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대상

 

1. 개요
2. MVP
2.1. K리그1
2.2. K리그2
3. 최다득점상
3.1. K리그1
3.2. K리그2
4. 최다도움상
4.1. K리그1
4.2. K리그2
5. 영플레이어상
5.1. K리그1
5.2. K리그2
6. 감독상
6.1. K리그1
6.2. K리그2
7. 베스트 일레븐
7.1. K리그1
7.2. K리그2
8. 구단 수상
9. 특별상
9.1. 전경기 전시간 출장상
10. 팬타스틱 플레이어상
11. 아디다스 탱고 어워드
12. 베스트 포토상
13. 사랑 나눔상
14. EA스포츠 모스트 셀렉티드 플레이어상

[clearfix]

1. 개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K리그 공식 시상이다. 선수 개인 시상 기록은 리그와 리그컵 합산 기록이며, 리그컵이 폐지된 이후부터는 리그 기록만 집계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오프 기록은 집계되지 않는다.

2. MVP



2.1. K리그1


'''시즌'''
'''이름'''
'''포지션'''
'''클럽'''
'''기록'''
1983
박성화
MF
할렐루야 독수리
14경기 3득점 1도움
1984
박창선
MF
대우 로얄즈
28경기 6득점 7도움
1985
한문배
DF
럭키금성 황소
26경기 2도움
1986
이흥실
MF
포항제철 아톰즈
28경기 6득점 3도움
1987
정해원
FW
대우 로얄즈
28경기 6득점 4도움
1988
박경훈
DF
포항제철 아톰즈
21경기 2도움
1989
노수진
FW
유공 코끼리
30경기 16득점 7도움
1990
최진한
MF
럭키금성 황소
27경기 6득점 5도움
1991
정용환
DF
대우 로얄즈
33경기 2득점
1992
홍명보
DF
포항제철 아톰즈
37경기 1득점
1993
이상윤
FW
일화 천마
32경기 7득점 6도움
1994
고정운
MF
일화 천마
21경기 4득점 10도움
1995
신태용
MF
일화 천마
33경기 6득점 4도움
1996
김현석
MF
울산 현대 호랑이
34경기 9득점 9도움
1997
김주성
DF
부산 대우 로얄즈
34경기 1도움
1998
고종수
MF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경기 3득점 4도움
1999
안정환
FW
부산 대우 로얄즈
34경기 21득점 7도움
2000
최용수
FW
안양 LG 치타스
34경기 14득점 10도움
2001
신태용
MF
성남 일화 천마
36경기 5득점 10도움
2002
김대의
MF
성남 일화 천마
38경기 17득점 12도움
2003
김도훈
FW
성남 일화 천마
40경기 28득점 13도움
2004
나드손
FW
수원 삼성 블루윙즈
38경기 14득점 4도움
2005
이천수
FW
울산 현대 호랑이
14경기 7득점 5도움
2006
김두현
MF
성남 일화 천마
33경기 8득점 4도움
2007
따바레즈
FW
포항 스틸러스
35경기 3득점 13도움
2008
이운재
GK
수원 삼성 블루윙즈
39경기 29실점
2009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32경기 22득점
2010
김은중
FW
제주 유나이티드
34경기 17득점 11도움
2011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29경기 16득점 15도움
2012
데얀
FW
FC 서울
42경기 31득점 4도움
2013
김신욱
FW
울산 현대
36경기 19득점 6도움
2014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31경기 13득점 6도움
2015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33경기 13득점 5도움
2016
정조국
FW
광주 FC
31경기 20득점 1도움
2017
이재성
MF
전북 현대 모터스
28경기 8득점 10도움
2018
말컹
FW
경남 FC
31경기 26득점 5도움
2019
김보경
MF
울산 현대
35경기 13득점 9도움
2020
손준호
MF
전북 현대 모터스
25경기 2득점 5도움

