. 2018년 11월 18일에 폐업.
15.4. 강남 플레이 타임
-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3
- 위치: 강남역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영화관인 메가박스 강남점 로비 근처에 있다.
- 보유 중인 기기
- 스트라이커즈 1945-2
- 람보
- 철권 6
- 히든캐치 5
- 타임 크라이시스 3
2015년 11월 기준 모든 기기가 철거되었다.
15.5. 방배 나노게임파크
2016년 12월에 방배역 인근에 있었던 오락실이었다. 2018년 12월경 폐업.
16. 성동구
16.1. 왕십리 비트플렉스 CGV G펙토리
-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비트플렉스 5층
- 보유 했던 기기
- 렛츠 고 정글 1대 (SD 기체)
- 오바게야시키 1대 (SD 기체)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터미네이터 살베이션 1대
16.2. 왕십리 비트플렉스 CGV 아이존 게임플렉스
-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비트플렉스 5층
- 위치: 지하철 2,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분당선 왕십리역과 연결된 비트플렉스 5층 CGV 안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부스형 노래방 2대 1곡 500원 2곡 1000원 (뉴짱 플러스 부스 + TJ B60 / 퀴즈모드)
- 다트 2대
- 사격 2대
- 손금 1대
- 스티커 사진기 1대
17. 성북구
17.1. 성신여대 게임팩토리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20길 29-15
- 위치 - 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 가동 중인 게임 (2017년 10월 5일 기준)
일자 미상에 폐업.
17.2. 성신여대 풀락게임장
- 주소: 서울 성북구 동소문로20길 37-12 네이버 거리뷰
하지만 기계의 라인업은 그렇게 꿀리지 않는 편으로, 유비트 코피어스 1대, EZ2DJ 1대, 철권 6 BR 1조,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조가 있다. 다만 유비트는 자주 간접인식이 일어나는 편이다.
2012년 1월에 그때까지 업그레이드 되지 않고 초기작으로 남아있던 리플렉 비트가 빠지고 철권 6 BR 1조가 태그2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012년 2월쯤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문을 닫았고 그 자리는 부동산이 되어 있다.
17.3. 성신여대 아이존 팝 (구 아이존 게임플렉스 신도림점)
- 주소
- 이전 주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 97 신도림 테크노마트 11층
- 현재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20다길 7
- 영업 시간
- 평일: 11:00 ~ 24:00
- 주말: 11:00 ~ 02:00
- 이용요금
- 평일 낯: 1시간 3000원
- 평일 저녁/주말: 1시간 4000원
- 보유 중인 기기
- 리듬 게임
- 비트온 PRIME 2 1대
- 펌프 잇 업 PRIME 1대 (DX 기체 + LCD TV + 3세대 발판)
- 태고의 달인 12 1대
- EZ2AC TT 1대
- 격투 게임
- 레이싱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 2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 2대
- 스피드 라이더 2 2대
- 슈팅 게임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DX 기체)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SD 기체, 영문판)
- 렛츠 고 정글 1대 (DX 기체)
- 렛츠 고 아일랜드 1대 (DX 기체)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SD 기체)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크라운 203 기체)
- 스트라이커즈 1945 II 1대 (뷰릭스 기체)
- 메탈슬러그 4 1대 (뷰릭스 기체)
- 액션 게임
- 버블보블 2대 (크라운 203, 뷰릭스 기체 각각 1대)
- 슈퍼 팡 1대 (뷰릭스 기체)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크라운 203 기체)
- 파이널 파이트 1대 (뷰릭스 기체)
- 퍼즐 게임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뷰릭스 기체)
- 캐주얼 게임
- 그레이트 비시바시 챔프 1대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 더 비시바시 1대
- 히든캐치 5 1대
- 해머 2 1대
- 두더지 잡기 1대 (정글 헌터)
- 너티 빈스 1대
- 스타볼 1대
- 스포츠 게임
- 농구게임 3대 (엔슛)
- 에어하키 1대 (패스트트랙)
- 다트 2대
- 악력기 1대
- 기타
- 노래방 5실 (TJ B65)
- 방탈출 1실
- 뽑기 1대 100원
- 리듬 게임
17.4. 안암동 안암게임장
- 주소: 성북구 안암로 73
- 위치: 서울 성북구 안암동 안암오거리 쪽에 존재. 고려대학교 이공계 캠퍼스 정문(통칭 노벨)쪽에서 걸어서 1~2분 거리도 채 안돼서 고려대생이 자주 찾았다.
- 영업시간: ~00:30
- 가동 했던 기기
- 철권6 6대
- DJMAX 테크니카 2
- 유비트 니트 2대
- EZ2DJ 7th 3.
- 드럼매니아 V8
e-amusement 서비스 오락실 중 하나이며 유비트 패널의 상태는 다소 좋지 못하나 이니셜 D(3rd)옆의 기계는 얼마전에 패널을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동전은 100원짜리만 쓴다.
2011년 6월 24일 영업을 끝으로 폐업했으며, 그 자리에는 커피 전문점인 커핀그루나루를 거쳐, 현재는 버거킹이 들어서 있다.
17.5. 안암동 조이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인촌로24길 60 지하 1층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6호선 안암역 4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으로 간 다음 우회전해서 쭉 가면 안암로터리가 나오는데, 삼성통닭 건물 지하 1층에 있다.
- 전화번호: 02-922-3850
- 가동 했던 게임
- 리듬게임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500원 / FX 기체)
- 펌프 잇 업 2011 FIESTA EX 1대 (300원 / SD 기체 + LCD TV / 1p 발판상태 최하, 2p 봉상태 최하)
- EZ2DJ AEIC 1대 (300원 / 상태 최하 / 2p 페달에는 믹스마스터#s-3 로고 있음)
- 네오드럼 1대
- 건슈팅 게임
- 건블레이드 NY 1대
- 레이싱 게임
- 세가 렐리 챔피온쉽 1대
- 대전액션게임
- 철권 6 BR 5대
- KOF 97, 98, 2000 각각 1대
- 일반게임
- 슈퍼슬램 1대
- 테크모 월드 사커 1대
- 동계올림픽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 포트리스 1대
- 기타
- 부스형 노래방 10대 (탑 온 더 뮤직 부스 / 200원 1곡, 1000원 4곡 / TJ C70)
- 농구 1대
- 인형뽑기들
- 리듬게임
2018년 10월에 폐업했으며 동전노래방으로 바뀌었다.
17.6. 안암동 모 오락실 2곳
하나는 청년다방 (서울 성북구 안암로 77)에 있었고 여기엔 1980년 즈음에 전자오락기가 나오기 전에 구식의 탈곡기를 연상케 하는 기계식 레이싱 오락기[98] 와 그림 4장이 랜덤하게 불이 켜지면 M60을 축소해 놓은 듯한 모형총으로 표적을 쏘는 일종의 건슈팅 게임기가 있었다. 잠시 동안 이들 구형 게임기와 최신의 갤러그가 함께 놓여있기도 했었다.(갤러그가 당시에 1판에 50원) 그리고 좀 더 개운사 쪽으로 올라가서 안암역 2번 출구 근처 (서울 성북구 고려대로 95 근처) 에 있던 오락실에는 비슷한 시기에 최초의 전자게임인 퐁이 있었다.
18. 송파구
18.1. 잠실 롯데월드 게임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롯데월드 B3층
또, 같은 층에 있던 게임프라자에 비해 라인업도 떨어졌었다. 그러다가 2012년 5월 ?일에 볼링장과 함께 폐업했으며, 현재 그 자리는 뽀로로파크가 되어 있다.
18.2. 잠실 롯데월드 버츄얼 게임타운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롯데월드 1층
18.3. 잠실 롯데월드 웨스트 아케이드
[image]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 롯데월드 1층
현재는 기기가 모두 철거되고 그 자리에 어린이 범퍼카와 드래곤 와일드 슈팅이 들어서 있다.
18.4. 잠실 롯데월드몰 롯데시네마 큐브존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몰 엔터테인먼트동 5층
- 위치: 지하철 2,8호선 잠실역 1,2번 출구와 연결된 롯데월드몰 엔터테인먼트동 5층 롯데시네마 내에 있다.
- 보유 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TX 기체)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1대 (DX 기체)
- 렛츠 고 정글 1대 (DX 기체)
- 뽑기 2대
18.5. 오금동 명랑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로7길 10
- 위치: 오금동 근처에서 유명한 빌딩 나루빌딩 지하 1층에 존재했었다.
