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송
1. 개요
- 영어: Character song, Image song
- 일본어: キャラクターソング
2. 상세
2.1. 일본
일본 애니메이션의 경우 과거에는 초반부터 기획하기 보다는 성공적으로 장기 방영될 경우 캐릭터 송을 추가 제작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된 캐릭터 송이 애니메이션에 삽입된 결과가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경우는 드물었고, 기동전사 건담의 "샤아가 온다"라든지,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의 "남쪽섬 편"과 같은 흑역사를 만드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캐릭터 송이 "모에요소"라는 성공 요인을 제대로 공략한 것은 변덕쟁이 오렌지 로드가 시초이다. 보통 OST 한두 개만 발매되던 이전 애니메이션들과 달리 OST 세 개, 보컬 앨범 두 개, 드라마 앨범 하나를 추가 발매했고, 성우가 직접 부른 캐릭터 송들도 호평을 받았다. 이 성공은 이후 오 나의 여신님, 란마 1/2 등에서 아예 성우들이 유닛을 이루어 가수활동까지 하게 만드는 계기로 작용했다. 성우 유닛의 전통은 주문은 토끼입니까?, 유루유리,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 등과 같이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해당 캐릭터를 연기한 배우나 성우가 '해당 캐릭터가 노래를 하는 것처럼 연기'하며 부르는 것이 추세이고[2] , 앨범에도 가수명을 실제 인물이 아닌 등장인물 명의로 기록하거나, '캐릭터=실제인물' 형태로 표기한다. 아예 캐릭터 명의로 발매된 음원만을 캐릭터 송으로 인정하는 층도 있다. 하지만 80년대 중반 이전에는 캐릭터 송도 성우가 아닌 프로 가수가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영화의 경우는 가창력이 되는 배우만 노래하는 것이 상식이었다.
캐릭터 송은 보통 작품 내에 삽입곡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애니메이션의 인기를 등에 업고 후에 캐릭터 송 음원만 제작해서 판매하는 사례도 있다.[3] 캐릭터의 개성으로 승부하는 일상물이나 하렘물 등에서는 캐릭터 송을 오프닝이나 엔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바케모노가타리에서는 오프닝을,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 리가 없어/애니메이션에서는 엔딩을 캐릭터 송으로 사용했다. 같은 오프닝곡이나 엔딩곡을 사람만 바꿔 바꾸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이나 오소마츠 상과 같은 경우도 있다.
과거에는 수요층이 주로 남성이어서 미소녀 동물원 계열과 하렘물 등 남성향 쪽에 캐릭터 송이 집중되었으나, 여덕의 수요 확대로 인해 BL이나 역하렘물 등 여성향 쪽 수요도 크게 증가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등장인물들은 다 캐릭터송이 있는데, 캐릭터송이 없는 인물이 나오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외부의 사정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특히 사카모토 마아야[4] 나 이시다 아키라, 사쿠라이 타카히로는 캐릭터 송을 부르지 않는 걸로 유명하다.
따지고 보면 이쪽도 미디어믹스의 일환. 아예 캐릭터마다 캐릭터 송을 개별 음반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특히 교토 애니메이션 같은 경우 많은 작품이 이런 식이다. 러키☆스타,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5] , 케이온!, 일상(만화) 등등. 특히 케이온!같은 경우 1기, 2기에 발매된 캐릭터 이미지 싱글만 '''7개 + 8개 = 15개'''다. (케이온!/음반 목록 참조.)
저작권/공연권 등 권리는 일반적으로 성우/배우가 아니라 캐릭터 앞으로 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제작위원회가 권리를 갖는다. 그래서 성우/배우에게 가창인세는 주어지지 않아 캐릭터 송이 아무리 팔려도 성우/배우가 받는 돈은 연기할 때에 받는 돈이 전부이다.
2.2. 미국
미국 애니메이션에도 캐릭터 송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여럿 있으며, 특히 Be Prepared와 Let It Go는 전세계급 인지도를 자랑한다.