2.2. K리그2


'''시즌'''
'''이름'''
'''포지션'''
'''클럽'''
'''기록'''
2013
이근호
FW
상주 상무
25경기 15득점 6도움
2014
아드리아노
FW
대전 시티즌
32경기 27득점 4도움
2015
조나탄
FW
대구 FC
39경기 26득점 6도움
2016
김동찬
FW
대전 시티즌
39경기 20득점 8도움
2017
말컹
FW
경남 FC
32경기 22득점 3도움
2018
나상호
FW
광주 FC
31경기 16득점 1도움
2019
이동준
FW
부산 아이파크
37경기 13득점 7도움
2020
안병준
FW
수원 FC
26경기 21득점 4도움

3. 최다득점상



3.1. K리그1


'''시즌'''
'''이름'''
'''클럽'''
'''골'''
'''경기'''
1983
박윤기
유공 코끼리
9
14
1984
백종철
현대 호랑이
16
28
1985
피아퐁
럭키금성 황소
12
21
1986
정해원
대우 로얄즈
10
19
1987
최상국
포항제철 아톰즈
15
30
1988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2
23
1989
조긍연
포항제철 아톰즈
20
39
1990
윤상철
럭키금성 황소
12
30
1991
이기근
포항제철 아톰즈
16
37
1992
임근재
LG 치타스
10
30
1993
차상해
포항제철 아톰즈
10
23
1994
윤상철
LG 치타스
21
28
1995
노상래
전남 드래곤즈
15
26
1996
신태용
천안 일화 천마
18
24
1997
김현석
울산 현대 호랑이
9
17
1998
유상철
울산 현대 호랑이
14
20
1999
샤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8
26
2000
김도훈
전북 현대 모터스
12
20
2001
산드로
수원 삼성 블루윙즈
13
22
2002
에드밀손
전북 현대 모터스
14
27
2003
김도훈
성남 일화 천마
28
40
2004
모따
전남 드래곤즈
14
22
2005
마차도
울산 현대 호랑이
13
17
2006
우성용
성남 일화 천마
16
28
2007
까보레
경남 FC
17
25
2008
두두
성남 일화 천마
15
26
2009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0
27
2010
유병수
인천 유나이티드
22
28
2011
데얀
FC 서울
23
29
2012
데얀
FC 서울
31
42
2013
데얀
FC 서울
19
29
2014
산토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14
35
2015
김신욱
울산 현대
18
38
2016
정조국
광주 FC
20
31
2017
조나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2
29
2018
말컹
경남 FC
26
31
2019
타가트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
33
2020
주니오
울산 현대
26
27

3.2. K리그2


'''시즌'''
'''이름'''
'''클럽'''
'''골'''
'''경기'''
2013
이근호
상주 상무
15
25
2014
아드리아노
대전 시티즌
27
32
2015
조나탄
대구 FC
26
39
2016
김동찬
대전 시티즌
20
39
2017
말컹
경남 FC
22
32
2018
나상호
광주 FC
16
31
2019
펠리페
광주 FC
19
27
2020
안병준
수원 FC
21
26

