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즈 몬스터 일람
- 발매 소식이 있는 몬스터만 추가하며, 소식이 없는 몬스터는 맨 아래 따로 적습니다.
- 가나다 배열 바람.
- No. 몬스터는 검색의 편의를 위해 No.를 생략한 명칭도 리다이렉트 처리 바람.
- 소재 제한(예 : 물 속성 몬스터 × 2)이 존재하는 경우는 이름 옆에 표시 바람.
1. 랭크 1
상당히 마이너한 랭크. 일반적으로 레벨 1 몬스터는 토큰과 병행하는 싱크로 소환쪽에서 훨씬 더 많이 쓰이기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 금화고양이 등 레벨 1 몬스터로 손쉽게 소환할 수는 있지만, 소환할 몬스터가 많지 않고 스탯 또한 낮아 사용하기에 까다로운 랭크. 하지만 일단 작정하고 덱을 짜면 대량 전개 자체가 쉬운 레벨이다보니 뽑기 자체는 쉽고, No.39 유토피아 루츠 덕분에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과 SNo.0 호프 제알을 뽑기 용이하며, 대량전개에 능하다는 점과 엑스트라 덱의 여유가 많다는 점 덕분에 No.93 유토피아 카이저나 FNo.0 미래황 호프를 쓰기 쉽기 때문에 이 쪽을 노린다면 못 쓸 것도 없다.
- 소재 2개
- LL-리사이트 스털링 (최대 5장까지)
- 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 (최대 5장까지)
- No.13 케인즈 데블
- No.31 아밸즈 데블
- No.39 유토피아 루츠
- No.63 주걱 솔저
- No.78 넘버즈 아카이브
- 고스트릭 듈라한
- 드라이트론-파프μβ' (최대 5장까지)
- 삼라의 희아궁
- 샤이니트 매지션
- 흘려듣는 풍조
- 소재 제한
- FNo.0 미래황 호프 : 룰상 랭크 1로 취급. ("No." 이외의 같은 랭크의 엑시즈 몬스터)
- FNo.0 미래황 호프-퓨처 슬래시 : 룰상 랭크 1로 취급. ("No." 이외의 같은 랭크의 엑시즈 몬스터)
- No.100 누메론 드래곤 (같은 랭크의 같은 이름의 "No." 몬스터)
- 소재 3개
- 소재 제한
- SNo.0 호프 제알 : 룰상 랭크 1로 취급. (같은 랭크의 "No." 몬스터)
- FNo.0 미래용황 호프 : 룰상 랭크 1로 취급. (같은 랭크의 "No." 이외의 몬스터)
2. 랭크 2
마찬가지로 잘 쓰이지 않는 랭크. 그래도 몬스터들의 효과는 좋은 편이라 쓸 수 있으면 쓰이고, 이 랭크의 대표자인 버제스토마가 존재하며, 이외에 방해꾼, 개구리 등 이 랭크를 집중적으로 돌릴수 있는 카드군도 몇 개 있으니 랭크 1보다는 상황이 훨씬 좋은 편.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 (야수족)
- No.65 재단마인 저지 버스터 (어둠 속성)
- 떡 깨구리 (물족)
- 소재 3개
- No.96 블랙 미스트
- 버제스토마 아노말로카리스 (최대 5개까지)
- 소재 4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No.43 혼백괴뢰귀 소울 마리오네터 (어둠 속성)
3. 랭크 3
툭하면 전폭적으로 지원받는 랭크 4에 비하면 효과들이 떨어진다는 평. 그래서 피안이나 팬텀 나이츠 처럼 이 랭크를 위주로 돌리면서도 강력한 카드군은 끊임없는 전개와 서치로 모자란 성능을 보충한다.
