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물 별명

 




1. 개요


세계 역사에서 널리 알려진 역사 인물의 별명을 정리한 문서이다. 국가별, 왕조별로 정리하였다. 공식적인 명칭으로 사용되는 별명은 볼드체로 구분하였다. 출신지나 가문명 등을 사용하는 것은 별명이라 볼 수 없으므로 제외.
참고로 군주의 별명은 한자문화권의 특성상 시호와 비슷하게 XX왕으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 볼 것. 예를 들어 사자심왕 리처드는 원래 의미대로 번역하자면 '''사자의 심장''' 리처드 또는 '''사자 심장을 가진''' 리처드가 된다. 대왕의 번역도 마찬가지.

2. 영국


  • 노르만 왕조
    • 윌리엄 1세 - 정복왕(the Conqueror), 사생아왕(the Bastard) : 사생아 출신이다.
    • 윌리엄 2세 - 홍당무(라틴어 the Rufus / 영어 the Red) : 얼굴이 붉어서 붙은 별명.
    • 헨리 1세 - 뛰어난 학자(Beauclerc) : 교육을 잘 받았다고 해서 붙음
  • 플랜태저넷 왕조
    • 헨리 2세 - 짧은 망토(영 Curtmantle / 불 Court-manteau), 여제의 아들(FitzEmpress)[1][3]
    • 리처드 1세 - 사자심왕(영 Lionheart / 불 Cœur de Lion)
    • - 결지왕(缺地王) 또는 실지왕(失地王)(영 Lackland / 불 sanz Terre) : 원래 결지왕은 봉토를 받지 못했던 과거의 안습함 때문에 생긴 별명인데,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의 광대한 영토를 다 날려먹은 덕분에 실지왕으로도 번역한다(...)
    • 헨리 3세 - 윈체스터 성에서 태어나 윈체스터의 헨리라고도 불린다. 출생지이긴 한데 출신지라고 보기는 애매(...)
    • 에드워드 1세 - 꺽다리왕(Longshanks), 스코틀랜드의 파괴자(Hammer of the Scots), 잉글랜드의 유스티니아누스(the English Justinian)
    • 에드워드 2세 - 웨일스의 카나번 성에서 태어나 카나번의 에드워드라고도 불린다. 잉글랜드의 왕위계승자로써의 프린스 오브 웨일스로는 첫 번째 인물.
    • 에드워드 3세 - 윈저 성에서 출생하여 윈저의 에드워드
    • 리처드 2세 - 보르도에서 출생하여 보르도의 리처드
  • 랭커스터 왕조
    • 헨리 4세 - 볼링브로크 성에서 출생하여 볼링브로크의 헨리
    • 헨리 5세 - 몬머스 성에서 출생해서 몬머스의 헨리
  • 튜더 왕조
    • 헨리 8세 - 허세왕 할(Bluff king HAL), 건장왕 해리(Burly king Harry)
    • 메리 1세 - 블러디 메리(Bloody Mary) : 성공회 탄압으로 붙은 별명이며 피로 물든 메리라는 의미
    • 엘리자베스 1세 - 처녀왕(The Virgin Queen), 글로리아나(Gloriana), 선한 여왕 베스(Good Queen Bess[4])
  • 하노버 왕조
    • 조지 3세 - 농부왕(Farmer King) : 농부처럼 굉장히 소박하고 서글서글했기 때문이라고. 참고로 조지 3세의 치세에 미국이 독립했는데 때문에 미국에선 조지 3세를 암군 취급한다.

