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역대 기록

 


1. 역대 LCK 참가 팀(구 롤챔스 포함)
1.1. 역대 LCK 참가 팀(리그제 전환 이후)
1.2. 역대 LCK 승강전 진출팀
2. 역대 LCK 입상 팀
2.1. 역대 LCK 결승전 결과
2.2. 역대 LCK 결승 기록
3. 역대 LCK 어워드
3.1. 역대 LCK 정규시즌/포스트시즌 MVP
3.3. 역대 LCK Rookie of The Year 및 Best Coach
3.4. 역대 LCK 포지션별 KDA 챔피언
4. 역대 LCK 우승팀 로스터
4.1. 우승자 관련 기록
4.2. 역대 LCK 최고령 우승자
4.3. 역대 LCK 최연소 우승자
5. 역대 LCK 팀 경기 관련 기록
5.1. LCK 참가 팀들의 승패 관련 기록들
5.2. 역대 LCK 챔피언 밴픽 기록
5.3. 역대 롤챔스 블라인드 픽
6. 국제 대회 관련 기록
7. 역대 개인 기록
7.1. 최다 출전/킬/데스/어시스트 기록
7.2. 역대 LCK 펜타킬
7.3. LCK 1000킬/2000킬 달성 선수 일람
7.4. 기타 기록들

'''※ 기록 작성 시 되도록이면 선수 이름과 ID를 함께 병기해주시고, ID가 아니라 선수 이름으로 지칭해주시기 바랍니다.'''
'''(ex : Faker → 이상혁 Faker / 페이커 → 이상혁)'''
'''팀 이름 또한 되도록이면 정식 명칭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ex : 젠지 → Gen.G Esports)'''
'''※ 본 문서에 기록된 수상 외 기록들은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만이 포함되며, 승강전과 예선전, 프리시즌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기록을 정리하는 문서인 만큼 취소선이나 말줄임 표현은 넣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1. 역대 LCK 참가 팀(구 롤챔스 포함)


기준은 '''2021 스프링 시작 전''' 시점으로 작성 방식은 아래와 같다.
  • 정렬 기준은 1) 참가 시즌 수→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
  • 해체를 공식 발표하지 않는 한 별개의 팀으로 취급한다. 해체하지 않고 멤버만 교체한 경우는 해당 팀의 커리어를 그대로 계승한다.
  • 현재 참가하는 팀은 볼드체로 표시한다. 2021년 이후 LCK는 승강전을 폐지하고 프랜차이즈제를 시행하기에 참가팀들은 당분간 고정된다.
'''현재 팀명'''
'''참가'''
'''시즌 수'''
'''첫 참가 시즌'''
'''연속 참가 기록'''
'''최고'''
'''성적'''
'''변혁 역사'''
'''DRX'''
'''20'''
2012 서머
2012 서머~(진행 중)
우승
(2회)
Incredible Miracle : 2012 서머~2013 스프링
Incredible Miracle 1 :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Incredible Miracle 2 : 2013 서머~2014 서머
Incredible Miracle(단일팀) : 2015 스프링
Longzhu IM : 2015 서머
Longzhu Gaming : 2016 스프링~2017 서머
KING-ZONE DragonX : 2018 스프링~2019 서머
DragonX : 2020 스프링
DRX : 2020 서머~현재
'''Gen.G Esports'''
'''20'''
2012 서머
2012 서머~(진행 중)
우승
(2회)
MVP Blue : 2012 서머~2013 서머
MVP White : 2012-2013 윈터
MVP White→MVP Ozone :
2013 스프링~2013 서머
MVP Blue→Samsung Blue :
2013-2014 윈터~2014 서머
MVP Ozone→Samsung Ozone :
2013-2014 윈터~2014 스프링
Samsung Ozone→Samsung White : 2014 서머
Samsung Galaxy(단일팀) :
2015 스프링~2017 서머
KSV Esports : 2018 스프링
Gen.G Esports: 2018 서머~현재
'''kt Rolster'''
'''19'''
2012-2013 윈터
2012-2013 윈터~(진행 중)
우승
(2회)
kt Rolster A : 2012-2013 윈터
kt Rolster B : 2012-2013 윈터
kt Rolster A→kt Rolster Arrows :
2012 스프링, 2014 스프링, 2014 서머
kt Rolster B→kt Rolster Bullets :
2013 스프링~2014 서머
kt Rolster(단일팀) : 2015 스프링~현재
'''T1'''
'''18'''
2013 스프링
2013 스프링~(진행 중)
우승
(9회)
SK Telecom T1 #1 : 2013 스프링
SK Telecom T1 #2→SK Telecom T1 : 2013 스프링~2013 서머
SK Telecom T1 #1→SK Telecom T1 S :
2013-2014 윈터~2014 서머
SK Telecom T1→SK Telecom T1 K :
2013-2014 윈터~2014 서머
SK Telecom T1(단일팀) : 2015 스프링~2019 서머
T1 : 2020 스프링~현재
Jin Air Greenwings[해체]
15
2013 스프링
2013 스프링~2019 서머
15회 연속 진출
4위
ahq e-Sports Club Korea : 2013 스프링
JinAir Greenwings Falcons : 2013 서머~2014 서머
JinAir Greenwings Stealths :
2013 서머~2013-2014 윈터, 2014 서머
JinAir Greenwings(단일팀) : 2015 스프링~2019 서머
2020년 LCK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Fredit BRION'''
'''14'''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6 스프링
11회 연속 진출
우승
(1회)
Najin e-mFire : 2012 스프링
Najin Black Sword : 2012 서머~2014 서머
Najin White Shield : 2012 서머~2014 서머
Najin e-mFire(단일팀) : 2015 스프링~2015 서머
KONGDOO MONSTER :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Fredit BRION : 2021 스프링
CJ ENTUS
[해체]
12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6 서머
12회 연속 진출
우승
(2회)
MiG Blaze : 2012 스프링
MiG Frost : 2012 스프링
MiG Blaze→Azubu Blaze :
2012 서머~2012-2013 윈터
MiG Frost→Azubu Frost :
2012 서머~2012-2013 윈터
CJ Entus가 재창단하는 형태로 인수
Azubu Blaze→CJ Entus Blaze :
2013 스프링~2014 서머
Azubu Frost→CJ Entus Frost :
2013 스프링~2014 서머
CJ Entus(단일팀) : 2015 스프링
2017년 겨울 팀 해체
'''Hanwha Life Esports'''
'''13'''
2015 스프링
2015 스프링~(진행 중)
우승
(1회)
GE Tigers : 2015 스프링
KOO Tigers : 2015 서머
ROX Tigers : 2016 서머~2018 스프링
Hanwha Life Esports : 2018 서머~현재
'''Afreeca Freecs'''
'''12'''
2015 서머
2015 서머~(진행 중)
준우승
(1회)
Rebels Anarchy : 2015 서머
Afreeca Freecs : 2016 스프링~현재
Xenics Modslook
[해체]
5
2012 스프링
2013 서머~2014 스프링
3위
Xenics Storm : 2012 스프링, 2012 서머,
2013 서머~2013-2014 윈터
Xenics Blast : 2013 서머
Xenics Storm(단일팀) : 2014 스프링
Xenic Modslook : 2015 스프링
LCK 2015 서머 승강전에서 탈락 후 팀 해체
MVP[해체][1]
5
2016 서머
2016 서머~2018 서머
5회 연속 진출
4위
MVP : 2016 서머~2018 서머
2019년 겨울 팀 해체
ESC Shane[해체]
5
2016 서머
2016 서머~2018 서머
5회 연속 진출
8위
ESC Ever : 2016 서머
bbq OLIVERS : 2017 스프링~2018 서머
2020년 LCK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DWG KIA'''
'''5'''
2019 스프링
2019 스프링~(진행 중)
우승
(1회)
DAMWON Gaming : 2019 스프링~2020 서머
DWG KIA : 현재
'''Liiv SANDBOX'''
'''5'''
2019 스프링
2019 스프링~(진행 중)
4위
SANDBOX Gaming : 2019 스프링~2020 서머
Liiv SANDBOX : 현재
Griffin[해체]
4
2018 서머
2018 서머~2020 스프링
4회 연속 진출
준우승
(3회)
Griffin : 2018 서머~2020 스프링
2020년 LCK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SBENU KOREA
[해체]
3
2014 스프링
2015 서머~2016 스프링
9위
Prime Optimus : 2014 스프링
SBENU SonicBoom : 2015 서머~2016 스프링
SBENU KOREA : X
2016년 겨울 팀 해체
Winterfox#s-2
[해체]
2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2 서머
준우승(1회)
외국 초청팀(유럽)
CLG : 2012 스프링
CLG Prime : 2012 서머
CLG Europe : 2012 서머
이후 Evil Geniuses, Winterfox로 변경
2015 서머 종료 후 팀 해체
Team OP
[해체]
2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4위
팀 해체
StarTale
[해체]
2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2 서머
8강
한국 최초의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
2012년 8월 팀 해체
MKZ
[해체]
2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2014 서머
8강
팀 해체
(舊) CJ Entus[해체]
2
2012 서머
2012 서머~2012-2013 윈터
16강
위쪽의 CJ Entus 이전의 별개의 팀
구분을 위해 (舊)를 앞에 붙임
2013년 팀 해체 후 재창단
GSG
[해체]
2
2012 서머
2012 서머~2012-2013 윈터
12강
RoMg : 2012 서머
GSG : 2012-2013 윈터
2013년 팀 해체
SeolHaeOne Prince
2
2020 스프링
2020 스프링~2020 서머
7위
APK Prince : 2020 스프링
SeolHaeOne Prince : 2020 서머
'''NONGSHIM RED FORCE'''
'''2'''
2020 서머
2020 서머~(진행 중)
8위
Team Dynamics : 2020 서머
Nongshim Red Force : 현재
Fnatic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8강
외국 초청팀(유럽)
Team Hunters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SuperStar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NEB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XD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NeL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DDoL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Little Hippo
[해체]
1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
16강
팀 해체
Team WE
1
2012 서머
2012 서머
8강
외국 초청팀(중국)
GJR
[해체]
1
2012 서머
2012 서머
16강
팀 해체
Team Diginitas
[해체]
1
2012 서머
2012 서머
16강
외국 초청팀(북미)
2018년 NA LCS 프랜차이즈 탈락으로 팀 해체
Natus Vincere#s-5
[해체]
1
2012 서머
2012 서머
16강
외국 초청팀(CIS)
2012년 팀 해체
CTU
[해체]
1
2013 서머
2013 서머
8강
팀 해체
MiG Blitz
[해체]
1
2013 서머
2013 서머
16강
CJ Entus의 전신팀과 별개의 팀
팀 해체
Team NB
[해체]
1
2013-2014 윈터
2013-2014 윈터
16강
팀 해체
Alienware Arena
[해체]
1
2013-2014 윈터
2013-2014 윈터
16강
Alienware Arena : 2013-2014 윈터
2014년 팀 해체
Team Dark
[해체]
1
2013-2014 윈터
2013-2014 윈터
실격
스포츠맨십에 어긋나는 행위로 징계 처분
LCK 최초이자 유일한 실격팀
Midas FIO
[해체]
1
2014 스프링
2014 스프링
16강
팀 해체
Quvic
[해체]
1
2014 서머
2014 서머
16강
Bigfile Miracle : 2014 서머
Quvic : 2015 스프링
2015년 2월 팀 해체
Winners[해체]
1
2017 서머
2017 서머
10위
Ever8 Winners : 2017 서머
2019년 프로팀 해체[2]
2020 서머 기준으로 주요 기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2012 스프링부터 2020 서머까지 20시즌 동안 LCK에 참가한 팀은 총 44팀이다. 그 중 2시즌 이상 참가한 팀은 24팀이다.
  • 2012 스프링과 2012 서머에 도입된 외국 초청팀은 5팀으로, 2020 스프링 현재 Team WE와 Fnatic 2팀만 남아있다. Team Dignitas는 Clutch Gaming을 인수하여 이름만 바꾼 팀이기 때문에 기존의 팀은 해체된 것이 맞다.
  • 첫 시즌인 2012 스프링부터 개근한 팀은 한 팀도 없지만, 그 다음 시즌인 2012 서머부터 팀명을 바꾸어가면서 계속 참가한 팀이 2팀(DragonX, Gen.G Esports)이 있다.
  • 원년 시즌인 2012 스프링에 참가한 팀들 중 현재에도 LCK에 참가하는 팀은 Fredit BRION이 유일하다.

1.1. 역대 LCK 참가 팀(리그제 전환 이후)


2015 스프링에서 '팀당 2개 형제팀+조별리그 후 토너먼트+조별리그 탈락 시 하위 리그로 진출'에서 '단일팀+2라운드 풀리그 체제 후 5팀 포스트시즌+승강전'으로 리그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이후 2021 스프링부터 프랜차이즈제를 도입하면서 2020 서머를 마지막으로 승강전은 폐지되었고, 포스트시즌 방식이 변경되어 '단일팀+2라운드 풀 리그 체제 후 6팀 포스트시즌'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리그 체제가 변경된 2015 스프링 이후로의 별도의 기록은 아래와 같다.
  • 정렬 기준은 동일하게 1) 참가 시즌 수→ 2) 첫 참가 시즌→ 3) 최고 성적 순이다. 첫 참가 시즌과 연속 참가 시즌 시작이 2014 서머 이전일 경우는 위의 표를 참고하여 괄호 안에 첫 참가 시즌을 표시한다.
  • 해당 시점에서 LCK에 잔류하고 있는 팀은 굵게 표시한다. 해체된 팀은 취소선으로 팀명을 표시하며, 해체 전 마지막 팀명을 표기한다. 팀명 변경은 LCK에 있을 때만 표기한다.
  • 최고 성적은 2015 스프링 이후의 팀 최고 성적을 기재한다. 2014년 서머 이전 기록이 있는 팀들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현재 팀명'''
'''참가'''
'''시즌 수'''
'''첫 참가 시즌'''
'''연속 참가'''
'''최고'''
'''성적'''
(2015 스프링 이후)
'''승강전'''
'''참여'''
'''비고'''
'''(팀명 변경, 승격/강등, 팀 해체)'''
'''DRX'''
'''13'''
(2012 서머)
진행 중
(2012 서머~)
우승
(2회)
2회
2015 스프링 시드선발전 통과[3]
Incredible Miracle : 2015 스프링
Longzhu IM : 2015 서머
Longzhu Gaming :
2016 스프링~2017 서머
KING-ZONE DragonX : 2018 스프링~2019 서머
DragonX : 2020 스프링~현재
'''Gen.G Esports'''
'''13'''
(2012 서머)
진행 중
(2012 서머~)
준우승
(1회)
1회
Samsung Galaxy :
2015 스프링~2017 서머
KSV : 2018 스프링
Gen.G : 2018 서머~현재
'''kt Rolster'''
'''13'''
(2012-2013 윈터)
진행 중
(2012-2013 윈터~)
우승
(1회)
1회
-
'''T1'''
'''13'''
(2013 스프링)
진행 중
(2013 스프링~)
우승
(7회)
'''0회'''
SK Telecom T1 : 2015 스프링~2019 서머
T1 : 2020 스프링~현재
'''Hanwha Life Esports'''
'''13'''
2015 스프링
진행 중
2015 스프링~
우승
(1회)
1회
2015 스프링 시드선발전 통과
GE Tigers : 2015 스프링
KOO Tigers : 2015 서머
ROX Tigers : 2015 서머~2018 스프링
Hanwha Life Esports : 2018 서머~현재
'''Afeeca Freecs'''
'''12'''
2015 서머
진행 중
2015 서머~
준우승
(1회)
1회
2015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Rebels Anarchy : 2015 서머
Afreeca Freecs : 2016 스프링~현재
Jin Air Greenwings[해체]
10
(2013 스프링)
(2013 스프링)~2019 서머
10회 연속(15회 연속)
4위
(2회)
3회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20년 11월 팀 해체
'''Fredit BRION'''
'''6'''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6 스프링
3회 연속(11회 연속)
5위
5회
NaJin e-mFire : 2015 스프링, 2015 서머
KONGDOO MONSTER :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Fredit BRION: 2021 스프링
2016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
2017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
2017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
2018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
2018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
2021 스프링 프랜차이즈화로 복귀
MVP
[해체]
5
2016 서머
2016 서머~2018 서머
5회 연속
4위
3회
2016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19년 겨울 팀 해체
ESC Shane[해체]
5
2016 서머
2016 서머~2018 서머
5회 연속
8위
6회
2016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ESC Ever : 2016 서머
bbq OLIVERS : 2017 스프링~2018 서머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20년 겨울 팀 해체
'''DWG KIA'''
'''5'''
2019 스프링
진행 중
2019 스프링~
우승
(1회)
1회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
'''Liiv SANDBOX'''
'''5'''
2019 스프링
진행 중
2019 스프링~
4위
2회
Breath Meta : 2017
Team BattleComics : 2017~2018
SANDBOX Gaming : 2019 스프링~2020 서머
2019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
CJ ENTUS
[해체]
4
(2012 스프링)
(2012 스프링)~2016 서머
4회 연속(12회 연속)
3위
3회
2017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17년 겨울 팀 해체
Griffin[해체]
4
2018 서머
2018 서머~2020 스프링
4회 연속
준우승
(3회)
2회
2018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21년 1월 팀 해체
SBENU KOREA
[해체]
2
2015 서머
2015 서머~2016 스프링
2회 연속
9위
4회
SBENU SonicBoom :
2015 서머~2016 스프링
2015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2016 서머 승강전에서 강등
2016년 겨울 팀 해체
SeolHaeOne Prince
2
2020 스프링
2020 스프링~2020 서머
2회 연속
7위
1회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승격
APK Prince : 2020 스프링
2021 스프링 전 프렌차이즈 탈락
'''NONGSHIM RED FORCE'''
'''2'''
2020 서머
진행 중
2020 서머~
8위
1회
2020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Team Dynamics : 2020 서머
Winners[해체]
1
2017 서머
2017 서머
10위
3회
Ever8 Winners : 2017 서머
2017 서머 승강전에서 승격
2018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
2019년 팀 해체, 아마추어로 전환
2021년 스프링 정규시즌 기준으로 주요 기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2015 스프링 이후 LCK에 참가해본 팀은 총 18팀이다. 2시즌 이상 참가한 팀은 17팀이다.
  • 2014 서머 종료 시점에서 잔류하여 2015 스프링에 바로 합류한 6팀 중 4팀이 남아있으며(Gen.G Esports, kt Rolster, T1, Fredit BRION), 2015 스프링 시드선발전으로 합류한 2팀은 모두 남아있다.(DRX, Hanwha Life Esports)
  •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 실시된 승강전으로 총 10팀이 올라왔었으며, 그 중 4팀(Afreeca Freecs, DAMWON Gaiming, SANDBOX Gaming, NONGSHIM RED FORCE)이 남아있다.
  •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 실시된 승강전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팀은 T1 뿐이다. 이외의 팀들은 승강전에 어떠한 형태로든 참가하였다.

1.2. 역대 LCK 승강전 진출팀


상위 리그인 롤챔스와 하위 리그인 롤챌스의 포스트시즌이 종료된 후, 롤챔스 하위 2팀과 롤챌스 상위 2팀끼리 붙어서 승격/강등/잔류를 결정짓는 승강전은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 실시되었다. 승강전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롤챔스 승강전을 참고하면 된다.
  • 2015 서머 승강전은 롤챔스 참가팀 8팀에서 10팀으로 늘었기 때문에 롤챌스 1,2차 토너먼트에서 취득한 포인트 합에 따라 상위 4팀을 선발, 롤챔스 1팀과 롤챌스 2팀으로 조를 이루어 풀리그를 진행한 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을 2015 서머 롤챔스에 진출시켰다.
  • 2016 스프링 승강전과 2016 서머 승강전은 롤챔스 9위팀이 롤챌스에서 올라온 팀 중 하나를 지정하여 해당 팀과의 대결에서 승리한 팀을 차기 시즌에 진출시켰다.
  • 2017 스프링 승강전부터 마지막 승강전인 2020 서머 승강전까지는 롤챔스 9위팀이 롤챌스에서 올라온 팀 중 하나를 지정하는 건 같지만,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하였다. 승자전과 최종전을 통해 2승한 팀은 롤챔스로, 패자전과 최종전을 통해 2패한 팀은 롤챌스로 가게 된다.
    • 2018 서머 승강전부터 롤챌스 정규시즌 1위팀은 승강전으로 바로 직행하고, 2위부터 5위 팀을 대상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루어 토너먼트를 통해 선발된 1팀이 승강전으로 가게 되었다.
  • 2021 스프링부터 프렌차이즈 체제가 도입됨에 따라 승강전은 2020 스프링 종료 후 실시되는 2020 서머 승강전을 끝으로 더이상 진행하지 않게 되었다.
'''시즌'''
'''롤챔스 승강전 진출팀'''
'''롤챌스 승강전 진출팀'''
'''비고'''
2015 서머
7위
'''Incredible Miracle'''
(A조 잔류)
합계 1위
'''Prime ITENJOY'''
(B조 승격)
Incredible Miracle→Longzhu IM
Prime ITEMJOY→SBENU SonicBoom
Anarchy→Rebels Anarchy
합계 2위
'''Anarchy'''
(A조 승격)
8위
'''Samsung Galaxy'''
(B조 잔류)
합계 3위
Xenics Modslook
(B조 잔류)
합계 4위
Winners
(A조 잔류)
2016 스프링
9위
'''Longzhu IM'''
(A조 잔류)
1위
Dark Wolves
(A조 잔류)
Ever→ESC Ever
10위
'''SBENU SONICBOOM'''
(B조 잔류)
2위
Ever
(B조 잔류)
2016 서머
9위
SBENU SONICBOOM
(A조 강등)
우승
'''ESC Ever'''
(A조 승격)
-
10위
KONGDOO MONSTER
(B조 강등)
준우승
'''MVP'''
(B조 승격)
2017 스프링
9위
'''ESC Ever'''
(최종전 잔류)
우승
'''KONGDOO MONSTER'''
(승자전 승격)
ESC Ever→bbq OLIVERS
SBENU SONICBOOM→SBENU KOREA
10위
CJ ENTUS
(최종전 강등)
준우승
SBENU KOREA
(패자전 잔류)
2017 서머
9위
'''Jin Air Greenwings'''
(승자전 잔류)
우승
'''Ever8 Winners'''
(최종전 승격)
Winners → Ever8 Winners
10위
KONGDOO MONSTER
(최종전 강등)
준우승
CJ ENTUS
(패자전 잔류)
2018 스프링
9위
'''bbq OLIVERS'''
(최종전 잔류)
우승
CJ ENTUS
(최종전 잔류)
-
10위
Ever8 Winners
(패자전 강등)
준우승
'''KONGDOO MONSTER'''
(승자전 승격)
2018 서머
9위
'''MVP'''
(최종전 잔류)
1위
'''Griffin'''
(승자전 승격)
-
10위
KONGDOO MONSTER
(최종전 강등)
통과
Ever8 Winners
(패자전 잔류)
2019 스프링
9위
MVP
(최종전 강등)
1위
'''DAMWON Gaming'''
(승자전 승격)
Team BattleComics → SANDBOX Gaming
10위
bbq OLIVERS
(패자전 강등)
통과
'''Team BattleComics'''
(최종전 승격)
2019 서머
9위
'''kt Rolster'''
(승자전 잔류)
1위
ES Sharks
(최종전 잔류)
ES Sharks →Team Dynamics
10위
'''Jin Air Greenwings'''
(최종전 잔류)
통과
VSG
(패자전 잔류)
2020 스프링
9위
'''Hanwha Life Esports'''
(최종전 잔류)
1위
Team Dynamics
(패자전 잔류)
-
10위
Jin Air Greenwings
(최종전 강등)
통과
'''APK Prince'''
(승자전 승격)
2020 서머
9위
'''SANDBOX Gaming'''
(최종전 잔류)
1위
SEORABEOL Gaming
(최종전 잔류)
-
10위
Griffin
(패자전 강등)
통과
'''Team Dynamics'''
(승자전 승격)
승강전과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승강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ESC Shane(6회)이었다. 연속으로 승강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KONGDOO MOSTER(5회)이다. 이 기록은 2019 스프링 승강전 진출에 실패하면서 끊기게 되었다.
  • 승강전으로 간 LCK 팀의 잔류 확률은 54.5%(12/22)이었다.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도입된 2017 스프링부터 2019 스프링까지 반드시 한 팀이 강등되었으며, 그 한 팀은 모두 정규시즌 10위를 차지한 팀이었다. 예외로 2019 스프링에서는 두 팀이 모두 강등되었으며, 2019 서머에서는 반대로 두 팀이 모두 잔류하였다.
  • 정규시즌 10위 팀이 잔류한 건 단 2번뿐(2016 스프링, 2019 서머)이었으며, 9위 팀이 강등되고 10위 팀이 잔류하는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
  • 2020 서머 승강전을 끝으로 승강전이 폐지되면서 2015 스프링 이후 LCK에 참가한 팀 중 승강전에 가지 않은 팀은 T1이 유일하게 되었다.

