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즈 몬스터 일람

 

1. 랭크 1
2. 랭크 2
3. 랭크 3
4. 랭크 4
5. 랭크 5
6. 랭크 6
7. 랭크 7
8. 랭크 8
9. 랭크 9
10. 랭크 10
11. 랭크 11
12. 랭크 12
13. 랭크 13
14. 듀얼 사용 불가

  • 발매 소식이 있는 몬스터만 추가하며, 소식이 없는 몬스터는 맨 아래 따로 적습니다.
  • 가나다 배열 바람.
  • No. 몬스터는 검색의 편의를 위해 No.를 생략한 명칭도 리다이렉트 처리 바람.
  • 소재 제한(예 : 물 속성 몬스터 × 2)이 존재하는 경우는 이름 옆에 표시 바람.

1. 랭크 1


상당히 마이너한 랭크. 일반적으로 레벨 1 몬스터는 토큰과 병행하는 싱크로 소환쪽에서 훨씬 더 많이 쓰이기에 거의 쓰이지 않는다. 금화고양이 등 레벨 1 몬스터로 손쉽게 소환할 수는 있지만, 소환할 몬스터가 많지 않고 스탯 또한 낮아 사용하기에 까다로운 랭크. 하지만 일단 작정하고 덱을 짜면 대량 전개 자체가 쉬운 레벨이다보니 뽑기 자체는 쉽고, No.39 유토피아 루츠 덕분에 No.99 희망황룡 호프드라군SNo.0 호프 제알을 뽑기 용이하며, 대량전개에 능하다는 점과 엑스트라 덱의 여유가 많다는 점 덕분에 No.93 유토피아 카이저FNo.0 미래황 호프를 쓰기 쉽기 때문에 이 쪽을 노린다면 못 쓸 것도 없다.

2. 랭크 2


마찬가지로 잘 쓰이지 않는 랭크. 그래도 몬스터들의 효과는 좋은 편이라 쓸 수 있으면 쓰이고, 이 랭크의 대표자인 버제스토마가 존재하며, 이외에 방해꾼, 개구리 등 이 랭크를 집중적으로 돌릴수 있는 카드군도 몇 개 있으니 랭크 1보다는 상황이 훨씬 좋은 편.

3. 랭크 3


툭하면 전폭적으로 지원받는 랭크 4에 비하면 효과들이 떨어진다는 평. 그래서 피안이나 팬텀 나이츠 처럼 이 랭크를 위주로 돌리면서도 강력한 카드군은 끊임없는 전개와 서치로 모자란 성능을 보충한다.

4. 랭크 4


가장 많은 몬스터를 포함하는 랭크. 소환이 쉬운 랭크에도 불구하고 단발성의 강력한 성능을 가진 카드가 다수 존재하며, 적어도 이 랭크를 위주로 운용하는 덱이라면 쓸만한 카드가 없어서 고민할 일은 없다. 효과의 종류만 해도 기본적인건 물론, 특이한 효과까지 다수 보유하고 있다. 레벨 4 몬스터가 가장 흔한 만큼, 그만큼 4축 엑시즈는 소환이 굉장히 용이하다. 엑스트라덱에 여유가 있는 덱에서도 범용성 높은 엑시즈 몬스터를 끼워넣기도 한다.
끝없는 코나미의 편애와 지원을 받는 랭크인 만큼, 링크 소환이 나오기 전까지 항상 유희왕 파워 인플레의 선두 주자로 섰던 랭크. 무려 이 랭크에만 금지 카드가 4장이나 된다[2]는 점에서 사기성을 알 수 있다. 이는 마스터 룰 4로 넘어간 이후에도 현재진행형 중, 4축의 사기성

5. 랭크 5


효과가 더욱 파격적으로 변하기 시작하는 랭크. 조금 미묘한 카드도 있었던 랭크 4들에 비해 확실히 에이스 몬스터다운 스텟과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물론 상급몬스터의 레벨을 요구하는 만큼 소환 난이도도 높아졌다. 한때는 No.가 아닌 랭크 5 몬스터들은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의 등장으로 소환 난이도가 많이 낮아졌지만, 프톨레마이오스가 금지된 후로는 옛말이 되었다.

6. 랭크 6


특수 소환 효과가 많은 레벨 5에 비해 개개의 효과가 강력한 레벨 6 몬스터를 사용하는데도 오히려 전체적으로 랭크 5보다 떨어지는 성능인지라 일반적으로는 마이너한 랭크지만, 이러니저러니 해도 강력한 카드가 많다.

