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시·종착역

 



1. 개요


막차 시간대 시간이 늦어지면서 열차들이 종착역까지 가지 못하는 경우에 주박하는 역들을 중간 시·종착역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역에서 주박한 열차들은 다음 날 해당 역에서 출발하는 첫차가 된다.

2. 상세


※ 평시에도 중간 종착이 있는 경우 이 역들은 모두 표시하며, 종착역은 표시하지 않는다.[1]
※ ■ 표시가 있는 역은 평시에는 종착 없이 막차 시간대에만 종착이 있는 역이다.
※ ★ 표시가 있는 역은 양방향 모두 회차가 가능한 역이다.
※ ⓧ 표시가 있는 역은 중간 시·종착역이 아니지만 회차가 가능한 역이다.
※ 유치선과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나 역에서 주박하지 않고 차량기지로 장거리를 회송하는 경우도 있다.[2]
※ '''굵은 글씨'''로 표시된 역은 1:1 이상의 열차가 시종착하는 역이다.
※ 대부분의 상대식 승강장은 X자 회차선이, 섬식 승강장은 Y자 회차선이 존재하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3][4]

2.1. 수도권



2.1.1. 수도권 전철 1호선



2.1.1.1. 경원선

  • 동두천역
  • 덕정역 : ⓧ 상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GTX-C 노선의 시·종착역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한 역이다. 선로 구조가 연천셔틀도 회차 가능하다.
  • 양주역 : 하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의정부역 이북 구간까지 운행하는 모든 서울교통공사 열차가 시·종착한다.
  • 가능역 : ⓧ 상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소요산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5]
  • 의정부역 : ★ 하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정작 의정부역 이북 구간은 의정부행 막차는 없고 광운대행 막차가 있다.
  • 도봉산역 : ⓧ
  • 창동역 : 하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의정부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막차 한정으로도 사용된다. 한동안은 평시에도 중간 종착역 기능을 수행하였다.
  • 광운대역 : ★ 하행 플랫폼에서 시·종착이 가능하며, 창동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성북분소/이문기지 입고 때문에 막차 한정 종착이 많다.[6]
  • 석계역 : ⓧ

2.1.1.2. 서울 지하철 1호선

  • 청량리역 : ★ 평소에는 경부선 급행의 시종착역이고, 막차 시간대에는 서울교통공사 열차 한정 시·종착역으로 활용한다.[A]
  • 신설동역 : ⓧ
  • 동묘앞역 : 서울교통공사 열차 한정 시·종착역이다. 군자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군자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동대문역 : ⓧ 동묘앞역이 개통되기 전 서울교통공사 열차 한정 시·종착역이었다.
  • 종각역 : ⓧ ★
  • 지하 서울역 : ★ 막차 시간대에는 서울교통공사 열차 한정 시·종착역으로 활용한다.[A] 평일 오전 9시 쯤에 광운대발 서울역행과 오후 2시 쯤에 양주발 서울역행이 있으며 이 경우 모두 서울역 종착 후 회차하여 다시 서울역발 동묘앞행으로 운행 후 군자기지로 입고한다.

2.1.1.3. 경부선

  • 지상 서울역 : 서울역 ~ 천안역 간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다만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에서 운행 장애가 생기는 경우 경의중앙선 용산역 ~ 지상 청량리역[7]로 우회시키는데 그마저도 불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서울교통공사 열차도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활용한다. 참고
  • 남영역 : ⓧ
  • 용산역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노량진역 :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B]
  • 영등포역 : 영등포 ~ 광명 셔틀 한정으로만 사용된다.[B]
  • 구로역 : ★ 한국철도공사 열차 한정 시·종착역이다. 구로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구로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독산역 : ⓧ
  • 금천구청역 : ⓧ
  • 안양역 :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 군포역 :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 의왕역 :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 수원역 : ⓧ ★ 병점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현재도 수원역 진입 직전 평면교차오리카에시 방식으로 회차가 가능하나 안전 문제로 비상 시에만 사용한다. 참고
  • 병점역 : ★ 천안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병점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병점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천안역 : ★ 신창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현재도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2.1.1.4. 경인선

  • 오류동역 : ⓧ 2020년 구일역 교량 개량공사 당시 오류동행이 잠깐 존재했었다.
  • 부천역 : ■ 1단계 경인선 급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부평역 : 2단계 경인선 급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주안역 : ⓧ 3단계 경인선 급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동인천역 :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1.2. 서울 지하철 2호선