2. 역대 LCK 입상 팀


역대 입상팀은 아래와 같은데, 리그 시스템에 3번의 변화가 있었다.
  • 2012 스프링부터 2014 서머까지는 12팀의 조별리그 후 8강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입상자를 가렸기 때문에 4강에 입상한 4팀만 있다. 4강에서 탈락한 팀들은 롤드컵 진출에 필요한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해 별도의 3-4위전을 진행하였다.
  • 2015 스프링에서는 8개 팀이 2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한 후 상위 4팀을 가려내어 포스트시즌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윈터 시즌을 진행하지 않게 되었다.
  •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는 10개 팀이 2라운드 풀 리그를 진행하고 정규 시즌 5위 팀도 3판 2선승제인 와일드카드로 포스트시즌에 참가하게 된다.
  • 2021 스프링부터는 정규 시즌 6위 팀도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3위-6위 / 4위-5위가 먼저 대결한 뒤, 거기서 살아남은 2팀 중 한 팀을 1위가 선택해서 대결하고, 남은 한 팀은 2위와 대결을 하여 승리한 팀들이 결승전을 진행한다. 모든 팀은 5판 3선승제로 진행한다.
'''시즌'''
'''우승'''
'''준우승'''
'''3위'''(3/4위전 승자)
'''4위'''(3/4위전 패자)
2012
스프링
'''MiG Blaze'''
MiG Frost
Xenics Storm
Team OP
2012
서머
'''Azubu Frost'''
CLG Europe
NaJin Sword
Azubu Blaze
2012-2013
윈터
'''NaJin Sword'''
Azubu Frost
kt Rolster B
Azubu Blaze
2013
스프링
'''MVP Ozone'''
CJ ENTUS Blaze
SKT T1 #2
CJ ENTUS Frost
2013
서머
'''SKT T1'''
kt Rolster Bullets
MVP Ozone
CJ ENTUS Frost
2013-2014
윈터
'''SKT T1 K'''
Samsung Galaxy Ozone
kt Rolster Bullets
NaJin White Shield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NaJin White Shield
Samsung Galaxy Ozone
CJ ENTUS Blaze
2014
서머
'''kt Rolster Arrows'''
Samsung Galaxy Blue
Samsung Galaxy White
SKT T1 S
'''시즌'''
'''우승'''
'''준우승'''
'''3위'''(플레이오프 2R 패배)
'''4위'''(플레이오프 1R 패배)
'''5위'''(와일드카드전 패배)
2015
스프링
'''SKT T1'''
(2위)
GE Tigers
(1위)
CJ ENTUS
(3위)
Jin Air Greenwings
(4위)
2015
서머
'''SKT T1'''
(1위)
kt Rolster
(2위)
KOO Tigers
(4위)
CJ ENTUS
(3위)
NaJin e-mFire
(5위)
2016
스프링
'''SKT T1'''
(3위)
ROX Tigers
(1위)
kt Rolster
(2위)
Jin Air Greenwings
(4위)
Afreeca Freecs
(5위)
2016
서머
'''ROX Tigers'''
(1위)
kt Rolster
(3위)
SKT T1
(2위)
Samsung Galaxy
(4위)
Afreeca Freecs
(5위)
2017
스프링
'''SKT T1'''
(1위)
kt Rolster
(3위)
Samsung Galaxy
(2위)
MVP
(5위)
Afreeca Freecs
(4위)
2017
서머
'''Longzhu Gaming'''
(1위)
SKT T1
(4위)
kt Rolster
(2위)
Samsung Galaxy
(3위)
Afreeca Freecs
(5위)
2018
스프링
'''KING-ZONE DragonX'''
(1위)
Afreeca Freecs
(2위)
kt Rolster
(3위)
SKT T1
(4위)
KSV Esports
(5위)
2018
서머
'''kt Rolster'''
(1위)
Griffin
(2위)
Afreeca Freecs
(5위)
KING-ZONE DragonX
(3위)
Gen.G Esports
(4위)
2019
스프링
'''SKT T1'''
(2위)
Griffin
(1위)
KING-ZONE DragonX
(3위)
DAMWON Gaming
(5위)
SANDBOX Gaming
(4위)
2019
서머
'''SKT T1'''
(4위)
Griffin
(1위)
DAMWON Gaming
(2위)
SANDBOX Gaming
(3위)
Afreeca Freecs
(5위)
2020
스프링
'''T1'''
(2위)
Gen.G Esports
(1위)
DragonX
(3위)
DAMWON Gaming
(5위)
kt Rolster
(4위)
2020
서머
'''DAMWON Gaming'''
(1위)
DRX
(2위)
Gen.G Esports
(3위)
Afreeca Freecs
(5위)
T1
(4위)
'''시즌'''
'''우승'''
'''준우승'''
'''4강'''(4강 PO 패배)
'''6강'''(6강 PO 패배)
2021
스프링

(위)

(위)

(위)

(위)

(위)

(위)
관련 기록을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 리그제로 개편되기 전인 2014 서머 이전 4강 이상 최다 연속 진출 기록은 5회로 CJ Entus Frost(2012 스프링~2013 서머)가 가지고 있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진출 기록은 7회로 SKT T1(2015 스프링~2018 스프링)와 KT Rolster(2015 서머~2018 서머)가 공동으로 가지고 있다. 그런데 리그제로 개편되기 직전 시즌인 2014 서머에 SKT T1 S의 4강 진출 기록까지 포함하면 통합 최다 포스트시즌 최다 연속 진출 기록은 8회로 SKT T1(2014 서머~2018 스프링)이 유일하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 최다 진출 기록은 T1의 11회(우승 7회 준우승 1회)이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정규시즌 순위가 그대로 최종 성적이 된 건 단 1번(2018 스프링) 뿐이다. 그 외 시즌에서는 최소 한 번 이상의 업셋이 발생하였다.
  • 리그제로 개편된 후 포스트시즌의 각 단계에 가장 많이 간 팀은 아래와 같다.
    • 결승전 : T1 - 8회(1위로 직행한 횟수 2회)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T1 - 7회(2위로 직행한 횟수 4회)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T1 - 4회(3위로 직행한 횟수 2회)
    • 와일드카드 전 : Afreeca Freecs - 7회(4위로 간 횟수 2회/5위로 간 횟수 5회)
  • 리그제로 개편된 후 최종 순위에 연속으로 가장 많이 간 팀은 아래와 같다.
    • 연속 우승 : T1(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 - 3회
    • 연속 결승 : T1(상동), Griffin(2018 서머 ~ 2019 서머[222]) - 3회
    • 연속 플레이오프 2라운드 이상 : KT Rolster(2015 서머 ~ 2018 서머[2322331]) - 7회
    • 연속 플레이오프 1라운드 이상 : KT Rolster(상동), T1(2015 스프링 ~ 2018 스프링[1113124]) - 7회
    •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 KT Rolster(상동), T1(상동) - 7회

정규시즌
우승
준우승
PO 2R
PO 1R
WC
1위
7
5
-
-
-
2위
3
4
5
-
-
3위
1
2
5
4
-
4위
1
1
1
4
5
5위
0
0
1
4
6

2.1. 역대 LCK 결승전 결과


리그 시스템의 변화로 인해서 아래와 같은 변화가 있었다.
  • 2012 스프링 ~ 2014 서머 : 토너먼트를 통해 살아남은 두 팀이 결승전에서 만난다.
  • 2015 스프링 ~ 2020 서머 : 정규시즌 1위팀이 직행한 상태에서 플레이오프에서 살아남은 한 팀과 대결한다.
  • 2021 스프링 ~ : 1위팀과 2위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 직행한 상태에서 1위팀이 6강 플레이오프 승자팀들 중 자신이 지정한 팀과 대결하고 2위팀이 나머지 한 팀과 대결, 각각 승리한 팀들이 결승전에서 만난다.
시즌
4강 1경기(A조) 승리팀
결과
4강 2경기(B조) 승리팀
스코어
(우승 팀 기준)

장소
2012 스프링
MiG Frost
0 : '''3'''
'''MiG Blaze'''
OOO
일산 KINTEX
2012 서머
'''Azubu Frost'''
'''3''' : 2
CLG Europe
XXOOO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
2012-2013 윈터
Azubu Frost
0 : '''3'''
'''NaJin Black Sword'''
OOO
서울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
2013 스프링
'''MVP Ozone'''
'''3''' : 0
CJ Entus Blaze
OOO
일산 KINTEX
2013 서머
kt Rolster Bullets
2 : '''3'''
'''SKT T1'''
XXOOO
서울 잠실 올림픽 보조경기장
2013-2014 윈터
'''SKT T1 K'''
'''3''' : 0
Samsung Galaxy Ozone
OOO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3''' : 1
NaJin White Shield
OXOO
일산 KINTEX
2014 서머
'''kt Rolster Arrows'''
'''3''' : 2
Samsung Galaxy Blue
OXXOO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야외 특설 경기장
시즌
결승 직행팀
결과
플레이오프 승리팀
(정규시즌 순위)

스코어
(우승 팀 기준)

장소
2015 스프링
GE Tigers
0 : '''3'''
'''SKT T1''' (2위)
OOO
서울 COEX
2015 서머
'''SKT T1'''
'''3''' : 0
kt Rolster (2위)
OOO
서울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2016 스프링
ROX Tigers
1 : '''3'''
'''SKT T1''' (3위)
OXOO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2016 서머
'''ROX Tigers'''
'''3''' : 2
kt Rolster (2위)
OXOXO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
2017 스프링
'''SKT T1'''
'''3''' : 0
kt Rolster (3위)
OOO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2017 서머
'''Longzhu Gaming'''
'''3''' : 1
SKT T1 (4위)
OOXO
서울 잠실 학생체육관
2018 스프링
'''KING-ZONE DragonX'''
'''3''' : 1
Afreeca Freecs (2위)
XOOO
부산 사직 실내체육관
2018 서머
'''kt Rolster'''
'''3''' : 2
Griffin (2위)
XOXOO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2019 스프링
Griffin
0 : '''3'''
'''SKT T1''' (2위)
OOO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
2019 서머
Griffin
1 : '''3'''
'''SKT T1''' (4위)
OOXO
서울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2020 스프링
Gen.G Esports
0 : '''3'''
'''T1''' (2위)
OOO
서울 LoL PARK
2020 서머
'''DAMWON Gaming'''
'''3''' : 0
DRX(2위)
OOO
온라인
시즌
4강 PO 1경기 승리팀
(정규시즌 순위)

결과
4강 PO 2경기 승리팀
(정규시즌 순위)

스코어
(우승 팀 기준)

장소
2021 스프링
(위)
:
(위)


2012 스프링부터 2020 서머까지 20시즌 동안 결승전과 관련된 기록 일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결승전은 서울에서 가장 많이 열렸지만(11회), 장소로만 따지면 일산 KINTEX와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이 3회로 가장 많이 열렸다.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으로 결승전을 진행한 적도 있었다.
  • 결승전 스코어는 3대0(스윕)이 10회, 3대1이 5회, 3대2가 5회가 나왔다. 2연패 후 3연승한 리버스 스윕은 2회(2012 서머, 2013 서머)가 나왔다. 정규시즌 1위팀이 직행하여 결승전에서 대기하는 리그제 전환 후의 결승전에서는 3대0이 6회, 3대1이 4회, 3대2가 3회가 있었으며,[4] 리버스 스윕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 1세트 패배팀이 우승한 경우는 4회로 20%(4/20)밖에 되지 않는다. 1,2세트를 패배해야 가능한 리버스 스윕을 제외하면 2회(2018 스프링, 2018 서머) 뿐이다.
  • 토너먼트 시스템 하에서 진행된 8번의 결승전에서는 4강 A조 승리팀이 5번, 4강 B조 승리팀이 3번 우승했다. SKT T1 K가 2시즌 연속 우승으로 최다 우승팀이 되었고, CJ Entus Frost가 2회로 최다 준우승을 기록했다.
  • 정규시즌 1위팀 결승 직행 체제에서 진행된 12번의 결승전에서는 정규시즌 1위팀이 7번, 플레이오프 진출팀이 5번 우승했다. 우승한 플레이오프 진출팀의 정규시즌 순위는 2위 3번, 3위 1번, 4위 1번이며, 모두 T1이 달성했다. 통합우승 7회 중 2회를 성공한 팀은 T1,DRX로 유일하게 DRX가 2시즌 연속 통합우승에 성공했다. 최다 우승팀은 T1이 7번 기록하고, 최다 준우승팀은 kt와 그리핀이 3회를 기록했는데 여기서 그리핀이 3연속 준우승으로 최다 연속 준우승 기록을 달성했다.
  • 와일드카드전에서 시작한 팀이 결승 진출에 성공한 경우는 2회(2017 서머, 2019 서머)로, 모두 T1이 달성했다. 이 중 우승한 경우는 1회(2019 서머)이다.
  • 양대 통신사 팀인 T1과 kt는 결승전에 가장 많이 진출한 횟수 1위와 2위 기록을 가지고 있다. T1은 10번(리그제 전환 후 8번), kt는 6번(리그제 전환 후 4번) 결승전에 올랐으며, 서로 맞붙은 경우도 3번(리그제 전환 후 2번)이나 된다. 특히 리그제 전환 후 통신사 팀이 어느 쪽도 올라오지 않은 건 단 2번 뿐이다.

2.2. 역대 LCK 결승 기록


역대 결승 진출 팀들의 기록은 아래와 같다. 리그 시스템 변화 전후를 기준으로 두 행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팀'''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T1'''
'''9회'''
'''1회'''
2013 서머(SKT T1)
2013-14 윈터(SKT T1 K)
-
2015 스프링(SKT T1), 2015 서머(SKT T1)
2016 스프링(SKT T1), 2017 스프링(SKT T1)
2019 스프링(SKT T1), 2019 서머(SKT T1)
2020 스프링
2017 서머(SKT T1)
kt Rolster
2회
4회
2014 서머(kt Rolster Arrows)
2013 서머(kt Rolster Bullets)
2018 서머
2015 서머, 2016 서머, 2017 스프링
CJ ENTUS
[해체]
2회
3회
2012 스프링(Mig Blaze)
2012 서머(Azubu Frost)
2012 스프링(Mig Frost)
2012-2013 윈터(Azubu Frost)
2013 스프링(CJ Entus Blaze)
-
-
Gen.G Esports
2회
3회
2013 스프링(MVP Ozone)
2014 스프링(Samsung Galaxy Blue)
2013-2014 윈터(Samsung Galaxy Ozone)
2014 서머(Samsung Galaxy Blue)
-
2020 스프링
DRX
2회
1회
-
-
2017 서머(Longzhu Gaming)
2018 스프링(KING-ZONE DragonX)
2020 서머
Hanwha Life Esports
1회
2회
-
-
2016 서머(ROX Tigers)
2015 스프링(GE Tigers)
2016 스프링(ROX Tigers)
Fredit BRION
1회
1회
2012-2013 윈터(NaJin Black Sword)
2014 스프링(NaJin White Shield)
-
-
DWG KIA
1회
-
-
-
2020 서머(DAMWON Gaming)
-
Griffin[해체]
-
3회
-
-
-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CLG Europe
-
1회
-
2012 서머
-
-
Afreeca Freecs
-
1회
-
-
-
2018 스프링
결승전 진출팀의 주요 기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T1은 최다 결승 진출(10회) 및 최다 우승 기록(9회)을 가지고 있다. 특히 리그 체제 전환 후 우승 횟수(7회)가 압도적이다.
  • kt Rolster는 최다 준우승 기록(4회)을 가지고 있으며, 리그 체제 전환 이전과 이후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모두 기록한 유일한 팀이다.
  • Gen.G는 리그 체제 전환이 있었던 2015년 팀 개편 후 롤드컵 준우승(2016년)과 우승(2017년)을 거두었지만, LCK 우승 기록이 없다.
  • LCK 진출팀의 첫 시즌 최고 성적은 준우승으로 2015 스프링의 GE Tigers와 2018 서머의 그리핀이 기록하였다.
  • CLG Europe는 유일하게 등재된 외국팀이며 리버스 스윕을 당했기 때문에 우승도 가능했었다.
  • DWG KIA는 LCK의 리그제 개편 이후 최초로 챌린저스에서 승격한 팀이 우승한 팀이다.
  • 현재 참가팀 중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없는 팀은 Liiv SANDBOX와 NONGSHIM RED FORCE으로 롤드컵 참가 기록도 없다.

3. 역대 LCK 어워드



3.1. 역대 LCK 정규시즌/포스트시즌 MVP


  • LCK의 세트별 MVP는 2012 서머부터 도입되었으며, 2012-13 윈터부터 이 MVP에 점수를 부여하여 시즌 종료 시 합산한 점수로 MVP를 선정한다.
    • 2012-2013 윈터에서는 12강 : 100점 / 8강 : 200점 / 4강, 3-4위전 : 300점 / 결승 : 500점을 수여한다.
    • 2013 스프링부터 2014 서머까지 12강 : 100점 / 8강 : 150점 / 4강, 3-4위전 : 200점 / 결승 : 300점을 수여한다.
    • 풀 리그로 정규시즌이 진행되는 2015 스프링부터는 세트별 MVP에게 100점씩 수여한다.
'''시즌'''
'''수상자'''
'''아이디'''
'''소속팀'''
'''포지션'''
'''점수'''
2012-13 윈터
윤하운
MaKNooN
NaJin Sword
TOP
1900
2013 스프링
배어진
Dade
MVP Ozone
MID
900
2013 서머
이상혁
Faker
SKT T1
MID
950
2013-14 윈터
이상혁
Faker
SKT T1 K
MID
1000
2014 스프링
배어진
Dade
Samsung Galaxy Blue
MID
850
2014 서머
이병권
KaKAO
kt Rolster Arrows
JGL
1050
  • 2015 스프링부터 정규시즌 MVP와 포스트시즌 MVP를 별도로 수상하게 되었다. 동일하게 점수를 합산하여 포스트시즌 MVP를 선정한다.
    • 결승을 제외한 포스트시즌 세트 MVP에 100점, 결승전 세트 MVP에게 300점을 수여한다.
    • 1위 팀에서 나오지 않을 수 있는 정규시즌 MVP와 다르게 포스트시즌 MVP의 경우는 결승전 세트 비중이 높기 때문에 구조상 높은 확률로 우승팀에서 포스트시즌 MVP에서 나오게 된다.
'''시즌'''
'''수상자'''
'''아이디'''
'''소속팀'''
'''포지션'''
'''점수'''
'''소속팀 순위'''
2015 스프링
정규시즌
이호성
Duke
NaJin e-mFire
TOP
1000
6위
포스트시즌
이지훈
Easyhoon
SKT T1
MID
600
2위(우승)
2015 서머
정규시즌
김찬호
Ssumday
kt Rolster
TOP
1400
2위(준우승)
포스트시즌
이상혁
Faker
SKT T1
MID
600
1위(우승)
2016 스프링
정규시즌
송경호
Smeb
ROX Tigers
TOP
1400
1위(준우승)
포스트시즌
이호성
Duke
SKT T1
TOP
500
3위(우승)
2016 서머
정규시즌
송경호
Smeb
ROX Tigers
TOP
1200
1위(우승)
포스트시즌
이서행
Kuro
ROX Tigers
MID
600
1위(우승)
2017 스프링
정규시즌
이민호
Crown
Samsung Galaxy
MID
1300
2위(3위)
포스트시즌
한왕호
Peanut
SKT T1
JGL
600
1위(우승)
2017 서머
정규시즌
이서행
Kuro
Afreeca Freecs
MID
1300
5위(5위)
곽보성
Bdd
Longzhu Gaming
MID
1300
1위(우승)
포스트시즌
김동하
Khan
Longzhu Gaming
TOP
600
1위(우승)
2018 스프링
정규시즌
곽보성
Bdd
KING-ZONE DragonX
MID
1100
1위(우승)
포스트시즌
김종인
PraY
KING-ZONE DragonX
ADC
900
1위(우승)
2018 서머
정규시즌
김동하
Khan
KING-ZONE DragonX
TOP
1100
3위(4위)
포스트시즌
고동빈
Score
kt Rolster
JGL
600
1위(우승)
2019 스프링
정규시즌
정지훈
Chovy
Griffin
MID
1300
1위(준우승)
포스트시즌
박진성
Teddy
SKT T1
BOT
800
2위(우승)
2019 서머
정규시즌
김건부
Canyon
DAMWON Gaming
JGL
1000
2위(3위)
포스트시즌
김태민
Clid
SKT T1
JGL
900
4위(우승)
  • 2020 스프링부터 아래와 같이 변화가 생겼다.
    • 경기별 MVP가 Player of the Game으로 변경되었다. Player of the Game은 국내 해설/해외 해설/분석 데스크/옵저버/미디어의 투표로 선정되며, 투표 결과가 매번 공개된다.[5] 득표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하면 캐스팅보드 3명(분석 데스크 2명, 옵저버 1명)이 누구에게 투표했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도 동일하면 재투표로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정규 시즌 종료 후 Player of the Game을 가장 많이 받은 선수에게 자동적으로 Player of the Split을 시상하는데, 이전의 정규시즌 MVP와 동일한 방식인 셈이다.
    • Player of the Split과 별개로 정규시즌 전체의 MVP를 따로 선발한다.
      • 정규시즌 종료 후 선정단이 기명으로 투표하여 선발하며 투표 결과는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선정단은 1) 국내 해설진 전원과 분석데스크 전원 2) 해외 캐스터와 해설진 전원 3) 리그 옵저버 전원과 작가 4) 해당 시즌 LCK에 참가했던 각 팀의 감독 및 선수 1명(주장이 아니어도 됨) 5) 취재 기자로 구성된다.
      • 선정단이 자격을 갖춘 대상자들 중에서 각자 상위 5명을 선발한 것을 토대로 1위에 5pt, 2위에 4pt, 3위에 3pt, 4위에 2pt, 5위에 1pt를 부여한 뒤, 이를 합산해서 최고 득점자를 MVP로 선발한다. 단, 각 팀의 감독 및 선수는 자기 팀 선수에게 투표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시즌 선정단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고 점수는 (선정단 인원수 - 해당 팀 감독 - 해당 팀 선수 인원) X 5pt가 된다.
      • 정규시즌 MVP 후보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시즌에 최소 18세트 이상 참가해야 한다.
    • 포스트시즌 MVP는 파이널 MVP로 변경되어 Play of the Game와 동일한 방식으로 선정하되, 결승전 전체 경기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시상한다.
'''시즌'''
'''수상자'''
'''아이디'''
'''소속팀'''
'''포지션'''
'''점수'''
'''소속팀 순위'''
'''비고'''
2020 스프링
Player of the Split
곽보성
Bdd
Gen.G Esports
MID
1200
1위(준우승)
1st Team
정규시즌 MVP #
곽보성
Bdd
Gen.G Esports
MID
137pt
1위(준우승)
파이널 MVP
문우찬
Cuzz
T1
JGL
8/10
2위(우승)
2nd Team
2020 서머
Player of the Split
곽보성
Bdd
Gen.G Esports
MID
1300
3위(3위)
3rd Team
정규시즌 MVP #
허수
ShowMaker
DAMWON Gaming
MID
163pt
1위(우승)
1st Team
파이널 MVP
장하권
Nuguri
DAMWON Gaming
TOP
5/9
1위(우승)
1st Team
2021 스프링
Player of the Split





위(위)

정규시즌 MVP




pt
위()

파이널 MVP




/
위()

2020 스프링 시즌 종료 시점에서 주요 기록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 정규시즌 MVP이 속한 팀과 포스트시즌 MVP이 속한 팀이 일치한 경우는 3번 뿐이다(2016 서머, 2017 서머, 2018 스프링) 포스트시즌 MVP는 결승전에서의 높은 가중치 때문에 우승팀에서 나오는 걸 감안하면, 정규시즌 MVP가 우승팀에서 나오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 정규시즌 MVP는 1번(2015 스프링)을 제외하고 모두 포스트시즌 진출팀에서 배출되었다.
  • 정규시즌 MVP를 많이 수상한 선수는 곽보성(2017 서머, 2018 스프링, 2020 스프링)로 3회가 최다이다. 포스트시즌 MVP는 아직 다회 수상자가 없다.
  • 가장 높은 정규시즌 MVP 획득 포인트는 1400점으로 2015 서머의 김찬호와 2016 스프링의 송경호가 기록하였다. 포스트시즌 MVP의 경우는 2018 스프링의 김종인과 2019 서머의 김태민이 기록한 900점이다.
  • 정규시즌 MVP와 포스트시즌 MVP를 모두 수상한 선수는 아래의 4명 뿐이다. 다만 이상혁은 포스트시즌 MVP가 등장한 2015 스프링 이후로 정규시즌 MVP를 받은 기록이 없는지라 그에 준하는 기록인 시즌 MVP로 대체되었다.
    • 이상혁(※) : 시즌 MVP - 2013 서머, 2013-14 윈터 / 포스트시즌 MVP - 2015 서머
    • 이호성 : 정규시즌 MVP - 2015 스프링 / 포스트시즌 MVP - 2016 스프링
    • 이서행 : 정규시즌 MVP - 2017 서머 / 포스트시즌 MVP - 2016 서머
    • 김동하 : 정규시즌 MVP - 2018 서머 / 포스트시즌 MVP - 2017 서머
2세트 연속 MVP는 제법 많기 때문에 3세트 연속 기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첫 3세트 연속 MVP : 정민성 / (2012 서머)
- 윤경섭(2012 윈터), 이재완(2014 서머), 손영민(2015 서머), 김찬호(2015 서머, 2016 서머), 이상혁(2015 서머), 강찬용(2016 스프링), 한왕호(2016 서머), 이동우(2016 서머) 등
  • 첫 4세트 연속 MVP : 최인석 / 2012-2013 윈터
- 홍민기(2015 스프링), 이재완(2015 서머), 여창동(2016 스프링), 송경호(2016 서머)
  • 첫 5세트 연속 MVP : 문우찬 / 2019 스프링
Player of the Game 도입 이후 첫 만장일치(12표 중 12표)는 김장겸이 기록하였다.(2020 스프링 3경기 2세트)

