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별 주위 대학교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노선들이 대놓고 서울의 중심지들만 거치는 노선은 아니지만, 다니고 있는 대학이 도심지와 상업지구에 위치한 역에 가까울 경우엔 역세권과 번화가와 대학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똑같다. 그렇기에 이러한 대학들도 2호선 주변 대학만큼은 아니지만 역세권과 번화가의 장점을 경험할 수 있다.
만약 다니고 있는 대학이 주거지나 야산, 공터, 시골에 위치한 역에 가까울 경우엔(...) 교통이 편리한 것만 빼면 역세권의 장점을 누릴 수 없다.
아래 서술할 대학들이 모두 전철역에 가까운 것은 아니다. 전철역과의 거리가 매우 가깝고 겹치는 전철역이 많아 여러 노선에 이름을 올린 대학도 있으나 매우 멀어서 반드시 버스로 환승하거나 셔틀버스를 타야 하는 대학도 있으니 각 대학의 교통 문단을 참조하라.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환승역을 제외하면 대학을 지나지 않는다.
1.1. 1호선 대학
경기도 북부에서 충청남도 천안/아산까지 이어지는 긴 노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은 대학교가 1호선 주변에 위치해 있다.
- 대학교
- 경찰대학 - [image] 신창역
- KAIST 경영대학원 -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 [image] 성균관대역
- 고려대학교 이공계 - 제기동역
- 서울시립대학교 - [image] [image] [image] [image] 청량리역,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외대앞역
-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 [image] 관악역
-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image] 주안역
-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 [image] 의왕역
- 숙명여자대학교 - [image] 남영역
- 광운대학교 - [image] [image] 광운대역, [image] [image] 석계역
-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 [image] 역곡역
-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 [image] 제물포역
- 성공회대학교 - [image] [image] 온수역, [image] 역곡역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 [image] 두정역, [image] 천안역
-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 [image] 두정역, [image] 천안역
-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 [image] 안양역
- 순천향대학교 - [image] 신창역
- 호서대학교 천안캠퍼스 - [image] 두정역, [image] 천안역
-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 [image] 두정역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제2캠퍼스 - [image] 두정역
- 나사렛대학교 - [image] 쌍용역
- 선문대학교 아산캠퍼스 - [image] 천안역, [image] 아산역
- 백석대학교 - [image] 두정역
- 남서울대학교 - [image] 성환역
-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 [image] 제물포역
- 평택대학교 - [image] 평택역
- 수원대학교 - [image] 병점역
- 협성대학교 - [image] 병점역
- 한신대학교 - [image] 병점역
- 한세대학교 - [image] 당정역
- 성결대학교 - [image] 명학역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 [image] 석수역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 [image] 간석역
- 서울신학대학교 - [image] [image] 소사역
- 서울한영대학교 - [image] 개봉역, [image] 오류동역
- 신한대학교 - [image] 망월사역
- 신한대학교 제2캠퍼스 - [image] 동두천중앙역
- 경동대학교 양주METROPOL 캠퍼스 - [image] 덕정역, [image] 양주역
-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 - [image] 덕정역
-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image] 동두천역
- 전문대학
- 유한대학교 - [image] [image] 온수역, [image] 역곡역
- 인하공업전문대학 - [image] 주안역
- 부천대학교 부천캠퍼스 - [image] 부천역
- 부천대학교 소사캠퍼스 - [image] [image] 소사역
- 동양미래대학교 - [image] 구일역
-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 - [image] 신창역
- 국제대학교 - [image] 송탄역
- 오산대학교 - [image] 오산대역, [image] 오산역
- 수원과학대학교 - [image] 병점역
- 동남보건대학교 - [image] 성균관대역
- 대림대학교 - [image] 안양역
- 연성대학교 - [image] 안양역
- 인덕대학교 - [image] 월계역
- 서정대학교 - [image] 덕정역
1.2. 2호선 대학
젊은이와 오덕들의 성지로 일컬어지는 홍대[1] 주변을 비롯, 인근 신촌은 말할 것도 없고, 한양대와 건국대도 각각 왕십리와 화양 일대의 건대거리를 먹고 들어가 풍요롭기 그지없다. 같은 인서울 대학교라도 다른 대학들이 변두리나 골목 어귀, 산구석에 있어 제대로 놀려면 원정을 나가야 하는 것과는 천양지차인 셈. 서울교대 역시 교문만 나서면 바로 대로와 맞닥뜨려 주위 상권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좋다.
