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실존인물/서양

 



1. 개요
1.1. 상세
1.1.1. 기원전
1.1.2. 1세기
1.1.3. 9세기
1.1.4. 11세기
1.1.5. 12세기
1.1.6. 14세기
1.1.7. 15세기
1.1.8. 16세기
1.1.9. 17세기
1.1.10. 18세기
1.1.11. 19세기
1.1.11.1. 1800년대
1.1.11.2. 1810년대
1.1.11.3. 1820년대
1.1.11.4. 1830년대
1.1.11.5. 1840년대
1.1.11.6. 1850년대
1.1.11.7. 1860년대
1.1.11.8. 1870년대
1.1.11.9. 1880년대
1.1.11.10. 1890년대
1.1.11.11. 1900년대[1]
1.1.12. 20세기
1.1.12.1. 1900년대
1.1.12.2. 1910년대
1.1.12.3. 1920년대
1.1.12.4. 1930년대
1.1.12.5. 1940년대
1.1.12.6. 1950년대
1.1.12.7. 1960년대
1.1.12.8. 1970년대
1.1.12.9. 1980년대
1.1.12.10. 1990년대
1.1.12.11. 2000년대[2]
1.1.13. 21세기
1.1.13.1. 2000년대
1.1.13.2. 2010년대
1.1.13.3. 2020년대


1. 개요


실존인물 중 한국사를 제외한 외국인 중 서양인들의 유언을 정리한 항목. 인물들의 사망 시점을 기준하여 시대순.

1.1. 상세



1.1.1. 기원전


'''기원전'''
유언
인물
생몰년
나는 이제 세상 모든 사람이 가는 길로 간다.는 굳세고 장부다워야 한다. 그리고 너는 주 너의 하느님의 명령을 지키고,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주님께서 지시하시는 길을 걷고, 주님의 법률과 계명, 주님의 율례와 증거의 말씀을 지켜라.[3]
다윗
? - B.C. 961.
아, 여보게 크리톤! 우리는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 한 마릴 빚졌네.[4]
소크라테스
B.C. 470? - B.C. 399.5.7.
가장 강한 자.[5]
알렉산드로스 대왕[6]
B.C. 356.7 - B.C. 323.6.10.
가서 원로원에게 로마를 요새화하고, 승리한 적들이 올 때까지 방어를 단단히 하라고 전해주시오. 그리고 파비우스에게 전해주시오. 나는 그대와의 약속을 죽을 때까지 지켰다고. 나를 살해당한 병사들과 최후를 맞도록 내버려두시오. 부디 나를 집정관이 아닌 몸으로 스스로를 변호하거나, 아니면 전우를 고발하여 스스로의 결백을 다른 이를 유죄에 빠뜨리며 증명하게 하지 말아주시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7]
? - B.C. 216.8.2.
내 원을 밟지 마시오![8]
아르키메데스[9]
B.C. 287 - B.C. 212.
'로마인들을 그들의 가장 큰 염려에서 해방시킬 때가 되었군. 그들은 이 노인의 죽음을 그토록 고대해 왔으니.'[10]/아! 카르타고여! 나를 용서해다오!
한니발 바르카
B.C. 247 - B.C. 183.
배은망덕한 조국이여! 그대는 나의 뼈를 얻지 못할 것이다.[11]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B.C. 235 - B.C. 183.
누가 나처럼 우리 공화국을 구할 수 있을 것인가?[12][13]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
B.C. 130 - B.C. 91.
위대하신 유피테르여! 이 죄악의 장본인을 벌하여 주옵소서![14]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15]
B.C. 85 - B.C. 42.10.23.
그래야지요. 하지만 발이 아니라 손으로 떠나야겠습니다. 나는 더없이 만족스럽습니다. 다만 조국을 구제하지 않은 운명이 원망스러울 뿐이오. 나는 비록 패배했으나 나를 이긴 자들보다 행복한 사람입니다. 이제 그 어떤 정복자도, 수많은 무기와 재물로도 얻지 못할 아름다운 명성을 남기고 갈 테니까요. 정복자란 후대 사람들에게 불의하고 사악한 자, 공의와 선을 짓밟는 자, 부정하게 권력을 찬탈한 자라는 말이나 듣는 존재 아니겠소. 벗이여, 부디 떠나는 그 길이 안전하길![16][17]

1.1.2. 1세기


'''1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내가 인생이라는 연극에서 내 배역을 잘 연기했더냐? 그렇다면 기쁜 목소리와 박수로 이 배우에게 찬사를 보내다오.[18]
아우구스투스
B.C. 63.9.23. - A.D. 14.8.19.
나의 하느님, 나의 하느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다 이루었다!/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맡깁니다.[19]
예수
B.C. 4? - A.D. 30/36.
여기(배)를 찔러라, 여기가 바로 네로가 태어난 곳이다!
소(小) 아그리피나
15.11.7. - 59.3.23.
참으로 훌륭한 충신이로고!
네로 황제[20]
37.12.13. - 68.6.9.
한 예술가가 죽는구나! 예술과 음악의 얼마나 큰 손실인가!
이보게, 내가 신이 되어가는 것 같아.[21]
베스파시아누스 황제[22]
9.11.17. - 79.6.23.

1.1.3. 9세기


'''9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나를 그냥 내버려 두게! 당신들의 치료약 없이 죽는 것이 낫겠어!
카롤루스 대제[23]
740/742/747. - 814.1.28.
늙은 맷돼지가 비참히 죽어가는 것을 안다면 새끼 맷돼지들이 어떻게 꿀꿀거릴까?[24]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 865.

1.1.4. 11세기


'''11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나는 평소에 정의를 사랑하고 불공정을 증오하였다. 그래서 이렇게 망명지에서 죽노라.
그레고리오 7세[25]
1020? - 1085.5.25.
당신은 내 맘을 알지?[26]
엘 시드
1040. - 1099.7.10.
폐하, 왕은 신하 앞에서 무릎을 꿇는 것이 아닙니다.[27]

1.1.5. 12세기


'''12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나는 술집에서 죽으려고 하네. 그리하여 죽어가는 내 입가에 술을 가까이 하리. 그러면 천사들의 노래가 좀더 아름답게 들리리라. '신이시여 이 술꾼에게 부디 은총을.'
대시인(Archpoet)[28]
1130. - 1165.
나는 내 야심을 성전 기사단에게, 내 탐욕을 수도자들에게, 그리고 내 쾌락을 고위 성직자에게 맡긴다.
리처드 1세
1157. - 1199.

1.1.6. 14세기


'''12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나는 내가 본 것을 절반도 채 말하지 못했다.[29]
마르코 폴로
1254. - 1324.1.8.

1.1.7. 15세기


'''15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오늘 당신들은 볼품없는 거위를 불에 태우지만, 100년의 시간이 흐른 후에는 당신들이 영원히 태워 없앨 수 없는 백조의 노래소리를 듣게 될 것이오!
얀 후스
1372? - 1415.7.6.
오, 루앙! 나의 죽음 때문에 고통을 받을까 크게 걱정이 되누나. 예수……예수여![30]
잔 다르크
1412.1.6. - 1431.5.30.
성은 함락되었지만 나는 여전히 살아있구나!
콘스탄티노스 11세
1405.2.8. - 1453.5.29.
내 시체를 받아줄 그리스도교인은 없는 것이냐!

1.1.8. 16세기


'''16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내 죽어도 에스파냐 땅은 밟지 않으련다.[31]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1450.10.31. - 1506.5.20.
행복하군.
라파엘로 산치오
1483.4.6. - 1520.4.6.
나를 불쌍히 여길 것 없네. 나는 나의 의무를 수행하다, 명예롭게 죽는 것이기 때문일세. 오히려 나는 그대를 가엾게 여기네. 그대는 그대의 왕과 조국, 그대가 했던 맹세에 맞서 싸우고 있기 때문이지.
바야르 영주 피에르 테라일[32]
1473. - 1524.4.30.
이보게, 내 목은 짧으니까 조심해서 자르게.
토머스 모어
1478.2.7. - 1535.6.6.
내 수염은 반역죄를 짓지 않았네[33].
주여, 영국 왕의 눈을 뜨게 해주소서.
윌리엄 틴들[34]
1494. - 1536.
우리는 거지같은 존재입니다. 이것은 진실입니다.
마르틴 루터
1483. - 1546.
우선 잠을 편히 자야겠소. [35]
헨리 8세
1491.6.28. - 1547.1.28.
이제야 조각을 조금 알 것 같은데 죽어야 한다니…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1475.3.6. - 1564.2.18.
현세를 살아가는 데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을 기억하라.

