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쿠 소녀

 

[image]
"나, 어른이 되고 싶지 않아…."
1. 개요
2. 왜 보쿠 소녀인가?
3. 픽션에서의 사례
3.1. 유형
3.1.1. 명랑계
3.1.2. 기타 유형
4. 현실에서의 이미지
5. 오레온나
6. 그 밖에
7. 해당되는 인물들
7.1. 보쿠 소녀
7.1.1. 명랑계
7.1.2. 특수계
7.1.3. 아동계
7.1.4. 백합계
7.1.5. 남장계
7.1.6. 중성계
7.1.7. 기타/미분류
7.1.8. 추측
7.2. 오레온나
7.2.1. 전(前) 오레온나
7.2.2. 엉터리
7.3. 1인칭으로 지분을 쓰는 쓰는 여성 캐릭터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 개요


'''ボクっ娘'''
1인칭으로 보쿠(僕)를 쓰는 여성을 이르는 말. 단어는 '소녀'지만 소녀뿐만 아니라 성인 여성도 포함한다. 보쿳코(ボクっ子 또는 ボクっ娘), 보쿠온나(ボク女)이라고 쓰기도 한다. 일본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보쿠를 쓰든 오레(俺)를 쓰든 모두 '보쿠 소녀'라고 칭한다. 오레온나 항목도 여기에 서술했다. '오레온나'란 단어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해서, 10년대 이후로는 오레온나보다는 보쿳코와 마찬가지로 오렛코라는 표현이 많이 쓰인다. 드물게 1인칭으로 지분(自分)을 쓰는 여성 캐릭터도 등장하는데, 이 경우도 여기에 서술한다.

2. 왜 보쿠 소녀인가?


1인칭 성(性) 구분이 따로 없는 언어권(한국어나 특히 영어 등)에서는 이 뉘앙스가 아주 약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보쿠라는 1인칭은 본래 남성들만 쓰던 단어였다. 그래서 여성이 사용하면 사회적으로 시선이 곱지 않다. 초등학생 때는 남자 형제의 영향으로 일부 쓰는 경우를 가끔 볼 수 있지만, 사춘기 시즌이 된 중학교에서 왕따 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반강제로 고쳐진다는 슬픈 이야기도 많다.[1]
현대에는 사용하는 여성이 늘었다고는 하나, 심리학자 혼다 유기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여자 중 보쿠나 오레의 사용자는 합쳐서 전체의 5%가량밖에 되지 않았다는 심리학자 조사결과도 있었다.

여성이 남성형 일인칭을 사용하는 원인은, 크게 '여성일인칭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정신적인 박탈감에 대한 시위'[2][3]와 '평범한 사람들과 다르고 싶은 욕구[4]', '주변(친구,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영향[5]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는 주변의 영향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단, 노래 가사에 쓰이는 보쿠는 예외다.

3. 픽션에서의 사례


보통 1970년대 만화 등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본다. 보통 남성형 1인칭이라는 특성 덕분에 보이시남장여자[6] 속성의 여자 캐릭터가 주로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첫 등장 당시부터 지금까지 의외로 큰 상관관계는 없다. 꼭 보이쉬나 남장여자 속성이 아니더라도 마이페이스 걸이나 건강계 미소녀, 또는 쾌활하고 발랄한 성격의 소녀가 1인칭으로 보쿠를 쓰는 경우도 어느 정도 있다. 반대로 남성적인 말투를 쓴다고 꼭 1인칭으로 보쿠를 쓰는 것도 아니다.[7] 작품 속 일부 보쿠 소녀는 작품 속 마이페이스 아가씨처럼 다른 사람들보다 지위가 훨씬 높아서, 1인칭으로 보쿠를 쓴다고 감히 태클을 걸지 못할 만한 사람인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위에 모든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소녀가 보쿠를 쓴다면 그 캐릭터는 '''작품 전반을 꿰뚫는 치명적인 스포일러와 관계'''(아래의 '특수계' 중 일부분)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런 캐릭터를 연기할 일이 많은 여성 성우들은 자연스레 연기할 때 이 1인칭을 많이 쓰게 된다.