- 가동했던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3 1대
- 슈퍼슬램 1대
- 테크모 월드컵 98 1대
- 천지를 먹다 II 1대
- 스트리트 후프
18.6. 송파 토탈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 168 지하 1층
- 위치: 지하철 8호선 송파역에서 송파사거리까지 가서 우회전한 뒤 약 300m 정도 가면 있었다. 인근 버스정류장으로는 한양공원 정거장 바로 앞, 송파2동한양아파트 정거장 길 건너편이며 버스 2311,3314,3417이 정차한다.
- 가동 했던 게임
- EZ2DJ AEIC 1대 300원
- EZ2DJ BErA 1대 300원
- EZ2AC EC 1대 300원
- 드럼매니아 V7 1대
- 기타프릭스 V3 1대 (꺼졌었음)
- 메탈슬러그 3 1대 (6 해킹판)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3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2 플러스 1대
- 라이덴 파이터즈 1대
- 건버드 2 1대
- KOF 97 1대
- KOF 98 1대
- 철권 6 BR 2대
- 부스형 노래방 10대 1000원 10분(시간전용),500원 1곡(동전전용) (금영 KMS-Q300 3대 - 시간전용 1대/동전전용 2대, TJ 질러 C45 1대 - 동전전용, C60 6대 - 시간전용 4대, 동전전용 2대)
- 펌프 잇 업 NX2 2대 (주니어 손펌프)
- D&D: SOM (합본) 1대
참고로, 동네 양아치들이 많이 몰리는 곳이기도 했다.[99] 항상 오락실 옆에서 무리지어 담배를 피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인근 학생들에게 유명했던 곳이다.
2017년 8월에 폐업. 그 자리는 악기 연습실이 되어있다.
18.7. 잠실 플레이그라운드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7길 43 잠실빌딩 1, 2층
- 위치: 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 4번 출구에서 직진. 롯데리아와 맥도날드 사이에 있는 좌측 큰골목에서 직진. 잠실성당 앞 사거리에서 좌측 큰골목에서 직진. 버스를 이용한다면 '신천역 4번출구' 에서 내리면 됨. 혹은 9호선 종합운동장역 9번 출구로 나와서 잠실새내역 방향으로 조금 걸어가도 된다. 맥도날드 왼편 골목으로 들어간 뒤 아이누리한의원을 지나 GS25 편의점이 나오면 좌회전해서 들어가면 나온다. 신천 뿅뿅게임랜드 맞은 편에 있다.
- 영업 시간
- 월,화,수,목,일 - 10:00 ~ 익일 05:00 (손님이 없을 경우 3,4시 폐점)
- 금,토 - 10:00 ~ 익일 06:00
- 가동중인 게임
- 1층
- 인형뽑기류 (소형 1회 500원 / 중형 1회 1000원)
- 타격기 싸커킥 외 펀치 류 (2회 500원 4회 1000원)
- 스파링 타격기 (1회 1000원)
- 스티커사진기 (6000원)
- 2층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 2대 (1000원)
- 완간 미드나이트 5DX+ 4대 (1000원)
- 스피드 라이더2 2대 (10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500원)
- 철권 7 FR (500원, 넷 연동o)
- 태고의 달인 14 (1000원/2곡)
- EZ2AC : TIME TRAVELER (500원)
- EZ2AC : NIGHT TRAVELER (500원 2크레딧)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 (500원 2크레딧)
- 펌프 잇 업 PRIME 2 2대 (TX기체 1대, LX기체 1대 / 5라이프 / 1000원)
- 히든캐치 5 (4라이프 / 1헬프 / 2스톱 / 1000원)
- 고전게임 합본 4대 (500원)
- 부스형 노래방 4대 (금영동전노래방 부스 / 500원 1곡, 1000원 3곡 / TJ B70 / 2016년 12월 1일 수록곡까지만 있음)
- 두더지 게임 (500원)
- 아이스하키 (1000원)
- 농구대 3대 (1000원)
- 피닉스다트 5대 (1크레딧 500원)
- 사격장 6석 (2000원)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1000원)
- 데드스톰 파이레츠 스페셜 에디션 1대 (1000원)
- 더 비시바시 1대 (500원)
- 트랜스포머 휴먼 얼라이언스 SD 1대 (1000원)
- 건블렉스 1대 (1000원)
- 천방지축 스메커 1대 (1000원)
- 1층
500원 주화로 통용되어 있는 오락실이며 해당 상호의 1호점이다. 넓직한 공간이 장점인지 주말에 사람이 북적거려도 좁다는 느낌을 전혀 받지 않는다.
2018년 12월에 폐업했다.
18.8. 장지 가든파이브 CGV 조이박스
-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충민로 66 가든파이브 영관 10층
19. 양천구
19.1. 목동 행복한백화점 메가박스 탑게임 (구 게임포토)
[image]
-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309 행복한백화점 6층
- 위치: 지하철 5호선 오목교역 2번 출구에서 좀 떨어져 있는 행복한백화점 6층 메가박스 안에 있었다.
- 영업시간: 백화점 영업시간과 동일.
- 전화번호: 02-6678-3666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2 1대 1크레딧 500원 (DX 기체 + LCD TV / 2.05.0 버전 / 상태 매우 불량 / 화면 변색 / 1P 오른쪽 아래 발판 깨짐)
- 팝픈뮤직 20 fantasia 1대 1크레딧 500원 (초기, 일본 직수 기체 / 상판에는 18 전국열전으로 되어 있음 / 데모 사운드 ON)
- 레이징 스톰 1대 1크레딧 500원 (SD 기체, 국내 정발판)
- 타임 크라이시스 5 1대 1크레딧 1000원, 컨티뉴 500원 (국내 정발판)
- 렛츠 고 정글 1대 1크레딧 500원 (DX 기체)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1크레딧 500원
- 다크 이스케이프 1대 1크레딧 1000원, 컨티뉴 500원 (일본 직수 기체)
- 완간 미드나이트 멕시멈 튠 3 4대 500원 (1대는 화면 변색 / 카드 사용 불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3 2대 500원 (화면 변색, 카드 사용 불가)
- 크루즌 블래스트 4대 1000원 (SD 기체)
- 철권 6 BR 2대 500원 (일본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500원 (아타리 테트리스, 퍼즐보블 2 기기 개조)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500원 (일본판)
- 월광보합 4 (합본) 3대 500원
- 더 비시바시 1대 500원
- 농구 1대 1000원 (비트 앤 덩크)
- 에어하키 1대 1000원 (슬랩 샷 스트라이크)
- 너티 빈스 1대 1000원
- 펀치 2대 500원
- 킥 1대 500원
- 뽑기 7대
- 디노헌터 1대
- 두더지 잡기 1대 1000원 (두더지 팡팡)
- 오버 더 탑 (팔씨름) 1대 1000원
- 부스형 노래방 4대 500원 1곡, 1000원 2곡 (엣지 플러스 부스 + TJ C60 II)
- 스티커 사진기 3대
20. 영등포구
20.1. 영등포 판타지아 게임랜드
- 주소: 영등포구 영중로4길 16 네이버 거리뷰
- 가동했던 게임
- DJMAX TECHNIKA 3 1대 (플래티넘 크루 대응) (500원)
- 유비트 소서 1대 (e-amusement 대응) (500원 1크레딧 3튠)
- 리플렉 비트 콜레트 1대 (e-amusement 대응) (500원 1크레딧 3튠)
- 사운드 볼텍스 부스 1대 (e-amusement 대응) (500원)
- 철권 6 BR 3조 (300원/5판3선승)
- 펌프 잇 업 2013 FIESTA 2 1대 (SD)
- 펌프 잇 업 EXTRA 1대 (SD)
- 더★비시바시 1대
- EZ2DJ AEIC 1대, EZ2DJ 6thTRAX ~Self Evolution~ 1대 [100]
- 드럼매니아 V3 1대, 5thMIX 1대
- 버추어 캅 3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2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이니셜 D Ver.3 1조
- 틀린그림찾기 5 1대
- 부스형 노래방 9대 (TJ MR-850F A형 8대, 질러 C30 1대)
철권, 리듬게임들 못지 않게 범용 기체를 사용하는 고전게임의 기기들 수가 장난이 아니게 많았다. 또한 게임장이 넓다보니 위에서 서술했듯이 다양한 게임을 가동했다. 2D격투도 KOF 시리즈를 위시해 라인업이 충실한 편.