1.1.9. 17세기


'''17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내가 가진 모든 것은 아주 짧은 한순간을 위한 것이었어(All my possessions for a moment of time).
엘리자베스 1세
1533.9.7. - 1603.3.24.
으윽! 칼에 찔렸다!
앙리 4세[36]
1553.12.13. - 1610.5.14.
내가 죽음을 맞이한다는 사실은 절대로 새로운 일이 아니네. 십 수년 전, 나는 영원히 계속될 것 같은 괴로운 인생을 보냈었네. 이러한 괴로운 인생을 보내고 나니, 죽음이 두렵다기 보다는 그에 대해 잘 생각하게 되었지. 오랜 시간이 지나, 다행히도 이전에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을 바로잡을 수 있었고, 좋은 죽음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되었네.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죽음을 맞이할 수 있어서, 그리고 내 삶의 괴로움과 불행을 끝내고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어서 매우 행복하다네. 나는 이전에는 싸우다가 죽은 것만을 생각했었네. 하지만 이제는 다르네. 세상의 영광을 위해 끝까지 싸우다가 전투 중에 죽음을 맞이하는 것보다는, 내 영혼의 구원을 위해 침대 위에서 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훨씬 더 기쁘다네.
마옌 공작[37]
1554.3.26. - 1611.10.3.
나는 개신교와 가톨릭이 화해하도록 노력을 다했소이다.
요하네스 케플러[38]
1571.12.27. - 1630.11.15.
왕이 신하를 사형시키는 것과 신하가 왕을 사형시키는 것, 어느 쪽의 죄가 더 크다고 생각하는가? 짐은 그대들의 왕임을 기억하라!
찰스 1세[39]
1600.11.19. - 1649.1.30.
나는 이제 부패한 나라에서 영원히 변치 않는 나라로 간다. 이 세상의 어지러움이여, 안녕히.
자, 이제 출발해야지.
르네 데카르트
1596.3.31. - 1650.2.11.
하하하하하하하하. 늘 달나라로 가고 싶어했는데 이렇게 갑자기 밤중에 비열하게 습격받아 가다니 좀 아쉬운걸? 그래도 뭐 이왕 가는 거 멋지게 가마!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
1609. - 1655.
바라건대 하느님이 영원히 나를 버리지 않기를!
블레즈 파스칼
1623.6.19. - 1662.8.19.
이제 나의 마지막 여행을 떠나려고 한다. 어둠 속에서 한 발자국 떼어 볼까.
토머스 홉스
1588.4.5. - 1679.12.4.
(노복 모랑의 손을 잡고) 안녕 모랑, 나는 죽어간다.
(친구에게 최후의 포옹을 하고는) 당신보다 먼저 죽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장 라신[40]
1639.12.22. - 1699.4.21.

1.1.10. 18세기


'''18세기'''
유언
인물
생몰년
죽는 것이 사는 것보다 더 힘들구나.
루이 14세[41]
1638.9.5. - 1715.9.1.
왜 우느냐? 내가 영원히 살 것이라고 생각했느냐?
맥박이 멈춰선 안 돼! 죽음이여 난 네가 두렵지 않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1688.8.15. - 1740.5.31.
아니, 아니! 내 제복을 갖고 와다오[43]
아니, 그렇지 못해[44].
올리버 골드스미스[45]
1728.11.10. - 1774.4.4.
내 뒤에나, 홍수가…[46][47]
루이 15세
1710.2.15. - 1774.5.10.
지금은 새로운 적을 만들 때가 아니다.
볼테르[48]
1694.11.21. - 1778.5.30.
나는 죽는다.[49]
레온하르트 오일러[50]
1707.4.15. - 1783.9.18.
산을 넘었구나. 이제 잘 될 거야.
프리드리히 대왕
1712.1.24. - 1786.8.17.
죽을 사나이는 무엇이든지 마음대로 할 수 없어.
벤저민 프랭클린[51]
1706.1.17. - 1790.4.17.
내가 이 곡을 자기 자신을 위해 썼다는 것을 얘기하지 않았니?[52]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27. - 1791.12.5.
죽음의 맛이 내 입술에 닿았어. 뭔가 이 세상 것이 아닌 것 같아.
짐은 그대들을 모두 용서한다. 이와 같이 피를 흘리는 일이 프랑스의 어느 누구에게도 일어나지 않기를…[53]
루이 16세
1754.8.23. - 1793.1.21.
내 피가 프랑스 국민의 행복을 강화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실례합니다, 무슈. 일부러 그런 건 아니에요[54].
마리 앙투아네트[55]
1755.11.2. - 1793.10.16.
아, 자유여! 너의 이름으로 무슨 범죄가 저질러지고 있단 말인가!
롤랑 부인[56]
1754.3.17. - 1793.11.8.
잠깐만, 난 할 말이 있소. 잠깐만!
뒤바리 부인
1743.8.19. - 1793.12.8.
난 할 말이 있소. 잠시만 시간을 주시오!
내 머리를 시민들에게 보여주시오. 내 죽음은 그럴만한 가치가 있으니까.
조르주 당통
1759.10.26. - 1794.4.5.
싫어, 난 죽고 싶지 않아! 제발 살려 줘![57]
카미유 데물랭[58]
1760.3.2. - 1794.4.5.
나는 철학자로 살았고 기독교도로서 죽는다.
자코모 카사노바
1725.4.2. - 1798.6.4.
내 말 알아들었는가? (주변에서 "예"라고 대답하자) 그럼 됐다[59].
조지 워싱턴[60]
1732.2.22. - 1799.12.14.

1.1.11. 19세기



1.1.11.1. 1800년대

'''180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포도주를 마시고 난 뒤) 맛이 좋구나.
이마누엘 칸트
1724.4.22. - 1804.2.12.
그것으로 충분하다.[61]
하느님께 감사드린다. 나는 내 의무를 다했다[62][63]
호레이쇼 넬슨
1758.9.29 . - 1805.10.21.
지도를 맡아 두게. 앞으로 10년 정도는 지도 따위 필요없을 테니까.[64][65]
소(小) 윌리엄 피트
1759.5.28. - 1806.1.23.
기뻐하라, 나는 건강하다.
요제프 하이든
1732.3.31. - 1809.5.31.

1.1.11.2. 1810년대

'''181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보나파르트, 엘바, 로마 왕.
조제핀 드 보아르네
1763.6.23. - 1814.5.29.
죽을 위험은 지겹게 겪어서 죽음은 전혀 겁나지 않는다. 내 잘생긴 얼굴을 쏘지 말고 내 가슴을 쏴라. 조준. 발사!
조아킴 뮈라[66]
1767.3.25. - 1815.10.13.
병사들이여, 내가 사격 명령을 내리면, 바로 내 심장을 쏘아라. 명령을 기다려라. 이것이 내 마지막 명령이다. 나는 내게 내려진 판결에 이의가 있다. 나는 프랑스를 위해 백번의 전투를 치루었지만, 내 조국을 배반한 적은 한번도 없다. 사격을... 개시하라!
미셸 네[67]
1769.1.10 . - 1815.12.7.
사람들의 뇌리로부터 나에 대한 기억이 깨끗이 사라지는 게 더없이 기쁠 따름이다.
사드 후작
1740.06.02. - 1814.12.02.

