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황색/이미지

 



주황색과 관련된 이미지들을 정리하는 문서.
1. 주황색이 상징하는 것들
2. 주황색 관련 인물
2.1. 성우
3. 주황색 관련 캐릭터
4. 주황색 메카닉
5. 주황색 관련 문서


1. 주황색이 상징하는 것들



2. 주황색 관련 인물


  • 개복어
  • 고우리
  • 구대성(빙그레 - 한화)
  • 권영길
  • 덕개
  • 마루야마 류헤이
  • 마리우스 요
  • 마츠쿠라 카이토
  • 무카이 코지
  • 미야케 켄
  • 버스터 포지
  • 송진우(빙그레 - 한화 - 요미우리 코치)
  • 슬기(레드벨벳) - 정확히는 주황색과 노란색의 중간색인 귤색이다.
  • 스모쉬 - 안토니 파딜라[7]
  • 신화 멤버들 - 에릭, 이민우, 김동완, 신혜성, 전진, 앤디
  • 아리오카 다이키
  • 여진 (이달의 소녀)
  • 오오니시 류세이
  • 오카무라 모모카
  • 요코오 와타루
  • 우키쇼 히다카
  • 이재원(H.O.T.)[8]
  • 1박 2일 - 은지원, 김준호, 문세윤
  • 이재명 -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부터 주황색을 사용했다. 그리고 19대 대선 경선에서는 후보 중 혼자 주황색 띠를 걸쳐 열렬한 주황색 사랑을 보여주었다.
  • 이정훈(빙그레 - 북일고 감독)
  • 장규리
  • 장종훈(빙그레 - 한화 코치)
  • 정동영 - 2000년 총선, 2007년 대선, 2015년 재보궐선거 당시 주황색을 사용하였다.
  • 정민철(빙그레 - 한화 - 한화 코치)
  • 조유리(IZ*ONE)
  • 츠루야 미사키
  • 키리야마 아키토
  • 키요노 모모히메
  • 허재 - 이게 불낙이야? 짤이 유명해지면서 이때 착용한 주황색 넥타이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고, 뭉쳐야 쏜다에서 감독이 되었을 때 아예 진짜로 착용하고 나온다.[9]
  • pH-1 - 주황색을 좋아한다고 한다.

2.1. 성우



3. 주황색 관련 캐릭터


활발함, 낙천적인 성격을 가진 캐릭터들이 많다. 또한 빨간색과 마찬가지로 리더나 주인공이 이 색을 퍼스널 컬러로 하는 경우도 많다. 이능력자의 경우 을 다루는 캐릭터가 많다.

