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타일리시 죠죠 액션 시리즈'''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
'''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オールスターバトル'''
[image]
개발사
CyberConnect2
유통사
반다이 남코 게임즈
출시일
2013년 8월 29일
장르
스타일리쉬 대전격투 죠죠 액션
플랫폼
PS3
홈페이지
일문 홈페이지
1. 개요
2. 발매 전 정보
2.1. 오프닝
2.2. PV 일람
2.3. CM 일람
3. 캐스팅
4. 시스템
4.1. 캐릭터 시스템
4.2. 플레이 시스템
5. 스테이지 일람
6. 참전 캐릭터 일람
6.1. 플레이어블 캐릭터
6.2. 비플레이어블 캐릭터
6.2.1. 스테이지 기믹
6.2.2. 카메오
8. 스토리 모드
9. 발매 후 평가
9.1. 대전게임의 측면에서
9.1.1. 패치 전 반응
9.1.2. 패치 1.02버전
9.1.3. 패치 1.03버전
9.1.4. 패치 1.04버전
9.1.5. 패치 1.05버전
9.2. 캐릭터 게임의 측면에서
9.3. 문제의 패미통 리뷰 - 죠보딸의 발단
9.4. 그 외의 측면에서
9.5. 결론
9.6. 기타
10. 여담

[image] [image]

1. 개요


죠죠가 워낙 장편인 탓에 지금까지 한 게임에서 죠죠 전체를 망라하지 못하고, 특정 파트만을 게임화[1]하는 데에 그쳤으나, 그냥 신작도 아닌 올스타전을 낸다는 충격적인 소식에 2013년 당시의 모든 죠죠러들의 하트가 떨려오게 만들었다.
로고의 문양은 시계 방향으로 1부부터 8부까지의 각 부의 키 아이템이나 해당 부의 죠죠를 상징하는 물건의 문양 사이에 별 문양, 그리고 중앙에 ASB(All Star Battle)라고 적힌 커다란 별이 있다. 시계방향으로 돌가면(1부), 에이자의 적석(2부), 죠타로의 모자(3부), 4부 죠스케의 브로치(4부), 죠르노의 옷에 있는 무당벌레(5부), 죠린의 나비 문신(6부), 죠니의 말편자(7부), 8부 죠스케의 옷 문양(8부).
참전 캐릭터는 DLC 제외 32명. 여기에 초회 봉입 특전 '키라 요시카게'[2]를 포함해 DLC 캐릭터까지 총 41명의 참전이 확정되었다. 참고로 이 DLC 데이터는 디스크 안에 없다고 개발자가 밝혔다. 그외에도 여러 캐릭터들이 스테이지나 메뉴에서 카메오로 나온다.
주간 패미통 2013년 9월 5일호(8월 22일 발매) 크로스 리뷰에서 10 / 10 / 10 / 10 40점 만점을 받으며 플래티넘 전당에 입성했으나, 어처구니없는 채점 배경이 드러나며 패미통은 비웃음의 대상이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평가 문단에서 서술한다.

2. 발매 전 정보


  • 공식 사이트의 좌측에 위치했던 숫자가 2012년 7월 5일부터 하루에 하나씩 줄어들었다. 2차 PV의 공개 날짜라고 추측되었으나 정작 2차 PV가 웹상에 게시된 날은 며칠 지난 후였다.
  • 인게임 스샷이나 모델링 스샷 등은 이쪽에서 한발 앞서 볼 수 있다.
  • 2013년 6월 9일 오후 5시 도쿄 신주구 알타비전, 오사카 남바 남바드에서 새로운 PV가 선행 상영되었다.[3]

2.1. 오프닝




2.2. PV 일람


놀랍게도 해설왕께서 친히 등장해서 나레이션을 읊는다![4]
2013년 8월 7일 정식 공개된 디오 브란도, 엔리코 푸치, 퍼니 발렌타인, 카와지리 코사쿠가 참전함에 따라 역대 죠죠 VS 역대 최종보스의 라인업으로 영상을 이어 나갔다.
특이한 점은 각 부의 보스들이 역대 죠죠일행의 동료를 쓰러트린 다음, 죠죠에게 쓰러지는 것으로 소개가 끝나지만[5], 2부의 경우 죠셉이 '''도망치는 것'''으로 끝맺음을 맺으며, 6부도 푸치의 메이드 인 헤븐 각성으로 끝을 맺는다. 2부의 경우 카즈를 끝장낸 에이자의 적석이 구현되지 않아서이고, 6부는 엔딩을 반영한 듯. 그 후 각 카메오들의 멘트들이 나온다.
키라가 돌아보면 안되는 곳으로 끌려가는 장면이나 죠니가 "고마워... 자이로." 라고 독백하는 장면들 등등 각 부마다 모든 BGM과 연출, 영상미가 한데 어우러져 최강의 퀄리티를 자랑하지만, 캐릭터가 중복해서 나오다 보니[6] 다른 PV보다 신규 발표가 적은 것에 대한 불평의 목소리도 많다.
모리오초에 도사린 어둠 - 얀구 시게키요, 키라 요시카게
영악한 야수 - 이기, 판나코타 푸고
발매 전야제에서 공개되었다. 캠패인 소개영상이 주된 내용. 그리고 마지막에 뜻밖의 내방자가 등장한다.
파문의 달인 - 리사리사죠셉 죠스타(3부)
그리고 나르시소 아나수이바닐라 아이스가 참전한다.

2.3. CM 일람


자막 버전
'''2013년 2월 22일 공개된 CM 【Part1】'''
자막버전
'''2013년 3월 16일에 공개된 CM【Part2】''' 시저와 에시디시의 인게임영상이 짧게 나온다.
자막버전
'''2013년 3월 22일에 공개된 CM【Part3】''' 오라오라 러쉬의 목소리가 바뀌었다.
'''2013년 3월 29일에 공개된 15초 CM 드림매치편''' 각종 이벤트의 장면이 나온다.
'''2013년 3월 29일에 공개된 15초 CM 다비편'''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TVCM 실사 편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TVCM 운명 편
전체적인 CM의 내용은 쿠죠 죠타로 VS 테렌스 트렌트 다비 전에서 쿠죠 죠타로가 대전할 게임으로 죠죠 올스타 배틀을 선택해서 대전 한다는 내용이다.

3. 캐스팅


  • 2차 PV와 함께 추가 캐릭터 공개와, 공개 캐릭터들의 캐스팅이 발표되었는데, 몇몇 캐릭터를 제외하곤 그리 반응이 좋지 않은 편. 쿠죠 죠타로의 경우는 미래를 위한 유산이나 OVA 양쪽 캐스팅이 아닌 새로운 캐스팅, 또 죠르노 죠바나의 경우도 황금의 선풍박로미가 아닌 신 캐스팅, 7부의 캐릭터들도 VOMIC판에서 신 캐스팅으로 갈렸다.
  • 3차 PV가 공개된 후에도 평가가 갈리고 있는데, 일단 가장 호평받고 있는 것은 단연 4부의 죠스케 & 오쿠야스. 죠죠전(展) PV에서부터 찬사를 받아오던 캐스팅이니만큼 이번 PV에서도 가장 알맞는 캐스팅이라고 평가받고 있다.(특히 오쿠야스 역의 타카기 와타루는 이보다 더 오쿠야스의 목소리에 맞는 성우는 없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극찬을 받았다.) 또한 3부도 새로운 성우진에도 만족하는 사람들이 많다. 죠타로의 경우에는 오노가 죠죠 팬심을 보인 덕분에 좋은 이미지가 형성되어 오라오라 러쉬만 고쳐주면 된다는 식의 평으로 바뀌었다.[7]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진짜로 오라오라 러쉬의 목소리가 바뀌었다! 거기에 6부는 3차 PV 이전까지 캐스팅 내지 목소리가 공개된 적이 없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지만, 공개 이후로는 걱정이 쏙 들어간다는 평이다.
  • 5부에서 미스타는 황금의 선풍의 이토 켄타로가 아니라 아쉽다는 반응이 많지만, 그래도 괜찮다는 평이다. 또한 섹스 피스톨즈를 담당하게 된 이마이 아사미는 죠죠 팬으로 유명해서 좋은 연기를 할 것이라 기대받고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죠르노. 원래 황금의 선풍에서 죠르노의 담당 성우였던 박로미의 연기가 매우 호평받던 연기였고, 황금의 선풍에서 위화감을 느꼈던 사람들에게도 나미카와의 연기에는 "이건 좀 아니지…" 라고 할 정도로 혹평하고 있다. 목소리는 맞는다고 하는 의견도 많지만, 역시 맥이 빠지는 무다무다 러쉬가 가장 비판받고 있다. 한번 박로미의 연기를 들어보자. 팬들이 아쉬워 할 수밖에 없다.
  • 7부의 자이로도 상당한 비판을 받았는데, 4차 PV의 대사로 상당히 좋은 평을 얻었다. 죠르노 죠바나도 '나미카와도 하니까 되잖아!' 라든가 '본 실력을 감춰두고 있었다.' 라는 평을 받을 정도로 평가가 좋아졌다.
  • 5차 PV에서 가장 많은 호평을 받은 성우는 바로 나란차 길가 역의 산페이 유코. 아예 팬들로부터 본인이 녹음한 수준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극찬을 받았다. 그밖에 히로세 코이치 역의 박로미 역시 황금의 선풍에서의 죠르노와는 또다른 연기력을 선보이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연기력과는 별개로 목소리가 너무 멋져서 안 어울린다는 평도 있다.
  • 키시베 로한 역의 카미야 히로시의 경우, 나이에 어울리지 않든, 캐릭터에 어울리지 않든, 어쨌든 안 어울린다며 실망한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나, 의외로 아라키 본인의 목소리가 제법 하이톤이라는 사실이 퍼진 이후로는 뭐...
  • 디아볼로도 상당히 호평을 받았는데 3차에선 DIO의 간지가 폭발했다면 5차에선 디아볼로의 간지가 폭발했다며 극찬을 하는 반응이 많다. 특히 도피오 상태에서 웃통을 벗고 정체를 드러내며 등장하던 원작 장면을 움직임에 칸만화 형식을 빌려서 더 극적이고 간지나게 연출해서 대호평을 받고 있다.
  • 이후 새로이 참전이 결정된 엔리코 푸치퍼니 밸런타인도 대호평. 푸치는 오쿠야스, 나란차처럼 캐릭터와 성우가 딱 들어맞아 유저들의 찬사를 자아냈다. 밸런타인 또한 푸치 못지 않은 찬사를 받았는데 "만화책을 읽으며 상상해왔던 그 목소리다!" 란 평을 받았다.

4. 시스템


루리웹의 유저가 작성한 기초 가이드.

4.1. 캐릭터 시스템


  • 각 캐릭터마다 대전시 대사가 모두 다르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범용 대사가 있고 조건을 충족하는 몇몇 대전에서만 특수 대사가 나온다. 홍보하던 것에 비해 대사의 바리에이션이 많이 적다는 비판이 있다. 같은 부에서 등장한 캐릭터들에 대한 특수 대사는 사실상 원작을 그대로 옮겨온 것에 불과하고(다만 달리 보면 원작 재현이라 좋다는 의견도 있다), 그 밖의 특수 대사는 '인간적으로 연결점이 있는' 캐릭터 사이가 아니면 거의 없다. 예를 들어 동일 인물[8]인 키라 요시카게와 카와지리 코사쿠, 친구 사이인 DIO와 푸치[9], 원작에서 만난 적이 있으나 게임에서 등장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한 쪽에서밖에 못 알아보는 죠타로와 죠린 등은 특수 대사 이벤트가 있지만[10] 능력이 유사하다든가 비슷한/상반되는 이상을 가졌다든가 작중 포지션이 비슷한 캐릭터들[11] 사이에도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홀 호스와 미스타가 총을 쓴다는 점을 공유하기 때문인지 특수 대사가 있으며, 홀 호스는 여자에게 상냥하기 때문에(...) 여자 캐릭터 세 명과 특수 이벤트가 있긴 하다. 이외에는 전무하다. 그리고 디아볼로는 누구를 만나더라도 특수 승리 대사가 없다.[12]
특수교섭 정리上특수교섭 정리下
  • 도발 시스템 역시 존재하며, 커스터마이즈로 직접 대사를 바꿀 수도 있다. 상대가 다운되었을 때 도발을 사용하면 플레이가 잠깐 정지되고 시전자의 캐릭터가 확대되며 도발 대사를 외친다. 용호의 권이나 KOF처럼 도발 당할 시에 하트 히트 게이지가 조금 깎인다.#기본도발(A,B) 정리
  • 코스튬을 비롯한 포즈, 효과음, 대사 등을 설정하여 승리 포즈, 도발 포즈로 사용할 수 있다는 커스터마이즈 시스템도 존재한다.[13][14]
  • 디오 브란도, 기둥 속 사내들, DIO는 돌가면 아이콘이 있는데, 이 아이콘이 붙은 캐릭터들은 해가 떠 있는 스테이지에선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캠페인 모드, 온라인 대전에서는 사용 가능. 캐릭터의 특성을 살리고 싶었던 모양인데, 사실 별 의미가 없다.