  • 시청역은 철도요람상 기/종점이며, 역 번호 상으로도 기점이지만 회차선이 존재하지 않으며, 시·종착 열차도 없다.[8]
  • 삼성역과 홍대입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에는 양방향 회차선이 있으며, 을지로입구역과 서울대입구역에는 유치선도 존재한다.
  • 을지로입구역 : ■★ 3단계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성수역 : ★ 군자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종합운동장역 : ⓧ ★ 1단계 신설동 ~ 종합운동장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삼성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교대역 : ⓧ ★ 2단계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서울대입구역 : ■★ 4단계 교대 ~ 서울대입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신도림역 : ★ 신정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홍대입구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1.2.1. 성수지선


2.1.2.2. 신정지선

  • 도림천역 : ⓧ 신정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양천구청역 : ⓧ 까치산역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2.1.3. 수도권 전철 3호선


  • 정발산역 : ⓧ
  • 백석역 : ⓧ 비상 시에는 회차가 가능하다. 이 시설을 이용해 지금의 구파발행 열차를 백석행으로 연장하자는 이야기가 있다.
  • 삼송역 : 지축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지축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지축역 : ⓧ 3단계 지축 ~ 구파발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구파발역 : ★ 지축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9] 일산선의 승객이 저조한 탓에 상행 열차들의 절반 정도가 이곳에서 시종착한다.
  • 독립문역 : ■ 1단계 구파발 ~ 독립문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충무로역 : ⓧ
  • 약수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압구정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양재역 : ⓧ 2단계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도곡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수서역 : 수서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수서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10][11]

2.1.4. 수도권 전철 4호선


  • 노원역 : ■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창동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12][13] 참고
  • 창동역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창동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미아역 : ⓧ ★
  • 한성대입구역 : ■ 1단계 상계 ~ 한성대입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충무로역 : ⓧ
  • 서울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다만 비상 시에도 사용된다.[14]
  • 사당역 : ★ 모든 직류 전용 열차가 시·종착한다. 이 때문에 사당 이남 구간은 배차 간격이 두 배로 벌어진다. 선바위역부터는 교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운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 남태령역 : ■ 서울교통공사 관리 구간의 시·종착역이지만 수요가 적어 상술한것처럼 사당역을 시·종착역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대공원역 : ⓧ 금정역에서 단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중간 종착역으로 사용되었다.
  • 인덕원역 : ⓧ 과천선 전철 당시 시·종착역이었던 적이 있다.
  • 금정역 : ■ 안산/오이도발 금정행 열차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산본역 : ■ 과천선 전철 당시 시·종착역이었던 적이 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상록수역 : ⓧ ★
  • 한대앞역 : ⓧ 수인선 KTX 개통 시 회차가 가능하도록 만들 예정이다.
  • 안산역 : ★ 안산선 전철 당시 시·종착역이었던 적이 있다. 현재 오이도 연장 이후 중간 종착역으로 변경되었다. 역사 내에 시흥차량사업소 안산분소가 있는 관계로 중간 종착역으로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 능길역 : ⓧ 오이도행 수인선 열차는 여기서 회차한다.

2.1.5. 수도권 전철 5호선


  • 화곡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까치산역 : ⓧ 2단계 방화 ~ 까치산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여의도역 : ■★ 4단계 까치산 ~ 여의도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애오개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왕십리역 : ■★ 1단계 왕십리 ~ 상일동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군자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강동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상일동역 : ★ 고덕기지 입고열차를 비롯한 일부 열차가 시종착한다. 하남풍산발 상행 막차도 여기서 시종착한다.

2.1.6.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역 : ★
  • 독바위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이 역은 단선 구간이기에 특이하게 역사 내에 전용 회차선이 따로 있다.
  • 새절역 : ■ 평일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대흥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공덕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한강진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안암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상월곡역 : ⓧ 1단계 봉화산 ~ 상월곡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봉화산역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2.1.7.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역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 수락산역 : 과거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하였다. 지금은 평일 한정으로 부평구청역에서 오전 7시 56분에 출발하는 열차만 이 역에서 종착한다.
  • 태릉입구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건대입구역 : ■★ 1단계 장암 ~ 건대입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청담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내방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보라매역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 신풍역 : ■ 2단계 온수 ~ 신풍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온수역 : 2단계 온수 ~ 신풍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장암/도봉산발 열차에서 부평구청행과 온수행이 1:1로 운행한다.
  • 상동역 : ⓧ ★

2.1.8. 서울 지하철 8호선


  • 잠실역 : ■ 1단계 잠실 ~ 모란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가락시장역 : ■ 한쪽에 회차선이 있지만 건넘선이 없기에 반대 방향으로 회차할 수 없다.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1.9. 서울 지하철 9호선