3.2. 역대 ALL LCK Team


2020 스프링부터 다른 메이저 지역 리그와 동일하게 정규시즌 기준으로 해당 시즌의 각 포지션별 최고의 선수를 1위부터 3위까지 선발하게 되었다.
  • 정규시즌이 종료한 후, 선정단이 기명으로 투표하여 선발하며 투표 결과는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선정단은 1) 국내 해설진 전원과 분석데스크 전원 2) 해외 캐스터와 해설진 전원 3) 리그 옵저버 전원과 작가 4) 해당 시즌 LCK에 참가했던 각 팀의 감독 및 선수 1명(주장이 아니어도 됨) 5) 취재 기자로 구성된다.
  • 선정단이 자격을 갖춘 대상자들 중에서 각자 포지션별 상위 5명을 선발한 것을 토대로 1위에 5pt, 2위에 4pt, 3위에 3pt, 4위에 2pt, 5위에 1pt를 부여한 뒤, 이를 합산해서 포지션별 상위 3명을 선발한다. 단, 각 팀의 감독 및 선수는 자기 팀 선수에게 투표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시즌 선정단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고 점수는 (선정단 인원수 - 해당 팀 감독 - 해당 팀 선수 인원) X 5pt가 된다.
'''순위'''
'''포지션'''
'''이름'''
'''ID'''
'''소속팀'''
'''점수'''
'''팀 성적(최종)'''
'''비고'''
'''2020 스프링''' # (선정단 39명/최고 점수 185pt)
'''1st'''
'''TOP'''
'''장하권'''
'''Nuguri'''
DAMWON Gaming
136pt
5위(4위)
-
'''JGL'''
'''김태민'''
'''Clid'''
Gen.G Esports
171pt
1위(준우승)
-
'''MID'''
'''곽보성'''
'''Bdd'''
Gen.G Esports
155pt
1위(준우승)
Player of the Split
정규시즌 MVP
'''BOT'''
'''박진성'''
'''Teddy'''
T1
161pt
2위(우승)
-
'''SPT'''
'''류민석'''
'''Keria'''
DRX
'''182pt'''
3위(3위)
Young Player
2nd
TOP
김광희
Rascal
Gen.G Esports
114pt
1위(준우승)
-
JGL
문우찬
Cuzz
T1
125pt
2위(우승)
파이널 MVP
MID
정지훈
Chovy
DRX
150pt
3위(3위)
-
BOT
김하람
Aiming
kt Rolster
116pt
4위(5위)
-
SPT
이상호
Effort
T1
98pt
2위(우승)
-
3rd
TOP
최현준
Doran
DRX
93pt
3위(3위)
-
JGL
김기범
bonO
kt Rolster
100pt
4위(5위)
-
MID
이상혁
Faker
T1
131pt
2위(우승)
-
BOT
김혁규
Deft
DRX
104pt
3위(3위)
-
SPT
김정민
Life
Gen.G Esports
95pt
1위(준우승)
-
'''2020 서머''' # (선정단 40명/최고 점수 190pt)
'''1st'''
'''TOP'''
'''장하권'''
'''Nuguri'''
DAMWON Gaming
186pt
1위(우승)
파이널 MVP
'''JGL'''
'''김건부'''
'''Canyon'''
DAMWON Gaming
'''188pt'''
1위(우승)
'''역대 최다 득점'''[6]
'''MID'''
'''허수'''
'''ShowMaker'''
DAMWON Gaming
177pt
1위(우승)
정규시즌 MVP
Young Player
'''BOT'''
'''박재혁'''
'''Ruler'''
Gen.G Esports
178pt
3위(3위)
-
'''SPT'''
'''조건희'''
'''BeryL'''
DAMWON Gaming
177pt
1위(우승)
-
2nd
TOP
김창동
Canna
T1
137pt
4위(5위)
-
JGL
김태민
Clid
Gen.G Esports
138pt
3위(3위)
-
MID
정지훈
Chovy
DRX
135pt
2위(준우승)
-
BOT
장용준
Ghost
DAMWON Gaming
122pt
1위(우승)
-
SPT
류민석
Keria
DRX
144pt
2위(준우숭)
-
3rd
TOP
김광희
Rascal
Gen.G Esports
114pt
3위(3위)
-
JGL
문우찬
Cuzz
T1
106pt
4위(5위)
-
MID
곽보성
Bdd
Gen.G Esports
130pt
3위(3위)
Player of the Split
BOT
김혁규
Deft
DRX
110pt
2위(준우승)
-
SPT
김정민
Life
Gen.G Esports
121pt
3위(3위)
-
2021 스프링
'''1st'''
'''TOP'''



pt
위(-)
-
'''JGL'''



pt
위(-)
-
'''MID'''



pt
위(-)
-
'''BOT'''



pt
위(-)
-
'''SPT'''



pt
위(-)
-
2nd
TOP



pt
위(-)
-
JGL



pt
위(-)
-
MID



pt
위(-)
-
BOT



pt
위(-)
-
SPT



pt
위(-)
-
3rd
TOP



pt
위(-)
-
JGL



pt
위(-)
-
MID



pt
위(-)
-
BOT



pt
위(-)
-
SPT



pt
위(-)
-

3.3. 역대 LCK Rookie of The Year 및 Best Coach


2020 스프링부터 Young Player와 Best Coach를 선발하게 되었다.
  • Young Player는 만 19세 이하의 선수에게만 주어지는 상으로 다른 스포츠의 신인왕과는 약간 다르다. LCK는 만 17세부터 엔트리에 등록 가능하기 때문에 시상 대상은 만 17세부터 만 19세까지가 된다. 다만 단순히 나이만으로 자격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1) 해당 시즌 시작 시점 기준에서 만 19세 이하이며 2) 해당 시즌에 최소 18세트에 참가해야만 후보 자격을 갖추게 된다.
  • Best Coach는 코치 및 감독(Head Coach)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코치라 하더라도 제일 많은 점수를 받았다면 수상할 수 있다.
  • Young Player와 Best Coach 선정에 필요한 점수는 아래와 같이 취합한다.
    • 정규시즌 종료 후 선정단이 기명으로 투표하여 선발하며 투표 결과는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선정단은 1) 국내 해설진 전원과 분석데스크 전원 2) 해외 캐스터와 해설진 전원 3) 리그 옵저버 전원과 작가 4) 해당 시즌 LCK에 참가했던 각 팀의 감독 및 선수 1명(주장이 아니어도 됨) 5) 취재 기자로 구성된다.
    • 선정단이 자격을 갖춘 대상자들 중에서 각자 상위 5명을 선발한 것을 토대로 1위에 5pt, 2위에 4pt, 3위에 3pt, 4위에 2pt, 5위에 1pt를 부여한 뒤, 이를 합산해서 최고 득점 선수를 Young Player, 코치를 Best Coach로 선발한다. 단, 각 팀의 감독 및 선수는 자기 팀 선수/코치에게 투표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시즌 선정단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고 점수는 (선정단 인원수 - 해당 팀 감독 - 해당 팀 선수 인원) X 5pt가 된다.
'''Young player'''
'''시즌'''
'''이름'''
'''ID'''
'''소속팀'''
'''포지션'''
'''점수'''
'''팀 성적(최종)'''
'''비고'''
2020 스프링
#
류민석
Keria
DragonX
SPT
157pt
3위(3위)
1st Team
2020 서머
#
허수[7]
ShowMaker
DAMWON Gaming
MID
167pt
1위(우승)
1st Team
2021년부터 아래와 같이 변화가 생겼다.
  • Young Player가 Rookie of The Year로 변경되었다. Rookie of The Year는 LCK 로스터 등록 시점 기준 2년 차까지 스프링과 서머 모두를 통틀어 정규 리그 18세트 이상 참여한 선수로 자격 요건이 변경되었고, 한 번이라도 이전 년도의 Rookie of The Year 후보군에 들었던 적이 있거나 해외 리그 로스터 등록 기록이 있을 경우 시상에서 제외된다. 나이 제한을 없애고 후보 자격을 강화하여, 타 스포츠의 신인왕과 유사해졌다. 또한 스플릿 당 1회 시상에서 연 1회 시상으로 변경되었다.
  • Best Coach 역시 스플릿 당 1회 시상에서 연 1회 시상으로 변경되었다.
'''Rookie of The Year'''
'''시즌'''
'''이름'''
'''ID'''
'''소속팀'''
'''직책'''
'''점수'''
'''시즌 성적'''
2021





pt
스프링
위(-)
서머
위(-)
기타

'''Best Coach'''
'''시즌'''
'''이름'''
'''ID'''
'''소속팀'''
'''직책'''
'''점수'''
'''팀 성적(최종)'''
2020 스프링
#
김정수
Kim
T1
감독
131pt
2위(우승)
2020 서머
#
이재민
Zefa
DAMWON Gaming
감독
167pt
1위(우승)
2021





pt
스프링
위(-)
서머
위(-)
기타


3.4. 역대 LCK 포지션별 KDA 챔피언


2012-13 윈터부터 포지션별 KDA 1위를 뽑아 시상하고 있으며, 수상자들에겐 각각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2014 서머까지는 전 경기를 대상으로 시상했으나, 리그제로 변경된 2015 스프링부터는 정규시즌 경기만 대상으로 하여 시상하였다. 2020 스프링부터는 따로 시상하지 않게 되었다.
[ 역대 LCK 포지션별 KDA 챔피언 (2012~2014) 펼치기 · 접기 ]
'''2012-2013 윈터'''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박상면
(Shy)
Azubu Frost
3.9
'''JGL'''
조재걸
(Watch)
Najin Sword
5.1
'''MID'''
김상수
(SSONG)
Najin Sword
5.6
'''ADC'''
고동빈
(Score)
kt Rolster B
9.8
'''SPT'''
장누리
(Cain)
Najin Sword
7.2
'''2013 스프링'''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이호종
(Flame)
CJ Entus Blaze
4.0
'''JGL'''
최인규
(DanDy)
MVP Ozone
4.6
'''MID'''
배어진
(dade)
MVP Ozone
5.6
'''ADC'''
구승빈
(Imp)
MVP Ozone
7.1
'''SPT'''
조세형
(Mata)
MVP Ozone
5.4
'''2013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최인석
(inSec)
kt Rolster Bullets
5.9
'''JGL'''
배성웅
(Bengi)
SK telecom T1 #2
6.4
'''MID'''
이상혁
(Faker)
SK telecom T1 #2
4.9
'''ADC'''
채광진
(Piglet)
SK telecom T1 #2
7.6
'''SPT'''
이정현
(PoohManDu)
SK telecom T1 #2
4.8
'''2013-2014 윈터'''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장형석
(Looper)
Samsung Galaxy Ozone
7.3
'''JGL'''
최인규
(DanDy)
Samsung Galaxy Ozone
4.6
'''MID'''
이상혁
(Faker)
SK telecom T1 K
7.0
'''ADC'''
채광진
(Piglet)
SK telecom T1 K
10.4
'''SPT'''
이정현
(PoohManDu)
SK telecom T1 K
6.8
'''2014 스프링'''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최천주
(Acorn)
Samsung Galaxy Blue
5.9
'''JGL'''
이다윤
(Spirit)
Samsung Galaxy Blue
5.4
'''MID'''
허원석
(Pawn)
Samsung Galaxy Ozone
5.6
'''ADC'''
김혁규
(Deft)
Samsung Galaxy Blue
5.1
'''SPT'''
이관형
(Heart)
Samsung Galaxy Blue
6.3
'''2014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장형석
(Looper)
Samsung Galaxy White
5.9
'''JGL'''
최인규
(DanDy)
Samsung Galaxy White
6.0
'''MID'''
이지훈
(Easyhoon)
SK telecom T1 S
4.8
'''ADC'''
노동현
(Arrow)
kt Rolster Arrows
4.7
'''SPT'''
조세형
(Mata)
Samsung Galaxy White
5.4

'''SPT'''
조세형
(Mata)
Samsung Galaxy White
5.4
}}}
[ 역대 LCK 포지션별 KDA 챔피언 (2015 스프링 이후) 펼치기 · 접기 ]
'''2015 스프링'''
'''2015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송경호
(Smeb)
GE Tigers
5.4
김찬호
(Ssumday)
kt Rolster
5.2
'''JGL'''
이상현
(Chaser)
Jin Air Greenwings
4.7
고동빈
(Score)
kt Rolster
5.7
'''MID'''
이서행
(Kuro)
GE Tigers
5.0
이서행
(Kuro)
KOO Tigers
6.0
'''ADC'''
김종인
(PraY)
GE Tigers
7.8
노동현
(Arrow)
kt Rolster
7.2
'''SPT'''
이재완
(Wolf)
SK telecom T1
5.7
이재완
(Wolf)
SK telecom T1
7.2
'''2016 스프링'''
'''2016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송경호
(Smeb)
ROX Tigers
5.4
송경호
(Smeb)
ROX Tigers
4.8
'''JGL'''
한왕호
(Peanut)
ROX Tigers
6.1
고동빈
(Score)
kt Rolster
7.0
'''MID'''
이서행
(Kuro)
ROX Tigers
7.2
이서행
(Kuro)
ROX Tigers
6.5
'''ADC'''
김종인
(PraY)
ROX Tigers
6.5
배준식
(Bang)
SK telecom T1
6.3
'''SPT'''
강범현
(GorillA)
ROX Tigers
5.7
이재완
(Wolf)
SK telecom T1
4.2
'''2017 스프링'''
'''2017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허승훈
(Huni)
SK telecom T1
5.1
송경호
(Smeb)
kt Rolster
4.3
'''JGL'''
한왕호
(Peanut)
SK telecom T1
5.1
고동빈
(Score)
kt Rolster
7.1
'''MID'''
이상혁
(Faker)
SK telecom T1
4.7
곽보성
(Bdd)
Longzhu Gaming
11.3
'''ADC'''
배준식
(Bang)
SK telecom T1
6.5
김혁규
(Deft)
kt Rolster
5.8
'''SPT'''
이재완
(Wolf)
SK telecom T1
5.5
조세형
(Mata)
kt Rolster
5.0
'''2018 스프링'''
'''2018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김동하
(Khan)
KING-ZONE Dragon X
6.0
송경호
(Smeb)
kt Rolster
4.7
'''JGL'''
한왕호
(Peanut)
KING-ZONE Dragon X
8.5
이승용
(Tarzan)
Griffin
6.5
'''MID'''
곽보성
(Bdd)
KING-ZONE Dragon X
7.6
정지훈
(Chovy)
Griffin
9.1
'''ADC'''[57] '''/''' '''BOT'''[58]
배준식
(Bang)
SK telecom T1
9.6
박도현
(Viper)
Griffin
7.0
'''SPT'''
조세형
(Mata)
kt Rolster
6.2
손시우
(Lehends)
Griffin
5.9
'''2019 스프링'''
'''2019 서머'''
'''포지션'''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선수
(ID)'''
'''당시 소속 팀'''
'''KDA'''
'''TOP'''
김동하
(Khan)
SK telecom T1
4.1
최성원
(Sword)
Griffin
4.0
'''JGL'''
이승용
(Tarzan)
Griffin
9.1
이승용
(Tarzan)
Griffin
6.2
'''MID'''
정지훈
(Chovy)
Griffin
10.7
허수
(ShowMaker)
DAMWON Gaming
7.2
'''BOT'''
박도현
(Viper)
Griffin
8.7
박도현
(Viper)
Griffin
8.4
'''SPT'''
손시우
(Lehends)
Griffin
8.3
손시우
(Lehends)
Griffin
5.9

'''SPT'''
손시우
(Lehends)
Griffin
8.3
손시우
(Lehends)
Griffin
5.9
}}}

4. 역대 LCK 우승팀 로스터


역대 우승팀이 해당 시즌 결승전 진행 당시 제출한 로스터를 정리한 표이다. ID가 현재 사용한 것과 다른 경우는 우승 당시의 ID를 그대로 적었다.
'''시즌'''
'''TOP'''
'''Jungle'''
'''MID'''
'''AD Carry / Bottom'''
'''Support'''
'''2012 스프링'''
MiG Blaze
복한규 FantasyStar
신동진 Helios
강찬용 Ambition
강형우 Captain Jack
함장식 Lustboy
'''2012 서머'''
Azubu Frost
박상면 Shy
이현우 CloudTemplar
정민성 RapidSTAR
장건웅 Woong
홍민기 MadLife
'''2012-2013 윈터'''
NaJin Black Sword
윤하운 MakNooN
조재걸 Watch
김상수 SSong
김종인 PraY
장누리 Cain
'''2013 스프링'''
MVP Ozone
윤성영 Homme
최인규 Dandy
배어진 Dade
구승빈 imp
조세형 Mata
'''2013 서머'''
SKT T1
정언영 Impact
배성웅 Bengi
이상혁 Faker
채광진 Piglet
이정현 PoohManDu
'''2013-2014 윈터'''
SKT T1 K
정언영 Impact
배성웅 Bengi
이상혁 Faker
채광진 Piglet
이정현 PoohManDu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최천주 Acorn
이다윤 Spirit
배어진 Dade
김혁규 Deft
이관형 Heart
'''2014 서머'''
kt Rolster Arrows
김찬호 Ssumday
이병권 KaKAO
송의진 Rookie
노동현 Arrow
하승찬 Hachani
'''2015 스프링'''
SKT T1
장경환 MaRin
배성웅 Bengi
임재현 Tom
이상혁 Faker
이지훈 Easyhoon
배준식 Bang
이재완 Wolf
이종범 Piccaboo
'''2015 서머'''
SKT T1
장경환 MaRin
배성웅 Bengi
임재현 Tom
이상혁 Faker
이지훈 Easyhoon
배준식 Bang
이재완 Wolf
'''2016 스프링'''
SKT T1
이호성 Duke
배성웅 Bengi
강선구 Blank
이상혁 Faker
배준식 Bang
이재완 Wolf
'''2016 서머'''
Rox Tigers
송경호 Smeb
한왕호 Peanut
이서행 Kuro
해성민 Cry
김종인 PraY
강범현 GorilA
'''2017 스프링'''
SKT T1
허승훈 Huni
김준형 Profit
한왕호 Peanut
강선구 Blank
이상혁 Faker
김하늘 Sky
배준식 Bang
이재완 Wolf
'''2017 서머'''
Longzhu Gaming
김동하 Khan
김광희 Rascal
문우찬 Cuzz
곽보성 Bdd
윤석준 Justice
김종인 PraY
이우진 Lucy
강범현 GorilA
장준수 Zzus
'''2018 스프링'''
KING-ZONE DragonX
김동하 Khan
[8]
한왕호 Peanut
문우찬 Cuzz
곽보성 Bdd
김종인 PraY
강범현 GorilA
'''2018 서머'''
kt Rolster
송경호 Smeb
황성훈 Kingen
고동빈 Score
이윤재 Rush
손우현 Ucal
허원석 PawN
김혁규 Deft
조세형 Mata
최상인 Mia
'''2019 스프링'''
SKT T1
김동하 Khan
김재희 Crazy
김태민 Clid
강민승 Haru
이상혁 Faker
박진성 Teddy
한겨레 Leo
조세형 Mata
이상호 Effort
'''2019 서머'''
SKT T1
김동하 Khan
김재희 Crazy
김태민 Clid
강민승 Haru
이상혁 Faker
김태우 Gori
박진성 Teddy
한겨레 Leo
이상호 Effort
조세형 Mata
'''2020 스프링'''
T1
김창동 Canna
김강희 Roach
문우찬 Cuzz
최엘림 Ellim
이상혁 Faker
김태우 Gori
박진성 Teddy
이민형 Gumayusi
이상호 Effort
최원영 Kuri
'''2020 서머'''
DAMWON Gaming
장하권 Nuguri
이호종 Flame
김건부 Canyon
허수 ShowMaker
장용준 Ghost
신정현 Nuclear
조건희 BeryL
류호성 Hoit
'''2021 스프링'''







4.1. 우승자 관련 기록


2012 스프링부터 2019 서머까지 18시즌 동안 LCK 우승자와 관련된 기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포지션별 우승자
밑줄은 서브 멤버를 의미한다.
  • 탑 - 20명(복한규, 박상면, 윤하운, 윤성영, 정언영, 최천주, 김찬호, 장경환, 이호성, 송경호, 허승훈, 김준형, 김동하, 김광희, 황성훈, 김재희, 김창동, 김강희, 장하권, 이호종)
다회 우승자 : 4회 우승 - 김동하 / 2회 우승 - 정언영, 장경환, 송경호, 김재희
다회 우승 횟수가 2회로 다섯 포지션 중에서 가장 적었지만 김동하가 17년 서머부터 19년 서머 5시즌 동안 4회 우승하면서 다른 포지션만큼의 다회 우승 횟수를 기록하게 되었다. 우승팀 로스터에 들어간 인물이 가장 많으며 LCK 최고령 우승자(이호종)를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이다.
  • 정글 - 17명(신동진, 이현우, 조재걸, 최인규, 배성웅, 이다윤, 이병권, 임재현, 강선구, 한왕호, 문우찬, 고동빈, 이윤재, 김태민, 강민승, 최엘림, 김건부)
다회 우승자 : 5회 우승 - 배성웅 / 3회 우승 - 한왕호, 문우찬 / 2회 우승 - 임재현, 강선구, 김태민, 강민승
서브 멤버로 가장 많이 두는 포지션인지라 LCK에서 이상혁 다음으로 두번째로 많이 우승한 배성웅을 비롯, 3회의 한왕호/문우찬, 2회의 임재현/강선구/김태민 등 다회 우승자가 가장 많은 포지션이기도 하다.
  • 미드 - 16명(강찬용, 정민성, 김상수, 배어진, 이상혁, 송의진, 이지훈, 이서행, 해성민, 김하늘, 곽보성, 윤석준, 손우현, 허원석, 김태우, 허수)
다회 우승자 : 9회 우승 - 이상혁 / 2회 우승 - 배어진, 이지훈, 곽보성, 김태우
LCK 최다/최연소 우승자인 이상혁을 보유하고 있는 포지션이며, 이상혁과 2위권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그래서 LCK의 모든 미드라이너는 LCK 터줏대감이기도 한 그를 어떻게든 뛰어넘거나 그와 함께해야만 우승 횟수를 늘릴 수 있다.
  • 원딜 - 14명(강형우, 장건웅, 김종인, 구승빈, 채광진, 김혁규, 노동현, 배준식, 이우진, 박진성, 한겨레, 이민형, 장용준, 신정현)
다회 우승자 : 4회 우승 - 김종인, 배준식 / 3회 우승 - 박진성 / 2회 우승 - 채광진, 김혁규, 한겨레
포지션 상 팀의 핵심이기 때문에 서브 멤버를 두는 경우가 거의 없는지라 2019 스프링에서야 10명을 겨우 넘기게 되었다. 최다 우승자가 김종인(우승 4회, 준우승 2회)과 배준식(우승 4회, 준우승 1회)으로 둘이나 있고, 그 외의 다회 우승자는 3회 우승의 박진성, 2회 우승의 채광진, 김혁규, 한겨레까지 6명이다.
  • 서포터 - 16명(함장식, 홍민기, 장누리, 조세형, 이정현, 이관형, 하승찬, 이재완, 이종범, 강범현, 장준수, 최상인, 이상호, 최원영, 조건희, 류호성)
다회 우승자 : 4회 우승 - 조세형, 이재완 / 3회 우승 - 강범현, 이상호 / 2회 우승 - 이정현
다양한 원딜과 함께 한 조세형(우승 4회, 준우승 2회)과 뱅과 함께 하며 다회 우승을 이룬 이재완(우승 4회, 준우승 1회)이 공동으로 4회를 기록하고 있다. 특이하게도 다회 우승을 기록한 서포터들은 모두 연속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9]
  • 다회 우승자(포지션 무관)
분류 기준은 우승 횟수-결승 진출 횟수-첫 우승-포지션(TOP-JGL-MID-BOT-SPT) 순이다.
'''횟수'''
'''선수'''
'''ID'''
'''포지션'''
'''결승 진출'''
'''우승 기록'''
9회
이상혁
Faker
MID
10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5회
배성웅
Bengi
JGL
5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4회
김종인
PraY
BOT
6회
2012-2013 윈터, 2016 서머, 2017 서머
2018 스프링
조세형
Mata
SPT
6회
2013 스프링,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배준식
Bang
BOT
5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이재완
Wolf
SPT
5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김동하
Khan
TOP
4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3회
강범현
GorillA
SPT
6회
2016 서머, 2017 서머, 2018 스프링
한왕호
Peanut
JGL
5회
2016 서머,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문우찬
Cuzz
JGL
3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20 스프링
박진성
Teddy
BOT
3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이상호
Effort
SPT
3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회
송경호
Smeb
TOP
5회
2016 서머, 2018 서머
배어진
Dade
MID
4회
2013 스프링, 2014 스프링
김혁규
Deft
BOT
5회
2014 스프링, 2018 서머
강선구
Blank
JGL
3회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정언영
Impact
TOP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채광진
Piglet
BOT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이정현
PoohManDu
SPT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장경환
MaRin
TOP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임재현
Tom
JGL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이지훈
Easyhoon
MID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곽보성
Bdd
MID
2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김재희
Crazy
TOP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김태민
Clid
JGL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강민승
Haru
JGL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한겨레
Leo
BOT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김태우
Gori
MID
2회
2019 서머, 2020 스프링
  • 연속 우승자 목록
최다 연속 우승 횟수는 3회 연속이며, LCK 최다 우승자인 이상혁은 이 목록에 3번 올라가 있다.
'''횟수'''
'''선수'''
'''ID'''
'''포지션'''
'''LCK 우승 기록'''
3회 연속
배성웅
Bengi
JGL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이상혁
Faker
MID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배준식
Bang
BOT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이재완
Wolf
SPT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조세형
Mata
SPT
2018 서머, 2019 스프링[10], 2019 서머
이상혁
Faker
MID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박진성
Teddy
BOT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이상호
Effort
SPT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회 연속
정언영
Impact
TOP
2013 서머, 2013-2014 윈터
배성웅
Bengi
JGL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이상혁
Faker
MID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채광진
Piglet
BOT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이정현
PoohManDu
SPT
2013 서머, 2013-2014 윈터
장경환
MaRin
TOP
2015 스프링, 2015 서머
임재현
Tom
JGL
2015 스프링, 2015 서머
이지훈
Easyhoon
MID
2015 스프링, 2015 서머
한왕호
Peanut
JGL
2016 서머, 2017 스프링[11]
김동하
Khan
TOP
2017 서머, 2018 스프링
문우찬
Cuzz
JGL
2017 서머, 2018 스프링
곽보성
Bdd
MID
2017 서머, 2018 스프링
김종인
PraY
BOT
2017 서머, 2018 스프링
강범현
GorilA
SPT
2017 서머, 2018 스프링
김동하
Khan
TOP
2019 스프링, 2019 서머
김재희
Crazy
TOP
2019 스프링, 2019 서머
김태민
Clid
JGL
2019 스프링, 2019 서머
강민승
Haru
JGL
2019 스프링, 2019 서머
한겨레
Leo
BOT
2019 스프링, 2019 서머
김태우
Gori
MID
2019 서머, 2020 스프링
  • 여러 팀에서 우승한 선수들
다른 팀으로 이적해서도 다회 우승한 경우를 말하며, 팀명만 변경하여 우승한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팀'''
'''이름'''
'''ID'''
'''포지션'''
'''LCK 우승 기록'''
'''3팀'''
김종인
PraY
BOT
NaJin Black Sword(2012-13 윈터)
ROX Tigers(2016 서머)
Longzhu Gaming(2017 서머)-KING-ZONE Dragon X(2018 스프링)
한왕호
Peanut
JGL
ROX Tigers(2016 서머)
SKT T1(2017 스프링)
KING-ZONE Dragon X(2018 스프링)
조세형
Mata
SPT
MVP Ozone(2013 스프링)
kt Rolster(2018 서머)
SKT T1(2019 스프링, 2019 서머)
'''2팀'''
강범현
GorilA
SPT
ROX Tigers(2016 서머)
Longzhu Gaming(2017 서머)-KING-ZONE Dragon X(2018 스프링)
송경호
Smeb
TOP
ROX Tigers(2016 서머)
kt Rolster(2018 서머)
김혁규
Deft
BOT
Samsung Galaxy Blue(2014 스프링)
kt Rolster(2018 서머)
김동하
Khan
TOP
Longzhu Gaming(2017 서머)-KING-ZONE Dragon X(2018 스프링)
SKT T1(2019 스프링, 2019 서머)
문우찬
Cuzz
JGL
Longzhu Gaming(2017 서머)-KING-ZONE Dragon X(2018 스프링)
T1(2020 스프링)

