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제조사
[image]
2017년 제조사별 생산 대수.
2012~2014년 한국 완성차 업체의 경영실적. 현대차와 기아차는 별도 기준이다.
3.17. 기타
1. 아시아
1.1. 대한민국
- 현대자동차그룹 - 현대차그룹은 종합 자동차 산업 이외에도 철도차량, 플랜트, 방위산업, 제철사업, 건설사업도 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 - 대한민국의 제1 자동차제조사.
- 제네시스 -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 기아자동차(군) - 1999년에 현대자동차가 인수했다. 민수용 자동차뿐만 아니라 군용차량[1] 도 생산한다.
- - 1976년에 기아그룹(現 기아자동차)에 인수되었다. 한때 피아트 차량을 면허생산하여 승용차를 제조판매하기도 하였으나,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 이후부터 상용차/군용전문 생산라인으로 재편되었고, 1999년에 기아자동차와 함께 현대그룹에 인수되면서 아시아자동차는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정리되었다. 현재까지 남은 아시아자동차 출신 차량은 그랜버드가 있다.
- 동희오토 - 형식상 자동차부품 중견그룹인 동희그룹 산하의 자동차 위탁전문제조사이나 실질적으로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위장계열사이다. 현대자동차그룹 직영노조의 비싼 인건비로는 수지타산이 안 맞는 경차모델을 이곳에서 위탁생산한다.
- 광주글로벌모터스 - 광주형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제조사로, 현대 AX가 이 곳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 현대로템(군)
- 쌍용자동차 - 무쏘, 코란도 등으로 유명한 RV, 승합차 생산업체.
- - 구 신진지프. 1986년 동아자동차(현 쌍용자동차)에 흡수합병되었다.
- 르노삼성자동차 - 2000년에 르노그룹 BV(르노의 네덜란드 법인)가 삼성카드와 합작하여 설립된 회사이다.
- - 모기업인 대우그룹이 2000년에 해체된 이후 별개의 회사들로 분할되었다. 법인으로서는 2016년까지 존재하였다가 청산되었다.
- 한국GM - 2002년 GM이 승용차부문을 인수해 GM대우가 설립되었고, 2011년 한국GM으로 변경하였다.
- 자일대우상용차(상) - 2002년 8월에 설립되어 같은 해 대우자동차 버스사업 부문을 인수하였고, 2003년에 대우자동차 계열사에서 분리되어 영안모자그룹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2018년 자일대우상용차로 사명을 변경했다.
- 타타대우상용차(상) - 대우자동차가 쪼개지고 있었을 때 대우차의 트럭 부문은 대우상용차라는 별도의 법인으로 남아 있었다가, 2004년에 인도의 대기업인 타타 그룹이 인수했다. 한국에서만 대우 브랜드로 판매되고 인도와 해외에서는 타타 브랜드로 판매된다.
- 두산인프라코어(건설) - 모르는 사람이 없는 굴착기 뿐만 아니라 로더, 굴절식 덤프트럭도 만든다.
- 현대건설기계(건설) - 현대중공업 소속이다.
- 한화디펜스(군)
- - 대한민국 최초의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시발자동차를 만든 회사.
- - 새나라를 생산한 회사. 이후 신진공업에 흡수되었다.
- - 대한민국 최초의 수제 스포츠카인 스피라를 제작한 회사.
- 한국화이바→TGM→에디슨모터스(상) - 저상버스 화이버드와 고상버스 SMART를 생산. 과거 생산했던 모델로는 프리머스와 바이모달 트램 1세대 모델이 있다.
- 우진산전(상) - 철도차량(전동차)를 주로 제작하는 회사이며, 바이모달 트램 2세대 모델과 전기버스 아폴로 1100도 생산한다.
- 동양물산(농) -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를 생산하고 있다.
- LS엠트론(농) - 트랙터를 생산하고 있다.
- 신원 CK 모터스 - 중국 자동차를 개량하여 판매하는 업체.
- 초소형 전기차(르노 트위지급의 차량) 생산업체들
1.2. 북한
- 금성뜨락또르공업(농) - 트랙터 회사
- 승리자동차연합기업소 - 북한 최대의 자동차 생산 기업으로, 1950년대 체코슬로바키아의 원조로 지어졌다.