4. 최다도움상



4.1. K리그1


'''시즌'''
'''이름'''
'''클럽'''
'''도움'''
'''경기'''
1983
박창선
할렐루야 독수리
6
15
1984
렌스베르겐
현대 호랑이
9
27
1985
피아퐁
럭키금성 황소
6
21
1986
강득수
럭키금성 황소
8
15
1987
최상국
포항제철 아톰즈
8
30
1988
김종부
포항제철 아톰즈
5
15
1989
이흥실
포항제철 아톰즈
11
39
1990
최대식
럭키금성 황소
7
29
1991
김준현
유공 코끼리
8
29
1992
신동철
유공 코끼리
8
25
1993
윤상철
LG 치타스
8
27
1994
고정운
일화 천마
10
21
1995
아미르 텔리고비치
대우 로얄즈
7
26
1996
라데
포항 아톰즈
14
32
1997
데니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5
10
1998
정정수
울산 현대 호랑이
9
19
1999
변재섭
전북 현대 다이노스
8
25
2000
안드레
안양 LG 치타스
10
29
2001
우르모브
부산 아이콘스
10
23
2002
이천수
울산 현대 호랑이
9
18
2003
에드밀손
전북 현대 모터스
14
39
2004
홍순학
대구 FC
6
18
2005
히칼도
FC 서울
9
16
2006
슈바
대전 시티즌
8
24
2007
따바레즈
포항 스틸러스
11
23
2008
브라질리아
울산 현대
6
13
2009
루이스
전북 현대 모터스
12
28
2010
구자철
제주 유나이티드
11
26
2011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15
27
2012
몰리나
FC 서울
19
41
2013
몰리나
FC 서울
13
35
2014
이승기
전북 현대 모터스
10
26
2015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17
35
2016
염기훈
수원 삼성 블루윙즈
15
34
2017
손준호
포항 스틸러스
13
35
2018
세징야
대구 FC
11
25
2019
문선민
전북 현대 모터스
10
32
2020
강상우
포항 스틸러스
12
26

4.2. K리그2


'''시즌'''
'''이름'''
'''클럽'''
'''도움'''
'''경기'''
2013
염기훈
경찰 축구단
11
21
2014
최진호
강원 FC
9
33
2015
김재성
서울 이랜드
12
39
2016
이호석
경남 FC
10
27
2017
장혁진
안산 그리너스
13
33
2018
호물로
부산 아이파크
9
36
2019
정재희
전남 드래곤즈
10
29
2020
김영욱
제주 유나이티드
7
23

5. 영플레이어상


기존 명칭은 신인선수상이었지만, 2013년부터 영플레이어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영플레이어상은 다음의 조건들을 충족한 선수에 한해 시상이 이루어진다. 그 조건들은 'K리그 출장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 '만 23세 이하', '대한민국 국적 선수' 등이다. 2020년부터는 K리그2에도 영플레이어상이 신설되었다.

5.1. K리그1


'''시즌'''
'''이름'''
'''클럽'''
'''기록'''
1985
이흥실
포항제철 아톰즈
21경기 10득점 2도움
1986
함현기
현대 호랑이
35경기 17득점 2도움
1987
김주성
대우 로얄즈
28경기 10득점 4도움
1988
황보관
유공 코끼리
23경기 7득점 5도움
1989
고정운
일화 천마
31경기 4득점 8도움
1990
송주석
현대 호랑이
29경기 3득점 7도움
1991
조우석
일화 천마
37경기 3득점 4도움
1992
신태용
일화 천마
23경기 9득점 5도움
1993
정광석
대우 로얄즈
26경기 1도움
1994
최용수
LG 치타스
35경기 10득점 7도움
1995
노상래
전남 드래곤즈
33경기 16득점 6도움
1996
박건하
수원 삼성 블루윙즈
34경기 14득점 6도움
1997
신진원
대전 시티즌
32경기 6득점 1도움
1998
이동국
포항 스틸러스
24경기 11득점 2도움
1999
이성재
부천 SK
32경기 9득점 2도움
2000
양현정
전북 현대 모터스
32경기 6득점 7도움
2001
송종국
부산 아이콘스
35경기 2득점 1도움
2002
이천수
울산 현대 호랑이
18경기 7득점 9도움
2003
정조국
안양 LG 치타스
32경기 12득점 2도움
2004
문민귀
포항 스틸러스
35경기 1득점 2도움
2005
박주영
FC 서울
30경기 18득점 4도움
2006
염기훈
전북 현대 모터스
31경기 7득점 7도움
2007
하태균
수원 삼성 블루윙즈
18경기 5득점 1도움
2008
이승렬
FC 서울
31경기 5득점 1도움
2009
김영후
강원 FC
27경기 13득점 8도움
2010
윤빛가람
경남 FC
29경기 9득점 7도움
2011
이승기
광주 FC
27경기 8득점 2도움
2012
이명주
포항 스틸러스
34경기 5득점 6도움
2013
고무열
포항 스틸러스
34경기 8득점 5도움
2014
김승대
포항 스틸러스
30경기 10득점 8도움
2015
이재성
전북 현대 모터스
34경기 7득점 5도움
2016
안현범
제주 유나이티드
28경기 8득점 4도움
2017
김민재
전북 현대 모터스
29경기 2득점
2018
한승규
울산 현대
28경기 5득점 7도움
2019
김지현
강원 FC
27경기 10득점 1도움
2020
송민규
포항 스틸러스
27경기 10득점 6도움

