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유사
鷄林類事
[image]
계림유사(雞林類事) 여언고(麗言攷)[1] 의 모습.
중국 북송시대의 봉사고려국신서장관(奉使高麗國信書狀官)이던 손목(孫穆)이 1103년(고려 숙종 8년)에 서장관으로서 고려를 방문한 후 당시 자신이 고려에서 견문한 조정제도, 풍속 및 고려 방언 약 360어휘를 채록하여 저술한 견문록이자 어휘집. 총 3권. 현재 홍콩대학 핑핑산도서관(馮平山圖書館)과 대만국립중앙도서관(臺灣國立中央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계림은 본래 경주시의 숲 이름으로 신라 왕조의 별칭 중 하나였으나, 신라 멸망 후에도 종종 쓰였다. 고려가 멸망한 후 조선시대에도 조선왕조를 간혹 고려라고 부른 것처럼 해외에서 칭하는 지명은 보수성과 모호성을 띠기 때문.
1103년에 북송에서 고려로 사신 유규(劉逵)와 오식(吳拭)을 수행한 손목이란 중국인이 당시 고려에 체류하면서 겪은 일들과 자신이 체득한 고려어 365어휘를 기록하여 남긴 것이다. 총 3권으로 토풍(土風), 조제(朝制), 방언(方言)의 3부와 부록의 표문집(表文集)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방언 파트가 흥미로운데, 1100년대 초의 고려어 어휘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중국어, 정확히는 송나라 때 쓰인 중고한어 호칭이 한자로 쓰여 있고 '가로(되) 曰(왈)' 자 이후 고려어의 한자 음차 표기가 쓰여 있다. 예를 들어 "天曰漢捺(천왈한날)"은, "(중국어의) '天'은 (고려어로) '하ᄂᆞᆯ'이라고 한다."로 해석된다.
따라서 曰 자 다음에 쓰인 한자 표기는 사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게 아니라, 송나라 중고한어로 재구해야 한다. 물론 한국 한자음 자체가 당나라 장안음에 기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장안음 역시 중고한어 시기 음가에 속하기에, 큰 차이는 없다 .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국 한자음에 따른 독음을 달아 두었다.
음가를 추정할 때 유의할 점이 있는데, 계림유사의 음차 표기에는 연음변독현상(連音變讀現象)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다음 음절의 초성이 앞 음절의 종성에도 등장하게끔 음차되어 있다. 이를테면 漢捺(한날), 屈林(굴림), 孛纜(발람) 등에서 첫 음절의 종성이 없다고 보아야 하ᄂᆞᆯ(>하늘), 구롬/구룸(>구름), 바ᄅᆞᆷ(>바람)과 흡사해진다.
현재는 손목이 저술한 단행본은 전하지 않고 절록본(節錄本)으로 남아 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책의 이본(異本)은 약 20여 종에 이른다. 가장 오래된 고본은 홍콩대학 펑핑산도서관(馮平山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명대(明代) 가정연간(嘉靖年間)에 제작된 설부본이다.
이 책에 실린 고려어의 생성 시기는 손목이 고려에 왔던 1103년이지만, 이는 기록상의 연대일 뿐 실제로는 훨씬 더 이전부터 이용되었을 것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인 고려 전기 우리말 연구 및 한자음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하늘-한날, 구름-굴림, 할아버지-한아비, 손씻어-손시사, 구슬-구술 등 의외로 천년 전의 말이 지금이랑 크게 다르지 않다.
[image]
계림유사(雞林類事) 여언고(麗言攷)[1] 의 모습.
1. 개요
중국 북송시대의 봉사고려국신서장관(奉使高麗國信書狀官)이던 손목(孫穆)이 1103년(고려 숙종 8년)에 서장관으로서 고려를 방문한 후 당시 자신이 고려에서 견문한 조정제도, 풍속 및 고려 방언 약 360어휘를 채록하여 저술한 견문록이자 어휘집. 총 3권. 현재 홍콩대학 핑핑산도서관(馮平山圖書館)과 대만국립중앙도서관(臺灣國立中央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
계림은 본래 경주시의 숲 이름으로 신라 왕조의 별칭 중 하나였으나, 신라 멸망 후에도 종종 쓰였다. 고려가 멸망한 후 조선시대에도 조선왕조를 간혹 고려라고 부른 것처럼 해외에서 칭하는 지명은 보수성과 모호성을 띠기 때문.
