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작
1. 사망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작품
遺作
작가, 음악가, 영화배우 등 각 예술업계에서 종사하던 인물들이 죽기 직전에 만들어 남긴 작품을 말한다.
죽기 전에 낸 작품이 사망으로 유작이 되어버린 경우도 있고, 죽은 후 주변인에 의해 생전의 미공개/미완성작이 유작으로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이 유작이라는 것이 영화배우나 감독의 경우는 개봉시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으며[1] 음악가나 가수의 경우는 명성에 따라서 상업성이 더해져 앨범 수록곡을 묘하게 배치해(…) 죽기 직전 나왔던 정규앨범을 유작이라고 발표하나 싶더니 죽고 난 뒤에 "사실 이런 음반을 만들고 있었다. 그래서 이게 유작"(…)이라는 케이스를 타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2Pac처럼 죽기 전 녹음했던 미완성곡이나 데모곡등을 다듬어 사후 음반사에서 내놓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음반 퀄리티도 좋지 않고 원작자의 의도 없이 상업성을 노려 발매하는 경우가 많아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경우에는 뮤지션이 살아 있을 때 나온 마지막 앨범이나, 죽은 후에 나왔지만 생전에 발표 계획이 있었던 앨범을 유작으로 치는 편. 장편 작품을 하는 작가의 경우 작가가 돌연사, 병사해서 미완인 상태로 유작이 되어버리는 경우도 잦다.
이미 고인이 된 예술가로서는 시기상 등으로 봤을 때 작품성이 배가 되어 명작이 되기도 하지만 현재는 자본주의의 소속 대기업들의 돈놀이로 그 의미가 훼손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런 시각은 골수 팬 한정이기 때문에 별 관심없는 일반 대중들은 그냥 그러려니 한다.
클래식 음악 작곡가들의 경우엔 만들어진 곡이 생전에 출판되지 못하고 작곡가의 사후에 발견되어 출판된 곡들을 유작으로 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쇼팽 왈츠중에서 3개의 왈츠는 따로 번호가 매겨져있는데, 이게 사후 발견된 유작이다. 그 외에 작곡가들이 생전에 출판 하지 않은 곡들도 마찬가지.
1.1. 유작 일람
- 기형도 - 입 속의 검은 잎
- 김광석 - 부치지 않은 편지: 완벽한 유작이라고 하긴 힘들지만 발표하지 않고 있다가 사후 발견되어 그의 추모 앨범인 '가객'에 수록된 곡[2] 으로 사실상의 유작이라고 볼 수 있으며 '언 강 바람 속으로 무덤도 없이, 세찬 눈보라 속에 노래도 없이' 라는 가사나 후렴구에 '그대 잘가라' 가 반복되는 구절때문에[3] 그의 추모식에서 쓰였다.[4]
- 김기덕 - 진 (2019)
- 김영애 -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더 안타까운 건 그녀의 몸이 버티질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작품을 위해 병원에서 출퇴근까지 하며 진통제를 맞아가며 촬영했다고 한다. 그래서 원래 50부작 예정이 4회 연장되고도 50회에서 하차하고, 남은 플롯은 이만술(신구 분)와 함께 시골로 내려가서 요양한다는 설정으로 잡았다. 시골집에서 만술이 가끔 서울의 가족들과 통화할 때마다 혼자 마당에서 "엄마는 방에서 자고 있다."라고만 언급하여 김영애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 이유가 여기 있다.
- 노토리어스 B.I.G. - Life After Death: 앨범 제작을 모두 끝마치고 발매만을 남겨두고 있던 상황에서 괴한의 총격에 의해 살해되었다.
- 데이비드 보위 - Blackstar: 작업중 갑자기 사망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생긴 유작이 아니라, 본인이 투병 사실을 철저히 감추면서 제작한 후 발표 이틀 뒤에 세상을 떠났다. 앨범 자체도 죽음에 관한 비유와 상징으로 가득 차 있어 자신의 죽음을 테마로 한 컨셉트 앨범으로까지 해석하는 시각이 많다. 실제로 이 음반에는 난해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보위의 죽음 이후 이해가 되는 요소들이 꽤 있다.