5.2. K리그2


'''시즌'''
'''이름'''
'''클럽'''
'''기록'''
2020
이동률
제주 유나이티드
14경기 5득점 3도움

6. 감독상



6.1. K리그1


'''시즌'''
'''이름'''
'''클럽'''
'''성적'''
1983
함흥철
할렐루야 독수리
우승, 6승 8무 2패
1984
장운수
대우 로얄즈
우승, 27승 6무 5패
1985
박세학
럭키금성 황소
우승, 10승 7무 4패
1986
최은택
포항제철 아톰즈
우승, 11승 9무 16패
1987
이차만
대우 로얄즈
우승, 16승 14무 2패
1988
이회택
포항제철 아톰즈
우승, 9승 9무 6패
1989
김정남
유공 코끼리
우승, 17승 15무 8패
1990
고재욱
럭키금성 황소
우승, 14승 11무 5패
1991
비츠케이
대우 로얄즈
우승, 17승 18무 5패
1992
이회택
포항제철 아톰즈
우승, 16승 9무 13패
1993
박종환
일화 천마
우승, 14승 15패
1994
박종환
일화 천마
우승, 15승 9무 6패
1995
박종환
일화 천마
우승, 13승 9무 6패
1996
고재욱
울산 현대 호랑이
우승, 16승 3무 13패
1997
이차만
부산 대우 로얄즈
우승, 11승 4무 3패
1998
김호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우승, 10승 1무 6패
1999
김호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우승, 19승 6패
2000
조광래
안양 LG 치타스
우승, 18승 8패
2001
차경복
성남 일화 천마
우승, 11승 12무 4패
2002
차경복
성남 일화 천마
우승, 14승 7무 6패
2003
차경복
성남 일화 천마
우승, 27승 10무 7패
2004
차범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우승, 13승 6무 7패
2005
장외룡
인천 유나이티드
준우승, 15승 6무 6패[1]
2006
김학범
성남 일화 천마
우승, 17승 7무 5패
2007
파리아스
포항 스틸러스
우승, 15승 6무 9패
2008
차범근
수원 삼성 블루윙즈
우승, 18승 4무 6패
2009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18승 7무 5패
2010
박경훈
제주 유나이티드
준우승, 18승 9무 4패
2011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0승 9무 3패
2012
최용수
FC 서울
우승, 29승 9무 6패
2013
황선홍
포항 스틸러스
우승, 21승 11무 6패
2014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4승 9무 5패
2015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2승 7무 9패
2016
황선홍
FC 서울
우승, 21승 7무 10패
2017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2승 9무 7패
2018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6승 8무 4패
2019
모라이스
전북 현대 모터스
우승, 22승 13무 3패
2020
김기동
포항 스틸러스
3위, 15승 5무 7패[2]

6.2. K리그2


'''시즌'''
'''이름'''
'''클럽'''
'''성적'''
2013
박항서
상주 상무
우승, 승격, 23승 8무 4패
2014
조진호
대전 시티즌
우승, 승격, 20승 10무 6패
2015
조덕제
수원 FC
3위, 승격, 19승 12무 11패
2016
손현준
대구 FC
준우승, 승격, 19승 13무 8패
2017
김종부
경남 FC
우승, 승격, 24승 7무 5패
2018
박동혁
아산 무궁화
우승, 21승 9무 6패
2019
박진섭
광주 FC
우승, 21승 10무 5패
2020
남기일
제주 유나이티드
우승, 18승 6무 3패

