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선수/야구/KBO

 


1. 개요
2. 팀별 목록
2.1. OB 베어스 (1982~1998) - 두산 베어스 (1999~現)
2.2. MBC 청룡 (1982~1989) - LG 트윈스 (1990~現)
2.3. 해태 타이거즈 (1982~2000) - KIA 타이거즈 (2001~現)
2.5. 삼미 슈퍼스타즈 (1982~1984) - 청보 핀토스 (1985~1987) - 태평양 돌핀스 (1988~1995) - 현대 유니콘스 (1996~2007)
2.7. 빙그레 이글스 (1985~1993) - 한화 이글스 (1994~現)
2.9. SK 와이번스 (2000~現)
2.11. NC 다이노스 (2012~現)
2.12. kt wiz (2015~現)

범례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경우(☆)
원클럽맨으로 은퇴한 선수(★)
구단에서 영구결번된 선수('''볼드''')
출신지와 연고지가 일치하는 선수를 구분할 때는 당시의 연고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2000년 이후의 경우는 도시연고제이므로 원칙적으로는 해당 시 출신만 로컬 보이이나, 해당 도에 다른 야구단이 없거나[1], 광역시의 경우 분리되기 전 소속되었던 도에 야구팀이 없다면[2] 도까지도 인정합니다.

1. 개요


KBO의 선수들은 10개 구단으로 구단의 개수가 적고 트레이드도 잘 일어나지 않으며 트레이드로 팀 옮기는 것을 팀에서 버림받는 것으로 생각하며 매우 꺼리는 분위기인데다가 FA 연한도 8~9년이나 되는 KBO의 특성상 웬만큼 연차 높고 잘하는 선수들은 전부 프랜차이즈 선수의 정의에 부합한다.
이렇게 정한 이유는 프랜차이즈 선수 기입 남발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이다. 단, 군복무 때문에 상무/경찰청에서 선수 생활을 한 경우는 팀을 옮긴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본 기준은 KBO 기준.

* 원 클럽 맨 : 한팀에서 데뷔하고 단 한차례도 팀을 옮기지 않고 8시즌 이상을 현역으로 뛰고있거나 해당 팀에서 은퇴했을 경우. (ex 조성환 등) 부상 및 부진 등의 이유로 1군에서 1게임도 뛰지 못한 시즌은 제외. 해외 리그에 진출한 것 외에 데뷔한 소속 리그에서는 원 클럽 맨이었을 경우에는 포함한다. 또한 소속팀이 해체 후 재창단 과정을 거쳤으나 데뷔 이후 타팀 이적없이 재창단된 팀에서 선수생활을 마무리 지은 경우도 원 클럽 맨으로 간주한다. (ex 이숭용)[3]

* 한 팀에서 영구결번으로 선정된 경우.

* 한 팀에서 모두 7시즌 이상 뛴 경우. (ex 가득염 등) 도중에 자의적으로(트레이드, 웨이버 공시, 2차 드래프트, FA 보상선수 등이 아닌) KBO 리그내 타팀으로 이적한 경우는 제외. 다만 해외리그(MLB, NPB 등)로 이적한 경우는 프랜차이즈로 인정하며, 부상 및 부진 등의 이유로 규정타석규정이닝의 1/4에 미치지 못하는 시즌은 제외. (144게임 기준 각각 111타석, 36이닝에 미달되는 경우)

* 한 팀에 연속으로 3시즌 이상 뛰고 아래의 조건을 1개 이상 만족한 경우. (ex 김상현, 나성범, 마해영 등) 다만 해당팀 기준 2배 이상의 시즌을 뛴 타 팀이 있을 경우에는 제외. (ex 홍성흔-롯데, 전준호-롯데, 이호준-NC, 장원준-두산 등)[4]

* 정규시즌 MVP or 한국시리즈 MVP or 골든글러브 or 신인왕 1회 이상 수상.

* 투수 : 한 시즌 10승 or 20홀드 or 20세이브를 3시즌 이상 기록.

* 타자 : 한 시즌 안타 120개 or 홈런 20개를 3시즌 이상 기록.