4.2. 역대 LCK 최고령 우승자


아래는 '''2020 서머 결승전 종료 시점'''에서 우승 당시 결승전 로스터에 있는 멤버 중 역대 최고령 우승자 Top 10을 정리한 것이다. LCK 우승이 2회 이상인 선수는 마지막에 우승한 시즌의 결승전 날짜가 기준이 된다.
'''순위'''
'''선수'''
'''마지막 우승
시즌'''
'''마지막 우승
당시 소속팀'''
'''포지션'''
'''마지막 우승
당시 나이'''
'''비고'''
'''1'''
'''이호종'''
Flame
'''2020 서머'''
'''DAMWON Gaming'''
'''TOP'''
'''만 28세 9일'''
우승 당시 탑 라이너는 장하권[12]
데뷔 후 가장 긴 시즌만에 LCK 첫 우승
(2012-13 윈터~2020 서머 ; 18시즌)
2
윤성영
Homme
2013 스프링
MVP Ozone
TOP
만 27세 196일
역대 LCK 최고령 결승 진출 기록 보유
(2013-2014 윈터 : 만 28세 55일[13])
3
고동빈
Score
2018 서머
kt Rolster
JGL
만 26세 63일
최고령 LCK 우승 정글러
4
장누리
Cain
2012-2013 윈터
NaJin Black Sword
SPT
만 25세 363일
최고령 LCK 우승 서포터
5
조세형
Mata
2019 서머
SKT T1
SPT
만 25세 185일
LCK 우승 3회[14]
LPL 우승 1회[15]
2014 롤드컵 우승 및 MVP
6
이관형
Heart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SPT
만 25세 164일
-
7
이윤재
Rush
2018 서머
kt Rolster
JGL
만 25세 156일
우승 당시 정글러는 고동빈
8
장경환
MaRin
2015 서머
SKT T1
TOP
만 24세 198일
LCK 우승 1회(2015 스프링)
2015 롤드컵 우승 및 MVP
9
김종인
PraY
2018 스프링
KING-ZONE DragonX
BOT
만 24세 99일
LCK 우승 3회[16]
최고령 LCK 우승 바텀
10
이상혁
Faker
2020 스프링
T1
MID
만 23세 354일
역대 LCK 최연소 우승 기록도 보유
LCK 우승 8회(최다)[17]
롤드컵 우승 3회(최다)[18]
MSI 우승 2회(최다/2016, 2017)
최고령 LCK 우승 미드라이너
나이 제한은 최연소에만 있기 때문에 최고령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럼에도 나이가 많아지면 피지컬이 좋은 신인 선수에 밀려 출전 기회를 잡기가 어렵기 때문에 1980년대생 우승자는 대부분 Top 10에 들어가 있다.(1985년생 윤성영(2위), 1987년생 장누리(4위), 1988년생 이관형(5위)) 어느 포지션이든 만 24세 이상은 되어야만 Top 10에 들어갈 수 있으며, 2021 스프링 기준으로는 1997년 이전 출생자가 우승하면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2020 서머 결승 종료 시점에서 포지션별 최고령 우승자는 '''탑 이호종'''(Flame/만 28세 9일) - '''정글 고동빈'''(Score/만 26세 23일) - '''미드 이상혁'''(Faker/만 23세 354일) - '''바텀 김종인'''(PraY/만 24세 99일) - '''서포터 장누리'''(Cain/만 25세 363일)이다. 포지션별 최고령 우승자 Top 5는 아래와 같다.
'''순위'''
'''TOP'''
'''Jungle'''
'''MID'''
'''AD Carry / Bottom'''
'''Support'''
'''1'''
'''이호종'''
Flame
'''고동빈'''
Score
'''이상혁'''
Faker
'''김종인'''
PraY
'''장누리'''
Cain
'''만 28세 9일'''
'''만 26세 23일'''
'''만 23세 354일'''
'''만 24세 99일'''
'''만 25세 363일'''
DAMWON Gaming
kt Rolser
T1
KING-ZONE DragonX
NaJin Black Sword
2020 서머
2018 서머
2020 스프링
2018 스프링
2012-2013 윈터
2
윤성영
Homme
이윤재
Rush
김상수
SSong
신정현
Nuclear
조세형
Mata
만 27세 196일
만 25세 156일
만 23세 121일
만 23세 109일
만 25세 185일
MVP Ozone
kt Rolster
NaJin Black Sword
DAMWON Gaming
SKT T1
2013 스프링
2018 서머
2012-2013 윈터
2020 서머
2019 서머
3
장경환
MaRin
이현우
CloudTemplar
이지훈
Easyhoon
장건웅
Woong
이관형
Heart
만 24세 198일
만 23세 305일
만 22세 280일
만 22세 195일
만 25세 164일
SKT T1
Azubu Frost
SKT T1
Azubu Frost
Samsung Galaxy Blue
2015 서머
2012 서머
2015 서머
2012 서머
2014 스프링
4
최천주
Acorn
배성웅
Bengi
이서행
Kuro
박진성
Teddy
조건희
BeryL
만 23세 316일
만 22세 155일
만 22세 230일
만 22세 41일
만 23세 157일
Samsung Galaxy Blue
SKT T1
Rox Tigers
T1
DAMWON Gaming
2014 스프링
2016 스프링
2016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5
김동하
Khan
강민승
Haru
허원석
PawN
김혁규
Deft
강범현
GorilA
만 23세 252일
만 21세 89일
만 21세 226일
만 21세 321일
만 23세 148일
SKT T1
SKT T1
kt Rolster
kt Rolster
KING-ZONE DragonX
2019 서머
2019 서머
2018 서머
2018 서머
2018 스프링

4.3. 역대 LCK 최연소 우승자


아래는 '''2020 서머 결승전 종료''' 시점에서 우승 당시 결승전 로스터에 있는 멤버 중 역대 최연소 우승자 Top 10을 정리한 것이다. LCK 우승이 2회 이상인 선수는 가장 처음에 우승한 시즌의 결승전 날짜가 기준이 된다.
'''순위'''
'''선수'''
'''첫 우승
시즌'''
'''첫 우승
당시 소속팀'''
'''포지션'''
'''첫 우승
당시 나이'''
'''비고'''
'''1'''
'''이상혁'''
'''Faker'''
'''2013 서머'''
'''SKT T1'''
'''MID'''
'''만 17세 117일'''
이후 LCK 우승 8회(최다)[19]
롤드컵 우승 3회(최다)[20]
MSI 우승 2회(최다/2016,2017)
최고령 LCK 우승 미드라이너 기록도 보유
2
송의진
Rookie
2014 서머
kt Rolster Arrows
MID
만 17세 159일
이후 LPL 우승 1회(2019 스프링)
롤드컵 우승 1회(2018)
3
김혁규
Deft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BOT
만 17세 214일
이후 LCK 우승 1회(2018 서머(kt))
LPL 우승 2회(2015 스프링(EDG), 2016 서머(EDG))
MSI 우승 1회(2015(EDG))
4
손우현
Ucal
2018 서머
kt Rolster
MID
만 17세 222일
-
5
이우진
Hybrid
2017 서머
Longzhu Gaming
BOT
만 17세 273일
우승 당시 ID는 Lucy
우승 당시 바텀은 김종인
6
문우찬
Cuzz
2017 서머
Longzhu Gaming
JGL
만 17세 301일
로열로더
이후 LCK 우승 2회(2018 스프링, 2020 LCK 스프링(T1))
7
이다윤
Spirit
2014 스프링
Samsung Galaxy Blue
JGL
만 17세 328일
-
8
강선구
Blank
2016 스프링
SKT T1
JGL
만 17세 360일
로열로더
이후 LCK 우승 1회(2017 스프링)
롤드컵 우승 1회(2016)
MSI 우승 2회(2016, 2017)
9
구승빈
imp
2013 스프링
MVP Ozone
BOT
만 18세 8일
이후 LPL 우승 1회(2015 서머(LGD))
롤드컵 우승 1회(2014)
10
이종범
Piccaboo
2015 스프링
SKT T1
SPT
만 18세 39일
우승 당시 서포터는 이재완
2015년 서머부터 LCK는 만 17세가 되어야만 경기에 출전할 수 있기 때문에[21] 최연소 기록은 만 16세 미만에서는 나올 수 없게 되었다. 때문에 만 17세 우승자가 아직 10명이 아닌 이상, 만 17세에 우승하면 최연소 우승자 Top 10에 들어갈 수 있으며, 2021 스프링 기준으로는 2003년 출생자나 생일이 지나지 않은 2004년생이 해당된다.
나이 제한 규정이 적용되기 전에는 만 17세 미만 선수들도 우승자가 될 수 있었는데, 신기하게도 그 이전의 최연소 우승자들의 나이는 나중에 제한 나이가 된 만 17세보다 어리지 않다. 명단에 있는 만 17세 우승자 중에서 1996년생인 이상혁, 김혁규, 이다윤은 이 규정이 적용되기 전인 2013 스프링부터, 1997년생인 송의진은 2014년 스프링부터 LCK에 출전하여 한 시즌 이상 보내면서 만 17세 우승자가 된 케이스이다.
2020 스프링 결승전 종료 시점에서 포지션 별 최연소 우승자는 '''탑 김찬호'''(SSumday/만 18세 45일) - '''정글 문우찬'''(Cuzz/만 17세 301일) - '''미드 이상혁'''(Faker/만 17세 117일) - '''바텀 김혁규'''(Deft/만 17세 214일) - '''서포터 이종범'''(Piccaboo/만 18세 39일)으로 탑과 서포터는 아직 만 17세 우승자가 없다. 포지션별 최연소 우승자 Top 5는 아래와 같다.
다만 이 목록은 조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게 만 17세는 여전히 유망주이기 때문에 로스터에 등록만 되고 경기를 뛰지 않은 경우가 꽤 많이 포함돼 있다. 표에는 '우승 당시 주전'이라는 표기가 있어서 구별이 가능하다. 반대로 말하면 만 17세에 주전으로 우승했다는 건 그만큼 해당 시즌에 뛰어난 활약을 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순위'''
'''TOP'''
'''Jungle'''
'''MID'''
'''AD Carry / Bottom'''
'''Support'''
1
'''김찬호'''
'''Ssumday'''
'''문우찬'''
'''Cuzz'''
'''이상혁'''
'''Faker'''
'''김혁규'''
'''Deft'''
'''이종범'''
'''Piccaboo'''
'''만 18세 45일'''
'''만 17세 301일'''
'''만 17세 117일'''
'''만 17세 214일'''
'''만 18세 39일'''
kt Rolster Arrow
Longzhu Gaming
SKT T1
Samsung Galaxy Blue
SKT T1
2014 서머
2017 서머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5 스프링
2
정언영
Impact
이다윤
Spirit
송의진
Rookie
이우진
Lucy
함장식
Lustboy
만 18세 178일
만 17세 328일
만 17세 159일
만 17세 273일
만 18세 92일
SKT T1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Arrow
Longzhu Gaming
MiG Blaze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2017 서머
2012 스프링
3
황성훈
Kingen
강선구
Blank
손우현
Ucal
구승빈
imp
이상호
Effort
만 18세 182일
만 17세 360일
만 17세 222일
만 18세 9일
만 18세 142일
kt Rolster
SKT T1
kt Rolster
MVP Ozone
SKT T1
2018 서머
2016 스프링
2018 서머
2013 스프링
2019 스프링
4
허승훈
Huni
한왕호
Peanut
곽보성
Bdd
이민형
Gumayusi
이재완
Wolf
만 19세 119일
만 18세 200일
만 18세 179일
만 18세 78일
만 18세 236일
SKT T1
Rox Tigers
Longzhu Gaming
T1
SKT T1
2017 스프링
2016 서머
2017 서머
2020 스프링
2015 스프링
5
김광희
Rascal
이병권
KaKAO
배어진
Dade
배준식
Bang
장준수
Zzus
만 19세 315일
만 18세 253일
만 18세 220일
만 18세 350일
만 18세 362일
Longzhu Gaming
kt Rolster Arrow
MVP Ozone
SKT T1
Longzhu Gaming
2017 서머
2014 서머
2013 스프링
2015 스프링
2017 서머

5. 역대 LCK 팀 경기 관련 기록


조별 예선+토너먼트 체제에서 달성되었으며, 2라운드 풀리그+5개팀 포스트시즌으로 변경된 2015 서머 이후 체제에서는 불가능에 가까운 기록이다.
2라운드 풀리그+5개팀 포스트시즌으로 변경된 2015 서머 이후 체제에서 달성되었으며, 조별 예선+토너먼트 체제에서는 전패의 의미가 없었다.
  • 역대 최다 연속 우승 팀 : T1 (3회 연속 /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LCK의 연속 우승팀은 3연속의 SKT T1(2015 스프링~2015 서머~2016 스프링)과 T1(2019 스프링~2019 서머~2020 스프링), 2연속의 SKT T1 K(2013 서머~2013-14 윈터)/KING-ZONE DragonX(2017 서머~2018 스프링) 이렇게 네 팀 뿐이다.
전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역사상 최장시간 매치이기도 하다. 장기전이 된 만큼 역대 LCK 한 경기 최다 CS 1, 2, 3위를 모두 갱신되었다.
사실 최단시간 매치는 2013-2014 윈터 C조 Match 3 Samsung Ozone vs Team Dark 2세트에서 나온 8분 23초로 전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역사상 최단시간 매치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경기 종료 후 Team Dark가 몰수패 처리되면서 없는 경기로 취급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최장시간 매치에서 나온 기록으로 해당 매치가 전세계 최장시간 매치인 만큼 이 기록도 전세계 최다 CS 기록이기도 하다. 상대 원딜러인 SKT T1의 배준식 또한 역대 cs 2위(975개)를 기록하였으며, 같은 시즌의 Match 33 bbq Olivers 2세트에서 박진성에 이어 두번째로 CS 1000을 넘기면서(1143개) 역대 2위 기록을 갱신하였다.