7. 베스트 일레븐



7.1. K리그1


'''시즌'''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1983
조병득(할렐루야)
박성화(할렐루야)
김철수(포항제철)
장외룡(대우)
이강조(유공)
조광래(대우)
박창선(할렐루야)
박윤기(유공)
이길용(포항제철)
이춘석(대우)
김용세(유공)
1984
오연교(유공)
정용환(대우)
박경훈(포항제철)
박성화(할렐루야)
정종수(유공)
박창선(할렐루야)
허정무(현대)
조영증(럭키금성)
최순호(포항제철)
이태호(대우)
백종철(현대)
1985
김현태(럭키금성)
장외룡(대우)
한문배(럭키금성)
최강희(현대)
김철수(포항제철)
박상인(할렐루야)
이흥실(포항제철)
박항서(럭키금성)
김용세(유공)
피아퐁(럭키금성)
강득수(럭키금성)
1986
김현태(럭키금성)
조영증(럭키금성)
김평석(현대)
최강희(현대)
박노봉(대우)
조민국(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윤성효(한일은행)
김용세(유공)
정해원(대우)
함현기(현대)
1987
김풍주(대우)
구상범(럭키금성)
최기봉(유공)
정용환(대우)
박경훈(포항제철)
김삼수(현대)
노수진(유공)
이흥실(포항제철)
최상국(포항제철)
정해원(대우)
김주성(대우)
1988
오연교(현대)
최강희(현대)
최태진(대우)
손형선(대우)
강태식(포항)
최진한(럭키금성)
김상호(포항제철)
황보관(유공)
이기근(포항제철)
함현기(현대)
신동철(유공)
1989
차상광(럭키금성)
임종헌(일화)
조윤환(유공)
최윤겸(유공)
이영익(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조덕제(대우)
강재순(현대)
윤상철(럭키금성)
조긍연(포항제철)
노수진(유공)
1990
유대순(유공)
임종헌(일화)
최영준(럭키금성)
최태진(럭키금성)
이재희(대우)
최진한(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최대식(럭키금성)
윤상철(럭키금성)
이태호(대우)
송주석(현대)
1991
김풍주(대우)
정용환(대우)
박현용(대우)
테드(유공)
김현석(현대)
이영진(LG)
김주성(대우)
최강희(현대)
이상윤(일화)
이기근(포항제철)
고정운(일화)
1992
사리체프(일화)
홍명보(포항제철)
이종화(일화)
박정배(LG)
신홍기(현대)
김현석(현대)
신태용(일화)
박태하(포항제철)
신동철(유공)
박창현(포항제철)
임근재(LG)
1993
사리체프(일화)
최영일(현대)
이종화(일화)
유동관(포항제철)
김판근(대우)
신태용(일화)
김동해(LG)
이상윤(일화)
김봉길(유공)
차상해(포항제철)
윤상철(LG)
1994
사리체프(일화)
안익수(일화)
유상철(현대)
홍명보(포항제철)
허기태(유공)
신태용(일화)
고정운(일화)
황보관(유공)
윤상철(LG)
라데(포항제철)
김경래(버팔로)
1995
사리체프(일화)
최영일(현대)
홍명보(포항)
허기태(유공)
신태용(일화)
고정운(일화)
김현석(현대)
김판근(LG)
아미르(대우)
황선홍(포항)
노상래(전남)
1996
김병지(울산)
윤성효(수원)
김주성(부산)
허기태(부천)
신태용(천안)
바데아(수원)
홍명보(포항)
하석주(부산)
김현석(울산)
라데(포항)
세르게이(부천)
1997
신범철(부산)
김주성(부산)
마시엘(전남)
안익수(포항)
김현석(울산)
신진원(대전)
김인완(전남)
이진행(수원)
정재권(부산)
마니치(부산)
스카첸코(전남)
1998
김병지(울산)
안익수(포항)
마시엘(전남)
이임생(부천)
고종수(수원)
유상철(울산)
백승철(포항)
안정환(부산)
정정수(울산)
김현석(울산)
샤샤(수원)
1999
이운재(수원)
강철(부천)
김주성(부산)
마시엘(전남)
신홍기(수원)
서정원(수원)
고종수(수원)
데니스(수원)
고정운(포항)
안정환(부산)
샤샤(수원)
2000
신의손(안양)
강철(부천)
이임생(부천)
김현수(성남)