그러나 나무위키의 '이 문서에서만' 주장되는 KBO 리그 프랜차이즈 선수는 난립을 막기 위한다는 목적으로 작위적인 몇 가지 조건을 붙여놨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주의 : 다시 말하지만 이 기준은 허용투수 문서와 마찬가지로 이 문서를 즐겨 찾는 나무위키의 극소수의 일부 유저들만 사용하는 '그들만의 조건'이며 단순히 봐도 쳐낼 것은 쳐내면서도 특정 선수들을 넣기 위해 다른 곳에서는 통하지 않는 작위적인 조건[5]이 많다. 허들이 낮아보인다는 의견도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최소한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 조건들은 나무위키 밖은 물론이고 뒤로가기 한번만 눌러서 나무위키 내의 다른 문서로만 가도 통용되지 않는 기준이다.

2. 팀별 목록



2.1. OB 베어스 (1982~1998) - 두산 베어스 (1999~現)


  • 계형철★ (1982~1991)
  • 고영민☆★ (2002~2016)[6]
  • 김경문 (1982~1989,1991)[7]
  • 김광림☆ (1984~1993)[8]
  • 김광수☆★ (1982~1992)
  • 김동주☆★ (1998~2014)[9]
  • 김민호★ (1993~2003)
  • 김상호☆ (1990~1998)
  • 김선우☆ (2008~2013)
  • 김영신 (1985~1986)[10]
  • 김재호☆ (2004~現)
  • 김재환 (2008~現)[11]
  • 김진욱 (1984~1992)
  • 김태형☆★ (1990~2001)
  • 김현수☆ (2006~2015)
  • 김형석☆ (1985~1997)
  • 노경은☆ (2003~2016)
  • 더스틴 니퍼트 (2011~ 2017)[12]
  • 맷 랜들 (2005~ 2008)[13]
  • 민병헌☆ (2006~2017)
  • 박건우☆ (2009~現)
  • 박명환☆ (1996~2006)
  • 박세혁☆ (2012~現)
  • 박종훈★ (1983~1989)
  • 박철순★ (1982~1997)
  • 손시헌 (2003~2013)
  • 신경식 (1982~1990)
  • 안경현 (1992~2008)
  • 양의지 (2006~2018)
  • 오재원☆ (2007~現)[14]
  • 유희관☆ (2009~現)
  • 윤석환☆ (1984~1990)
  • 이광우 (1992~2001)
  • 이명수 (1989~1997)
  • 이용찬☆ (2007~現)
  • 이재우☆ (2001~2015)
  • 이종욱 (2006~2013)
  • 이혜천 (1998~2013)
  • 장원진★ (1992~2008)
  • 장호연★ (1983~1995)[15]
  • 정수근☆ (1995~2003)
  • 정수빈 (2009~現)
  • 정재훈☆ (2003~2014 / 2016~2017)[16][17]
  • 진필중☆ (1995~2002)
  • 최일언 (1984~1989)
  • 최준석 (2006~2013)
  • 타이론 우즈 (1998~2002)
  • 허경민 (2009~現)
  • 홍성흔☆ (1999~2008, 2013~2016)[18]
  • 황태환 (1982~1989)

2.2. MBC 청룡 (1982~1989) - LG 트윈스 (1990~現)


  • 경헌호☆★ (2000~2012)
  • 김기범☆★ (1989~2000)
  • 김광삼☆★ (1999~2016)
  • 김동수☆ (1990~1999)[19]
  • 김상훈☆ (1984~1993)
  • 김선진★ (1990~2000)
  • 김용수☆★ (1985~2000)
  • 김재박 (1982~1991)
  • 김재현☆ (1994~2004)[20]
  • 김정민★ (1993~2006, 2008~2010)
  • 김태원☆★ (1986~1998)
  • 노찬엽☆★ (1989~1997)
  • 박용택☆★ (2002~2020)[21]
  • 박종호☆ (1992~1998 / 2009~2010)
  • 봉중근☆ (2007~2018)
  • 서동욱 (2005~2013)
  • 서용빈☆★ (1994~2006)
  • 송구홍☆★ (1991~1997 / 2000)
  • 심수창☆ (2004~2011 / 2019)
  • 오지환 (2009~現)
  • 우규민☆ (2003~2016)
  • 유강남☆ (2011~現)
  • 유지현☆★ (1994~2004)
  • 이광은☆★ (1982~1991)
  • 이대형 (2003~2013)
  • 이동현★ (2001~2019)
  • 이병규★ (1997~2006 / 2010~2016)
  • 이병규[22] (2006~2017)
  • 이상훈☆ (1993~1997 / 2002~2003)
  • 이종열☆★ (1991~2009)
  • 이진영 (2009~2015)
  • 임찬규☆ (2011~現)
  • 장문석 (1997~2005)
  • 정삼흠★ (1985~1996)
  • 정성훈 (2009~2017)
  • 정찬헌 (2008~現)
  • 조인성☆ (1998~2011)
  • 차명석☆★ (1992~2001)
  • 채은성 (2009~現)
  • 최동수☆ (1994~2010.7.28 / 2011.11.22~2013)
  • 최원호 (2000~2010)
  • 하기룡★ (1982~1989)