  • 김포공항역 : 개화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마곡나루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가양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염창역 : ■ 막차 급행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당산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샛강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노량진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동작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신논현역 : 1단계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막차 시간대에 이 역에서 종착하는 일반 열차가 있다.
  • 종합운동장역 : ⓧ ★ 2단계 신논현 ~ 종합운동장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삼전역 : ■ 막차 일반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1.10.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박촌역 : 1단계 박촌 ~ 동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귤현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귤현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작전역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 인천시청역 : ⓧ
  • 예술회관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신연수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동막역 : ■ 1단계 박촌 ~ 동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1.11.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1.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산역 : ★ 모든 시간대에 빈번하게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2.1.12.1. 경의선

  • 문산역 : 현실적으로 임진강행 열차는 하루에 4대 정도이기 때문에 여전히 실질적인 시·종착역으로 취급한다.[15] 문산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파주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 월롱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 금촌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 운정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 일산역 : 서울역/용문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평일 한정 일부 열차 시·종착
  • 백마역 : ⓧ 서울역/용문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2010년 월드컵 경기 때 백마행 열차를 운영한 바 있다.
  • 대곡역 : 서울역/용문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주말 한정으로, 오전/야간 시간의 일부 편성을 제외하면 모든 서울역발 열차들이 대곡행 열차다.
  • 능곡역 : ■ 서울역/용문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다만 한 정거장 뒤에 대곡역이 있어서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16][17]
  • 화전역 : ⓧ 서울역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행신역부터 서울역 방면 지선과 용산/용문 방면 본선 선로가 분리된다.
  • 수색역 : ★ 본선 한정으로 양방향 회차 가능하다.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 본선 한정으로 양방향 회차 가능하다.
  • 신촌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실제로 서울역 공사로 인해 서울역행 열차가 2달 5일 간 신촌역에서 끊긴 적이 있었다.
  • 공덕역 : ⓧ ★ 공덕 ~ 용산 구간 개통 전 시·종착역이었다.

2.1.12.2. 중앙선

  • 서빙고역 : ⓧ 문산 방면 한정으로 회차 가능하다. 실제로 경의·중앙선이 중간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덕소/팔당/용문행 열차를 서빙고에서 끊고 문산 방면으로 회차시키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기도 한다.
  • 왕십리역 : ⓧ ★ 양방향 회차 가능하다. 다만 바로 다음 역인 청량리역도 양방향 모두 회차 가능해 잘 쓰이지 않고 있다.
  • 청량리역 : ■★ 양방향 회차 가능하다. 과거 경원선으로 운행하던 시절 평면 교차 방지를 위해 중간 종착역 역할을 해 왔으나 경의·중앙선으로 편입된 이후에는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경춘선 수도권 전철도 일부 시·종착한다.
  • 덕소역 :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 팔당역 : 중앙선 전철 당시 능내 구간이 이설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 국수역 : ⓧ 중앙선 전철 당시 용문까지 개통되기 전 시·종착역이었다.
  • 용문역 : 현실적으로 지평행 열차는 하루에 4대 정도이기 때문에 여전히 실질적인 시·종착역으로 취급한다. 용문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2.1.13.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역 : ⓧ 고색행으로 모든 열차가 전환되며 직결 이후 시종착 열차가 사라졌다. 다만 하행의 회차는 가능하다.

2.1.13.1. 분당선

  • 왕십리역 :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청량리 방향은 오리카에시로 회차 가능하다.
  • 선릉역 : ⓧ 2단계 선릉 ~ 수서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수서역 : ⓧ ★ 1단계 수서 ~ 오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야탑역 : ⓧ ★
  • 오리역 : ⓧ ★ 1단계 수서 ~ 오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죽전역이 개통되면서 현재 시·종착역의 역할을 죽전역에 빼앗기게 되었다.[18]
  • 죽전역 : ★ 40% 가량의 일반 열차가 시·종착한다. 분당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기흥역 : ⓧ 4단계 보정 ~ 기흥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망포역 : ⓧ 6단계 기흥 ~ 망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2.1.13.2. 수인선