1.1.11.3. 1820년대

'''182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악마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제게 말해주세요. 곧 제가 그를 만나러 갈 테니까요![68]
라비니아 피셔[69]
1793. - 1820.2.18.
괜찮아…이제 잠들 수 있을거야… 하느님 고맙습니다…이제야 이제야… 편히 잠드는군요…
존 키츠[70]
1795.10.21. - 1821.2.3.
프랑스…군대…선봉…조제핀…[71]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769.8.15. - 1821.5.5.
이제 자야겠어요. 안녕히 주무세요[72].
조지 고든 바이런
1788.1.22. - 1824.4.19.
얼마나 아름다운 날이냐!
알렉산드르 1세[73]
1777.12.23. - 1825.12.1.
오늘이 4일인가?
토머스 제퍼슨[74]
1743.4.13. - 1826.7.4.
토머스 제퍼슨도 아직 살아있…..[75][76]
존 애덤스[77]
1735.10.30. - 1826.7.4.
친구들, 박수를 치게. 희극은 끝났네[78]
루트비히 판 베토벤
1770.12.17. - 1827.3.26.
아깝다, 아까워, 너무 늦었어![79][80]
하지만 여긴 베토벤이 없어!
프란츠 슈베르트[81]
1797.1.31. - 1828.11.19.

1.1.11.4. 1830년대

'''183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빌어먹을, 총에 맞았다![82][83]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84]
1795.2.3. - 1830.6.4.
아직 일러, 아직 이르다.. 아직도 할 일이 많은데, 아직도..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85]
1790.12.23. - 1832.3.4.
울지 마라, 알프레드! 나이 20살에 죽는 것도 엄청난 용기가 필요하거든.[86]
에바리스트 갈루아[87]
1811.10.25. - 1832.5.31.
책은 어디에 있나, 아직 볼 게 남았단 말이다.
앙드레 앙페르[88]
1775.1.20. - 1836.6.10.
아베, 내가 주교임을 잊지 마시오.[89]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1754. 2. 2 . - 1838.5.17.
잊어버리도록 노력하시오. 시골에 내려가 사시오. 2년 정도만 나를 추모하고, 재혼하려거든 괜찮은 남자로 고르기를.
알렉산드르 푸시킨[90]
1799.6.6. - 1837.2.10.

1.1.11.5. 1840년대

'''184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난 타일러 씨가 정부의 깊은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그 원리가 순탄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오. 내가 바라는 것은 그것 뿐이오.
윌리엄 해리슨
1773.2.9. - 1841.4.4.
울지 말라구. 천국에서 다시 만날 수 있을 거야.
앤드루 잭슨
1767.3.15. - 1845.6.8.
내가 은행을 죽였어....
이승도 이제 끝이구만. 만족한다.
존 퀸시 애덤스
1767.7.11. - 1848.2.23.
언니... 의사 선생님을 불러도 좋아요.
에밀리 브론테[91]
1818.7.30. - 1848.12.19.
'모든 것이 끝났다. 에디는 더 이상 없다.' 라고 묘비명에 적어주게.[92]
에드거 앨런 포
1809.1.19. - 1849.10.7.
하느님, 내 불쌍한 영혼을 돌보소서![93]
흙이 나를 숨막히게 할 것이니 부디 제 몸을 갈라 열어 산채로 묻히지 않도록 해 주시길 간청합니다.[94][95]
프레데리크 쇼팽
1810.2.22. - 1849.10.17.
더 이상 아프지 않습니다(Not any more).[96]

1.1.11.6. 1850년대

'''185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죽는 건 여한이 없소. 다만 친구들을 두고 떠나는 것이 못내 마음에 걸리는군.
재커리 테일러
1784.11.24. - 1850.7.9.
비앙숑[97]을 불러줘! 그만이 나를 치료할 수 있어!
오노레 드 발자크
1799.5.20. - 1850.8.18.
폭탄은 터져서 주위에 불을 지른다!
쇠렌 키르케고르
1813.5.5. - 1855.11.11.
햇빛이 정말 아름답군. 이 세상을 천국으로 부르는 것 같아.
알렉산더 훔볼트[98]
1769.9.14. - 1859.5.6.
나 존 브라운은 한때 이 죄많은 땅범죄 행위들을 매우 적은 피만 흘리고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는 헛된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나는 이제 피를 흘리지 않고서는 그것들을 절대로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99][100]
존 브라운
1800.5.9. - 1859.12.2.

1.1.11.7. 1860년대

'''186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A. P. 힐에게 명령하라…보병을 전방으로 이동시켜라…우리 강을 건너자…수풀 그늘 아래 쉬게 해다오…
스톤월 잭슨
1824.1.20. - 1863.5.10.
뭐야?! 뭐?! 제군, 지금 총알 하나 때문에 이렇게 웅크려 있는건가? 적들이 대열로 총을 쏘면 어떻게 해야하나? 부끄러운 줄 알아라! 이 거리에서는 코끼리도 맞출 수 없어!
존 세드윅[101]
1813.9.13. - 1864.5.9.
내 목숨을 노리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아. 그들은 꼭 해내고 말거야. 그렇게 될 게 운명이라면 그걸 막을 도리는 없지.[102]
에이브러햄 링컨
1809.2.12. - 1865.4.15.
나의 어머니께, 어머니께 말해주시오. 내가 나라를 위해 죽었다고… [103] 쓸모없어… 쓸모없어…[104]
존 윌크스 부스
1838.5.10. - 1865.4.26.
나는 그대들을 용서하며, 그대들도 나를 용서해주기 바란다. 내가 흘리는 피가 나라를 위해 흘려지기를. 멕시코 만세, 독립 만세!
막시밀리아노 1세
1832.7.6. - 1867.6.19.
오, 그리스. 사랑하는 나의 그리스여.
오톤
1815.6.1. - 1867.7.26.
나는 예수님 곁에 있을 겁니다. 그것으로 충분합니다[105].
마이클 패러데이[106]
1791.9.22. - 1867.8.25.
올림페…[107]
조아키노 로시니
1792.2.29. - 1868.11.13.

1.1.11.8. 1870년대

'''187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조국과 함께 죽으리라![108]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109]
1827.7.24. - 1870.3.1.
땅바닥이라고![110]
찰스 디킨스[111]
1812.12.7. - 1870.6.9.
그대도 스당에 있었는가?(있었습니다. 폐하란 주치의의 대답을 듣자) 그렇다면 알겠군. 스당에서 우리는 비겁하지 않았어. 그렇지?
나폴레옹 3세
1808.4.20. - 1873. 1.9.
좋아 제군! 이제 마지막까지 남은 홍인 놈들 몇 명만 더 죽이고 캠프로 돌아가자고. 얏호![112]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1839.12.5. - 1876.6.25.
죽기 딱 좋은 날이로군.[113][114]
타슝카 위트코
18??. - 1877.9.5.
사랑하는 아빠[115][116]
앨리스 모드 메리
1843.4.25. - 1878.12.14.
그래, 이제 며칠이나 남았나?[117]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1831.6.13. - 1879.11.5.

1.1.11.9. 1880년대

'''188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짐은 궁궐에서 죽고 싶도다...
알렉산드르 2세[118]
1818.4.17. - 1881.3.13.
거기 누구야? 누구냐고?[119]
빌리 더 키드
1859.11.23. - 1881.7.14.
새들을 놔두시오. 그들은 나를 데리러 온 것이오.
주세페 가리발디
1807. 7. 4 . - 1882. 6.2.
어지럽소. 쓰러질 것 같구려.
찰스 다윈[120]
1809.2.12. - 1882.4.19.
아내와 의사를 불러다오.
리하르트 바그너[121]
1813.5.22. - 1883.2.13.
'''저리 꺼져! 유언은 살아있을 때 할 말을 다 못한 얼간이들이나 하는 거야!'''
카를 마르크스[122]
1818.5.5. - 1883.3.14.
언젠가는 나의 시대가 올 것이다.[123]
그레고어 멘델
1822.7.22. - 1884.1.6.
안녕! 잔, 안녕![124]
빅토르 위고
1802.2.26. - 1885.5.22.
물…
율리시스 S. 그랜트
1822.4.27. - 1885.7.23.
모든 사람들에게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지 마십시오. 그리고 나의 아이들에게 천국에서 기다리겠다고 전해주십시오.
요한 보스코
1815.8.16. - 1888.1.31.
하느님께서 내게 마지막 소원을 허락하신다면, 브라질의 평화와 번영을 빌겠소.
페드루 2세
1825.12.2. - 1889.11.15.