4.2. 플레이 시스템


  • R1 버튼으로 각 캐릭터마다 존재하는 스타일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복수의 스타일을 가진 캐릭터도 존재.
    • 스탠드 - 대부분의 플레이 캐릭터
R1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스탠드를 On/Off할 수 있다. 미래를 위한 유산에서의 스탠드 활성을 생각하면 편하다.
R1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파문의 호흡으로 하트히트 게이지를 채운다. 파문 전사들은 파문 기술을 강화해서 쓸 때마다 하트히트 게이지가 줄어드는데 이걸 완화시켜주는 시스템. 파문 기술의 강화는 커맨드에 R1버튼을 대신 누르면 된다.
R1 버튼을 누르면 유법이 발동되며 하트히트 게이지가 시전시간 동안 바닥날 때 까지 소모된다. 시전 시간동안 특정 기술들이 강화된다. 이것 외에도 게이지 1개만 소모하는 유법도 있다.
상대의 체력과 하트 히트 게이지를 흡수하는 능력.
승마 모드는 자이로와 죠니가 다운되는 공격에 맞으면 해제된다.
  • 바오 무장현상(암드 페노메논 - 바오
R1버튼을 누르면 하트히트 게이지를 소모해 다음 기술을 사용할 때 슈퍼아머 상태가 된다. 죠죠 본편에 등장한 캐릭터가 아니기에 전혀 새로운 스타일을 사용한다.
위의 캐릭터 시스템과는 달리 소개되지는 않는 특수한 시스템. 상술한대로 해당 캐릭터들은 싱글 모드의 경우 낮 스테이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공격을 당하면 체력 게이지 중 일부가 흰색으로 표시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그만큼 자동회복한다. 다만 중간에 공격당하면 당연히 흰색 게이지도 사라지며 회복도 못한다. 멀티의 경우 상술한대로 스테이지 제약만 풀린다.
  • 스타일이 중복되는 캐릭터의 경우
    • 스탠드가 2개 이상이거나 스타일이 2개 이상인 경우 일부 스탠드는 특정 기술을 통해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개중 일부는 단순 기술 연출로만 등장하며 일부는 잠시동안 정식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캐릭터는 히로세 코이치(기본 에코즈 Act.3, Act 1 & 2는 커맨드 기술 연출로만 등장), 죠르노 죠바나(기본 골드 익스피리언스,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은 GHA 발동 성공시 일정시간동안 등장), 키라 요시카게(기본 킬러 퀸, 시어 하트 어택은 GHA 연출로만 등장), 카와지리 코사쿠(기본 킬러 퀸, 바이츠 더 더스트은 GHA 연출로만 등장), 엔리코 푸치(기본 화이트스네이크, C-MOON은 14개의 단어 모두 말하기로 등장, 메이드 인 헤븐은 GHA 발동 성공으로 등장) 자이로 체펠리(기본 승마술, 볼 브레이커는 GHA 연출로만 등장), 죠니 죠스타(기본 승마술, 터스크 ACT.1 ~ 4는 커맨드 기술 연출로만 등장)
    • DIO와 바닐라 아이스(스탠드 + 흡혈) - DIO와 바닐라 아이스는 기본 스타일은 스탠드이지만 특정 기술로 흡혈이 가능하다. 다만 1부 디오와는 달리 둘의 흡혈은 세분화 되어있지 않고 효율도 약하다.
    • 3부 죠셉 죠스타(스탠드 + 파문) - 3부 죠셉은 기본 스타일은 스탠드이지만 특정 커맨드로 파문 캐릭터들과 같은 파문의 호흡이 가능하다.
  • 게이지 시스템 역시 존재한다. 바로 하트 히트 게이지. 1줄 소비하면 필살기인 하트 히트 어택(약칭 HHA)을, 2줄 소비하면 연출력이 끝내주는 초필살기인 그레이트 히트 어택(약칭 GHA)을 발동할 수 있다. 그레이트 히트 어택은 L1버튼으로 간편하게 발동할 수 있다.
  • 하트 히트 어택과 그레이트 히트 어택의 경우 원작에서 나온 요소들을 거의 그대로 반영했다. 예를 들어서, DIO의 그레이트 히트 어택인 로드롤러와 쿠죠 죠타로의 그레이트 히트 어택인 '네놈은 날 화나게 했다'를 쓸 경우, 대전 시간까지 흐르지 않으며, 바이츠 더 더스트를 쓸 경우 대전 시간이 10초 늘어난다.[15]
  • 하트 히트 어택, 그레이트 히트 어택이라해서 공격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레이트 히트 어택으로 스탠드가 변하거나 특정 모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카즈의 경우 완전생물이 되고, 죠르노 죠바나는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 엔리코 푸치의 경우 메이드 인 헤븐, 죠니 죠스타의 경우 액트3에서의 HHA 혹은 액트 상관없이 GHA를 쓴 순간 곧바로 액트4가 된다. 하트 히트 어택의 경우도 폴나레프와 디아볼로는 버프계 기술이다.
  • 이지 비트 : □버튼을 연타하면 자동으로 약-중-강-커맨드기-하트 히트 어택 순서대로 콤보가 나간다. 게임의 허들을 낮추고, 초보자들을 위한 시스템. 문제는 이게 기본 대전 시스템이라 이지비트를 끌수가 없어서 고수들은 짤짤이를 하기 힘들다는 불평을 한다. 의도는 좋으나 아쉬운 점. 그런데 게임에 고인물들만 남고, 연구가 진행되며 이 이지 비트를 이용한 온갖 버그성 콤보들이 가능한 것이 발견되어버렸다. 역시 망겜. 이지 비트 버그 콤보의 수혜를 많이 본 캐릭터는 푸치와 카즈
  • 타이밍 좋게 상대의 공격을 가드하면, 가드 게이지를 소모하여 죠죠서기를 하면서 상대의 공격을 회피하는 스타일리쉬 무브(약칭 SM) 시스템이 존재한다. 저스트 가드에 성공할 경우 죠죠서기 포즈를 취하는 셈. 다만 전술한 ↙↓↘↓↙↓↘…를 반복하는 비비기 가드를 하면 잡기를 제외한 상대방의 공격을 거의 다 피할 수 있다.
  • 시츄에이션 피니시 : 특정 조건을[16] 갖춘 상태에서 HHA 이상 기술로 승리하면 발동하여, 통상의 K.O 연출 대신 원작을 재현한 것으로 바뀐다. 일례로 DIO의 저택 스테이지에선 크림이 뚫은 저택 벽의 구멍을 향한 상태에서 상대를 HHA 이상 기술로 리타이어 시키면 원작에서 바닐라 아이스가 저택 벽의 구멍으로 나가떨어진 그대로 리타이어 당한 캐릭터가 나가떨어진다. 참고로 이걸 당한 캐릭터가 바닐라 아이스와 같은 흡혈귀 캐릭터라면 원작의 바닐라 아이스처럼 불타서 재가 되어 죽는다.
  • 러시 모드 : 캐릭터가 주먹을 연타하는 필살기끼리 충돌한 경우 발생하는 모드로 정해진 시간동안 버튼 연타 이벤트가 뜨고 캐릭터들끼리 주먹질을 주고 받다가 버튼을 더 많이 연타한 플레이어의 캐릭터가 승리하는 시스템. 오라오라 VS 무다무다 같은 이벤트의 연출도 시점이 변화하는 정도를 제외하면 미래를 위한 유산과 동일. 물론 기합음이 다르다면 다른 기합이 화면에 표시된다. 다만 모든 캐릭터가 가능한 것은 아닌데 러쉬기가 없는 캐릭터는 물론이거니와 에코즈헤븐즈 도어 등 러쉬기를 가진 캐릭터가 있으나 이들의 러쉬로는 발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캐릭터의 러시모드 대응 보이스는 존재한다!!
  • 대응 캐릭터
    • 죠나단 죠스타[17]
    • 쿠죠 죠타로
    • DIO
    • 장 피에르 폴나레프
    • 히가시카타 죠스케(4부)
    • 니지무라 오쿠야스[18]
    • 죠르노 죠바나
    • 브루노 부차라티
    • 귀도 미스타[19]
    • 나란차 길가
    • 쿠죠 죠린
    • 죠니 죠스타
    • 히가시카타 죠스케(8부)
  • 체력이 일정 수치 아래로 떨어지면 캐릭터에 따라 고고고 모드각오 모드가 발동된다. 발동조건인 체력수치는 고고고 모드보다 각오 모드의 수치가 더 낮다. 즉 고고고 모드 캐릭터보다 더 낮은 체력에서 발동된다는 것. 사실 많은 사람들이 무슨 기준으로 이걸 나눈 것인지 공감하지를 못한다. 제작진 나름대로 원작에서 캐릭터마다 위기 상황에서 분노가 더 부각되었느냐 각오가 더 부각되었느냐에 따라 가른 것으로 추정된다.
    • 고고고 모드 : 공격력과 공격시 얻는 히트 게이지가 증가하며 캐릭터가 붉게 빛난다,
      • 아래에 서술된 캐릭터를 제외한 전부
    • 각오 모드 : 공격력과 피격시 얻는 히트 게이지가 증가하며, 상시 하이퍼 아머가 발동하며 캐릭터가 노랗게 빛난다. 대부분은 5부의 주인공 파티이지만 예외적으로 에르메스만 6부 인물이다.
  • 발끈 콤보 : 기술 도중에 하트 히트 게이지를 1줄 소비해서 기술을 강제로 캔슬한다. 길티기어 시리즈의 로망 캔슬이랑 동일하며, 공격버튼 세개를 동시에 누르는 것 혹은 L2버튼으로 발동.
  • 스탠드 러시
스탠드 캐릭터만이 쓸 수 있는 캡콤 죠죠 격겜의 탄뎀 콤보를 연상케 하는 시스템. 스탠드 모드에서만 사용가능하며 스탠드 러시 대응 기술사용시 스타일 버튼을 누르면,스탠드는 그대로 필살기를 구사하면서 사용자는 강제로 본체모드로 전환되면서 경직이 줄어든다.[20] 이를 이용해 기술의 빈틈을 줄이거나 스탠드와 협공도 가능하며 스탠드 러시를 이용한 전용 콤보도 가능하다.

단, 발끈캔슬과는 다르게 스탠드는 필살기를 구사하는 동안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스탠드가 공격당할 위험도 있다는 것과, 스탠드가 남아 있는 동안은 스탠드가 나오는 통상기나 특수기, 필살기등을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스탠드 러시를 이용한 콤보시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 기믹 시스템 : 맵의 특정 지점에서 다운될 경우 방해 기믹이 원작과 거의 동일하게 발동된다. 이집트 카이로 시내, 윈드 나이츠 로드의 성 같은경우 웬만한 하트 히트어택 만큼 데미지를 준다. 이러한 맵 기믹을 잘 활용하는 것도 게임의 승리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공중에 적당히 띄워놓고 오래 히트하는(오라오라 등) 스킬을 맞추고 있다면 경우에 따라 맵 기믹에 상대가 한 번에 여러 방 맞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GHA 이상급의 데미지가 뽑힌다. 귀찮으면 그냥 스테이지 셀렉트창에서 □버튼으로 기믹이 발동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5. 스테이지 일람


  • Part 1 윈드나이츠 로트에 있는 디오의 성.[21]
  • Part 2 전차전을 벌이는 투기장.[22]
    • 배경 캐릭터는 두건을 쓴 카즈리사리사. 이 맵에서 리사리사나 카즈로 플레이시엔 해당 캐릭터가 배경에 등장하지 않는다. 리사리사 vs 카즈의 경우 둘 다 등장하지 않음.
  • Part 3 DIO의 저택.[23]
    • 배경 캐릭터는 얼치기와 DIO. DIO의 저택은 DIO를 선택하면 DIO가 배경에 등장하지 않는다. 특이하게도 DIO가 아닌 1부 디오를 선택해서 플레이해도 배경에서 DIO가 사라진다.
  • Part 3 카이로 시내[24]
  • Part 4 아톰 하트 파더의 사진 속의 키라 요시카게의 집[25].
  • Part 4 모리오초[26]
  • Parte 5 나폴리(네아폴리스) 기차역[27].
  • Parte 5 콜로세움 근처[28]
  • Part 6 GDst.형무소의 공터[29]
  • Part 6 케네디 우주센터[30]
  • Part 7 자이로 & 죠니 vs 대통령의 대결이 펼쳐졌던 곰 출몰 주의 표지판이 있는 바닷가.[32]
    • 배경 캐릭터는 루시 스틸[31]스티븐 스틸.
  • Part 8 벽의 눈.[33]