카운터 앞에 커다란 소금덩어리가 있었다. 리플렉 비트가 들어오기 전부터 있었던, 이 오락실의 터줏대감이었다고. 실제로 들어온 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이것을 맛봤던 유저에 따르면 정말로 짠 맛이 난다고. 폐업 때까지 계속 남아있었는데, 처음에는 30 센티미터 이상이었으나 폐업 무렵에는 10 센티미터까지 줄어있었다고 여겨진다. 오락실 내부의 먼지와 호기심에 만져보는 여러 사람의 손때로 인해 위생 상태는 매우 불량했다고. 왜 오락실 카운터에 소금 덩어리를 갖다놓았는지는 영원히 풀리지 않을 미스터리가 되었다. 해당 소금은 아주머니가 선물 받으신 물건인데 오락실에서 중요하게 여기시는 물건 중에 하나였다.
또 종종 갈때마다 아주머니께서 과일 같은 것들을 깎아서 주었는데 리듬게임 하다가 받게되면 참 묘하다.
2013년 4월 말에 폐업한 뒤 고깃집이 들어섰다가 2017년 12월에 G2존이 들어섰다.
이후 유비트는 떠돌다 울산 게임사령부에 정착했다.
20.2. 대림 환상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디지털로 445 다음 로드뷰
격투 게임은 인접한 그린 오락실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이 오락실은 리듬게임에 특화되었다. 특히 종로3가 라스베가스 오락실과 함께 서울에서 DJMAX TECHNIKA 3를 300원에 즐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업소 중 하나였다. 테크니카 외에도 Sabin Sound Star, 펌프 잇 업 FIESTA, EZ2DJ 7th TRAX, 네오드럼X도 가동되고 있었다. 가격도 다른 오락실에 비해 매우 저렴한 편이었다.
주인 할아버지가 온화하시고 붙임성도 좋으셔서 오락실에 오는 게이머들과 담소를 나누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다. 가끔 사람 없을 때 혼자 게임하고 있으면 음료수를 찔러주시고, 딱 한번 같이 온 친구도 안부를 물어주시는 등 친해지면 굉장히 좋았다고 전해진다. 이 주인 할아버지가 기계들을 잘 관리하기 때문에 리듬게임들의 상태는 모두 상당히 양호한 편. 특히 펌프 잇 업의 경우는 일부러 멀리서 찾아와서 플레이하는 사람들도 많을 정도. 상대적으로 인기가 시들한 펌프 잇 업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는 몇 안되는 오락실 중 하나.
오락실 곳곳에 붙어 있는 주인 할아버지의 안내문이 상당히 인상적. 금연 등 일반적인 내용부터 오락실에서 책 읽지 마라라는 내용까지 다양하다. 주변 주택가에서 무개념 고등학생들이 많이 찾아오느라 덕지덕지 붙게 된 경고문들인데, 책 같은 경우 이전에 옆 건물에 만화 대여점이 있어서 고딩들이 오락실에 책을 빌려갖고 들어와서 읽었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 때문에 붙게 된 경고문. 금연이야... 뭐...
환상오락실에 갈 경우, 주의사항 3가지.
스타크래프트가 한창 유행하던 시절엔 100원에 10분 형식의 가격으로 PC를 4대 설치해서 스타크래프트를 즐길 수 있었다(!!!) 당연히 배틀넷은 지원되지 않았지만 IPX 등을 통해서 멀티플레이는 즐길 수 있었다.
그러다가 2011년 5월 리듬게임 기기가 모두 철거되는 것을 시작으로 폐업했다. 그 자리에는 도박 게임을 돌리는 성인 피시방이 생겼다가 어느 날 이 역시 문 닫았으며 현재는 약국이 들어서 있다.
20.3. 신길동 게임랜드
- 주소: 영등포구 영등포로 382 네이버 거리뷰
그러다가 2012년 1월에 알 수 없는 이유로 폐업했으며, 예전에는 오토바이 가게가 들어섰다가 2014년부터는 음식점이 들어서 있다.
20.4. 대림 극동빌딩 전자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천로 437 극동빌딩 B1층
- 위치: 극동빌딩 B1층 아케이드 내에 있었다.
- 가동 했던 게임
20.5. 당산 청소년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63, 지하1층 다음 로드뷰
- 폐업: 2000년도
- 가동했던 게임
일반 스틱게임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한편에는 슬롯머신 등 성인용 게임기 공간이 따로 있었다.
KOF 97이 새로 들어올 당시 발디딜 틈 없이 붐볐던 적이 있었다.
20.6. 당산 제일 오락실
- 주소: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19, 지하1층 다음 로드뷰
- 폐업: 1999년도
- 가동했던 게임
20.7. 당산 펌프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163, 1층 다음 로드뷰
- 개업: 2000년도
- 폐업: 2004년도
- 가동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The O.B.G. -The Season Evolution Dance Floor- 4대
- EZ2DJ 3rdTRAX ~Absolute Pitch~ 1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대
- KOF 2002 1대
- 미션 크래프트 1대
- 포트리스 2 블루 아케이드 1대
- 기타 스틱게임 약 5대
20.8. 당산 원더파크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45길 13 2층 다음 로드뷰
- 폐업: 2006년도
- 가동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THE PREX 3 1대[101]
- KOF 97 1대
- KOF 98 1대
- KOF 2002 1대
- KOF 2003 1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3대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 Hoops '96 1대
- 던전 앤 드래곤 섀도 오버 미스타라 1대
- 틀린그림찾기 1대
- 포트리스 2 블루 아케이드 1대
- 테크모 월드컵 98 1대
- 기타 스틱게임 약 15대
90년대 후반까지는 이곳이 특히나 잘 나갔던 걸로 보인다. 사격, 레이싱 등 체감형 게임들이 즐비했으며 전용 카드를 이용한 요금 지불 시스템[102] 같은 것도 갖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게임장도 PC방 붐을 거치며 카드 시스템이 어느 순간 없어졌고 대형 게임기들의 자리를 점차 스틱게임기가 대신 하면서 갈수록 오는 사람만 오는 썰렁한 곳이 되어버렸다.
20.9. 대림 그린게임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로 198 2층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2, 7호선 대림역 8,11번 출구로 나가서 쭉 가면 보였다. (153 교회 건물)
- 보유 했던 기기
- 철권 7 FR 24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 유비트 페스토 1대 (500원 3튠, 라이트 1/스텐다드 2/프리미엄 3) - 이어폰 단자 설치
-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1대 (500원 3튠)
-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 1대 (500원 3튠) - 이어폰 단자 설치
-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 1대 (500원 3튠) - 이어폰 단자 설치
- beatmania IIDX 25 CANNON BALLERS 1대 (사제모니터+스피커)[103] - 이어폰 단자 설치
- BEATCRAFT CYCLON 1대
- 부스형 노래방 1대 (뉴짱플러스 부스 + TJ 질러 C30)
리듬 게임도 기기상태는 매우 좋았다. 유비트는 녹화가 가능하지만 철권소리가 너무 커서 녹화해도 소리는 잘 안 들렸다. 사장님께서 기기 수리에 굉장히 박식하셔서 기기에 대한 하자를 말씀 드리면 빠른 시일내에 고쳐주신다. 여담으로 철권 프로게이머로 유명한 무릎 배재민 선수가 철권 개인방송을 했던 곳이였다. 2015년 1월 28일부터 진행했으며 가장 안쪽에 위치한 기기에서 플레이중이었는데, 사장님이 여러가지로 배려를 해주셔서 옆에 별도로 방송용 컴퓨터를 설치했다. 보통 무릎은 저녁에 방송하는 경향이 강해서 그 외의 시간엔 일반 손님도 사용이 가능하며, 당연히 방송이 없는 날에도 동일하다.
그 뒤 안타깝게도 2018년 10월 9일 폐업했다. 관련 기사, 이 오락실의 단골이었던 무릎의 트위터 글 철권 7 가정용 판이 출시된 이후 철권을 하러 매장을 찾는 게이머들의 수가 급감한 것이 가장 큰 이유. 가정판은 일단 게임과 프리패스만 구입하면 한 판 하는데 돈이 안들어 가지만, 아케이트판은 몇 백원씩 꾸준하게 들어가 결과적으론 많은 돈이 깨지니 게이머들이 전자를 찾을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돼서 그렇다.
