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황색/이미지
주황색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정리하는 문서.
1. 주황색이 상징하는 것들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하늘의 필살염
- 갈라타사라이 SK : 유니폼 색상이 다홍색과 절반으로 되어 있다.
- 감
- 강원 FC
- 경고
- 고속버스 회사
- 공학
- 교토 애니메이션 로고
- 광주광역시
- 국민의당(2020년)
- 귤, 금귤, 천혜향, 레몬, 자몽
- 농구공
- 당근
- 땅[1]
- 2018년 5월까지의 나무라이브
- 나고야 그램퍼스
- 네덜란드 : 국부(國父)인 오라녜(Oranje, 오렌지의 네덜란드어) 공 빌렘에서 유래하여, 네덜란드의 상징색이 되었다. 축구 국가대표팀을 비롯해 모든 스포츠 종목에서 거의 주황색 유니폼을 착용한다. 네덜란드 국기의 현 빨간색도 원래는 주황색이었다.
-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오렌지 군단이라는 별칭이 있다
- 뉴욕 메츠 : 1958년 뉴욕을 떠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팀컬러 주황색을 팀 로고에 계승했다.
- 대통합민주신당
- 동국대학교
- 두산중공업에서 만드는 각종 건설기계.
- : 팀 로고(정확히는 검정색과 병행) 및 주황색 비닐봉지를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사용했으며, 2018년부터는 팀 색상이 변경되면서 사용하지 않는다.
- 모닝와이드
- 무궁화호: 1994년~2003년[2]
- 민주노동당
- 민중당(2017년)
- 민중연합당
- 맥라렌 레이싱[3]
- 발렌시아 C.F. : 유니폼 컬러는 흰색 셔츠에 검은 바지이지만, 연고지인 발렌시아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렌지 산지여서 보조 유니폼은 주황색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보조유니폼 뿐만 아니라, 구단에 관련된 모든 기념품 및 상품이 주황색 위주의 베이스컬러가 되어 있다.
- 방향지시등[4]
- 불
- 빙그레 이글스(1986~1993) - 한화 이글스(그룹 CI 교체 후 2007~)
- 삼양라면(1971~) - 최초 출시 당시 포장지 색은 노란색이었으나 1960년 중반대는 주황색으로 변경, 1970년 초반에는 현재의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 상주 상무 피닉스
- 소방공무원, 소방차 - 소방공무원의 제복은 일찌감치 주황색 계통을 사용했고 소방차도 빨간색을 주로쓰다가 2019년부터 시인성이 좋은 형광성 주황색으로 도색을 바꿨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소사이어티 게임의 마동
- 수능특강, 수능완성 - 영어
- 시미즈 S펄스
- 신화(아이돌)
- 알비렉스 니가타
- 앙상블 스타즈! - Trickstar[5]
- 애니플러스
- 에니어그램 - 중재자(9번)
- 언더테일 - 용기
- 에이전트 오렌지
- 여우
- 연합뉴스TV
- 오렌지
- 오미야 아르디자
- 오버워치
- 오버워치 리그 참가팀
- 온게임넷 스파키즈 : 주황색을 상징했을 뿐인데 정작 주황색 유니폼은 나오지 않았다. OTL
- 요미우리 자이언츠 : 창단 초기에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당시엔 뉴욕 자이언츠)의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그 영향으로 팀컬러가 미국의 자이언츠와 똑같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드루이드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제주 유나이티드
- 제주항공
- 죄수: 특히 미국의 경우 죄수복으로 주황색을 많이 사용한다. 시인성이 높은 색이라 탈옥할 경우 다시 찾아내서 재검거하기가 쉽기 때문.
- 주인공
- 철도 노선
- 츄오 쾌속선
- 도쿄메트로 긴자선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2000년대부터는 노란색으로 바뀌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6]
- 의정부 경전철
- 이마자토스지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한큐 타카라즈카 본선
-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 철도 회사
-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클래시 로얄 - 희귀 카드
- 트레져헌터
- 플라스틱
- 하스스톤 - 전설 카드
- 하이큐!! - 카라스노 고교
- 한화 이글스
- 핼러윈 : 잭 오 랜턴을 만들기 위해 쓰는 늙은 호박에서 따온 색깔로, 실제로 핼러윈 때가 되면 각종 상점의 핼러윈 특별 섹션을 온통 주황색으로 도배해놓는 경우가 흔할 정도로 핼러윈의 상징이 된 색깔이다.