6. 참전 캐릭터 일람



6.1. 플레이어블 캐릭터



6.1.1. 1부 팬텀블러드



6.1.2. 2부 전투조류


  • 죠셉 죠스타 (CV. 스기타 토모카즈)[34]
  • 시저 체펠리 (CV. 사토 타쿠야)
  • 와무우 (CV. 오오츠카 아키오)
  • 에시디시 (CV. 후지와라 케이지)
  • 카즈 (CV. 이노우에 카즈히코) →얼티밋 씽 카즈

6.1.3.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6.1.4.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 히가시카타 죠스케 (CV. 하타노 와타루) & 크레이지 다이아몬드[37]
  • 니지무라 오쿠야스 (CV. 타카기 와타루) & 더 핸드[38]
  • 히로세 코이치 (CV. 박로미) & 에코즈 Act. 1~3[39]
  • 키시베 로한 (CV. 카미야 히로시) & 헤븐즈 도어[40]
  • 오토이시 아키라 (CV. 모리쿠보 쇼타로) & 레드 핫 칠리 페퍼[41]
  • 카와지리 코사쿠(=키라 요시카게) (CV. 코야마 리키야) & 킬러 퀸 & 바이츠 더 더스트 + 고양이풀 & 스트레이 캣[42]

6.1.5. 5부 황금의 바람


  • 죠르노 죠바나 (CV. 나미카와 다이스케) & 골드 익스피리언스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CV. 와타나베 미사)[43]
  • 브루노 부차라티 (CV. 스기야마 노리아키) & 스티키 핑거즈[44]
  • 귀도 미스타 (CV. 아카바네 켄지) & 섹스 피스톨즈 (CV. 이마이 아사미)[45]
  • 나란차 길가 (CV. 산페이 유코) & 에어로스미스[46]
  • 디아볼로 (CV. 모리카와 토시유키) + 비네거 도피오 (CV. 이시다 아키라) & 킹 크림슨[47]

6.1.6. 6부 스톤 오션


  • 쿠죠 죠린 (CV. 사와시로 미유키) & 스톤 프리[48]
  • 에르메스 코스텔로 (CV. 요네모토 치즈) & 키스[49]
  • 엔리코 푸치(CV. 하야미 쇼) & 화이트스네이크 (CV. 키리모토 타쿠야) → C-MOON (CV. 키리모토 타쿠야) → 메이드 인 헤븐[50]

6.1.7. 7부 스틸 볼 런


  • 죠니 죠스타 (CV. 카지 유우키) & 터스크 Act. 1~4 & 슬로우 댄서[51]
  • 자이로 체펠리 (CV. 미키 신이치로) & 철구 & 볼 브레이커 & 발키리[52]
  • 퍼니 밸런타인 (CV. 카세 야스유키) & D4C[53]

6.1.8. 8부 죠죠리온



6.1.9. DLC 추가 캐릭터


  • DLC 1탄 모리오초에 도사린 어둠(杜王町に巣食う闇) - 8월 29일~
    • 키라 요시카게 (CV. 코야마 리키야) & 킬러 퀸 & 시어 하트 어택 (CV. 카시와쿠라 츠토무)[54]
    • 얀구 시게키요 (CV. 야마구치 캇페이) & 하베스트[55]
  • DLC 2탄 영악한 야수(どう猛な野獣) - 9월 12일~
    • 이기 (CV. 치바 시게루) & 더 풀
    • 판나코타 푸고 (CV. 오다 히사후미) & 퍼플 헤이즈퍼플 헤이즈 디스토션 (CV. 에가와 히사오)[56][57]
  • DLC 3탄 파문의 달인(波紋の達人) - 9월 26일~
    • 리사리사 (CV. 타나카 아츠코)
    • 3부 죠셉 죠스타 (CV. 스기타 토모카즈) & 허밋 퍼플[58]
  • DLC 4탄 공포의 처형자(恐怖の処刑人) - 10월 24일~
    • 바닐라 아이스 (CV. 요시노 히로유키) & 크림[59]
    • 나르시소 아나수이 (CV. 나카무라 유이치) & 다이버 다운[60]
  • DLC 5탄 이것이 바오다!!(これがバオーだッ!!) (최종 DLC) - 11월 14일
    • 하시자와 이쿠로(=바오) (CV. 우치야마 코우키/나레이션 오오카와 토오루[61])

6.2. 비플레이어블 캐릭터



6.2.1. 스테이지 기믹


  • Part 3
  • Part 4
    • 카와지리 하야토 (CV. 사토 유우코)[62]
    • 키라 요시히로 (CV. 시마다 빈) & 아톰 하트 파더[63]
    • 스기모토 레이미 (CV. 히로하시 료)[64]
  • Parte 5
    • 세코 (CV. 시모노 히로) & 오아시스[65]
    • 프로슈토 (CV. 테라시마 타쿠마) & 더 그레이트풀 데드[66]
    • 펫시 (CV. 후쿠마츠 신야) & 비치 보이[67]
  • Part 6
    • 웨더 리포트 (CV. 오오카와 토오루) & 웨더 리포트[68]
    • 엠포리오 엘니뇨 (CV. 키타니시 쥰코) & 버닝 다운 더 하우스[69]
  • Part 7
  • Part 8

6.2.2. 카메오


  • Part 1
    • 로버트 E.O. 스피드왜건 (CV. 우에다 요우지)[70]
    • 에리나 펜들턴 (CV. 카와스미 아야코)
    • 죠지 죠스타 (CV. 스가와라 마사시)[71]
    • 왕 첸 (CV. 나카 히로시)[72]
    • 다이어 (CV. 타케토라)[73]
    • 디오의 시생인들
  • Part 2
    • 루돌 폰 슈트로하임 (CV. 이마루오카 아츠시)[74]
    • 로긴즈 (CV. 나카노 유타카)[75]
    • 메시나 (CV. 나카무라 히데토시)[76]
  • Part 3
    • J. 가일 & 행드 맨 (CV. 타치키 후미히코)
    • 저주의 데보 (CV. 이시즈카 운쇼) & 에보니 데빌[77]
    • 엔야 할멈 (CV. 미와 카츠에) & 저스티스[78]
    • 카메오 (CV. 오오토모 류자부로) & 저지먼트[79]
    • 다니엘 J. 다비 (CV. 이시이 코우지) & 오시리스신[80]
    • 오잉고 (CV. 후지모토 타카히로) & 크눔신 + 보잉고 (CV. 스가누마 히사요시) & 토트신[81]
    • 테렌스 트렌트 다비 (CV. 스와베 준이치) & 아툼신[82]
    • 카이로의 걸인 (CV. 미야자키 히로무)[83]
  • Part 4
    • 죠셉 죠스타 (CV. 스기타 토모카즈)[84] & 허밋 퍼플
    • 스기모토 레이미 (CV. 히로하시 료)[85]
    • 코바야시 타마미 (CV. 타나카 카즈나리) & 더 록[86]
    • 하자마다 토시카즈 (CV. 마츠노 타이키) & 서피스[87]
    • 토니오 트루사르디 (CV. 마츠바라 다이스케) & 펄 잼[88]
    • 오오야나기 켄 (CV. 히노 미호) & 보이 투 맨[89]
    • 미야모토 테루노스케 (CV. 나루세 마코토) & 이니그마[90]
  • Parte 5
    • 레오네 아바키오 (CV. 쿠스노키 타이텐) & 무디 블루스[91]
    • 멜로네 (CV. 노지마 켄지) & 베이비 페이스[92]
    • 기아쵸 (CV. 스즈키 타츠히사) & 화이트 앨범[93][94]
    • 쵸코라타 (CV. 우치다 나오야) & 그린 디[95]
  • Part 6
    • 엠포리오 엘니뇨 (CV. 키타니시 쥰코) & 버닝 다운 더 하우스[96]
    • 푸 파이터즈 (CV. 시라이시 료코) & 푸 파이터즈[97]
    • 켄조 & 드래곤즈 드림 (CV. 니시와키 타모츠)[98]
    • 도나텔로 베르사스 (CV. 미야시타 에이지) & 언더 월드[99]
  • Part 7
    • 포코로코 (CV. 카와즈 야스히코) & 헤이 야![100]
    • 이웃 세계의 디에고 브란도(CV. 코야스 타케히토)[101] & THE WORLD[102]
    • 스티븐 스틸 (CV. 오가타 미츠루)[103]
    • 링고 로드어게인 (CV. 야스모토 히로키) & 맨담[104]
    • 웨카피포 (CV. 나리타 켄) & 렉킹 볼[105]

7. ASB 리그


발매하기 전 게임 홍보를 위한 CPU 배틀 리그가 개최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League 문서 참고.

8. 스토리 모드


스토리모드는 각 부의 이야기를 각 부의 죠죠를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하여 진행하는 CPU 대전 모드이다. 따라서 1부부터 8부까지 마련되어 있다. 스토리는 당연히 원작을 그대로 따른다. 스토리 모드 전용 대사도 있어 대전에 들어가면 일반 대전모드에서는 볼 수 없는 대사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문제점이 있으니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들만이 스토리모드에 참전한다.''' 물론 대전게임이고 이미 만들어진 캐릭터로 참여하는 것 자체는 나쁘지 않다. 문제는 각 부마다 참전 캐릭터의 수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몇몇 부는 구성이 매우 부실하다. 참전 캐릭터가 많은 5부까지는 스토리 모드가 얼추 볼륨이 되지만, 6부 부터는 캐릭터가 너무 적어서 볼륨이 확 줄었다는 느낌을 피할 수 없다. 일례로 6부는 '''푸치 신부와 3번 싸운다.''' 물론 그 3번의 푸치는 각각 화이트스네이크, C-MOON, 메이드 인 헤븐 버전으로 나뉘어져 있어 어떻게 보면 다른 캐릭터들이기는 하다. 더불어 원작에서도 이 3가지 버전 푸치와 격돌해 본 적이 있으니 일단 원작을 어긴건 아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동일인물이라 게이머가 새로운 적과 싸운다는 느낌을 받기가 어려운 게 탈이다. 8부는 아예 죠스케 말고는 나온 캐릭터가 없어서 결국 이전 부들의 주인공들(+바오 포함)로 싸운다는 심플한 땜빵으로 때웠다.
따라서 그 외 스토리들은 죄다 나레이션으로 때웠다. 여기까지는 좋은데... 문제는 이 뒤에 컷신 하나도 안 넣고 그냥 정해진 배경화면 하나로 전부 때웠다는 점이다. 3부 스토리면 죠타로 얼굴 배경만 계속 보게 된다. 차라리 나레이션이 설명하는 장면을 재구성한 화면을 배경으로 넣었더라면 그나마 볼거리라도 더해졌을 텐데, 이건 사실상 드라마 CD와 다를바가 없다.
이런 상황이니 당연히 스테이지가 바뀌는 건 기대할 수 없다. 일례로 3부 스토리는 전부 다 카이로 시내 스테이지에서 진행한다. 즉 감옥에 들어간 죠타로를 꺼내려는 압둘은 감옥이 아닌 카이로 시내에서 싸우고, 죠스타 일행을 습격한 폴나레프는 홍콩이 아닌 카이로 시내에서 싸우고, 폴나레프와 홀 호스는 인도가 아닌 카이로 시내에서 싸운다. 때문에 스테이지 기믹인 윌슨 필립스 상원의원은 계속 나온다.
뭣보다, 이전 죠죠 게임인 캡콤의 미래를 위한 유산에서는 마찬가지로 등장 가능한 캐릭터들로만 스토리 모드를 짠 건 동일하지만, 할 수 있는 장면들은 전부 화상으로 만들거나, 정 안되면 원작 코믹스 장면이라도 끼워넣어 적어도 볼거리는 확실히 확보했다.[106] 그리고 PS판 한정이지만 슈퍼 스토리 모드에서는 정식 플레이어블이 아닌 캐릭터들도 미니게임의 형식으로 등장하게 만들어 좀 더 다양한 캐릭터들을 등장시켰고, 더불어 이를 통해 미니게임이라는 새로운 즐길거리도 선보이는 두마리의 토끼를 잡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런 판국에 한참 더 뒤에 나온 작품인 올스타 배틀이 10여년 전에 나온 작품만도 못한 심심한 완성도를 자랑하니 팬들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9. 발매 후 평가


'''발매전엔 죠죠러의 희망이었으나, 발매후 충격과 공포를 안겨준 문제작.''' 발매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무한콤보가 쏟아져 나왔다. 그래픽, 사운드, 연출, 원작재현 시스템, 모델링, 홍보 등 당시로선 다 했다고 봐도 무방한 '''초유의 퀄리티'''를 보여줬지만 발로 만든 스토리 모드, 무한콤보 밸런스, 스테미너 충전이 필요한 트라이얼 모드로 '''전부 말아먹었다.'''
'''제작진의 근성으로 발매 3개월만에 쿠소게에서 일순 후의 세계에 도달했으나 유저는 이미 한참 전에 빠져나갔고 평판은 나빠질대로 나빠져 묻혔다.''' 이정도로 잘할거라면 그냥 3개월 연기해서 발매했으면 이렇게 말아먹진 않았을 것이다. 발매후 2개월 시점인 2013년 10월 11일 1.03 패치로 문제점이 죄다 사라져 신(神) 패치가 되었으며, 발매후 3개월이 되는 2013년 11월 28일, 1.04 패치가 나오면서 명작반열로 평가가 역전되었으나 이미 늦은 뒤였다. 그나마 1.05패치로 재도약을 하는가 싶었지만...
이 갖은 문제점들에 대한 것들은 후술되어 있다. 차츰차츰 이어지는 패치에 의해 개선되었기에, 갖은 문제점들을 그대로 안고 떡하니 발매되어버렸다는 점은 규탄받아 마땅하다. 1.03 패치 이후 많은 문제점이 사라지고, '''PDF 26장 분량'''의 1.04 패치 이후 예토전생 성공이라는 평가로 회귀했지만.. 유저 대부분은 팔아버린지 오래다.