2.3. 해태 타이거즈 (1982~2000) - KIA 타이거즈 (2001~現)


  • 곽정철☆★ (2005~2018)
  • 김봉연☆★ (1982~1988)
  • 김상진☆★ (1996~1999)[23]
  • 김상현☆ (2000~2002,2009~2013)
  • 김상훈☆★ (2000~2014)
  • 김선빈☆ (2008~現)
  • 김성한☆★ (1982~1995)
  • 김용남☆ (1982~1986)
  • 김원섭 (2003~2017)
  • 김일권☆ (1982~1988)
  • 김정수☆ (1986~1999)
  • 김종국☆★ (1996~2010)
  • 김종모☆★ (1982~1992)
  • 김주찬 (2013~2020)
  • 김주형 (2004~2019)
  • 김준환☆★ (1982~1989)
  • 김진우☆★ (2002~2007 / 2011~2018)
  • 나지완 (2008~現)
  • 문희수☆★ (1984~1995)
  • 서재응☆★ (2008~2015)
  • 서정환 (1983~1989)
  • 선동열☆★ (1985~1995)
  • 송유석 (1985~1996)
  • 신동수☆ (1986~1993)
  • 신용운 (2002~2011)
  • 심동섭☆ (2010~現)
  • 안치홍 (2009~2019)
  • 양현종☆ (2007~現)
  • 유동훈★ (1999~2014)
  • 윤석민★ (2005~2013 / 2015~2019)
  • 이강철☆ (1989~1999 / 2001~2005)[24]
  • 이대진☆ (1993~2011)
  • 이범호 (2011~2019)
  • 이상윤☆★ (1982~1989)
  • 이순철☆ (1985~1997)
  • 이용규 (2005~2013)
  • 이재주 (2002~2009)
  • 이종범☆★ (1993~1997 / 2001~2012)
  • 임창용☆ (1995~1998 / 2016~2018)
  • 장성호 (1996~2010)
  • 장채근☆ (1986~1995)
  • 조계현☆ (1989~1997)
  • 차영화☆★ (1982~1989)
  • 최용규★ (2008~2016)
  • 최해식☆ (1994~2001)
  • 최희섭☆★ (2007~2015)
  • 한기주☆ (2006~2017)
  • 한승혁 (2011~現)
  • 한대화 (1986~1993)
  • 헥터 노에시 (2016~2018)[25]
  • 홍세완★ (2000~2010)
  • 홍현우☆ (1990~2000,2005)[26]

2.4. 삼성 라이온즈 (1982~現)


  • 강기웅☆★ (1989~1996)
  • 강동우☆ (1998~2005)
  • 강명구★ (2003~2014)
  • 구자욱☆ (2012~現)
  • 권오준★ (1999~2020)
  • 권혁☆ (2002~2014)
  • 김상수 (2009~現)
  • 김상엽☆(1989~1999)
  • 김성래☆ (1984~1996)
  • 김시진☆ (1983~1988)
  • 김용국☆ (1985~1993)
  • 김재걸★ (1995~2009)
  • 김진웅 ☆★ (1998~2010)
  • 김한수★ (1994~2007) [A][27]
  • 다린 러프 (2017~2019) [28]
  • 류중일☆★ (1987~1999)
  • 박석민☆ (2004~2015)
  • 박승호☆★(1983~1993)
  • 박충식 (1993~1999)
  • 박한이★ (2001~2019)
  • 박해민 (2012~現)
  • 배영섭 (2009~2018)
  • 배영수☆ (2000~2014)
  • 백정현☆ (2007~現)
  • 성준(야구선수) ☆ (1986~1998)
  • 신동주 (1991~2001시즌중, 2004~2005시즌중)
  • 심창민☆ (2011~現)
  • 안지만☆★ (2002~2016)
  • 양일환☆★ (1983~1989)
  • 양준혁☆ (1993~1998 / 2002~2010)
  • 오승환 (2005~2013 / 2020~)
  • 윤성환 (2004~現)
  • 이만수☆★ (1982~1997) [29]
  • 이승엽☆★ (1995~2003 / 2012~2017)
  • 이지영 (2008~2018)
  • 임창용 (1999~2007 / 2014~2015)
  • 장원삼 (2010~2018)
  • 장태수☆★ (1982~1992)
  • 장효조☆ (1983~1988)[30]
  • 정인욱☆ (2009~2020)
  • 정현욱 (1996~2012)
  • 전병호☆★ (1996~2008)
  • 조동찬★ (2002~2018)
  • 진갑용 (1999~2015)
  • 차우찬 (2006~2016)
  • 채태인 (2007~2016)
  • 최형우 (2002~2016)