- 라울 줄리아 - 영화 스트리트 파이터의 바이슨 장군 역: 명배우였던 그는 아이들의 부탁 때문에 이 쓰레기 영화에 나왔다가 사망하는 바람에 이게 유작이 돼버렸다. 게다가 캐릭터는 최종보스치고는 과도하게 유치한 3류 악당이다. 그래도 연륜에 걸맞게 연기력이나 카리스마는 단연 돋보였다는 평가.
- 리버 피닉스 - 다크 블러드: 촬영 기간 중 사망하여 공개되지 못하다가 사후 19년 만에 공개되었다. 그가 온전히 촬영을 마친 마지막 영화는 사일런트 저스티스(Silent Tongue)다.
- 리처드 해리스 -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부터는 마이클 갬본이 역할을 맡았다.
- 렐트리 - 보스 몹답게 행동하세요, 스왈로우 씨!: 암 투병 중 사망하여 미완으로 남게 되었다.
- 마이크 나우멘코 - 영화를 위한 음악(Музыка для фильма, 1991): 앨범 녹음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고, 이에 나머지 멤버들이 앨범을 마무리하고 밴드 해체를 발표하였다.
- 마츠노 아키나리 - MM!: 작가의 사망으로 미완.
- 먼데이 키즈 - Recollection: 김민수 추모앨범이자 유작앨범. 멤버 김민수가 죽기 전 가이드 곡[7] 을 불렀던 것과 미발매 곡을 조합하여 1, 2, 3집과 OST 셔틀곡들을 전부 조합하여 낸 앨범이다.
- 몬티 움 - RWBY
- 빅토르 초이 - 검은 앨범(Черный альбом, 1990): 원래 1990년 8-9월 즈음 발표될 예정일 앨범이었으나 앨범 작업이 거의 끝난 직후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이에 남은 멤버들이 마무리 작업을 하였고, 앨범 발표 후 밴드 해체를 발표하였다. 원래 앨범 아트 및 제목은 초이가 담당했으나 이게 결정되기 전 사망했기에 공식 제목은 무제 혹은 '키노(Кино)'지만 혼동을 막기 위해 (올블랙인 앨범 커버에서 따온 제목인) '검은 앨범'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세르조 레오네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원래 이 작품은 6시간 정도의 분량이었지만, 워너 브라더스가 런닝타임을 마음대로 변경해 흥행에 실패했다. 자세한 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항목으로.
- 스즈키 토미코 - 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 지라치의 담당 성우로 본 영화가 개봉되기 이전에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기일은 우연찮게도 7월 7일 칠석이다.
- 스탠 리 - 어벤져스: 엔드게임: 본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본인 역으로서의 출현한 유작이 될 예정이었으나 서거 분위기상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에 출현한 분량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삭제된 것으로 추정된다.
- 스티브 잡스 - 아이폰 4s: 출시되고 바로 다음 날 스티브 잡스가 사망했으며, 아이패드 2는 스티브 잡스가 사망하기 약 7개월 전에 출시되었다. 스티브 잡스의 기일이 2011년 10월 5일이고 아이폰 4s의 출시일이 2011년 10월 4일. 이 두 유작 모두 애플의 제품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제품이며, 지금도 간간히 회자되곤 한다.
- 시이나 모타(포와포와P) - 빨간 펜을 부탁해요: 짧은 예술가 인생(만 14세 ~ 만 20세)에서 마지막으로 남긴 곡이며 곡을 올린 당일에 사망했다. 죽기 전에 본인의 트위터에 '어른이 되니까 매력이 없어졌대, 어른이 되면 안 되는 모양인가 봐요' 라는 글을 남겼다. 후에 헬시 엔드 등의 곡이 올라오긴 했으나 생전에 만든 작품을 다른 사람이 대리투고한거니 본인의 공식적인 유작은 이 곡이 맞다.
