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간부

 


1. 단어적 의미
2. 직업모에 요소의 한 일파
2.1. 이 속성을 가진 캐릭터 목록(작품별 가나다순)


1. 단어적 의미


말 그대로 군대 내의 여성 간부. 남성 위주의 군대 특성상 당연히 남성 간부에 비해 그 수가 적고, 있다 해도 업무에 대한 압박이 덜하다고들 한다. 요즘 세계가 그렇듯이 남성들이 분담해서 처리하기 때문. 모 남성 대한민국 군무원은 자기와 같은 부대에서 근무하는 여군 간부(장교)와 눈이 맞아 자신이 군대를 3번(병→부사관→군무원)이나 간 끝에 결혼에 성공했다고.
여군 간부들은 대체로 남군 간부들보다 성격이 좋은 편이 많다. 병들이 남군 간부들은 많이 까더라도 여군 간부들은 어지간해서는 잘 까지 않는 이유가 예쁜 외모, 섬세한 성격 등이 맞물려서 그렇다. 특히 사관학교를 나온 여군 간부들이라면 거의 성녀급 수준이다. 남자였음 선발도 안되었을 폐급들이 많은 ROTC, 학사장교 출신[1] 여군 간부들과는 다르게 함부로 행동하지 않고 들을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같은 사관학교 출신 남군 간부와 결혼해서 아이를 낳아 키우는 여군 간부의 경우(보통 중령/상사급 이상의 여군 간부들) 진짜 어머니 수준으로 자상하다. (자기 자식도 결국 군대를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여군 간부들이 남군 간부들에 비해서 발언권이 상당히 적어 병들에게 똥군기를 부리기가 힘들지만, 그래도 남성들 천국인 군대에서 여성들이 와서 윤활유 역할은 톡톡히 하고 있는 셈. '''그러나 사관학교 출신이라도 사람마다 다르므로, 미필이라면 이 문단의 분류를 믿고서 방심하지는 말자.'''
훈련에서도 유격이나 화생방은 대부분 열외를 받으며 행군도 빈 군장으로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수류탄 등도 투척거리가 짧다면서 시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2. 직업모에 요소의 한 일파


여교사여군의 중간 속성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통상적인 의미는 악의 조직이나 기타 조직의 밑에서 주인공이나 다른 인남캐 전투원들을 갈구는 BDSM적인 여자 상관. 사실 여교사나 여군에 비해 역사가 오래되지도 않았고 지지하는 축도 적지만 의외로 매니악해서 그 소수의 미칠 듯한 지지를 받는다.
그리고 전투에 나설 때는 전투 가능한 히로인이 나오는 작품에서는 전투가 가능한 히로인과 맞붙는다.
원류를 따라가다보면 쇼와 시대의 특촬물에서 파생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2] 초신성 플래시맨레이 네펠은 여간부의 완벽한 지향점이자 시조라고 평가 받는다. 참고로, 시대를 좀 더 거슬러 올라가보면 나치 제복녀가 나오는데, 이쪽이 여간부 속성의 진짜 시초라 하겠다.
아군 진영 여성 캐릭터보다 작품의 서사에 얽힌 부분이 많아 진히로인으로 떠받들어지는 여간부 캐릭터도 꽤 있는데, 이는 어린이 드라마인 탓에 잘해봐야 붙잡힌 히로인 정도 이상의 연출은 보이기 어려운 아군 진영 여성 캐릭터에 비해 여러 비극적 연출을 보일 수 있어서다. 레이 네펠, 라 바르바 데, 메즐이 그 예. 당장 저 세 여간부 캐릭터가 나온 작품 안의 아군 진영 여성 캐릭터와 맞대보면 서사에 갖는 무게가 비슷하거나, 되레 아군 진영 여성 캐릭터를 넘는다. 가끔 진짜 주인공과 제대로 엮이는 진히로인이 될 때도 있다.
덧붙여 전대 시리즈 및 가면라이더 시리즈에 여간부 배역을 맡은 많은 배우들이 '''어른의 매력'''을 짙게 내는 터라 몇몇 덕후들한테 특촬을 보도록 하는 이유가 되는데……. 실제로 모델, 또는 성인극 계열 배우가 여간부 배역을 자주 맡는다. 상업성을 갖추려 극 안에 '''그렇고 그런 류의''' 여성 캐릭터를 하나는 넣어야 하건만 대놓고 아군 진영에 넣을 수는 없는 탓에 나온 꼼수라.
팜므파탈 속성과 조합되는 경우가 많다. 물 건너에서 이르는 단어는 적녀(敵女), 또는 여괴인(女怪人). 악의 여간부라는, 이 모에 요소를 노리고 만든 에로게가 있다. 이것의 하위호환(?) 또는 관련용어로는 여전투원이 있다.
의외일지도 모르겠지만, 여간부라고 해서 꼭 여성만이 여간부 역을 맡는 것은 아니며 '''남성이 여간부를 연기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다'''(!). 외모나 목소리가 드러나는 배우나 성우보다는, 직업군에 아직까진 남성이 대부분인 슈트 액터가 이런 경우가 많은 편.[3]