  • 고색역 : ★ 20%의 일반 열차/분당선 급행 열차가 고색에서 시·종착한다.
  • 능길역 : ⓧ 수인선의 오이도행(상행) 열차는 전부 능길역에서 회차한다.
  • 오이도역 : ★ 수인선 구간의 급행 열차는 모두 오이도역에서 시종착하며, 막차에 하행 오이도행도 존재한다. 시흥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월곶역 : ⓧ 시흥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수인분당선 개통이후 4호선 일부열차가 월곶역에서 회차한다.
  • 송도역 : ⓧ 1단계 오이도 ~ 송도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2.1.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 평내호평역 : 평내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평내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마석역 : 평일 출근 시간에만 일부 열차 시·종착
  • 청평역 : ⓧ

2.1.15. 수도권 전철 경강선


  • 부발역 : 부발기지 입·출고 및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부발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2.1.16. 신분당선


  • 정자역 : 모든 역에 회차선이 있지만 사용하는 중간 종착역은 정자역 뿐이다.

2.1.17. 인천국제공항철도



2.1.18. 김포 도시철도


  • 구래역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2.1.19. 우이신설선



2.1.20. 용인 에버라인


  • 초당역 :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용인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삼가역 :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용인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운동장·송담대역 :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 고진역 : ⓧ ★

2.2. 부산



2.2.1.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신평역: ■ 4단계 서대신 ~ 신평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신평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19]
  • 하단역: ⓧ
  • 서대신역: ⓧ 3단계 중앙 ~ 서대신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3호선 개통 전에는 노포발 서대신행이 상행 막차로 투입되었다.[20]
  • 중앙역: ⓧ 2단계 범내골 ~ 중앙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부산진역: ⓧ 3호선 개통 전에는 신평발 부산진행이 하행 막차로 투입되었다.[21]
  • 범내골역: ⓧ 1단계 범어사 ~ 범내골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연산역: ⓧ
  • 장전역: ⓧ
  • 범어사역: ⓧ 1단계 범어사 ~ 범내골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노포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2.2.2.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동백역: ⓧ 심야 장산역 종착 열차의 일부가 동백역으로 회송한 후 주박하며, 다음 날 아침에 장산역으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 광안역: ■
  • 경성대·부경대역: ⓧ
  • 금련산역: ⓧ 2단계 금련산 ~ 서면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전포역: ■ 2호선 양산구간 개통 전에는 장산발 전포행이 존재했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22]
  • 서면역: ⓧ 1단계 서면 ~ 호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개금역: ⓧ
  • 사상역: ⓧ
  • 구명역: ⓧ 3호선 개통 전에는 장산발 구명행이 존재했었다.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23]
  • 화명역: ⓧ 동원역 이후의 지상 고가 구간에 이상이 생길 때를 대비하여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
  • 호포역: 1단계 서면 ~ 호포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호포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24]

2.2.3.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연산역 : ⓧ
  • 덕천역 : ⓧ 구포철교 붕괴를 대비하여 대피선이 설치되어 있다.

2.2.4. 부산 도시철도 4호선



2.2.5. 부산김해경전철



2.2.6. 동해선


  • 거제해맞이역 : ⓧ
  • 동래역 : ⓧ
  • 센텀역 : ⓧ
  • 신해운대역 : ⓧ
  • 송정역 : ⓧ
  • 기장역 : ⓧ
  • [25]

2.3. 대구



2.3.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곡역 : ⓧ 3단계 대곡 ~ 진천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진천역 : ⓧ 1단계 진천 ~ 중앙로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월배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교대역 : ■ 2003년 중앙로역 화재 여파로 인하여 대곡발 열차가 이 역에 임시로 시·종착했었다.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중앙로역 : ⓧ ★ 1단계 진천 ~ 중앙로 구간 개통 시 시·종착역이었다.
  • 동대구역 : ⓧ ★ 2003년 중앙로역 화재 여파로 인하여 안심발 열차가 이 역에 임시로 시·종착했었다.
  • 동구청역 : ⓧ ★ 2003년 중앙로역 화재 여파로 인하여 안심발 열차가 동대구역에 종착한 후 이 역에서 회차하였다.
  • 방촌역 : ■ 지금은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2.3.2.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다사역 : ⓧ 문양기지 입·출고선이 존재한다.
  • 강창역 : ⓧ
  • 이곡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감삼역 : ⓧ
  • 수성구청역 : ■ 막차 한정으로만 사용된다.
  • 대공원역 : ⓧ
  • 사월역 : ⓧ 심야 영남대역 종착 열차의 일부가 사월역으로 회송한 후 주박하며, 다음 날 아침에 영남대역으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26]

2.4. 대전



2.4.1.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서대전네거리역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 구암역 : ⓧ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없지만 새벽에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있다.
  • 정부청사역 : ■★ 1단계 판암 ~ 정부청사 구간 개통 시 종착역이었으며, 지금도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있다.

