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관련 인물

 

  • 이 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인물들을 국가별, 항목 분류별로 나열한 문서입니다.







8.1. 괴뢰국[1]
15.2. 망명정부/친소련 측


1. 미합중국



2. 대영제국


  • 조지 6세
  • 엘리자베스 2세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클레멘트 애틀리
  • 크리스토퍼 리 [2]
  • 앤서니 이든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아치볼드 웨이벌
  • 리처드 오코너[3]
  • 루이 마운트배튼
  • 앨런 브룩
  • 윌리엄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존 딜
  • 존 베르커 고트
  • 해럴드 알렉산더
  • 헨리 마이트랜드 윌슨
  • 클로드 오킨렉
  • 더들리 파운드
  • 로저 키스
  • 앤드루 커닝엄
  • 제임스 서머빌
  • 존 토베이
  • 찰스 포브스
  • 버트람 람지
  • 시릴 뉴월
  • 찰스 포털
  • 트래퍼드 리맬러리
  • 아서 해리스
  • 키스 파크
  • 휴 다우딩
  • 더글러스 베이더
  • 윌리엄 에이버리 비숍
  • 잭 처칠
  • 바이올렛 스자보

3. 프랑스 제3공화국



4. 소비에트 연방



5. 중국



5.1. 중국 국민당



5.2. 중국 공산당



6.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루돌프 헤스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알베르트 슈페어
  •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13]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Constantin von Neurath)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귄터 폰 클루게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페도어 폰 보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Georg-Hans Reinhardt)[14]
  • 베르너 폰 프리치(Werner von Fritsch)
  • 아돌프 슈트라우스(Adolf Strauss)
  • 에리히 회프너(Erich Hoepner)[15]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에르빈 롬멜
  • 하인츠 구데리안
  • 프란츠 할더
  • 발터 모델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헤르만 호트
  • 구스타프 안톤 폰 비터스하임(Gustav Anton von Wietersheim)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Karl-Heinrich von Stülpnagel)[16]
  • 에르하르트 라우스(Erhard Raus)[17]
  • 요제프 하르페(Josef Harpe)[18]
  • 헤르만 발크(Hermann Balck)
  • 핫소 폰 만토이펠 [19]
  • 에리히 레더
  • 카를 되니츠
  • 귄터 뤼첸스(Günther Lütjens)
  • 에른스트 린데만(Ernst Lindemann)
  • 헤르만 괴링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Robert Ritter von Greim)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20]
  • 알베르트 케셀링
  • 에르하르트 밀히
  • 후고 슈페를레(Hugo Sperrle)
  •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 아돌프 갈란트
  •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
  • 볼프 디트리히 빌케
  • 에리히 하르트만
  • 한스 오스터 - 오스터 음모사건의 주모자.
  • 한스 요아힘 마르세이유
  • 한스 울리히 루델
  • 발터 노보트니
  • 귄터 랄
  • 하인츠 볼프강 슈나우퍼
  • 오토 카리우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하인리히 힘러
  • 요제프 디트리히
  • 쿠르트 달뤼게(Kurt Daluege)
  • 파울 하우서
  • 프란츠 크사퍼 슈바르츠(Franz Xaver Schwarz)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쿠르트 마이어
  • 미하엘 비트만
  • 오토 슈코르체니
  • 요아힘 파이퍼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21]
  • 막시밀리안 폰 바이크스
  • 헬무트 바이틀링[22]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Gotthard Heinrici)
  • 쿠르트 폰 티펠스키르히(Kurt von Tippelskirch)

7.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 이바노에 보노미
  • 페루치오 파리
  • 갈레아조 치아노
  • 로돌포 그라치아니
  • 에밀리오 데 보노
  • 에토레 바스티코
  • 우고 카발레로
  • 움베르토 2세[23]
  • 조반니 메세
  • 마리오 로아타
  • 비토리오 암브로시오
  • 이탈로 가리볼디
  • 이탈로 발보
  • 주세페 발레
  • 프랑코 루키니

8. 일본 제국



8.1. 괴뢰국[25]



9.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야니 구스타프[26]

10. 핀란드



11. 폴란드 제2공화국


  • 지그문트 베를링[28]
  • 카롤 시비에르체프스키[29]
  • 미하우 롤라 지미에르스키[30]

12. 유고슬라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 페타르 2세
  • 밀란 네디치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코차 포포비치[31]
  • 페코 다프체비치[32]
  • 코스타 나지[33]
  • 페타르 드라프신[34]

13. 루마니아 왕국


  • 이온 안토네스쿠
  • 미하이 1세
  • 콘스탄틴 서너테스쿠[35]
  • 니콜라에 러데스쿠[36]
  • 페트르 두미트레스쿠[37]
  • 콘스탄틴 콘스탄티노쿠-크랩스[38]
  • 게오르게 아브라메스쿠
  • 라두 코르네[39]
  • 로안 두미트라체[40]
  • 미하일 라스커르[41]
  • 레오나르도 모치울스치[42]

14. 크로아티아 독립국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1세
  • 빅토르 파비치치
  • 마르코 메시치[43]

15. 체코슬로바키아



15.1.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페르디난트 차틀로시
  • 어거스틴 말라르[44]

15.2. 망명정부/친소련 측



16. 투바 인민 공화국


  • 살차크 토가[45]

17. 공군 전투기 에이스 파일럿 목록


제2차 세계 대전/에이스 파일럿 문서 참조.