서울교대가 있는 교대역에서 2호선 한 정거장 차이로 서울 3대 번화가 중 한 곳인 강남역이 있으며, 3호선 한 정거장 차이로는 고속터미널역이 있어 교통도 좋고 놀러 나가기도 쉽다. 따라서 이들 대학에 볼 일이 없는 사람들도 서울에 산다면 인근에 들를 일이 매우 흔하며, 저녁 피크타임만 되면 해당 학교 학생들보다 유흥객들이 넘치는 기현상도 벌어진다. 대표적으로 홍대라는 말을 들을 때 당신은 대학 교정이 생각나는가? 클럽과 술이 생각나는가?(...)
물론 접근성은 좋지만 걸어서 15~20분 정도 소요된다. 특히 '''서울대학교'''는 신림까지 소요시간이 타 대학에서 웬만한 상권에 접근하는 시간보다 더 길긴 하다(...). 서울대 3대 바보 문서를 참조.
서울 지하철 2호선을 타고 통학할 수 있는 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시험을 잘 보란 의미로 '2호선 타자' 라는 문구가 수능 응원이나 고등학교 급훈 등으로 사용되곤 한다. 링크
-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초캠퍼스 - [image] 방배역
- 추계예술대학교 - [image] 아현역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충정로역: 부역명이 경기대입구여서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를 2호선대에 넣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호선대로 치지 않는다. 경기대 서울캠퍼스는 [image] 서대문역이 훨씬 가까운 이유가 크다.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을지로4가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실 코 앞에 3호선 동대입구역이 있어 3호선 라인으로 여겨지는 곳이지만 의외로 1.5블록 정도밖에 떨어져있지 않아서[4] 체감거리는 가깝다. 1985년 이전에는 2호선 라인에 포함되어 있다가 3, 4호선이 동시개통하며 빠졌다.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지역대학 - [image] 뚝섬역
- 순복음대학원대학교 - [image] [image] 사당역
-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 [image] 방배역
- 전문대학교
- 한양여자대학교 - [image] 용답역, [image] 한양대역
- 백석예술대학교 - [image] 방배역
1.3. 3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1.4. 4호선 대학
- 대학교
-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과학캠퍼스 - [image] 혜화역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충무로역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image] 혜화역
- 숙명여자대학교 - [image] 숙대입구역
- 국민대학교 북악캠퍼스 - [image] 길음역
- 상명대학교 - [image] 혜화역
- 성신여자대학교 - [image] [image] 성신여대입구역
-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 [image] 혜화역
- 한성대학교 - [image] 한성대입구역
- 서경대학교 - [image] 길음역
- 총신대학교 - [image] 남성역 [5]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image] 혜화역
- 서울사이버대학교 - [image] 미아역
-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 [image] 한대앞역
- 계원예술대학교 - [image] 인덕원역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 [image] 정왕역
- 순복음대학원대학교 - [image] [image] 사당역
- 전문대학교
1.5. 5호선 대학
- 대학교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왕십리역, [image] 답십리역, 2호선 한양대역이 학교 내부에 있는 것도 유명하지만 사실 왕십리역, 답십리역이 웬만한 XX대학교 입구역보다 훨씬 가깝다
- 한국체육대학교 - [image] 둔촌동역, [image] [image] 올림픽공원역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서대문역: [image] [image] 충정로역의 부역명이지만 [image] 서대문역이 훨씬 더 가깝다.