9.1. 대전게임의 측면에서


"죠죠 ASB는 아트와 캐릭터를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게임으로 '''엄밀히 말하면 격투게임은 아니다.''' 하지만 온라인 대전 등 기본적인 기능과 형식은 갖추고 있다."
- 사이버커넥트2 대표, 마츠야마 히로시 #
발매 전, 기대를 한몸에 받던 때부터 제작사 측에서는 '''캐릭터 게임'''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장르 또한 어디까지나 '''죠죠 게임'''이라고. 물론 외적으로는 격투 장르를 표방한 만큼 그쪽에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지탄받아야 하지만, 이를 까이니까 괜히 갖다붙인 변명이라고 여기는 건 옳지 않다.
그러나 밸런스 문제가 터진 이후에도 캐릭터 게임임을 유달리 어필했고, 나루티밋 시리즈에서 애니표현을 많이 해온 만큼 아라키 선생님의 수려한 그림을 재현하는 게 목표였다고 동문서답한 것을 보면 발매 초반에 반응이 영 싸하자 어느 정도 면피용으로 핑계댄 것은 맞다.

9.1.1. 패치 전 반응


'''"네가! 울 때 까지! 때리는 걸 그만두지 않겠어!"'''

죠나단 죠스타

이 게임은 발매된 지 1주일도 안 돼서 '''아주 간단히 행해지는 지독한 무한콤보'''가 쏟아져 나왔고, '''하루에 한 개씩''' 무한콤보가 발견되고 있다. 대전게임으로서의 밸런스는 기대할 수 없는 수준. 심지어 기차역 스테이지에선 '''전 캐릭터'''가 무한콤보가 가능. 바로 긴급히 패치를 배포하긴 했지만, 여전히 게임이 막장인건 변하질 않았다. 대부분의 무한 콤보가 실려있는 사이트(니코동) [107]
최소한 북두의 권의 일격콤보는 나름 조건도 복잡하고 입력도 세세하게 해야 되는, '''상당한 고급 테크닉'''에 속하는 터라 이 정도까지 경우가 없진 않다.[108] 일단 이지 비트같은 시스템은 선택 여부조차 불가능하니... 또한 니코동에 버그 영상이 올라왔는데 DIO의 더 월드의 효과가 끝나지 않아 캐릭터가 내려오지 않는 버그 영상까지 올라왔다. 이쯤 되면 디버깅을 해서 게임을 발매한 건지도 의심스러울 정도다.
무한콤보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고 보면, 1프레임만에 점프가 되기 때문에 점프 공격이 '''매우''' 강하고, 이것을 제대로 커트할 대공기가 매우 적다.[109] 그래서 점프 공격만 하는 통칭 메뚜기 전법이 유행했다.
허나 이 점프 공격을 파해하기 위해 유저들이 연구한 결과, 이 게임은 중단 공격이 들어올 때 하단 가드를 시도해도 자동으로 스타일리쉬 무브가 나가기 때문에 ↙↓↘↓↙↓↘…식으로 하단으로 빠르게 입력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가드를 지속해 점프 공격을 파해했고, 이러한 가드 유지를 파해하는 방법으로 리스크가 적은 잡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잡기에는 점프공격...이러한 식으로 가드 유지 >> 점프 공격>> 잡기 >> 가드 유지...식의 정말 기묘한 가위바위보 밸런스가 확립되었다.
그 외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 캐릭터들의 히트박스나 기술도 대부분 비슷해, 플레이 방식이 상당히 흡사한 캐릭터가 많다.
  • 1 프레임으로 승부가 갈리기 쉬운 특성상 부드러운 움직임이 생명인 대전액션게임인데 30fps 밖에 되지 않아 실제로 보면 동작이 굉장히 굼뜨고, 프레임 저하도 꽤 자주 보인다.
  • 너무 허술한 CPU의 AI. 올스타 배틀 리그의 움직임에서 발전이 없다.
  • 데이터 인스톨을 해도 대전당 로딩이 15초가 넘어서 템포를 끊는다.
  • 낙법중에 무적시간이없고 철권 시리즈처럼 낙법이 많지도 않아 반격을 노리기 어렵다. [110]
  • 발매 초기에는 다운됐을 때 컷인 연출이 있는 도발이 시전시간이 길고 이득이 별로 없기 때문에[111] 대전 템포를 해친다는 비평이 있었다. 그런데 도발시 강제로 제자리 기상을 하는데 이 제자리 기상에서 피격 판정이 존재하는 구간이 있다는 점이 발견되면서 도발을 콤보에 끼워넣는 기묘한 도발 콤보가 유행하기도 한다. 장풍기를 깔아두고 도발을 써서 콤보를 이어나가는 것. 이는 차후 패치에서 정식으로 시스템화되었다.
  • 대부분 노게이지 콤보의 데미지가 낮으며, 상기한 프레임 문제와 미묘하게 느린 기상속도가 겹쳐서 대전 템포가 일반적인 격겜에 비해 좋지 않다.
온라인 대전도 악평이 많다. 우선 관람이 불가능하며, '''심심하면 렉이 걸려 플레이가 불편하다고 한다.'''
여담으로 현지의 팬들은 게임의 문제점이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하자 예의 '''오노 보고 있나?''' 라는 반응을 보였지만, 게임이 상상 이상으로 심각하자 이게 '''오노 도와줘!!''' 로 발전되었다.

9.1.2. 패치 1.02버전


2013년 9월 10일 1.02버전.
무한 콤보만을 의식한 탓에, 공중에 있는 상대에게 '''4번 이상''' 공격을 맞출 시 중력이 작용하여 상대가 강제다운되게 바뀌었다든가, 공격에 선딜과 후딜이 길어져 특정콤보가 이어지지 않는다든가 등등, 대체로 무한콤보 방지 중심의 패치가 이루어졌다.
콤보를 중심으로 하는 격투게임의 경우 무한 콤보 대비책으로 히트수 증가에 따라 히트백을 증가시켜 종국에는 무한이 불가능하게 만들지만, 문제점은 이를 히트수에 따른 '''강제 중단으로 막아버려 기존 콤보도 막힌다.''' 제대로 버그를 잡으려 시도했다기보다는 우선 급한 불부터 끄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런 조악한 임시방편이 그나마 있던 게임성마저도 해쳐버린 것.
이로 인해 근간의 다른 쿠소게들은 패치를 거듭해 어느정도 나아지지만 이 게임만은 그렇게도 안 되는, 답이 없는 게임이라는 인식이 많아져서 조롱하는 안티들과 절망하는 팬들이 섞여 아우성이다. 결국 패치 당일날 2ch에서 급기야 상품파괴인증까지 올라오고 말았다.
패치 후 '''도발을 이용한 새로운 가불 공격법'''이 발견되었는데[112] 상대가 다운되었을 때 줌인 연출이 있는 도발을 행할 시 상대가 강제로 기상한다는 점과 이 찰나의 순간에는 피격 판정이 존재하며 가드가 불가능한 점을 이용한 방법인데, 타이밍 맞게 장풍계열의 공격을 깔아두고 도발을 해서 상대를 강제로 일으킨 뒤 미리 깔아둔 장풍을 맞게 하는 것이다.[113] 이후 장풍을 깐 캐릭터는 도발을 캔슬하고 대쉬하여 이어서 콤보를 먹일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이 공격법은 장풍계열이 존재하는 캐릭터들만 가능하며, 그마저도 대부분의 캐릭터들이 발끈캔슬을 사용해야만(즉, 기게이지를 소모해야만) 다운 타이밍에 맞춰 공격을 깐 뒤 콤보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특정 캐릭터 몇몇을 제외하곤 게이지 소모 없이 깔아둘 수 있는 상황은 한정적이며, 데미지로나 압박용으로나 메리트도 거의 없는 수준이었으나 이후 거듭된 연구로 실전에서 양상을 바꿀 정도로 가치가 상승하였다.
가불 버그지만 콤보로 이용하더라도 몇몇 캐릭터들을 제외하고 묘하게 게이지대비 데미지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지라, 유저들은 이전까지 격투게임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도발 콤보라며 신선하다 및 이 버그는 괜찮다는 평가가 주류. 그래서인지 이 도발 콤보는 1.03 패치 이후에서도 컷인 도발을 처음 시전할 때만 피격 판정이 존재하도록 바뀌어서 라운드당 딱 한번 가능하도록 조정되는 대신 정식으로 채용되었다.
2013년 9월 27일 게임포커스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4년에 죠죠 ASB 완전판을 북미에 출시한다며, '''죠죠 게임은 ASB를 시작으로 향후 10년 이상 갈 컨텐츠'''라고 호언장담 했는데, 이 당시 얻어먹은 욕을 생각하면 웃음이 나올 정도(..)

9.1.3. 패치 1.03버전


2013년 10월 11일 1.03버전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밸런스, 대전의 템포, 캔슬기 및 콤보''' 등, 그간 유저들이 언급한 문제점들이 조정되면서 평가가 바뀌었다.
통상기를 캔슬하고 스탠드를 꺼낼 수 있는 '''퀵 스탠드 온''' 시스템이 추가되었고, 점프기의 밸런스 조정 및 '''기본기와 특수기에서 캔슬해서 GHA를 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캐릭터의 체력과 데미지가 조정되고, 전캐릭터 잡기 데미지 향상, 기상시간 통일, 가드 게이지와 스타일리쉬 무브 시스템이 조정되면서 루즈했던 '''전투의 템포가 빨라졌다.'''
말이 많았던 DIO와 디아볼로의 회피기 또한 필요 게이지가 대폭 상승하면서 너프. 이전 패치로 줄어들었던 연출 시간이 원상복귀 되고, 폴나레프나 디아볼로 등, HHA가 강화기나 회피기인 캐릭터의 경우 이지 비트에서는 HHA가 발동되지 않도록 수정되었다.
또한 도발을 이용한 강제기상 콤보는 같은 콤보상에서 두 번 이상 발동할 경우 상대가 1프레임간 무적 상태가 되도록 수정하면서, 사실상 '''도발 콤보를 공격법중 하나로 하는 시스템의 일환'''으로 차용했다. 유저들의 테크닉을 제작진들이 공식적으로 인정한것이다.
위와 같이 패치를 통해 여러 문제점을 조정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모든 문제가 수정된 것은 아니며, '''드디어 격투 게임이 되었다'''는 것이 주된 평. 그간 지적받았던 밸런스 수정이 중점이 되었던 만큼 마이너스에서 제로로 돌아간 패치라고.
하지만 1.03버전 패치를 통해서 '''하면 된다'''는 것을 유저들에게 보여 주었기에, 12월중에 예정된 다음 패치의 여하에 따라 어떻게 될 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패치 직후의 주된 반응이다.