- 헬퍼(웹툰) - 요괴
- 호돌이
- 호박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히프노시스 마이크 - 도츠이타레 혼포
- eSTRO :유니폼과 로고에 주황색이 착용되었다.
- kt 롤스터 : 매직엔스 시절인 2006년부터 2009년까지.
- MBN
- SKT T1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2. 주황색 관련 인물
- 개복어
- 고우리
- 구대성(빙그레 - 한화)
- 권영길
- 덕개
- 마루야마 류헤이
- 마리우스 요
- 마츠쿠라 카이토
- 무카이 코지
- 미야케 켄
- 버스터 포지
- 송진우(빙그레 - 한화 - 요미우리 코치)
- 슬기(레드벨벳) - 정확히는 주황색과 노란색의 중간색인 귤색이다.
- 스모쉬 - 안토니 파딜라[7]
- 신화 멤버들 - 에릭, 이민우, 김동완, 신혜성, 전진, 앤디
- 아리오카 다이키
- 여진 (이달의 소녀)
- 오오니시 류세이
- 오카무라 모모카
- 요코오 와타루
- 우키쇼 히다카
- 이재원(H.O.T.)[8]
- 1박 2일 - 은지원, 김준호, 문세윤
- 이재명 -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부터 주황색을 사용했다. 그리고 19대 대선 경선에서는 후보 중 혼자 주황색 띠를 걸쳐 열렬한 주황색 사랑을 보여주었다.
- 이정훈(빙그레 - 북일고 감독)
- 장규리
- 장종훈(빙그레 - 한화 코치)
- 정동영 - 2000년 총선, 2007년 대선, 2015년 재보궐선거 당시 주황색을 사용하였다.
- 정민철(빙그레 - 한화 - 한화 코치)
- 조유리(IZ*ONE)
- 츠루야 미사키
- 키리야마 아키토
- 키요노 모모히메
- 허재 - 이게 불낙이야? 짤이 유명해지면서 이때 착용한 주황색 넥타이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고, 뭉쳐야 쏜다에서 감독이 되었을 때 아예 진짜로 착용하고 나온다.[9]
- pH-1 - 주황색을 좋아한다고 한다.
2.1. 성우
3. 주황색 관련 캐릭터
활발함, 낙천적인 성격을 가진 캐릭터들이 많다. 또한 빨간색과 마찬가지로 리더나 주인공이 이 색을 퍼스널 컬러로 하는 경우도 많다. 이능력자의 경우 불을 다루는 캐릭터가 많다.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사와다 츠나요시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 도마 우마루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아이다 미오
- 골판지 전기 시리즈
- 공의 경계, 마법사의 밤 - 아오자키 토우코
- 그랜드 체이스 - 라이언 우드가드[10]
- 금빛 모자이크 - 쿠죠 카렌[11]
- 길모퉁이 마족 - 히나츠키 미캉
- 꼬마공주 유시 - 유시
- 꼬마마법사 레미 - 후지와라 하즈키
- 꾸러기 수비대 - 마초
- 나루토 - 우즈마키 나루토
- 날아라 호빵맨 - 카레빵맨
- 노기 와카바는 용사다 - 도이 타마코
- 노래의☆왕자님♪ - 진구지 렌
- 닌자보이 란타로 - 셋츠노 키리마루
- 단간론파 시리즈 - 오와리 아카네, 사이온지 히요코, 하나무라 테루테루
- 단간론파 어나더 - 마에다 유우키
- 데이트 어 라이브 - 야마이 카구야, 야마이 유즈루
- 동방 프로젝트의 주황색 캐릭터들
- 디즈니 프린세스 - 포카혼타스
- 디지몬 시리즈
- 러브라이브 - 코사카 호노카
- 러브 라이브! 선샤인!! - 타카미 치카 : 정확히는 이미지 컬러색이 귤색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 미야시타 아이 : 정확히는 슈퍼 오렌지이다.