- 신영복 - 담론: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 신해철
- Welcome To The Real World: 신해철이 N.EX.T 3집 발매 당시 태어난, 작업 중이던 2014년 당시 미래를 걱정하며 수능을 보는 자신의 조카에게 선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곡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곡은 어떤 의사의 희대의 미친짓으로 인해 신해철의 손으로 완성되지 못하였으며, 그 후 12월 21일에 SBS 가요대전을 통해 신곡
가 일부 공개된 후에 성지훈 엔지니어와 서태지, 그리고 나머지 N.EX.T 멤버들의 손을 거쳐 겨우 완성되었고, 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어 신해철 1주기인 2015년 10월 27일에 유작 네곡을 담은 동명의 앨범 에 수록, 발매되었다. - I Want It All (demo 0.7): 본래 N.EX.T United 앨범에 수록될 곡이였으나 곡 후반에 들어갈 관객들의 떼창 녹음을 위해 demo 0.7 버전을 선공개하였다. 하지만 이 역시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완성되지 못했고, 사후 신해철의 컴퓨터 작업 파일 정리중 도입부 나레이션을 발견, 관객들의 떼창 녹음까지 완료되어 추가적인 작업 후 완성판인 I Want It All이 공개되었다.
- Pink Monster: 신해철이 자신의 자녀들을 위해 작업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곡으로 신해철 사후 베스트 앨범 Reboot Yourself에 신곡으로 수록되었다.
- 안녕 - 2014 New RMX: N.EX.T United의 2번째 공연에서 공개될 리믹스였지만 이 곡 또한 신해철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인해 신해철이 직접 부르지 못하였고, 신해철 사후에 열린 콘서트인 'N.EX.T Utd 콘서트: 민물장어의 꿈'에서 공개되었다.
- Welcome To The Real World: 신해철이 N.EX.T 3집 발매 당시 태어난, 작업 중이던 2014년 당시 미래를 걱정하며 수능을 보는 자신의 조카에게 선물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곡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곡은 어떤 의사의 희대의 미친짓으로 인해 신해철의 손으로 완성되지 못하였으며, 그 후 12월 21일에 SBS 가요대전을 통해 신곡
- 아비치 - AVĪCI (01), Tim(앨범)
- 야마구치 노보루 - 제로의 사역마: 작가의 사망으로 미완으로 남았었다.[15] 그런데 3년 후 뜬금없이 최신간 발매가 공지되었다. 말기암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야마구치 선생이 완결까지의 플롯을 써서 편집부에 맡기고는 완결을 내달라고 부탁,[16] 편집부에서도 이를 신중히 검토하여 대필 작가를 선정해 지금에서야 나오게 된것이라고 한다.
- 야마다 야스오 - 루팡 3세 불타라 참철검: 이 TV 스페셜 이후 극장판인 뒈져라! 노스트라다무스에서도 루팡 역을 맡기로 하고 예고편 더빙도 맡았으나, 본편 더빙을 앞두고 뇌진탕으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했다. 그래서 본편에서는 루팡 성대모사로 유명한 코미디언인 쿠리타 칸이치가 대역으로 참여했다가 같은 해에 나온 TV 스페셜인 하리마오의 보물을 쫓아라!!부터 정식으로 2대 루팡 역을 맡게 된다.
- 야마토 타카히로 - 바람의 성흔: 작가의 사망으로 미완이다. 특히 이 작가의 경우 출판사의 혹사로 인해 병세가 악화되었다는 의혹이 있다.
- 엘리엇 스미스 - From A Basement on the Hill: 앨범의 최종 믹싱만을 남겨 둔 상태에서 나이프로 가슴을 찔러 자살.
- 오세홍 - 크레용 신짱의 노하라 히로시: 성우 본인의 최고의 대표 연기 캐릭터[17] 로, 2015년에 국내에서 개봉한 극장판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 편에서는 건강 상의 이유로 히로시 역을 후배 성우인 김환진에게 넘긴 뒤 암으로 사망했다.