5.1. LCK 참가 팀들의 승패 관련 기록들


  • 역대 LCK 최다 매치/세트 연승
역대 최강의 팀이라 평가받는 2015년 SKT T1이 역대 매치 연승 기록을, 그 SKT T1의 전신 중 하나인 SKT T1 K가 역대 세트 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단일 시즌 역시 SKT T1이 2015 서머에 달성한 기록들이다.
  • 매치 연승 : 23연승
SKT T1 - 2015 스프링 2R Match 29 vs NaJin e-mFire ~ 2015 서머 2R Match 67 vs kt Rolster
2015 스프링 2R 전승(7연승)+플레이오프+결승전+2015 서머 1R 전승(9연승)+서머 2R 5연승 = 23연승. 2015 서머 2R Match 71 vs CJ Entus에서 2대 1로 지면서 매치 연승이 종료되었다.
  • 단일 정규 시즌 매치 최다 연승 : 14연승 / 2015 서머
SKT T1 - 2015 서머 1R Match 6 vs SBENU KOREA ~ 2015 서머 2R Match 67 vs kt Rolster
2015 서머 1라운드 9경기(라운드 전승)+2015 서머 2라운드 5경기 = 14연승. 2015 서머 2R Match 71 vs CJ Entus에서 2대 1로 지면서 매치 연승이 종료되었다.
  • 세트 연승 : 19연승
SKT T1 K - 2013 서머 결승전 3세트 ~ 2014 스프링 A조 1경기 1세트
2013 서머 결승전(3세트)+2013-2014 윈터 A조 3경기(6세트)+8강(3세트)+4강(3세트)+결승(3세트)+2014 스프링 A조 1경기 1세트 = 19연승. 2014 스프링 A조 Match 1 2세트에서 SKT T1 S에게 지면서 세트 연승이 종료되었다.
  • 단일 정규 시즌 세트 최다 연승 : 17연승 / 2015 서머
SKT T1 - 2015 서머 1R Match 23 vs Rebels Anarchy 3세트 ~ 2015 서머 2R Match 62 vs KOO Tigers 2세트
2015 서머 1라운드 1세트+8세트(4경기)+2015 서머 2라운드 8세트(4경기) = 17연승. 2015 서머 2R Match 71 vs kt Rolster 1세트에서 지면서 세트 연승이 종료되었다.
  • 역대 LCK 최다 매치/세트 연패
기록들은 모두 2라운드 풀리그 방식이 된 2015 스프링 이후의 연패 기록인데, 그 전에는 조별리그 방식이라 연패가 많이 쌓일 수가 없었다. 19 스프링까지는 세트 최다 연패 기록은 CJ Entus와 진에어 그린윙스의 17연패, 단일 시즌 세트 최다 연패 기록은 진에어 그린윙스, 매치 최다 연패 기록은 콩두 몬스터의 21연패, 단일 시즌 매치 연패 기록은 콩두 몬스터와 스베누 소닉붐의 15연패로 연패 기록들이 다양하게 분산되었다. 그러나 진에어 그린윙스가 2019 서머 시즌의 매치 전패로 모든 연패 기록을 2위로 밀어내고 단독 등재한다.
  • 매치 최다 연패 : 23연패
Jin Air Greenwings - 2019 스프링 Match 63 vs Hanwha Life Esports ~ 2019 서머 Match 85 vs Griffin
2019 스프링 2라운드 5경기+(승강전 잔류)+2019 서머 1라운드 9경기(라운드 전패)+2019 서머 2라운드 9경기(라운드 전패) = 23연패. 마지막 승강전인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강등되었기 때문에 프랜차이즈로 재합류할 경우 기록은 이어지나 결국 프랜차이즈 합류는 실패했고 진에어는 해체가 되었다.
  • 단일 정규 시즌 매치 최다 연패 : 18연패(MAX) / 2019 서머
Jin Air Greenwings - 2019 서머 1라운드 Match 1 vs kt Rolster ~ 2019 서머 2라운드 Match 85 vs Griffin
2019 서머 1라운드 9경기(라운드 전패)+2019 서머 2라운드 9경기(라운드 전패) = 18연패. 10팀 2라운드 체제에서 팀당 매치는 18경기이므로 단일 시즌 매치 18연패를 했다는 것은 해당 시즌에서 매치 승리를 한번도 못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리그 체제에 변화가 있지 않는 한 타이기록은 생겨도 사라질 수 없는 기록이다.
  • 세트 최다 연패 : 22연패
Jin Air Greenwings - 2019 서머 Match 20 vs Damwon Gaming 2세트 ~ 2019 서머 Match 66 vs DAMWON Gaming 2세트
2019 서머 1라운드 12세트(6경기)+2019 서머 2라운드 10세트(5경기) = 22연패. 2라운드 Match 71 vs Gen.G 1세트에서 승리하면서 세트 연패에서 탈출하였다.
  • 단일 정규 시즌 세트 최다 연패 : 22연패 / 2019 서머
Jin Air Greenwings - 2019 서머 Match 20 vs Damwon Gaming 2세트 ~ 2019 서머 Match 66 vs DAMWON Gaming 2세트
2019 서머 1라운드 12세트(6경기)+2019 서머 2라운드 10세트(5경기) = 22연패. 2라운드 Match 71 vs Gen.G 1세트에서 승리하면서 세트 연패에서 탈출하였다.
  • 풀 리그 체제 정규시즌 최고 성적(매치 승률 70% 이상)
8팀 체제에서는 10승 4패 이상, 10팀 체제에서는 13승 5패 이상이어야만 70% 이상이 가능하며, 매치 승률-세트 승률-시즌-정규시즌 순위 순으로 분류하였다. 팀 중에서 볼드체로 되어있는 건 최종 우승팀인데, 정규시즌 매치 승률이 70% 이하임에도 최종 우승한 팀은 2016 스프링의 SKT T1(12승 6패 66.7%)와 2019 서머의 SKT T1(11승 7패 61.1%), 둘 뿐이다.
'''팀(8팀 체제)'''
'''시즌'''
'''성적'''
'''매치 전적'''
'''세트 전적'''
'''비고'''
GE Tigers
2015 스프링
1위
준우승
12승 2패
'''85.7%'''
25승 6패 +19
80.6%
1R 전승
'''SKT T1'''
2015 스프링
2위
우승
11승 3패
'''78.6%'''
23승 9패 +13(-1)
71.9%
2R 전승. 지각으로 인한 감점
CJ Entus
2015 스프링
3위
3위
10승 4패
'''71.4%'''
20승 12패 +8
62.5%
-
'''팀(10팀 체제)'''
'''시즌'''
'''성적'''
'''세트 전적'''
'''비고'''
'''17승 1패(94.4%)'''
'''SKT T1'''
2015 서머
1위
우승
35승 6패 +29
85.4%
1R 전승
'''16승 2패(88.9%)'''
'''Damwon Gaming'''
2020 서머
1위
우승
34승 5패 +29
87.1%
2R 전승
ROX Tigers
2016 스프링
1위
준우승
34승 7패 +27
82.9%
1R 전승
'''KING-ZONE DragonX'''
2018 스프링
1위
우승
33승 7패 +26
82.5%
2R 전승
'''SKT T1'''
2017 스프링
1위
우승
32승 10패 +22
76.2%
-
'''15승 3패(83.3%)'''
Griffin
2019 스프링
1위
준우승
31승 8패 +23
78.5%
1R 전승
'''ROX Tigers'''
2016 서머
1위
우승
30승 10패 +20
75.0%
-
DRX
2020 서머
2위
준우승
32승 13패 +19
71.1%
-
'''14승 4패(77.8%)'''
Gen.G
2020 서머
3위
3위
31승 12패 +12
72.1%
-
'''Longzhu Gaming'''
2017 서머
1위
우승
31승 13패 +18
70.5%
-
'''SKT T1'''
2019 스프링
2위
우승
31승 13패 +18
70.5%
-
Gen.G
2020 스프링
1위
준우승
31승 13패 +18
70.5%
-
Samsung Galaxy
2017 스프링
2위
3위
30승 12패 +17(-1)
71.4%
주의 2회 누적으로 인한 감점
'''T1'''
2020 스프링
2위
우승
30승 14패 +16
68.2%
DragonX와의 상대전적 우위
DragonX
2020 스프링
3위
3위
31승 15패 +16
67.4%
T1과의 상대전적 열세
kt Rolster
2017 서머
2위
3위
31승 16패 +15
66.0%
-
'''13승 5패(72.2%)'''
KING-ZONE DragonX
2019 스프링
3위
3위
27승 12패 +15
69.2%
-
Griffin
2019 서머
1위
준우승
29승 13패 +16
69.0%
-
SKT T1
2016 서머
2위
3위
28승 13패 +15
68.3%
-
Afreeca Freecs
2018 스프링
2위
준우승
28승 13패 +15
68.3%
-
Griffin
2018 서머
2위
준우승
28승 13패 +15
68.3%
kt와의 상대전적 열세
kt Rolster
2016 스프링
2위
3위
29승 14패 +15
67.4%
-
'''kt Rolster'''
2018 서머
1위
우승
29승 14패 +15
67.4%
그리핀과의 상대전적 우위
T1
2020 서머
4위
5위
28승 14패 +14
66.7%
-
kt Rolster
2016 서머
3위
준우승
29승 15패 +14
65.9%
-
Samsung Galaxy
2017 서머
3위
4위
29승 15패 +14
65.9%
-
KING-ZONE DragonX
2018 서머
3위
4위
27승 14패 +13
65.9%
-
kt Rolster
2018 스프링
3위
3위
28승 15패 +13
65.1%
-
Gen.G
2018 서머
4위
5위
27승 15패 +12
64.3%
-
kt Rolster
2015 서머
2위
준우승
28승 16패 +12
63.6%
-
SANDBOX Gaming
2019 스프링
4위
5위
28승 16패 +12
63.6%
-
Damwon Gaming
2019 서머
2위
3위
28승 16패 +12
63.6%
-
SKT T1
2017 서머
4위
준우승
26승 15패 +11
63.4%
-
  • 풀 리그 체제 정규시즌 최저 성적(매치 승률 30% 이하)
8팀 체제에서는 4승 10패 이하, 10팀 체제에서는 5승 13패 이하여야만 매치 승률이 30% 이하가 된다. 매치 승률-세트 승률-시즌-정규시즌 순위 순으로 분류하였다.
'''팀(8팀 체제)'''
'''시즌'''
'''성적'''
'''매치 전적'''
'''세트 전적'''
'''비고'''
Incredible Miracle
2015 스프링
7위
'''3승 11패'''
'''21.4%'''
8승 23패 -15
27.6%
2R 전패
Samsung Galaxy
2015 스프링
8위
'''2승 12패'''
'''14.3%'''
6승 26패 -20
18.8%
1R 전패
'''팀(10팀 체제)'''
'''시즌'''
'''성적'''
'''세트 전적'''
'''비고'''
'''5승 13패(27.8%)'''
Rebels Anachy
2015 서머
7위
17승 29패 -12
37.0%
-
bbq OLIVERS
2017 스프링
8위
16승 28패 -12
36.4%
-
Gen.G Esports
2019 스프링
7위
16승 28패 -12
36.4%
-
SANDBOX Gaming
2020 스프링
9위(잔류)
16승 28패 -12
36.4%
-
Team Dynamics
2020 서머
8위
16승 28패 -12
36.4%
-
Hanwha Life Esports
2019 서머
9위(잔류)
15승 27패 -12
35.7%
-
ESC Ever
2016 서머
9위(잔류)
16승 29패 -13
35.6%
-
Griffin
2020 스프링
10위(강등)
16승 29패 -13
35.6%
-
Afreeca Freecs
2019 스프링
8위
14승 29패 -15
32.6%
-
'''4승 14패(22.2%)'''
Jin Air Greenwings
2017 스프링
9위(잔류)
14승 30패 -16
31.8%
-
Jin Air Greenwings
2018 서머
8위
14승 31패 -17
31.1%
-
kt Rolster
2019 스프링
9위(잔류)
13승 29패 -16
31.0%
-
Longzhu IM
2015 서머
9위(잔류)
12승 30패 -19
28.6%
-
MVP
2018 서머
9위(강등)
11승 30패 -19
26.8%
-
'''3승 15패(16.7%)'''
bbq OLIVERS
2017 서머
9위(잔류)
13승 32패 -19
28.9%
에버8과의 상대전적 우위
Ever8 Winners
2017 서머
10위(강등)
11승 30패 -19
26.8%
bbq와의 상대전적 열세
CJ Entus
2016 서머
10위(강등)
12승 32패 -20
27.3%
-
KONGDOO MONSTER
2017 스프링
10위(강등)
12승 33패 -21
26.7%
-
'''2승 16패(11.1%)'''
KONGDOO MONSTER
2018 스프링
10위(강등)
9승 32패 -23
22.0%
2R 전패
SBENU SonicBoom
2016 스프링
9위(강등)
9승 32패 -23
21.6%
1R 전패
bbq OLIVERS
2018 서머
10위(강등)
9승 34패 -25
20.9%
1R 전패
Hanwha Life Esports
2020 서머
9위
8승 34패 -26
19.1%
1R 전패
'''1승 17패(5.6%)'''
KONGDOO MONSTER
2016 스프링
10위(강등)
8승 35패 -27
18.6%
2R 전패
SBENU SonicBoom
2015 서머
10위(잔류)
8승 35패 -27(-1)
18.6%
1R 전패. 일시정지로 인한 벌점 -1
SeolHaeOne Prince
2020 서머
10위
6승 35패 -29
14.6%
2R 전패
Jin Air Greenwings
2019 스프링
10위(잔류)
3승 35패 -32
7.9%
1R 전패, LCK 시즌 최소 세트승
'''0승 18패(0%)'''
Jin Air Greenwings
2019 서머
10위(강등)
4승 36패 -32
10.0%
LCK 최초 전패
  • 풀 리그 체제 한 라운드 전승팀
2015 스프링은 8팀으로 운영되었기에 7승(세트 14승), 2015 서머 이후로는 10팀으로 운영되었기에 9승(세트 18승)이 라운드 전승 기록이다.
'''달성 팀(8팀 체제)'''
'''달성 라운드'''
'''세트 전적'''
'''세트 패배팀'''
'''최종 성적'''
(정규/최종)
GE Tigers
2015 스프링 1R
14승 2패 +12
87.5%
Jin Air Greenwings, SKT T1
1위
준우승
SKT T1
2015 스프링 2R
14승 2패 +12
87.5%
NaJin e-mFire, kt Rolster
2위
우승
'''달성 팀(10팀 체제)'''
'''달성 라운드'''
'''세트 전적'''
'''세트 패배팀'''
'''최종 성적'''
(정규/최종)
SKT T1
2015 서머 1R
18승 2패 +16
90%
Samsung Galaxy, Rebels Anarchy
1위
우승
ROX Tigers
2016 스프링 1R
18승 3패 +15
85.7%
kt Rolster, SKT T1, Afreeca Freecs
1위
준우승
KING-ZONE DragonX
2018 스프링 2R
18승 3패 +15
85.7%
Afreeca Freecs, ROX Tigers, KSV
1위
우승
Griffin
2019 스프링 1R
18승 1패 +17
94.7%
SANDBOX Gaming
1위
준우승
Damwon Gaming
2020 서머 2R
18승 1패 +17
94.7%
Gen.G
1위
우승
  • 풀 리그 체제 한 라운드 전패팀
2015 스프링은 8팀으로 운영되었기에 7패(세트 14패), 2015 서머 이후로는 10팀으로 운영되었기에 9패(세트 18패)가 라운드 전패 기록이다.
'''달성 팀(8팀 체제)'''
'''달성 라운드'''
'''세트 전적'''
'''세트 승리팀'''
'''최종 성적'''
(정규/최종)
Samsung Galaxy
2015 스프링 1R
2승 14패 -12
12.5%
Jin Air Greenwings, NaJin e-mFire
7위
잔류
Incredible Miracle
2015 스프링 2R
1승 14패 -13
6.7%
Samsung Galaxy
8위
잔류
'''달성 팀(10팀 체제)'''
'''달성 라운드'''
'''세트 전적'''
'''세트 승리팀'''
'''최종 성적'''
(정규/최종)
SBENU SonicBoom
2015 서머 1R
2승 18패 -16
10%
Longzhu Gaming, Rebels Anarchy
10위
잔류
SBENU SonicBoom
2016 스프링 1R
3승 18패 -15
14.3%
CJ Entus, KONGDOO MONSTER
Longzhu Gaming
9위
강등
KONGDOO MONSTER
2016 스프링 2R
4승 18패 -14
18.2%
CJ Entus, Afreeca Freecs
Samsung Galaxy, kt Rolster
10위
강등
KONGDOO MONSTER
2018 스프링 2R
2승 18패 -16
10%
MVP, SKT T1
10위
강등
bbq OLIVERS
2018 서머 1R
2승 18패 -16
10%
Griffin, Gen.G
10위
강등
Jin Air Greenwings
2019 스프링 1R
1승 18패 -17
5.3%
Gen.G
10위
잔류
Jin Air Greenwings
2019 서머 1R
2승 18패 -16
10%
SKT T1, DAMWON Gaming
10위
강등
Jin Air Greenwings
2019 서머 2R
2승 18패 -16
10%
Gen.G, kt Rolster
10위
강등
Hanwha Life Esports
2020 서머 1R
2승 18패 -16
10%
T1, SeolHaeOne Prince
9위
x
SeolHaeOne Prince
2020 서머 2R
2승 18패 -16
10%
Hanwha Life Esports, DRX
10위
x
  • 풀리그 체제 팀별 정규시즌 최고 성적과 최저 성적
10팀 2라운드 풀리그 체제가 된 2015 서머부터 2019 서머까지 9시즌 동안 LCK에 참가한 16팀이 각각 거둔 시즌 최고 성적과 최저 성적은 아래와 같다. 분류 기준은 최고 성적(2015 서머 이후)을 우선으로 하였다.
'''현재 팀명'''
'''진출'''
'''최고 성적'''
'''매치/세트 최고(정규)'''
'''매치/세트 최저(정규)'''
T1
9회
우승 6회
준우승 1회
2015 서머
17승 1패
(1위/우승)
35승 6패
+29
2018 서머
8승 10패
(7위)
20승 24패
-4
DragonX
9회
우승 2회
2018 스프링
16승 2패
(1위/우승)
33승 7패
+26
2015 서머
4승 14패
(9위/잔류)
12승 30패
-18
kt Rolster
9회
우승 1회
준우승 3회
2017 서머
14승 4패
(2위/3위)
31승 16패
+15
2019 스프링
4승 14패
(9위/잔류)
13승 29패
-16
Hanwha Life Esports
9회
우승 1회
준우승 1회
2016 스프링
16승 2패
(1위/준우승)
34승 7패
+27
2020 서머
2승 16패
(9위)
8승 34패
-26
DAMWON Gaming
2회
우승 1회
2020 서머
16승 2패
(1위/우승)
34승 5패
+29
2020 스프링
9승 9패
(5위/4위)
22승 21패
+1
Griffin
3회
준우승 3회
2019 스프링
15승 3패
(1위/준우승)
31승 8패
+23
2020 스프링
5승 13패
(10위/강등)
16승 29패
-13
Afreeca Freecs
8회
준우승 1회
2018 스프링
13승 5패
(2위/준우승)
28승 13패
+15
2019 스프링
5승 13패
(8위)
14승 29패
-15
Gen.G Esports
8회
준우승 1회
2020 서머
14승 4패
(3위/3위)
31승 12패
+19
2019 스프링
5승 13패
(7위)
16승 28패
-12
CJ ENTUS
3회
4위(1회)
2015 서머
12승 6패
(3위/4위)
27승 19패
+8
2016 서머
3승 15패
(10위/강등)
12승 32패
-20
Jin Air Greenwings
9회
4위(1회)
2016 스프링
10승 8패
(4위/4위)
23승 19패
+4
2019 서머
18패
(10위/강등)
4승 36패
-32
MVP
5회
4위(1회)
2017 스프링
10승 8패
(5위/4위)
23승 21패
+2
2018 서머
4승 14패
(9위/강등)
11승 30패
-19
SANDBOX Gaming
2회
4위(1회)
2019 스프링
13승 5패
(4위/5위)
28승 16패
+12
2020 스프링
5승 13패
(9위/잔류)
16승 28패
-12
BRION Blade
4회
5위(1회)
2015 서머
11승 7패
(5위/5위)
26승 19패
+7
2016 스프링
1승 17패
(10위/강등)
8승 35패
-27
SeolHaeOne Prince
2회
7위(1회)
2020 스프링
6승 12패
(7위)
17승 26패
-9
2020 서머
1승 17패
(10위)
6승 35패
-29
bbq OLIVERS
5회
8위(2회)
2018 스프링
6승 12패
(8위)
17승 27패
-10
2018 서머
2승 16패
(10위/강등)
9승 34패
-25
SBENU KOREA
2회
9위(1회)
2016 스프링
2승 16패
(9위/강등)
9승 32패
-23
2015 서머
1승 17패
(10위/잔류)
8승 35패
-27
Team Dynamics
1회
8위(1회)
2020 서머
5승 13패
(8위)
16승 28패
-12
Winners
1회
10위(1회)
2017 서머
3승 15패
(10위/강등)
11승 30패
-19
  • 한 라운드에서 최소 세트를 소화한 팀(10팀 2라운드 풀 리그)
이론적으로 한 라운드에서 최소로 소화할 수 있는 세트는 18세트로, 9개의 매치 모두를 승패에 관계없이 2세트만으로 마치는 경우이다.
  • 한 라운드 최소 소화 세트 : 19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라운드'''
'''세트 전적'''
'''매치 전적'''
Afreeca Freecs
2016 서머 1R
8승 11패
-3
4승 5패
ROX Tigers
2016 서머 2R
16승 3패
+13
8승 1패
MVP
2017 서머 1R
4승 15패
-11
2승 7패
KING-ZONE DragonX
2018 스프링 1R
15승 4패
+11
7승 2패
Griffin
2019 스프링 1R
'''18승''' 1패
+17
'''9승 0패'''
Hanwha Life Esports
2019 스프링 1R
10승 9패
+1
5승 4패
Jin Air Greenwings
2019 스프링 1R
1승 '''18패'''
-17
'''0승 9패'''
KING-ZONE DragonX
2019 스프링 2R
16승 3패
+13
8승 1패
Jin Air Greenwings
2019 스프링 2R
2승 17패
-15
1승 8패
Damwon Gaming
2020 서머 2R
'''18승''' 1패
+17
'''9승 0패'''
  • 한 라운드에서 최다 세트를 소화한 팀(10팀 2라운드 풀 리그)
이론적으로 한 라운드에서 최대로 소화할 수 있는 세트는 27세트로, 9개의 매치 모두를 승패에 관계없이 3세트로 마치는 경우이다.
  • 한 라운드 최다 소화 세트 : 26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라운드'''
'''세트 전적'''
'''매치 전적'''
Afreeca Freecs
2020 스프링 1R
15승 11패
+4
6승 3패
  • 정규 시즌에서 최소 세트를 진행한 팀(10팀 2라운드 풀 리그)
이론적으로 정규시즌에서 최소로 소화할 수 있는 세트는 36세트로, 18개의 매치 모두를 승패에 관계없이 2세트만으로 마치는 경우이다.
  • 정규시즌 최소 소화 세트 : 38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
'''시즌 순위'''
'''세트 전적'''
'''매치 전적'''
Jin Air Greenwings
2019 스프링
10위
3승 35패
-32
1승 17패
  • 정규 시즌에서 최다 세트를 진행한 팀(10팀 2라운드 풀 리그)
순위결정전이 없는 이상 이론적으로 정규시즌에서 최대로 소화할 수 있는 세트는 54세트로, 18개의 매치 모두를 승패에 관계없이 3세트로 마치는 경우이다. 참고로 순위결정전에서의 기록 역시 정규시즌 내 기록으로 처리되며, 2017 스프링에서 한번(아프리카-MVP) 발생하였다.
  • 정규시즌 최다 소화 세트 : 48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
'''시즌 순위'''
'''세트 전적'''
'''매치 전적'''
Afreeca Freecs
2017 서머
5위
27승 21패
+6
10승 8패
  • 포스트시즌 최다 세트를 소화한 팀(10팀 2라운드 풀 리그)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의 포스트시즌 체제 하에서 최다 경기를 소화하려면 정규시즌에서 4위나 5위를 해서 가장 낮은 단계인 와일드카드 전에서 시작, 플레이오프 1라운드-플레이오프 2라운드를 모두 거쳐서 결승전까지 올라가야 한다. 3전제 1번에 5전제 3번이므로 이론적인 포스트시즌 최다 경기는 18세트였다.
포스트시즌 시스템이 개편된 2021 스프링 이후에서는 6강-4강-결승만 있으며, 모든 라운드가 5전 3선승제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나올 수 있는 최다 세트는 15세트가 된다.
  • 포스트시즌 최다 소화 세트 : 14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
'''포스트시즌 진행 순서'''
SKT T1
2017 서머
WC 2경기(2대0 승) - PO 1R 3경기(3대 0 승) - PO 2R 5경기(3대 2 승) - 결승전 4경기(3대 1 패)
  • 정규시즌+포스트시즌에서 최소 세트를 진행한 팀
이론적인 최소 경기 수는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의 시스템 하에서 정규시즌 36세트+포스트시즌 2세트(3전제에서 2대0 패배)로 38세트였으며, 2021 스프링 이후부터 정규시즌 36세트+포스트시즌 3세트(5전제에서 완패)로 39세트가 되었다.
  • 한 시즌 최소 소화 세트 수 : 42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
'''최종 성적'''
'''성적 합계'''
'''정규시즌 성적(세트)'''
'''포스트시즌 성적(세트)'''
Griffin
2019 스프링
1위(준우승)
31승 11패
39경기
31승 8패
3경기
3패
  • 정규시즌+포스트시즌에서 최다 세트를 진행한 팀
순위결정전이 없는 이상 이론적인 최다 세트 수는 2015 서머부터 2020 서머까지의 시스템 하에서 정규시즌 54세트+포스트시즌 18세트(3전제 1번(2대1)+5전제 3번(3대2))로 72세트였으며, 2021 스프링 이후부터 정규시즌 54세트+포스트시즌 15세트(5전제 3번(3대2)로 69세트가 되었다.
  • 한 시즌 최다 소화 세트 수 : 57세트
'''해당 팀'''
'''해당 시즌'''
'''최종 성적'''
'''성적 합계'''
'''정규시즌 성적(세트)'''
'''포스트시즌 성적(세트)'''
kt Rolster
2016 서머
3위(준우승)
37승 20패
44경기
29승 15패
13경기
8승 5패
Afreeca Freecs
2018 서머
5위(3위)
43승 24패
46경기
26승 20패
11경기
7승 4패
Damwon Gaming
2020 스프링
5위(4위)
26승 31패
49경기
22승 27패
8경기
4승 4패

  • 시즌 첫 승을 가장 늦게 거둔 팀
시즌
날짜
전패팀
스코어
상대팀
당시 전적
최종 성적
최종 순위
비고
2015 스프링
2015년 3월 7일
삼성
2:1
IM
9패 -16
2승 12패 -20
8위
1라운드 전패
2015 서머
2015년 8월 1일
스베누
2:1
진에어
15패 -24
1승 17패 -28
10위
1라운드 전패
2016 스프링
2016년 3월 19일
스베누
2:0
콩두
13패 -22
2승 16패 -23
9위[22]
1라운드 전패
2016 서머
2016년 6월 11일
MVP
2:0
ESC Ever
3패 -5
7승 11패 -5
6위[23]

2017 스프링
2017년 2월 15일
콩두
2:1
진에어
6패 -10
3승 15패 -21
10위

2017 서머
2017년 6월 14일
bbq
2:1
Ever8
4패 -6
3승 15패 -19
9위[24]

2018 스프링
2018년 2월 1일
MVP
2:1
SKT
5패 -10
6승 12패 -14
9위[25]

2018 서머
2018년 7월 18일
bbq
2:1
진에어
10패 -17
2승 16패 -25
10위
1라운드 전패
2019 스프링
2019년 3월 7일
진에어
2:1
아프리카
12패 -23
1승 17패 -32
10위
1라운드 전패
2019 서머
-
진에어
-
-
-
0승 18패 -32
10위
시즌 전패
2020 스프링
2020년 2월 23일
kt
2:1
아프리카
5패 -8
10승 8패 +2
5위[26]
포스트시즌 진출
2020 서머
2020년 7월 19일
한화
2:1
샌드박스
9패 -16
2승 16패 -26
9위[27]
1라운드 전패
2021 스프링
2021년 1월 21일
프레딧
2:0
담원 기아
2패 -4


역대 최저 경기 기록

5.2. 역대 LCK 챔피언 밴픽 기록


LCK 정규시즌 및 포스트시즌에서의 역대 챔피언 첫 밴픽 기록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 LCK 역사상 한 번도 픽/밴이 되지 않은 챔피언 : 가렌 / 비에고
리그 기간 중에 나오는 신규 챔피언은 라이브 서버와 별개로 대회 서버 적용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픽/밴이 안될 수 밖에 없다.[28] 포스트시즌 중에 나오거나 롤드컵 중에는 메이저 지역들의 포스트시즌과의 연속성을 위해서 글로벌 밴을 하기도 한다. 리그 휴식 기간 중에 나오는 신규 챔피언 역시 리그가 시작되기 전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이런 챔피언들은 '/' 뒤에 따로 표기되었다.
구 챔피언 중에는 유일하게 가렌만 픽되지 않고 있는데,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다이나믹스가 픽하기는 했다. 하지만 승강전은 LCK 정규시즌 및 포스트시즌과 별개로 치는지라 여전히 데뷔는 못한 상태이다.
  • LCK 역사상 한번도 밴이 되지 않은 챔피언 : 워윅, 티모, 가렌
출시일과 비교적 차이가 나지 않는 챔피언들을 제외하면, 밴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다.
  • LCK 역사상 한번도 픽이 되지 않은 챔피언 : 가렌
위 설명과 동일하게 2020 스프링 승강전에서 픽이 되기는 했지만, 아직 LCK에서 데뷔하지 못한 상태이다.
상세 기록(펼치기 / 닫기)
최초 챔피언 17인 및 동시 출시 챔피언들의 순서는 나무위키 서술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다.
LCK 2012 스프링(2012.03.21) 시작 이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1
누누와 윌럼프
2009.02.21
2013.01.11
2012.07.04
A조 1경기
Lustboy
함장식

