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출신인물

 



'''글로컬캠퍼스 출신 인물'''은 글로컬캠퍼스 출신인물 를 참조하세요.
1. 기업인
2. 정치인 / 고위공무원
3. 법조인
4. 학계 및 교육계
5. 언론인
6. 군인
7. 종교계
8. 연예인 및 방송인
9. 체육인
9.1. 축구
9.2. 야구
9.3. 농구
9.4. 기타 종목
10. 문학인
12. 기타
13. 대학원

본 문서는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학부 출신의 유명인'''들을 다룬 문서이다.

1. 기업인


다양한 분야에 진출한 걸출한 동문들이 많다. 그 중 바이오, 제약회사 관련 동문이 많은 이유는 축산대학[2]의 긴 역사와 관련이 있다.
첫 번째로 바이오산업이 융합학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그 기반이 오랜 전통을 가지고 다양한 바이오 관련 학과가 있는 대학이 바로 건국대다. 예를 들어'''생물학, 미생물공학, 식품경제학, 유통관리학, 식물학, 동물학, 생태환경학, 산림학, 수의학, 의학, 의공학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학과들이 있어서 중복의 의미보다는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고,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두 번째로 건국대 바이오관련 학과 졸업생의 산업계 진출현황을 보면,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을 하고 있으며 특히, up stream 보다 down stream에서 활약이 두드러진다.
바이오관련 산업에서도 특히 현장 중심의 활약이 두드러진 것이 건국대 졸업생들이다. 실제로 바이오산업계에서는 ‘건국대 마피아’ 또는 ‘모진동 마피아’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바이오산업계 현장에 많이 포진돼 있다.
세 번째로 건국대 출신들이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CEO도 하고 있지만, 창업을 하여 산업계에서 활약하는 경우도 많다. 현재 코스닥에서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주식회사 셀트리온을 창업한 서정진 회장은 건국대 동문의 대표적인 예다.
이들 건국대 동문은 바이오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한 축을 맡고있다.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범현대가의 일원인 정몽석 회장을 제외하면 상속자 출신 기업인보다 창업자 출신 기업인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2. 정치인 / 고위공무원


과거 조선정치학관에서 학교의 기원이 있던 만큼 정계로 진출한 동문이 꽤나 있는 편이다.

3. 법조인



4. 학계 및 교육계



5. 언론인



6. 군인



7. 종교계



8. 연예인 및 방송인



9. 체육인



9.1. 축구



9.2. 야구



9.3. 농구



9.4. 기타 종목



10. 문학인



11. 만화가



12. 기타


  • 문준용 : 제19대 대통령 문재인의 아들. 서울캠퍼스 디자인학부 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 전공 2000학번.
  • 이정현 : 스웨덴 볼보 본사 디자이너, XC60 디자이너.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졸업한 후 볼보자동차 본사 자동차 디자이너로 재직.
  • 장유인 : 유튜버. 서울캠퍼스 예술디자인대학 의상디자인학과 2014학번.
  • 천혜림 :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캐릭터 사업 부문 담당 디자이너, 전 카카오 소속 브랜드아트셀 셀장, 라이언 제작자.
  • 도더리 : 프리게이트 사건 주범. 전기공학과 05학번.

13. 대학원


  • 김병만 - 건축대학원[5]
  • 엄태웅 - 언론홍보대학원
  • 이현재 - 경영학 박사
  • 신영수 - 행정대학원 부동산학석사
  • 주원 - 언론홍보대학원
  • 피우진 - 일반대학원 체육교육
  • 손인춘 - 일반대학원경영공학 박사
  • 추미애 - 일반대학원 정치학 박사

[1] 대표작이 악튜러스다.[2] 구 동물생명과학대학. 현재는 생명환경과학대학과 통폐합해서 상허생명과학대학이 되었다.[3] 가수 이소은의 아버지이기도 하다.[4] 정시로 들어왔다[5] 학부는 동양대학교를 졸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