- 소재 2개
- BK 치트 커미셔너
- No.3 지옥선왕 로커스트 킹[A][1]
- No.17 레비아단 드래곤
- No.20 기가 브릴리언트
-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 No.47 나이트메어 샤크
- No.48 섀도우 리치
- No.49 비조 포츈츈
- No.71 리바리언 샤크
- No.75 혹란의 가십 섀도우
- M.X-세이버 인보커
- 건마인 허미허미허밍
- 고스트릭 알카드
- 관마인 멜로멜로멜로디
- 그렌자우루스
- 기장천사 엔지넬
- 라바르바르 이그니스
-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 발조기뢰 태엽마인
- 샐러맨그레이트 미라지 스탤리오
- 오파츠 크리스탈 에이리언
-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
- 전뇌계갑-쟈쟈 (2장 이상)
- 초량기수 그랜펄스
- 큰북마인 템템템포
- 팬텀 나이츠 브레이크 스워드
- 피안의 여행자 단테
- 허공해룡 리바이엘
- 현마인 딩가딩가 리듬
- 소재 제약이 존재
- DDD 반석왕 다리우스 (악마족)
- RR-데블 이글 (RR)
- 강철 거인 (암석족)
- 고르고닉 가디언 (암석족)
- 디지털 버그-스카라디에이터 (곤충족 / 빛 속성)
- 멜리아스의 목령 (땅 속성)
- 블랙 레이 랜서 (물 속성)
- 세이크리드 히아데스 (빛 속성)
- 염성황-초우라이오 (화염 속성)
- 은령의 거신 (땅 속성)
- 토템 버드 (바람 속성)
- 전뇌계룡-론론 (같은 속성/종족)
- 소재 3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CNo.65 재단마왕 저지 데블 (어둠 속성)
- 소재 4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CNo.43 혼백괴뢰귀신 카오스 마리오네터 (어둠 속성)
- CNo.96 블랙 스톰 (어둠 속성)
4. 랭크 4
가장 많은 몬스터를 포함하는 랭크. 소환이 쉬운 랭크에도 불구하고 단발성의 강력한 성능을 가진 카드가 다수 존재하며, 적어도 이 랭크를 위주로 운용하는 덱이라면 쓸만한 카드가 없어서 고민할 일은 없다. 효과의 종류만 해도 기본적인건 물론, 특이한 효과까지 다수 보유하고 있다. 레벨 4 몬스터가 가장 흔한 만큼, 그만큼 4축 엑시즈는 소환이 굉장히 용이하다. 엑스트라덱에 여유가 있는 덱에서도 범용성 높은 엑시즈 몬스터를 끼워넣기도 한다.
끝없는 코나미의 편애와 지원을 받는 랭크인 만큼, 링크 소환이 나오기 전까지 항상 유희왕 파워 인플레의 선두 주자로 섰던 랭크. 무려 이 랭크에만 금지 카드가 4장이나 된다[2] 는 점에서 사기성을 알 수 있다. 이는 마스터 룰 4로 넘어간 이후에도 현재진행형 중, 4축의 사기성
- 소재 2개
- No.18 문장조 플레인 코트
- No.27 노급전함-드레드노이드 (최대 5개까지)
- No.39 유토피아
- No.39 유토피아 더블
-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
- No.44 백천마 스카이 페가수스
- No.50 블랙십 오브 콘
- No.52 다이아몬드 크랩 킹
- No.55 고고고 골라이어스
- No.58 염압귀 버너 바이서
- No.59 백 더 쿡
- No.60 타임리스의 듀가레스
- No.70 데들리 씬
- No.79 BK 항성의 카이저
- No.80 광장패왕 랩소디 인 버서크
- No.82 하트랜드라코
- No.85 크레이지 박스
- No.98 절망황 호프리스
-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
- No.103 신장령양 라그나 제로
- No.106 거암장 자이언트 핸드
- RR-포스 스트릭스
- 가가가 간맨
- 가가가 자무라이
- 고스트릭의 타천사
- 공아랑 다이어울프
- 교향마인 마에스트로크
- 다이가스타 에메랄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 라바르바르 체인
- 발조기갑 태엽마이스터
- 심연에 숨은 자
- 샐러맨그레이트 블레이즈 드래곤
- 십이수 라이카
- 십이수 불혼
- 암천사 칸고르곰
- 여휘사 벨즈뷰트
- 외신 나이알라
- 용마인 퀸 드라군
- 육화성 스트레나에
- 이비리추어 메로우가이스트
- 인벨즈 로치
- 젬나이트 펄
- 조총사 카스텔
- 주바바 제너럴
- 초량기수 에어로보로스
- 카치코치 드래곤
- 킹그렘린
-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최대 5개까지)