190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영미권의 작품에서는 '''해당 캐릭터들이 노래에 맞춰 마치 뮤지컬을 하는 듯한 연출'''이 많이 쓰였다. 대표적인 예가 월트 디즈니의 작품들로, 노래가 좋으면 아예 OST만 따로 컴필레이션으로 발매하여 추가 이익을 얻기도 한다. 다만 이런 뮤지컬 장면이 너무 남발될 경우, 'Big lipped alligator moment'가 되어서 거부감을 일으키기도 한다.
2.3. 한국
한국 애니메이션에도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둘리, 하니, 까치 등 유명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워 오프닝 자체가 캐릭터 송 성격을 띄는 경우가 많고, 날아라 슈퍼보드의 저팔계 테마곡('''나는 나는 저팔계 왜 나를 싫어하나~''')이나 녹색전차 해모수의 오후의 태양단 테마곡 등등 주인공이 아닌 '''개그 캐릭터''' 등장 시 보컬곡이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매우 드물게 악역 캐릭터 송으로 영혼기병 라젠카의 The Power 같은 간지폭풍 노래가 나온 바도 있다. 파닥파닥의 악몽처럼 해당 성우가 직접 노래를 부른 경우도 드물지만 있다.
드라마에도 캐릭터 송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 곡을 리메이크한 유준상이 부른 왜그래 풍상씨 OST '나는 행복한 사람', 지창욱이 부른 날 녹여주오 OST '사랑이 지나가면' 정은지와 서인국이 리메이크한 응답하라 1997 OST 쿨의 'All For You', 응답하라 1994 OST로 고아라가 부른 박기영의 '시작', 정우, 유연석, 손호준이 부른 더 블루의 '너만을 느끼며'[6] , 완전 창작곡인 서현진이 부른 또 오해영 OST '사랑이 뭔데', 신린아가 부른 ITEM의 '미안해 말아요'가 그것이다.
3. 캐릭터 송이 있는 창작물
3.1.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로 등재된 노래
- 사이버 가수들의 노래들
- 디즈니의 캐릭터 송
- 'Twas Brillig - 체셔 캣
- A Conversation - 마이클 뱅크스
- A Cut Above the Rest - 루미에, 콕스워즈
- A Dream Is a Wish Your Heart Makes - 신데렐라
- A Girl Worth Fighting for - 야오, 링, 치엔포
- A Guy Like You - 가고일 휴고, 빅터, 라벤느
- A Place Called Slaughter Race - 바넬로피 본 슈위츠
- A Spoonful of Sugar, Practically Perfect, Can You Imagine That? - 메리 포핀스
- A-E-I-O-U (The Caterpillar Song) - 애벌레
- All in the Golden Afternoon - 꽃들
- Almost There - 티아나
- Another Pyramid - 조세르
- Are You In or Out? - 살룩
- Aria - 마담 가드로브
- As Long as There's Christmas (Reprise) - 안젤리크
- Babkak, Omar, Aladdin, Kassim, High Adventure - 밥칵, 오마르, 카심
- Baby Mine - 점보 부인
- Be Our Guest - 루미에, 미세스 팟
- Be Prepared, The Madness of King Scar - 스카
- Belle, A Change in Me - 벨
- Bibbidi-Bobbidi-Boo - 요정 대모
- Brimstone and Treacle - 앤드루
- Brooklyn's Here - 스팟 콜론과 브루클린의 신문 배달 소년들
- Casey Junior - 케이시 주니어
- Carrying the Banner - 신문 배달 소년들
- Chim Chim Cher-ee - 버트
- Chow Down - 쉔지, 반자이, 에드
- Clown Song - 광대들
- Colors of the Wind, Just Around the Riverbend - 포카혼타스
- Daughters of Triton - 트라이튼의 딸들
- Diamonds in the Rough - 자파, 이아고
- Dig a Little Deeper - 마마 오디
-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True Love - 안나
- Don't Fall in Love - 포르테
- Fathoms Below - 에릭의 선원들