2.5. 삼미 슈퍼스타즈 (1982~1984) - 청보 핀토스 (1985~1987) - 태평양 돌핀스 (1988~1995) - 현대 유니콘스 (1996~2007)


  • 권준헌 (1990~2003)
  • 김경기☆ (1990~2000) [31]
  • 김동기★ (1986~1996)
  • 김수경☆ (1998~2007)
  • 박재홍 (1996~2002) [32]
  • 박정현 (1988~1998)
  • 박진만☆ (1996~2004)
  • 송지만 (2004~2007)[33]
  • 양상문 (1986.10.7~1993)
  • 양승관☆ (1982~1989)
  • 위재영☆ (1995~2004)
  • 이숭용 (1994~2007)[34]
  • 정명원★ (1989~2000)
  • 정민태☆ (1992~2000,2003~2007)
  • 전준호(타자) (1997~2007)
  • 전준호(투수)☆ (1994~2007)
  • 조용준 (2002~2007)
  • 최창호 (1986~1998)
  • 클리프 브룸바 (2003~2004, 2007)

2.6. 롯데 자이언츠 (1982~現)



2.7. 빙그레 이글스 (1985~1993) - 한화 이글스 (1994~現)


  • 강경학 (2011~現)
  • 강석천☆★ (1989~2003)
  • 강정길★ (1985~1995)
  • 고동진☆★ (2004~2015)
  • 구대성☆★ (1993~2000 / 2006~2010)
  • 김태균☆ (2001~2009 / 2012~2020)
  • 김상국☆ (1986~1995)
  • 김태완 (2006~2016)
  • 김회성☆★ (2009~2020)
  • 김혁민★ (2007~2018)
  • 류현진 (2006~2012)
  • 박정진☆★ (1999~2018)
  • 백재호★ (1997~2007)
  • 송광민☆ (2006~2020)
  • 송지만 (1996~2003)
  • 송진우☆★ (1989~2009)
  • 송창식☆★ (2004~2008 / 2010~2020)
  • 신경현★ (1998~2013)
  • 안승민☆★ (2010~2018)
  • 안영명☆ (2003~2010 / 2011~2020)[35]
  • 양성우 (2012~2020)
  • 윤규진☆ (2003~2020)
  • 이강돈★ (1985~1997)
  • 이도형 (2002~2010)
  • 이범호 (2000~2009)
  • 이상군☆★ (1985~1996,1999~2001)
  • 이상목 (1993~2003)
  • 이양기★ (2003~2017)
  • 이영우★ (1996~2010)
  • 이용규(2014~2020)
  • 이정훈 (1987~1994)
  • 임수민★ (1996~2006)
  • 장종훈☆★ (1987~2005)
  • 정근우 (2014~2019)
  • 정민철☆★ (1992~1999 / 2002~2009)
  • 정현석☆ (2007~2014 / 2015~2017)[36]
  • 제이 데이비스 (1999~2002 / 2004~2006)
  • 최진행☆ (2004~2020)
  • 하주석 (2012~現)
  • 한상훈 (2003~2015)
  • 한용덕☆★ (1987~2004)[37]

2.8. 쌍방울 레이더스 (1990~1999)


  • 김기덕 (1991~1999)
  • 김기태 (1991~1998)
  • 김원형☆ (1991~1999)[38]
  • 김호 (1990~1999)
  • 박경완☆ (1991~1997)
  • 성영재 (1993~1999)
  • 심성보 (1995~1999)
  • 조규제☆ (1991~1998 시즌중)
  • 조원우 (1994~1999)
  • 최태원 (1993~1999)