- 감리교신학대학교 - [image] 서대문역
- 장로회신학대학교 - [image] 광나루역
1.6. 6호선 대학
- 대학교
-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안암역, [image] 고려대역
- 서강대학교 - [image] 대흥역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상수역
-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캠퍼스 - [image] 돌곶이역, [image] 상월곡역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 [image] 증산역
- 동덕여자대학교 - [image] [image] 석계역, [image] 월곡역
- 광운대학교 - [image] [image] 석계역
- 삼육대학교 - [image] [image] 석계역
- 서울여자대학교 - [image] 화랑대역
- 육군사관학교 - [image] 화랑대역
1.7. 7호선 대학
- 대학교
1.8. 8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1.9. 9호선 대학
1.10. 인천 1호선 대학
- 대학교
- 연세대학교 송도글로벌캠퍼스[8] - [image] 캠퍼스타운역
-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 [image] 경인교대입구역
-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 [image] 신연수역
-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 - [image] 인천대입구역
- 인천대학교 미추홀캠퍼스 - [image] 테크노파크역
- 인천가톨릭대학교 송도캠퍼스 - [image] 지식정보단지역
- 한국뉴욕주립대학교 - [image] 캠퍼스타운역, [image] 테크노파크역
-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 [image] 캠퍼스타운역
-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 [image] 캠퍼스타운역
- 헨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image] 캠퍼스타운역
1.11. 인천 2호선 대학
1.12. 경의·중앙선 대학
1.13. 경춘선 대학
경춘선대는 역이 많이 겹치는 경의중앙선대에 밀려서 더 언급되지 않는다. 굳이 꼽자면 서울시립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광운대학교, 삼육대학교가 있다. 더불어 itx청춘 열차가 왕십리역에 6회 정차하는 것으로 더하면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도 포함할 수 있다.
- 대학교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image] [image] 왕십리역
- 서울시립대학교 - [image] [image] [image] [image] 청량리역,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KAIST 경영대학원 - [image] [image] [image] 회기역
- 광운대학교 - [image] [image] 광운대역
- 삼육대학교 - [image] 별내역
-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image] 남춘천역
- 춘천교육대학교 -[image] 남춘천역
- 한림대학교 - [image] 춘천역
- 전문대학교
1.14. 수인·분당선 대학
수인·분당선대에는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서울시립대학교,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와 인하대학교, 인하공전가 있다.
- 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 [image] [image] [image] [image] 청량리역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왕십리역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image] 영통역
-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 [image] 죽전역
-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image] 가천대역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성남시학습관 - [image] [image] 미금역
-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 [image] [image] 한대앞역
-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 [image] 인하대역
-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 [image] 연수역
- 전문대학교
1.15. 신분당선 대학
1.16. 경강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1.17. 서해선 대학
다음은 서해선대의 대학교이다.
