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계

 

<color=#373a3c> '''민정계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민정계
민주정의당계'''

<colbgcolor=#60A8B6> '''형성'''
<colbgcolor=#ffffff>1979년 ~ 1980년
'''해체'''
2016년[1]
'''수장'''
'''전두환'''
'''노태우'''
'''정부'''
'''대한민국 제5공화국'''
'''노태우 정부'''
'''정치적 이념'''
권위주의
'''경제적 이념'''
경제적 자유주의, 국가자본주의
'''주요 정치인'''
정호용
박희도
장세동
박세직
박철언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활동
3. 구성

[clearfix]

1. 개요


민주정의당에서 활동했었던 보수정당 인사들, 특히 3당 합당 이후의 민주자유당에서 활동했던 민정당 출신 인사들을 일컫는다.

2. 활동


12.12 군사반란 이후 하나회 중심으로 창당된 민주정의당은 구 민주공화당의 재산과 인재풀을 모두 흡수한다. 박정희계김윤환[2], 박준규[3]를 중심으로 전향한 인물이 많으며, 여기에 전두환을 비롯해서 노태우, 정호용, 권정달, 권익현, 이춘구 등등의 신군부 인사들이 이 주류를 형성하였고 하나회 인사들은 100% 민정계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신군부가 새인물 발탁을 명분으로 검찰 출신들(이한동 등)과 신군부에 협조적인 관료(고건 등), 대학교수(김종인[4])들을 상당수 영입하였다. 소수지만 유신시절에 야당을 하던 인사들이 민정당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재형[5], 채문식, 윤길중, 오세응이나 김정례, 나석호 같은 경우.[6]
전두환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99.1%를 득표하며 대통령이 되고,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기며 기반을 다졌다. 다만 대부분의 야당인사들은 출마조차 할 수 없었으며, 국군보안사령부가 신군부에 협조적인 야당인사들을 대상으로 공작하여 만든 관제야당만이 있을 뿐이었다.[7] 어쨋든 이겼으니 꽤 순항했고 경제도 호황이라 지지율이 낮지 않았으나 국민들은 민주화를 원했고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민주한국당 선거 공조로 사실상 패배했다. 이후 6월 민주항쟁이 크게 일어나며 전두환 정부는 민주화 선언을 하고, 민정당은 몰락할 줄 알았는데...
그래도 경제 호황, 유신정권 등 박정희 정권 출신 인사 흡수와 대경권 유권자를 기반으로 건재한 득표율을 올렸다. 다만 민주정의당 내에서 전두환계와 노태우계간의 알력 다툼이 있었는데, 최종적으론 노태우계가 이기며 전두환은 강제 정계 은퇴했고, 전두환계는 은퇴나 전향을 택했다. 어쨌든 노태우는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김영삼통일민주당, 김종필신민주공화당3당 합당을 추진하여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을 창당했고, 원래 창당 당시에는 최대규모를 자랑했던 거대 파벌이었다.[8] 그러나 차기 대권주자 김영삼을 비롯한 민주계는 민정계에 적대적이였으며 김영삼이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민정계를 거의 쫓아낸다. 일부 민정계는 김종필과 손을 잡아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했으나, 나머지는 잔류를 택했다. 그 이후에 이회창이 당권을 잡은 이후에는 민정계 인원 대다수가 이회창계에 가담하기도 했다.
2006년 자유민주연합 해체 이후 민정계는 대다수 은퇴했으며, 한나라당에 있던 잔류 민정계는 친박 성향을 보였다. 다만 친이계 세력들 중에도 민정계가 제법 있었는데 이상득계 인사들이 민정계가 많았다.[9] 사실 계파의 수명으로 보자면 짧은 축에 속하는데, 1990년에 형성되어 1993년부터 권력을 잃었지만, 김영삼 정부 초반기 때만 해도 민정계가 다수였다. 당시에 국무위원도 민정계와 가까운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민주자유당이 신한국당으로 당명을 바꾸고 개혁공천이 단행되면서 조금씩 숫자가 줄기 시작한다. 그래도 김영삼 정부의 국무위원들 중에도 민정계 출신 인사들이 있었고 2000년대 초까지는 DJP연합으로 인해서 김대중 정부 초반기 내각에 자민련에 있던 민정계 출신 인사들이 앉은 전례도 있고 한나라당에서도 당시 지분이 많던 이회창계의 인원도 대다수가 민정계 출신이라 민정계는 여전히 나름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 역풍 속에서 치러진 2004년 17대 총선에서 민정계 중진들이 줄줄이 총선에서 낙선하면서 그 이후부터는 조금씩 쇠퇴하기 시작하더니 2016년 20대 총선 이후부터는 거의 다 은퇴를 했다. 결국 민정계는 3당 합당 이후의 민정당 출신으로 정부나 국회에서 활동한 인사들을 의미한다.
자유민주주의민주화 운동에 적대적인 권위주의 이념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반공주의 이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전두환 파벌이 냉전적 반공주의라면 노태우 파벌은 소련과 중국 공산당과 수교한 북방정책으로 볼 때는 냉전적 반공주의는 아니고 지금의 반공주의에 더욱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내셔널리즘적 특성이 있는 국민보수주의 이념이 기초적이었다.[10] 우파~극우파적 위치에 있다.

3. 구성



[1] 공식적인 붕괴일은 2006년이나 전두환과 노태우가 무너진 이후로도 이후는 친박과 계파를 공유하며 새누리당 말년까지 계파를 어찌어찌 연장한다. 그러나 이후 제20대 총선에서 대부분의 민정계가 공천 탈락 혹은 낙선, 불출마 등으로 인해 정계 은퇴를 하면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2] 사적으로는 전두환, 노태우와는 친구사이었다.[3] 단, 제5공화국 때는 정치규제를 당하였고 1987년 입당하였다.[4]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 시절 비난을 받았던 원인 중 하나가 바로 민정당 출신이라는 것이다.[5] 대림산업 오너 일가로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신민당 부총재까지 지낸 야당 거물이었다.[6] 민정당 창당 당시 군사정권의 여당이라는 이미지를 희석시키기 위해 재야 및 야당계 인사들의 영입에 적극적이었다. 그 중엔 의열단에 가담했던 유석현은 창당발기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당시 재야인사 및 야당거물들의 영입은 이회영의 손자인 이종찬이 주도하였다.[7] 제1야당인 민주한국당은 2중대, 제2야당인 한국국민당은 3소대라고 불렸을 정도였다. 여기서 '''1대대가 민정당'''이었다. 민정당에 공천신청한 인사를 보안사가 조정하여 야당 후보로 출마시킬 정도였으니, 이 때의 야당이 얼마나 있으나마나한 것이었는지 알 수 있다. 당시 민한당 참여를 권유받은 신상우는 아무리 구색맞추기용 이라고 해도 그래도 야당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참여했다고 훗날 이야기했다.[8] 통일민주당 출신은 민주계, 신민주공화당 출신은 공화계라고 불린다.[9] 반면에 민주계 중에서도 서청원, 조원진, 김태호, 원유철 등은 친박 성향이었다.[10] 도널드 트럼프, 홍준표친홍계가 추구하는 대중적 국민보수주의와는 거리가 아주 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