- Feed the Birds (Tuppence a Bag) - 새 모이를 파는 노파
- Fidelity Fiduciary Bank - 은행 임원들
- Fixer Upper - 트롤
- Friend Like Me - 지니
- Friends on the Other Side - 파실리에
- Fortune Favors the Brave - 라다메스
- Frozen Heart - 얼음장수
- Gaston, Me - 개스톤
- Go the Distance, Shooting Star - 헤라클레스
- God Help the Outcasts, Someday - 에스메랄다
- Gonna Take You There, Ma Belle Evangeline - 레이
- Great Spirits - 키나이의 부족
- Hakuna Matata - 티몬과 품바
- Hans of the Southern Isles - 한스 웨스터가드
- He Lives in You (Reprise), Upendi - 라피키
- Hellfire - 클로드 프롤로
- Her Voice - 에릭
- How D'Ye Do and Shake Hands - 트위들디, 트위들덤
- How Far I'll Go - 모아나
- How I Know You - 메렙
- Human Stuff - 스커틀
- Hygge - 오큰
- I Just Can't Wait to Be King, Endless Night, We Are One - 심바
- I Love to Laugh - 알버트 삼촌
- I Won't Say (I'm in Love) - 메가라
- I'll Make a Man Out of You - 리 샹
- I'm Late - 하얀 토끼
- I'm Looking Out for Me - 이아고
- If I Can't Love Her, Evermore - 야수
- In Summer - 올라프
- In a World of My Own, Alice's Theme - 앨리스
- Les Poissons - 주방장 루이
- Let It Go, Monster - 엘사
- Letter from the Refuge - 크러치
- Listen with Your Heart - 버드나무 할머니
- Look Out for Mr. Stork - 황새
- Lost in the Woods - 크리스토프
- Mine, Mine, Mine - 랫클리프, 존 스미스
- Mother Knows Best - 고델
- My Lovey-Dovey Baby, That's Rich - 메다 락슨
- My Lullaby - 지라
- My Strongest Suit - 암네리스
- No Matter What, How Does a Moment Last Forever (Music Box) - 모리스
- No Other Way - 커책
- No Way Out - 키나이
- Nowhere to Go But Up - 풍선 할머니
- On My Way - 코다
- One Jump Ahead, Proud of Your Boy - 알라딘
- Out There - 콰지모도
- Painting the Roses Red - 카드 병사들
- Part of Your World - 에리얼
- Pink Elephants on Parade - 분홍 코끼리
- Poor Unfortunate Souls - 우르슬라
- Prince Ali (Jafar Reprise), You're Only Second Rate - 자파
- Prince Ali (Sultan Reprise) - 술탄
- Reflection - 파 뮬란
- Reindeer(s) Are Better Than People, Kristoff Lullaby - 크리스토프 비요르그먼
- Rest and Recreation - 피버스
- Santa Fe - 잭 켈리
- Shadowland - 날라
- She's in Love - 플라운더, 에리얼의 언니들
- Shiny - 타마토아
- Sister Suffragette, Being Mrs. Banks - 위니프레드 뱅크스
- Song of the Roustabouts - 노동자들
- Steady as the Beating Drum - 아메리카 원주민들
- Steady as the Beating Drum (Reprise) - 포와탄
- Step in Time - 굴뚝 청소부들
- Strangers like Me, Everything That I Am - 타잔 그레이스톡
- Sweet Child - 플롯섬, 젯섬
- Temper, Temper - 발렌타인, 미스터 펀치, 윌리엄과 장난감들
- The Bottom Line - 조셉 퓰리처
- The Court of Miracles - 클로팽과 집시들