특히 캐릭터간 밸런스 패치가 엄청 많이 된 시즌 2 업데이트가 아케이드에 적용되지 않아 더더욱 플레이할 이유도 사라져버려 경영난이 꽤나 심각했다고 한다.[104] 이런 상황에 입주한 건물의 주인이 바뀌면서 임대료를 올리고, 건물 리모델링으로 몆 달동안 영업 불가 등의 악재가 겹쳐서 폐업 결정이 내려졌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철거 공사를 하면서 그린게임랜드 소속으로 대회에 나간 유명 게이머들이 전시용도로 빌려준 트로피와 메달 대부분이 버려졌는데, 사장이 닌의 방송에 직접 출연해서 '''젊은 사람들에게 과거를 잊고 새 출발하자는 마음으로 버렸다. 오히려 가져가신 분들이 고맙다고 느낀다.'''라는 충격적인 발언을 해서 철권 커뮤니티를 경악에 빠트렸다. 거기다가 이 오락실에 걸린 무릎의 액자를 오늘 안에[105] 안 가지고 가면 버리겠다는 발언은 덤. 뿐만 아니라 샤넬의 우승 판넬도 거리에 그냥 버려져 있었다고 한다. 다행히 무릎과 샤넬의 지인들이 최대한 물건들을 챙겨줬고 소속 게임단인 Rox 측에서도 혹여나 가져간 분이 있으면 돌려줄 것을 정중히 부탁하는 공지문을 올렸다.
그린의 업적을 정리하면서 트로피 사건을 다룬 영상.
한마디로 네임드 오락실이었지만, 마무리를 영 좋지 않게 해서 공과 과가 극명하게 갈리는 탓에 뒷말이 많다. 폐업 이후 해당 자리에는 사진관이 들어섰다.
이후 2020년 7월 31일 디시인사이드 콘텐츠랩 갤러리의 북한 관련 기사에 뜬금없이 평양 대성백화점 내부라며 그린게임랜드의 유비트 소서 사진이 올라왔다. (본문 중 마지막 사진)@
20.10. 영등포 플레이박스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중로4길 25-1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PRIME 1대 1000원 (TX 기체)
- 부스형 노래방
- 다트
- 펀치 2대 (외부)
- 스티커 사진기 1대 (외부)
- 킥 1대 (외부)
- 뽑기 기기 소수
20.11. 영등포 롯데시네마 팡팡존 (구 탑스탑스)
[image]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시네마동 7층
- 영업시간
- 일, 월~목요일: 09:00 ~ 21:00
- 금, 토요일: 09:00 ~ 22:00
- 보유 했던 기기
- 펌프 잇 업 FIESTA 1대 500원 (FX 기체, 1.04 버전)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DX 기체, 일본어판)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500원 (SD 기체, 일본어판)
- 렛츠 고 정글 1대 1000원 (DX 기체)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 3 2대 500원
- 스피드 라이더 2 2대 1000원
- 철권 6 BR 2대 500원
- KOF 97 1대 500원 (상판은 테크모 월드컵 98)
- 퍼즐보블 1대 500원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5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5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II 1대 500원
- 스트라이커즈 1945 III 1대 500원
- 죠&맥 리턴즈 1대 500원
- 더 비시바시 1대 500원
- 히든캐치 5 1대 500원
- 농구 2대 1000원 (비트 앤 덩크)
- 에어하키 1대 1000원 (패스트트랙)
- 사격 1대 1000원
- 뽑기 17대
- 부스형 노래방 2대 1곡 500원 2곡 1000원 (엣지 플러스 부스 + TJ S70F, 퀴즈모드)
- 스티커 사진기 1대 5000원
21. 용산구
21.1. 서울역 게임시티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91 3층 다음 로드뷰
- 커뮤니티: 다음 카페
- 가동 중인 게임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0대 (300원,5선 3승제)
- EZ2AC : EVOLVE 1대(300원)
- 유비트 프롭 2대(500원, 3튠) (이어폰 사용가능)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2대(500원, 3튠 이어폰 사용가능)
-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3대(500원)
- 비트매니아 IIDX 22 PENDUAL 2대
- 동전노래방 2대 (1곡 300원·4곡 1000원)
-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 2대
- DDR 2014 1대
- 신 태고의 달인 1대
- 기타 게임들
서울역 14번 출구 바로 앞 건물 3층에 있다. 원래 기차역 쪽으로 더 가까웠으나 2012년 7월 28일 센트럴 플라자 3층으로 옮겼다. 치과가 있던 자리에 기계들을 넣었는데 보다 넓어지고 쾌적해졌으며 음료수 자판기도 있다.
있는지도 없는지도 모르는 오락실이었으나, 철권 TT2가 발매되자마자 기기가 5조씩[106] 이나 들어와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원체 장소도 협소한데다가 라이브 모니터까지 들어오는 바람에 게임기 수는 상당히 적다. 가뜩이나 좁은 곳에 철권이 8조나 있으니 얼핏 보면 철권만 있는 오락실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장소가 좁은 만큼 가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오락실. 알바와 손님이 서로 담소를 나누며 게임을 하거나, 구경을 하는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또 오락실에 손님이 들어오면 알바가 직접 커피를 대접해주기도 한다.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가 있고, 분실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하는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무료 사물함도 운영하고 있는 등 유저들의 편의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 곳.
다만 서울역 주변이라 노숙자가 상당히 많은데다가 상당히 슬럼화가 진행되어 있다. 출구부터 오락실까지 50m 정도의 거리에도 십여 명의 노숙자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가게 유리문에는 노숙자들의 출입을 불허하는 뉘앙스의 안내문이 붙어 있을 정도. 특별한 위협은 없으나 뭔가 찝찝한 건 어쩔 수 없다. 그리고 역 출구부터 상당히 찌린내(…)가 풍겨오므로 각오하고 갈 것. 회원 전용 휴게실에는 안마 의자도 있다.
카드 충전시 1,000원 기준으로 100포인트씩 회원포인트가 적립되며 포인트를 사용 할 수 있는건 다음과 같다.
사운드 볼텍스 (우측 기계) 1,000포인트 1크레딧
회원 전용 공간 PC (총 3대) 100포인트 15분
PS3판 철권TT2(스틱 2조) 100포인트 10분
안마의자 (총 2대) 100포인트 20분
2015년 4월에 철권을 5조 남기고 빼고서는 리듬게임 중심으로 오락기를 재배치하였다. 게임마다 칸막이를 설치해놔서 태고의 달인, DDR을 빼곤 모든 게임 사이에 칸막이가 생겨서 오락기가 많은데에 비해서 플레이중인 게임의 소리가 잘 들리게 되었다. 사진 참조
2015년 7월 1일, 네트워크가 끊김과 동시에 폐업했다. 현재 그 자리는 공실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21.2. 숙대 영스타 게임장
숙대입구역 6번 출구 남쪽 방향에 있었던 오락실. 원래는 어뮤즈월드에서 개발한 릴게임인 '진돗개'를 잔뜩 들여놓은 성인 게임장이었는데 진돗개가 망하는 바람에... 이 오락실이 리듬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게 된 계기는 EZ2DJ 7thTRAX ~Resistance~의 필드 테스트였다. 이후 기타 11/드럼 10 세션, 펌프 NX2, EZ2DJ, 태고의 달인 등 화려한 구성을 자랑하는 게임장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남영역, 숙대입구역, 버스 정류장 등 교통 시설과 가깝고 인근 상권도 활발한 편이라 잘 될 것 같았지만 불미스럽게도 도난 사건이 발생하면서 2008년 5월 문을 닫았다.
참고로 수원에 있었던 짱오락실이 이 오락실의 후계다.
21.3. 용산 아이파크몰 CGV 펀잇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23길 55 아이파크몰 7층(패션관)
- 위치: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중앙선 용산역과 연결된 아이파크몰 7층 CGV 용산 내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게임
- 태고의 달인 12 1대[107]
- 펌프 잇 업 FIESTA 2 1대 (FX 기체)
- 애프터 버너 클라이맥스 2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6 더블 에이스 2대
- 세가 레이스 TV 2대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오바케야시키 1대
- 레이징 스톰 1대 (일본 내수판)
- 렛츠 고 정글 1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대
- 철권 6 BR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2대 (페어 플레이 모드 가능)
- 틀린그림찾기 5 1대
- 더 비시바시 1대
- 하이퍼 비시바시 챔프 1대
- 버블 메모리즈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2 1대
- 부스형 노래방 2대 (1000원 5분 / 센스-2 부스 + TJ 질러 C50L)
- 농구게임 3대
- 스타볼 1대
- 하키 1대
21.4. 용산 전자랜드 극장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74
21.5. 숙대입구 짱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277-1 1~2층
- 위치: 숙대입구역 7번출구에서 남영삼거리 방향으로 80M 정도 직진하면 보인다. 남영역과 숙대입구역 중간쯤내에 있었다.