1.1.11.10. 1890년대

'''189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아아, 집에 돌아가고 싶다.
빈센트 반 고흐
1853.3.30. - 1890.7.29.
고통은 영원하다.
나는 그것을 열었다.[125]
앨프리드 테니슨[126]
1809.8.6. - 1892.10.6.
나는 마실 수 없다[127].
루이 파스퇴르
1822.12.27. - 1895.9.28.
없다. 이 자리에 죽으려고 섰지 연설하려고 선 게 아니다.
'악당' 체로키 빌[128]
1876.2.8. - 1896.3.17.
조금의 희생 정도는 했어야 했다.
오토 릴리엔탈[129]
1848.5.23. - 1896.8.10.
인생을 너무 많이 사랑한 나머지 하느님께서 내게 벌을 주신 거야.
알퐁스 도데
1840.5.13. - 1897.12.16.
나의 아이야[130], 고맙구나.
오토 폰 비스마르크[131]
1815.4.1. - 1898.7.30.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난 거죠?[132]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133]
1837.12.24. - 1898.9.10.
기도는 집어치시지? 나는 이대로 만족하거든.
로버트 잉거솔[134]
1833.8.11. - 1899.7.21.

1.1.11.11. 1900년대[135]

'''190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엘리자베트.
프리드리히 니체[136]
1844.10.15. - 1900.8.25.
나는 내가 살아온 것처럼 분에 넘치게 죽네.
오스카 와일드
1854.10.16. - 1900.11.30.

1.1.12. 20세기



1.1.12.1. 1900년대

'''190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엄마, 당신밖에 없군요. 죽는 것은 너무나 괴로워요.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1864.11.24. - 1901.9.9.
바보같은 늙은이!(Le vieux con!)
난 이제 틀렸소. 목사를 불러 주게.
윌리엄 매킨리
1843.1.29. - 1901.9.14.
내가 대통령을 죽인 이유는 그가 선량한 민중들, 선량한 노동자들의 적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내가 지은 죄에 대해 전혀 미안함을 느끼지 않는다.[137]
레온 촐고츠[138]
1873.5. - 1901.10.29.
(이를 꽉 문 채로) 아버지를 뵙지 못해 애석하다.[139][140]
언제나 불의가 승리하는 것처럼 보이고, 정의는 패배하는 것처럼 비춰집니다. 하지만 정의의 저울은 언제나 하느님을 향합니다. 어떠한 정치적 단체, 체제라도 그 저울의 추에 서게 될 것입니다.
존 피터 알트겔드[141]
1847.12.30. - 1902.3.12.
이제 나는 공식적으로 사망하였다.
에이브럼 S. 휴잇[142]
1822.7.31. - 1903.1.18.
그래, 오랜만에 마시는 포도주 맛이 좋군…
안톤 체호프
1860.1.29. - 1904.7.15.
전혀 그 반대다.
헨리크 입센[143]
1828.3.20. - 1906.5.23.
나는 일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해 매우 힘써왔다.[144]
그로버 클리블랜드
1837.3.18. - 1908.6.24.
내가 죽더라도 신문만은 살아서 조선 사람들을 구하게 해야 한다.
어니스트 토마스 베델[145]
1872.11.3~1909.5.1

1.1.12.2. 1910년대

'''191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안녕! 사랑하는 사람들아, 다시 만날 수 있다면…
마크 트웨인
1835.11.30. - 1910.4.21.
아니, 포기하지 않겠네. 난 버텨내야 해. 마지막까지 내 일을 해야 한다고.[146]
에드워드 7세
1841.11.09. - 1910.5.6.
그래 난 아주 기쁘다.[147]
불을 밝혀주시오. 어두운 채로 죽고 싶지 않소.
오 헨리
1862.10.11. - 1910.6.5.
하지만 농민들.... 농민들은 어떻게 죽지?
레프 톨스토이
1828.9.9. - 1910.11.20.
모차르트…
구스타프 말러
1860.7.7. - 1911.5.18.
나갔다 오겠습니다. 조금 늦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로렌스 오츠[148]
1880.3.17. - 1912.3.12.
부디 우리 식구들을 돌봐주기를.
로버트 스콧[149]
1868.6.6. - 1912.3.29.
아무것도 아니다… 아무것도 아니다…[150]
프란츠 페르디난트[151]
1863.12.18. - 1914.6.28.
내 눈앞에서 꺼져라! 내 눈앞에서 꺼져! 꺼져! 꺼져! 전쟁을 일으키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에게도 축복을 내리지 않겠다!
비오 10세[152]
1835.6.2. - 1914.8.20.
인간은 미쳤다! 현 상태를 지속한다는 것은 미친 짓에 틀림없다. 이 지독한 살육전이라니! 이 끔찍한 공포와 즐비한 시체를 보라! 내가 받은 인상을 전할 말을 찾을 수가 없다. 지옥도 이렇게 끔찍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은 미쳤다!
알프레드 주베르[153]
? - 1916.5.23.
그러면, 내가 잠깐 소파에 누워도 될까요?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154]
1859.12.15. - 1917.04.14.
나 로댕은 신이다!
오귀스트 로댕[155]
1840.11.12. - 1917.11.17.
자네들은 충분히 직무를 다 했네. 이제 각자 알아서 하게.
에드워드 스미스 선장
- 1912.4.15.
우리는 우리에게 어울리는 옷을 입고 신사답게 갈 것이다.[156]
아내와 자식들에게 나의 의무에 최선을 다했다고 전해달라.
“이 배에는 나의 이기심으로 구조받지 못하고 죽어간 여성은 없을 것이오. 나는 금수만도 못한 삶을 살 바에야 신사 답게 죽을 것이오.”[157]
벤저민 구겐하임
1865.10.26 - 1912.4.15.
뭐라고 했나? 잘 들리지 않는데…[158]
니콜라이 2세
1868.5.18. - 1918.7.17.
그래서 우리가 다른 곳으로 이동되는 게 아니란 말이지?[159]
제임스, 불을 좀 꺼 주겠어?
시어도어 루스벨트[160]
1858.10.27. - 1919.1.6.
당신이 그렇게 말한다면 그렇겠지요.[161]
로자 룩셈부르크
1871.3.5. - 1919.1.15.
나는 했으며, 하고, 할 것이다!(Ich war, ich bin, ich werde sein!)[162]

1.1.12.3. 1920년대

'''192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아냐... 난 북극점에 갔단 말이야....[163]
로버트 피어리
1856.5.6. - 1920.2.20.
내가 이렇게 몸이 나빠진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나?[164]
어니스트 섀클턴
1874.2.15. - 1922.1.5.
제군!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오게. 그래야 쉬울 게 아닌가[165].
어스킨 칠더스[166]
1870.6.25. - 1922.11.24.
저 속에 기자들이 있을 거야. 그들은 평생 나를 귀찮게 했지. 나는 지금 저들의 발을 시리도록 좀 더 시간을 끌 수 있어.
사라 베르나르[167]
1844.10.22. - 1923.3.26.
이대로 끝나게 하지 마. 사람들에게 내가 무슨 말이라도 했다고 전해주게.
판초 비야[168]
1878.6.5. - 1923.7.20.
잭 런던의 책을 더 읽어주시오.
블라디미르 레닌
1870.4.22. - 1924.1.21.
이봐, 에리. 너무 가까이 다가서면 안돼. 너무 가까이 있지 말라니까. [169](친구가 조금 몸을 일으키니까) 그래, 그러면 됐어.
프란츠 카프카
1883.7.3. - 1924.6.3.
나는 결코 야구든 인생이든 비겁하지 않았다.
크리스티 매튜슨
1880.8.12. - 1925.10.7.
안녕, 친구여 안녕. 내 가슴 속의 당신은 여전히 사랑스럽소.
세르게이 예세닌[170]
1895.10.3. - 1925.12.27.
블라인드를 내리지 말라! 나는 기분이 좋다. 나를 맞아 줄 햇빛을 원한다.
루돌프 발렌티노
1895.5.6. - 1926.8.23.
내가 죽음에 이를 수 있도록 도와주오.
라이너 마리아 릴케[171]
1875.7.24. - 1926.12.29.
안녕, 여러분. 전 영광을 향해 갑니다[172].
이사도라 덩컨[173]
1877.5.27. - 1927.9.14.
내 유해를 독일 쪽을 향해 선 채로 매장하라.[174]
조르주 클레망소
1841.9.28. - 1929.11.24.