9.1.4. 패치 1.04버전


2013년 11월 28일, 1.04버전으로 업데이트가 예고보다 좀 더 앞서 이루어졌다.
'''PDF 26장 분량의 갈아엎기 수준의 근성 패치'''로 점프의 성능 조정, 가드게이지 세분화 및 각종 시스템 패치와 더불어 '''거의 전 캐릭터가 고화력 콤보를 쓸 수 있도록''' 패치되었다. 승마 캐릭터들은 '''퀵 기승'''이 가능해졌으며, 유법 캐릭터들에게 와무우를 제외하곤 별 쓸데없던 유법류 기술들이 상향되었으며 요상하던 체력 밸런스와 데미지 밸런스가 맞춰졌다.
그로 인해 드디어 공방을 하면서도 '''3분 이내로 3라운드가 끝날 정도'''로 게임 전개 양상이 더욱 빨라졌으며, 퀵 스탠드 온과 캔슬 가능해진 기술들이 늘어나면서 캐릭터들이 빈사상태에서도 게이지 2~3줄이면 '''일발 역전'''이 가능하게 되어 좀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실전용으로 메리트가 없어 잘 쓰지 않던 기술들도 상향을 받았다.
여담으로 팬들의 반응은 '처음부터 이렇게 나왔다면 얼마나 좋았겠냐'는 반응. 하지만 이것도 잠시고 시간이 흐른 후 자잘한 버그상당히 발견되었기 때문에[114] 완전무결하진 않았고, 1.05 버전의 패치를 염원하는 팬들이 스레까지 세웠다.
결국 저조한 이용자 수 때문인지 이후 패치는 등장하지 않고 2013년 9월 27일에 제작진이 2014년에 유럽판을 죠죠 ASB 완전판으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 만큼 2014년 4월 해외 측에서만 1.04 패치에서 추가한 '''1.04+''' 패치가 공개된 후, 2014년 12월 말 후속작의 PV가 공개되었다.
여담으로 1년이 지난 후에도 남은 골수 유저들에 의해 랭킹 매치 영상이 일본과 해외 양쪽에서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막으로 해설을 달아 올리는 '유저'가 있다. 게임 시스템적인 요소나 캐릭터간 상성 관계, 심리전과 버그 [115] 등을 알기 쉽고 심도있게 설명해 놓아 게임에 입문하는 유저라면 많이 도움이 된다. 다만 업로더 본인은 ASB라는 게임 자체에 대해선 회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속눈썹'이라는 유저의 댓글 참조. (사실 영상 내에서도 종종 자막으로 게임을 쓰레기라고 까긴 한다)
최근 꾸준히 ASB매치 영상을 올리는 한국 유저 들도 늘고있는 추세였지만 이제는 그 유저들도 전부 이탈해 한 명밖에 없다. 그 한 명도 스트리밍 하면서 매칭 잡으며 하는 음악 방송이 본 컨텐츠라는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이고 매칭도 사실상 시청자 몇 명이 하는 것 빼고 진짜 유저랑 하는 경우는 더더욱 드물다.
여기까지 보면 좋아보이지만, 퀵 기승은 죠니, 쟈이로 둘 다 높은 확률의 '''프리즈 버그''' 때문에 못 쓸 정도가 되었고, '''멀티환경'''은 여전히 썩 좋다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비비기 가드'''가 해결되지 않았다. 뒤쪽으로 타이밍맞춰 가드하면 공격을 피하는데, 뒤쪽 아래로 레버를 비비기만 해도 중하단을 '''스타일리시 무브'''로 다 피해버리는 막장 상태가 되었음에도 고치고 있지 않는 상태.
그냥 앞쪽으로 바꾸거나 레버를 비벼도 스타일리시 무브의 허용시간이 초기화되지 않는다든지 등으로 변경하면 될 것을 냅두고 있으니 비비기 유저가 속출하였고, 알아서 봉인하는 유저들끼리 싸우지 않는 한 '''중하단 심리전이 막장인 상태.'''
요약하자면 1.04패치 이후 발매 초기보다야 사정은 많이 나아졌으나 세간의 인지도와 평가 자체는 여전히 시궁창으로 남은 게임이 되었다. 제작사측에서 직접 쿠소게에서 탈출한 모습을 보여주는 추가적인 홍보를 하지 않는 이상 변할 기미가 없다.

9.1.5. 패치 1.05버전


15년 2월 9일날 1.05패치가 되었는데.. 막상 뚜껑을 까보니 1.04+라 취급받던 '''북미판과 똑같은 내용'''이었다.
  • 아케이드 모드 추가.
  • AI가 세분화.
  • 강캐릭터들의 화력 약화 및 특정 캐릭터의 소소한 상하향.
전반적으로 키라 요시카게를 제외한 화력 캐릭터들의 화력이 조금 낮아졌고, DIO가 심하게 하향되었으며 카와지리 코사쿠가 크게 상향을 받았다.
허나 북미판 버젼은 이미 '''14년 4월'''에 개봉했었기에 이럴꺼면 북미판이 릴리즈될 때 같이 업데이트하지 왜 10개월이나 지나서 패치내용을 그대로 복붙해놓고 1.05패치라 생색내냐고 비아냥거리는 반응이 대다수이다. 패치내용이 거의 대부분 데미지 조정과 같은 간단한 수치 조정일 뿐이었기 때문이다.
개캐들의 화력이 조금 낮아졌을 뿐이지 판정과 같은 성능은 그대로라서 등급 변화는 DIO와 코사쿠가 고작인 정도. 더군다나 정작 완전생물의 깃털이나 성인의 유해로 인한 처리 지연 발생문제와 바오의 가드경직에 잡기무적이 없는 것 같은 설정미스나 완전생물 카즈의 프리즈 버그, 죠니의 무적 버그 같은 치명적인 버그들은 '''전혀 수정이 안 돼서 나왔기 때문에''' 1.05 패치에 기대하던 유저들은 또 한 번 실망하였다.
이후 이지비트 버그 테크닉[116]발굴되면서 패치 전 보단 아니지만 수라장이 되었다.
결국 이지비트 버그 테크닉으로 인해 그나마 실날같이 유지되던 밸런스도 작살나며 1게이지로 원턴킬을 내는 미친 콤보들이 수없이 나타나며 결국 고인물들을 제외하고 하나같이 다 빠져나가버렸다.
'''예토전생은 커녕 패치 공개되면 욕먹을 내용으로 1.04 패치의 노력이 아까운 결과였다.'''

9.2. 캐릭터 게임의 측면에서



전 캐릭터의 하트 히트 어택, 그레이트 히트 어택 모음집

전 캐릭터의 도발 모음집. 기본 도발 동작 두개와 기본 도발 대사 두개 뿐만이 아니라 캠페인 모드에서 얻는 것으로 해금할 수 있는 도발 동작과 대사들까지 전부 모아놨다.
ASB에 대해 격투 게임으로써 기대를 했던 사람은 엉망진창 밸런스와 무한콤보부터 이미 OUT이겠지만 제작사인 CC2의 성향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사람들이라면 격투 게임으로써보다는 캐릭터 게임으로써 큰 기대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일단 그래픽은 팬들에게 지금껏 나온 모든 죠죠 관련 미디어믹스 중에서 원작의 그림에 가장 가까운 느낌을 내고 있다고 대호평을 받고 있었으며, PV에서 선보인 BGM은 물론[117] 실제 게임 내의 BGM도 매우 훌륭하다.[118][119] 참전캐릭터만 30명 이상이라는[120] 어마어마한 규모라 그동안 상상으로만 이루어지던 드림매치를 실제로 해볼 수 있다는 점에 팬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었'''다.
진짜 문제는 그런 부류의 사람들이 기대했던 캐릭터 게임으로써도 실격이라는 것이다. 우선 스토리 모드가 부실함의 극치다. 최소한의 컷인도 삽입하지 않고, 모든 진행을 텍스트와 보이스로 때운다. 그냥 자막 있는 드라마 CD라고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상황. 심지어 그 흔한 특정 일러스트를 내보내면서 대화하는 장면조차도 없다. 캐릭터들이 대전할 때 대전 모드에서의 대사가 아닌 원작의 대사를 대신 말하는 정도가 전부.[121]
스토리 모드가 부실한 이유는 역시 주요 적의 부재. 미래를 위한 유산은 3부만 통째로 다뤘기에 안정적인 스토리모드 구현이 가능했지만, 죠죠 ASB는 올스타전을 다루면서 스토리모드를 재현하느라 싸움이 많이 부실해졌다. 특히 6부의 경우 '''쿠죠 죠린vs엔리코 푸치 3연전만 하면 끝나는''' 6부 스톤 오션이 많은 비난을 받았다.[122] 때문에 이런 성의 없는 원작 스토리 모드를 낼 거면 일단은 오리지널 스토리, 즉 '어째서 죠죠들이 한 곳에 모였는가?' 같은 스토리를 만들어, 수많은 드림 매치를 스토리로써 실현시키고, 캐릭터가 많이 갖춰진 2, 3작에서 원작 스토리를 재현시켜도 별 문제 없었을 것이라는 말도 나왔다.
결국 이런 오리지널 스토리 모드는 후속작인 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에 와서야 실현되었다.
결정적인 문제는 혼자서 하기에는 즐길 요소가 너무 없다는 것. 흔하디 흔한 아케이드 모드도 없으며, 메달을 모으는 캠페인 모드는 그저 메달을 모으기 위해 계속 지능 낮은 AI와 싸울 뿐이고, 그것조차 소셜 게임처럼 플레이에 제한이 있다.[123] 더군다나 보스의 출현확률은 모두 한자리 수(2.3, 4.5 등)로 굉장히 낮고, 설령 나왔다 하더라도 한 방에 죽는 게 아니라 여러번을 쳐야 돼서 귀찮음만 더하다.
단, 충분한 에너지 바가 있으면 컨트롤러의 화살표로 일정개수를 더 소모하는 것으로 x 6.00처럼 몇배의 데미지를 주어 한방에 보내버릴 수도 있다.
사실 제작사 CC2는 근래에 제작한 작품들은 별로라는 평을 들었어도, 나루티밋 시리즈 등으로 캐릭터 게임으로써는 신기원을 이뤘다는 평가를 들었던 제작사라 팬들에게는 더더욱 큰 배신감으로 다가왔을 듯. 리즈 시절의 나루티밋 시리즈는 스토리 재현뿐만 아니라 서브 퀘스트, 컬렉트 요소, 컬렉션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한 캐릭터 게임이었으니...[124]
물론 까이기만 하는 건 아니다. 일단 모든 캐릭터의 캐스팅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며, 연출 또한 상당한 수준. 모델링에도 '''제작자들의 혼이 담겨있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푸치의 메이드 인 헤븐에 제한적으로나마 대항할 수 있는 수단[125] 등을 설정하면서 일부는 진정한 드림매치다운 구성을 하고 있기도 하다. 문제는 앞서 언급되었듯, 그것이 전부였다는 것.
그리고 캐릭터의 모션도 모션이지만, 시스템으로 스탠드를 구현한 것도 매우 훌륭하다. 에코즈나 터스크는 Act를 필살기나 커멘드로 성장하는 방식으로 구현했고, 메이드 인 헤븐은 메세지를 전부 읊으면 각성하는 형태로 등장시 시간을 가속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골드 익스페리언스 레퀴엠은 상대를 느리게 만든 뒤 가드할 수 없는 공격을 날린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스탠드 구현형태가 훌륭하게 정립되었기에 차후 죠죠 격투게임이 나와도 아마 큰 영향을 끼칠 게임으로 추정된다.
요약하자면 무한콤보와 버그가 개선되고 전캐릭터의 고화력 콤보추가와 더불어 전반적인 밸런스가 조율된 1.04 패치 직후 발매했다면 최소한 평작에서 수작급의 캐릭터 게임으로 불릴만한 수준은 될 수 있었던 게임이다. 전반적으로 안정화된 밸런스와 현시점에서도 하이스펙을 찍은 연출을 고려하면 캐릭터 게임으로서는 '''미래를 위한 유산의 정신적 후속작으로서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126]

9.3. 문제의 패미통 리뷰 - 죠보딸의 발단


발매 전 패미통 리뷰에서 40점 만점을 받았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40점 만점을 받을 만한 퀄리티는 절대 아니었다. 근간의 패미통 리뷰 점수는 믿을 게 못된다는 사실이 거듭 증명되었다.[127] 사실 이 게임의 패미통 크로스 리뷰를 뜯어보면 정작 이 게임의 게임성에 관한 내용은 전혀 언급이 없었다. 조금만 즐겨도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로딩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어서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 하고 리뷰한 건지 의심스러운 데다 단지 죠죠팬이라면 누구나 만족할 수 있다는 식의 두루뭉실한 내용뿐이었고 그 때문에 제작사가 로비라도 한 것 아니냐는 비아냥을 들었다. '''이후 패미통 편집장은 마츠야마 히로시 CC2 사장의 죠죠에 대한 애정을 반영하여 점수를 매겼다는, 사실상 게임과 관계없는 이유로 고득점을 줬다는 사실을 시인했다.''' 번역 / 원문 이후 출시되는 게임들이 '''만점이면 죠죠와 동급인 게임, 그 이하는 죠죠보다 못한 게임'''이라는 웃지못할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루리웹 등지에서는 "'''죠'''죠'''보'''다 '''딸'''린다." 줄여서 '''죠보딸'''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했다. 패미통이 망할 때까지 영원히 지속될 것 같다. 여기서 더 나가서 '미완성 게임임에도 40점 만점을 받은 죠죠를 넘을 게임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드립도 간간이 나온다.