- 평화자동차 - 남북합영회사라고 한다.
1.3. 일본
- 닛산
- 마쓰다
- - W12 엔진을 장착한 기함을 추가하는 등 최고급 브랜드로 기획되었으나, 전개 직전에 계획 자체가 폐기되었다.
- 미쯔오카
- 스바루 - 스바루 주식회사(구 후지중공업)의 자동차 브랜드.
- 스즈키
- 토요타
- 혼다
- 아큐라 - 혼다의 프리미엄 브랜드.
- GLM - 일본의 테슬라
- 이스즈자동차(상)
- 구보다(농) -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를 생산하고 있다. 한국에는 구보다코리아를 비롯해 생산 공장도 존재한다.
- 얀마(건설)(농) - 소형 중장비 업체이자 구보다와 쌍벽을 이루는 농기계 업체이다.
- 타지마 EV
- 아스파크
1.4. 중국
중국에서 자동차는 기차(汽车/汽車)라고 부르는지라 "○○자동차"의 정식 사명은 꼭 "○○기차(○○汽车)"다. 외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중국 현지 파트너 사와 함께 합작법인을 세워야 하는 이상한 중국 법규 때문에 광저우 토요타, 둥펑 르노, 베이징 현대 같은 중국 회사와 외국 회사가 합쳐진 괴랄한 광경을 볼 수 있는데 이 합작이 1:1이 아닌, 하나의 중국회사가 여러 개의 외국회사와 각각 합작회사를 세우고, 그 외국회사는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중국회사와 합작하는 괴랄을 넘어 아스트랄한 경지에 이르는게 중국 자동차 회사이다. 아래의 목록을 보자.
- 광저우기차(GAC) - 1997년 광저우에서 설립되었다.
- 둥펑 - 1969년 후베이 성 우한 시에 설립되었다.
- 베이징기차 - 1988년에 설립되었다.
- 브릴리언스 오토 - 랴오닝 성 선양시에 위치해 있다.
- 상해기차
- 쓰촨텅중중공업기계
- 지리자동차
- 창안기차 - 1962년 충칭 시에 설립되었다.
- 비야디 자동차 -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 디이 자동차(FAW)
- 그레이트 월 - 만리장성의 이름을 따 1984년 설립된 중국 최대의 SUV 제조회사.
- 체리기차
- 선롱버스(상) - 한국에도 수출하는 선롱 두에고, 선롱 시티부를 생산하는 회사.
- ZX오토
- 리판
- 장화이기차
- 헤이유
- 리파인
- 중타이
- 패러데이 퓨처
- JMC
- 랜드윈드
- 하이거
- 니오: NIO EP9 등을 개발한 전기자동차 업체
- 다디: 트럭 전문 제조업체
- 포데이: SUV, 픽업 전문 제조업체
- 위퉁: 중국 최대의 상용버스 제조사
- 안카이: 버스 전문 제조사
- 킹롱: 버스 전문 제조사
- 장터조이롱
- 무단오토
- 화타이
- 샤오펑: 전기자동차 제조사
1.5. 대만
1.6. 인도
- 타타자동차 - 인도의 대기업 타타그룹의 자동차 사업부, 인도 최대의 자동차 제조업체이다. 스페인의 버스 제조업체인 이스파노를 인수하면서 타타이스파노를, 대우자동차가 분할되면서 트럭부문을 가져가 타타대우상용차를, 영국의 브랜드 재규어와 랜드로버를 인수해 재규어랜드로버라는 둘을 합친 회사를 산하해 두고 있다.
- 마힌드라 - 인도의 대기업 마힌드라 그룹의 자동차 사업부. 타타에 이어 인도에서 두 번째로 큰 자동차 제조업체이다. 상하이 자동차에서 인수되고 버려진 쌍용자동차와 이탈리아의 자동차 디자인 전문업체인 피닌파리나를 인수했다.
- 힌두스탄 - 1942년 서벵골 주의 콜카타에 설립되었다.