3. 프랑크 왕국


  • 카롤루스 왕조
    • 피핀 3세 - 단신왕(라틴어 Brevis / 불어 le Bref / 독일어 der Kleine), 소 피핀(라 júnĭor, / 독 der Jüngere) : 대 피핀에 대비해서 소 피핀(또는 젊은 피핀)
    • 카롤루스 대제 - 카롤루스 대제(라 Carolus Magnus / 불 Charlemagne / 독 Karl der Große) : 프랑스어로 샤를마뉴는 샤를 대제를 의미. 독일에서는 카를 대제라고 한다.
    • 루도비쿠스 1세 - 경건왕(der Fromme), 자비왕(le Débonnaire)
    • 샤를 2세 - 대머리왕(le Chauve)

4. 프랑스


  • 카페 왕조
    • 위그 카페 - 그의 이름의 '카페(Capet)' 자체가 이름이나 이 아닌 별명으로 수령,대장, 이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위그 대장님 같은 의미. 이후 그의 자손들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카페의 후손들이라 하여 카페 왕조(Capetiens dynasty)라고 한다.
    • 로베르 2세 - 경건왕(le Pieux)
    • 루이 6세 - 뚱보왕(le Gros)
    • 루이 7세 - 소(小) 루이(le Jeune)[5]
    • 필리프 2세 - 존엄왕(Auguste)
    • 루이 8세 - 사자왕(le Lion)
    • 루이 9세 - 성왕(Saint, 聖王)
    • 필리프 3세 - 강용왕(le Hardi, 剛勇王)
    • 필리프 4세 - 단려왕(le Bel, 端麗王): '단려'는 '단정하고 아름다움'을 뜻하는 단어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많이 쓰이지 않는 단어라서 오늘날에는 미남왕 혹은 미모왕으로 번역되는 빈도가 더 많다.
    • 루이 10세 - 완고왕(le Hutin)
    • 장 1세 - 유복자왕(le Posthume)
    • 필리프 5세 - 장신왕(le Long)
    • 샤를 4세 - 미모왕(le Bel) : 아버지 필리프 4세와 별명이 같다.
  • 발루아 왕조
    • 장 2세 - 선량왕(le Bon)
    • 샤를 5세 - 현왕(le Sage, 賢王)
    • 샤를 6세 - 친애왕(le Bien-Aimé), 광인왕(le Fou) : 정신병에 걸려 광인왕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샤를 7세 - 승리왕(le Victorieux) : 백년 전쟁을 종결시킨 왕이었기 때문이다. , 충성받은 왕(le Bien Servi)
    • 루이 11세 - 신중왕(le Prudent), 세계적인 거미(l'universelle aragne)
    • 샤를 8세 - 상냥왕(l'Affable)
    • 루이 12세 - 국민의 아버지 또는 국부왕(國父王)(Père du peuple) : 삼부회에서 헌정받은 칭호
  • 부르봉 왕조
    • 앙리 4세 - 대왕(le Grand), 팔팔한 오입쟁이(Le vert galant)
    • 루이 13세 - 공정왕(le Juste)
    • 루이 14세 - 태양왕(Le Roi Soleil), 대왕(le Grand)
    • 루이 15세 - 친애왕(le Bien-Aimé)
    • 루이 16세 - 마지막 루이(Louis le Dernier) 또는 마지막왕[6]
    • 루이 필리프 1세 - 프랑스 국민의 왕(Roi des Français)[7] 또는 민중왕(民衆王) , 폭동왕[8]
  • 프랑스 제1제국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꼬마 부사관(Le Petit Caporal)[9]

5. 독일



6. 포르투갈


  • 마누엘 1세 - 행운왕(o Afortunado)
  • 주앙 4세 - 복구왕(o Restaurador) : 스페인을 몰아내고 포르투갈 출신의 브라간사 왕조를 개창했다.
  • 주앙 5세 - 관대왕(o Magnânimo), 포르투갈판 태양왕(o Rei-Sol Português)
  • 주제 1세 - 개혁왕(o Reformador)
  • 마리아 2세 - 교육왕(a Educadora), 좋은 어머니(a Boa Mãe)
  • 페드루 5세 - 희망왕(o Esperançoso)
  • 카를루스 1세 - 외교왕(o Diplomata), 순교자왕(o Martirizado)
  • 마누엘 2세 - 애국자왕(o Patriota), 불운왕(o Desventurado)