9.4. 그 외의 측면에서


홍보에서도 문제가 있는데, 이 게임은 각 캐릭터의 도발 대사를 커스텀할 수 있다. 죠셉의 경우 반격형 도발로 상대 캐릭터의 도발 대사를 먼저 읊는데('너는 ~라고 말한다!'), 용량 문제로 커스텀 도발은 전부 넣을 수 없어 각 캐릭터의 범용 도발 대사만 수록했다고 했었다. 그런데 정작 다운로드판은 3기가도 안 되며, 블루레이판도 2.82기가라는 용량이다.
PS3의 BD는 단층 레이어로 25기가분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으니 '''용량 문제라는 것은 명백히 거짓말'''인 셈이다[128].
게다가 누가 반다이남코 아니랄까봐 넘쳐나는 DLC도 문제다. 발매전부터 초회판 DLC인 키라 요시카게, 발매일과 동시에 출시된 시게치만해도 디스크에 넣을 시간은 충분히 있으며 최근 공개된 이기, 푸고도 아슬아슬하게 디스크에 넣는 게 가능하지 않냐는 의견이 상당수 많이 나왔다.
더 나아가서 마지막 DLC인 바오도 이렇게 홍보할 거면 그냥 숨겨진 캐릭터로 넣으라는 항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다음 DLC를 사람들이 구입할지조차 의문. 최종적으로는 죠죠라는 네임 벨류를 이용한 싸구려 장사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9.5. 결론


발매 직후엔 격투 게임으로서도 캐릭터 게임으로서도, 둘 다 어중간했던 실패작이란 평가를 받았고, 하드 유저는 콤보의 난이도가 너무 낮은 형편없는 밸런스에 실망하고, 라이트 유저는 제대로 된 아케이드 모드는 커녕 스토리모드부터 밋밋하고 볼 게 없음에 실망했다.
죠죠 캐릭터들이 움직이고 말하는 연출들을 보는 정도로 만족해야 할 수준. 원작 재현력은 정말로 뛰어났지만 기본적인 게임의 요소 및 콘텐츠 부족과 다양한 버그 등 문제점으로 인해 기대받던 작품에서 쿠소게급 평가로 전락해 웃음거리 취급을 받았다.
그나마 연이은 패치를 통해 단점이 점차 개선되면서 1.03 패치 이후로는 격투 게임으로서는 제법 괜찮아졌다는 평을 받았고, 땅에 떨어진 대외적인 평가 역시 되돌리기 힘든 상황이지만 남아있는 유저를 위해 게임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 준 덕분에 최악은 면한 게임이 되었다.
2020년 기준으로 아직 북미에서는 활발하게 아마추어 리그도 열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유저들이 아직 플레이영상이나 방송을 유튜브에 올리고 있다. 밸런스가 아작나긴 했지만 금지캐도 자체지정하고 기게이지 조건부 콤보가 많아 꽤나 볼만한 쇼맨쉽을 여럿 보여주는것도 특징.

9.6. 기타


  • 첫 작의 성적이 시작부터 이렇게 나쁜지라 과연 다음작은 어떻게 될지가 의문이다. "올스타 배틀"이란 타이틀을 들고 나왔는데도 실망스런 퀄리티인지라 후속편의 제작 여부가 굉장히 희미하게 되었는데, 이번 작은 넘기고 다음 작을 사겠다는 사람들조차 포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에나마 다음작이 나온다면 위의 문제점을 모두 수정하는 것은 당연하며, 플레이어들에 대한 보상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정작 가장 심한 문제는 다음작이 나올까 안 나올까다. 그리고 어찌저찌 다음작이 나오긴 했는데 그 결과물어땠냐면...
  • 반다이 남코의 발표로는 일단 초회출하량은 50만 장을 넘겼다고 한다. 다만 소매상들의 반응을 보면 50만 장이 출하된 작품치고는 그다지 팔리지 않고 있다는 모양. 결국 발매 3일만에 가격이 반토막나서 재고떨이에 들어갔다.[129] '명불허전 스피드왜건'이라는 것이 세간의 평이다.[130][131] 게다가 한정판의 경우 사재기꾼들에 의해 순식간에 예약분이 매진되었는데, 발매 후 얼마 지나지도 않아 가격이 확 떨어져버려 완전히 망했다. 중고가 상당히 많이 풀리고 있는지 게임샵에서 더이상 중고 매입도 하지 않고 있는 상황.
  • 첫주 판매량은 42만 장(미디어 크리에이트 집계). 8월 29일~9월 1일동안 집계된 판매량이니 덤핑되기 전에 42만 장이나 팔렸다. 초회출하량이 50만 장이니 4일만에 출하량의 84%를 소화한 셈. 단 판매량은 잘 나왔다 하더라도 이로 인해 CC2의 평가는 나락으로 떨어졌으니 차기작이 나온다고 해도 오리지널 만큼 팔릴지는 미지수이다.
  • 하도 평가가 안좋다 보니 CC2측에서는 원래 하나당 600엔으로 기획했던 DLC를 전부 300엔으로 할인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132] 그리고 2013년 9월 10일, 최악의 패치가 이루어진 그날 이 게임을 상품파괴인증한 사진이 2CH 스레에 올라오기도 하였다.
  • 2013년 KOTY 후보 여부에 대해서 빠, 안티, 양민이 뒤섞여서 엄청난 진흙탕 싸움이 벌어졌다. 네타성을 높게 사는 KOTY의 기본 방침(?)에 따르면 패치에 의한 악화과도한 DLC는 선례도 있고 해서 고득점 요소이긴 한데 결국 후에는 보완된 점을 고려하여 후보에 오르지 않았다.