- 토네이드래곤
- 파이어월 X 드래곤 (최대 5개까지)
- 포톤 버터플라이 어쌔신
- 프린세스 코롱
- 플레시아의 충혹마
- 희망의 마술사
- 휘광룡 포톤 블래스트 드래곤
- 소재 제약이 존재
- BK 구속만병 리드블로 (BK)
- CH 킹 아서 (전사족)
- DDD 노도왕 시저 (악마족)
- Em 트래피즈 매지션 (마법사족)
- H-C 간디바 (전사족)
- H-C 엑스칼리버 (전사족)
- No.8 문장왕 게놈 헤리터 (문장수)
- No.37 희망직룡 스파이더 샤크 (물 속성)
-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 (어둠 속성)
- No.86 H-C 론고미언트 (전사족, 최대 5개까지)
- RR-블레이드 버너 팔콘 (비행야수족)
- 간염성-코우칸쇼 (염성)
- 괴염성왕-소우코 (야수전사족)
- 갤럭시 스텔스 드래곤 (드래곤족)
- 기갑첩자 블레이드 하트 (전사족)
- 기아기간토 X (기계족)
- 다우너드 매지션 (마법사족)
- 무사신제-스사노오 (무사신)
- 무사신제-쓰쿠요미 (빛 속성)
- 무사신제-카구츠치 (야수전사족)
- 바렐로드 X 드래곤 (어둠 속성 / 드래곤족)
- 바하무트 샤크 (물 속성)
- 벨즈 나이트메어 (어둠 속성)
- 벨즈 바하무트 (벨즈)
- 벨즈 오피온 (벨즈)
- 벨즈 타나토스 (어둠 속성)
- 별을 새기는 마술사 (마술사 펜듈럼)
- 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성기사)
- 세이크리드 비하이브 (세이크리드)
- 세이크리드 오메가 (빛 속성)
- 스노우더스트 자이언트 (물 속성)
- 승룡검사 마제스터P (펜듈럼)
- 여섯 무사의 그림자-시엔 (여섯 무사)
- 영조수 실피네 (비행야수족)
- 에볼카이저 돌카 (공룡족)
- 에볼카이저 라기어 (공룡족)
- 요정왕 아르벨드 (땅 속성)
- 전광천조 (바람 속성)
- 중장갑열차 아이언 볼프 (기계족)
- 퀸마돌체 티아라미스 (마돌체)
- 테라나이트 바트라이무스 (테라나이트)
- 패왕권룡 다크 리벨리온 (어둠 속성/펜듈럼)
- 페어리 치어 걸 (천사족)
- 포톤 알렉산드라 퀸 (환접의 자객)
- 헬프레임 고스트 (화염족)
- 휘광자 파라디오스 (빛 속성)
- 휘광제 갤럭션 (포톤)
- 소재 3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CNo.39 유토피아 레이 (빛 속성)
- FA-블랙 레이 랜서 (물 속성)
- H-C 쿠사나기 (전사족)
- No.102 홀리 라이트닝 글로리어스 헤일로 (빛 속성)
- RR-라이즈 팔콘 (비행야수족)
- SNo.39 유토피아 ONE (빛 속성)
- 스테라나이트 트라이베르 (테라나이트)
- 알케믹 매지션 (마법사족)
- 해피의 애완 미라지 드래곤 (바람 속성)
- 소재 4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CNo.32 샤크 드레이크 바이스 (물 속성)
- 소재 5개
5. 랭크 5
효과가 더욱 파격적으로 변하기 시작하는 랭크. 조금 미묘한 카드도 있었던 랭크 4들에 비해 확실히 에이스 몬스터다운 스텟과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급몬스터의 레벨을 요구하는 만큼 소환 난이도도 높아졌다. 한때는 No.가 아닌 랭크 5 몬스터들은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의 등장으로 소환 난이도가 많이 낮아졌지만, 프톨레마이오스가 금지된 후로는 옛말이 되었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물 속성)
-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물 속성)
- 디지털 버그-코어비지 (곤충족 / 빛 속성)
- 마도황성 트리스 (마법사족)
- 마돌체 푸딩세스 쇼코 아 라 모드 (땅 속성)
- 사이버 드래곤 노바 (기계족)
-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빛 속성)
- 신성기사왕 아르토리우스 (성기사)
- 에델리터-뱀파이어 브람 (언데드족)
- 영조희 리오트 할퓨이어 (비행야수족)
- 인잭터 엑사스태그 (곤충족)
- 소재 3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빛 속성)
- 스테라나이트 세이크리드 다이아 (빛 속성)
- RR-브레이즈 팔콘 (비행야수족)
- 소재 제약이 존재