2.9. SK 와이번스 (2000~現)


  • 고효준 (2003~2016)
  • 김강민 (2001~現)
  • 김광현☆ (2007~2019)[39]
  • 김성현 (2007~現)
  • 김원형★ (2000~2011)[40]
  • 김재현 (2005~2010)
  • 김재현 (2006~2020)
  • 문승원 (2012~現)
  • 박경완 (2003~2013)[41]
  • 나주환 (2007~2019)
  • 메릴 켈리 (2015~2018)
  • 박재상★ (2001~2017)
  • 박재홍 (2005~2012)
  • 박정권★ (2004~2019)
  • 박종훈 (2010~現)
  • 박희수 (2006~2020)
  • 송은범☆ (2003~2013)
  • 엄정욱★ (2000~2015)
  • 윤길현 (2002~2015)
  • 윤희상★ (2004~2020)
  • 이승호 (2000~2011/2016)
  • 이재원☆ (2006~現)
  • 이진영 (2000~2008)[42]
  • 정경배☆ (2002~2009)
  • 제이미 로맥 (2017~現)
  • 조동화★ (2000~2018)
  • 채병용★ (2001~2019)
  • 최정☆ (2005~現)[43]
  • 한동민 (2012~現)

2.10. 우리 히어로즈 (2008) - 히어로즈 (2009) - 넥센 히어로즈 (2010~2018) - 키움 히어로즈 (2019~現)


  • 강정호 (2008~2014)
  • 김민성☆ (2010~2018)
  • 김상수 (2010~2020)[44]
  • 김세현☆ (2008~2017)[45]
  • 김하성 (2014~2020)[46]
  • 박동원 (2009~現)
  • 박병호 (2011.7.31~2015, 2018~現)
  • 손승락 (2008~2015)
  • 송지만 (2008~2014)[47]
  • 서건창 (2012~現)
  • 신재영 (2013~2020)
  • 앤디 밴 헤켄 (2012~2015, 2016~2017)[48]
  • 오주원 (2008~現)[49]
  • 유한준 (2008~2015)
  • 이보근 (2005~2019)
  • 이숭용★ (2008~2011)[50]
  • 이정후 (2017~現)
  • 이택근 (2008~2009, 2012~2020)
  • 한현희 (2012~現)
  • 최원태☆ (2015~現)
  • 조상우 (2013~現)

2.11. NC 다이노스 (2012~現)


  • 김성욱 (2012~現)
  • 나성범 (2012~現)
  • 모창민 (2012~現)
  • 박민우 (2012~現)
  • 에릭 테임즈 (2014~2016)[51]
  • 에릭 해커 (2013~2017)[52]
  • 김진성 (2012~現)
  • 이재학 (2012~現)[53]
  • 임창민 (2013~現)

2.12. kt wiz (2015~現)


  • 멜 로하스 주니어 (2017~2020)[54]
  • 강백호 (2018~現)[55]
  • 심우준 (2014~現)
  • 고영표 (2014~現)
  • 주권(야구선수) (2015~現)
  • 김재윤 (2015~現)