10. 여담


국내에 정식 발매된다는 말도 있었지만, '''당연하게도 안 됐다.'''
때문에 국내 죠죠러들 사이에선 이미 예약을 해놓고 직접 가서 살 준비까지 한 사람이 많았는데... 또 어떤 성우가 어떤 캐릭에 어울릴까 하며 가상 캐스팅을 해보는 모습도 보였다.
원작에서 여성 캐릭터가 적아군 막론하고 전투하는 모습이 거의 없다는걸 반영해서인지 격투게임 치고는 참여하는 여성캐릭이 매우 적은 편이다. DLC 포함 겨우 3명.
또한 여러 부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라든가 한 캐릭터가 아예 다른 캐릭터로 둔갑하는 등 원래는 같은 캐릭터가 참전하는 기묘한 상황이 연출된다. 사실 한 캐릭터의 바리에이션이 같이 출연하는 일은 대전액션게임에서는 정말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다만 대부분 격투게임에서는 기본바탕은 유사하지만 올스타배틀처럼 두 캐릭의 스타일이 완전 딴판인 경우는 드문 경우.
그리고 아니나 다를까 발매일 하루 전인 8월 28일에 플라잉 겟이 뜨고 말았다. 게다가 국내에서도 구매 인증 유저가 나왔다.
그리고 4월 29일, 북미에서 정발되었다. 저작권 문제로 일부 캐릭터의 이름이 자막 한정으로 바뀌었다. (예: 나르시소 아나수이->나르크 아나스타샤, 바닐라 아이스->쿨 아이스) 음성은 일본판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재더빙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동이 없다.[133][134]참고로 DLC 추가 캐릭터는 북미판의 경우도 구입해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본판과의 DLC는 연동이 불가능하므로 북미판에 맞는 DLC로 따로 구입해줘야 한다. 링크
죠보딸이라는 별명을 얻은 뒤로 루리웹 등지에서 비슷한 캐릭터게임들의 전투력 측정기 역할을 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들끼리 싸우는 격투게임이 공개되었을 때 게임의 퀄리티 정도를 보고 "죠보딸보다 못하다."는 식으로 말이다.
참고로 후속작은 정발되었다. 죠죠붐을 타고 정발되었을 가능성이 크지만 아이러니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망겜이 되어버린지 오래지만 이지비트 버그 콤보를 시작으로 활발하게 게임이 연구되고 있는데, 어찌 된 일인지 게임을 뜯어서 최소한의 모딩이 가능하다. 천국에 도달한 DIO와 4부 죠타로 스킨을 씌운다거나 EOH의 시오바나 하루노를 죠르노에게 덮어 씌운다거나 아예 다른 캐릭터 스킨을 덮어 씌운다거나 하는 일이 가능하다. EOH 코스튬의 경우 같은 모델을 쓰는지 아무런 이상 없이 매끄럽게 구동되지만 천국 DIO는 양팔이 나오지 않는다.
[1] 1부 팬텀블러드, 3부 미래를 위한 유산슈퍼 패미컴판 죠죠, 5부 황금의 선풍 같이 한 부만 집중적으로 다뤘지, 두 부 이상을 다루는 작품은 없었다.[2] 별도로 구입도 가능.[3] 이 영상을 찾아보면 알겠지만 그야말로 거리가 터져나갈 정도의 인파들이 모여 PV를 보는 걸 알 수 있다.[4] 출연 떡밥인지는 알 수 없지만, 처음에 로한이 만화를 그리는 장면에서 플레이어블로 공개되지 않은 스탠드가 보인다. 목록은 등장 순서대로 크림, 허밋 퍼플, 펄 잼, 크래프트 워크, 스카이 하이, 무디 블루스, 하베스트, 하이웨이 스타. 그리고 이 스탠드들은 DLC나 서포트 효과 등을 통해 등장하였다.[5] 당연한 소리지만 연재중인 죠죠리온은 제외.[6] 1부의 죠나단. 2, 3부 부분의 등장인물 전원. 4부의 죠스케. 5부 부분의 등장인물 전원. 6, 7부의 주인공들. 8부 죠스케는 이번에도 쓸쓸히 혼자다... 그 탓에 죠스케에게 붙은 별명은 죠죠리온을 딴 '히토리(외톨이)온'[7] 2차 PV의 오라오라 러쉬를 일본 현지에선 '오로오로' 내지는 '오로로로' 러쉬라고 혹평하고 있었다.[8] 동일 캐릭터전의 경우엔 다른 캐릭터처럼 서로 주고받는 대사가 있으며, 1P와 2P가 서로 승리대사가 다르다. 동일 캐릭터니까 서로의 설정이 같은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다른 캐릭터도 몇몇 존재한다. 2P 카즈는 소설 죠지 죠스타판 평행세계 카즈의 대사이며, 2P 죠니와 자이로는 대통령의 D4C의 능력을 알고 있다.[9] 디오 브란도는 푸치와 만나도 이벤트가 없다. 1부 시절의 디오는 푸치와 만난 적이 없으니 어쩔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지만.[10] 그나마도 죠타로는 4, 6부에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4부의 히가시카타 죠스케, 6부의 죠린 상대로밖에 전용 대사가 없다. 나름 접점이 많았던 코이치라든가 최종보스로 대치했던 키라 요시카게/카와지리 코사쿠, 푸치(게다가 이들은 공통적으로 죠타로의 능력을 두려워했다) 등에 대한 대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3부에 등장해서 작중 거의 모든 등장인물과 만난 죠셉 죠스타 역시 그들과의 특수 대사가 없다. 심지어 3부 죠셉은 시저, 리사리사, 기둥의 남자들과 특수 대사가 없다![11] 에시디시와 압둘의 '불', 시저와 죠스케(8부)의 '비눗방울', '시간'과 관련된 능력을 쓰는 DIO와 디아볼로 등.[12] 거기다 캠페인 2탄까지 승리 커스터마이즈 메달이 하나도 안 나와 들을 수 있는 대사는 도피오의 따르르르르르릉 뿐이었다.[13] 포즈의 경우엔 사용하는 포즈가 어디에서 나온건지 설명되며, 코스튬 변경의 경우 작품에 등장한 바리에이션은 거진 다 존재하는 듯. 예를 들어 DIO의 경우 보통은 통상 버전이나 최고로 HIGH!한 버전으로, 죠나단 죠스타는 통상 버전과 4권 표지 버전 등으로 커스텀이 가능하다.[14] 멀티 캠페인을 클리어하면서 얻는 메달로 커스터마이즈 요소를 푸는 방식이다. 각 캠페인마다 100종 이상의 메달이 존재한다.[15] 바이츠 더 더스트 시전 중에도 대전 시간이 멈추는데 아마도 바이츠 더 더스트 자체가 시전되는 시간이 20초 가량 걸리기 때문인 듯.[16] 배틀 스테이지, 마무리 기술, 대전 상대.[17] 필살기 중 '오버 드라이브 연타' 기술[18] 1.04 패치에서 스탠드 러쉬가 추가[19] 기묘하게도 총을 6발 쏘고 장전하는것을 반복한다.[20] 다만 발동 시 게이지 0.25개를 소모한다.[21] 기믹 발동시 스트레이초페이지, 존스, 플랜트, 본햄을 쓰러뜨렸을 때처럼 샹들리에가 떨어진다. 1회 한정. 발코니 부분을 향해서 하트 히트 어택이나 그레이트 히트 어택으로 상대를 KO 시킬시 1부의 최종전투에서 디오가 추락할 때처럼 상대가 성 밑으로 추락하는 시츄에이션 피니쉬가 구현되어 있다.[22] 흡혈마가 스테이지 장치로 등장한다. 흡혈마가 달리는 코스에 캐릭터가 있으면 그대로 치여서 데미지를 입으며 특정조건을 만족하면 흡혈마에게 짓밟히는 시츄에이션 피니쉬가 구현되어있다. 만일 플레이어가 기둥 속 사내인 경우엔 흡혈귀 부하들이 플레이어를 응원한다.[23] 바닐라 아이스가 파먹은 상태이다. 기믹 발동 시 주기적으로 일정 장소에 얼치기가 떨어진다. 구멍이 있는 벽을 향한 상태로 마무리를 하면 DIO, 디오 브란도, 바닐라 아이스, 기둥 속 사내일 경우 햇빛에 타서 사라지는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구현. 나머지 캐릭터들은 날아가는건 같지만 아래로 추락한다는 점이 다르다. 단, 카즈의 경우에는 완전생물 상태에서 당했을 때는 후자의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적용되어서 아래로 추락한다.[24] 기믹 발동 시 윌슨 필립스 상원의원이 차를 타고 나타난다. 차에는 DIO가 타고있지만 이상하게도 스테이지에 DIO가 있어도 발동되기 때문에(왜 이상하냐면 DIO의 저택에서 DIO를 고르면 스테이지에서 DIO가 사라진다. 그런데 여기만 이런다) DIO가 DIO를 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다. 거기다 기믹 발동 직전에 상황을 만화 칸 처럼 띄워주는데 차 속에서 상원의원에게 명령을 하는 DIO가 그대로 나온다. 이를 두고 팬들은 평행세계의 DIO님 드립을 쳤다. 또 한 급수탑을 향한 상태에서 하트 히트 어택 이상의 기술로 마무리를 하면 원작에서 카쿄인이 탑에 처박혀 사망한 장면이 재현되는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구현. 해당 링크 영상에서는 시범 예시로 죠타로가 DIO를 오라오라 러시로 탑에 박아버리면서 두번째 굴욕을 선사했다.[25] 기믹 발동시 주기적으로 키라 요시히로가 나타나 바닥에 나오는 궤적에 따라 날아가면서 칼을 휘두르는 기믹이 존재. 책상쪽으로 피니쉬를 내면 키라 요시카게가 손톱 길이를 잰 노트가 화면에 나온다.[26] 카와지리 하야토미래의 기록을 읽는 로한의 컷이 나온 후 곳곳에 번개가 떨어지며, 맞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단, 오토이시 아키라는 맞으면 전력 게이지가 회복된다. 또한 구급차 방향으로 하트 히트 어택 이상으로 마무리 되면 스기모토 레이미가 등장한 뒤 돌아보면 안되는 곳으로 끌려들어가는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구현돼있다. 구급차에 깔리는 게 아니라서 다행이다(?).[27] 거북이 코코 잠보가 첫등장한 곳. 기차 근처에서 다운되면 펫시가 비치 보이를 걸어서 데미지를 준다. 또한 하트 히트 어택 이상의 기술로 마무리를 하면 비치 보이에 그대로 끌려가는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구현된 상태.[28] 오아시스전의 무대, 기믹이 발동되면 필드의 여러군데에 진흙탕이 나타나며, 진흙탕을 밟으면 세코가 튀어나와 스턴을 건다. 쓰레기차가 있는 방향으로 하트히트어택 이상의 피니쉬를 날리면 상대가 쓰레기차에 쳐박히는 피니쉬가 있다.[29] 새비지 가든 작전 장소. 기믹 발동시 웨더 리포트가 독개구리를 주기적으로 떨어뜨린다. 맵의 여러 지역에 떨어지며, 맞은 경우엔 체력이 보라색으로 바뀌고 지속데미지가 적용된다(푸고의 퍼플 헤이즈 바이러스와 같다). 감옥 반대방향을 향하고 하트 히트 어택 이상으로 KO 시켰을 시 화이트스네이크가 나타나 디스크를 회수해간다. 단 KO당한 캐릭터가 푸치 신부일 경우, 이 시츄에이션 피니시는 발동하지 않는다.[30] 6부의 최종결전 장소. C-MOON의 능력의 영향으로 중력이 이상하게 뒤틀려 있다. 스테이지 기믹으로 주변에 있던 사물들이 주기적으로 추락하는 기믹이 있다. 벽의 평행 방향으로 하트 히트 어택이나 그레이트 히트 어택으로 상대를 KO시키면 지면에서 수평으로 추락하는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있다. GDst.형무소처럼 푸치가 KO당한 경우 시츄에이션 피니시가 발동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메이드 인 헤븐을 발동시키는 경우, 원작대로 셔틀을 향해 날아가는 장면이 추가된다.[31] 기믹 발동 시 특정 지역으로 러브 트레인이 발동되며 그 지역에 닿은 대상은 하트 히트 게이지가 한줄 채워진다. 원작의 러브 트레인의 '이로운 것을 끌어들인다'라는 설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데, 몇 안되는 스테이지 기믹이 오히려 그것에 접촉한 이에게 득이 되는 케이스(나머지는 모리오초 맵에서 오토이시 아키라를 사용할 때). 1.01 이하 버전에서는 무조건 MAX로 채워졌었는데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해서 효과를 하향한 듯 하다.[32] 시츄에이션 피니쉬로 곰 출몰 주의 간판으로 피니쉬를 내면 간판에 부딪혀 진 캐릭터와 간판이 같이 쓰러지는 피니쉬가 나온다.[33] 스테이지 기믹으로 히가시카타 죠슈가 궤적을 따라 돌을 휘두르고 다닌다. 시츄에이션 피니시로 배경에 있는 히로세 야스호를 향한 상태에서 하트 히트 어택 이상의 기술로 마무리를 하면 캐릭터가 야스호 근처로 떨어지며 야스호가 비명을 지르고 히가시카타 죠슈가 나와서 돌로 내리찍는 것이 구현되어 있다.[34] 고유 요소로 머플러 게이지(정식 명칭은 '다시 한 번 저질러드렸습니다용~')가 있는데, 카운터 기술을 성공시킬 때마다 레벨이 한 단계씩 상승하며 파문 기술의 공격력이 상승한다. 리그 영상을 보면 첫 카운터 성공 시 상대 캐릭터 전용 도발 대사를 하며 이후부터는 이펙트만 발동한다.[35] 해외판 이름은 Jean Pierre EiffeI.[36] J. 가일의 해외판 이름은 Centrefold.[37]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Shining Diamond.[38] 더 핸드의 능력이 오른손으로 제한된 특성상 어디에 있든간에 능력을 사용하는 기술은 반드시 오른손으로 사용한다.[39] 황금의 선풍에서 죠르노 죠바나의 성우를 맡았다. 반응은 "그냥 죠르노도 맡기지!!"가 많다.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Reverb.[40] 행동 제한기술에 의한 상태이상 표식은 적 캐릭터 초상화 하단에 표시된다.[41]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Chili Pepper. 레드 핫 칠리 페퍼에 충전된 전기가 표시된다. 자체 충전도 가능하지만 모리오초의 스테이지 기믹인 낙뢰로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될수록 레드 핫 칠리 페퍼의 능력이 강화된다. 레드 핫 칠리 페퍼를 운용하면 충전량을 소모하게 된다.[42] 홀 호스와 비슷하게 카와지리 하야토를 별도로 불러내어 상대에게 설치하는 방식. 성공하면 체력을 일정량 회복하고 시간을 10초 전으로 되돌릴 수 있다. 스트레이 캣의 해외판 이름은 Feral Cat.[43]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Golden Wind.[44]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Zipper Man.[45] 권총의 현재 잔탄 및 현재 조정 가능한 섹스 피스톨즈의 개체수가 표시되며 4에 대한 징크스로 잔탄 4발이 남은 경우 피격시 게이지 감소가 구현되어있다.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Six Bullets.[46]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Li'l Bomber.[47]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Emperor Crimson.[48]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Stone Ocean. 6부의 부제이기도 하다.[49] 키스의 씰 개수가 표시된다.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Smack.[50] 14개의 단어를 상징하는 14칸의 게이지가 존재. 특수기로 품에서 녹색의 아기를 꺼내 단어를 외울 수 있는데 단어 하나당 1칸의 게이지가 찬다. 게이지를 모두 모으면 C-MOON으로 변화하며 원작대로 신부의 외형도 변한다. 메이드 인 헤븐으로 변한 경우 스테이지가 가속중인 우주로 변경된다. 다만 라운드가 종료되고 다음 라운드로 넘어가면 원래 스테이지+C-MOON 상태로 복귀한다 화이트 스네이크에겐 HHA, C-MOON에겐 GHA만이 존재하고 메이드 인 헤븐은 둘다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도 특징. 해외판 이름은 Father Pucchi(푸치 신부).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각각 Pale Snake, Full Moon, Maiden Heaven.[51] 하트 히트 어택 이상의 공격으로 터스크를 1단계씩 진화시킬 수 있으며 GHA(그레이트 히트 어택)을 사용할 경우 곧바로 Act 4로 진화한다. Act 2부터 손톱탄의 잔량이 표시된다. 성인의 유체가 스테이지 기믹에 추가되는데 유체 3개를 모으면 손톱탄의 장전속도가 상승한다.[52] 철구의 소지 현황과 회전력이 표시되며 철구 기술엔 철구와 회전력을 사용한다. 성인의 유체가 스테이지 기믹에 추가되는데 유체 3개를 모으면 '황금장방형'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53] 성인의 유체가 스테이지 기믹에 추가되는데 유체 3개를 모으면 러브 트레인이 발동되며 방어력이 대폭 상승하고 장풍형 공격에 피격당하지 않는다.