1.1.12.4. 1930년대

'''193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저곳은 참 아름답군[175].[176]
토머스 에디슨
1847.2.11. - 1931.10.18.
내가 할 일은 끝났다. 왜 기다려야 하나?
조지 이스트만[177]
1854.6.12. - 1932.3.14.
막을 내려! 빠른 곡을 틀어! 조명을 준비해! 마지막 대단원을 준비해! 멋져, 쇼는 정말 멋졌어, 정말 멋있었어…
플로렌스 지그펠드[178]
1867.3.21. - 1932.7.22.
좋은 아침, 로버트[179][180]
캘빈 쿨리지
1872.7.4. - 1933.1.5.
싫어요. 그냥 내버려 두세요[181].
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
1867.11.7. - 1934.7.4.
황제 폐하, 조국.
파울 폰 힌덴부르크
1847.10.2. - 1934.8.2.
동지여 명심하라. 혁명 성공의 그날 동지들이 치켜들 깃발 위엔 나의 피 한 방울도 묻어 있을 것이다[182].
니콜라이 부하린
18.10.9. - 1938.3.15.
내 영혼은 평온하게 여러분 곁을 떠납니다.
비오 11세
1857.5.31. - 1939.2.10.
이제 남은 것은 고문 뿐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1856.5.6. - 1939.9.23.
말로만 듣던 전기의자에 앉게 되다니, 더 없는 스릴과 희열을 느낀다.
알버트 피쉬
1870.5.19. - 1936.1.16.
난 지금 최상의 스릴을 즐길 준비가 되있으니 더 이상 멍청한 소리 말고 어서 준비해!!!

1.1.12.5. 1940년대

'''194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죽여서는 안돼.... 자백을 시켜야... 한다.... '''또는''' 항목의 유언장 참조.
레프 트로츠키[183]
1879.11.7. - 1940.8.21.
나는 미칠 것만 같다. 이 끔찍한 시간들 속에서 더 이상 살 수 없다. 이번에는 회복하지 않을 것이다. 목소리들이 들려와 나의 일에 집중할 수 없게 만든다. 여태까지 맞서 싸워왔지만 더 이상 버틸 수 없다.
버지니아 울프
1882.1.25. - 1941.3.28.
더 이상의 항해가 불가능하다. 마지막 한 발까지 끝까지 싸우겠다.[184] 총통 각하 만세.
귄터 뤼첸스
1889. 5. 25 ~ 1941. 5. 27.
나는 죽어가지만, 항복하지는 않는다! 조국이여. 잘 있거라.
소련군 무명용사[185]
? - 1941.7.10.
파시즘에게 죽음을, 민중들에게 자유를![186]
스테판 필리포비치[187]
1916.1.27. - 1942.5.22.
죽는다고? 난 그렇게 생각 안 하네. 이 배리모어가 그런 평범한 일이 일어나는 걸 용납할 리가 있겠나.
존 배리모어[188]
1882.2.15. - 1942.5.29.
이 새끼들이 저를 뚫고가려고 했습니다. 제가 해병인걸 몰랐나봅니다.[189]
에드워드 H. 아렌스[190]
1919 .11. 4. - 1942. 8. 8.
새로운 세상에서는 지식과 과학, 예술의 산물이 개인의 부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류의 복지와 윤택한 삶을 위해 쓰일 것입니다.
니콜라 테슬라[191]
1856.7.9. - 1943.1.7.
나의 사랑하는 손, 잘 있거라, 가여운 나의 손이여.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1873.4.1 - 1943.3.28.
이런 범죄 행위를 보고도 묵인한 군대에 속했다는 사실이 부끄럽다.
쿠르트 폰 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1878.9.26 - 1943.4.24.
프랑스 만세!
마르크 블로크[192]
1886.7.6. - 1944.6.16.
우리의 영광스런 도이칠란트여, 영원하라![193]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194]
1907.11.15. - 1944.7.21.
어서 와라, 전우들. 우리는 저 포들을 이 해안에서 몰아내야 한다.
존 바실론[195]
1916.11.4. - 1945.2.19.
엄마! 엄마! 저놈들이 날 죽여! 엄마, 쟤들이 날 죽여!
크룰[196]
1918? - 1945.2.21.
뒷머리가 끔찍하게 아프군[197].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8]
1882.1.30. - 1945.4.12.
귀관들은 의무를 다했다, 집으로 돌아가라. 살아서 조국을 재건해야 하지 않겠는가.[199]
발터 모델
1891.1.24. - 1945.4.21.
베어, 나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군. 육군 원수로서 조국에 승리를 가져올 수도 없었고 수백 수천이 넘는 부하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내가 이 숲 밖으로 걸어 나가 몽고메리, 혹은 미군 앞에 서서 '내가 모델 원수다, 항복하겠다.'라며 두 손을 들고 있는 모습이.[200]
그래도… 잘된거야. 적어도 이탈리아 땅에서 이탈리아인들에게 죽으니까 그나마 위안이군.
베니토 무솔리니[201]
1883.7.29. - 1945.4.28.
나의 가슴을 쏴라!
나의 불멸의 업적과 나의 이름이 역사에 길이 남을 것임을 알고[202] 나는 기쁘게 죽을 것이다.
아돌프 히틀러
1889.4.20. - 1945.4.30.
언젠가 거짓말은 밝혀질 것이며, 진실은 다시 한번 승리할 것이다. 그 때, 순수하고도 순결한 우리는 모두의 위에 서게될 것이다.
파울 요제프 괴벨스
1897.10.29. - 1945.5.1.
내가 하인리히 힘러다[203].
하인리히 힘러[204]
1900.10.7. - 1945.5.23.
나는 비겁하게 죽기 싫다. 나의 심장을 쏘아라. 당신들은 역사상 최대 범죄의 공범들이다.
피에르 라발
1883.6.28. - 1945.10.15.
두렵다. 나의 숄로 나의 눈을 가려달라.
콘스탄틴 Z. 바실리우[205]
? - 1946.6.1.
저리 가… 나는 괜찮아.
허버트 조지 웰즈
1866.9.21. - 1946.8.13.
하느님, 독일을 지켜 주소서![206]
나의 마지막 소원, 그것은 독일인이 자신의 실체를 깨닫는 것, 동서양이 서로 이해하는 것, 마지막으로 세계에 평화가 찾아오는 것입니다.[207]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1893.4.30. - 1946.10.16.
나는 모든 독일인들에게 하나님의 축복이 있기를 바란다. 200만이 넘는 독일군인들이 아버지 조국을 위해서 목숨을 바쳤다. 이제 나도 아들들[208]을 따라간다- 모든 것은 독일을 위해! [209]
빌헬름 카이텔
1882.9.22. - 1946.10.16.
나는 우리 독일 국민과 나의 조국을 열성적으로 사랑했고 봉사했다. 나는 우리 국민의 법에 따라 나의 의무를 다했다, 그리고 곤란한 시대에 우리 국민들이 오로지 군인 같은 자들에게 끌려다닌 것이 유감이다. 범죄가 이뤄진 일도 유감이지만 나는 여기에 관련하지 않았고 내가 알지 못하는 범죄들이 저질러졌다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독일이여 영원하라.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1903. 10. 4. - 1946. 10. 16.
No!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1893.01.12. - 1946.10.16.
하일 히틀러!
오늘이 1946년 푸림 축일[210]이구만.
언젠간 볼셰비키 놈들이 니들 목을 매달 거다!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1885.2.12. - 1946.10.16.
나는 억울하게 죽는다. 내 형량은 불공평하다. 하느님, 독일을 보호하소서!
프리츠 자우켈
1883.7.29. - 1945.4.28.
난 죄 없이 죽는 거요.
잘 있거라. 나의 독일이여.
알프레트 요들
1890.5.10. - 1946.10.16.
이 형 집행이 제 2차 대전의 비극의 종언이 될 것이며 그리고 이를 교훈삼아 모든 국민의 평화와 이해가 이뤄지길 빈다. 나는 독일을 믿는다.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1892 .7. 22. - 1946. 10. 16.
난 수백만 명이 함께 만들어낸 이 세상의 유령일 뿐이야.
알 카포네
1899.1.17. - 1947.1.25.
저는 그이에게 없는 것이 나을 거에요. 전 어떤 남자에게도 좋은 아내가 되지 못하겠죠.
에블린 맥헤일
1925.9.20. - 1947.05.01.
바람은 높아… 이제 날 수 있겠어.
오빌 라이트
1871.8.19. - 1948.1.30.
나는 발판에 서있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아...이것은 정치 보복일 뿐이야... 나는 내 조국을 위해서 일했...다....
카를 브란트
1904.1.8. - 1948.6.2.
나의 생체실험을 도와준 사람들에게 고맙다.
카를 게프하르트
1897.11.23. - 1948.6.2.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호머 B. 헐버트[211]
1863.1.26~1949.8.5