7. 대한민국


  • 삼국시대
    • 온달 - 바보 온달(愚溫達) : 삼국사기 온달 열전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표현으로 '어리석을 우(愚)'자로 쓰여 있다.
    • 의자왕 - 해동증자(海東曾子)[10]
  • 후삼국시대
    • 능창 - 수달(水獺): 그 동물 수달 맞다. 고려사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는 별명.
  • 고려
    • 이규보 -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시, 술, 거문고 세 가지를 좋아한다 하여 붙었던 별명이다.
    • 최영 - 백수최만호(白首崔萬戶) : '머리 하얀 최 만호'라는 의미로 노구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던 것을 본 왜구들이 최영을 두려워하며 부른 이름.
    • 최충 - 해동공자(海東孔子)
  • 조선
    • 허조 - 수응재상(瘦鷹宰相), 주공(周公)
    • 김종서 - 대호(大虎)
    • 세종대왕 - 해동의 요순(海東堯舜)[11]
    • 홍윤성 - 경음당(鯨飮堂) : 고래 경마실 음으로 글자 그대로 술고래라는 의미. 홍윤성에게 세조가 지어준 별명이다. 혹은 또 야사에서 나온 살인마 정승도 포함될 수 있을듯
    • 허엽 - 묘지(卯地) : 십이지에서 토끼의 방위는 정동쪽을 가리키는데, 타협 없던 동인이었다는 걸 보여주는 별명.
    • 이이 -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 과거시험에서 아홉 번 장원급제를 했다 하여 붙은 별명이다.
    • 곽재우 - 홍의장군(紅衣將軍)
    • 철종 - 강화 도령
    • 전봉준 - 녹두장군(綠豆將軍)
  • 대한민국

8. 중국



9. 일본



10. 오스만 제국



11. 미국



12. 멕시코



[1] 어머니인 마틸다가 신성 로마 황제인 하인리히 5세의 황후였고 하인리히 사후 앙주 백작이던 조프루아 플랜태저넷과 재혼하여 헨리 2세를 낳았다.[2] 디에프라는 노르망디 소재의 항구도시의 자작을 겸하긴 했으나 당시의 자작은 백작대리(Viscount)였기 때문에 실제로 그 땅의 주인은 아니었다.[3] 다만 이 별명은 별명이 아닌 성씨처럼 쓰이기도 했다. 당시엔 성씨가 없던 시절이라 대부분 자신의 영지명을 성씨처럼 사용했는데 주어진 영지가 없던[2]그의 동생인 윌리엄은 FitzEmpress를 성씨처럼 사용했다. 아이슬란드인들이 자신의 성씨를 자신의 부모에서 따오는 것과 비슷하다.[4] 엘리자베스의 애칭 중 하나이다.[5] 부친 루이 6세와 구분하기 위함이었다.[6] 실제 루이 왕호를 마지막으로 사용한건 그의 동생 루이 18세이다. 제1공화국 시기 기준. [7] 엄밀히 따지면 별명은 아니다. 루이 필리프 1세 시기의 프랑스 국왕의 정식 호칭이 '프랑스 국민의 왕'이었다.[8] 7월 혁명을 통해 즉위한 그를 고깝게 여긴 유럽 군주들이 부른 멸칭[9] 당시 프랑스의 평균키는 165cm, 나폴레옹은 168cm이었으나 당시 귀족들의 평균은 170cm을 넘겼고 본인의 호위무사들 역시 다들 키가 큰데다 본인이 직접 "하늘에서 키를 잰다면 내가 제일 크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기에 작은 이미지가 생긴 것 뿐이다. 또한 그의 조카인 나폴레옹 3세는 진짜로 단신이었기에 더욱 단신 이미지에 영향을 주었다.[10] 의자왕은 왕자 시절 효자로 유명했다.[11] 이게 무려 당대 신하들이 "전하는 해동의 요순이십니다. " 라고 한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