- 보유 중인 기기
- 1층
- 인형 뽑기 다수
- 2층
- 다트 2대 게임당 천원
- 비트온 2대
- 더 비시바시 1대
- 철권 7 FR 4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1대
- KOF 2002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1대
- 스노우 브라더스 2 1대
- 퍼즐보블 1대
- 1층
22. 은평구
22.1. 구파발 롯데몰 브릭스 펀랜드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050 롯데몰 은평 4층
- 위치: 롯데몰 은평 4층 식당가 근처에 있었다.
- 영업 시간: 10:30 ~ 22:00
- 보유 중인 게임
- 펌프 잇 업 2015 PRIME 1대 (1000원 / TX기체 / V1.22.0 / 오프라인 / 5라이프 90초 3스테이지 브렉오프)
- 아이엠스타 5대
- 비트온 1대 (1크레딧 1000원)
- 렛츠 고 아일랜드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5 2대
-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2 2대
- 철권 2대
- 아타리 테트리스 1대
- 버블 메모리즈 1대
- 히든캐치 5 1대
- 농구게임 3대
- 두더지 게임 1대
- 다트 2대
- 에어하키 1대
- 너티 빈스 1대
- VR 3대
- 뽑기 4대
- 부스형 노래방 3대
22.2. 연신내 넷아레나
-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855-16 (갈현동)
- 위치: 연신내역 6번출구에 나와서 오른쪽 골목으로 들어가면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 2층에 있다.
- 가동 했던 게임
- 철권 7 12대 (500원/2코인)
철권7을 하고 싶지만 홍대 넷아레나나 일산 정발산에 있는 게임장까지 거리가 멀어서 가기 힘들었던 철권 유저들에게는 매우 희소식. 레버 버튼 상태는 모두 새 기기인 만큼 매우 양호한 편이라는 듯.
그런데 12월 중순 경부터 아무런 공지도 없이 문을 닫아버렸다(...) 심지어 게임짱파크가 물가인상을 핑계로 철권 7의 가격을 500원/1코인으로 올려버려서, 은평구의 철권 유저들은 이제 홍대 넷아레나를 가는 실정. 참고로 최초로 문을 닫은 넷아레나 분점 되시겠다(...)
22.3. 은평 이마트 일렉트로 게임
이마트 은평점 7층 일렉트로마트에 있는 오락실로 리듬게임은 펌프 잇 업 프라임 2 1대 뿐이고 탄막 슈팅게임은 스트라이커즈 1999 1대뿐이다. 그 외 비시바시 기기와 건슈팅 게임 몇대가 존재했었다.
2018년 10월 폐업되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보일러 매장으로 들어서있다.
22.4. 연신내 게임파크빌리지
은평구의 상업 중심 지구인 연신내에 있는 오락실. 2017년 3월 13일에 옛날 할아버지가 운영하시던 그 건물 그 자리(파리바게트 건너편, 베스킨라빈스 옆 건물)에 게임파크빌리지라는 이름으로 재오픈했다. 기기 라인업은 몇몇 게임이 빠진 것을 제외하면 예전과 거의 비슷하다.
바로 옆 짱오락실과 비교해서 업그레이드가 빠른 편이지만, 기체 상태는 영 좋지 않다.
2020년 4월 19일 기체 하나도 없이 폐업. 그자리에는 5개월간 공실상태로있다 인근에서 영업중이였던 커피전문점 이디야커피가 이전해 들어섰다. 투덱, 팝픈뮤직, 유비트, 리플렉비트 각 1대는 주안 CPU게임랜드로 매각되었다. 그리고 펌프 TX기체 1대와 노스텔지어, 신태고, 댄스러시, 사볼, 기타프릭스, 이니셜D 제로는 의정부 게임플러스로 매각되었다.
23. 종로구
23.1. 인사동 게임천국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23 다음 로드뷰
- 가동 중이었던 기기
- 드럼매니아(퍼커션 프릭스) 5thMIX 1대 - 500원
- 이니셜 D Ver.1 1조
- 펌프 잇 업 NX2 1대 - 500원
- 더★비시바시 1대
- 태고의 달인 11 1대 - 500원
- 더 하우스 오브 데드 4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철권 1조
-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 - 500원
- 기타 스틱 게임기 다수
일부러 게임을 즐기기 위해 찾아가는 오락실이라기보다는 인사동에 갈 일이 있을 때 잠깐 들르는 오락실이었다.
2012년 4월 30일에 게임 기기들을 가게에서 빼는 걸 목격했다는 증언으로 보아 그 날 폐업한 것으로 보인다. 리모델링 후 전통 공예품 전시, 판매 매장으로 변경되었다.
23.2. 종로 조이플라자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61 다음 로드뷰
유흥가 뒷골목이라는 위치도 애매했고 인근 포그니 오락실에 비해 매력이 떨어져서인지 사람이 별로 없었다. 가끔 가면 UFO 캐처를 하고 있는 일반인 커플이 있는 게 고작이었다. 결국 폐업하였고 그 이후 음식점으로 바뀌었다. 로드뷰에서 '차돌박힌 쭈꾸미'라고 되어 있는 곳에 원래 종각 조플이 있었다.
23.3. 종로 라스베가스 게임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표로 121-1 다음 로드뷰
- 가동 중인 게임
- 철권 6 1조 300원
- 철권 6 BR 1조 3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조 300원
- DJMAX TECHNIKA 3 3대 300원
- 타임 크라이시스 3 1조 200원
특이점은 이용 연령대가 좀 높다. 평일 낮에 가면 편하게 입고 나온 동네 형님들이 죽치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위의 포그니 오락실과 걸어서 오분 거리 정도로 가까운 편. 그러다가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갑자기 폐업했고, 현재 그 자리에는 옷가게가 들어서 있다가 음식점으로 바뀌었다.
폐업된 이유가 월세가 비싸서 가계 유지가 힘들다고 폐업함
(그나마 테크니카 유저 말고는 다른게임으로 벌기 좀 힘들었음)
23.4. 종로 포그니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4길 5 1,2층 네이버 거리뷰
- 가동 했던 게임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5 2대 (500원, 카드발행 X)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얼티메이트 매치 2조 (300원 / 3판 2선승)
- 철권 5 2조 (300원 / 3판 2선승)
- 철권 6 BR 2조 (300원 / 3판 2선승 / Net OK)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2조 (500원 / 3판 2선승 / Net OK / 라이브 모니터 포함)
- 태고의 달인 11 1대 (500원 / 최종 해금 완료)
- 펌프 잇 업 PRIME 1대 (500원 / FX 기체)[108]
- EZ2DJ BErA 1대 (500원)
- EZ2AC EV 1대 (500원 / v1.53. 구기판)
-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1대[109]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영문판)[110]
- 타임 크라이시스 : 레이징 스톰 1대 (1000원 / 컨티뉴 500원 / 한글판)
- 렛츠 고 정글 1대
- 데드스톰 파이레츠 1대
- 틀린그림찾기 5 1대
- 농구게임 2대
- 에어하키 1대
- 너티 빈스 1대
- 부스형 노래방 13대 (500원 1곡, 1000원 2곡 / 엣지 부스 + TJ 질러 C40 5대, 질러 C50L 8대)
2017년 10월경에 일부 구형 기기 방치로 인하여 폐업하였다. 이후 그 자리는 건물을 통째로 다시 지어서 짱오락실 종각점이 되었다.
23.5. 피카디리 롯데시네마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5가길 1
- 위치: 종로3가역에서 내려서 단성사 방향의 정반대쪽 개찰구로 나와서 옆을 보면 롯데시네마 간판이 보이는데 안으로 들어가서 지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왼쪽에 보일때까지 직진하다보면 정면에 보인다.
- 보유 했던 기기
- 타임 크라이시스 4 1대
- 철권 TT
- 스트라이커즈 1945-2
- 건버드 2
- 건블레이드 NY 1대
- 아타리 테트리스
23.6. 혜화 에이스게임광장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13-1 1층
- 가동했던 게임
- 펌프 잇 업 FIESTA EX 1대 (DX 기체, 500원, 상태 B+급)
- 타임 크라이시스 3 1대
- 철권 6 1조 (3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1조 (300원)
- 테트리스
- 스트라이커즈 1945
- 부스형 동전노래방 6대 (TJ S60F)
- 인형뽑기들
2019년 1월 경 폐업하고 이마트24가 들어섰다.