2. 내용
1103년에 북송에서 고려로 사신 유규(劉逵)와 오식(吳拭)을 수행한 손목이란 중국인이 당시 고려에 체류하면서 겪은 일들과 자신이 체득한 고려어 365어휘를 기록하여 남긴 것이다. 총 3권으로 토풍(土風), 조제(朝制), 방언(方言)의 3부와 부록의 표문집(表文集)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방언 파트가 흥미로운데, 1100년대 초의 고려어 어휘들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중국어, 정확히는 송나라 때 쓰인 중고한어 호칭이 한자로 쓰여 있고 '가로(되) 曰(왈)' 자 이후 고려어의 한자 음차 표기가 쓰여 있다. 예를 들어 "天曰漢捺(천왈한날)"은, "(중국어의) '天'은 (고려어로) '하ᄂᆞᆯ'이라고 한다."로 해석된다.
따라서 曰 자 다음에 쓰인 한자 표기는 사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게 아니라, 송나라 중고한어로 재구해야 한다. 물론 한국 한자음 자체가 당나라 장안음에 기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장안음 역시 중고한어 시기 음가에 속하기에, 큰 차이는 없다 .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국 한자음에 따른 독음을 달아 두었다.
음가를 추정할 때 유의할 점이 있는데, 계림유사의 음차 표기에는 연음변독현상(連音變讀現象)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다음 음절의 초성이 앞 음절의 종성에도 등장하게끔 음차되어 있다. 이를테면 漢捺(한날), 屈林(굴림), 孛纜(발람) 등에서 첫 음절의 종성이 없다고 보아야 하ᄂᆞᆯ(>하늘), 구롬/구룸(>구름), 바ᄅᆞᆷ(>바람)과 흡사해진다.
현재는 손목이 저술한 단행본은 전하지 않고 절록본(節錄本)으로 남아 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책의 이본(異本)은 약 20여 종에 이른다. 가장 오래된 고본은 홍콩대학 펑핑산도서관(馮平山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는 명대(明代) 가정연간(嘉靖年間)에 제작된 설부본이다.
이 책에 실린 고려어의 생성 시기는 손목이 고려에 왔던 1103년이지만, 이는 기록상의 연대일 뿐 실제로는 훨씬 더 이전부터 이용되었을 것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인 고려 전기 우리말 연구 및 한자음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하늘-한날, 구름-굴림, 할아버지-한아비, 손씻어-손시사, 구슬-구술 등 의외로 천년 전의 말이 지금이랑 크게 다르지 않다.
3. 원문
4. 바깥고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계림유사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 : 『계림유사』에 등재된 우리말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 계림유사
- 한국어 위키백과 : 계림유사
- 두산백과 : 계림유사
- 한국고전용어사전 : 계림유사
- 시사상식사전 : 계림유사
- 문화원형 용어사전 : 계림유사
-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계림유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계림유사와고려시기의조선어
[1] 계림유사의 고려어를 연구한,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의 1925년 논문이다.[2] 원문에는 姮로 오기된 것을 교감[3] 추측하자면 몬더그린 현상으로 인해 '우박'을 '우곽'으로 잘못 기록하였고, 이를 전사하는 과정에서 '우'자가 빠진 것 같다.[4] 번개가 칠 때에 섬뜩한 느낌이 나는 것을 비유하여 설명한 말이 閃(섬)으로 잘못 기록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5] 霧는 집운에서 발음이 몽(謨蓬切, 音蒙)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몽은 고려의 고유어가 아니라 霧의 한자음일 가능성이 높다.