2
라이즈
2009.02.21
2012.03.23
2012.03.23
A조 승자전
RapidStar
정민성

3
마스터 이
2009.02.21
2012.12.07
2012.11.21
A조 7경기 2세트
Cornsalad
이상정

4
모르가나
2009.02.21
2012.04.04
2012.03.21
A조 1경기
RapidStar
정민성

5
사이온
2009.02.21
2015.01.10
2015.02.07
2경기 2세트
ssumday
김찬호

6
소라카
2009.02.21
2012.05.04
2012.03.21
A조 2경기
zzamTiger
김수만

7
시비르
2009.02.21
2013.12.04
2012.03.21
A조 1경기
LocoDoco
최윤섭

8
알리스타
2009.02.21
2012.03.23
2012.03.21
A조 1경기
MadLife
홍민기

9
애니
2009.02.21
2013.11.15
2012.11.23
A조 8경기 1세트
Woong
장건웅

10
애쉬
2009.02.21
2012.05.04
2012.03.21
A조 2경기
Chily moon
강상훈

11
워윅
2009.02.21
-
2012.04.11
D조 2경기
Cyanide
Lauri Happonen

12
잭스
2009.02.21
2012.11.13
2012.03.23
A조 승자전
TowerFury
김규하

13
케일
2009.02.21
2013.01.09
2012.07.11
B조 3경기
ChuChu
최천주

14
트리스타나
2009.02.21
2014.08.01
2012.11.23
B조 8경기 2세트
Cpt Jack
강형우

15
트위스티드 페이트
2009.02.21
2012.04.04
2012.04.27
C조 2경기
Ambition
강찬용

16
티모
2009.02.21
-
2012.12.21
B조 14경기 2세트
Ambition
강찬용

17
피들스틱
2009.02.21
2013.04.17
2012.12.22
B조 15경기 2세트
KaKAO
이병권

18
신지드
2009.04.18
2013.08.31
2012.07.18
C조 1경기
May
강한울

19
질리언
2009.04.18
2012.11.10
2013.04.12
A조 5경기 2세트
Ssong
김상수

20
이블린
2009.05.01
2012.11.09
2012.11.14
B조 4경기 2세트
Ssong
김상수

21
트린다미어
2009.05.01
2014.03.09
2013.12.06
D조 4경기 2세트
Reapered
복한규

22
트위치
2009.05.01
2013.04.03
2012.11.24
B조 9경기 2세트
Hermes
김강환

23
카서스
2009.06.12
2012.05.04
2012.04.06
C조 승자전
HooN
김남훈

24
아무무
2009.06.26
2012.12.21
2012.04.11
D조 1경기
Helios
신동진

25
초가스
2009.06.26
2012.03.28
2012.03.23
A조 패자전
TcAL
김지용

26
람머스
2009.07.10
2012.03.21
2013.04.20
B조 9경기 1세트
Hermes
김강환

27
애니비아
2009.07.10
2012.03.23
2012.03.28
B조 2경기
ManyReason
김승민

28
베이가
2009.07.24
2012.03.23
2012.03.21
A조 1경기
Kevin
이상준

29
카사딘
2009.08.07
2012.03.21
2012.04.27
D조 1경기
Cornsalad
이상정

30
갱플랭크
2009.08.19
2013.11.23
2012.04.06
C조 최종전
Nk Adonis
조재혁

31
타릭
2009.08.19
2013.12.07
2012.04.18
A조 3경기
viNylCat
채우철

32
말파이트
2009.09.02
2012.03.28
2012.03.21
A조 1경기
TcAL
김지용

33
문도 박사
2009.09.02
2012.03.28
2012.03.23
A조 패자전
Chily moon
강상훈

34
블리츠크랭크
2009.09.02
2012.11.09
2012.07.13
B조 4경기
MadLife
홍민기

35
잔나
2009.09.02
2012.03.28
2012.03.21
A조 1경기
5gamdo
도형록

36
카타리나
2009.09.19
2012.11.09
2012.11.10
B조 2경기 2세트
Ssong
김상수

37
코르키
2009.09.19
2012.03.28
2012.03.21
A조 2경기
losys
신상혁

38
나서스
2009.10.01
2013.04.26
2013.04.06
A조 3경기 1세트
Helios
신동진

39
샤코
2009.10.10
2012.03.21
2012.08.08
2세트
Nolja
이현진

40
하이머딩거
2009.10.10
2018.06.16
2014.04.02
C조 5경기 2세트
GBM
이창석

41
우디르
2009.12.02
2012.05.04
2012.03.21
A조 1경기
CloudTemplar
이현우

42
니달리
2009.12.17
2012.03.28
2012.04.06
C조 최종전
MaknooN
윤하운

43
뽀삐
2010.01.13
2016.01.22
2016.01.20
1경기 2세트
CuVee
이성진

44
그라가스
2010.02.02
2012.08.17
2012.07.20
C조 6경기
CitizenWayne
Victor Toll

45
판테온
2010.02.02
2012.03.21
2012.12.14
B조 11경기 1세트
KangQui
강승현

46
모데카이저
2010.02.24
2017.06.25
2012.03.28
B조 최종전
Kady
김동언

47
이즈리얼
2010.03.16
2012.08.15
2012.03.28
B조 2경기
Doublelift
Peter Peng

48

2010.03.24
2012.03.21
2012.03.23
A조 최종전
SunRiver
강태양

49
케넨
2010.04.08
2012.03.21
2012.03.21
A조 1경기
GunWoong
장건웅

50
가렌
2010.04.27

-
-
-
-
-
51
아칼리
2010.05.11
2017.06.25
2013.05.15
3경기 3세트
Flame
이호종

52
말자하
2010.06.01
2013.07.17
2013.07.03
A조 1경기 1세트
ManyReason
김승민

53
올라프
2010.06.09
2012.04.13
2012.03.28
B조 패자전
HotshotGG
George Goergallidis

54
코그모
2010.06.24
2012.07.25
2012.03.28
B조 1경기
Kady
김동언

55
신 짜오
2010.07.13
2012.07.04
2012.12.12
B조 10경기 2세트
kkinsh
김범석

56
블라디미르
2010.07.27
2012.04.04
2012.03.28
B조 1경기
Rounders
황선혁

57
갈리오
2010.08.10
2012.05.19
2012.03.21
A조 2경기
dong
김희재

58
우르곳
2010.08.24
2012.04.13
2012.04.11
D조 2경기
Lamia
Manuel Mildenberger

59
미스 포츈
2010.09.08
2013.01.09
2012.07.20
C조 5경기
Pecko
정희철

60
소나
2010.09.21
2012.04.04
2012.03.28
B조 2경기
Chauster
Steve Chau

61
스웨인
2010.10.05
2016.06.04
2012.03.23
A조 패자전
Hwatoo
이형래

62
럭스
2010.10.19
2013.04.10
2012.08.15
3세트
RapidStar
정민성

63
르블랑
2010.11.02
2013.05.03
2012.03.23
A조 최종전
MidKing
박용우

64
이렐리아
2010.11.16
2012.03.28
2012.03.23
A조 승자전
GunWoong
장건웅

65
트런들
2010.12.01
2016.01.16
2012.07.13
B조 5경기
Nyang
이관형

66
카시오페아
2010.12.14
2012.03.23
2012.03.23
A조 패자전
Rigroch
서준영

67
케이틀린
2011.01.04
2012.04.25
2012.03.28
B조 패자전
Doublelift
Peter Peng

68
레넥톤
2011.01.18
2014.03.14
2012.03.23
A조 최종전
TowerFury
김규하

69
카르마
2011.02.01
2013.12.13
2013.12.06
D조 4경기 1세트
StarLast
한진희

70
마오카이
2011.02.16
2012.04.06
2012.03.28
B조 1경기
Garnet
민경환

71
자르반 4세
2011.03.01
2012.03.21
2012.03.21
A조 2경기
UiMangE
손명구

72
녹턴
2011.03.15
2012.04.25
2012.03.28
B조 승자전
Garnet
민경환

73
리 신
2011.04.01
2012.03.21
2012.03.23
A조 패자전
Leon
염도선

74
브랜드
2011.04.12
2017.06.08
2012.04.04
C조 2경기
HooN
김남훈

75
럼블
2011.04.26
2012.03.23
2012.03.21
A조 2경기
TowerFury
김규하

76
베인
2011.05.10
2012.04.11
2012.03.23
A조 패자전
5gamdo
도형록

77
오리아나
2011.06.01
2012.11.14
2012.04.13
D조 최종전
Ambition
강찬용

78
요릭
2011.06.22
2013.07.03
2012.03.28
B조 1경기
cannot
박광기

79
레오나
2011.07.08
2012.03.28
2012.03.23
A조 승자전
MadLife
홍민기

80
오공
2011.07.26
2020.06.17
2012.03.28
B조 승자전
May
강한울

81
스카너
2011.08.09
2012.03.23
2012.03.21
A조 1경기
Leon
염도선

82
탈론
2011.08.24
2012.04.04
2012.04.25
C조 2경기
FantasyStar
복한규

83
리븐
2011.09.14
2013.11.15
2012.04.06
C조 패자전
Devil
신윤기

84
제라스
2011.10.05
2013.11.20
2012.04.06
C조 패자전
Fascinate
김동규

85
그레이브즈
2011.10.19
2012.05.19
2012.03.21
A조 1경기
ggoni
오진우

86
쉬바나
2011.11.01
2012.03.21
2012.03.23
A조 승자전
CloudTemplar
이현우

87
피즈
2011.11.15
2013.07.13
2013.04.24
A조 10경기 2세트
Zero
윤경섭

88
볼리베어
2011.11.29
2013.04.05
2013.04.03
A조 1경기 1세트
Watch
조재걸

89
아리
2011.12.13
2012.03.23
2012.03.21
A조 2경기
MidKing
박용우

90
빅토르
2011.12.29
2015.03.06
2012.12.07
인터 3경기 2세트
Cornsalad
이상정

91
세주아니
2012.01.17
2015.04.04
2013.05.31
1세트
Templar
이현우

92
직스
2012.02.01
2012.07.20
2012.07.18
C조 2경기
CitizenWayne
Victor Toll

93
노틸러스
2012.02.14
2012.07.04
2012.03.28
B조 1경기
webtoon
이현석

94
피오라
2012.02.29
2012.07.18
2016.01.13
2경기 1세트
ssumday
김찬호

95
룰루
2012.03.20
2012.04.11
2012.04.25
C조 2경기
Fascinate
김동규

LCK 2012 스프링(2012.03.21) 시작 이후 출시 챔피언들
순서
챔피언
출시일
첫 밴
첫 픽
날짜
사용자
승패
96
헤카림
2012.04.18
2015.04.10
2013.04.27
B조 12경기 1세트
Beelzehan
조재환

97
바루스
2012.05.08
2013.04.03
2012.05.19
2세트
LocoDoco
최윤섭

98
다리우스
2012.05.23
2018.06.12
2012.07.18
C조 2경기
nesrilas
Rasmus
Zulow Pedersen

99
드레이븐
2012.06.05
2012.07.18
2012.07.11
B조 3경기
IWDominate
Cristian Rivera

100
제이스
2012.07.07
2012.11.09
2012.09.08
2세트
Shy
박상면

101
자이라
2012.07.24
2012.11.10
2012.08.15
2세트
MadLife
홍민기

102
다이애나
2012.08.07
2012.08.15
2012.08.15
1세트
RapidStar
정민성

103
렝가
2012.08.21
2012.11.09
2012.11.09
A조 1경기 2세트
Nolja
이현진

104
신드라
2012.09.13
2013.04.06
2012.11.14
B조 4경기 2세트
Easy
이지훈

105
카직스
2012.09.27
2012.12.26
2012.12.08
인터 5경기 2세트
Ambition
강찬용

106
엘리스
2012.10.26
2013.01.09
2012.12.07
인터 3경기 2세트
May
강한울

107
제드
2012.11.13
2013.04.05
2012.12.14
A조 11경기 1세트
Shy
박상면

108
나미
2012.12.07
2013.07.24
2013.01.09
2세트
Lustboy
함장식

109
바이
2012.12.19
2013.11.15
2013.04.06
B조 3경기 2세트
ActScene
연형모

110
쓰레쉬
2013.01.23
2013.04.03
2013.04.03
A조 1경기 1세트
Flahm
김주호

111

2013.03.01
2016.01.21
2016.01.15
1경기 1세트
Sasin
오승주

112
자크
2013.03.29
2013.05.04
2013.04.24
A조 10경기 1세트
bengi
배성웅

113
리산드라
2013.04.30
2015.01.07
2013.07.26
B조 6경기 1세트
Ambition
강찬용

114
아트록스
2013.06.13
2018.06.17
2013.11.22
A조 3경기 1세트
H0R0
조재환

115
루시안
2013.08.22
2013.11.15
2013.11.15
B조 1경기 1세트
KurO
이서행

116
징크스
2013.10.10
2018.03.24
2014.03.15
A조 2경기 2세트
ZetNJin
이진용

117
야스오
2013.12.13
2014.01.15
2014.01.25
2세트
dade
배어진

118
벨코즈
2014.02.27
2014.01.15
2014.04.02
D조 5경기 1세트
ink
최선호

119
브라움
2014.05.12
2014.06.18
2014.06.25
1경기 1세트
MadLife
홍민기

120
나르
2014.08.14
2015.01.07
2015.01.09
2세트
Smeb
송경호

121
아지르
2014.09.16
2015.01.07
2015.01.14
2세트
Bliss
박종원

122
칼리스타
2014.11.20
2015.02.13
2015.01.07
3세트
ohq
오규민

123
렉사이
2014.12.11
2015.01.14
2015.01.14
2세트
Eve
서준철

124
바드
2015.03.12
2015.05.22
2015.05.28
1세트
Luna
장경호

125
에코
2015.05.28
2015.06.19
2015.06.24
1경기 2세트
Lil4c
전호진

126
탐 켄치
2015.07.09
2016.01.13
2016.01.13
1경기 1세트
Wolf
이재완

127
킨드레드
2015.10.14
2016.01.14
2016.01.13
1경기 1세트
bubbling
박준형

128
일라오이
2015.11.24
2018.01.30
2018.01.16
2경기 1세트
ADD
강건모

129

2016.02.01
2016.03.19
2016.03.09
1경기 1세트
Ssol
서진솔

130
아우렐리온 솔
2016.03.24
2016.06.25
2016.06.21
1경기 1세트
Fly
송용준

131
탈리야
2016.05.18
2016.07.08
2016.07.06
2경기 1세트
Sky
김하늘

132
클레드
2016.08.10
2017.01.25
2017.01.18
1경기 1세트
ikssu
전익수

133
아이번
2016.10.06
2017.03.01
2017.02.02
2경기 1세트
Score
고동빈

134
카밀
2016.12.07
2017.01.17
2017.01.22
1경기 2세트
ADD
강건모

135
자야
2017.04.19
2017.05.30
2017.05.30
1경기 2세트
MaHa
오현식

136
라칸
2017.04.19
2017.06.03
2017.06.01
2경기 2세트
SnowFlower
노회종

137
케인
2017.07.12
2019.06.21
2019.01.30
2경기 2세트
Dread
이진혁

138
오른
2017.08.23
2018.01.16
2018.01.16
1경기 1세트
Rascal
김광희

139
조이
2017.11.21
2018.01.16
2018.01.16
2경기 1세트
Edge
이호성

140
카이사
2018.03.07
2018.06.13
2018.06.13
3경기 2세트
Teddy
박진성

141
파이크
2018.05.31
2018.06.12
2018.06.14
1경기 1세트
IgNar
이동근

142
니코
2018.12.05
2019.03.16
2019.01.24
2경기 2세트
Spirit
이다윤

143
사일러스
2019.01.25
2019.02.13
2019.02.13
2경기 1세트
Faker
이상혁

144
유미
2019.05.15
2019.06.05
2019.06.07
2경기 2세트
Life
김정민

145
키아나
2019.06.28
2019.07.19
2019.07.18
2경기 1세트
Lava
김태훈

146
세나
2019.11.10
2020.02.13
2020.02.06
2경기 1세트
Viper
박도현

147
아펠리오스
2019.12.11
2020.02.05
2020.02.05
1경기 1세트
Nuclear
신정현

148
세트
2020.01.14
2020.02.05
2020.02.05
1경기 1세트
Roach
김강희

149
릴리아
2020.07.23
2020.08.14
2020.08.14
2경기 1세트
Pyosik
홍창현

150
요네
2020.08.06
2021.01.13
2021.01.13
1경기 1세트
BDD
곽보성

151
사미라
2020.09.21
2021.01.13
2021.01.13
2경기 3세트
Gumayusi
이민형

152
세라핀
2020.10.30
2021.01.20
2021.01.14
2경기 2세트
Lehends
손시우

153

2020.12.10
2021.01.14
2021.01.13
2경기 2세트
Vsta
오효성

154
비에고
2021.01.21


경기 세트





5.3. 역대 롤챔스 블라인드 픽


LCK는 2015년까지 토너먼트의 마지막 세트를 블라인드 모드로 치르는 고유한 시스템을 유지하다가 2016년 스프링부터 폐지했다. LoL 인비테이셔널과 롤챔스 예선, 롤드컵 선발전에서의 경기는 제외한 모든 LCK 본선 경기에서의 블라인드 픽 경기 목록을 나열한다. (미러전은 '''볼드체''' 표시)
'''경기'''
'''승리팀
챔피언 선택'''
'''패배팀
챔피언 선택'''
'''시즌 및 경기'''
'''비고'''
1
'''MiG Frost'''
('''올라프'''/쉔/'''라이즈'''/'''우르곳'''/알리스타)
'''NaJin e-mFire'''
('''올라프'''/마오카이/'''라이즈'''/'''우르곳'''/타릭)
'''2012 스프링 8강 A조'''
-
2
'''MiG Frost'''
(올라프/'''쉔'''/라이즈/'''그레이브즈'''/소나)
'''Xenics Storm'''
(케넨/'''쉔'''/아리/'''그레이브즈'''/소라카)
'''2012 스프링 4강 A조'''
-
3
'''Azubu Frost'''
(말파이트/녹턴/다이애나/그레이브즈/알리스타)
'''Azubu Blaze'''
(쉔/쉬바나/블라디미르/시비르/룰루)
'''2012 서머 4강 A조'''
-
4
'''Azubu Frost'''
(잭스/쉔/카서스/'''이즈리얼'''/알리스타)
'''CLG.EU'''
(말파이트/마오카이/다이애나/'''이즈리얼'''/레오나)
'''2012 서머 결승전'''
-
5
'''Azubu Frost'''
(렝가/쉔/이블린/애쉬/소나)
'''CJ Entus'''
(신 짜오/제드/카직스/케이틀린/자이라)
'''2012-2013 윈터 8강 A조'''
-
6
'''Azubu Blaze'''
('''쉔'''/아무무/이블린/'''미스 포츈'''/룰루)
'''LG-IM'''
(렝가/'''쉔'''/트위스티드 페이트/'''미스 포츈'''/자이라)
'''2012-2013 윈터 8강 B조'''
-
7
'''Azubu Frost'''
(올라프/'''쉔'''/이블린/미스 포츈/블리츠크랭크)
'''Azubu Blaze'''
('''쉔'''/녹턴/라이즈/우르곳/타릭)
'''2012-2013 윈터 4강 A조 1차전'''
-
8
'''Azubu Frost'''
(올라프/'''쉔'''/라이즈/미스 포츈/블리츠크랭크)
'''Azubu Blaze'''
('''쉔'''/초가스/이블린/코그모/누누)
'''2012-2013 윈터 4강 A조 2차전'''
프로스트의 블라인드 7연승
9
'''KT Bullets'''
(쉔/엘리스/제드/트위치/'''소나''')
'''CJ Blaze'''
(블라디미르/리 신/카서스/애쉬/'''소나''')
'''2013 서머 8강 A조'''
-
10
'''MVP Ozone'''
(나서스/리 신/'''제드'''/베인/'''쓰레쉬''')
'''CJ Frost'''
(잭스/아무무/'''제드'''/트위치/'''쓰레쉬''')
'''2013 서머 3-4위전'''
프로스트의 첫 블라인드 모드 패배
11
'''SKT T1'''
('''쉔'''/바이/'''제드'''/베인/자이라)
'''KT Bullets'''
('''쉔'''/이블린/'''제드'''/케이틀린/피들스틱)
'''2013 서머 결승전'''
류와 페이커의 제드 미러전
12
'''NaJin White Shield'''
(쉬바나/'''리 신'''/'''르블랑'''/루시안/'''쓰레쉬''')
'''KT Bullets'''
(레넥톤/'''리 신'''/'''르블랑'''/트위치/'''쓰레쉬''')
'''2014 스프링 8강 D조'''
-
13
'''NaJin White Shield'''
(쉬바나/리 신/'''르블랑'''/트위치/쓰레쉬)
'''CJ Blaze'''
(잭스/카직스/'''르블랑'''/징크스/레오나)
'''2014 스프링 4강 B조'''
-
14
'''Samsung Ozone'''
(잭스/'''리 신'''/야스오/미스 포츈/'''쓰레쉬''')
'''CJ Blaze'''
(쉬바나/'''리 신'''/룰루/트위치/'''쓰레쉬''')
'''2014 스프링 3-4위전'''
-
15
'''KT Arrows'''
(카사딘/'''리 신'''/야스오/트위치/쓰레쉬)
'''NaJin White Shield'''
(룰루/'''리 신'''/직스/코그모/나미)
'''2014 서머 8강 A조'''
-
16
'''SKT T1 S'''
('''그라가스'''/렝가/직스/코그모/나미)
'''NaJin Black Sword'''
('''그라가스'''/리 신/카사딘/이즈리얼/브라움)
'''2014 서머 8강 B조'''
-
17
'''KT Arrows'''
('''그라가스'''/리 신/카사딘/코그모/모르가나)
'''SKT T1 S'''
('''그라가스'''/렝가/라이즈/트리스타나/나미)
'''2014 서머 4강 A조'''
-
18
'''KT Arrows'''
('''마오카이'''/리 신/'''야스오'''/코그모/'''알리스타''')
'''Samsung Blue'''
('''마오카이'''/이블린/'''야스오'''/코르키/'''알리스타''')
'''2014 서머 결승전'''
-
19
'''SKT T1'''
(마오카이/렉사이/르블랑/칼리스타/쓰레쉬)
'''CJ Entus'''
(쉬바나/그라가스/아지르/우르곳/노틸러스)
'''2015 스프링 플레이오프'''
-
20
'''KOO Tigers'''
(말파이트/그라가스/야스오/'''애쉬'''/브라움)
'''NaJin e-mFire'''
(쉔/엘리스/아지르/'''애쉬'''/레오나)
'''2015 서머 와일드카드전'''
-
21
'''KT Rolster'''
('''룰루'''/엘리스/아지르/애쉬/레오나)
'''KOO Tigers'''
('''룰루'''/렉사이/빅토르/코그모/잔나)
'''2015 서머 플레이오프'''
롤챔스에서의 마지막 블라인드 모드

5.4. 역대 퍼펙트 게임#s-7.2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퍼펙트 게임은 '''킬-타워-드래곤-전령-바론 모두 상대에게 내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만큼 게임이 심각하게 많이 기울었다는 의미인데, 똑같이 게임이 많이 기울어졌음에도 저 다섯 중 하나 이상을 상대에게 내주면서 '준(準) 퍼펙트 게임'처럼 진행된 게임이 훨씬 더 많다.
'''순서'''
'''달성 팀'''
'''스코어'''
'''상대 팀'''
'''일자'''
'''경기'''
'''경기 시간'''
'''킬'''
'''타워'''
'''드래곤'''
'''전령'''
'''바론'''
1
SKT T1
21:52
18 - 0
9 - 0
2 - 0
1 - 0
1 - 0
MVP
2016.06.13
2016 서머 24경기 1세트
2
kt Rolster
30:21
8 - 0
11 - 0
2 - 0
0 - 0
1 - 0
Samsung Galaxy
2017.02.11
2017 스프링 27경기 1세트
3
Afreeca Freecs
40:13
13 - 0
11 - 0
4 - 0
1 - 0
1 - 0
kt Rolster
2017.06.03
2017 서머 7경기 1세트
4
Afreeca Freecs
26:34
8 - 0
9 - 0
2 - 0
0 - 0
1 - 0
bbq OLIVERS
2017.06.08
2017 서머 16경기 1세트
5
Jin Air Greenwings
30:08
10 - 0
9 - 0
4 - 0
1 - 0
1 - 0
Samsung Galaxy
2017.07.01
2017 서머 48경기 1세트
6
Longzhu Gaming
27:03
8 - 0
11 - 0
2 - 0
1 - 0
1 - 0
Ever8 Winners
2017.07.22
2017 서머 68경기 2세트
7
MVP
35:04
7 - 0
11 - 0
4 - 0
1 - 0
2 - 0
bbq OLIVERS
2018.02.25
2018 스프링 50경기 1세트
8
kt Rolster
34:14
12 - 0
10 - 0
5 - 0
1 - 0
1 - 0
Afreeca Freecs
2018.03.25
2018 스프링 90경기 2세트
9
Afreeca Freecs
36:08
5 - 0
11 - 0
5 - 0
1 - 0
2 - 0
bbq OLIVERS
2018.07.20
2018 서머 57경기 2세트
10
kt Rolster
25:59
15 - 0
8 - 0
3 - 0
1 - 0
1 - 0
Afreeca Freecs
2019.07.19
2019 서머 54경기 1세트
11
Gen.G Esports
28:50
13 - 0
9 - 0
4 - 0
2 - 0
1 - 0
Afreeca Freecs
2020.02.27
2020 스프링 33경기 3세트
12
T1
30:38
5 - 0
11 - 0
4 - 0
2 - 0
1 - 0
SANDBOX Gaming
2020.02.28
2020 스프링 36경기 1세트
13
kt Rolster
29:37
11 - 0
11 - 0
4 - 0
2 - 0
2 - 0
Griffin
2020.03.06
2020 스프링 45경기 3세트
LCK에서 퍼펙트 게임을 가장 많이 기록한 팀은 kt 롤스터(4회)이며, 퍼펙트 게임을 가장 많이 당한 팀은 bbq 올리버스와 아프리카 프릭스(3회)이다.