마시엘(전남)
안드레(안양)
신태용(성남)
전경준(부천)
데니스(수원)
최용수(안양)
김도훈(전북)
2001
신의손(안양)
우르모브(울산)
김현수(성남)
김용희(성남)
이영표(안양)
신태용(성남)
서정원(수원)
송종국(부산)
남기일(부천)
우성용(부산)
산드로(수원)
2002
이운재(수원)
김현수(성남)
김태영(전남)
최진철(전북)
홍명보(포항)
신태용(성남)
이천수(울산)
안드레(안양)
서정원(수원)
김대의(성남)
유상철(울산)
2003
서동명(울산)
최진철(전북)
김태영(전남)
김현수(성남)
산토스(포항)
신태용(성남)
이성남(성남)
이관우(대전)
김남일(전남)
김도훈(성남)
마그노(전북)
2004
이운재(수원)
산토스(포항)
유경렬(울산)
무사(수원)
곽희주(수원)
김동진(서울)
따바레즈(포항)
김두현(수원)
김대의(수원)
나드손(수원)
모따(전남)
2005
김병지(포항)
임중용(인천)
유경렬(울산)
조용형(부천)
김영철(성남)
김두현(성남)
이천수(울산)
이호(울산)
조원희(수원)
박주영(서울)
마차도(울산)
2006
박호진(수원)
장학영(성남)
마토(수원)
최진철(전북)
김영철(성남)
김두현(성남)
백지훈(수원)
이관우(수원)
뽀뽀(부산)
우성용(성남)
김은중(서울)
2007
김병지(서울)
아디(서울)
마토(수원)
황재원(포항)
장학영(성남)
따바레즈(포항)
이관우(수원)
김기동(포항)
김두현(성남)
이근호(대구)
까보레(경남)
2008
이운재(수원)
아디(서울)
마토(수원)
박동혁(울산)
최효진(포항)
김형범(전북)
조원희(수원)
기성용(서울)
이청용(서울)
이근호(대구)
에두(수원)
2009
신화용(포항)
김상식(전북)
김형일(포항)
황재원(포항)
최효진(포항)
최태욱(전북)
기성용(서울)
김정우(성남)
에닝요(전북)
이동국(전북)
데닐손(포항)
2010
김용대(서울)
홍정호(제주)
아디(서울)
사샤(성남)
최효진(서울)
몰리나(성남)
윤빛가람(경남)
구자철(제주)
에닝요(전북)
김은중(제주)
데얀(서울)
2011
김영광(울산)
박원재(전북)
곽태휘(울산)
조성환(전북)
최철순(전북)
염기훈(수원)
윤빛가람(경남)
하대성(서울)
에닝요(전북)
이동국(전북)
데얀(서울)
2012
김용대(서울)
아디(서울)
정인환(인천)
곽태휘(울산)
김창수(부산)
몰리나(서울)
하대성(서울)
황진성(포항)
이근호(울산)
이동국(전북)
데얀(서울)
2013
김승규(울산)
아디(서울)
김치곤(울산)
김원일(포항)
이용(울산)
고무열(포항)
이명주(포항)
하대성(서울)
레오나르도(전북)
김신욱(울산)
데얀(서울)
2014
권순태(전북)
홍철(수원)
윌킨슨(전북)
김주영(서울)
차두리(서울)
임상협(부산)
고명진(서울)
이승기(전북)
한교원(전북)
이동국(전북)
산토스(수원)
2015
권순태(전북)
홍철(수원)
요니치(인천)
김기희(전북)
차두리(서울)
염기훈(수원)
이재성(전북)
권창훈(수원)
송진형(제주)
이동국(전북)
아드리아노(서울)
2016
권순태(전북)
고광민(서울)
오스마르(서울)
요니치(인천)
정운(제주)
권창훈(수원)
로페즈(전북)
레오나르도(전북)
이재성(전북)
정조국(광주)
아드리아노(서울)
2017
조현우(대구)
김진수(전북)
김민재(전북)
오반석(제주)
최철순(전북)
염기훈(수원)
이재성(전북)
이창민(제주)
이승기(전북)
이근호(강원)
조나탄(수원)
2018
조현우(대구)
홍철(수원)
리차드(울산)
김민재(전북)
이용(전북)
네게바(경남)
최영준(경남)
아길라르(인천)
로페즈(전북)
말컹(경남)
주니오(울산)
2019
조현우(대구)
김태환(울산)
홍정호(전북)
홍철(수원)
이용(전북)
김보경(울산)
문선민(전북)
세징야(대구)
완델손(포항)
주니오(울산)
타가트(수원)
2020
조현우(울산)
김태환(울산)
홍정호(전북)
권경원(상주)
강상우(포항)
손준호(전북)
한교원(전북)
세징야(대구)
팔로세비치(포항)
주니오(울산)
일류첸코(포항)