24. 중구
24.1. 명동역 CGV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23
- 위치: 명동역 CGV 건물 메표소 옆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게임
- 더 비시바시
- 렛츠 고 정글
- 타임 크라이시스 4
24.2. 충정로 1004 게임장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8 2층 네이버 거리뷰
- 위치: 지하철 2, 5호선 충정로역 6번 출구에서 약 30m 전진하면 나오는 상가 2층에 있었다.
- 영업 시간: 오후 12시 전후 ~ 밤 11시(사람이 없으면 자동 폐점)
- 가동 했던 게임
- 드럼매니아 5th (300원), V8 (500원)
- BEATCRAFT CYCLON 3대 (500원 2크레딧)
- DJMAX TECHNIKA 3 1대 (500원)
- 유비트 큐벨 2대 (500원, e-amusement)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 3 2대 (300원)
- 철권 5 DR 1조 (200원)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3조 (300원)
- 동전노래방 4대 (500원 1곡, 1000원 3곡, TJ 질러 L20 2대, 질러 L35 2대)
- 펀치기기
과거 테크니카 리즈시절엔 좁은 동네 오락실급 규모에도 불구하고 테크니카 4대를 갖춘 라인업과 저렴한 게임비용(대여 1시간 3천원, 2시간 5천원! 신작 발매 초기에는 할증이 붙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내려갔고, 끝물에는 1코인 2크레딧으로 돌리기도 했다.)으로 테크니카 플레이어들에게 성지로 대접받았다. 당시 게이머들에게 불린 별명은 SON OF SUN에서 따 온 '''추장로'''. 테크니카와 흥망을 같이했던 오락실이다.
이 오락실이 다른 오락실에 비해 특이한 점은 바로 점내 곳곳에 다닥다닥 진열되어 있는 종이학들이라고 할 수 있다. 통칭 종이학의 명가. 사장님이 취미로 종이학을 접는 것을 즐기셔서 그런지 정말 어디를 봐도 종이학이다. 심지어 유비트 기기 위에도 있었다. 1004 게임장의 마스코트. 사장님이 종이학에서 압정박기(...)로 취미가 바뀌시면서 일전에 안에 보관해두던 작품들을 전부 밖으로 내놨다. 동전노래방 위에 있는, 도자기 모양의 작품들이 그것들. 대신 사무실에는 복 복자, 임금 왕자, 하트 등을 압정으로 박아놓은 작품들이 들어섰다.
최근에는 종이공예로 취미가 바뀌셨다. 오락실에 도착하면 사장님이 커터칼로 종이를 자르고 계시는것을 쉽게 볼수있는데, 그 종이들을 층층이 별모양으로 자른다음 본드 붙이신다 .그런데 그 종이공예가 한, 두가지도 아니고 취미로 제작하신것치고는 퀄리티가 엄청나다! 근처에 볼일이 있다면 유비트 한판하면서 구경할만 하다.
규모가 영 작아서 동네 오락실 분위기다. 그러니까 상당히 가족적인 분위기를 지니고 있는 곳. 2~3일 출근하면 어지간히 얼굴도장 찍을 수 있다. 유동인구는 거의 없으며, 매일 같은 시간대에 매 번 보던 사람들이 몰린다. 주요 방문층이 근처에 위치한 경기대학교 및 중,고등학교 학생들 뿐이라, 5~8시에는 학생들이 엄청 많다가 9시 넘어가면 한번에 빠지는 편. 다만 11시를 넘어가면 폐점이라 야간 달리기는 불가능하다.
여담이지만 사장님이 자리를 자주 비우시는 편이니 주의하자. 물건을 맡겨놨다가 집에 가려는데 아저씨 오기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용건은 사장님이 계실 때 한번에 좌르륵 처리하는걸 추천. 취미가 바뀐 후로는 아랫집, 치킨집에서 살고 계신다. 유비트 2대, 철권 태그 2 3조, 철권 7 1조, 이니셜D 2대, 드럼매니아 1대, BEATCRAFT CYCLON 1대 정도가 켜져있고 2대는 거의 꺼져있는 상태다. 사장님께 켜달라고 하면 켜주시긴 한다. 대여시스템은 드럼매니아 V8 1시간 1500원이 있다.
현재 딱히 리듬게임 추가 계획은 없으신 것 같다. 사장님께 문의한 결과, 코나미의 과금 시스템(500원당 120원..) 및 매월 유지비 때문에 현재 있는 유비트 2대도 딱히 수익이 나오질 않으신다.
결국 2017년 5월 30일자로 영업종료. 사장님 말씀에 따르면 건물주가 파충류 샵을 오픈한다고 하여 나가게 되었다. #
25. 중랑구
25.1. 사가정 뮤직게임월드
-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로 337 2층 다음 로드뷰
- 위치: 사가정역 1번 출구로 나온 다음, 신한은행 사가정점 쪽으로 쭉 직진 하다가 국대떡볶이 / 한스델리 옆에 통로에서 2층으로 들어가면 됨.
- 보유 했던 게임
- 부스형 노래방 * 6대
- 유비트 소서 풀필 * 2대 (500원)
- 리플렉 비트 그루빈 * 1대
- 펌프 잇 업 NX2 (손펌프)* 1대 (1플레이당 200원, 중기형 주니어)
- DJMAX TECHNIKA 3 * 1대 (300원)
-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 * 1대 (300원)
- 농구 * 1대
- 동글동글 해롱이 * 1대
- 블러디 로어 2 * 1대
- 보글보글 * 1대
- 스노우 브라더스 2 * 1대
- 스트라이커즈 1999 * 1대
- 스트라이커즈 1945 PLUS * 1대
-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Ver. 3 * 2대
- 철권 태그 토너먼트 * 1조 (2대)
- 철권 6 BR * 2조 (4대) (300원)
- 초강전기 키카이오 * 1대
- 하우스 오브 데드 2 * 1대
- 펀치 머신 * 1대
- KOF 97 * 1대
- KOF 98 * 1대
- KOF 99 * 1대
- KOF 00 * 1대
사장님하고 사장님의 어머니께서 운영하고 계시며 네이버 카페 운영은 사장님이 혼자 하셨다. 지금은 카페 운영을 중단한 상황. 매장은 중간정도인 편이고 기기가 없어서 뭔가 썰렁한 느낌을 연출한다.
사장님은 굉장히 젊은 분이시며, 먼저 말을 걸어주시거나 자주 바깥에 나오셔서 유비트와 리플렉 비트를 구경하시는 등 붙임성이 좋으신 분이다. 게다가 철권 6 BR의 뚜껑을 열어서 , 심심하면 학생들과 철권 대결에 자전거를 타고 오락실 안을 돌아다닌다든지… 여러모로 굉장한 사장님.
평일에는 노래방을 빼곤 사람이 많이 없다. '''없어도 너무 없다!''' 예전부터 오락실이 근처 골목가에 동원 오락실을 빼곤 없던 곳이라 다들 건대 쪽을 비롯해 중랑구 바깥쪽으로 다니는 것에 익숙해진 것도 있지만 지하철역에 가깝다곤 해도 면목동, 특히 사가정역 주변은 애초에 사람들이 그리 많이 다닐만큼 번화한 곳이 아니니...... 근처 학교하고의 거리도 조금 애매해서 학생 수요, 특히 대학생 수요가 적은 편이다. 상봉처럼 경기도 유저들이 오기 쉬운 곳도 아니고 하니... 그래도 동네 수요가 전혀 없는 편은 아닌지 평일 오후하고 저녁에는 노래방을 이용하는 중고등학생들이 꽤 많이 방문하고 주말에는 리듬게임하는 중고등학생들이 많이 오는 편. 리듬게임을 조용히 하고 싶으면 평일 오전이나 저녁때 방문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리고, 대부분의 오락실에서는 거의 다 낡아버린 이니셜D 3와 하우스 오브 더 데드 2 가 굉장히 상태가 좋다. 또한, 에어컨이 있기 때문에 여름에는 문제될 것이 없지만, 겨울 방한용으로는 선풍기만한 히터가 전부다. 그나마도 겨울엔 사람이 없으면 잘 안틀어서 굉장히 춥다. 여름에는 유비트와 리플렉 비트 왼쪽에 대형 선풍기를 틀어두며 유비트 두 기기 사이의 소형 선풍기도 튼다. 리듬게임 유저들에게는 굉장히 시원하다고…
오픈 직후 2012년 여름부터 대여를 했었으나 유비트 소서가 출시하면서 사실상 대여를 그만두셨다. 수익이 적은 게임의 경우 들어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금방 빠진다. 대표적인 피해자가 하우스 오브 더 데드 4,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타임 크라이시스 3, 사운드 볼텍스 부스, 아스트로레인저가 있다. 사볼의 경우 입고 당시엔 공지사항에 올리고 트위터에 퍼지는 등 그럭저럭 널리 알려졌지만 결국 수익성 문제로 2달만에 빠지는 등 여태껏 빠진 기기 중 큰 희생 기기가 되었다.