6. 국제 대회 관련 기록


  • 역대 최다 MSI 진출 팀 : T1 (4회 / 2015, 2016, 2017, 2019
각 지역의 스프링 시즌 우승팀이 모이는 MSI는 2015년 처음 만들어졌기 때문에 2015년 이후 스프링 시즌에서 우승하면 MSI 출전 자격 역시 획득하게 된다. 2015 스프링 이후 6번 진행된 스프링 시즌에서 5번 우승한 T1이 한 번의 대회 취소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럽게 최다 진출 팀이 되며, 유일하게 T1이 나가지 않은 2018 스프링에서는 KING-ZONE DragonX가 출전하였다. T1은 2번의 우승(2016, 2017)과 1번의 준우승(2015)을 거두었으며, MSI 최다 우승팀이기도 하다. KING-ZONE DragonX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팀명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T1
준우승
우승
우승

4강
취소
DRX



준우승


  • 역대 LCK 최다 롤드컵 진출 팀 : Gen.G Esports (6회 / 2013, 2014, 2016, 2017, 2018, 2020)
롤드컵 최다 우승 리그(우승 6회, 준우승 4회)인 LCK는 4대 메이저 지역(LCK, LPL, LEC, LCS) 중 하나로 3장의 진출권을 보유하고 있다.[29] 2020년 기준으로 서머 시즌 우승팀(1시드)-서머 시즌 우승팀 제외 포인트 합산 1위팀(2시드)-포인트 합산 2위 팀부터 5위 팀들이 참가하는 대표 선발전 최종 승리팀(3시드), 이렇게 3팀이 롤드컵에 참가하게 된다.
최다 진출 팀은 Gen.G Esports로 6회(우승 2회, 준우승 1회 / 전신 시절 포함) 진출하였으며, 롤드컵 최다 우승팀인 T1이 5회(우승 3회, 준우승 1회 / 전신 시절 포함)로 그 다음을 기록하고 있다. 아래의 표는 진출 횟수-진출 연도 순으로 분류하였다.
현재 팀명
진출 횟수
진출 연도
성적
'''Gen.G Esports'''
'''6회'''
2013(SSO)
2014(SSB, SSW)
2016(SSG)
2017(SSG)
2018
2020
'''우승(2014, 2017)'''
준우승(2016)
4강(2014)
8강(2020)
그룹(2013, 2018)
T1
5회
2013(SKT)
2015(SKT)
2016(SKT)
2017(SKT)
2019(SKT)
'''우승(2013, 2015, 2016)'''
준우승(2017)
4강(2019)
hyFresh Blade
3회
2012(NS), 2013(NBS), 2014(NWS)
4강(2013)
8강(2012, 2014)
Hanwha Life Esports
2회
2015(ROX), 2016(ROX)
준우승(2015)
4강(2016)
kt Rolster
2회
2015, 2018
8강(2015, 2018)
DRX
2회
2017(LZ), 2020
8강(2017, 2020)
DAMWON Gaming
2회
2019, 2020
'''우승(2020)'''
8강(2019)
CJ Entus
1회
2012(AZF)
준우승(2012)
Afreeca Freecs
1회
2018
8강(2018)
Griffin
1회
2019
8강(2019)
'''시즌'''
'''시드별 팀(누적 참가 횟수/최종 성적)'''
1시드
2시드
3시드
2012
Azubu Frost
(1회/준우승)
NaJin Sword
(1회/8강)
2013
NaJin Black Sword
(2회/4강)
Samsung Galaxy Ozone
(1회/예선)
'''SKT T1
(1회/우승(1회))'''
2014
Samsung Galaxy Blue
(2회/4강)
'''Samsung Galaxy White
(2회/우승(1회))'''
NaJin White Shield
(3회/8강)
2015
'''SKT T1
(2회/우승(2회))'''
KOO Tigers
(1회/준우승)
kt Rolster
(1회/8강)
2016
ROX Tigers
(2회/4강)
'''SKT T1
(3회/우승(3회))'''
Samsung Galaxy
(3회/준우승)
2017
Longzhu Gaming
(1회/8강)
SKT T1
(4회/준우승)
'''Samsung Galaxy
(4회/우승(2회))'''
2018
kt Rolster
(2회/8강)
Afreeca Freecs
(1회/8강)
Gen.G
(5회/그룹)
2019
SKT T1
(5회/4강)
Griffin
(1회/8강)
DAMWON Gaming
(1회/8강)
2020
'''DAMWON Gaming
(2회/우승(1회))'''
DRX
(2회/8강)
Gen.G
(6회/8강)
2021




7. 역대 개인 기록



7.1. 최다 출전/킬/데스/어시스트 기록


해당 기록들에 나온 표 항목은 아래와 같다.
  • 출전/킬/데스/어시스트 및 역대 소속팀 기록은 소속되었던 팀이 LCK에 있었을 때만 해당한다. 리그제 이전은 예선전이나 NLB 등이, 리그제 이후는 승강전과 롤드컵 선발전, KESPA컵에서의 기록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주의할 것. 특히 포스트시즌 종료 후 진행되는 승강전에서의 기록은 LCK의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
  • 해당 시즌 중 1경기라도 출전하면 시즌 수가 하나 올라가게 된다.
  • 고동빈은 세 포지션(탑-원딜-정글)을 이동하였는데, 특히 정글러로서의 기록이 LCK에서 뛴 정글러 중 가장 뛰어난지라 수정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고동빈의 통산 기록 : 18시즌 544게임 / 1509킬 1113데스 3550어시스트
    • 고동빈의 정글러로서의 통산 기록 : 10시즌 443게임 / 1056킬 900데스 2854어시스트
  • 송경호는 2020 서머에 서포터로 잠깐 참가한 기록이 있기 때문에 탑 기록 수정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송경호의 서포터 참가 시 기록(2020 서머) : 5게임 / 2킬 16데스 35어시스트
기간은 2012 스프링부터 2020 서머까지 20시즌 동안이며, '''2021 스프링 시작 전''' 시점을 기준으로 했다.
  • 역대 LCK 최다 출전 경기(400전 이상 출전)
기준이 되는 400전은 10팀 2라운드 풀리그 체제의 정규시즌에서 10시즌 이상 참가해야 가능하다. 포스트시즌에 참가했다면 더 단축할 수 있다.
'''경기 수'''
'''시즌'''
'''선수'''
'''ID'''
'''포지션'''
'''역대 LCK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591게임'''
'''17시즌'''
'''이상혁'''
'''Faker'''
MID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544게임
18시즌
고동빈
Score
TOP-BOT-JGL
Startale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499게임
14시즌
강범현
GorillA
SPT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487게임
16시즌
송경호
Smeb
TOP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473게임
15시즌
김종인
PraY
BOT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471게임
14시즌
이서행
Kuro
MID
IM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Afreeca Freecs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3회
467게임
12시즌
이성진
CuVee
TOP
Gen.G Esports
Hanhwa Life Esports
휴식
3위(1회)
464게임
13시즌
김혁규
Deft
BOT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DRX
Hanhwa Life Esports
현역
우승 2회, 준우승 3회
453게임
13시즌
박종익
TusiN
SPT
Longzhu IM
Afreeca Freec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준우승 1회
431게임
11시즌
배준식
Bang
BOT
SKT T1
Afreeca Freecs
현역
우승 4회, 준우승 1회
405게임
9시즌
박재혁
Ruler
BOT
Gen.G Esports
현역
준우승 1회
404게임
16시즌
강찬용
Ambition
MID-JGL
CJ Entus
Gen.G Esports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1회
403게임
9시즌
권상윤
Sangyoon
BOT
Afreeca Freecs
Hanhwa Life Esports
은퇴
5위(2회)
  • 포지션별 최다 출전은 아래와 같다. 고동빈의 경우는 정글러로서의 기록(2015 스프링 이후)만 카운트되었음에도 역대 정글러 중 가장 많이 출전하였다.
'''포지션'''
'''경기 수'''
'''시즌'''
'''선수'''
'''ID'''
'''역대 LCK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TOP'''
485게임
16시즌
송경호
Smeb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JGL'''
443게임
10시즌
고동빈
Score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3회
'''MID'''
591게임
17시즌
이상혁
Faker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BOT'''
473게임
15시즌
김종인
PraY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SPT'''
499게임
14시즌
강범현
GorillA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 역대 LCK 최다 킬(900킬 이상)
포지션 별로 다르기는 하지만, 10팀 2라운드 풀리그 체제의 정규시즌 하에서 킬을 가장 많이 먹는 포지션인 원딜러 기준으로 8시즌을 주전 멤버로서 풀로 뛰어야만 기준인 900킬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총 킬'''
'''선수'''
'''ID'''
'''포지션'''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2169킬'''
'''이상혁'''
'''Faker'''
MID
17시즌 59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1691킬
김종인
PraY
BOT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1585킬
김혁규
Deft
BOT
13시즌 464게임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DRX
Hanhwa Life Esports
현역
우승 2회, 준우승 3회
1548킬
이서행
Kuro
MID
14시즌 471게임
IM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Afreeca Freecs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3회
1528킬
배준식
Bang
BOT
11시즌 431게임
SKT T1
Afreeca Freecs
현역
우승 4회, 준우승 1회
1509킬
고동빈
Score
TOP-BOT-JGL
18시즌 528게임
Startale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1340킬
송경호
Smeb
TOP
16시즌 487게임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1334킬
박진성
Teddy
BOT
8시즌 377게임
Jin Air Greenwings
T1
현역
우승 3회
1328킬
박재혁
Ruler
BOT
9시즌 405게임
Gen.G Esports
현역
준우승 1회
1189킬
권상윤
Sangyoon
BOT
9시즌 403게임
Afreeca Freecs
Hanwha Life Esports
은퇴
5위
1023킬
곽보성
Bdd
MID
9시즌 321게임
CJ Entu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Gen.G Esports
현역
우승 2회, 준우승 1회
1009킬
강찬용
Ambition
MID-JGL
16시즌 404게임
CJ Entus
Gen.G Esports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1회
943킬
노동현
Arrow
BOT
8시즌 236게임
Xenics Storm
kt Rolster
휴식
우승 1회, 준우승 2회
  • 포지션별 최다 킬은 아래와 같다. 고동빈의 경우는 정글러로서의 기록(2015 스프링 이후)만 카운트되었음에도 역대 정글러 중 가장 많이 킬을 기록하였다.
'''포지션'''
'''총 킬'''
'''선수'''
'''ID'''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TOP'''
1338킬
송경호
Smeb
16시즌 485게임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JGL'''
1056킬
고동빈
Score
10시즌 443게임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MID'''
2169킬
이상혁
Faker
16시즌 56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BOT'''
1691킬
김종인
PraY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SPT'''
323킬
강범현
GorillA
14시즌 499게임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 역대 LCK 최다 데스(900데스 이상)
포지션 특성상 서포터가 가장 많을 수밖에 없지만, 다른 포지션 역시 경기 수가 많아지면 데스가 쌓이게 된다.
'''총 데스'''
'''선수'''
'''ID'''
'''포지션'''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1258 데스'''
'''강범현'''
'''GorillA'''
SPT
13시즌 459게임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1200 데스
이상혁
Faker
MID
17시즌 59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1159 데스
이성진
CuVee
TOP
12시즌 467게임
Gen.G Esports
Hanhwa Life Esports
휴식
3위
1126 데스
송경호
Smeb
TOP
16시즌 487게임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1113 데스
고동빈
Score
TOP-BOT-JGL
18시즌 544게임
Startale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1075 데스
박종익
TusiN
SPT
13시즌 453게임
Longzhu IM
Afreeca Freec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준우승 1회
1012 데스
강찬용
Ambition
MID-JGL
16시즌 404게임
CJ Entus
Gen.G Esports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1회
935 데스
김종인
PraY
BOT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905 데스
노회종
SnowFlower
SPT
7시즌 311게임
Afreeca Freecs
Jin Air Greenwings
kt Rolster
휴식
5위
903 데스
김혁규
Deft
BOT
13시즌 464게임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DRX
Hanhwa Life Esports
현역
우승 2회, 준우승 3회
  • 포지션별 최다 데스는 아래와 같다. 고동빈의 경우는 정글러로서의 기록(2015 스프링 이후)만 카운트되었음에도 역대 정글러 중 가장 많은 데스를 기록하였다.
'''포지션'''
'''총 데스'''
'''선수'''
'''ID'''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TOP'''
1159데스
이성진
Cuvee
12시즌 467게임
Gen.G Esports
Hanhwa Life Esports
휴식
3위
'''JGL'''
900데스
고동빈
Score
10시즌 443게임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MID'''
1200데스
이상혁
Faker
17시즌 59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BOT'''
935데스
김종인
PraY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SPT'''
1258데스
강범현
GorillA
14시즌 499게임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 역대 LCK 최다 어시스트(2000어시스트 이상)
어시스트는 KDA 중에서 가장 쌓기 쉬운 지라 기준 단위 수부터 다르다. 아울러 극단적으로 쏠리는 킬과 데스와 다르게 어시스트는 포지션이 고루 분포되어 있다.
'''총 어시스트'''
'''선수'''
'''ID'''
'''포지션'''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4127 어시스트'''
'''강범현'''
'''GorillA'''
SPT
14시즌 499게임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3550 어시스트
고동빈
Score
TOP-BOT-JGL
18시즌 544게임
Startale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3143 어시스트
박종익
TusiN
SPT
12시즌 453게임
Longzhu IM
Afreeca Freec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준우승 1회
3094 어시스트
이재완
Wolf
SPT-JGL-SPT
14시즌 370게임
Najin White Shield
CTU
SKT T1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1회
3087 어시스트
이상혁
Faker
MID
17시즌 59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2967 어시스트
조세형
Mata
SPT
11시즌 362게임
Samsung Galaxy White
kt Rolster
SKT T1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2720 어시스트
송경호
Smeb
TOP
16시즌 487게임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2579 어시스트
김종인
PraY
BOT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2523 어시스트
홍민기
MadLife
SPT
12시즌 289게임
CJ Entus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2회
2468 어시스트
이서행
Kuro
MID
14시즌 471게임
IM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Afreeca Freecs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3회
2446 어시스트
강찬용
Ambition
MID-JGL
16시즌 404게임
CJ Entus
Gen.G Esports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1회
2443 어시스트
김혁규
Deft
BOT
13시즌 464게임
Samsung Galaxy Blue
kt Rolster
DRX
Hanhwa Life Esports
현역
우승 2회, 준우승 3회
2203 어시스트
배준식
Bang
BOT
11시즌 431게임
SKT T1
Afreeca Freecs
현역
우승 4회, 준우승 1회
2105 어시스트
노회종
SnowFlower
SPT
7시즌 311게임
Afreeca Freecs
Jin Air Greenwings
kt Rolster
휴식
5위
2018 어시스트
한왕호
Peanut
JGL
10시즌 331게임
ROX Trigers
SKT T1
Gen.G Esports
NONGSHIM REDFORCE
현역
우승 3회, 준우승 2회
  • 포지션별 최다 어시스트는 아래와 같다. 고동빈의 경우는 정글러로서의 기록(2015 스프링 이후)만 카운트되었음에도 역대 정글러 중 가장 많은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포지션'''
'''총 어시스트'''
'''선수'''
'''ID'''
'''경기 수'''
'''역대 소속팀'''
'''비고'''
'''LCK 입상 경력'''
'''TOP'''
2685어시스트
송경호
Smeb
16시즌 485게임
IM
ROX Tigers
kt Rolster
은퇴
우승 2회, 준우승 3회
'''JGL'''
2854어시스트
고동빈
Score
10시즌 433게임
kt Rolster
은퇴
우승 1회, 준우승 4회
'''MID'''
3087어시스트
이상혁
Faker
17시즌 591게임
T1
현역
우승 9회, 준우승 1회
'''BOT'''
2579어시스트
김종인
PraY
15시즌 473게임
Najin Black Swor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kt Rolster
은퇴
우승 4회, 준우승 2회
'''SPT'''
4127어시스트
강범현
GorillA
14시즌 499게임
Najin White Shield
ROX Tigers
KING-ZONE DragonX
SANDBOX Gaming
은퇴
우승 3회, 준우승 3회

7.2. 역대 LCK 펜타킬



펜타킬은 혼자서 상대팀 5명 전원을 연속으로 처치할 경우 발생된다. 펜타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나 기타 대회에서 나온 펜타킬은 링크된 펜타킬 문서를 참고할 것. 아울러 2018 스프링 승강전부터 OGN에서 중계하지 않는 경기가 생기면서 더이상 OGN 주관대회 펜타킬의 하위 집합이 아니게 되었다.
'''순서'''
'''일자'''
'''이름'''
'''아이디'''
'''소속 팀'''
'''포지션'''
'''챔피언'''
'''경기'''
'''비고'''
1
12.04.18
이우석
Hiro
Najin e-mFire
ADC
그레이브즈
2012 스프링 8강
-
2
12.07.20
최윤섭
Locodoco
StarTale
ADC
코르키
2012 서머 16강
-
3
12.12.19
김강환
Hermes
MVP Blue
ADC
트위치
2012-13 윈터 12강
[30]
4
12.12.22
구승빈
Imp
MVP White
ADC
케이틀린
2012-13 윈터 12강
[31]
5
13.04.13
강찬용
Ambition
CJ Entus Blaze
MID
카직스
2013 스프링 12강
[32]
6
13.07.12
백승민
Riris
CTU
ADC
베인
2013 서머 16강
[33]
7
13.11.22
김종인
PraY
Najin Black Sword
ADC
베인
2013-14 윈터 16강
-
8
14.04.04
구승빈
Imp
Samsung Galaxy Ozone
ADC
징크스
2014 스프링 16강
[34]
9
14.04.23
김진현
Emperor
CJ Entus Blaze
ADC
징크스
2014 스프링 8강
-
10
14.07.30
배준식
Bang
SKT T1 S
ADC
트리스타나
2014 서머 4강
-
11
15.01.07
이상혁
Faker
SKT T1
MID
르블랑
2015 스프링 1경기 3세트
[35]
12
15.02.25
박단원
Rain
NaJin e-mFire
MID
제라스
2015 스프링 29경기 2세트
[36]
13
15.06.13
송경호
Smeb
KOO Tigers
TOP
리븐
2015 서머 28경기 3세트
[37]
14
노동현
Arrow
kt Rolster
ADC
시비르
2015 서머 29경기 1세트
-
15
15.07.10
김상문
Nagne
kt Rolster
MID
아지르
2015 서머 56경기 3세트
-
16
15.07.15
노동현
Arrow
kt Rolster
ADC
시비르
2015 서머 60경기 1세트
[38]
17
15.07.16
배준식
Bang
SKT T1
ADC
코르키
2015 서머 62경기 2세트
-
18
15.07.23
나우형
Pilot
Jin Air Greenwings
ADC
이즈리얼
2015 서머 69경기 2세트
-
19
15.08.05
김찬호
Ssumday
kt Rolster
TOP
리븐
2015 서머 81경기 3세트
-
20
16.01.16
이승주
Stitch
Samsung Galaxy
ADC
칼리스타
2016 스프링 81경기 3세트
-
21
16.01.28
나우형
Pilot
Jin Air Greenwings
ADC
칼리스타
2016 스프링 19경기 1세트
-
22
16.03.25
이민호
Crown
Samsung Galaxy
MID
바루스
2016 스프링 72경기 3세트
-
23
16.04.08
배준식
Bang
SKT T1
ADC
시비르
2016 스프링 72경기 3세트
[39]
24
16.06.29
권상윤
Sangyoon
Afreeca Freecs
ADC
시비르
2016 서머 44경기 3세트
-
25
17.01.18
강명구
Tempt
bbq OLIVERS
MID
탈리야
2017 스프링 4경기 3세트
-
26
17.03.08
하종훈
Kramer
Afreeca Freecs
ADC
애쉬
2017 스프링 53경기 2세트
-
27
17.06.25
전익수
ikssu
Jin Air Greenwings
TOP
아칼리
2017 서머 39경기 2세트
-
28
17.07.27
이민호
Crown
Samsung Galaxy
MID
카시오페아
2017 서머 75경기 2세트
-
29
18.01.25
김태훈
Lava
ROX Tigers
MID
코르키
2018 스프링 13경기 1세트
-
30
18.01.31
김동하
Khan
KING-ZONE DragonX
TOP
리븐
2018 스프링 23경기 2세트
-
31
18.02.25
박진성
Teddy
Jin Air Greenwings
ADC
칼리스타
2018 스프링 49경기 2세트
-
32
18.03.04
나우형
Pilot
MVP
ADC
케이틀린
2018 스프링 60경기 1세트
-
33
18.03.24
박진성
Teddy
Jin Air Greenwings
ADC
자야
2018 스프링 88경기 2세트
-
34
18.07.15
박재혁
Ruler
Gen.G
BOT
이즈리얼
2018 서머 49경기 3세트
-
35
19.01.23
박도현
Viper
Griffin
BOT
카이사
2019 스프링 12경기 1세트
-
36
19.03.10
김태양
SSUN
Afreeca Freecs
MID
조이
2019 스프링 65경기 2세트
-
37
19.06.05
허수
ShowMaker
Damwon Gaming
MID
카밀
2019 서머 2경기 1세트
-
38
20.02.21
진성준
Mystic
Afreeca Freecs
BOT
미스 포츈
2020 스프링 25경기 3세트
-
39
20.03.05
박재혁
Ruler
Gen.G
BOT
이즈리얼
2020 스프링 43경기 1세트
-
40
20.03.26
박재혁
Ruler
Gen.G
BOT
카이사
2020 스프링 51경기 2세트
-
41
20.03.27
김하람
Aiming
kt Rolster
BOT
이즈리얼
2020 스프링 52경기 1세트
-
42
20.03.29
이우진
HyBriD
APK Prince
BOT
미스 포츈
2020 스프링 59경기 2세트
-
43
20.04.04
이우진
HyBriD
APK Prince
BOT
카이사
2020 스프링 70경기 1세트
-
44
20.04.15
김준영
SoHwan
kt Rolster
TOP
제이스
2020 스프링 86경기 1세트
-
45
20.04.16
이우진
HyBriD
APK Prince
BOT
아펠리오스
2020 스프링 90경기 2세트
[40]
46
20.06.17
진성준
Mystic
Afreeca Freecs
BOT
아펠리오스
2020 서머 1경기 1세트
-
47
20.06.27
허수
ShowMaker
DAMWON Gaming
MID
카사딘
2020 서머 18경기 2세트
-
48
20.07.24
김건부
Canyon
DAMWON Gaming
JGL
니달리
2020 서머 53경기 1세트
[41]
49
20.08.14
김하람
Aiming
kt Rolster
BOT
케이틀린
2020 서머 77경기 2세트

50
20.08.30
박재혁
Ruler
Gen.G
BOT
세나
2020 서머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51
21.01.15
이민형
Gumayusi
T1
BOT
아펠리오스
2021 스프링 6경기 1세트

52
21.02.07
장용준
Ghost
DWG KIA
BOT
칼리스타
2021 스프링 40경기 2세트

53
21.02.25
장용준
Ghost
DWG KIA
BOT
트리스타나
2021 스프링 52경기 2세트

54
21.02.26
박재혁
Ruler
Gen.G
BOT
카이사
2021 스프링 53경기 1세트

2012 스프링 이후 매 시즌 최소 한 번의 펜타킬이 나오고 있으며, 펜타킬이 가장 많이 나온 시즌은 8번이 나온 2020 스프링이다.
'''LCK에서 펜타킬을 가장 많이 달성한 포지션은 바텀(BOT)으로 총 38회'''가 나왔다. 미드는 10회, 탑은 5회, 정글은 1회, 그리고 서포터는 0회이다. 원딜의 경우 평타를 통한 지속딜러이고 포지션 특성상 한타 끝까지 살아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당연히 펜타킬 기회가 많다. 미드의 경우 스킬쿨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섯명 모두의 막타를 치기 어렵고, 탑은 일부의 칼챔을 제외하고는 펜타킬을 꿈도 꾸기 어렵다.
LCK 기준 펜타킬이 나오지 않은 서포터의 경우 2017 스프링에 정종빈이 사이온으로 쿼드라킬을 띄운 것이 최고 기록이다. 서포터는 트리플킬조차 보기 어렵다.
LCK에서 가장 많은 펜타킬을 기록한 선수는 박재혁으로 5회를 기록 중이다. 또한 가장 많은 펜타킬을 기록한 챔피언은 시비르, 이즈리얼, 칼리스타, 카이사로 4회를 기록했다. 한편, 코르키는 2개 이상의 포지션(미드, 원딜)에서 펜타킬을 기록한 첫 챔피언이다.