- 러브 라이브! 슈퍼스타!! - 시부야 카논
- 런닝맨(애니메이션) - 렉스, 쿠가
- 레이브 - 메기도
- 록맨 시리즈
- 루나틱스 언리시드 - 댄저 덕
- 롤랑롤랑 - 롤랑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 - 티아나 란스터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모모에 나기사[13]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유이 츠루노, 아키노 카에데, 에리 아이미, 키라리 히카루, 나츠 료코, 히이라기 네무, 쿠루미 마나카, 메구미 모카
- 마법소녀 육성계획시리즈
- 마요치키! - 코노에 스바루
- 만능 수리공 매니 - 러스티, 플리커[14]
- 머메이드 멜로디 피치피치핏치 - 사라, 세이라
- 모험유기 플러스터 월드 - 몰리, 가브리온, 드라스톰, 마이티 V
- 무한전기 포트리스 - 불칸
-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 레나 루즈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 아이노 미나코/세일러 비너스
- 방귀대장 뿡뿡이 - 뿡뿡이
- 별의 커비 시리즈 - 웨이들 디
- 버츄얼 유튜버 - 네코미야 히나타
- 블리치 - 쿠로사키 이치고
- 사우스 파크 - 케니 맥코믹
- 사이퍼즈 - 이나바 호타루[15]
- 삼국지 시리즈 - 공손찬, 맹획(공손찬보다 밝은 주황색)
- 샤이닝 스타 - 리리
- 세서미 스트리트 - 어니, 오스카 더 그라우치[16]
- 세인트 세이야 - 라이오넷 반
- 세인트 세이야 Ω - 라이오넷 소우마
- 센티멘탈 그래피티 - 호시노 아스카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시리즈 - 사이죠 클로딘, 에비스 츠카사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크림 더 래빗,[17] 오렌지 위스프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데이지 공주
- 슈퍼전대 시리즈
- 스티븐 유니버스 - 재스퍼
- 스플래툰 시리즈 - 잉클링
- 아르카나 파밀리아 - 파체
- 아이돌 마스터 - 타카츠키 야요이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 야부키 카나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나탈리아(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히메카와 유키, 혼다 미오
- 아이★츄 - 레온, 키자키 린타로
- 아이카츠! - 이치노세 카에데
- 아이카츠 플래닛! - 이토이 사라/사라
- 알드노아 제로 - 카이즈카 이나호[21]
- 앙상블 스타즈![22] - 아케호시 스바루(만다린 오렌지), 츠키나가 레오(연단색[23] ), 텐마 미츠루(캐롯 오렌지)
- 어노잉 오렌지(...)
- 언라이트 - 오우란[24]
- 열대어 - 조쪼개, 황미꾸
- 에빌리오스 시리즈 - 헨젤, 폴로, 알렌 아바도니아, 레미 아벨라르, 스도우 렌, 흑단동자
- 엑셀 사가 - 엑셀
- 엘소드 - 아라(엘소드)
- 오버워치 - 트레이서
- 오자마녀 도레미 - 후지와라 하즈키
- 원피스 - 나미, 포트거스 D. 에이스, 카쿠
- 우주에서 온 모자코 - 모자코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 레오 버텍스
- 용자왕 가오가이가 - Z 마스터
- 윤이나는남자 - 임나무
- 이나즈마 일레븐 - 엔도 마모루 : 머리의 헤어밴드가 주황색. 얘의 이미지 컬러를 꼽으라면 주황색을 꼽는 팬도 있다.