3.1. 유형



3.1.1. 명랑계


가장 대중적인 유형이 '밝고 활발한 미소녀' 유형. 대체로 아래의 특성을 가진다.
  • 학생이며 반에서 특히 주변 동성 지인들에게 인기가 많다.
  • 육상이나 무술 등 스포츠를 좋아한다.
  • 머리 모양도 움직이기 쉬운 숏컷이나 포니테일.
  • 성적은 그다지 좋지 않다.
  • 친한 친구는 청순가련한 반 친구.
아래 목록에서는 편의상 명랑계 외에 단순 보이시 계열도 이쪽에 분류했다.

3.1.2. 기타 유형


  • 특수계: 특별한 존재임을 어필하기 위해 1인칭을 '보쿠'로 쓰는 경우.
  • 아동계: 어림을 강조하기 위해 1인칭을 '보쿠'로 쓰는 경우.
  • 백합계: 동성을 연애대상으로 삼을 때 1인칭을 '보쿠'로 쓰는 경우.
  • 남장계: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남장을 하고 있는 경우 여자라는 사실을 들키지 않아야 하고 대외적으로 남자로 보이기 위해 1인칭을 '보쿠' 또는 '오레'로 쓰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마요치키의 여주가 있다.
  • 중성계: 자신의 성별에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 더 세분하면 4차원계와 쿨계로 나뉘어진다. 아래 목록에서는 (4)와 (쿨)로 표기.
  • : 남장계와 반대로 여장하는 남자가 자신의 성별을 숨기기 위해 보쿠를 쓰는 경우. 근본적으로 본 문서와 완전히 정반대의 케이스에 속하지만, 반대로 보쿠 소녀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진짜 소년이었다는 반전을 부각시킬 수 있다.[8]

4. 현실에서의 이미지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에서 보쿠를 일인칭으로 사용하는 캐릭터들과는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여자들 사이에서도 보쿠 소녀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통하며, 일본으로 수입되는 외국 소설을 번역할 때, 등장인물(여성)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이 일인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특히 오타쿠 등에서 볼 수 있는 오레온나와 보쿠온나들은, 호칭만 남성형을 쓰는 것만이 아니라 망상병에다가 중2병, 주변을 신경 쓰지 않는 마이 페이스로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힌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 좀 다르긴 하지만 한 때 세간의 눈을 찌푸리게 했던 팬픽이반과 비슷한 케이스로 보면 될 듯. 동인계에서 여성의 오레, 보쿠와 같은 1인칭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이러한 부류의 사람들 때문에 굳어졌다. 사실상 일본 동인계에서 '보쿠온나'나 '오레온나'라는 말은 '보쿠라는 1인칭을 사용하는 여자'가 아니라 '보쿠온나라는 중2병에 걸린 여자'를 지칭하는 의미가 더 강하다. 피해 사이트도 있는 상태. 이건 말투보다 사람 자체의 문제 같지만.
피해 사례를 보면, 자기가 사중인격이라고 믿으며 자신의 캐릭터를 강요한다든가, 노예와 주인님 상태로 피해자에게도 이러한 관계에 참여하라고 강요하거나, 자기는 우월하므로 숙소를 제공하라는 등의 글들이 넘쳐난다. 단순히 호칭만의 문제라기보다는 개념 없이 자기 세계에 빠져있는 상태라고 봐야 한다. 나이 들고 철들면 이불 속에서 하이킥하는 문제로 끝날지도 모르지만 간혹 범죄로 치닫는 경우도 있다고 해서 주의대상이 되고 있다. 한때 일본을 떠들썩하게 했던 탈륨 소녀도 블로그에서 자신을 '보쿠'라 일컬었다.
비터 버진걸즈 사우르스야가미군의 가정사정으로 유명한 쿠스노키 케이도 젊은 시절 보쿠로 자칭했다고 그의 쌍둥이 언니오하시 카오루가 만화에서 증언한 바 있다. (젊은 시절의 작가 아바타 역시 단발머리의 지극히 보이시한 그림이였다.)
'현실'의 정의를 좀 넓게 잡자면 몇몇 여자 연예인들이 '''기믹'''으로 쓰는 경우가 있긴 하다. 1980년대 유명 아이돌 중 하나였던 와타나베 미사토(渡辺美里)가 대표적이며 2000년대 이후로는 아이돌 성우겸 탤런트인 하루나 후우카(春名風花)가 이 말투를 종종 사용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진지한 인터뷰를 비롯한 지극히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당연히 와타시를 쓴다.