7.3. LCK 1000킬/2000킬 달성 선수 일람


처음부터 '1000킬'이라는 숫자에 상징성이 생긴 것은 아니지만, 2016 서머의 이상혁을 시작으로 매 시즌마다 인기와 커리어가 많은 선수들이 속속 1000킬을 달성해가면서 선수들에게나 팬들에게나 의미있는 숫자가 되었다. 거기다 킬이 중요한 라이너들은 2015년 리그 체제 개편(조별 리그 후 토너먼트→2라운드 풀리그) 이후 매 시즌 100킬 정도를 하기 때문에 10시즌(5년) 정도 뛰어야 달성이 가능한지라 꾸준함의 상징이기도 하다. 리그 체제 개편 후부터 참가한 선수들은 한 시즌에 치르는 경기 수가 많아져(9개팀×2세트×2라운드 = 최소 36경기) 이전에 뛰었던 선수들보다 1000킬 달성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팀이 포스트시즌에 자주 진출한다면 더 빨라질 수 있다.
다만, 킬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정글[42], 킬보다 어시스트가 훨씬 중요한 서포터[43]에게 1000킬은 달성하기 힘든 목표라는 단점이 있어서 1000킬이 절대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순서'''
'''선수'''
'''당시 소속팀'''
'''포지션
(비중)'''
'''달성 경기'''
'''챔피언'''
'''달성 상대'''
'''경기 결과
(매치 결과)'''
'''달성까지'''
1
Faker
이상혁
SKT T1
MID(100%)
2016 서머 2라운드
55경기 1세트

vs MVP
(2016.07.11)

Beyond
김규석
승리
(승리)
9시즌 207경기
(2013 스프링 데뷔)
2
Pray
김종인
ROX Tigers
ADC(100%)
2016 서머 2라운드
68경기 2세트

vs ESC Ever
(2016.07.21)

Key
김한기
승리
(승리)
10시즌 234경기[44]
(2012 서머 데뷔)
3
Bang
배준식
SKT T1
ADC(100%)
2017 스프링 1라운드
45경기 1세트

vs kt Rolster
(2017.03.02)

Mata
조세형
승리
(승리)
11시즌 255경기
(2012-13 윈터 데뷔)
4
Score
고동빈
kt Rolster
ADC(43.9%)
TOP(1.6%)
JGL(54.5%)
2017 스프링 2라운드
49경기 1세트

vs SKT T1
(2017.03.05)

Wolf
이재완
패배
(패배)
13시즌 310경기
(2012 스프링 데뷔)
5
Kuro
이서행
Afreeca Freecs
MID(100%)
2017 서머 1라운드
16경기 1세트

vs bbq OLIVERS
(2017.06.08)

Ghost
장용준
승리
(승리)
10시즌 251경기
(2013 서머 데뷔)
6
Smeb
송경호
kt Rolster
TOP(100%)
2018 스프링 2라운드
56경기 1세트

vs KONGDOO MONSTER
(2018.03.01)

Edge
이호성
승리
(승리)
12시즌 338경기
(2013 스프링 데뷔)
7
Ambition
강찬용
Gen.G
MID(50%)
JGL(50%)[45]
2018 서머 2라운드
68경기 1세트

vs Griffin
(2018.07.26)
[image]
Sword
최성원
승리
(승리)
16시즌 393경기
(2012 스프링 데뷔)
8
Sangyoon
권상윤

Hanhwa Life Esports
BOT(100%)
2019 스프링 1라운드
31경기 2세트

vs Gen.G
(2019.02.13)
[image]
Fly
송용준
승리
(승리)
8시즌 335경기
(2015 서머 데뷔)
9
Deft
김혁규

KING-ZONE DragonX
BOT(100%)
2019 스프링 2라운드
76경기 1세트

vs kt Rolster
(2019.03.21)

Kingen
황성훈
승리
(승리)
10시즌 298경기[46]
(2013 스프링 데뷔)
10
Teddy
박진성
T1
BOT(100%)
2020 스프링 1라운드
32경기 2세트

vs Griffin
(2020.02.26)
[image]
Irove
정상현
승리
(승리)
7시즌 299경기
(2017 스프링 데뷔)
11
Ruler
박재혁
Gen.G
BOT(100%)
2020 스프링 2라운드
63경기 1세트

vs T1
(2020.04.01)
[image]
Cuzz
문우찬
승리
(패배)
8시즌 336경기
(2016 서머 데뷔)
12
BDD
곽보성
Gen.G
MID(100%)
2020 스프링 2라운드
77경기 3세트

vs APK Prince
(2020.04.08)
[image]
Secret
박기선
승리
(승리)
9시즌 312경기
(2016 스프링 데뷔)
13
Ghost
장용준
DWG KIA
BOT(100%)
2021 스프링 2라운드
48경기 3세트

vs 한화생명e스포츠
(2021.02.20)
[image]
Vsta
오효성
승리
(승리)
9시즌 360경기
(2016 서머 데뷔)
1000킬 달성 당시 포지션은 '''TOP 1명(송경호) / JGL 2명(고동빈, 강찬용) / MID 3명(이상혁, 이서행, 곽보성) / BOT 7명(김종인, 배준식, 권상윤, 김혁규, 박진성, 박재혁, 장용준)'''으로 위에서 언급한 대로 서포터는 한 명도 없으며, 순수 정글러로 1000킬을 달성한 선수 또한 없다.[47]
  • 고동빈은 자신의 1000킬 달성 경기에서 유일하게 패배한 선수이다. 매치 패배까지 확장하면 2명(고동빈, 박재혁)이 있다.
  • 2015년 리그 개편 이전부터 LCK에 참여했던 선수들 중에서 송용준(2014 서머 데뷔)이 1000킬을 달성하게 되면 1000킬 달성자가 더이상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48] 이후로는 개편 이후 참여한 선수들이 1000킬 달성 및 후보자가 되고 있다.
  • 1000킬 달성자 중 LCK 우승 경력이 없는 건 2명(권상윤, 박재혁)뿐이다.[49] 다만 박재혁은 롤드컵 우승(2017) 및 준우승(2016) 경력이 있으며, LCK 결승전에 간 적은 있다(2020 스프링)
2021년에는 2021 스프링 시작 기준으로 송용준(838킬), 한왕호(818킬)의 1000킬 달성이 유력시된다.
2021 스프링 시작 기준
송용준
9시즌 337경기(2014 서머 데뷔)[50]
2016 서머 준우승
한왕호
10시즌 331경기(2015 스프링 데뷔)[51]
2016 서머,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우승
한편, LCK 1500킬은 이상혁-김종인-배준식-고동빈-이서행-김혁규 순으로 달성하였다.[52] 리그제 개편 이전의 선수의 경우는 토너먼트 체제를 포함하는지라 리그제 개편 후보다 경기 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면서 젊은 선수들에게 밀려 은퇴하거나 해외리그 이적으로 더이상 킬 수를 쌓을 수 없게 되어 1500킬 달성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순서'''
'''선수'''
'''당시 소속팀'''
'''포지션
(비중)'''
'''달성 경기'''
'''챔피언'''
'''달성 상대'''
'''경기 결과
(매치 결과)'''
'''달성까지'''
1
Faker
이상혁
T1
MID(100%)
2020 스프링 1라운드
44경기 2세트

vs Afreeca Freecs
(2020.03.05)

Jelly
손호경
패배
(패배)
17시즌 532경기
LCK 2000킬은 가장 먼저 1000킬과 1500킬을 달성한 이상혁이 달성했다.[53] 위에서 언급했듯이 1500킬을 달성한 선수가 적은데다 대부분 은퇴했기 때문에 2번째 2000킬이 나오려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2번째 2000킬 달성 가능성을 찾아보자면 1000킬 달성에서 알 수 있듯이 리그 체제가 개편된 2015 스프링 이후 데뷔한 선수가 유리할 것으로 보이나 누적 시즌 부족으로 아직은 1500킬 달성자조차 없다. 그래서 일단은 현역으로 뛰고 있는 현 1500킬 달성자가 2번째 2000킬 달성을 할 가능성이 가장 유력한데 대부분이 은퇴하면서 김혁규만이 유일한 후보가 되었었다. 배준식이 2021 스프링에 LCK로 컴백한 것이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으나 시즌이 진행되면서 그의 소속팀이 하위권으로 처지면서 여전히 김혁규가 2번째 2000킬 달성자로 가장 유력한 상황이다.
  • 이상혁은 1000킬에 이어 2000킬도 최초로 달성하였다. 그리고 이상혁은 2000킬 달성 경기에서, 고동빈은 1000킬 달성 경기에서 둘이 각각 유일하게 패배하였는데 둘다 3월 5일로 날짜까지 같다.[54]
여담으로 9번째 1000킬을 기록한 김혁규는 LPL과 LCK에서 모두 1000킬 이상을 달성했다.[55] 이렇게 서로 다른 두 리그에서 각각 1000킬 이상을 달성한 선수는 2020년 4대 메이저리그 서머가 모두 끝난 시점을 기준으로 아직까지는 그가 전세계에서 유일무이다. 송의진의 경우는 커리어 초창기 LCK에서 141킬을 달성했지만, 이후 LPL의 IG로 건너가서는 2,000킬 이상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두 리그의 진행방식이나 스타일이 많이 다른 적도 있었고 비슷했던 적도 있으므로 참고만 할 기록. 또한 2020년 4대 메이저리그 서머가 모두 끝난 시점을 기준으로 4대 메이저리그에서 가장 많은 킬을 기록한 선수는 현역으로 활동할 동안 총 2617킬을 기록한 지안즈하오였으나 김혁규2021 LCK 스프링에 그의 기록을 넘어 역대 최다킬 선수가 되었다.

7.4. 기타 기록들


  • 최다 연승 선수: 19연승 - 정언영, 배성웅, 이상혁, 채광진 / 강선구
정언영, 배성웅, 이상혁, 채광진은 이정현과 함께 SK텔레콤 T1 K에서 2013 서머 결승에서 패패승승승 우승, 2013~14 윈터에서 15전 전승 우승(모든 세트 승리)으로 18연승을 달성 후, 14 스프링 시즌 첫 경기에서 이정현 대신 권지민과 함께 뛴 경기에서 형제팀을 상대로 한 세트를 이기면서(최종 스코어 1:1)을 기록하면서 19연승을 달성하였다. 강선구는 SK텔레콤 T1에서 지속적인 교체기용으로 팀을 위기의 수렁에서 구해내며 17 스프링/서머를 통틀어 위의 SKT의 선배들과 어깨를 견줄 19연승을 달성했다. 이정현의 경우는 2014 스프링 초반에 지병으로 한동안 나오지 못했다가, 오랜만에 나온 경기에서 패배를 하여 18연승에서 마감하였다.
  • 다회 결승 진출자(포지션 무관)
위쪽에 있는 건 '우승자들만의 기록'이고, 이쪽은 '결승전 진출자들의 기록'이라는 것에 주의.
배열 기준은 결승 진출 횟수-우승 횟수-우승 연도(첫 우승 시즌이 빠른 순서, 첫 우승 시즌이 같으면 다음 우승까지 순서대로 비교)-준우승 연도-포지션
'''진출 횟수'''
'''선수'''
'''ID'''
'''포지션'''
'''결승전 결과'''
'''우승'''
'''준우승'''
'''10회'''
'''이상혁'''
'''Faker'''
MID
'''9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1회
2017 서머
'''6회'''
김종인
PraY
BOT
4회
2012-2013 윈터, 2016 서머
2017 서머, 2018 스프링
2회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조세형
Mata
SPT
4회
2013 스프링,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2회
2013-2014 윈터, 2017 스프링
강범현
GorillA
SPT
3회
2016 서머, 2017 서머
2018 스프링
3회
2014 스프링,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5회'''
배성웅
Bengi
JGL
5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0회
-
배준식
Bang
BOT
4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1회
2017 서머
이재완
Wolf
SPT
4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1회
2017 서머
한왕호
Peanut
JGL
3회
2016 서머, 2017 스프링
2018 스프링
2회
2016 스프링, 2017 서머
김혁규
Deft
BOT
2회
2014 스프링, 2018 서머
3회
2014 서머, 2017 스프링, 2020 서머
송경호
Smeb
TOP
2회
2016 서머, 2018 서머
3회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고동빈
Score
BOT
JGL
1회
2018 서머(JGL)
4회
2013 서머(ADC), 2015 서머(JGL)
2016 서머(JGL), 2017 스프링(JGL)
'''4회'''
김동하
Khan
TOP
4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0회
-
배어진
Dade
MID
2회
2013 스프링, 2014 스프링
2회
2013-2014 윈터, 2014 서머
김찬호
Ssumday
TOP
1회
2014 서머
3회
2013 서머, 2015 서머
2016 서머
이서행
Kuro
MID
1회
2016 서머
3회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2018 스프링
정지훈
Chovy
MID
-
-
4회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서머
'''3회'''
문우찬
Cuzz
JGL
3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20 스프링
0회
-
박진성
Teddy
BOT
3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0회
-
이상호
Effort
SPT
3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0회
-
강선구
Blank
JGL
2회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1회
2017 서머
곽보성
Bdd
MID
2회
2017 서머, 2018 스프링
1회
2020 스프링
김태민
Clid
JGL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1회
2020 스프링
장건웅
Woong
TOP
BOT
1회
2012 서머(ADC)
2회
2012 스프링(TOP)
2012-2013 윈터(ADC)
이현우
CloudTemplar
JGL
1회
2012 서머
2회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정민성
RapidSTAR
MID
1회
2012 서머
2회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홍민기
MadLife
SPT
1회
2012 서머
2회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이다윤
Spirit
JGL
1회
2014 스프링
2회
2014 서머, 2018 스프링
노동현
Arrow
BOT
1회
2014 서머
2회
2015 서머, 2016 서머
최성원
Sword
TOP
-
-
3회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이승용
Tarzan
JGL
-
-
3회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박도현
Viper
BOT
-
-
3회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손시우
Lehands
SPT
-
-
3회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2회'''
정언영
Impact
TOP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0회
-
채광진
Piglet
TOP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0회
-
이정현
PoohManDu
SPT
2회
2013 서머, 2013-2014 윈터
0회
-
장경환
MaRin
TOP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0회
-
임재현
Tom
JGL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0회
-
이지훈
Easyhoon
MID
2회
2015 스프링, 2015 서머
0회
-
김재희
Crazy
TOP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0회
-
강민승
Haru
JGL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0회
-
한겨레
Leo
BOT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0회
-
김태우
Gori
MID
2회
2019 서머, 2020 스프링
0회
-
신동진
Helios
JGL
1회
2012 스프링
1회
2013 스프링
강찬용
Ambition
MID[56]
1회
2012 스프링
1회
2013 스프링
강형우
JackSparrow
BOT
1회
2012 스프링
1회
2013 스프링
함장식
Lustboy
SPT
1회
2012 스프링
1회
2013 스프링
박상면
Shy
TOP
1회
2012 서머
1회
2012-2013 윈터
조재걸
Watch
JGL
1회
2012-2013 윈터
1회
2014 스프링
최인규
Dandy
JGL
1회
2013 스프링
1회
2013-2014 윈터
구승빈
imp
BOT
1회
2013 스프링
1회
2013-2014 윈터
최천주
Acorn
TOP
1회
2014 스프링
1회
2014 서머
이관형
Heart
SPT
1회
2014 스프링
1회
2014 서머
이병권
KaKAO
JGL
1회
2014 서머
1회
2013 서머
이종범
Piccaboo
SPT
1회
2015 스프링
1회
2015 서머
허승훈
Huni
TOP
1회
2017 스프링
1회
2017 서머
김하늘
Sky
MID
1회
2017 스프링
1회
2017 서머
허원석
PawN
MID
1회
2018 서머
1회
2017 스프링
김광희
Rascal
TOP
1회
2017 서머
1회
2020 스프링
정상현
Kabbie
SPT
0회
-
2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최현준
Doran
TOP
0회
-
2회
2019 서머, 2020 서머
  • 연속 결승 진출자(포지션 무관)
2회 연속 결승 진출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3회 연속 이상 진출자만 기재하며, 여기에 해당하는 선수는 15명이다.
배열 기준은 진출 횟수-선수-ID-포지션-시작 시즌-종료 시즌-결과 순.
'''진출 횟수'''
'''선수'''
'''ID'''
'''포지션'''
'''시작 시즌'''
'''종료 시즌'''
'''결과'''
(O : 우승 / X : 준우승)
'''5회 연속'''
'''한왕호'''
'''Peanut'''
JGL
2016 스프링
2018 스프링
XOOXO
'''3회 연속'''
장건웅
Woong
TOP
BOT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XOX
이현우
CloudTemplar
JGL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XOX
정민성
RapidSTAR
MID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XOX
홍민기
Madlife
SPT
2012 스프링
2012-2013 윈터
XOX
배성웅
Bengi
JGL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OOO
이상혁
Faker
MID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OOO
배준식
Bang
BOT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OOO
이재완
Wolf
SPT
2015 스프링
2016 스프링
OOO
송경호
Smeb
TOP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XOX
최성원
Sword
TOP
2018 서머
2019 서머
XXX
이승용
Tarzan
JGL
2018 서머
2019 서머
XXX
정지훈
Chovy
MID
2018 서머
2019 서머
XXX
박도현
Viper
BOT
2018 서머
2019 서머
XXX
손시우
Lehends
SPT
2018 서머
2019 서머
XXX
조세형
Mata
SPT
2018 서머
2019 서머
OOO
김태민
Clid
JGL
2019 스프링
2020 스프링
OOX
이상혁
Faker
MID
2019 스프링
2020 스프링
OOO
박진성
Teddy
BOT
2019 스프링
2020 스프링
OOO
이상호
Effort
SPT
2019 스프링
2020 스프링
OOO
  • LCK 단일 팀 소속(8시즌 이상)
2020 서머 기준으로 이적 없이 8시즌 이상 한 팀에 소속된 선수는 아래와 같다. 팀명 변경 전 및 형제 팀 시절 기록도 포함한다.
'''시즌 수'''
'''선수'''
'''ID'''
'''소속 팀'''
'''소속 시즌'''
'''해당 팀 소속 당시 LCK 입상 경력'''
'''17시즌'''
'''이상혁'''
'''Faker'''
'''T1'''
'''2013 스프링 ~ (진행 중)'''
우승 9회, 준우승 1회
16시즌
고동빈
Score
kt Rolster
2012-13 윈터 ~ 2019 서머
우승 1회, 준우승 4회
12시즌
홍민기
Madlife
CJ Entus
2012 스프링 ~ 2016 서머
우승 1회, 준우승 2회
11시즌
박상면
Shy
CJ Entus
2012 서머 ~ 2016 서머
우승 1회, 준우승 1회
11시즌
배준식
Bang
SKT T1
2013-14 윈터 ~ 2018 서머
우승 4회, 준우승 1회
11시즌
이재완
Wolf
SKT T1
2013-14 윈터 ~ 2018 서머
우승 4회, 준우승 1회
10시즌
강찬용
Ambition
CJ Entus
2012 스프링 ~ 2015 서머
우승 1회, 준우승 1회
10시즌
이성진
Cuvee
Gen.G
2015 스프링 ~ 2019 서머
3위 1회
9시즌
배성웅
Bengi
SKT T1
2013 스프링 ~ 2016 서머
우승 5회
'''9시즌'''
'''박재혁'''
'''Ruler'''
'''Gen.G'''
'''2016 서머 ~ (진행 중)'''
준우승 1회, 3위 1회


[해체]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1] Gen.G의 전신이 된 MVP와 별개의 팀[2] 아마추어 팀으로는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있다. 별개로 프랜차이즈 심사는 신청하지 않았기에 LCK에는 참가할 수 없다.[3] 이전 시즌인 2014 서머에도 참가했었지만 시즌 종료 후 리빌딩을 단행하게 되면서 시드를 포기하였고, 그 결과 발생한 시드선발전을 통과하여 명맥을 이어나가게 되었다.[4] 정규시즌 1위 팀이 우승했을 때 한정으로는 3대0이 3번, 3대1이 2번, 3대2가 2번 있었다.[5] 누가 누구에게 투표했는지는 보여주지 않지만, 만장일치 여부나 아쉽게 Player of the Game을 받지 못한 선수가 얼마나 득표했는지는 확인할 수 있다.[6] 선정단에서 소속팀 2명(감독, 선수 1명)을 제외하고 투표를 받을 수 있는 38명 중에서 36명이 퍼스트, 2명이 세컨드로 선정했다.[7] 2000년 7월 22일 생이라 시즌 진행 중에 만 20세가 되었지만, 시즌 시작 전 기준으로 만 19세였기 때문에 Young Player 수상 조건을 충족한다.[8] 원래 이 자리에는 김광희가 들어가야 하지만, 시즌 중 있었던 논란 때문에 로스터에서 제외되었는지라 우승 기록에도 빠져있다.[9] 이재완(4회) : 2015 스프링 - 2015 서머 - 2016 스프링(3연속) / 강범현(3회) : 2017 서머 - 2018 스프링(2연속) / 조세형(4회) : 2018 서머 - 2019 서머(3연속) / 이정현(2회) : 2013 서머 - 2013-14 윈터(2연속) / 이상호(3회) : 2019 스프링 - 2019 서머(3연속)[10] 2018 서머는 kt Rolster 소속으로, 2019 스프링은 SKT T1 소속으로 달성[11] 2016 서머는 ROX Tigers 소속으로, 2017 스프링은 SKT T1 소속으로 달성[12] 시즌 중 출전 경기가 없었다.[13] 시즌 중에 은퇴하여 엔트리만 등재되었다.[14] 2013 LCK 스프링(MVP Ozone), 2018 LCK 서머(kt Rolster), 2019 스프링(SKT T1)[15] 2016 LPL 스프링(RNG)[16] 2012-2013 윈터(나진 블랙 소드), 2016 서머(락스 타이거즈), 2017 LCK 서머(롱주)[17] 2013 서머, 2013-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18] 시즌 3, 2015 롤드컵, 2016 롤드컵&MVP[19] 2013-2014 윈터,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7 스프링,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20] 시즌 3, 2015, 2016(MVP)[21]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공식 규정집 - 1.1 선수 연령 : 만 17세 미만의 선수는 어떠한 LCK 경기에도 출전할 수 없다. LCK 참가 팀은 만 17세 미만의 선수와 자체적으로 계약을 맺을 수 있으나, '''해당 선수가 만 17세가 된 이후에만 경기에 출전시킬 수 있다.'''[22] 10위 : KONGDOO MONSTER (1승 17패 -27)[23] 10위 : CJ ENTUS (3승 15패 -20)[24] 10위 : Ever8 Winners (3승 15패 -19)[25] 10위 : KONGDOO MONSTER (2승 16패 -23)[26] 10위 : Griffin (5승 13패 -13)[27] 10위 : SeolHaeOne Prince (1승 17패 -29)[28] 규정집에는 신규 챔피언 적용 시점이 '출시 후 최소 1주일'이라고 규정되어 있다.[29] 메이저 지역은 기본적으로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의 탑 시드 1장씩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해 MSI 최종 결과나 기타 조정 등을 통해 그룹 스테이지 직행팀 수가 달라지거나 참가 팀 수가 조정되는 등 많은 우대를 받는다.[30] 현재까지 유일한 LCK 랜덤 픽 펜타킬.[31] 최초의 펜타킬 패배. 긴 기간동안 유일한 펜타킬 패배였으나 8년후 2020 롤챔스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후계자라고도 볼 수 있는 젠지의 룰러 선수에 의해 기록이 깨졌다.[32] LCK 최초의 미드 라이너 펜타킬이자 최초의 근접 챔피언 펜타킬.[33] 현재까지 유일한 아마추어 팀 선수의 펜타킬.[34] LCK 최초의 단일 선수 두 번째 펜타킬.[35] LCK 최초의 AP 챔피언 펜타킬이자 LCK 최초의 개막전 펜타킬.[36] LCK 최초의 데뷔전 펜타킬.[37] LCK 최초의 탑 라이너 펜타킬.[38] LCK 최초의 한 시즌 두 번째 펜타킬.[39] LCK 최초의 단일 선수 세번째 펜타킬.[40] LCK 최초 한 시즌 3번째 펜타킬[41] LCK 최초 정글러 펜타킬[42] 정글러로서 LCK 1000킬을 달성한 고동빈과 강찬용은 각각 원딜과 미드에서 포지션을 변경하였는지라 순수 정글러로서의 기록은 아니다. 단 고동빈의 경우 정글러 전향한 이후 기록만 계산해도 1000킬 이상을 했다.[43] 1000킬에 대응하는 1000어시스트를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2019년 서머 기준으로 1000어시스트 달성자는 무려 48명이나 되는지라 큰 의미는 없다. 2000어시스트로 좁힌다면 14명이 달성했고 3000어시스트로 더 가면 3명(강범현, 고동빈, 이재완) 뿐이다.[44] 1시즌(2014 서머) 휴식[45] 앰비션은 미드라이너로 정확히 500킬을 달성하고 전향했기 때문에 1000킬 달성 시점에 미드라이너 시절 킬과 정글러 시절 킬이 500씩이었다.[46] 4시즌(2015 스프링~2016 서머) LPL의 EDG 소속[47] 다만 고동빈은 통산 킬과 별개로 정글 포지션만으로 1000킬을 달성하였다.[48] 가장 가능성이 높았던 건 943킬인 노동현(2013 서머 데뷔)이었으나 2016 서머 이후 해외에서 뛰다가 1000킬 달성을 하지 못한 채 은퇴하였다.[49] 고동빈은 1000킬 달성 시에는 우승이 없었으나 3시즌 뒤인 2018 서머에서 우승하였다.[50] 2시즌(2015 스프링/서머) LPL의 IG, 1시즌(2017 서머) LCS의 GCU, 1시즌(2018 스프링) LCS의 Flyquest 소속[51] 2시즌(2020 스프링/서머) LPL의 LGD 소속[52] 김종인의 1500킬은 역대 두 번째라고 기사가 나와있지만# 나머지는 관련된 기사가 없다.[53] 참고로 타국리그를 살펴보면 2020년 7월 15일 기준 LCS와 LEC는 아무래도 단판제 체제로 운영되다 보니 경기 수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어 아직 2000킬 달성자가 없고 LPL은 우지와 루키가 있다.[54] 1000킬 같은 경우는 박재혁이 1000킬 경기는 승리했지만 매치 결과는 패배 해버려서 매치 패배까지 확장하면 유일하지 않다.[55] LPL 2시즌(2015~2016시즌) 정규리그/플레이오프 합계 1,027킬을 기록하였다.[56] 정글러로 LCK 결승전에 올라온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