1.1.12.6. 1950년대

'''195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동양놈들은 이 고지에서 아가일을 몰아내지 못할거야.
케네스 뮤어[212]
1912.3.6. - 1950.9.23.
당신은 아주 낡고 오래된 골동품처럼 내 생명을 보전시키려고 하지만 나는 이제 글렀어. 마지막이오. 나는 죽습니다.
조지 버나드 쇼
1856.7.26. - 1950.11.2.
신앙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이 늘 내 소원이었지요, 좋으신 하느님께서 내게 이런 은총을 주셨어요.
패트릭 번 주교[213]
1888.10.26~1950.11.25
[214]좋습니다. 나는 멋지게 한 세상을 살고 간다고 나의 친구들에게 전해 주십시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1889.4.26. - 1951.4.29.
하… 모… 니…
아르놀트 쇤베르크
1874.9.13. - 1951.7.13.
제기랄. 이럴줄 알았어. 호텔에서 태어나 호텔에서 죽다니…
유진 오닐[215]
1888.10.16. - 1953.11.27.
인생의 출구는 행복했으면 좋겠어. 그리고 다시 돌아오지 않길 바래.[216]
프리다 칼로
1907.7.6. - 1954.7.13.
나의 마지막 작품은 이것으로 끝났소.
앙리 마티스
1869.12.31 . - 1954.11.3.
이 세상에서 내 할일을 다한 것 같구나[217]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879.3.14. - 1955.4.18.
내 안경을 주시오.
토마스 만
1875.6.6 1955 .8. 12.

1.1.12.7. 1960년대

'''196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커다란 별을 따라 똑바로 가는거야. 하늘 아래 쭉 뻗은 길이 우리를 집으로 곧장 안내해 줄 거야.[218]
클라크 게이블
1901.2.1. - 1960.11.16.
여러분, 우리는 어차피 조금 뒤에 다시 만나게 될 겁니다. 그것이 모든 인간들의 운명입니다. 독일 만세! 아르헨티나 만세! 오스트리아 만세! 당신들을 잊지 않을 겁니다[219].
아돌프 아이히만[220]
1906.3.19. - 1962.6.1.
다시 볼게요. 다시 보자구요.
마릴린 먼로
1926.6.1. - 1962.8.5.
주님, 제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는 아십니다. 주님, 제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는 아십니다.
요한 23세[221]
1881.11.25. - 1963.6.3.
LSD 100 마이크로그램 근육 내 주사.
올더스 헉슬리
1894.7.26. - 1963.11.22.
그렇군요. 그렇게 생각할 수 없군요.
존 F. 케네디[222]
1917.5.29. - 1963.11.22.
모든 것이 지루하구나[223].
윈스턴 처칠
1874.11.30. - 1965.1.24.
나는 신을 만날 준비가 다 되었다. 그러나 신이 날 만날 준비가 다 됐는지는 모르겠다[224].
진정하십시오! 형제들이여, 흥분하지 말고 냉정해집시다!
맬컴 엑스[225]
1925.5.19. - 1965.2.21.
건물 두 세 채가 안 되면 어떻게 달에 갈 수 있다고 했지?[226]
거스 그리섬[227]
1926.4.3. - 1967.1.27.
이봐(불꽃이다)! 선내에 화재가 발생했다![228]
에드워드 화이트[229]
1930.11.14. - 1967.1.27.
불이 심하게 난다! '''우린 불타고 있다!!!'''[230][231]
로저 채피[232]
1935.2.15. - 1967.1.27.
우린 총격전을 한 차례 치른 후 통제선 중 한 곳에 도착했는데 뭔가 냄새가 난다고─즉 뭔가 이상하다는 것이다… 혹시 기습─[233]
버나드 B. 폴[234]
1926.11.19. - 1967.2.21.
울 필요 없다![235]
콘라트 아데나워[236]
1876.1.5. - 1967.4.19.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는 갈색 종이에 한번 더 포장해 사람들이 놀라지 않게 할것.
브라이언 엡스타인[237]
1934.9.19 - 1967.8.27
나는 당신이 날 죽이러 왔다는 것을 알고 있소. 떨지 말고 방아쇠를 당겨라. 당신은 그저 사람 하나를 죽이는 것일 뿐이니까.
체 게바라[238]
1928.6.14. - 1967.10.9.
이봐, 벤! 오늘 밤 ‘주여 이 손을 잡아주소서’를 꼭 연주해 줘. 정말 멋지게 말이야!
마틴 루터 킹[239]
1929.1.15. - 1968.4.4.
전 항상 내 아내, 내 자식들, 내 손주들을 사랑했습니다. 그리고 전 항상 조국을 사랑했지요. 이제 떠나기를 원합니다. 전 준비가 됐습니다. 주여, 이끌어 주십시오[240].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1890.10.14. - 1969.3.28.

1.1.12.8. 1970년대

'''197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내가 죽거든 한국땅에 묻어주시오. 내가 도와주던 소년, 소녀들과 불쌍한 사람들을 맡아주시오.
프랭크.W 스코필드 박사[241]
1889.3.15~1970.4.16
(목을 가리키며)여기가 아파.[242]
샤를 드골
1890.11.22. - 1970.11.9.
내 장례식은 콜롱베에서 치르고, 가족과 마을 주민만이 참석하도록 해 달라. 정치인과 정부 관리는 오지 않았으면 한다. 내 묘비에는 단지 내 이름과 출생 연도와 사망 연도만 기록하라.
사람은 결국 죽는구나. 나는 그리 아름답지 않은 해골을 남기겠지.
코코 샤넬[243]
1883.8.19. - 1971.1.10.
그래… 이렇게 인생은 가는 거야…….
마이크를 당장 불러!
린든 B. 존슨
1908.8.27. - 1973.1.22.
나를 위해 축배를 드시오![244]
파블로 피카소
1881.10.25. - 1973.4.8.
나는 칠레의 운명과 그 운명에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245]
살바도르 아옌데
1908.7.26. - 1973.9.11.
피 흘리는 화면을 언제나 제일 먼저 컬러로 내보낸 채널 40의 전통을 확실히 하기 위해 시청자 여러분께 자살하는 모습을 눈 앞에 펼쳐 보이겠습니다[246].
크리스틴 처벅[247]
1944.8.24. - 1974.7.15.
모든 정적들에게 용서를 빌며 정적들을 진심으로 용서한다.
프란시스코 프랑코
1892.12.4. - 1975.11.20.
역사가 일을 정당하게 판단할거라 믿거라. 아버지가 한 일을 부끄러워하지 말거라. 무슨 일이 있더라도 비난만 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되지 말거라. 그런 사람들은 위선자고, 신념과 행동을 맞출 힘이 없는 나약하고 무가치한 이들이란다. 애야. 네가 용기를 가졌으면 좋겠구나. 삶이 훌륭할거라 믿으며 강인해지거라. 긍정적인 사람이 되거라. 그리고 혁명이 언제나 승리할거라고 믿거라.[248]
발레리 사블린
1939.1.1~1976.8.3
제기랄… 하느님에게 날 구원해달라느니 하는 소린 집어 치워요[249].
조안 크로포드[250]
1905.3.23. - 1977.5.10.
오케이. 그러지 않을게.
엘비스 프레슬리[251]
1935.1.8. - 1977.8.16.
이봐, 정말 멋진 게임 아니었냐[252]?
빙 크로스비[253]
1903.5.3. - 1977.10.14.
나는 이들이 사이비종교라도 좋다.지금까지 아무도 나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않았는데 이들은 나를 사랑한다고 말해 주었다.설령 남들이 말하는 구원이 이들에게 없을지라도 나는 상관하지 않겠다.왜냐하면 지금까지 아무도 반겨주지 않은 나를 이들은 안아주었기 때문이다.
인민사원 집단자살사건에서 자살한 267명의 어린이 중 한 소녀[254]
1960년대. - 1978.11.18.
이제 우리는 죽는 것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우리는 위엄을 가지고 죽어야 합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죽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것 뿐입니다... 우리는 자살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혁명적인 자살'이라는 방법으로 잔인한 세상에 저항 하는 것입니다.[255]
짐 존스
1931.5.13. - 1978.11.18.