5. 오레온나


오레(俺)를 1인칭으로 쓰는 여자를 말한다.
이쪽은 비상식적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픽션에서조차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현실에서 오레를 쓰는 여자는 사회적으로도 주변의 시선이 상당히 나쁘다. 그런데 의외로 현실에서는 보쿠온나보다 자주 보인다고 한다. 보쿠는 어른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어린 남자아이 이미지라 여자에게는 와타시라는 완벽한 대체어가 있지만, 오레는 허세를 부리는 이미지라 가끔 후배나 애기들 앞에서 쓸 수도 있다. 도호쿠벤은 여성도 1인칭대명사로 오레를 사용하기도 한다. 온라인 상에서는 넷나베들이 컨셉으로 1인칭을 오레라고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단어가 거칠고 불량한 느낌이 강하기 때문에 1인칭으로 오레를 쓰는 여자 캐릭터는 양아치스케반 등 막나가는 느낌인 캐릭터 위주다. 그냥 거칠고 활달한 정도가 아니라 정말로 인성이 불량한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단순히 남성스럽거나 활발한 건강계 보쿠 소녀 캐릭터와는 확연히 구별된다. 호탕한 여장부나 대인배 여걸 캐릭터는 1인칭으로 와타시나 아타시를 쓴다. 그리고 미묘한 차이지만 카리스마가 별로 없는 똘마니 양아치 스타일인 경우, 1인칭은 오레보다 아타이인 경우가 많다(...). 여하간에 제대로 배우고 자란 여성이라면 오레를 쓰지 않기 때문에 픽션에서도 오레온나는 상당히 받아들여지기 힘들다.
몸은 여자임에도 인격적으로 남자인 특이 케이스라면 제법 캐릭터성을 뒷받침해준다. 예를 들자면 ts물에서 남자가 ts당한 경우.
드물게 어린 캐릭터가 쓰기도 하는데, 이 경우 불량한 어감이 아니라 어리기 때문에 아직 성의식이 희박한 것+여자애들보다 남자애들과 자주 어울리는 활발한 느낌. 어릴 땐 성별 파악이 힘들어서, 성장해서 다시 만났을 때 '''너 여자였음???''' 식의 반응이 나올 수도 있다.
어디까지나 여자의 경우에 이런 거란 거고, 남자의 경우 보쿠나 오레[9]를 일반적으로 쓴다. 실생활에서 남자가 와타시(私)를 사용하는 경우는 정중하게 말할 때가 아니면 그다지 들을 기회가 많지 않다. 직장이나 공식적인 장소가 아닌 경우 일인칭을 평소대로 보쿠, 또는 오레[10]로 쓰고 이후의 말투를 경어로 쓰기도 한다. 물론 직장이라고 해도 일부 알바 같은 가벼운 자리라면 보쿠(오레)+경어가 자주 쓰인다. '''하지만 남자라고 하더라도 모르는 사람 앞에서는 오레를 절대 쓰지 않는다.''' 오레 자체가 약간 거친 표현이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 앞에서는 매우 무례한 표현이 될 수 있기 때문.