- 앵그리버드 시리즈
- 잔키제로 - 이치요 마모루
- 좀비 랜드 사가 - 니카이도 사키
- 진격의 거인 - 페트라 랄
- 창세기전 시리즈 - 죠안 카트라이트
- 치즈인더트랩 - 홍설
- 카게로우 프로젝트 - 키사라기 모모[27]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이이노 미코
- 커렉터 유이 - 에코
- 케이온! - 히라사와 우이[28]
- 쿠베라 - 아그니
- 쿠키런 - 히어로맛 쿠키[29] , 슈크림맛 쿠키, 오렌지맛 쿠키, 시나몬맛 쿠키, 당근맛 쿠키
- 크레용 신짱 - 노하라 히마와리, 요시나가 미도리
- 크레이지 파크 시리즈 - 모스[30] , 모비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 에르샤
- 클로저스 - 서유리, 티나(다홍색)
-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 - 쥬오인 카케루
- 타오르지마 버스터 - 시그널
- 터닝메카드 - 리안
- 토미카 히어로 레스큐 파이어 - 호무라 타츠야/파이어1
- 페르소나 시리즈
- 폭투선언 다이간다 - 드리모그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하나사토 미노리, 시노노메 아키토
- 프리큐어 시리즈
- 포켓몬스터 - 채두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페코린느, 미소기, 미야코, 무이미, 유니
- 피니어스와 퍼브 - 피니어스 플린
- 피피루 시리즈 - 슈크[34]
- 하이큐!! - 히나타 쇼요, 히나타 나츠
- 하프 라이프 - 고든 프리맨
- 헛소리 시리즈 - 오모카게 마고코로
- 히어로 써클 - 태오
- A3! - 스메라기 텐마
- BanG Dream! - 키타자와 하구미
- Caligula -칼리굴라- - 아리아, 미레이
- DC 코믹스 - 오피디안
- DREAM!ing - 니토 센리
- GTA 5 - 트레버 필립스
- Happy Tree Friends - 핸디, 디스코 베어
- HELIOS RISING HEROES - 빌리 와이즈
- Homestuck - 데이브스프라이트, 더크 스트라이더
- KOF 시리즈 - 료 사카자키, 바오, 장거한, 최번개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 애플잭 외
- Morph - 모프[35]
- Rayark 시리즈
- Cytus II - 콜린 노이만 주니어, 사가 닥커
- VOEZ - 첼시아
- Sushi Pack - Ikura Maki
- VOCALOID - 시유
- Wake Up, Girls! - 오카모토 미유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마르코스'55, 루루카
4. 주황색 메카닉
- 기동전사 건담 00 - 건담 큐리오스, 아리오스 건담, 건담 하루트
- 변신 자동차 또봇 - 또봇 X[36]
- 또봇 V - 또봇 몬스터, 또봇 알파플러스, 또봇 그랜드 챔피언
- 스타워즈 - BB-8
- 용자경찰 제이데커 - 드릴보이
- 용자왕 가오가이가 - 골디마그
- 알드노아. 제로 - 슬레이프니르(알드노아. 제로)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 하우저 에르샤 커스텀, 레이지아
- 헬로 카봇 - 카봇 스카이[37] , 카봇 폰, 카봇 골드렉스, 카봇 메가볼드
- GEAR파이터 덴도 - 불 혼
5. 주황색 관련 문서