- The Gods Love Nubia - 아이다, 네헤브카, 메렙과 누비아인들
- The Gospel Truth - 뮤즈
- The Life I Lead, Cherry Tree Lane - 조지 뱅크스
- The Morning Report - 자주
- The Perfect Nanny, The Place Where Lost Things Go (Reprise) - 제인 뱅크스, 마이클 뱅크스
- The Unbirthday Song - 마치 헤어, 매드 해터
- The Virginia Company - 영국 개척자들
- The World Above (Reprise), If Only (Reprise) - 트라이튼
- The Work Song - 자크, 거스, 쥐들
- These Palace Walls, To Be Free - 자스민
- Trip a Little Light Fantastic - 잭과 반짝이들
- Trip a Little Light Fantastic (Reprise) - 도스 주니어
- Turning Turtle - 톱시
- They Live in You - 무파사
- Topsy Turvy - 클로팽과 파리 시민들
- Transformation - 싯카
- Trashin' the Camp - 터크, 탠터
- Trust In Me - 카아
- Under the Sea, Kiss the Girl - 세바스찬
- (Underneath the) Lovely London Sky - 잭
- Waiting for This Moment - 제인 포터
- Watch What Happens - 캐서린 플러머
- We Know the Way - 모투누이의 조상들
- Welcome - 곰들
- Welcome to the Forty Thieves - 40인의 도적들
- When I See an Elephant Fly - 까마귀들
- When We're Human - 루이스, 나빈, 티아나
- When Will My Life Begin?, Healing Incantation - 라푼젤
- Where You Are - 투이, 시나, 모투누이 사람들
- Who Better Than Me - 터크
- Who's Been Painting My Roses Red? - 하트 여왕
- You'll Be in My Heart - 칼라
- You're Welcome - 마우이
- 이야기 시리즈의 캐릭터송들[7]
- staple stable, 二言目, fast love, dreamy date drive - 센조가하라 히타기
- 帰り道, happy bite, terminal terminal - 하치쿠지 마요이
- ambivalent world, the last day of my adolescence - 칸바루 스루가
- 恋愛サーキュレーション, もうそう♥えくすぷれす - 센고쿠 나데코
- sugar sweet nightmare, perfect slumbers, chocolate insomnia - 하네카와 츠바사
- marshmallow justice - 아라라기 카렌
- 白金ディスコ - 아라라기 츠키히
- オレンジミント - 오노노키 요츠기
- decent black, dark cherry mystery - 오시노 오기
- mathemagics, 夕立方程式 - 오이쿠라 소다치
- 07734 - 아라라기 코요미
- 유루유리/음반 목록의 보컬곡들
- 先生あのね - 일하는 세포. 혈소판과 매크로파지의 커플링 송
- 진삼국무쌍 시리즈, 전국무쌍 시리즈의 무쌍 시리즈/음반에 실린 곡들
- 초차원게임 넵튠 시리즈/관련 앨범의 모든 캐릭터송 문서.
- 케이온!/음반 목록의 보컬곡들
- BEMANI 시리즈의 캐릭터 대표곡[8]
- うさぬこぬんぬんファンタジー! - 우사누코(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
- たからもの - 세리카&에리카(beatmania IIDX 17 SIRIUS)
- ポチコの幸せな日常 - 포치코(팝픈뮤직 Sunny Park)
- HAPPYEND - 카츠라기 케이마
- Trust - 요코 리트나
- poca felicità 앨범의 3~9번 트랙 - 건슬링거 걸의 주요 등장인물들
- 엉클 퍼커 - 테런스&필립
- わたし音頭 - 아쿠아(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2)
- リカバーデコレーション - 오노데라 코사키 (니세코이)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모든 캐릭터들의 캐릭터송이 있는데 특이하게도 각 캐릭터들의 성우가 아닌 VOCALOID들이 해당 캐릭터송을 불렀다. 아담과 데루민의 경우를 제외하면 작곡가들 거의 대부분이 보카로P인 것도 특징. 후술한 곡들은 개별 문서가 있는 곡들만 기록하였다.