7. 랭크 7


최상급 몬스터는 대개 레벨 8에 집중되어 있어서 뽑기 어려운 랭크. 그러나 정룡으로 대표되는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에서의 레벨 7/랭크 7 푸시 이후 소환 난이도도 꽤 낮아져 쓰기 편해졌다. 정룡이 전원 금지가 된 이후로는 소환이 다소 어려워졌지만, 이후 오드아이즈, 붉은 눈(유희왕),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이 랭크 7에 특화된 구성을 하게 되었다. 다만 전체적으로 효과가 강력한 대신, 상대 필드 견제나 타점과 화력이 애매한 것이 특징. 정룡은 어드밴티지가 넘쳐나는 만큼 랭크 4, 푸른 눈, 저지먼트 드래곤,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 등 온갖 용병으로 이를 커버했으나 다른 랭크 7 덱들은 정룡만큼의 파워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No.42 스타쉽 갤럭시 토마호크링크 소환용으로 재평가받으면서 랭크 7 자체의 가능성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8. 랭크 8


레벨 8 몬스터가 워낙에 많아 고랭크 중에서 뽑기 쉬운 축에 속한다. 3000~4000대 내외의 고화력 몬스터들이 다수 있고, 정룡이 금지된 후로는 확실히 고랭크중 최고 주력 랭크. 여기서부터는 덱의 에이스 몬스터들이 즐비하다. 타점이 랭크 7과는 확 벌어지며,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이 나온 이후로는 성능도 랭크 7에게 꿀릴 것이 없는 강력한 랭크다.

9. 랭크 9


이 랭크 이상부터 마이너한 초(超)고랭크존이 시작된다. 소환하기가 어렵고 숫자도 적은 레벨 9 몬스터들을 사용해야 하는지라 환상수기처럼 전개하기 편한 다른 레벨의 몬스터에 레벨 변경 효과를 사용해서 소환하는 편. 덕분에 다른 카드에 겹쳐서 소환하는 소환이나 RUM, 위해신룡 소환 효과가 있는 No.53 위해신 Heart-eartH 등 다른 엑시즈를 통해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9기 들어서 진룡황의 등장으로 소환. 난이도가 조금 완화된 편이다. 그러다 레벨 조정을 통하여 전뇌계에서 랭크 9몬스터 양산 가능한 방법이 발굴되면서, 재평가 받고 있는 랭크다.

10. 랭크 10


레벨 10에는 소환이 간편한 몬스터가 몇 있기에 랭크 9보단 상황이 낫지만 소속된 몬스터가 거의 없어서 마이너. 대신 스탯이나 효과 자체는 대부분 강력하다. 코즈키 안나열차(유희왕) 덱이 이 랭크의 전문 덱이다. 열차 몬스터들은 삼환마나 시계신 덱에서 용병으로 간간히 활약하고 있다.

11. 랭크 11


애초에 레벨 11 몬스터가 많지 않아서 갤럭시 퀸즈 라이트의 도움이 없으면 정규 소환이 거의 힘든 랭크다. 사실상 이 몬스터들은 랭크 업으로 소환된다.

12. 랭크 12


레벨 11보단 종류가 많은 레벨 12 몬스터지만, 죄다 소환 조건이 만만하지 않은데다가, 해당 덱의 피니셔 역할을 하는게 대부분이라서, 정규 엑시즈를 하기 보단 다른 방법으로 불러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13. 랭크 13


돈 사우전드의 최종 에이스 몬스터가 OCG화됨에 따라 얼떨결에 추가된 랭크. 이 캐릭터의 말마따나 레벨 13의 몬스터[3]는 존재하지 않지만 '''랭크 13의 몬스터는 존재하게 되었다.''' 인위적으로만 만들 수 있는 레벨을 모아야해서 정규 소환 시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지만, 존재 자체가 팬서비스인데다 누메로니아의 효과는 누메로니어스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을 때 의미를 갖기 때문에, 정규 소환의 의미는 크게 없다.

14. 듀얼 사용 불가


전부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세계대회 상품들. 전원 매치킬 몬스터다. 카드 구석에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적혀 있다.

15. OCG화 되지 않은 카드


아래에 나온 카드 이외에도 아직 발매되지 않은 No.나 각종 에이스카드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월드 듀얼 카니발편의 엑시즈 몬스터 중에 축구 듀얼 때 나온 카드나 토마토 듀얼 때 나온 카드. 몇몇 카드는 유희왕 ZEXAL 격돌! 듀얼 카니발!에서 써볼 수 있다. 가짜 넘버즈 1, 2, 4와 몽환허신 계열을 제외한 모든 넘버즈는 OCG화 되었다. 다만 몽환허신 계열은 내년에 OCG화가 확정된 상황이니, 나머지 가짜 넘버즈도 OCG화될 가능성이 있다.
  • NO
    • NO4 에테릭 아누비스
    • NO6 에테릭 아포피스
    • NO8 에테릭 세베크
    • NO10 에테릭 호루스
    • NO12 에테릭 마헤스
    • NO13 에테릭 아멘
  • No.
    • No.1 인펙션 바알 제불[A]
    • No.2 문학첩자 섀도우 모스키토[A]
    •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A]
    • No.10 흑휘사 일루미네이터[A]
  • Em
    •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
    • Em 트래피즈 하이 매지션
  • 리사이클 리라이노봇
  • 백신 게일
  • 스모 킹 도그
  • 캣 걸 매지션
  • 토마토왕 레드 레드 킹
  • 트윈 테일 캣 레이디
  • 판타시스타 디에치
  • CCC 개중화신 록 아머
여담으로 위해허룡이 발매되면서 랭크 10 항목에 쓰여있는 전통(이름에 '초'가 들어감, No.가 없는 카드군)이 전부 깨졌다.


[A] A B C D E 가짜 No.[1] 원작에서는 소재가 3개였다.[2] 라바르바르 체인, 십이수의 불혼, No.16 쇼크 마스터,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3] 효과에 의해서 변한 것이 아닌 평상시의 레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