1.1.12.9. 1980년대

'''198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밴쿠버! 밴쿠버! 드디어 터졌어![256]
데이비드 A. 존스턴[257]
1949.12.18. - 1980.5.18.
[258][259]
존 레논
1940.10.9. - 1980.12.8.
내가 그대를 위해 자리를 준비해 놓겠어.
밥 말리
1945.2.6. - 1981.5.11.
이건 옳지 않아….
빈센트 친[260]
1955.5.18. - 1982.6.23.
알겠다, 출력 최대.[261]
프랜시스 리처드 딕 스코비[262]
1939.5.19. - 1986.1.28.
우리도 저곳에 있었으면. 알잖아 내가 얼마나 파티를 좋아하는지.[263]
루디 발리[264]
1901.7.28. - 1986.7.3.
그만 둬요, 그만 둬요, 그만 둬요! 이건 누군가를 다치게 할거에요.[265]
버드 드와이어[266]
1939.11.21. - 1987.1.22.
내가 그 문제야.[267]
데이비드 버크[268]
1952.5.18. - 1987.12.7.
너무 지루해서 죽는 건 2번은 못하겠다[269]
리처드 파인만
1918.5.11. - 1988.2.15.
내 시계가 어디 있지?[270]
살바도르 달리
1904.5.11. - 1989.1.23.
[271]과 프레드[272]가 내 가족과 친구들에게 내 사랑을 전해주길 바란다.[273]
테드 번디
1946.11.24. - 1989.1.24.
너무 늦었다. 우리는 이길 수 없다. 그들은 너무 강해졌다.
애비 호프만[274]
1936.11.30. - 1989.4.12.
일어나라, 대지의 저주받은 자들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275]
1918.01.26. - 1989.12.25.

1.1.12.10. 1990년대

'''199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나는 인간이 아니야. 이 모든 것은 단지 꿈일 뿐이고 곧 있으면 난 깨어날 거야. 매 순간마다 내 피가 얼어붙고 있을 정도로 너무 추우니까. 한 가지 더, 내가 새로산 칼이 너무 무디다. 아직 잘 모르겠지만 만약 내가 이 칼로 자살에 성공하지 못하면 나는 내 빌어먹을 뼈들을 다 날려버릴 거야.
데드[276]
1969.1.16. - 1991.4.5.
저는 HIV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에이즈에 걸렸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나는 주변 사람들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이 정보를 지금까지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이 옳다고 느꼈습니다. 그러나 전세계의 친구들과 팬들에게 진실을 알릴 때가 되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이 끔찍한 질병에 맞서 싸우는 데 전세계의 모든 의사들과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277]
프레디 머큐리[278]
1946.9.5. - 1991.11.24.
우리는 우리가 원했던 모든 것을 얻었어, 그렇지 않니?[279]
마를레네 디트리히[280]
1901.12.27. - 1992.5.6.
기다리고 있었습니다[281].
복자 피노 풀리시[282]
1937.9.15. - 1993.9.15[283]
…서서히 사라지기보다는 한 번에 타버리는 것이 낫다[284].
커트 코베인[285]
1967.2.20. - 1994.4.5.
도와줘...[286]
리처드 닉슨
1913.1.9. - 1994.4.22.
지랄한다. (Kiss My Ass).
존 웨인 게이시
1942.3.17. - 1994.5.10.
사형도 살인이라는 것을 명심하시오[287].
로버트 넬슨 드루 [288]
1959.8.8 . - 1994.8.2.
살거나 말거나 상관없어. 어서 죽여봐[289].[290]
제프리 다머
1960.5.21. - 1994.11.28.
'''좆까.'''[291]
투팍 샤커
1971.6.16. - 1996.9.13.
아들아, 앞으로 많은 나비를 만나거라.
장도미니크 보비[292]
1952.4.23. - 1997.3.9.
무슨 일이 일어난 거죠? 도대체 뭐가 문제죠?
다이애나 스펜서
1961.7.1. - 1997.8.31.
하느님, 당신을 사랑합니다.
마더 테레사
1910.8.27. - 1997.9.5.
다 끝났어..모든 건 허무하지······.
프랭크 시나트라
1915.12.12. - 1998.5.14.
마침내 마릴린을 볼 수 있겠군[293].
조 디마지오
1914.11.25. - 1999.3.8.

1.1.12.11. 2000년대[294]

'''200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친구[295]들께. 약 50년 동안 찰리 브라운과 그의 친구들을 그리게 된 것은 행운이었습니다. 피너츠는 나의 어릴적 포부의 실현이었습니다. 불행히도, 나는 더 이상 일간 연재만화의 스케쥴을 소화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가족들도 피너츠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연재되는 것을 바라지 않기에, 나는 나의 은퇴를 선언합니다. 수년 간 충실했던 우리 편집자들과 멋진 후원자들, 그리고 내게 애정을 주었던 많은 연재만화 독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찰리 브라운, 스누피, 라이너스, 루시... 어떻게 내가 그들을 잊겠습니까...
찰스 M. 슐츠[296]
1922.11.26. - 2000.2.12.
브라질에서는 아무리 죄를 많이 지어도 43년 이상의 형을 선고받지 않는데 나는 그 경기[297]에서 졌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50년 동안 죄인처럼 지냈다.
모아시르 바르보자 나시멘투
1921.3.27 - 2000.4.7.

1.1.13. 21세기



1.1.13.1. 2000년대

'''200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여보세요! 지금 창 밖으로 파이낸셜 센터가 보입니다. 3명입니다. 창문이 두 개 깨졌고요 ─ 오 맙소사! 아악![298] [299]
케빈 코스그로브[300]
1955.1.6. - 2001.9.11.
서로 사랑하세요. [301]
조지 해리슨
1943.2.25. - 2001.11.29.
내 인생의 과업이 이루어졌네요. 이제 놓아 줄 수 있겠어요.
트라우들 융에[302]
1920.3.16. - 2002.2.10.
아돌프 히틀러를 만난 건 내 일생의 가장 큰 실수였다.
레니 리펜슈탈
1902.8.22. - 2003.9.8.
나는 지금 행복합니다. 여러분도 행복하세요.
성인[303] 요한 바오로 2세
1920.5.18. - 2005.4.2.
난 갱스터 랩을 하기엔 너무 늙었어.
맥 드레
1970.7.5. - 2004.11.1.
[304]금방 돌아오겠습니다[305].
마이크 더글러스[306]
1925.8.11. - 2006.8.11.
안녕하세요. 아트 부크월드입니다. 제가 조금 전에 사망했습니다.
아트 부크월드[307]
1925.10.20. - 2007.1.17.
당신 좋은 이입니다. 내일 봅시다. 당신을 사랑합니다.[308].
앵무새 알렉스
1976.2.21. - 2007.9.6.
행복한 시간이었어요. 숨이 멈추는 순간까지 저는 이제 행복할 것 같아요.
브렌든 포스터[309]
1997.10.4. - 2008.11.21.
사람들이 이 쇼를 떠날 때, 사람들이 내 쇼를 떠날 때 나는 사람들이 ''' '내 생애에 본 적이 없는 최고의 쇼 였어.' '''라고 말하기를 바래.[310]
마이클 잭슨
1958.8.29. - 2009.6.25.
라라, 아빠가 간다[311].
로베르트 엔케
1977.8.24. - 2009.11.10.