- 오자키 유타카 - 방열에의 증거 (放熱への証)
- 오카다 유키코 - 비너스 탄생, 꽃의 이미지: 발매 기준으로 본다면 전자가 가깝긴한데 좀 애매하다. 후자의 경우는 공식적으로 발매된 것은 아니긴 하지만 발매 예정 단계에서 본인이 사망했다. 위에 언급된 사항과 비슷한 케이스라 할수 있겠다.
- 와다 코지 - 디지몬 어드벤처 tri. 제2장 엔딩곡인 Seven ~tri.Version~ : 2016년 3월 30일에 발매, 이후 4일만에 가수인 와다 코지가 사망하면서 사실상 이 싱글이 유작이 되었다.
- 유니 - 3집
- 자코모 푸치니 - 투란도트: 미완성으로 남은 클래식 작품들 중 하나로, 푸치니가 작곡 도중 후두암으로 세상을 떠나서 동료들이 완성해주고 사망 2년 후인 1926년에 초연을 열어주었다.
- 장국영 - 이도공간
- 장덕 - 예정된 시간을 위하여: 사실 발매된 시점과 본인이 사망한 시점이 좀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대략 반년 정도) 타이틀 곡의 내용이 이별을 고하는 내용이라 유작으로 취급받는 분위기.
- 장세준 - 아라비아의 로렌스, 그 후의 이야기의 로렌스(레이프 파인스):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사망한 뒤인 1997년 8월 23일에 방영되었다.
- 전미선 - 나랏말싸미, 사이코메트리 그녀석
- 정경애 - 영화 노 웨이 아웃의 수잔 앳웰(숀 영), 1997년 광복절 특집 다큐멘터리 '미야다 마을 사은비의 진실': 둘 다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사망한 뒤에 방영되었다. 이 중 노 웨이 아웃은 사망한지 1년하고도 이틀 뒤인 1998년 8월 8일에 방영되었다.
- 존 레논 - Double Fantasy: 앨범이 발매되고 채 한달도 지나지 않아 정신병자 마크 채프먼에게 살해당했다.
- 종현 - Artist: 앨범 화보와 타이틀곡 ‘빛이 나’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하고 콘서트에서 팬들에게 앨범 수록곡 일부를 공개한 이후 일주일 뒤 사망했다. 그로 인해 앨범의 발매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었으나 다행히 한 달이 지나 시중에 공개되었다. 참고로 생전 마지막으로 발매된 앨범은 이야기 Op.2.
- 콰시 - 버팀목
- 쿠리모토 카오루 - 구인 사가
- 터틀맨 - 못다한 이야기, 아이고
- 토미야마 케이 - 마루코는 아홉살의 사쿠라 토모조: 1995년 8월 18일 마루코는 아홉살 더빙 이후 눈 상태가 안 좋은 것 때문에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는데, 췌장암 말기 판정을 받았고, 결국 그 해 9월 25일에 사망했다.
- 토아플랜 - 스노우 브라더스 2: 로케이션 테스트까지는 토아플랜 이름을 달고 있었으나, 발매일 직전에 회사가 망해버렸다. 결국 남아있던 직원들이 HANAFRAM이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임시로 설립해 발매할 수 있었다. [20]
- 폴 워커 - 분노의 질주: 더 세븐: 촬영 기간 중 사망하여 잔여 분량은 대역[21] 과 CG를 통해 마무리했다. 그가 온전히 촬영을 마친 마지막 영화는 13구역의 리메이크작 브릭 맨션이다.
- 프레디 머큐리 - Made in Heaven (퀸의 정규 15집): 생전에 마지막으로 발매한 앨범은 퀸의 정규 14집 Innuendo. 솔로로서의 마지막은 1988년에 발매한 BARCELONA.
- 피트 포스틀스웨이트[22] - 인셉션: 암 투병 중 병상에서 누운 채로 영화를 찍게 되었고 결국 이듬해 사망했다
- 필립 시모어 호프먼 - 헝거 게임 모킹제이: 촬영 기간 중 사망하여 잔여 분량은 다른 배우의 분량에 추가하는 것으로 조정했다. 그가 온전히 촬영을 마친 마지막 영화는 모스트 원티드 맨이다.