[1] NC-경남, kt-경기도[2] 한화-충남(과거 충청남도 대전시), KIA-전남(과거 전라남도 광주시), 삼성-경북(과거 경상북도 대구시).[3] 팀 역사문제로 자칫 애매해질 수도 있었는데 KBO에서 보도자료를 통해 이숭용의 단일팀 2000경기 출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면서 공식적인 원 클럽 맨이 되었다.[4] 다만 이 기준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김재현과 이진영은 각각 LG, SK 두 팀 모두 프랜차이즈로 등록 가능.[5] 영구결번, 3시즌 이상에 타이틀, 한 팀에서 8시즌 등등. 일반적인 프랜차이즈 개념에 무의식적으로 저런게 포함되기도 하지만 시즌 숫자 등은 아닐 때도 많다.[6] '출생지'는 담양이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서울로 이사와 초등학교도 서울에서(서울도신초등학교) 다녔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 출신으로 보아 ☆표시.[7] 1990년 태평양에서 선수 생활을 잠깐 하기도 했고, 은퇴 이후 삼성 라이온스 배터리 코치를 잠깐 맡기도 했으나, OB의 창단 우승 멤버인데다가 두산 배터리코치 및 감독직도 수 년간 맡은 진짜배기 베어스 프랜차이즈 스타라 할 수 있다. 태평양에서 1년 뛴 것은 타의로 트레이드로 간 것이고 두산에서 9시즌 뛰었으니 프랜차이즈로 등재 가능.[8] 당시의 연고는 지금처럼 서울이 아니라 대전이었고, 김광림은 공주 부근 출신이므로 ☆표시.[9] '출생지'는 부산이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서울로 이사와 초등학교도 서울에서(중대초등학교) 다녔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 출신으로 보아 ☆표시.[10] 무명 선수에 가깝고 2시즌밖에 못뛰었지만, 일단 도핑도 영구결번으로 선정하는 예우를 했으므로 프랜차이즈로 간주한다. 한국 최초의 영구결번.[11] 16~18시즌 3년연속 30홈런, 16시즌 골든글러브, 18시즌 홈런왕,타점왕 [12] 우즈와 더불어 외국인 프랜차이즈 선수이다.[13] 우즈, 니퍼트와 더불어 외국인 프랜차이즈 선수이다.[14] '출생지'는 창원이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서울로 이사와 초등학교도 서울에서(서울학동초등학교) 다녔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 출신으로 보아 ☆표시.[15] 그가 지명될 당시 베어스의 연고지는 대전이었다.[16] 장원준의 FA 보상선수로 롯데로 이적해 1년 뛰었지만, 자의에 의한 이적이 아니었고, 1년만에 두산으로 복귀했기에 훌륭한 프랜차이즈 선수이다.[17] '출생지'는 목포이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서울로 이사와 초등학교도 서울에서(서울역삼초등학교) 다녔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 출신으로 보아 ☆표시.[18] '출생지'는 횡성이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서울로 이사와 초등학교도 서울에서(서울공릉초등학교) 다녔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베어스의 연고지인 서울 출신으로 보아 ☆표시.[19] 간혹 무개념 현대-히어로즈빠들이 김동수는 현대-히어로즈 프랜차이즈라고 우기는 경우가 있는데 타율을 제외한 홈런, 타점등의 기록 커리어하이를 LG에서 찍었고, 골글도 압도적으로 많이 받은데다가 LG에서의 커리어가 현대-히어로즈 시절 합친 것 보다도 길다.[20] LG는 물론 SK에서도 프랜차이즈로 본다.[21] 본인이 직접 2020시즌 후 은퇴하겠다고 밝혔다.[22] 작은 이병규[23] 위암으로 인해 일찍 세상을 떠났다. 당시 향년 22세[24] FA로 2000-2001시즌중반은 삼성에서 뛰었다. 그러나 먹튀가 되었고, 친정팀인 기아 타이거즈로 1억5천만원에 현금트레이드 되었다.[25] 2017년 KBO 리그 다승왕, 승률왕[26] 2000년 시즌 끝나고 FA로 LG이적, 그러나 18억 4년으로 비싼돈을 받던것과는 달리 타율도 다 까먹고, 부진했다. 결국 2004시즌 끝나고 이용규와 묶여서 친정팀으로 오나, 2005년 역시 못해서 방출당한다.[A] 성골중의 성골. 선수 - 코치 - 감독까지 모두 삼성에서만 뛰고 있다. 만약 삼성 라이온즈요미우리 자이언츠식으로 구단운영을 했다면 이 기준에 가장 부합하는 인물.[27] 하지만 고향은 저 멀리 서울이다.[28] 2017년 타점 1위[29] 일단 출생지는 강원도 철원이지만 매우 어릴때부터 대구에서 자랐기 때문에(출신 초등학교도 대구다.) 