2.5. 광주



2.5.1.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소태역 : 대부분의 열차가 시·종착한다.

[1] 예: 소요산역, 당고개역[2] 양주역, 화곡역, 독립문역, 도곡역[3] 상대식 승강장인데 Y자 회차선 존재 : 도곡역, 한강진역, 공덕역, 태릉입구역, 신풍역, 잠실역[4] 섬식 승강장인데 X자 회차선 존재 : 서울대입구역, 범내골역[5] 한 때 명칭은 의정부북부역으로 1호선 최북단 역이였다.[6] 한 때 명칭은 성북역으로 1호선 최북단 역의 원조였다. 현재 경부선 서동탄/천안/신창발 열차들의 시·종착역이다.[A] A B 한국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보다 1시간 일찍 영업 운행을 종료한다.[7] 여담으로 이 구간은 경의중앙선 편입 이전에 1호선의 지선으로 기능하기도 했었다. 일명 왕십리 경유 성북행.[B] A B 안산선이 1호선의 지선이었던 시절에는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활용하였다.[8] 정작 다음역인 을지로입구역에 회차선과 시종착 열차가 있다(...).[9] 평일 대화발 막차는 구파발행 열차가 아니라 삼송행 열차이며, 토요일/공휴일 시간표 한정으로 대화발 구파발행 열차가 있다.[10] 이 역에서 주박하는 열차는 100% 한국철도공사 열차로,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수서역 종착 후 기지로 입고한다.[11] 물론 한국철도공사 열차의 경우 평일 막차 시간대에만 존재한다.[12] 2020년 4월 1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예방 대책으로 수도권 전철의 평일 막차 시간이 1시간 단축되었다. 이에 따른 열차 시간표 변경으로 부활하였다.[13] 실제로 서울 지하철 4호선 - 과천선 - 안산선 직결 당시 노원행 열차가 있었다. 노원역에서 회차 직후 창동기지로 들어가는 경로로 움직였다.[14] 즉, 서울역부터 사당역까지 회차선이 없기에 해당 구간 중 한 곳이라도 사고 나거나, 혹시라도 동작대교 통행이 전면 중단되면 숙대입구역 ~ 사당역 구간이 전부 운행 중지를 먹는다고 한다. 가끔 지축기지로 중검수 받으러 가는 열차가 잠시 주박할 때도 있다.[15] 임진강행 열차는 임진강역 ~ 문산역을 왕복하는 셔틀 열차로 계획되어 있기 때문이다.[16] 왜 막차 시간에 한 정거장 뒤인 대곡행으로 놓지 않고 능곡행으로 놓냐에 대해 불만이 많은데, 이는 한국철도공사 일산승무소가 능곡역에 위치하기 때문인 듯 하다. 그러나 확실히 불편한 점은 있다.[17] 정확히 말하자면, 코레일은 수요자들의 입맛을 최대한 맞춰서 이윤을 남겨야만 하는 JR그룹이 아니기에 의지가 없고 귀찮아서 하지 않는 것 뿐이다. 어차피 능곡에서 주박하는 거, 능곡에서 바로 종착하지 않고 대곡역까지 가서 종착한 다음에 대곡역에서 오리카에시하여서 다시 능곡으로 공차 회송해도 되지만, 어차피 적자가 나든 말든 알 바 없는 공기업인 특성 상 그렇게까지 이용객들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18] 연장을 대비하여 전용 회차선을 건설하였지만 제대로 활용도 못 하고 버려졌다.[19] 막차 노포발 신평행은 다음 날 첫차 신평발 노포행으로 운행한다. 차량기지가 있는 역에도 불구하고 평시 종착이 없는 것은 2호선의 호포역행이 평시에도 다수 투입되는 것과 대조적이다.[20] 유치선과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도 남아 있어 비상 주박역으로 운영할 수 있다.[21] 시·종착역이었던 적은 없지만 경부선 철도 인입선에 열차를 주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차선까지 있으며, 현재까지도 남아 있어 비상 주박역으로 운영할 수 있다.[22] 현재도 양산발 전포행 막차가 존재한다.[23] 현재도 구명발 장산행 첫차가 존재한다.[24] 평시에도 기지 입고로 인해 다수 투입되며 하행 막차 직전에 투입되는 열차가 호포행 막차이다.[25] 2단계 구간 미개통[26] 대구도시철도공사의 2호선 관리소도 사월역 근처에 있다. 평시에는 사월역 유치선에 선로 관리용 모터카가 대기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