6. 그 밖에


보쿠라는 1인칭은 현대 일본 가요 가사에서 성별을 가리지 않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1인칭이기도 하다. VOCALOID곡에서도 마찬가지. 오레, 와타시와 비교해보면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는 아무래도 박자 때문인 듯. 한국어의 경우 자신을 가리키는 말('나')이 1음절로 끝나는 반면, 'わたし'는 3음절이나 된다. 즉, 랩이 아닌 이상 わたし라고 해버리면 그 다음이 너무 빽빽하다. 따라서 1음절이라도 줄이려는 'ぼく' 를 택한 것이 아닐까 추측해볼 수 있다.[11] 이러한 경향 때문인지, J-pop 가운데에는 분명 여자 가수가 부르는데도 가사를 뜯어보면 남자의 입장인 경우도 드물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비슷한 경우로 한국어의 '너' 나 '그대' 에 해당하는 말도 'あなた'보다는 'きみ'를 쓰는 경우가 자주 있다.[12] 일종의 시적 허용이라고 보면 된다.
상당수의 작품에서 텍스트로 '보쿠'라는 말을 쓰면, 일반 남성의 경우 정상적인 한자인 '僕'자가 나오지만, 여성은 'ボク'라는 가타카나로 나오기 때문에 금방 구별이 가능하다. 보통의 일본인들 사이에서 보쿠 소녀를 보는 시각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다. 물론 예외도 존재한다.

7. 해당되는 인물들



7.1. 보쿠 소녀



7.1.1. 명랑계



7.1.2. 특수계



7.1.3. 아동계



7.1.4. 백합계


  • 마녀의 여행 - 사야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1990년대 애니메이션) - 텐오 하루카/세일러 우라누스[29]
  • 사피즘의 현창 - 앙리 앙리에트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이무
  • 아키칸 - 코치카제 유리카
  • 악마의 리들 - 키리가야 히츠기[30]
  • 어둠과 모자와 책의 여행자 - 아즈마 하즈키
  • 가로 외전: 도환의 피리 - 마기

7.1.5. 남장계


  • 노노노노 - 노노미야 노노[31]
  • 도쿄 레이븐스 - 츠치미카도 나츠메[32]
  • 란스 시리즈 - 사나키아 드렐슈카프
  • 마요치키! - 코노에 스바루
  • 매리지 로얄 - 산죠 아사히[33]
  • 뮬란 - 파 뮬란[34]
  • 소녀혁명 우테나 - 텐죠 우테나
  • 소닉윙즈 시리즈 - 안젤라
  • 신만이 아는 세계 - 고이도 유이[35]
  • 신옥탑 메리스켈터 2 - 츠우[36]
  •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 오야마 미야비[37]
  • 알 토네리코 세계의 끝에서 계속 노래하는 소녀, 알 토네리코 3 - 크루셰 엘렌디아
  • 원피스 - 야마토[38]
  • 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 - 미즈타니 이쿠스
  •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샤를로트 뒤누아[39]
  • 은혼 - 야규 큐베
  • 페르소나4 - 시로가네 나오토
  • 포켓몬스터 - 리라
  • 포켓몬스터 SPECIAL - 옐로 상록 글로브
  • 프리파라 - 시쿄인 히비키
  • 하트 캐치 프리큐어! - 묘도인 이츠키
  • 후르츠 바스켓 - 소마 아키토(송인영)[40]

7.1.6. 중성계



7.1.7. 기타/미분류



7.1.8. 추측


  •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 마몬
  • 별의 커비 시리즈 - 그릴[63]
  • 봉래인형(C69판) - 가장 아름다운 나 = 아름다운 삐에로[64]
  • 소울 이터 - 크로나[65]
  • 포케파크2 ~Beyond the world~ - 주리비얀
  • 헌터×헌터 - 네페르피트[66]
  • Sdorica -sunset- - 이즈미
  • 포니코(만화판에서 오레를 딱 한번 지칭한적이 있다) - 유메닛키

7.2. 오레온나



7.2.1. 전(前) 오레온나


  • 무츠키 토오루 - 도쿄 구울[95]
  • 미카즈키 요조라 - 나는 친구가 적다
  • 아리스 - 세븐나이츠[96]
  • 아카이 호무라 - 도키메키 메모리얼 2
  • 이치노세 나기 - 냥코이[97]