- 포스모터스
- 바자즈오토
1.7. 말레이시아
- 프로톤 - 1983년에 국영기업으로 설립되었다. 영국의 로터스를 인수했다. 동남아시아,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터키, 중동에 주로 수출한다.
- 페로두아 - 1992년에 설립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 판매량에서 프로톤을 앞서가고 있다.
1.8. 태국
- 타이렁 - 태국의 자동차 브랜드. 1967년에 설립되어 일본차를 조립하는 회사였다가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중국과 이란에 주로 수출한다.
- 미네 -태국의 전기차 벤처
- 폼 -태국의 전기차 벤처. 수륙양용 전기차로 유명하다.
1.9. 이란
1.10. 아랍 에미리트
- W모터스 - 2012년 레바논에 설립하고 두바이로 본사를 옮긴 하이퍼카 제조업체. 첫 모델인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의 경우, 다이아몬드와 티타늄으로 코딩된 LED 전조등 등 기름국 특유의 돈지랄을 볼 수 있다. 해당 모델은 영화 분노의 질주 시리즈인 더 세븐에도 등장한다.
- 데벨 식스틴 -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된 설명을 따르면 자동차 역사에 전설로 남을 하이퍼카를 뛰어넘을 하이퍼카를 만들어낼 열정으로 설립되어 엄청나고 말도 안 되는 성능을 가진 자동차를 생산하여 자동차의 새로운 시대를 개척한다고 한다. 데벨 식스틴 프로토타입이라는 콘셉트 카는 최대 출력이 5,000마력[3] 0~60km/h1.8초 최고속도 560km/h라는 정말로 말도 안 되는 성능을 가지며 크기도 큰데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롱바디와 같을정도다. 해당 모델은 모바일 게임 아스팔트 시리즈인 8: 에어본의 새로 추가된 자동차로 등장해 다른 자동차들을 짓눌러 버렸다.
1.11. 터키
- 토그
- 오눅 컴피티션 디벨롭먼트 - 군용, 민간용 선박을 주로 생산하는 터키의 회사이며, 생산한 자동차는 두 가지 모델 밖에 없다. 모바일 게임 아스팔트 8: 에어본에 자사의 모델인 ONUK Sazan LM이 등장한다.
- 토파스 - 피아트 차량의 현지생산 및 개발을 보조하고 있다. 설립 때부터 피아트와 손을 잡았으며, 피아트 124와 피아트 131을 현지화해 1990~2000년대까지 생산한 경력도 존재한다.
- 카르산(상) - 푸조의 승합차를 생산하는 업체이면서 피아트, 시트로엥 등의 몇몇 승합차들을 푸조의 브랜드로 터키에서 판매한다. 현대자동차와도 협력하여 현대 쏠라티와 수출형 현대 마이티도 생산한다.
- 오토카르(상)
1.12. 기타
- 우즈베키스탄: 라본 - 본래 우즈대우아브토라는 대우자동차의 우즈베키스탄 내수용 회사였으나, 대우가 망하고 라본으로 사명을 바꿨다. 대우가 망하고 나서도 이름을 유지했으나 GM이 포스코 대우에 대한 본색을 드러내면서 내수 브랜드였던 우즈-대우의 이름을 바꾸게 된 것. 2017년 말 GM이 우즈벡 정부에 지분을 매각하면서 대신 3년간 브랜드 사용 등 최소한의 역할만 남겼다.
- 싱가포르 : 반다 일렉트릭 - 싱가포르의 전기차 제조회사로, 2017 제네바 모터쇼에 덴드로비움이라는 전기 하이퍼카를 내보였다. #
- 베트남: 빈패스트
- 필리핀: 크리마 모비리티
2. 아메리카
2.1. 미국
- 크라이슬러 - 2014년 1월에 피아트에 인수되었다.
- 포드 모터 컴퍼니
- GM
- 테슬라
- 피스커
- 카르마
- 헤네시
- 페이노즈
- PSC모터스
- 트라이온
- 케플러
- 셸비 아메리칸
- 살린
- 알루미 크래프트
- SSC
- 로컬 모터스
- 루크라
- 팔콘 모터스포츠
- 카누
- 로즈타운
- 벡터 모터스
- 루시드 모터스
- 로션
- 델타윙스 - 서킷용 레이스 카만 생산한다.