오픈 초기부터 최근까지 기기 위치가 자주 바뀌었었다. 특시 비시바시가 메인(?) 피해자로 확고하며, 그 다음은 EZ2DJ 기기가 가장 많이 바뀐듯 하다. 지금은 3달 전 배치에서 거의 굳어진 상황. 3월 18일부터 테크니카 3의 크레딧 가격이 400원에서 300원으로 31일까지 인하하는 이벤트를 하였다. 이벤트가 끝난 4월 1일 이후에도 언급된 바로는 크레딧 가격을 300원으로 인하를 계속 한다고 한다. 4월 30일에 EZ2DJ BErA 에서 AEIC로 업그레이드가 되어졌다. EZ2AC가 아니지만 업글한것에 의의를 두면 좋다. '''5스트 기록이 150만이라는 기록이 박혀있는 중고 기판'''이긴해도 기록에 별로 신경 안 쓰면 할 만하다. 뒷문이 인상적이다.
2014년 4월 유비트 코피어스가 빠지고 유비트 소서 풀필로 바뀌었다. 게다가 이 기계는 신품이다!
2014년 12월 29일 폐업했다. 2015년 1월 24일 확인결과 오락실 자리에는 PC방이 들어와 있다.
25.2. 묵동 짱구 청소년 오락실
-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공릉로 66 다음 로드뷰
- 위치: 태릉입구역에서 정릉천을 건너서 10분정도 걸어가면 있음
- 가동 중인 기기
- 메탈슬러그 5
- KOF 99 (K.I 미해금)
- Tetris
- Rasing Roar (소위 동물철권)
- Strikers 1945 III
- 철권 3
- 기타 스틱게임들
- 성인 도박 기기들
2016년 2월 말에 폐업했다. 폐업 이유는 찾는 사람도 적어졌고 주인 어르신 기력이 달려서 못 하시겠다고. 빅이슈 125호에서 주인 어르신 인터뷰 및 운영에 관한 비화를 다룬 내용이 있으니 궁금하다면 구입해서 읽어보자. 해당 비화
현재는 그 자리에 옷가게가 들어서 있다.
25.3. 상봉 메가박스 더 갤러리
- 주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30길 3
- 위치: 메가박스 상봉점 로비 근처에 있었다.
- 보유 했던 기기
- 메탈슬러그 6(메탈슬러그 3를 해킹한 버전)
- 스트라이커즈 1945 PLUS
- 스트라이커즈 1945
- 에어로 파이터즈 1
- 블러디 로어 2 2대
- KOF 98
- 타임 크라이시스 3(오락실 바깥에 비치됨)
- MANX TT
- 그외 철권 TT등의 스틱 게임기들
[1] 거성오락실에 BR을 추가로 들여왔을 때 카드를 넣었더니 철권넷에서 서울시 세종오락실로 찍혔다.[2] 종량제를 채택한 e-amusement Participation 도입 전이여서 이런 일이 가능했다. 현재 오락실에서 이런 일을 했다간 오락실 점주가 손해만 본다(...)[3] 현재 건물이 폐점해서 새로 입주를 구하고 있을때 제시된 가격 기준.[4] 당시 9th style 최후반, 그리고 10th style이 발매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10th style이 수입되기 전에는 잠깐 6th style을 가동했었다. 실질적으로 이 오락실에 비트매니아 IIDX가 처음 입하된 버전.[5] 특이사항은 당시 조플의 드럼매니아는 일본판이었는데, 로터리 게임장의 드럼매니아는 아시아 버전이었다.[6] 기계 물밑 지원만 하다가, 후에 분점화.[7] 비트매니아는 10th까지, 팝픈뮤직은 전국열전까지는 커맨드를 넣으면 e-amusement가 없어도 곡을 해금할 수 있었으나, IIDX는 아예 커맨드가 사라져버렸고 팝픈뮤직은 커맨드를 넣어도 모든 곡이 해금되지는 않도록 바뀌었다.[8] 이 문제는 후속작인 철권7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넷 아레나들의 폐업으로 이어졌다[9] 거기다 동네 오락실이라서 크기가 작은편에 속하는지라 리듬게임 구역은 인파를 뚫고 지나가기조차 힘들어진다.[10] 상판에는 NX라고 적혀 있다.[11] 고장나서 꺼져 있음.[12] 후반부에서 KOF에 열중하는 임은경과 김지영이 오락실에서 만담하는 장면이라거나, 극후반부에서 박영민과 정경희가 팝픈뮤직을 하는 장면이라거나.[13] 윗 간판엔 EXCEED 2라고 쓰여져 있었다.[14] 다만 플레이하는데 지장은 없는 정도이다.[15] 발판에 나사가 전부 있어서 발을 낮게 들면 걸렸었다.[16] 총을 쏘면 화면이 하얀색으로 점멸했는데, 1p쪽에서 머신건으로 난사를 하면 포켓몬 쇼크 저리가라할 깜박임이 나왔다.[17] 엣지 플러스 한정[18] (구)김포공항 조이박스 출신[19] 이어뮤 카드 역시 마찬가지.[20] 오른쪽 기기가 상태가 더 좋았다. 다만 13번 패널과 15번 패널에 동전이 끼어 있었다.[21] 오리지날 스파4부터 하던 유저가 대부분이었다.[22] 오전 11시 넘어서도 열지 않거나 오후 10시 반에 문이 닫혀있는 날도 있는가 하면, 오전 10시 전에 문이 열려있거나 새벽 1시 넘어서도 열려있는 날도 있는 등 그야말로 그때그때 달랐다.[23] 다만 500원짜리로 바꿔주는 교환기와 100원짜리로 바꿔주는 교환기가 따로 있다, 왼쪽이 500원 교환기, 오른쪽이 100원 교환기이다.[24] 500원짜리로 바꿔주는 교환기는 천원 지폐가 한 장 이상 들어가지 않으므로, 지폐를 한번씩 투입한 뒤에 교환버튼을 눌러주는 수고를 조금 해야 한다.[25] 100원짜리로 바꿔주는 교환기는 천원 지폐가 투입되는 즉시 100원짜리 10개로 교환해준다.[26] 인형뽑기 공간에서 바꿀 경우에는 5천원 만원 상관없이 전부 천원짜리로 바꿔준다.[27] 라이젠 5, 램 16기가, GTX1060[28] 원래 5대였으나 2대가 매각되고 1대가 사무실에 보관되었다.[29] 1번 기기는 내부가 정글로 꾸며져 있다.[30] BGA 화면이 안보이는건 TWINKLE 기판의 고질적인 DVD 장치 문제 때문. 상세는 문서 참조.[31] 현 서울교통공사[32] 이전에 성북역과 가까운 곳에 소규모의 오락실이 있었으나 이곳이 오픈한 직후 문을 닫았다. 그래도 2004년에는 EZ2DJ 6th 인컴테스트 장소였기도 했는데… 안습[33] 광운대 학생들에게는 흔히 후문 올라가는 길목 입구로 알려져 있다.[34] 오전 11시부터 시작이라고 오락실 문에 쓰여있지만, 실제로는 사장님께서 오전에는 손님이 없다고 오후 1~3시쯤에 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참고 바람.[35] 직원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등에 '야사노'라고 적힌 야구복을 입고 있다.[36] 이런 구조 때문에 청량리 민자역사에 8층이 있는지 조차 모르는 사람이 많으며, 롯데시네마에서도 간신히 눈에 띌까 말까하다.[37] 류와 켄만 나선장풍이 나감, 연타장풍, 래리엇플레임, 캐릭터 전환가능 사양으로 중기판 개조중 하나인듯.[38] 라이덴 BGM으로 대체된 복제기판.[39] 무삭제판. 국내에 풀린 기판중 몇몇은 막간의 여성캐릭터 일러스트의 그래픽이 깨져서 수정된것도 꽤 가동되었었다.[40] 이 글을 읽으며 옛 추억을 상기시켜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41] 단 일본에서 아직도 현역으로 쓰이는 사탕스틱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옛날사탕스틱쪽이 일본 사탕스틱보다 조금 작다.[42] 이 버튼들 역시 국내 오락실의 스틱이 몽둥이스틱으로 통일된 것과 더불어 단색 버튼으로 통일되었다.[43] 한때는 불타라 져스티스 학원도 있었다[44] 카드는 사무실에서 구매해야 한다. 