관점에 따라서는 출'신'지와 연고지가 같다고 볼 수도 있다. 본인도 해설할때 자기 고향을 대구라고 했다.[30] 이만수와 비슷한 케이스. 출생지는 부산이지만 9살때 대구로 이사와서 야구를 시작했으며, 삼성에서 버림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후에 스카우트직으로 삼성에 복귀했을때 엉엉 울었다는 일화에서 보듯이 부산보다는 대구에 더 큰 애정이 있음을 알 수 있다.[31] 현대의 프랜차이즈라기보다 태평양의 프랜차이즈 혹은 인천 야구의 프랜차이즈라고 보는게 가장 적절한 선수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예로 SK 와이번스에서는 몇 년 뛰지 않았으나 SK 팬덤에선 준 프랜차이즈라고 인식하고 있다.[32] 현대의 연고이전 사태 이후 SK 와이번스를 응원하게 된 인천지역 야구팬들은 SK로 이적 후 활동기간까지 합쳐 인천 연고팀의(현대-SK) 프랜차이즈로 본다. 인천 연고팀 커리어로는 1996~1999(현대), 2005~2012(SK)로 총 12년.[33] 밑의 이숭용처럼 2014년 선수단 및 프런트를 인수해 재창단한 넥센 히어로즈에서 은퇴했다.[34] 이후 2011년 선수단 및 프런트를 인수해 재창단한 넥센 히어로즈에서 은퇴했다. 쉽게 생각하면 쌍방울-SK로 이어진 김원형의 사례와 동일하게 보면 된다.[35] 2011년 2월 12일 FA 이범호의 보상선수로 8개월간 KIA 타이거즈에 있다가 다시 친정팀 한화로 건너갔다. [36] 배영수 선수의 보상선수로 지목되었다가 암 수술을 받았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현금 트레이드 형식으로 다시 한화로 갔다.[37] 출생지는 대구광역시이나 초등학교 시절부터 대전에서 자랐고 야구를 처음 시작한 곳도 대전이며 한화재단 북일고 출신이기도 하다.[38] 단 한 번도 이적하지 않고 쌍방울 레이더스 해체 후 쌍방울 선수들을 기반으로 새로 창단된 SK 와이번스에서 2011년까지 뛰었기 때문에 쌍방울 레이더스뿐만 아니라 SK 와이번스의 프랜차이즈 선수로 보기도 한다.[39] 사실 김광현의 출생지는 서울특별시다. 그러나 야구를 처음 시작한 초등학교 때부터 안산시에 쭉 거주했고 그의 본가 도 현재 안산시에 있기에 안산시 출신 유명 인물로 분류한다. 김광현이 지명될 당시에는 경기도 수원시 연고 kt wiz가 없었으므로 연고지 출신 프랜차이즈로 간주한다.[40] 팀이 중간에 재창단됐을 뿐, 프로생활 내내 이적없이 한 팀에서만 보냈기에 실질적인 원 클럽 플레이어로 여겨진다. 이는 같은 해에 은퇴한 이숭용과 동일하다.[41] 인천 출신이 아니며 쌍방울 7년+현대 5년이 SK에서 뛴 기간인 11년보다 더 길고 다른 팀(현대)에서 커리어하이와 우승을 모두 경험했으며, 입단 과정 또한 트레이드도 설립멤버도 아닌 그냥 FA라서 팬심 외에는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프랜차이즈의 조건을 단 하나도 제대로 만족시키지 못한 선수지만 일단 팀에서 영구결번까지 주는 예우를 했기 때문에 프랜차이즈로 간주한다. 프랜차이즈는 그 팀의 팬들이 만드는 것이므로 프랜차이즈냐 아니냐는 다른 팀 팬들이 상관할 바가 아니나, 역사가 긴 다른 팀 팬덤들에게는 SK는 영구결번, 프랜차이즈 기준이 너무 심각하게 낮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한다. 다만 SK와 인천야구가 쌍방울과 현대에 얽히고 섥힌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42] SK와 LG[43] 경기도 이천시 출신에 현재 kt wiz의 1차 지명 대상 학교인 수원 유신고를 졸업했으나 최정이 지명될 당시에는 SK의 신인 지명 가능 연고지가 인천, 경기, 강원이었으므로 연고지 출신 프랜차이즈로 간주한다.[44] 사인 앤 트레이드로 SK 이적[45] 전 버전에 2006년부터라 한 것은 전신인 현대 유니콘스를 포함한 것.[46]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이적[47] 이후 2018년까지 코치로 재직했다.[48] 2016년 일본프로야구에 진출했으나, 부진 후 시즌 말 넥센으로 복귀[49] 현대시절 신인왕. 상무를 거쳐 넥센에 합류 [50] KBO 최초의 단일팀 2000경기 출장선수. 이후 2001번째 경기를 끝으로 은퇴. 김원형의 사례와 동일하다.[51] 2015년 MVP, 2015-16 골든글러브, 3시즌 연속 140 안타 이상. 2016 시즌을 마치고 MLB로 떠났지만 프랜차이즈 최소 조건인 3시즌은 채웠으므로 프랜차이즈로 인정.[52] 2015년 골든글러브[53] 2013년 신인왕, 4년 연속 10승 달성[54] 2019년 골든글러브, 2020년 MVP[55] 2018년 신인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