4. 주황색 메카닉



5. 주황색 관련 문서


[1] 창작물에서 땅 속성인 캐릭터를 칙칙 한갈색보단 주황색으로 같이 나타내는 일이 가끔 있다.[2] 현재는 빨간색이 무궁화호를 상징하는 색이다.[3] 본래 말보로의 상징색인 붉은 색을 썼고, 아일톤 세나가 있었던 전성기 시절을 기억하면 이것이 더 유명하기도 하다. 현재는 맥라렌의 양산차인 맥라렌 F1부터 시작해 그 후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주황색을 썼고, 레이싱 팀 역시 주황색+엔진 스폰서 혹은 메인 스폰서 색상에 따르다 보니 별명이 Orange Racing이 되었다.[4] 미국의 일부 차량에 있는 브레이크등 일체형 방향지시등 제외[5] 이미지 컬러가 빨간색, 파란색이었다가 즈!!에서 주황색으로 바뀌었으며 팀 이미지 컬러가 팀 내 소속인 아케호시 스바루와 같다.[6] 2기 지하철분당선 개통 이전에도 주황색을 사용하였지만, 그당시의 다이어리나 기타 배포되는 컬러 노선도에는 주황색보다 골든 옐로우나 샛노란색을 대신 많이 썼다. 어쩌면 1, 2, 3, 4호선과 - - - 라는 조합이 잘 어울렸기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분당선이 노란색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1호선의 빨강색이 코레일의 남색으로 통합됨에 따라 원래대로 주황색 3호선을 쓰는 빈도가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2010년 이전에 서울메트로 3호선 초퍼제어는 외부가 태극도색으로 칠해져 있었으나 신차 도입 이후에는 외부가 주황색으로 바뀌었다.[7] 직접적이지 않고 간접적으로 나오는데 포탈을 플레이할때 주황색 빛이 나오는 피-보디를 골랐고 음식전쟁 2012때도 주황색옷을 입고있는데 이런게 왜 눈에 띄냐면 그의 친구인 이안은 그때당시 하늘색 티셔츠를 입었고 포탈을 할때도 하늘색깔 빛이 나오는 아틀라스를 고른것을 보면 알수있다. 그외에도 주황색과 하늘색으로 구별되는 장면이 자주나온다.[8] 캔디#s-3 활동 당시, 토토가3 캔디-행복- 무대 한정.[9] 뭉쳐야 찬다에서 사이판 출국을 앞두고 김병현 제외 어쩌다 FC 멤버 전원 정장 입었는데 이때 한 차례 주황색 넥타이를 착용했다.[10] 초록색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으나 공식 설정으로 리르가 초록색이고, 라이언은 주황색이다.[11] 주황색은 활기찬 색이고, 작중에서도 활기차며, 이미지 컬러도 주황색이다.[12] 신태일과 같이 파트너 디지몬이 아구몬이며, 아구몬이 진화할 때의 색상과 디지바이스의 색상 모두 주황색으로 동일.[13] 소울젬 컬러는 연보라색이지만, 변신시 입는 옷은 주황색이다.[14] 파란색에도 해당.[15] 홈페이지 일러스트 한정[16] 원래는 주황색이었으나 늪지에 갔다 와서 한 번도 안 씻어서 녹색이 되었다.[17] 자체 색은 살색이지만, 입고 있는 옷이 주황색이다. 자체 색이 아닌 색을 이미지 컬러로 삼는 몇 안 되는 케이스.[18] 이쪽은 화이트와 오렌지가 섞여 있다.[19] 이쪽은 흰색 이미지로 취급하는 게 많다.[20] 사실 이쪽은 은색 이미지이나, 주황색과 연관된 점도 있다. 슈트에 주황색이 섞여 있기도 한데다, 본인의 메카도 은색이 아니라 주황색이기도 하고...[21] 7화에서 슬레인이 오렌지색이라 부른 뒤로 상징이 오렌지색이 되었다.[22] 여담으로 3명 전부 동안 속성이다.[23] 일본의 전통색으로, 주황색과 다홍색의 중간쯤 되는 색이다. 원문은 鉛丹色.[24] 라틴 문자표기부터 끝에 e하나만 붙이면 orange. 후에 원화를 맡고 있는 miya가 머테리얼에서 "모티브 컬러는 오렌지"라고 하며 확정.[25] 유니폼만 보면 녹색이지만 공식 이미지 컬러는 이게 맞다.[26] 몸색은 파란색이지만 쓰고 있는 모자 때문에 이 색이 이미지 컬러다. 노란색에도 해당.[27] 참고로 머리색은 주황색검정색이다.[28] 이미지 컬러색부터 주황색[29] 정확히는 변신 후 모습.[30] 초대작 《크레이지 아케이드》 제외.[31] 다홍색에 가깝다.[32] 노란캐지만 머리색이 주황색이다.[33] 아리스와 같은 경우.[34] 등장하는 애니메이션마다 디자인이 크게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주황색이 주 배색을 이룬다.[35] 붉은색이 도는 주황색에 가깝다.[36] 모티브인 쏘울도 1세대는 주황색이 상징도색이었다.[37] 모티브인 벨로스터도 1세대 모델은 주황색이 상징도색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