(단, GHA와 HHA형 장풍은 제외)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Filthy Acts, at a Reasonable Price.[54] 초회구입자는 무료로 구입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Deadly Queen과 Heart Attack.[55] 스탠드만으로 전투하며 스타일은 공격과 방어의 교체.[56] 퍼플 헤이즈의 바이러스 캡슐 6개가 기믹으로 추가되며, 바이러스를 풀어서 지속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본편에서의 활약이 적었기에 소설인 수치심 없는 퍼플 헤이즈의 기술도 구현되어 있다.[57] 본래 가격이 책정되어 판매될 DLC였으나 무료 다운로드로 변경되었다.[58] 기본적인 스타일은 스탠드로써 허밋 퍼플을 On/Off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커맨드로 파문 호흡도 가능하다.[59] 해외판 이름은 Cool Ice. 스탠드 게이지가 존재하며 크림을 이용한 기술 사용 시 소모된다. 소환을 해제하거나 공격 시 상승.[60] 초코라타를 맡은 우치다 나오야처럼 상당히 초반에 유출됐으나 4차 캠페인이 공개돼서야 확정되었다. 해외판 이름은 Narc Anastasia.[61] 바오 본인은 괴성이나 기합성만을 질러대며, 기술명이나 바오의 생각 등을 나레이터(오오카와 토오루)가 읽어준다. 예를 들어 죠셉 도발의 흐름은 이러하다. 죠셉:다음에 너는- '바루바루바루바루바루바루!'라고 한다!/바오:바루바루바루바루바루바루!/나레이터:바오는 전율했다!. 단 동일 캐릭터전 시엔 이쿠로가 변신하기 전에 눈앞의 본인을 도레스의 암살자로 착각하는 대사를 먼저 말한 뒤 변신한다. 또한, 승리 시의 대사 중에는 이쿠로로 돌아와서 말하는 대사도 존재한다.[62] 모리오초의 스테이지 기믹과 바이츠 더 더스트의 발동 때 등장.[63]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Heart Father.[64] 시츄에이션 피니쉬에서 등장.[65]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Sanctuary.[66]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Thankful Dead.[67]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Fisher Man.[68] 해외판 이름은 Weather Forecast.[69]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Burning Down.[70] 여기서도 해설하신다! 역시 해설왕! 모드 선택에서 등장, 각 모드들에 대해 안내해준다.[71]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대전에서 패했을 때, "거꾸로 생각하는 거다, 져버려도 괜찮다고 말이야."라고 말씀하시며 바로 다음 판의 랭크를 무조건 올 S로 만들어준다.[72] 갤러리 모드의 갤러리 숍 메뉴에서 일러스트 등을 판매한다.[73]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를 지불하지 않으면 썬더 스플릿 어택, 에너지 1칸을 지불하면 썬더 크로스 스플릿 어택으로 대전상대의 체력을 감소시켜 준다.[74]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일!!을 아낌 없이 보여주신다. 몸통의 기관총을 사용해 대전상대의 체력을 감소시켜 준다.[75] 해외판 이름은 Loggs. 메시나와 함께 연습 모드를 안내해준다. [76] 해외판 이름은 Meshina. Messina에서 스펠링이 좀 바뀌었다. 로긴즈와 함께 연습 모드를 안내해준다.[77] 해외판 이름은 Soul Sacrifice.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를 지불하지 않거나 최대 2칸까지 지불하는 것으로 다음 판에서의 공격력을 좀 더 높여준다.[78] 해외판 이름은 Enyaba.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카드 5장 중 당첨 카드를 뽑으면 커스터마이즈 메달이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에너지를 최대 2칸 지불하는 것으로 꽝 카드를 2장까지 봉인할 수 있다. 특이하게도 3부와 7부의 대사가 공존하는 캐릭터.[79]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를 2칸 지불하는 것으로 3개의 서포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80] 해외판의 이름은 Darby Elder(형 다비). 커스터마이즈 모드를 안내해준다.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도 등장하며 카드 10장 중에 9장의 다비 카드를 고르면 서포트 효과를 준다. 이기가 그려진 1장의 카드는 꽝.[81] 해외판 이름은 각각 Zenyatta와 Mondatta. 갤러리 모드의 아트 뷰어 메뉴를 안내한다.[82] 해외판의 이름은 Darby Younger(동생 다비). CM에서 선행 출연. 갤러리 모드의 모델 뷰어 메뉴를 안내해준다.[83] 캠페인 모드에서 등장. 에너지를 2칸 지불하는 것으로 보스 캐릭터의 출현 확률을 높일 수 있다.[84] 4부 죠셉[85] 스토리 모드에서 설명역으로도 등장. 스피드왜건이 '귀여운 아가씨'라고 부른다.[86]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다음판에서 입수할 수 있는 메달 수가 하나 늘어난다.[87]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서포트 아이템을 하나 카피시켜준다.[88]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Opal Jam.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를 1칸 회복시켜준다.[89]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BoyManMan.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가위바위보를 플레이 할 수 있다.[90]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Misterioso. 캠페인 모드에서 서포트 효과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91]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Moody Jazz. 갤러리 모드의 사운드 테스트 메뉴에서 BGM이나 캐릭터 보이스를 무디 블루스로 리플레이 해준다.[92]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Babyhead. 옵션 모드를 안내해준다.[93] 갤러리 모드의 죠죠사전 메뉴를 안내해준다.[94]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White Ice.[95] 성우 우치다 나오야의 트위터로 먼저 확인되었다.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보스 캐릭터의 HP에 대한 대미지를 증가시켜 준다.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Green Tea.[96] 갤러리 모드의 안내를 해준다.[97] 해외판 이름은 F.F.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플랑크톤을 이용해 에너지를 1칸 회복시켜 주거나 푸 파이터즈 탄으로 보스 캐릭터의 HP에 대미지를 입히는 2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98] 드래곤즈 드림만이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 1칸을 지불하는 것으로 서포트 효과를 무작위로 하나 얻을 수 있다. 종류는 대길, 길, 흉, 대흉이 있지만 정도만 다를 뿐, 어느 것이든 플레이어에겐 유익하다.[99] 서포트 효과 선택에서 등장. 서포트 효과를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다.[100]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를 완전 회복 시켜준다.[101] 코야스의 1인 3역이다! 단, 죠니와 죠스케가 일순 후의 죠나단, 죠타로임에도 성우가 다른것처럼 디에고도 다른 성우를 기용했었으면 하는 얘기도 존재한다.[102] 7부 스토리 모드 후반에서 등장하는 디에고가 발렌타인이 데려온 평행세계의 디에고이기 때문에 더 월드로 기술.[103] 캠페인 모드의 안내를 해준다. 해외판 이름은 Stephen Steel에서 Steven Steel로 변경되었다.[104] 스탠드의 해외판 이름은 Mando. VS.모드의 안내를 해주며, 캠페인 모드 대전 중 패배했을 경우 돌발 이벤트로 등장. 맨담을 사용해 재도전 할 수 있게 해준다.[105] 캠페인 모드 돌발 이벤트에서 등장. 에너지 1칸을 지불하는 것으로 대전상대의 하트 히트 게이지를 봉인할 수 있다.[106] 더불어 이 캡콤판 미래를 위한 유산이 더 무서운 건 원작에서 한번의 전투에서만 나오고 퇴장하는 적으로 나왔던 캐릭터들에게도 일일이 그 캐릭터가 주인공인 IF 스토리를 만들어 넣었으며 OST 앨범에 죠타로와 DIO의 최종전을 드라마 CD처럼 재현한 사운드 트랙을 추가해 넣었다는 점이다. 비록 될 수 있는 한 이미 게임상에 넣어놓은 사운드들을 최대한 재활용했지만 원작을 상당히 재현한 수작이다.[107] 단 무한 콤보라고 올라온 것중에는 실제로는 사용할 수 없는 것도 적지 않다.[108] 그나마 북두의 권 -심판의 쌍창성 권호열전-에서의 막장 밸런스는 다양한 시스템에 힘입은 코어 게이머들의 연구로 어느새 전 캐릭터 상향 평준화라는 기적을 일궈냈지만, 죠죠 올스타 배틀의 대놓고 라이트함을 지향하는 시스템에선 그것조차 여의치 않아보인다.[109] 특히 죠셉 죠스타의 점프 강공격이 발동도 빠르고 판정도 좋아서 역가드가 나기 쉽다. 초기 온라인 멀티에서는 랭킹 상위 10명이 전부 죠셉 죠스타를 썼을 정도.[110] 즉, 가드 캔슬이나 사이크버스트 등의 탈출기가 부족[111] 특수 도발이 있는 죠셉, 에시디시, 4부 죠스케 등은 제외.[112] 9월 10일 패치 후에 발견되었다는 것뿐, 9월 10일 패치 전에도 가능했었다.[113] KOF 시리즈의 장풍 가불 버그와 비슷한 맥락이다.[114] 도발 기상 콤보는 제작진이 패치에 콤보중 도발시전시 1프레임 무적을 추가하여 사실상 공식이지만, 다른 도발관련 버그는 버그가 맞다(..) 참고로 영상 제작자의 다른 영상을 보면 상당한 굇수다.[115] 10분 20초부터 죠니의 버그 떡칠 목록을 줄줄히 상세하게 설명해준다.[116] 이지비트 중 횡이나 특정 키를 누르면 이지비트에 없는 기술을 인식시켜서 1게이지 콤보를 노 게이지로 가능하게 하거나 특정 기술을 콤보 중에 일정 횟 수를 반복해서 넣을 수 있는 버그. 더 빡세긴 하지만 디오 브란도 같은 특수 점프 캐릭터들은 이 특수 점프 중에도 이 테크닉을 사용 할 수 있다. 디오 브란도를 예로 들면 '''몽키 점프 캔슬 후 점강 같은 걸 쓰면서 내려 오는게 아니라 서서 중을 쓰면서 내려온다'''. 당연히 맞으면 콤보 확정.[117] 단, 기껏 PV에서 사용한 BGM은 인게임에서 하나도 사용되지 않았다.[118] BGM이 기묘하게도 캐릭터의 이미지와 잘 맞아떨어져 대호평을 받고 있었다. 특히 카쿄인의 일본풍 BGM '법황의 녹'은 나올 때마다 니코동 코멘트가 도입부인 '''피요---'''로 도배될 정도로 반응이 폭발적이었다.[119] 특이하게도 각 캐릭터들의 테마에 캐릭터들의 유래가 된 곡들이 은근슬쩍 섞여 있다. 키라 요시카게의 테마에 Killer Queen이 섞여 있다던지, 윌 A. 체펠리 테마에 Kashmir가 섞여 있다든지...[120] 어느 정도 비중이 있는 캐릭터들은 대부분 참전한다. 모든 죠죠들은 물론이고, 각 부의 최종보스들 또한 전원 참전.[121] 예를 들어 카쿄인은 죠타로와 싸울 때 "간단하게 접근하게 놔두지는 않을 거야. 죠타로." 라고 하지만 스토리 모드에서 싸울 때는 "『악』이란 패자를 이르며…『정의』란 승자를 뜻하지… 살아남는 자를 말하는 것이다. 과정은 문제되지 않아." 라고 한다.[122] 3부~5부는 스토리의 줄기에 해당하는 주연급 동료 캐릭터들이 다 나왔기 때문에 어느정도 욕을 덜 먹었고, 7부는 원작에서 격투게임에 써먹기 어려운 스탠드들이 많아서 어쩔수 없고, 1부~2부는 애초에 주요 등장인물이 적었으며 이쪽도 3부~5부처럼 핵심 캐릭터는 전부 나와줬다. 하지만 3부~5부처럼 중요한 동료 캐릭터들은 많았음에도 게임상에선 단 둘만 참여했으며 이마저도 한명은 DLC로 참전했고 적 캐릭터 역시 최종 보스인 푸치만 참전했던 스톤 오션은 비난을 피하지 못했다. 개발 당시 메인 스토리조차 아직 밝혀지지 않았었던 8부는 논외.[123] 에너지가 있으며 그것을 다 소비하면 시간이 지나야 채워지는데, 하나 채워지는 데 '''2분'''을 기다려야 한다. 이동시 짬짬히 플레이가 가능한 핸드폰이면 몰라도, 컨트롤러 잡는 비디오 게임에 이런 기능을 넣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좋지 않은 반응이다. 이것도 발매 초기에는 '''20분'''이었으나 여러 비판에 의해 이후 수차례에 걸쳐서 조금씩 조정된 것. 그런 상황에 '''현금을 지불'''해서 에너지를 채우는 기능이 있어 논란이 됐지만, 패치 이후 과금할 필요성은 없어졌다.[124] 이 경우, 나루티밋 시리즈는 많은 세월을 거치며 성장해 온 것이지만, 죠죠는 이것이 첫 작품이므로 퀄리티가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그간 여러 게임을 만들어온 CC2의 경험이 있는데 격투게임의 측면은 둘째치고 캐릭터 게임의 아주 기본적인 부분부터 말아먹은 것은 일종의 성의부족이라고밖에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다.[125] 5부의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 4부의 바이츠 더 더스트 등.[126] 미래를 위한 유산도 펫숍의 지나친 사기성이 논란이 되었지만 PVP 배틀모드 한정임을 고려하면 게임성을 해칠 정도는 되지 않는다.[127] 패미통 리뷰점수는 이미 오래 전부터 유저들에게 신뢰도를 상실했다. 이미 대부분의 게이머는 서양웹진 점수와 리뷰내용을 참고할 뿐, 패미통 점수는 자국을 제외하곤 참고조차 하지 않는다. 게다가 리뷰 내용을 읽어보면 게임을 조금이라도 해봤다면 할 수 없는 소리나 게임에 존재하지도 않는 얘기나 게임과 전혀 상관없는 얘기만 하거나, 멀쩡한 걸 자기만 맘에 안 든다고 혹평을 한다든지 있지도 않은 걸로 혹평하는 이상한 평가들이 많으며, 리뷰 내용에 해당점수를 준 이유, 설명, 납득이 되질 않는 게 많다.[128] 다만 CD나 블루레이 등의 광디스크 매체는 '기록 용량 = 디스크 사용 면적 = 로딩 속도'인지라 용량이 남는다고 디스크에 꽉꽉 담아넣기 부담스러운 측면은 있다.[129] 일본 게임샵의 경우 어떤 게임이 안 팔리고 재고로 쌓이기 시작하면 판매가를 대폭 떨군 뒤 가게 밖의 '손수레'에다 내놓고서 팔아버린다.[130] 디오를 보고 악인의 냄새 드립치다가 스트레이초에게 통수맞은 것과 PV에서 명작의 냄새가 난다는 것을 이용한 네타.[131] 또한 앞서 말한 손수레에 쌓아 파는 것을 '왜건 세일'이라고 칭하는데. 정말로 스피드하게 왜건 세일 직행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말장난이기도 하다.[132] 현재는 다시 600엔으로 돌아왔다[133] 예를 들어 북미, 유럽판의 스티키 핑거즈는 이름이 지퍼 맨으로 바뀌었으나 음성은 여전히 스티키 핑거즈라 나온다.[134] 서포트 아이템이나 죠죠사전에서만 언급되는 캐릭터들 이름도 몇몇 변경되었다. 산타나는 Santviento. 어스 윈드 앤 파이어는 Terra Ventus. 하이웨이 스타는 Highway Go Go. 스파이스 걸은 Spicy Lady. 크래프트 워크는 Arts & Crafts. 리틀 피트는 Tiny Feet. 하이웨이 투 헬은 Highway to Death. 슈가 마운틴은 Snow Mountain. 튜블러 벨즈는 Tub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