- 레트로 마니아 광상곡 - 쥬몬지 아타리
- Call of Justice - 저스티스 핸콕
- 알칼리 열등생 - 리리카
- 베어라 캐리온 - 소비키 노호
- 잔향 - 오우카 타다오미
- 틀린 부분 찾기 - 잔 다르크
- 하이스펙 니트 - 마르코스'55
- 독백 - 루치아노
- 댄스 로봇 댄스 - Voidoll
- 아야카시 - 후카가와 마토이
- 그라베 - 구스타프 하이드리히
- 테슬라는 꿈 속 - 니콜라 테슬라
- 칸타빌레×파시오네 - 비올렛타 느와르
- 태엽 소녀 시계 - 코쿠리콧트 블랑쉬
- KILLER B - 마리아 S 레온브루크
- Let Me Take You - 아담 유리에프
- 천사라고 생각했는데 - 13
- 너는 그저 두 번 날면 돼 - 풋내기 용사
- 바이올런스 트리거 - 메구메구
- 너의 바람이 될게 - 이스타카
- 그러니까 말했잖아? - 키류인 키라라
- 크레이지 비트 - 비너스 포로롯쵸
- 행성의 댄스 플로어 - 데빌민트 키류 데루민(데루밍)
- 앱솔루트 - 토마스
- 패러렐 레이어 - 레이야
- 애정 열등생 - 루루카
3.2. 그 외
3.2.1. 애니메이션
- 근육맨 - 많은 등장인물들에게 테마곡이 있다. 각 등장인물 문서에 들어가보면 맨 아래에서 들어볼 수 있다.
- 미남고교 지구방위부 시리즈
3.2.2.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 신규 캐릭터가 발매 될때마다 로그인 화면을 해당 캐릭터의 이미지와 테마곡 으로 장식하며 상당한 호평을 받는 테마곡도 여럿 나왔다.
- 마비노기 = NPC 한정. 게임 클라이언트 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메이플스토리 - 엔젤릭버스터, 키네시스 한정
- 사이퍼즈 - 듣기 및 다운로드
- 아르피엘
- [9]
[1] 대표적인 곡으로 <닥터 지바고>의 "Lara's theme"이 있다. 테마곡은 등장인물을 위한 것만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Tara's theme"의 경우는 남부 농장의 이미지를, <시네마 천국>의 "Love theme"은 형태가 없는 개념을 형상화한 곡이다.[2] 미즈키 나나의 경우, 연기한 캐릭터의 목소리가 아닌 자신이 평소에 노래부르는 목소리로 캐릭터 송을 녹음하고 있어서 "이건 그냥 노래지 캐릭터 송이 아니다"라고 까는 안티들도 있다. 일부 팬은 "캐릭터가 부른다는 마음가짐"에 목소리는 미즈키 나나 자신의 목소리를 주문하는 경우도 있다.[3] 애니송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작품 내에 삽입된 곡은 IN, 삽입되지 않은 이미지곡은 IM으로 구별해서 표기한다.[4] "노래는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생각하기에, 캐릭터에 맞춰서 부르는 것은 노래가 아니다"라고 여겨 캐릭터송을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 덕분에 예를 들어 흑집사, 오란고교 호스트부, 이야기 시리즈 등에선 주연급 캐릭터를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캐릭터들에게 모두 있는 캐릭터송이 없다.[5] 그 중에서도 나가토 유키의 캐릭터 송을 들어보면 이게 정말 본편 나가토의 이미지를 반영하기는 한 것인지 의심이 갈 정도이다.[6] 정은지, 서인국은 원래 가수고, 고아라는 SM에 들어와서 초기에 노래와 춤도 같이 연습한 적이 있으며, 손호준은 '타키온'이라는 아이돌로 활동한 적이 있다.[7] 오프닝을 겸하기도 한다.[8] 팝픈뮤직의 경우 게임 특성상 곡 하나하나가 캐릭터성을 띠기 때문에 수록곡 대부분을 캐릭터 송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특별히 지정된 경우만을 기록한다. 또한 사이버 가수로 분류되는 히나비타의 경우는 위에 따로 분류.[9] 페이데이 갱단의 휴스턴의 대사인 don't act dumb(바보짓 하지마)을 합필갤처럼 노래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