[1] 만주국, 몽강국 등 일본 제국의 괴뢰국들.[2] 반지의 제왕의 그분이 맞다! 그는 겨울전쟁 당시 핀란드를 지원하는 의용병으로 참전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레지스탕스나 반독 빨치산 지원을 주 임무로 하는 특수작전실행부(SOE) 소속 암호 전문반 대위로 참전했다. 자세한건 문서 참조.[3] 사막 전투에 능했으며,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에르빈 로멜 장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4] 카렐리아 전선군 휘하 14군 사령관[5]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제3친위군 사령관 참조[6]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제35근위전차여단장[7]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발트제3전선군 사령관 참조[8] Дми́трий Григо́рьевич Па́влов; 1897년 10월 23일 – 1941월 7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 당시 소련 서부 전선군 사령관이었으며 독일군의 공세를 막아내지 못하자 분노한 스탈린에 의해 사형당했다. 1956년 복권되었다.[9] 세바스토폴 공방전 당시 소련 독립 해안군 사령관[10] 레닌그라드 포위전 당시 북부 전선군 사령관 참조[11] 만주 작전 당시 제2극동전선군 사령관[12]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제2충격군 사령관[13] 바르샤바 봉기의 진압 총 책임자.[14] 일찌감치 구데리안의 기갑 전술을 신봉한 동료 중 한 사람. 최종계급은 상급대장[15] 히틀러 암살 및 쿠데타(발키리 작전) 계획 적극 가담자. 그리고 특기할 것이, 이 사람은 서부 전선에서도 동부 전선에서도 알아주는 명장이자 맹장이었다.[16] 이 사람도 히틀러 암살 및 쿠데타 적극 가담자. 프랑스에서 놀랄 만한 내정을 보여주었다고 한다.[17] 오스트리아 출신 장성으로 상급대장에 오른 3인 중 한 명. 특히 라우스는 일찌감치 나치에 동조한 로타르 렌둘릭 상급대장과 달리 안슐루스 이후 독일 군대에 편입한 외부인이었기에 진급이 상당히 늦었지만, 침착하고 이지적인 성품으로 상관과 부하들에게 무척이나 호의적인 평가를 받으며 높은 전공을 세워나간다.[18]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와 함께 일찌감치 구데리안의 기갑화 정책에 동조한 장성. 구데리안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인해 무너진 동부전선에서 발터 모델 원수와 하르페 장군이 집단군 사령관으로 독일군을 지켜낸 것에 깊은 신뢰를 나타내고 있다. 최종계급은 상급대장[19] 전역 후 정계에 입문하여 한때 적장이었던 아이젠하워와 악수를 나누고, 서독 연방군의 부활에 지대한 공헌을 한다. 아르덴 대공세 당시 제5기갑군의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며 그의 진격은 후일, 미군의 분석에 따르면 '주어진 여건을 초월하는' 성과를 보였다고 극찬했다.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의 조카딸과 결혼하는 등 여러 모로 명문 군인 가문 출신.[20] 붉은남작 리히트호펜과 사촌 형제 지간[21] 중화민국 독일 군사 고문으로 중국에서 짧게 활약한 장군[22] 베를린 전투 당시 베를린 방어 사령관[23] 당시 이탈리아 왕세자이자 마지막 국왕.[24] 초대 조선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의 아들[25] 만주국, 몽강국 등 일본 제국의 괴뢰국들.[26]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헝가리 제2군 사령관[27]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군 제4군단장[28] 1944-45년 폴란드 제1군 사령관. 중령이었을 때 카틴 학살에서 생존하였다. 참조[29] 소련의 폴란드 침공 당시 가담한 폴란드 출신 소련군 장성[30] 1944년 폴란드 인민군 사령관 참조[31]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제1프롤레타리아 여단장 참조[32] 베오그라드 공세 당시 유고슬라비아 제1군 사령관[33] 유고슬라비아군 제3군 사령관[34] 유고슬라비아 침공 당시 제1슬라보니아 사단장[35] 제31대 루마니아군 총참모장(1944년 12월 11일 - 1945년 6월 20일) - 제44대 루마니아 총리[36] 제30대 루마니아군 총참모장(1944년 10월 15일 - 12월 6일) - 제45대 루마니아 총리[37]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루마니아 제3군 사령관[38]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루마니아 제4군 사령관[39] 루마니아군 제1기갑사단장 참조 링크(영어)스탈린그라드 전투당시 포위섬멸될 위기에 처한 제4군을 수습하여 기사철십지훈장을 수여받았다.[40] 루마니아군 제2산악사단장[41]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루마니아 제3군 예하 제6사단장[42] 루마니아군 제1산악여단장 참조 링크(영어)[43] 빅토르 파비치치 사후 크로아티아 제369연대장(중령)[44] 1944년 동슬로바키아군 사령관[45] 제2대 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