7.2.2. 엉터리


  • 오레마리사[98] - 동방프로젝트
  • 히카루[99] - 베이비 프린세스

7.3. 1인칭으로 지분을 쓰는 쓰는 여성 캐릭터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1] 이 때문에 서브컬처에서는 3인칭화와 함께 캐릭터가 미성숙함을 나타내는 장치로도 쓰인다. (예를 들어 카논의 아유나 프레젠트 프리티의 아야나 등.) [2] 일본은 가부장제가 발달한 국가이다. 일인칭이 여성일인칭과 남성일인칭으로 나뉘는 것 또한 이에 기인했다. 남성일인칭은 대체로 당당하고 당찬 뉘앙스로 고정된 반면, 여성일인칭은 반대로 기가 약하고 유약한 뉘앙스를 강요받는 것.[3] 일본 남자도 와타시를 써도 된다. 단지 쓰는 비중이 적을 뿐. 대신 여자가 보쿠를 쓰는 건 남자가 와타시를 쓰는 거보다 이상하게 느껴질 것이다.[4] 심리학자인 토미타 타카시에 의하면 "어릴 적에는 '아직 성별이 바뀌지는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여자아이들이 많습니다. 어른이 되어도 '보쿠'라는 1인칭을 쓰는 여자의 대다수는 '기존의 여성들처럼 성장하고 싶지 않아'라는 일종의 성장거부라고 볼 수도 있지요." 즉 오레온나는 '남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해서, 보쿠 소녀는 '여자가 되고 싶지 않아서'라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5] 특히 이런 사례에선 여성이 남성에 대해 가지는 성적 판타지-좀 더 나아가자면 페티시적 심리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다.[6] 특히 남장여자는 대외적으로는 남자일 필요성이 있고 모종의 사정 때문에 여자임을 들키면 안 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산죠 아사히, 옐로 상록글로브 등).[7] 오히려 진짜 여걸형 캐릭터들은 대개 일인칭으로 정확하게 私를 쓰곤 한다. 덧붙여서 오레를 써도 이상 없는 남성 캐릭터들이 와타시를 쓰는 경우도 많다.[8] 물론 여장남이 1인칭을 와타시로 사용해 좀 더 여성스러움을 부각하는 경우도 존재.[9] 친하거나 가까운 사이일 경우 혹은 손윗사람이 손아랫사람에게 사용할 경우 한정[10] 친한 사람과 만났을때나 동년배 혹은 손아랫사람인 동료를 대상으로 사용할 때 한정[11] 위의 '오레온나' 항목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おれ라는 표현은 여성이 쓸 말이 아니고.[12] 물론 두 가지가 공존할 수도 있다.[13] 보쿠+슴다체[14] 일본판[15] 아타시를 쓸 때도 있다.[16] 오리지널 설정이 많은 소설판이라 논란이 많다. 원작에서는 보쿠 소녀가 아니다. 또한 이 소설판에서는 약간의 백합 기질까지 갖추고 있다.[17] 98 버전 같은 초창기에는 私를 사용했다.[18] 이중인격이 발현될 경우 오레온나로 변한다.[19] 아르르 나쟈의 오마주라 공통점이 많다.[20] 2기에서는 1인칭이 여자아이가 자주 쓰는 1인칭 아타시(アタシ)로 바뀐다.[21] 이웃사촌부 내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1인칭 대명사로 쓰고 있지만, 본래는 보쿠 소녀. 작중에 유일하게 제목 일본어에 나온 보쿠를 1인칭으로 쓰고 있는 캐릭터다. 때문에 리카를 이 작품의 실질적인 주인공으로 보는 사람도 더러 있는 편.[22] 사실 반 정도는 아동계로 보아도 무방하다(…).[23] 병원 침실에 누워있는 본체 말고[24] 여자 앞에서는 여자 1인칭인 와타시를 쓰지만 남자 앞에서는 보쿠를 쓴다.