- - 경찰차만 제조했다.
- 레즈바니 - 슈퍼카 제조사
- 다임러 AG
- 파카그룹
- 볼보그룹
- 나비스타 인터내셔널
- 스파르탄 ERV(상)
- 캐터필러(건설)) - 불도저를 비롯한 중장비를 제작하는 회사.
- 오시코시 코퍼레이션(군)(상) - 군용 차량, 공항용 특수차량 등의 중장비를 제조하는 회사.
- 페라라(상) - 소방차 등의 긴급자동차를 제작하는 회사.
- 오토카 컴퍼니(상)
- MCI(상) - Motor Coach Industries의 약자로 고속버스 제조사. 대침체 여파로 파산 신청을 하였고 2015년에 캐나다의 버스 제조사인 New Flyer Industries가 인수하였다.
- NABI 버스(상) - North American Bus Industries의 약자. New Flyer Industries에 인수되었다.
- 블루버드(상)
- - 2009년에 폐기.
- 존디어(농)
- 리비안
- 아틀리스
- 볼린저
- 니콜라
- 클라크지게차(건설) - 삼성중공업의 지게차 사업부를 이 회사가 인수했다. 현재는 한국의 영안모자의 자회사.
- 카누
2.2. 캐나다
- 인터메카니카
- 뉴 플라이어 인더스트리스(상) - 캐나다의 시내버스의 제조사이다.
- HTT - 퀘벡 주에 위치한 캐나다 슈퍼카 제조업체.
- 펠리노
- TAV - Terradyne Armored Vehicles의 약자. 캐나다의 군용차량 업체. 2011년 영화 분노의 질주: 언리미티드에서 해당 회사의 구르카(Gurkha)가 등장한다.
- 콘퀘스트 비히클
- 라이언 버스(상) - 퀘벡 주에 위치한 캐나다 버스 제조사.
- 프레이보(상) - 1924년 캐나다 퀘벡 주에 설립한 버스 제조업체. 볼보가 인수해 볼보의 자회사로 있다.
- - 이스즈 제미니 3세대, 이스즈 피아자 2세대, 대우 르망을 비롯해 GM 계열 소형차들을 북아메리카에서 판매한 전적이 있다.
- - 오프로드 임업트럭(Logging truck) 전문 제조사. 1947년 설립, 1991년 폐업. 현재는 Coast Powertrain이 모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 - 오프로드 임업트럭 전문 제조사. 1922년 설립, 1975년 팩카(Paccar Inc)에 매각.
- - 오프로드 임업트럭 전문 제조사. 1987년 설립, 1994년 폐업.
- 드 마크로스 - 한국 GS그룹에서 자본을 맡고 캐나다에서 생산을 맡은 슈퍼카다.
- 일렉트라 메카니카 - 전기차 벤처
2.3. 멕시코
2.4. 브라질
- 마르코폴로 SA(상) - 1949년 브라질 남부에 위치한 히우그란지두술 주에 설립된 버스 생산회사이다. 인도의 타타 자동차가 지분 51%를 인수했다.
- 트롤러 - 브라질의 유이한 자동차 제조사
- AGRALE - 브라질의 트럭, 버스, 군용트럭, 픽업트럭 제조업체
- FNM - 브라질의 전기트럭 스타트업 기업이다.
- 하이테크 일렉트리 - 전기차 벤처
- 모빌리스 -전기차 벤처
- 가이아 일렉트릭 모터스 - 전기차 벤처
- eiON - 전기차 벤처
- 오비오 - 전기차 벤처
2.5. 아르헨티나
2.6. 기타
3. 유럽
3.1. 영국
- 롤스로이스 - 1998년에 BMW에 인수되었다.
- 미니 - 1994년에 BMW에 인수되었다. 여담으로 BMW에서는 미니의 후계차량이었던 오스틴 메트로와, 자신들과 비슷한 지위의 고급 브랜드였던 트라이엄프 자동차 브랜드의 상표권도 가지고 있다.