- 홍기선 - 1급기밀
- 후지코 F. 후지오 - 1996년 9월 20일에 도라에몽 극장판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를 그리던 중 쓰러져 게이오기주쿠대학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안타깝게도 의식이 회복되질 않아 23일에 간부전으로 사망하였다.
- 후지와라 코코아 - 일찍이 마법소녀와 악은 적대하고 있었다.: 작가의 사망으로 2015년 3월 20일을 끝으로 연재종료 되었다.
- 후지타 토시코 - 점프 포스의 타이: 애니 방영 이후 27년 만에 더빙을 했으나, 발매를 앞두고 사망했다. 다만 병세가 많이 악화되어서인지 연기에서 박력이 많이 떨어진 게 느껴질 정도.
- 히스 레저 -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히스 레저의 캐릭터에 조니 뎁, 주드 로, 콜린 패럴이 참여하여 4인 1역이 되었다. 그가 온전히 촬영을 마친 마지막 영화는 다크 나이트다. 그래서인지 다크 나이트를 진정한 유작으로 취급하는 팬들이 많은 편. 게다가 레저 자신이 직접 촬영한 장면도 몇몇 있기 때문에 여기에 힘을 실어주는 것도 있다.
2. 엘프에서 발매된 성인용 어드벤처 게임
유작(게임) 항목으로.
[1] 물론 촬영시기를 통해서 더 정확히 나눌 수는 있지만, 두 작품 병행이라든가 이런 케이스로 나가는 경우에는 애매해진다.[2] 가객에는 다른 가수들의 리메이크와 부치지 않은 편지가 오케스트라 버전과 함께 들어 있다.[3] 사실 박종철의 사망 이후로 쓰인 곡이니 그런 가사가 있는 것이다.[4] 여담으로, 노무현 대통령 추모식에도 사용되었다.[5] 이후 나온 앨범 Everybody's Everthing는 대부분의 수록곡들이 과거 미발매곡들이나 사운드클라우드에만 공개한 곡들로 구성되어서 유작이라고는 하기 애매하다.[6] 다만 이작품 보다 몇년 전에 녹음했을 것으로 되는 작품이 2017년에 나왔다 그 작품은 페르소나 5로 역할은 미후네 치하야이다. 실질적으로 이 작품은 고인이 사망 후 나왔으므로 실질적인 유작을 이 작품으로 볼 수 있겠다.[7] 다른 가수에게 노래를 줄 때 미리 다른 가수가 노래의 느낌을 제시해주기 위해 부르는 곡.[8] 설리의 첫 싱글이자 마지막 싱글이 되었다.[9] 친분이 있었던 아이유 덕분에 특별출연 하였고 이도 배우로써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10] A.I.는 스필버그의 작품이지만, 스탠리 큐브릭이 계획되었던 내용이 잘 들어있다.[11] 생전 최후의 앨범. 사망 전까지 새 정규앨범을 준비중이었지만 끝내 나오진 못 했다. 다만 사후 발매될 가능성은 있다.[12] 뱀파이어 연대기 3권 저주받은 자들의 여왕을 영화화.[13] 달의하루의 3번째 곡을 준비하고 있었으며, 만약 나온다면 그 곡이 유작이 될 것이다.[14] 미발매.[15] 제로의 사역마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작가가 스토리 구성에 직접 참여해 완결을 냈다.[16] 선생의 사후에 유족들도 간곡히 부탁했다고 알려져있다.[17] 그래서인지 병상에 있을 때도 "짱구는 꼭 마무리 짓고 싶다."라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기도 했다.[18] 파이어 엠블렘 if는 이와타 사토루가 프로듀서 명의로 올라온 마지막 작품. 실질적인 유작이다.[19] 투니판 3D2Y 한정. 대원판은 김태훈.[20] 법적인 용어로서의 사람은 자연인 뿐만 아니라 법인도 포함되기 때문에 예시에 등재한다. 애초에 기업의 파산은 사람(자연인)으로 치면 사망에 해당한다.[21] 폴 워커의 동생 2명.[22] 쥬라기 공원: 잃어버린 세계의 롤랜드 템보 역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