[6] 무지개의 형상이 육교처럼 보여서 비유한 설명한 말을 잘못 기록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7] <*두ᄫᅳᆯ[8] 麻刃(마인)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9] 원문의 順을 교감.[10] 나조ㅎ/나조/나죄는 저녁의 옛말이다. 지금도 방언으로 남아 있다.[11] 년, 춘, 하, 추, 동은 같다[12] 동, 서, 남, 북은 같다[13] 전사과정에서 잘못 기록 한 듯하다.[14] 원문의 銷를 鋪로 교감.[15] 전사과정에서 잘못 기록 한 듯하다.[16] 잣 + 나ᇚ(나무)[17] 松은 본래 소나무이나, 소나무와 잣나무는 같은 과·속으로 구분이 어렵다.[18] 가래나무를 가리킨다. 가래나무는 호두나무와 같은 과·속의 나무로 열매도 비슷하다.[19] 문ㅅ배(문배)로 보는 견해가 있다. 문배는 문배나무의 열매.[20] 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21] 원문에는 打인데 柯로 교감.[22] 89번 雀과 이어지면서 오기된 듯하다. 훈몽자회에는 '禽 새 금', '雀 새 작'으로 나온다.[23] 辰(다섯째지지, 용)을 가리키는 듯함.[24] 수달로 착각한 것일까?[25] 원문의 蟇를 종서로 쓰인 臭虫의 오기로 보는 견해다. 臭虫은 빈대를 뜻한다. 앞에 이, 벼룩, 서캐 등 해충을 나열했으므로 어휘 배열 상으로도 빈대가 더 유력하다.[26] 갈보는 보통 창녀의 뜻이지만, 이희승의 국어대사전에 빈대의 속어로도 수록되어 있다. 구한말 민속학자 이능화가 저술한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에 "몸파는 유녀를 가리켜 갈보(蝎甫)라 하는데, 그 뜻은 피를 빠는 빈대"라고 해설했다.[27] 주격조사[28] 접미사. 물건을 만들거나 그 일에 종사하는 사람[29] 불교용어. 공양하고 선행을 쌓아서 내생(來生)의 복을 마련하는 일.[30] 切 또는 反 누락[31] ⿰飠婁[32] 원문에는 了이나 丫로 교감. 이하 모두 같다.[33] 彌의 오기인 듯함.[34] 말뜻을 고구려의 관직명인 대형(大兄), 소형(小兄)으로 잘못 이해하여 기록한 것 같다.[35] 본래 독음은 "초" 또는"묘"이나 여기서는 "소"나 "사"로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36] 원문에는 婆이나 娑로 교감.[37] 원문의 姐를 교감.[38] 원문의 子를 교감[39] 원문의 子를 교감[40] 원문의 踈步를 교감.[41] 원문의 骨鹽眞을 교감[42] 한국 한정으로 太를 콩의 뜻으로 써 왔다. 예컨대 청태, 흑태, 두태, 서목태 등[43] '새큼하다'의 여린말이다.[44] 뜨거운 물.[45] 원문의 義를 교감.[46] 가문 뒤에 적삼을 뜻하는 단어가 누락된 듯하다.[47] 남자의 여름 홑바지[48] 원문은 戌[49] 왕비와 귀부인 등이 국상 때 사용한 머리쓰개.[50] 귀중한 물건이나 문건을 넣어 두는 자그마한 자루.[51] 絲의 오기인 듯하다.[52] 헝겊으로 가선을 두르고 뒤에 부들자리를 대서 만든 돗자리.[53] 원문의 馳 교감.[54] 호롱불의 '호롱'과 연관짓는 해석도 있다.[55] <고을<고블.[56] 제사지낼 때 사용하는 술잔과 받침.[57] 술+ㅅ+가락[58] 져+ㅅ+가락[59] 288번과 중복되어 오기된 듯하다[60] 뒷글자가 빠져서 기록된 것 같다.[61] ← ᄀᆞᇫ + -개[62] 주사위를 뜻하는 중국어 色兒에서 온 말이다.[63] 원문은 烏이나 鳥로 교감[64] 구개음화 이전 음은 "됴".[65] 볏짚, 삼, 칡 따위를 꼬아 만든 줄을 '바'라고 한다.[66] 글씨를 긋다.[67] 닐다: 일어나다의 옛말[68] 打를 연음(連音)하라는 것으로 해석하면 打打(타타)가 되어 'ᄃᆞᆮ(다)'로 해독된다. 음차로 파악하여 '녀ᄂᆞᆷㅅ다'로 해독하기도 한다.[69] 빨리 달리다.[70] 아래의 胡住(호주)와 위치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71] 위의 胡臨(호림)과 위치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72] 구개음화 전 "톄"[73] 죄를 지으면 처벌을 함.[74] 원문의 設에서 교감.[75] 임금이 신하를 위문함.[76] 力斤(력근) 또는 乃斤(내근)으로 보는 견해, 훈독과 음독이 결합한 刃斤(날근)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77] 원문의 不鳥 교감.[78] 黑은 ㅋ의 유기음을 나타낸다. 즉, ㅎ+근)[79] '횩다'는 '작다'의 옛말이다.[80] 구개음화 전에는 "뎌"[81] '얕다의 고어로 기본형 '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