7.2. K리그2


'''시즌'''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2013
김호준(상주)
최철순(상주)
김형일(상주)
이재성(상주)
오범석(경찰)
염기훈(경찰)
이호(상주)
최진수(안양)
김영후(경찰)
이근호(상주)
알렉스(고양)
2014
박주원(대전)
임창우(대전)
윤원일(대전)
허재원(대구)
이재권(안산)
최진수(안양)
이용래(안산)
최진호(강원)
김호남(광주)
아드리아노(대전)
알렉스(강원)
2015
조현우(대구)
박진포(상주)
신형민(안산)
강민수(상주)
이용(상주)
고경민(안양)
이승기(상주)
조원희(서울 이랜드)
김재성(서울 이랜드)
조나탄(대구)
주민규(서울 이랜드)
2016
조현우(대구)
정승용(강원)
황재원(대구)
이한샘(강원)
정우재(대구)
세징야(대구)
이현승(안산)
황인범(대전)
바그닝요(부천)
김동찬(대전)
포프(부산)
2017
이범수(경남)
최재수(경남)
이반(경남)
박지수(경남)
우주성(경남)
정원진(경남)
배기종(경남)
황인범(대전)
문기한(부천)
말컹(경남)
이정협(부산)
2018
김영광(서울 이랜드)
서보민(성남)
이한샘(아산)
윤영선(성남)
김문환(부산)
호물로(부산)
이명주(아산)
황인범(아산)
안현범(아산)
나상호(광주)
키쭈(대전)
2019
윤평국(광주)
김문환(부산)
닐손주니어(부천)
아슐마토프(광주)
이으뜸(광주)

김상원(안양)
알렉스(안양)
이동준(부산)
호물로(부산)
조규성(안양)
치솜(수원 FC)
2020
오승훈(제주)
정우재(제주)
정운(제주)
조유민(수원 FC)
안현범(제주)

공민현(제주)
이창민(제주)
김영욱(제주)
백성동(경남)
레안드로(서울 이랜드)
안병준(수원 FC)