[25] 굳이 따지자면 이쪽은 보쿠 '아줌마'[26] 정확히는 '보쿠사마쨩(僕様ちゃん)'이라는 괴이하기 짝이 없는 1인칭. 단, '사선의 청색'으로서 활동할 때에는 와타시를 사용하는 듯 하다.[27] 성격때문에 명랑계에 넣어도 무방하다[28] 이쪽은 명랑계와의 혼합형[29] 하루카는 남장계에도 속한다. 평상시 복장은 전부 남성복이며 성격도 남성스러운 편.[30] 작품 자체가 백합 성향이 강할 뿐더러 1화에서부터 대놓고 백합 관계 형성하셨다(...). 단 치타루와 만나기 전부터 보쿠 소녀였을 가능성도 높다.[31] 대외적으로는 이 1인칭을 쓰나 독백 등의 내면에서는 모두 '私'를 사용.[32] 학교에서 한정.[33] 남자로서 자랐기 때문인지 '보쿠'의 표기가 한자인 '僕'이다.[34] 일본어 더빙에서[35] 공략 후부터[36] 이전에는 다른 여자아이처럼 와타시였으나, 옥중일기환일담 1화에서 인어공주에게 프로포즈 할 때 인어공주의 "왕자님이 되어 줘"라는 대답에 그 때부터 보쿠를 쓰기 시작하였다. 기본 직업은 물론이고 나머지 직업군 전부 남자복 느낌이 확연하게 들어난다. 어찌보면 위에 서술한 텐오 하루카처럼 백합계라고도 생각 할 수도 있다.[37] 먼저 나온 하야카와 아오이도 보쿠 소녀지만, 이쪽은 남장을 하고 다닌다는 것이 차이다.[38] 코즈키 오뎅의 열렬한 추종자로 스스로를 오뎅이라 칭하며 남장을 하고 남자행세를 하고 있다.[39] 특이하게 여자임이 밝혀진 이후로도 계속 보쿠를 사용한다.[40] 이 쪽은 모친의 명령때문[41] 진짜 중성이었는데 작품 후반기에는 거의 여자나 다름없으므로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42] 외견은 소녀나, 아직 성별이 없다.[43] 애초에 이브는 로봇이니만큼 신체적 성별은 없지만 편의상 분류.[44] 양성체다. 여성스러워 보이지만 어떻게보면 남자에 더가깝다. 진화형태가 될시 성우가 남자로 변하며 결정적으로 전생에 남자였다.[45] 영업모드 한정. 실제로는 매우 소심하고 유약한 성격이며, 1인칭도 보쿠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46] 외양은 여성스럽지만 성별이 없다.[47] 유부녀가 보쿠를 쓰는 괴이한 사례(‥).[48] 어렸을 때 한정[49] 파티피콕 등 일부 미니언들을 제외하자면 대부분의 미니언들이 성별 상관없이 전부 보쿠 쓰는 것으로 보인다. 특수계/아동계/중성계 중 하나에 포함될 것으로 추정. 애초에 미니언들의 공식 성별을 따로 정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고...[50] 글로벌판 한정으로 성별 자체가 남자로 바뀌었기에...[51] 일본 서버에서 보쿠 소녀로 확정. 하지만 명확한 이유는 나와 있지 않다.[52] 아르르 나쟈부터가 일단 보쿠소녀. 도플갱어라도 보쿠소녀의 도플갱어는 보쿠소녀인 모양이다.(…)[53] 이 모습은 사이키 쿠스오가 성전환시의 모습.사이키는 원래 성별은 남자이지만 여자로 변신할 수 있다.여자일때도 늘 보쿠를 사용한다.[54] 일본서버 버전.[55] 애매한 게, 남성형으로도 변장할 수 있다(…). 그곳만 납작하게 해준다면야(…).[56] '우리들'이라고 말할 때는 '와타시타치'라고 쓰긴 한다. 1화에서도 와타시라고 쓴 적도 있다.[57] 일본 서버 버전.[58] 담당성우인 아오키 시키도 보쿠를 사용한다. 다만 아오키는 트랜스남성.[59] 스즈의 경우에는 중2병 설정이라 특수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중2병이 아닌 과거 1학년 때 에도 보쿠를 사용했었다.[60] 명랑계와 중성계의 중간 정도인 듯 하다. 