[1] 창작물에서 땅 속성인 캐릭터를 칙칙 한갈색보단 주황색으로 같이 나타내는 일이 가끔 있다.[2] 현재는 빨간색이 무궁화호를 상징하는 색이다.[3] 본래 말보로의 상징색인 붉은 색을 썼고, 아일톤 세나가 있었던 전성기 시절을 기억하면 이것이 더 유명하기도 하다. 현재는 맥라렌의 양산차인 맥라렌 F1부터 시작해 그 후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주황색을 썼고, 레이싱 팀 역시 주황색+엔진 스폰서 혹은 메인 스폰서 색상에 따르다 보니 별명이 Orange Racing이 되었다.[4] 미국의 일부 차량에 있는 브레이크등 일체형 방향지시등 제외[5] 이미지 컬러가 빨간색, 파란색이었다가 즈!!에서 주황색으로 바뀌었으며 팀 이미지 컬러가 팀 내 소속인 아케호시 스바루와 같다.[6] 2기 지하철과 분당선 개통 이전에도 주황색을 사용하였지만, 그당시의 다이어리나 기타 배포되는 컬러 노선도에는 주황색보다 골든 옐로우나 샛노란색을 대신 많이 썼다. 어쩌면 1, 2, 3, 4호선과 빨 - 초 - 노 - 파라는 조합이 잘 어울렸기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당선이 노란색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1호선의 빨강색이 코레일의 남색으로 통합됨에 따라 원래대로 주황색 3호선을 쓰는 빈도가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2010년 이전에 서울메트로 3호선 초퍼제어는 외부가 태극도색으로 칠해져 있었으나 신차 도입 이후에는 외부가 주황색으로 바뀌었다.[7] 직접적이지 않고 간접적으로 나오는데 포탈을 플레이할때 주황색 빛이 나오는 피-보디를 골랐고 음식전쟁 2012때도 주황색옷을 입고있는데 이런게 왜 눈에 띄냐면 그의 친구인 이안은 그때당시 하늘색 티셔츠를 입었고 포탈을 할때도 하늘색깔 빛이 나오는 아틀라스를 고른것을 보면 알수있다. 그외에도 주황색과 하늘색으로 구별되는 장면이 자주나온다.[8] 캔디#s-3 활동 당시, 토토가3 캔디-행복-빛 무대 한정.[9] 뭉쳐야 찬다에서 사이판 출국을 앞두고 김병현 제외 어쩌다 FC 멤버 전원 정장 입었는데 이때 한 차례 주황색 넥타이를 착용했다.[10] 초록색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공식 설정으로 리르가 초록색이고, 라이언은 주황색이다.[11] 주황색은 활기찬 색이고, 작중에서도 활기차며, 이미지 컬러도 주황색이다.[12] 신태일과 같이 파트너 디지몬이 아구몬이며, 아구몬이 진화할 때의 색상과 디지바이스의 색상 모두 주황색으로 동일.[13] 소울젬 컬러는 연보라색이지만, 변신시 입는 옷은 주황색이다.[14] 파란색에도 해당.[15] 홈페이지 일러스트 한정[16] 원래는 주황색이었으나 늪지에 갔다 와서 한 번도 안 씻어서 녹색이 되었다.[17] 자체 색은 살색이지만, 입고 있는 옷이 주황색이다. 자체 색이 아닌 색을 이미지 컬러로 삼는 몇 안 되는 케이스.[18] 이쪽은 화이트와 오렌지가 섞여 있다.[19] 이쪽은 흰색 이미지로 취급하는 게 많다.[20] 사실 이쪽은 은색 이미지이나, 주황색과 연관된 점도 있다. 슈트에 주황색이 섞여 있기도 한데다, 본인의 메카도 은색이 아니라 주황색이기도 하고...[21] 7화에서 슬레인이 오렌지색이라 부른 뒤로 상징이 오렌지색이 되었다.[22] 여담으로 3명 전부 동안 속성이다.[23] 일본의 전통색으로, 주황색과 다홍색의 중간쯤 되는 색이다. 원문은 鉛丹色.[24] 라틴 문자표기부터 끝에 e하나만 붙이면 orange. 후에 원화를 맡고 있는 miya가 머테리얼에서 "모티브 컬러는 오렌지"라고 하며 확정.[25] 유니폼만 보면 녹색이지만 공식 이미지 컬러는 이게 맞다.[26] 몸색은 파란색이지만 쓰고 있는 모자 때문에 이 색이 이미지 컬러다. 노란색에도 해당.[27] 참고로 머리색은 주황색과 검정색이다.[28] 이미지 컬러색부터 주황색[29] 정확히는 변신 후 모습.[30] 초대작 《크레이지 아케이드》 제외.[31] 다홍색에 가깝다.[32] 노란캐지만 머리색이 주황색이다.[33] 아리스와 같은 경우.[34] 등장하는 애니메이션마다 디자인이 크게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주황색이 주 배색을 이룬다.[35] 붉은색이 도는 주황색에 가깝다.[36] 모티브인 쏘울도 1세대는 주황색이 상징도색이었다.[37] 모티브인 벨로스터도 1세대 모델은 주황색이 상징도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