8. 구단 수상




9. 특별상


전경기 전시간 출장한 선수나 특별한 기록을 세운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었는데, 2016년부터는 전경기 전시간 출장상이 분리되어 나왔다. 아래 표에서 비고가 비어있는 선수들은 전경기 전시간을 출장하여 상을 수상한 선수들이다.
'''시즌'''
'''이름'''
'''클럽'''
'''비고'''
1998
김병지
울산 현대 호랑이
골키퍼 최초 필드골 기록
1999
이용발
부천 SK
2000
이용발
부천 SK
조성환
2001
신의손
안양 LG 치타스
이용발
부천 SK
2002
김기동
부천 SK
이용발
전북 현대 모터스
2004
김병지
포항 스틸러스
조준호
부천 SK
신태용
성남 일화 천마
최다 경기 출장
2005
김병지
포항 스틸러스
조준호
부천 SK
2006
김병지
FC 서울
최은성
대전 시티즌
이정래
경남 FC
2007
김병지
FC 서울
김영철
성남 일화 천마
김용대
장학영
염동균
전남 드래곤즈
2008
백민철
대구 FC
2009
김영광
울산 현대
김병지
경남 FC
통산 500경기 출장
2010
김병지
경남 FC
김용대
FC 서울
백민철
대구 FC
2012
김용대
FC 서울
김병지
경남 FC
통산 600경기 출장
2013
권정혁
인천 유나이티드
2014
김병지
전남 드래곤즈
2015
신화용
포항 스틸러스
오스마르
FC 서울
2017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통산 200골 달성
2020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공로상
정조국
제주 유나이티드
공로상

9.1. 전경기 전시간 출장상


위의 특별상에서 분리되어 나온 시즌 전경기 전시간 출장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시즌'''
'''이름'''
'''포지션'''
'''클럽'''
2016
김한빈
DF
충주 험멜
2017
김영광
GK
서울 이랜드
2018
강현무
GK
포항 스틸러스
김승대
FW
김영광
GK
서울 이랜드
2019
한국영
DF
강원 FC
송범근
GK
전북 현대 모터스
이인재
DF
안산 그리너스
닐손주니어
MF
부천 FC 1995
2020
강현무
GK
포항 스틸러스
조현우
GK
울산 현대
송범근
GK
전북 현대 모터스

10. 팬타스틱 플레이어상


'팬'타스틱 플레이어('FAN'tastic Player)상은 팬들의 투표로 수상자를 선정하는 상으로, 2009년 신설됐으나 2017년 이후 시상이 중단됐다.
'''시즌'''
'''이름'''
'''포지션'''
'''클럽'''
2009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0
구자철
MF
제주 유나이티드
2011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2
데얀
FW
FC 서울
2013
김신욱
FW
울산 현대
2014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5
이동국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6
레오나르도
FW
전북 현대 모터스
2017
조나탄
FW
수원 삼성 블루윙즈

11. 아디다스 탱고 어워드


올해 가장 창의적인 플레이를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시즌'''
'''이름'''
'''포지션'''
'''클럽'''
2018
강현무
GK
포항 스틸러스
2019
김대원
FW
대구 FC

12. 베스트 포토상


시즌 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기자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시즌'''
'''이름'''
'''클럽'''
2014
최강희
전북 현대 모터스
2015
차두리
FC 서울
2017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2018
말컹
경남 FC
2019
유상철
인천 유나이티드
2020
이동국
전북 현대 모터스

13. 사랑 나눔상


지역 내에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한 구단이나 사회에 귀감이 될 만한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시즌'''
'''수상자'''
2013
대구 FC
2014
FC 안양
2016
이근호
2017
안산 그리너스
2018
전남 드래곤즈
안산 그리너스
2019
성남 FC
부천 FC 1995
2020
포항 스틸러스
대전 하나 시티즌
안산 그리너스

14. EA스포츠 모스트 셀렉티드 플레이어상


한 해 동안 FIFA 온라인 4의 게이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K리그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시즌'''
'''이름'''
'''클럽'''
2018
조현우
대구 FC
2019
홍철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20
홍철
울산 현대
[1] K리그 최초의 준우승팀 감독상 수상.[2] K리그 최초의 3위 팀 감독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