게임상에서는 기기안에 재고가 있는걸로 나온다(첫번째 박스인 재고 여부가 없음).[45] 비밀번호: 001001005a [46] 일부 구곡 싱크 안맞음[47] 손배치 가능[48] 1번 기체만 방송, 손배치 가능[49] EV,EC,AEIC,7th 1.5,7th 2.01,CV,1SE,3rd,PT,6th[50] 교체한 후 어느정도 쿨타임이 있다. 하드디스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참고하도록 하자.[51] 손배치 가능[52] 손배치 가능[53] 왼쪽 기준 1번째 기체에서 EZ2AC EV 이전의 하드만 교체가능, BE, AE 두 시리즈의 개선판 이전의 버전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갖고 있었다.[54] 방송은 총 3대까지 송출이 가능하며 BErA, NT, TT 순으로 채널을 바꿔서 방송 할 수 있다.[55] 손배치를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있었다.[56] 버튼 상태가 다소 안 좋았었다.[57] 어째선지 2P쪽 화면이 약간 짤려있으며 알리사가 무삭제로 등장한다.[58] 왼쪽 동전 투입구는 종종 인식이 안된다.[59] 이중 한대는 좀 안좋은 사연이 있는데 과거 마들역의 청소년 DDR 게임장에 있던 기계이다. 하지만 마들역 오락실이 망하면서 압구정 조이플라자로 옮겨졌다. 그런데 압구정 조이플라자도 문을 닫으면서 이수 테마파크로 왔는데 폐업 공지가 올라왔다. 지금은 인천 주안 골목 오락실로 옮긴 상태인데 여기까지 폐업해서 볼 수 없다.[60] 테크니카,블레이블루,멜티블러드,이니셜D,이지투디제이[61] 스파서드 투극 나갈 때쯤에는 당시 구하기 힘든 사탕 스틱도 구해주기도 했다.[62] 직접 대회 상품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것으로도 유명했다.[63] 물론 테스트만 잠깐 하고 그 뒤로 소식이 없는 것들도 있다.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라든가, 중화권 리듬게임 TOP STAR나 MuziBox라든가...[64] 국가 표시가 '홍콩'으로 되어있어서 당시 드럼매니아 V5의 지역명인 '마카오'와 맞물려 '''마카오에서 5초정도 걸어가니 홍콩이 나오네요'''하는 드립도 유행했었다.[65] 몇몇 기기가 에뮬을 돌리는 관계로 94 ~ 2003까지는 전부 플레이 가능하다.[66]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으로 구동되는 듯하며, 300원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꽤 잘 나간다.[67] 과거에 영풍이라는 별명도 있었다. 바로 옆에 영풍치킨이 있어서 그런듯. 참고로 이 영풍치킨의 맛이 괴악해서 리갤 내에서는 네타거리가 되어 두고두고 깐다. 아니다. 그렇지 않다. 영풍치킨이 얼마나 맛있는데. 한 번 먹어봐라.[68] 일본판이며 앉아서 하는 형태이다. 5.1채널 서라운드를 지원하는 대형기체[69]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옆에 테크니카를 앞뒤로 놓았다[70] 특히 이 경우에는 전국에서 '''플레이 할 수 없게 되었다.''' 묵념[71] 원래는 타임 크라이시스 4가 빠졌으나, 나중에 렛츠 고 정글을 빼고 다시 들여놓았다.[72] 과금제 게임이라는 특성상 프리플레이 시 손해가 나기 때문이다.[73] @JIGameland으로 변경되었다.[74] 비밀번호는 카운터에 붙어있음.[75] 오락실 근무자분에게 물어보면 빌려주신다.[76] HEARTBEAT, Mirrorball Satelite 2012 선곡시 에러가 난다.[77] 하드가 고장이 났다. 원인은 exe파일 오류인걸로 추정.[78] USB 포트는 따로 연결해 놓은 단자에 연결해야 작동이 되었다.[79] 1P와 2P 모두 상태가 좋지 않으며 1P는 오른쪽 캇이 쳐지질 않아서 다른 난이도로 이동이 불가능했다.[80] 붙어있는 공지사항 등을 보면 아마 같은 사장이 운영하는 듯 하다.[81] 7018번 이용시, 명지중고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82] 예를 들면 이런 글[83] 해당 기체는 한동안 대림상가 한켠에서 먼지만 쌓여가다가 동년 5월경에 개인유저가 매입했다.[84] 한 대는 LCD 모니터다.[85] 원래는 여기에도 킹 오브 파이터즈 11이라고 작성되어 있었다.[86] 켜지긴 하나 화면이 안 나왔다.[87] 참고로 평범한 동네오락실이었지만 정발판 드럼매니아 5th 가 돌아가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위치는 확실하지 않지만 80년대부터 오락실이 계속 있었던 자리로 추정된다. (그때 충정로 지하에 있던 오락실중 하나가 '연세오락실'이었던것 같다) 맞다면 새로 옮긴 목마자리는 의외로 역사가 깊었던 오락실 장소인 셈.[88] 서울의 대부분의 다른 오락실들은 틀린그림찾기 시리즈중에서 틀린그림찾기 5만 보유하고 있다.[89] 직원들도 정말 잘 알고 있었는지 막히면 '''안불러도 와줬다!'''[90] 모든 리겜 기기가 꺼진 상태여도 스피커에 귀를 대야 그나마 들린다.[91] 1번 기기에 연결돼있는 것 마냥 배치되어 있지만 2번 기기에 연결되어 있었다.[92] 점포명: ZZANG.S[93] 구 리듬게임 존[94] 펌프, DDR, 댄스러시[95] 강남대로를 기준으로 건너편 CGV쪽은 강남구, 이쪽은 서초구다.[96] 1P&2P 연동 지원이 되는 게임인 듯하나 통신 세팅이 안되어있어 따로따로 플레이 해야한다.[97] 핸들을 빠르게 두번 비틀어 발동하는 슈퍼 엑셀이 작동하지 않으니 참고.[98] 대략 이런 식[99] 성인 양아치부터 중고딩 양아치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다녔다.[100] 두 기계 모두 1P스크래치 상태는 안좋은데 2P쪽은 양호한 것으로 보아 관리 미흡+관심 부족의 콤보인듯 하다.[101] O.B.G.부터 퍼펙트 콜렉션 시절까지는 2대였음.[102] 스틱게임, 체감형 게임 모두 호환되었다. 그리고 가령 1,000원이 들어있는 카드를 사서 쓰다가 마지막에 100원만 남았다면 이 100원으로 300원짜리 게임이든 500원짜리 게임이든 아무거나 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었다.[103] 모니터의 잔상이 적고 인풋렉도 적었다.[104] 철권 7 개발 총괄인 마이클 머레이의 트위터에서 언급한바에 따르면 비즈니스 모델 부족을 이유로 아케이드판 업데이트를 안하고 있다. 쉽게말해 아케이드가 돈이 안된다는 이야기.[105] 당시 무릎은 두바이 대회 때문에 해외에 있는 상황이었다.[106] 11월 8조로 늘어났다.[107] 상태가 매우 좋지 못했었는데, 1P는 오른쪽 캇이 반응하지 않았으며, 양쪽 다 동 센서가 불량하여 연타가 불가능했다.[108] 구석에 몰려 있다 보니 기기화면과 발판이 중앙 정렬이 되어 있지 않아 더블모드 플레이가 불편할 수 있다.[109] 1p 기준 컨트롤러를 격하게 흔들면 수류탄이 나가니 주의하자.[110] 컨트롤러 반동이 살아 있다.[111] 새로 바뀐 간판에는 희한하게도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들이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