- 벤틀리 - 분쟁 끝에 2003년부터 폭스바겐 산하 브랜드가 되었다.
- 랜드로버 - 2008년에 타타 자동차에 인수되었다.
- 재규어 - 2008년에 타타 자동차에 인수되었다.
- 애스턴 마틴 - 이탈리아계 사모펀드가 보유하고 있다.
- 복스홀 - 오펠의 자회사이자, 제너럴 모터스 산하에 있었다가 스텔란티스(구 그룹 PSA)에 인수되었다.
- 로터스 - 말레이시아의 프로톤 홀딩스에 인수되었다. 이후 중국 지리홀딩스는 로터스의 지배지분 51%를 프로톤으로부터 인수하고, 말레이시아의 국민 자동차 브랜드 프로톤의 지분 49.9%를 DRB-하이콤으로부터 인수하는것에 합의했다.
- TVR
- MG - BMC와 브리티시 레일랜드 산하의 스포츠카 전문 브랜드. 2007년 이후에는 중국 상하이자동차 산하에서 MG 모터로 존속중이다.
- 맥라렌
- 모건 - 고전풍 디자인의 수제 자동차 제조사이다.
- 런던 EV 컴퍼니 - '블랙캡'이라고도 불리는 런던의 대표물인 런던 택시 제조 회사. 중국 지리자동차에 인수된 뒤 런던 시 규제에 맞춘 전기자동차 택시 전문 업체가 되었다.
- 알렉산더 데니스(상) - 버스와 소방차 제조회사이다. 2014년 수원 버스 7770 노선에 시범적으로 2층버스를 투입했을 때 사용된 인바이로 500의 제조사이다.
- 브라밤 - 1992년에 해체된 F1 명문팀이었으나 최근 잭 브라밤의 아들이 슈퍼카 제작사로 재탄생 시켰다.
- 아라쉬 - 슈퍼카 AF10, AF8을 개발.
- 노블
- 아스카리
- 데이비드 브라운
- 지네타
- 케이터햄 - 자사의 케이터햄 세븐이 유명하다.
- 제노스
- 엘리멘털
- AC
- 래디컬 스포츠카
- 보울러 모터스포트 - 랜드로버 차량들을 베이스로 하는 오프로더 차량 제작회사.
- 애리얼 - 서킷용 레이스 카만 생산한다.
- 키팅 슈퍼카즈
- 라이언하트
- 리스터
- BAC - Briggs Automotive Company의 약자. 리버풀에 위치한 스포츠카 제조회사이다.
- 웨스트필드
- 프랙스톤(상)
- 라이트버스(상)
- - 1905년 설립된 자동차 회사이다.
- - 1986년 완전 해체 후 로버 그룹과 MG로버 그룹으로 2005년까지 존속.
- - 2005년에 난징자동차가 인수. 이후 상하이자동차가 난징을 인수함에 따라 오스틴 모터 컴퍼니, 모리스, MG, 오스틴-힐리를 비롯한 대다수의 영국 브랜드들이 상하이자동차 산하로 들어갔고, 로버 브랜드 상표권은 포드가 인수했다가 현재는 인도의 타타자동차가 가지고 있다.
- - 2001년에 생산 중단한 삼륜차를 주로 제작한 회사.
- - Metro Cammel로 알려진 상용차 및 열차 제조사. 1993년까지 존속했다.
- - 싱어, 힐만, 험버, 탈보 등의 8개 브랜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1960년대 후반에 크라이슬러에 인수되었다. 나중에 푸조로 매각되어 탈보 브랜드로 통합되었다.
- - 1976년에 폐기.
- - Associated Equipment Company의 약자. 영국의 2층버스 제조사로 유명했다. 1979년에 브리티시 레일랜드로 통합되면서 폐기.
- - 브리티시 레일랜드의 전신. 주로 상용차를 제작했으나, 로버와 트라이엄프 고급차 및 스포츠카도 가지고 있었다.
- - 오스틴 모터 컴퍼니과 모리스가 합병한 회사로, 브리티시 레일랜드의 전신이다.