2.1. 이 속성을 가진 캐릭터 목록(작품별 가나다순)



※ 여성 수장(최종 보스)은 제외.

[1] ROTC와 학사장교는 대한민국 국군 간부 양성과정에서 가장 쉽고 가장 헐렁한 군기를 자랑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역이든 예비역이든 얘들은 뽑질 말아야한다는 의견이 많다.[2] 가면라이더 스트롱거의 닥터 케이토, 특촬버전 스파이더맨의 아마조네스 같은 적 진영 여성 캐릭터가 있었지만, 일과성 캐릭터에 가까웠다.[3] 최근에는 여성 슈트액터도 제법 양지에 모습을 드러내게 됐지만 지금도 여전히 현역으로 구르는 것은 남성 액터가 압도적으로 많다. 한여름에도 온몸을 가리는 두터운 특수 복장을 입은 상태에서 하루에 몇 시간이고 몸을 날려야하는 거친 액션을 소화하는 직업인지라 몸의 내구성은 물론 단련까지 되어 있어야 하다 보니.[4] 수장격인 양옥/양장의 여자까지 모두 다 같은 배우가 연기했다.[5] 둘 다 괴인태가 동일하다.[6] 원작인 가면라이더에서는 그냥 괴인 1에 불과했지만 여기서는 간부급으로 급신분상승했다.[7] 한때 뮤지엄의 간부였으나 소노자키 류우베의 공격을 받은 이후에는 더 이상 간부가 아니다.[8] 작중 변신자는 여성이나 괴인체는 남성형인 경우.[9] 역시 변신자가 여성이나 괴인체는 남성형인 경우.[10] 이쪽은 반대로 변신자는 남성인데 괴인체는 여성형인 경우.[11] 얼핏 애매해보이나 여성 괴인이 맞다. 슴가(...)도 있으며 괴인체의 목소리도 여성이 맡는다. 또한 악역이 아닌 선역이다.[12] 초반부 한정. 중반부에 아군으로 돌아선다.[13] 남성 성우가 연기했다.[14] 이쪽은 선역이다.[15] 히로인과 외형이 같은 별개의 개체이다.[16] 둘 다 시즌 1 마지막에 갱생한다.[17] 단 파트너인 신나리를 만난 이후로는 아군이 된다.[18] 사실 디지몬은 성별이 없다. 자세한 건 레나몬 항목 참조.[19] 어벤져스 시리즈의 첫 여성 빌런이라 할 수 있다.[20] 현재의 프록시마가 아닌 과거의 프록시마가 등장하는데 현재의 프록시마는 블랙 위도우랑 싸우다가 스칼렛 위치의 염력에 의해 공성 무기에 갈려나가 사망하였다.[21] 군단장 데몬의 하수인이지만.. 군단장의 지속 부하니 데몬보다 낮은 하위 간부가 맞긴 맞다. 데몬이 남성일 경우만[22] 검은 조직의 조직원들이 아직 전부 드러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드러나지 않은 조직원들 중, 여성 조직원도 존재할 듯하다. [23] 단, 둘 다 다크 포트리스에게 버림 받게 되면서 마지막에는 아군이 된다.[24] ST는 전원이 아예 여간부이다.[25] 블랙 미러에게 세뇌당했을 때 한정.[26] 역대 전대의 여간부 중 여간부의 속성의 정점이자 시조인 캐릭터다.[27] 같이 등장한 즐거움의 밀정 라큐로는 목소리는 여자 성우가 맡았지만 캐릭터는 남자 어린이다.[28] 그리타 양은 애매해서 제외.[29] 이자요이 큐에몬은 남성이라서 예외.[30]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고인.[31] 극장판에서만 등장.[32] 특수전대 데카레인저에서는 명확한 적 조직이 형성되지 않은 작품 특성상 고정 적 여간부가 없으며, 그저 에피소드 21~23에서 서큐버스가 등장할 뿐이다.[33] 마스터 사이클로니스는 보스라서 제외.[34] 애니판 한정[35] 타락천사 한정이다.[36] 작중 캐릭터 설정상으로는 여성이지만, 연기하는 배우는 남성이다. 