- 대학교
- 전문대학교
1.18. 서부선 경전철 대학
- 대학교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서부선
[1] 사실 홍대라는 고유명사도 2호선 홍대입구역이 아니었으면 탄생하지 못했을 것이다.[정문] 하지만 거리가 멀기 때문에 본역 이름을 관악구청역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서울대생들이 많다.[후문] 이 역에서도 버스를 타거나 15분 정도 걸어야 한다.[2] 역명에 대학이름이 붙여진 사례 중 가장 성공사례로 꼽힌다. 역 주변 상권 지명이 홍대로 굳어짐은 물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개통으로 외국인이 가장 먼저 접하는 대학교 이름의 지하철역이 되었다.[신촌역] 서강대 정문은 신촌역에서는 약 350m 떨어져 있어서, 연세대(500m)보다 가깝다. 게다가 서울 지하철 6호선 대흥역은 후문과 300m 떨어져 있으며 부역명이 서강대앞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강대역 (정문과 200m)과도 인접해 있다.[이대역] 이대역은 서강대 후문에서 약 700m 정도로 위 3개 역에 비해서는 멀지만, 2호선 타고 통학하는 사과대, 인문대생은 신촌역에서 내려 정문을 거쳐 후문까지 가는 것보다 이대역에서 걸어가는 편이 훨씬 편리하기 때문에 이대역에서 내려서 버스로 환승, 2정류장을 더 가거나, 내리막길이라 그냥 걸어가기도 한다. 후문에서 마포아트센터 쪽으로 건너면 이대역으로 올라갈 수 있는데, 특별히 이대역에서 타야 할 이유가 없는 이상 마포자이아파트 쪽으로 좁은 길만 건너서 신촌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 얕은 신촌역이 깊은 이대역보다 타기 편하고.[3] 문과대, 이과대 등 교내 북동쪽에 위치한 일부 단과대는 건대입구역보다 구의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도 하다(애초에 넓디넓은 일감호를 끼고 학교를 횡단하는 것 자체가 미칠 노릇이다.) [4] 서울대입구역~서울대정문 간 거리의 1/3 정도에 불과하며 홍대 정문에서 홍대입구역 거리 정도이다. 도보로 10분.[5]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 참고.[6] 역에서 학교 정문까지 1km정도 되지만 되지만 역 앞에 서는 버스는 거의 다 을지대 앞에 한번은 서기 때문에 걸어갈 걱정은 안 해도 된다.[7] 단대는 여기 없다![8] 국제캠퍼스
연세대역, [imag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서부선}}} 신촌역- 이화여자대학교 - [imag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 서울대학교/관악캠퍼스 - [imag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89CA; font-size: .8em;"
신림선
관악산역신림선
- 전문대학교
- 명지전문대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font-size: .8em;"
1.19. 의정부 경전철 대학
1.20. 용인 경전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1.21. 우이신설 경전철 대학
- 대학교
2. 서울 버스 273 대학
서울 지하철 2호선말고도 서울권 대학을 묶는 다른 교통 노선이 있다. 서울 버스 273이다. 흔히 서울 버스 273라인으로 부른다.
- 대학교
- 서울대학교/연건캠퍼스 - 혜화역 정거장
- 연세대학교 서울캠퍼스[9] - 신촌오거리 정거장
-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 - 고대앞 정거장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 중랑구청 정거장
-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캠퍼스 - 외대앞 정거장
- 서강대학교[10] - 현대백화점 정거장, 신촌역 정거장
-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캠퍼스 - 혜화역 정거장
- 서울시립대학교 - 경희대입구 정거장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 외대앞 정거장
-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 경희대입구 정거장
- 이화여자대학교[11] - 이대앞 정거장
-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12] - 홍익대학교 정거장
- 성신여자대학교 - 보문역 정거장
-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 혜화동 성당 정거장
- 한성대학교 - 한성대학교 정거장
-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 충정로 정거장
- 추계예술대학교 - 아현역 정거장
- 방송통신대학교 서울지역대학 - 통신대 정거장
- 전문대학교
- 삼육보건대학교 - 경희대입구 정거장
3. 비수도권 2호선대
부산광역시와 대구광역시에도 도시철도 2호선이 대학을 많이 지나간다. 하지만 서울 2호선대에 비해 별로 언급은 없다.
3.1. 부산 2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3.1.1. 부산 1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3.1.2. 부산 3호선 대학
3.1.3. 부산 4호선 대학
3.1.4. 부산김해 경전철 대학
3.1.5. 동해선 대학
3.2. 대구 2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3.2.1. 대구 1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3.2.2. 대구 3호선 대학
- 대학교
- 전문대학교
3.3. 2호선이 없는 지역
광주와 대전은 아직 2호선이 없다.
3.3.1. 광주 1호선 대학
3.3.2. 대전 1호선 대학
- 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