3.2. 독일
- 다임러 AG
- BMW
- 폭스바겐 그룹
- 보르그바르트 - 1919년 설립. 원어 표기는 'Borgward'로 보그바드 또는 보그워드로 읽기도 한다. 1961년에 파산하여 명맥이 끊겼으나 설립자 크리스티안 보르그바르트의 손자인 칼 F.W. 보르그바르트가 이 회사를 부활시키고자 노력하였고, 결국 2015년 중국의 포톤이라는 트럭 제조업체의 자본으로 제네바 모터쇼에 모습을 보여 54년 만에 부활했다.
- 오펠 - 1929년부터 제너럴 모터스 산하에 있었다가 스텔란티스(구 그룹 PSA) 그룹에 인수되었다.
- 알피나 - 본래 BMW의 튜너 업체로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BMW에게서 차체와 주요 부품을 제공받아 자신들 만의 BMW를 만드는 업체가 되어 완성차업체로 등록되어 있다. 알피나 같은 경우는 BMW 측에서 협력업체 같이 취급하며 대우도 꽤 좋다.
- 브라부스 - BMW에 알피나가 있다면 메르세데스 벤츠에게는 브라부스가 있다. 성격은 알피나와 동일.
- 비즈만 - 독일 수제 스포츠카 업체.
- 로텍
- RUF
- - 독일의 슈퍼카 제작업체, 2013년 파산으로 도산했다.
- 아폴로 오토모빌 - 2016년에 도산한 굼페르트를 중국의 한 업체가 인수해 새로 탄생한 슈퍼카 제조업체.
- 마기루스(상)
- 크로네 상용차 그룹(상)
- e-GO 모바일 - 전기차 벤처
- 소노 모터스 - 전기차 벤처
3.3. 프랑스
- 스텔란티스(구 그룹 PSA)
- 르노
- - 1894년에 설립된 고급 자동차 제조사다. 1954년에 모기업인 호치키스가 브란트에 인수되면서 폐기되었다.
- 부가티 - 폭스바겐 그룹에 인수되었다.
- - 2011년에 실립되고 2013년에 파산된 전기차 업체.
- - 2003년에 폐기.
- - 1962년부터 2003년까지 존속
- - 1964년에 마트라로 인수된 회사로, 세계 최초의 리어 미드쉽 양산차인 르네 보네 드예(Djet)를 만들었다.
- 젠티 - 아킬론이라는 자동차를 생산한다.
- 엑상 - VSP급 무면허 운전 마이크로카 전문업체. 2021년 기준 프랑스에서 세 번째로 큰 자동차 제조사이다. 영어권에서는 엑삼으로 발음.
- - 1991년부터 존속한 엑상의 정식 자동차 및 상용 마이크로카 전문 부문. 지금은 엑상 프로로 통합되어 브랜드 폐지.
- 리지에 - 경주용차 및 VSP급 마이크로카 전문업체. 전자는 리지에 오토모티브, 후자는 리지에 그룹이라는 명의로 운영 중.
- 마이크로카 - 리지에 휘하의 VSP급 마이크로카 전문업체. 리지에 그룹 공식 사이트에 마이크로카 브랜드 차량이 같이 올라와 있다.
3.4. 네덜란드
3.5. 이탈리아
- 페라리
- 람보르기니 - 1998년에 폭스바겐에 인수되었다. 사실 아우디에 인수되었고 그 아우디가 폭스바겐 소속인 것이다.
- 람보르기니 트라토리 S.p.A(농) - 위 람보르기니의 트랙터 사업부인데,[5] 현 소속은 독일의 SAME Deutz-Fahr 소속으로 별개의 회사이다.
- 파가니
- 피아트 크라이슬러 오토모빌스 - 피아트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하여 만든 그룹.
- 마찬티
- 스파다 (공식 페이스북)
- 치제타 - 비운의 슈퍼카로 알려진 치제타 V16T의 제조 업체이다.