사실 여간부라고는 하지만 캐릭터 자체가 할머니 캐릭터라 별 위화감은 없다.[37] 이 역시 캐릭터는 여성인데, 연기하는 배우가 남성인 케이스. 위에서 언급된 키바와 달리 젊은 캐릭터다.[38] 미스 올 선데이, 미스 더블 핑거, 미스 골든 위크, 미스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 발렌타인, 미스 파더즈 데이, 미스 먼데이, 미스 웬즈데이, 미스 프라이데이[39] 넷 다 해군으로서 여간부에 속한다.[40] 칼리파, 스튜시[41] 조라, 바아올렛, 슈거, 모네, 베이비 5[42] 샬롯 콩포트, 샬롯 몽드, 샬롯 아망드, 샬롯 에필레, 샬롯 커스터드, 샬롯 엔젤, 샬롯 브륄레, 샬롯 브로에, 샬롯 매쉬, 샬롯 콘스타치, 샬롯 모차르트, 샬롯 마르니에, 샬롯 스무디, 샬롯 시트론, 샬롯 시나몬, 샬롯 갈렛, 샬롯 푸아르, 샬롯 프림, 샬롯 마블, 샬롯 뮤클, 샬롯 조콘도, 샬롯 조스칼포네, 샬롯 나츠메구, 샬롯 아키메구, 샬롯 올메구, 샬롯 하루메구, 샬롯 후유메구, 샬롯 푸딩, 샬롯 플랑페[43] 지고쿠벤텐, 쵸우메[44] 진라미, 스피드, 솔리테어, 울티, 블랙 마리아, 사라헤비[45] 카타리나 데본[46] 일단 팀 프로토콜 오메가 2.0의 주장이다.[47] 본작의 최종 보스도 겸하는 특이 케이스이다.[48] 둘 다 현재는 악당을 그만두고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49] 남자 성우가 여자 목소리를 냈다.[50] 모티브는 플라스마단의 여성 조무래기지만, 그래도 조무래기들 중에서 계급이 제일 높기 때문에 간부로 간주한다.[51] 초반부 한정. 에피소드 23 이후 히가시 세츠나라는 이름으로 다시 살아나 큐어 패션이 되어 주인공 일행 편이 된다.[52] 초반부 한정. 23화 이후 쿠로카와 엘렌이라는 이름으로 큐어 비트가 되어 주인공 일행 편이 된다.[53] 초반부 한정. 에피소드 22 이후 아카기 토와라는 이름으로 큐어 스칼렛이 되어 주인공 일행 편이 된다.[54] 초반부 한정. 에피소드 17 이후 주인공 일행 편이 되고 에피소드 20 이후 큐어 아무르가 된다.[55] 소녀 캐릭터인데 하필이면 외눈박이다...[56] 참고로 소녀 여간부 캐릭터들의 공통점은 대부분 갱생한다.[57]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거의 신인 작가였을 때 쓴 프로파간다 연극용 희곡이다. [58] 거의 최종 보스나 마찬가지다. 샤를 7세나 다른 프랑스 기사들은 제대로 하는 게 없이 잔 다르크 등장 전에 주인공 헨리 6세의 영국군에게 당하기만 했으니..... 그리고 이 시리즈 전체의 히로인에 해당되는 인물인 마거릿 앙주는 1부에선 비중이 거의 없는 반면에(사실 주인공 헨리 6세도 1부에선 마찬가지다.) 잔 다르크는 1부에서는 비중이 꽤 크며 자주 나오므로 진히로인으로도 평가할 수 있다. 당연히 영국인인 셰익스피어가 썼던 작품인만큼 여기서는 그냥 주인공의 적에 해당되는 여간부도 아니고 마녀, 창녀에 자기 친아버지에게 패드립까지 치는 인물로 나온다. 물론 위인전이나 학습만화, 백과사전을 읽을 때나 세계사 배울 때 졸지 않아도, 인터넷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잔 다르크를 쳐봐도 알 수 있지만 실제 잔 다르크는 절대로 저런 인물이 아니었다.[59] 여주인공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