- CNo.102 다크 라이트닝 노블 데몬 (빛 속성)
6. 랭크 6
특수 소환 효과가 많은 레벨 5에 비해 개개의 효과가 강력한 레벨 6 몬스터를 사용하는데도 오히려 전체적으로 랭크 5보다 떨어지는 성능인지라 일반적으로는 마이너한 랭크지만, 이러니저러니 해도 강력한 카드가 많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악마족)
- 매지매지☆매지션 걸 (마법사족)
- 에볼카이저 소르데 (공룡족)
- 성각용왕-아툼스 (드래곤족)
- 풍기궁사 노리토 (마법사족)
- 헤이즈비스트 바질리코크 (화염 속성, 최대 5개까지)
- 소재 3개
- CNo.5 망롱룡 카오스 키메라 드래곤 (최대 5개까지)
- CNo.73 격롱폭신 어비스 수프라
- 요정기사 인그날
- 소재 제약이 존재
- FA-크리스탈 제로 랜서 (물 속성)
-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기계족 / 빛 속성)
- RR-레볼루션 팔콘 (비행야수족)
- RR-레볼루션 팔콘-에어레이드 (비행야수족)
7. 랭크 7
최상급 몬스터는 대개 레벨 8에 집중되어 있어서 뽑기 어려운 랭크. 그러나 정룡으로 대표되는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에서의 레벨 7/랭크 7 푸시 이후 소환 난이도도 꽤 낮아져 쓰기 편해졌다. 정룡이 전원 금지가 된 이후로는 소환이 다소 어려워졌지만, 이후 오드아이즈, 붉은 눈(유희왕),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이 랭크 7에 특화된 구성을 하게 되었다. 다만 전체적으로 효과가 강력한 대신, 상대 필드 견제나 타점과 화력이 애매한 것이 특징. 정룡은 어드밴티지가 넘쳐나는 만큼 랭크 4, 푸른 눈, 저지먼트 드래곤,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등 온갖 용병으로 이를 커버했으나 다른 랭크 7 덱들은 정룡만큼의 파워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가 링크 소환용으로 재평가받으면서 랭크 7 자체의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디지털 버그-라이노세바스 (곤충족 / 빛 속성)
- 마도법황 하이론 (마법사족)
- 머메일-가이오어비스 (물 속성)
-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드래곤족)
-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드래곤족)
- 허공의 흑마도사 (마법사족)
8. 랭크 8
레벨 8 몬스터가 워낙에 많아 고랭크 중에서 뽑기 쉬운 축에 속한다. 3000~4000대 내외의 고화력 몬스터들이 다수 있고, 정룡이 금지된 후로는 확실히 고랭크중 최고 주력 랭크. 여기서부터는 덱의 에이스 몬스터들이 즐비하다. 타점이 랭크 7과는 확 벌어지며,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와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이 나온 이후로는 성능도 랭크 7에게 꿀릴 것이 없는 강력한 랭크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DDD 쌍효왕 칼리 유가 (DD)
-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DDD)
- No.22 프랑켄 (어둠 속성)
- No.46 신영룡 드래글루온 (드래곤족)
- RR-새털라이트 캐논 팔콘 (비행야수족)
- 가라쿠타아이즈 패트 드래곤 (기계족)
- 썬더엔드 드래곤 (일반)
- 초화합야수 메탄 하이드 (듀얼)
9. 랭크 9
이 랭크 이상부터 마이너한 초(超)고랭크존이 시작된다. 소환하기가 어렵고 숫자도 적은 레벨 9 몬스터들을 사용해야 하는지라 환상수기처럼 전개하기 편한 다른 레벨의 몬스터에 레벨 변경 효과를 사용해서 소환하는 편. 덕분에 다른 카드에 겹쳐서 소환하는 소환이나 RUM, 위해신룡 소환 효과가 있는 No.53 위해신 Heart-eartH 등 다른 엑시즈를 통해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9기 들어서 진룡황의 등장으로 소환. 난이도가 조금 완화된 편이다. 그러다 레벨 조정을 통하여 전뇌계에서 랭크 9몬스터 양산 가능한 방법이 발굴되면서, 재평가 받고 있는 랭크다.