- 드 토마소
- 투어링 슈퍼레제라 - 기존에 있던 모델을 갖다 전체적으로 튜닝을 거치는 기업, 매우 아름답다. 대표작은 알파로메오 8c로 제작된 디스코볼란테. 홈페이지의 역사를 보면 꽤 유서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18년에 나온 애스턴마틴 DBS도 이곳에 의뢰한 것이다.
- 프란지벤토 오토 - 일렉트릭 슈퍼카 제조업체.
- 카로체리아(차량 전문 디자인, 코치빌더) 리스트
- 자가토(Zagato) - 종종 기존의 차량을 갖다가 튜닝 작업을 진행한다.
- 피닌파리나 - 마힌드라가 지분 일부를 인수하였다.
- 이탈디자인 쥬지아로 - 폭스바겐이 지분 일부를 인수하였다
3.6. 스웨덴
- 볼보 - 2010년에 지리자동차에 인수되었다.
- 볼보건설기계(건설) - 볼보의 건설기계 사업부. 한국의 삼성중공업 중장비사업본부를 이 회사가 인수하여 볼보건설기계코리아가 되었으며, 볼보 굴착기의 90%가 여기서 생산된다.
- 폴스타 - 볼보의 고성능 담당 디비전이었으나 2017년부터 독립된 브랜드가 됐다.
- NEVS - 중국과 일본의 자본으로 구성된 회사. 파산된 사브의 일부 모델을 전기차로 재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 코닉세그 -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기록을 가진 차를 만들고 창립 20년이 되었지만, 총 차량생산 수가 150여대 밖에 되지 않는다.
- - 주로 전투기를 생산하는 방위산업체인 사브AB의 자동차 부문이다. 1969년에는 모기업인 사브AB으로 부터 분리되면서 스카니아와 합병되었다가, 1989년에는 GM에 인수되어 스카니아와 분리되었다. GM의 경영난 이후 파산되고 2016년에 사브 브랜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볼보트럭(상) - 볼보그룹의 승용차 부문이 중국 회사에 매각되었기 때문에 볼보 승용차와 상용차는 다른 회사이다.
- 스카니아(상)
3.7. 체코
3.8. 스페인
- 세아트 - 아우디의 자회사이자, 폭스바겐 소속이다.
- 쿠프라 - 세아트의 고성능 디비전이 별도의 브랜드로 독립되었다.
- GTA 모터 - 원래 스페인의 레이싱 팀이지만 2008년에 컨셉트 카를 출시했고 2010년부터 슈퍼카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생산 모델은 GTA 스파노가 유일하다.
- 트라몬타나
- 타타 이스파노(상) - 사라고사 주 사라고사 시에 위치한 버스 제조회사. 2009년에 타타에 인수되었다.
- 우로베사(UROVESA)(상) - 갈리시아에 위치한 대형차 생산업체. UROVESA는 URO, Vehículos Especiales, S.A.(URO, Special Vehicle, Inc.)의 약자이다.
- - 주로 상용차를 만들었으나, 승용차도 생산했다. 1994년에 폐기.
- - 고급차 브랜드. 2차 세계대전까지 승용차를 제작했고 종전 이후에는 비행기 엔진만 제조하고 있다. 그러던 2010년 제네바 모터쇼에 콘셉트 카를 전시했다. #
- 이리사르(상)
3.9. 폴란드
3.10. 러시아
- GAZ
- ZiL
- 아브토바즈 (라다)
- 요모빌 - 러시아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생산업체.
- UAZ
- - 2014년에 폐기된 러시아 최초의 스포츠카 생산 업체.
- 카마즈(상)
- 아브토로스(상)
- 아우루스 - 러시아의 고급차 제조 업체로, 블라디미르 푸틴의 새 의전차인 코르테즈 리무진을 제작하기도 했다.
3.11. 루마니아
- 다치아 - 르노 그룹에 인수되었다. 유럽 시장에서는 저가 차량 브랜드로 잘 알려져 있다. 유럽 시장에서 중국차나 동남아제차가 안 팔리는 원인이다. 1000만원 아래 가격으로 소형차 구매가 가능하다.
- - 산하에 올트시트 브랜드가 있었으며, 현재는 포드 루마니아로 변경되었다.