인게임 대사로 보아 종종 남자아이로 오해받는듯 하다(...).[61] 니코니코 대백과에서의 보쿠 소녀 일람에 적혀 있긴 한데, 이쪽은 원래 남자여서 좀 애매하다.[62] 정확히는 자신을 구하려다가 죽은 '원조' 키노의 이름을 쓴다.[63] 정확하게는 1인칭이 보쿠칭(ボクちん)이다. 외향만 보면 마녀인지라 팬들사이에서 유난히 성별 의견이 갈린다.[64] '가장 아름다운 나'는 봉래인형 3번 트랙 스토리에 등장하는 인물로 '정직촌'의 다른 7명과 달리 '보쿠'를 가타카나로 썼다. 따라서 13번 트랙에서 언급된 '유일한 여자애'가 그녀일 가능성이 높고, 다른 7명을 죽였다는 '아름다운 삐에로'도 그녀일 가능성이 높다. 자세한 건 해당항목 참조[65] 크로나의 성별은 불명, 여자인지 남자인지 팬들사이에서 설전이 오가고 있다.[66] 역시나 성별 불명. 일단은 인간이 아닌 '개미'라서 중성일 확률도 있고….[67] 마초 여전사다(...).[68] 혼잣말 한정. 하지만 교실에 아무도 없는 줄 알고 '오레'를 쓰다가 들킨다. 사실 '나는 린'의 원제부터가 '俺、りん'이다.[69] 일본판 한정.[70] 아줌마다(...).[71] 네이버 웹툰앱 일본어판 한정.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와타시 사용.[72] 결투장 승리 포즈 대사 중 쿠노이치 포즈 사용 시 '오레'가 나온다. 다만 일본어판에서는 '와타시'로 나온다.[73] 투하트2 AnotherDays 이후 작품에서[74] 전투 중 한정.[75] 밤일 경우에만 한정. 이 때는 '신야'의 인격으로 변한다.[76] 난폭해질 때 한정.[77] 하네카와 츠바사는 평범하게 와타시를 사용하지만 이 쪽은 오레를 쓴다. 이유는 약간의 스포일러성이 있으므로 항목 참조.[78] 척봐도 남자 같이 생겼다.[79] 일본판 한정으로 1인칭이 오레사마다.[80] 텐카와 아키토에게 플래그(?)가 꽂혀 있는 동안에는 アタシ를 사용한다.[81] 일본어판 한정.[82] 주인공이 남자말투 써보는거 어떠냐고 했는데 진짜로 오레를 사용한다.[83] 요력이 충만한 밤에는 여자이지만 낮에는 남자가 되는 요괴다. 본인은 자신을 남자라고 생각하지만.[84] 얘는 원래 남자여서 약간은 다른 케이스이다[85] GBA판의 슈퍼 리얼 마작 동창회 한정.[86] 정확히는 이몸.[87] 오레온나+중2병[88] 에로망가 선생 설정일때 등 특수한 상황 한정, 이외엔 와타시(私)를 사용한다[정확히는] 오레사마.[89] 일본 게임판, 애니판 한정. 한국판에서는 ~하게체의 점잖은 말투를 쓴다.[90] 원전에서 남자로 성전환했다는 전승이 반영된 것.[91] 외양이 유우키 쥬다이와도 닮아서 쥬다이의 여체화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일인칭이 의도적인지는 한자 표기가 나와 봐야 할 듯.[92] 얜 아예 게임상에서 가타카나로 オレ라고 강조해서 나온다. 많이 해 본 사람은))| 벌써 얘 정체가 뭔지 감을 잡는다.[93] 어릴적 한정.주인공의 갈굼으로 보쿠로 바꿨다.[94] 우라누스일 때에는 평범하게 '와타시'를 쓴다.[95] 114화 이후 와타시 사용[96] 신화 각성 이후로는 아타시로 바뀌었다.[97] 첫 등장시 딱 한 번. 그 후론 와타시 사용[98] 실제 마리사는 오레를 쓰지 않는다. 키리사메 마리사 참조[99] 캐릭터 설명에는 オレ系라고 적혀 있지만 정작 1인칭은 와타시(私).[100] 지분(自分) 외에도 오키나와어 인삿말인 하이사이(ハイサイ)를 쓰는데, 하이사이는 남성이 쓰는 말이며 여성은 하이타이(ハイタイ)를 써야 한다.[101] 겉보기에는 갑옷덕분에 남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