- 소재 2개
- No.9 천개성 다이슨 스피어
- 나인라이브즈 캣
- 무한기동 어스셰이커
-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
- 신수수 하이페리톤
- 영원의 제너레이드 오르무간드 (최대 5개까지)
- 진룡황 V.F.D. (최대 5개까지)
- 소재 3개
- 소재 4개
- CNo.88 기믹 퍼핏-디저스터 레오 : 소재는 써 있지만, 자체 제약으로 엑시즈 소환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서만 정규 소환이 가능하며 소생이 불가능하다.
- CX 열혈지도신 얼티미트 트레이너
10. 랭크 10
레벨 10에는 소환이 간편한 몬스터가 몇 있기에 랭크 9보단 상황이 낫지만 소속된 몬스터가 거의 없어서 마이너. 대신 스탯이나 효과 자체는 대부분 강력하다. 코즈키 안나의 열차(유희왕) 덱이 이 랭크의 전문 덱이다. 열차 몬스터들은 삼환마나 시계신 덱에서 용병으로 간간히 활약하고 있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RR-얼티미트 팔콘 (비행야수족)
11. 랭크 11
애초에 레벨 11 몬스터가 많지 않아서 갤럭시 퀸즈 라이트의 도움이 없으면 정규 소환이 거의 힘든 랭크다. 사실상 이 몬스터들은 랭크 업으로 소환된다.
- 소재 2개
- 소재 3개
12. 랭크 12
레벨 11보단 종류가 많은 레벨 12 몬스터지만, 죄다 소환 조건이 만만하지 않은데다가, 해당 덱의 피니셔 역할을 하는게 대부분이라서, 정규 엑시즈를 하기 보단 다른 방법으로 불러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 소재 2개
- 소재 제약이 존재
- No.93 유토피아 카이저 (엑시즈 소재를 가진 같은 랭크의 No., 최대 5개까지)
- 소재 3개
- 소재 5개
13. 랭크 13
돈 사우전드의 최종 에이스 몬스터가 OCG화됨에 따라 얼떨결에 추가된 랭크. 이 캐릭터의 말마따나 레벨 13의 몬스터[3] 는 존재하지 않지만 '''랭크 13의 몬스터는 존재하게 되었다.''' 인위적으로만 만들 수 있는 레벨을 모아야해서 정규 소환 시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지만, 존재 자체가 팬서비스인데다 누메로니아의 효과는 누메로니어스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을 때 의미를 갖기 때문에, 정규 소환의 의미는 크게 없다.
14. 듀얼 사용 불가
전부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세계대회 상품들. 전원 매치킬 몬스터다. 카드 구석에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적혀 있다.
- King Landia the Goldfang (레벨 8 × 3)
- Queen Nereia the Silvercrown (레벨 6 × 3)
- 레전더리 드래곤 오브 화이트(레벨 8 × 3)
- 레전더리 매지션 오브 다크(레벨 7 × 3)
- 유구의 황금도시 그랜폴리스(레벨 8 × 3)
- 엔터테인먼트 히어로 피트 보스(레벨 6 × 3)
15. OCG화 되지 않은 카드
아래에 나온 카드 이외에도 아직 발매되지 않은 No.나 각종 에이스카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월드 듀얼 카니발편의 엑시즈 몬스터 중에 축구 듀얼 때 나온 카드나 토마토 듀얼 때 나온 카드. 몇몇 카드는 유희왕 ZEXAL 격돌! 듀얼 카니발!에서 써볼 수 있다. 가짜 넘버즈 1, 2, 4와 몽환허신 계열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는 OCG화 되었다. 다만 몽환허신 계열은 내년에 OCG화가 확정된 상황이니, 나머지 가짜 넘버즈도 OCG화될 가능성이 있다.
- NO
- NO4 에테릭 아누비스
- NO6 에테릭 아포피스
- NO8 에테릭 세베크
- NO10 에테릭 호루스
- NO12 에테릭 마헤스
- NO13 에테릭 아멘
- No.
- No.1 인펙션 바알 제불[A]
- No.2 문학첩자 섀도우 모스키토[A]
-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A]
- No.10 흑휘사 일루미네이터[A]
- Em
-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
- Em 트래피즈 하이 매지션
- 리사이클 리라이노봇
- 백신 게일
- 스모 킹 도그
- 캣 걸 매지션
- 토마토왕 레드 레드 킹
- 트윈 테일 캣 레이디
- 판타시스타 디에치
- CCC 개중화신 록 아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