3.12. 스위스
- 에스페라 스바로
- 웨버 슈퍼카즈
- 린스피드 - 자동차 튜너이자, 콘셉트 카 제조 업체.
- 카테카
- 마이크로라이노 - 스위스의 스쿠터 제조 회사로, 소형 경차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 - 수제작 슈퍼카 업체. 본래는 자동차 정비소로 시작했다가, 이탈리아 코치빌더와 손을 잡고 수제차 사업을 시작했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 사업 중단 때까지는 SUV 및 고급 승용차를 만들었다.
- 피에히 오토모티브 (Piëch Automotive) - 자동차 업계에서는 유명한 가문인 피에히 가문이 2017년 스위스에 설립하고 2019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한 브랜드.
3.13. 벨기에
3.14. 핀란드
- 발멧 오토모티브 - 종이 사업, 에너지 사업, 전구 산업 등을 망라하는 핀란드의 기업인 발멧의 자회사였다가 사브에 인수돼 한동안 사브 산하로 있었다. 포르쉐, 오펠, 라다, 사브 등을 생산한 경력이 있고 현재는 메르세데스-벤츠만 생산 중이다. 2005년에는 레이스어바웃(Raceabout)이라는 스포츠카를 생산한 적이 있다.
- 시수(상)
3.15. 포르투갈
3.16. 오스트리아
3.17. 기타
- 라트비아: 다르츠
- 덴마크: 젠보 - 덴마크의 수제 스포츠카 제조업체.
- 크로아티아: 리막 오토모빌리 - 전기 스포츠카를 생산하는 업체이다. 자동차 튜너였던 Mate Rimac이란 사람이 자신의 BMW 자동차에 전기차 파워트레인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몇몇 기술을 특허 신청했다. 그 특허들을 팔아 리막 오토모빌리를 설립했다.
- 리히텐슈타인: 나노플로우셀 - 2013년에 설립된 전기자동차 생산 업체로 기존의 전기차와는 다르게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는 용액을 각각 주입해 탱크에서 두 용액을 반응시켜서 전기를 얻는 방식인 자동차를 만들어냈다.
- 슬로바키아: K-1 어택
- 그리스: 남코
- 불가리아: 신 카즈
- 모나코: 벤투리
- 노르웨이: - 1991년에 설립되어 2011년에 파산된 노르웨이의 전기차 업체.
- 벨라루스: MAZ(상) - 버스, 트럭, 트랙터, 크레인 등을 생산하는 동유럽 최대의 자동차 업체.
- 헝가리: 이카루스(상)
- 세르비아: 페룬 모터스
- 우크라이나: ZAZ
4. 오스트레일리아
- 홀덴 - 제너럴 모터스에 인수되었다.
- 조스 디벨롭먼트 - 전 맥라렌 포뮬러 원의 공기역학자였던 맷 토마스(Matt Thomas)가 설립한 슈퍼카 제조 업체. 모델 Joss JP1이 비디오 게임 포르자 모터스포츠 4에 나온 적이 있다.
5. 아프리카
- 모로코: 라라키 - 카사블랑카에 소재한 스위스의 스바로에서 디자인업을 하던 모로코인이 설립한 스포츠카 업체로, 기술 감독은 부가티 출신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패러마운트 그룹 - 원래는 남아공의 방위산업체이지만, 일부 차량은 민간용으로도 판매된다. 패러마운트 머로더(Marauder)는 탑기어의 리처드 해먼드가 남아공에서 햄버거 사러 갔을 때 탑승했던 차량이기도 하다.
- 케냐 : 모비우스 - 아프리카 유일하게 자체개발을 한 자동차메이커
- 우간다 : 키이라 모터스 - 우간다 전기차 벤처
[예시] 롤스로이스의 경우 모회사인 BMW와 상관없이 영국으로 정리.[1] 처음부터 군용으로 설계하고 제작한 것.[2] CEVO-C라는 이름이 확정되기 전에는 PM-100이라는 이름으로 먼저 공개가 되었었다.[3] 이 힘은 군함만할 정도[4] # [5] 해당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 람보르기니는 트랙터를 만들던 회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