1.1.13.2. 2010년대

'''201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오, 와우! 오, 와우! 오, 와우![312][313]
스티브 잡스
1955.2.24. - 2011.10.5.
뭐가 잘못됐지? 어떻게 돼 가고 있는 거야?
무아마르 카다피[314]
1942.2.24. - 2011.10.20.
쏘지 마시오.
오늘 나는 작은 아기가 죽는 것을 보았습니다. 너무나도 끔찍합니다. 아기가 죽기 직전까지 몸이 떨렸습니다.
메리 콜빈[315]
1956.1.12. - 2012.2.21.
드위나[316], 집에 가고 싶어...
로빈 깁[317]
1949.12.22. - 2012.5.20.
모리스가 여기 있길 바랬는데... 그가 죽은 게 믿기지 않아.
저들은 내 팬클럽인가…
도널드 묄러[318]
1952. - 2012.10.29.
죽고 싶지 않아. 제발 날 죽게 내버려두지 마.
우고 차베스
1954.7.28. - 2013.3.5.
5분 뒤에 돌아올게요.[319]
폴 워커
1973.9.12. - 2013.11.30.
인생은 정원과 같다. 완벽한 순간은 있을 수 있어도 영원히 보존할 방법은 추억뿐이다. 장수와 번영이 있기를.[320]
레너드 니모이
1931.3.26. - 2015.2.27.
테리 경, 마침내 같이 걷게 되었소. 테리는 죽음의 팔을 붙잡고 그를 쫓아 경계의 문들을 지나 영원의 밤 아래 검은 사막 위에 올라섰다. 끝.[321]
테리 프래쳇
1948.5.28. - 2015.3.12.
아버지이 무엇인지 압니다. 그 꿈을 꼭 이루도록 하세요.
보 바이든[322]
1969.02.03 - 2015.05.30.
7시 30분에 올랜도에 있는 플라자라이브로 와줘!거기에서 공연을 할 거야![323]링크
크리스티나 그리미
1994.03.12. - 2016.06.10.[324]
형제들이여, 너희 의무를 끝까지 다하라.[325]
마고메드 누르바간도프[326]
1985. - 2016.07.10.
신은 없다. 누구도 우주를 관장하지 않는다. [327]
스티븐 호킹
1942.01.09 - 2018.03.14.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특히 애리조나 주민 여러분. 지난 60여 년간 당신들을 위해 일할 수 있어 감사했습니다.
제복 입은 군인이자 공직자로서 미국 시민을 위해 일하는 영광과 보람 있는 삶을 살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미국을 위해 명예롭게 일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때로는 실수도 했지만, 부디 미국에 대한 저의 사랑이 이보다 더 높게 평가받기를 바랍니다.
저는 저 스스로가 지구상에서 가장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종종 느꼈습니다.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이 순간에도 말입니다. 저는 제 삶의 모든 것을 사랑했습니다. 10번의 생을 살아도 충분할 만큼의 경험과 모험을 했고, 많은 사람과 우정을 쌓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처럼 저 또한 후회가 남습니다. 하지만 좋은 날이든 나쁜 날이든, 제 삶의 단 하루라도 누군가의 최고의 날과 바꾸진 않으려고 합니다.
제가 제 삶에 만족하는 이유는 사랑하는 가족 덕분입니다. 저보다 더 다정한 부인이나 자랑스러운 아이들을 가진 남자는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미국 덕분입니다. 미국의 가치인 자유, 평등한 정의, 인류 존엄성에 대한 경의를 추구하며 사는 것은 인생을 스치는 즐거움보다 더 숭고한 행복감을 가져다줬습니다. 우리의 정체성과 자존감은 개인보다 더 큰 대의명분을 위해 삶으로써 더욱더 커질 수 있습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미국의 가치 안에서 산다는 건 그 누구보다 저에게 의미가 컸습니다. 저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자랑스러운 미국인입니다. 우리는 전 세계 가장 위대한 공화국의 시민입니다.
제 조국 미국은 '피와 땅'이 아닌 이상을 추구합니다. 우리는 축복받았으며, 미국의 이상을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추구하고 발전시킬 때 전 인류에게 축복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우리가 독재와 빈곤으로부터 구제한 사람들은 역사상 전례(前例)가 없을 정도입니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막대한 부(富)와 권력을 축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애국심을 적대감과 증오, 폭력을 낳는 하찮은 대립과 혼동할 때, 장벽을 허무는 대신 그 뒤에 숨을 때, 우리의 이상이 언제나처럼 커다란 동력이 될 것이라 믿지 않고 의심할 때, 이 위대함은 힘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우리들 3억 2500만 명은 각자 자기 의견을 소리 높여 주장합니다. 우리는 논쟁하고 경쟁하며 때로는 공개 토론회에서 서로를 비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공통점이 더 많았습니다. 서로가 국가를 사랑한다는 사실만 기억하고 또 믿어준다면 지금의 어려운 시기를 이겨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려움을 이겨내고 더 강해질 것입니다. 언제나 그랬듯이 말입니다.
10년 전, 저에게는 대통령 선거의 패배를 인정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날 저는 미국인이 갖고 있는 진심 어린 신념을 느꼈습니다. 제 작별인사를 그때 그 감정으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저는 아직도 그 신념을 강하게 느낍니다.
현재의 고난에 절망하는 대신, 언제나 미국의 가능성과 위대함을 믿으십시오. 왜냐하면 미국에서 어쩔 수 없는 일이란 없으니까요. 미국인들은 절대로 포기하거나 항복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사의 뒤에 숨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사를 만듭니다.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잘 지내시길. 당신과, 그리고 미국에 신의 은총이 있길 바랍니다.
존 매케인
1936.08.29. - 2018.08.25.
신의 축복이 있기를. 나의 소년 로이[328]를 잘 돌봐주세요.
스탠 리[329]
1922.12.28. - 2018.11.12.
나도 사랑한다.
조지 H. W. 부시[330]
1924.6.12. - 2018.11.30.
"안녕, 잘 지내지? 나는 죽을거야.. 낭트에서 여기로 오는 동안...이것을, 이것을, 이것을 멈출 수 없어... 나는 추락 중인 것처럼 보이는 비행기 안에 있어. 나는 카디프로 가고 있었어. 만약 1시간 반 사이 내게 소식이 없으면.. 나도 내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어. 누군가 이 메시지를 듣는다면, 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일 거야. 하지만 당신은 알고 있어. 내가 죽는 것을... 정말 무서워... 어떡해?[331]
에밀리아노 살라
1990.10.31 - 2019.1.21.
안녕 형제여.
다우드 나비[332]
1938. - 2019.3.15.

1.1.13.3. 2020년대

'''2020년대'''
유언
인물
생몰년
숨을 못 쉬겠어요.[333]
조지 플로이드
1973.10.14 ~ 2020.05.26
나, 엔니오 모리코네는 숨졌다. 가까운 친구들과 다소 소원했던 이들 모두에게, 이런 식으로 (부고를) 전한다. 사랑을 담아 작별을 고한다.
엔니오 모리코네
1928.11.10 ~ 2020.07.06
만약 네가 로스앤젤레스에 있다면 너도 오늘 아침 희귀하고 평화로운 빗소리를 들으며 일어났을 거야. 너도 나와 같다면 3일 내내 비가 온다는 일기 예보를 봤겠지, 우리는 코로나19 때문에 자가격리를 하고 있고 캘리포니아에서 해를 보기도 힘들어졌어. 그런데 지금은 비와 폭풍우가 그쳤으니 밖으로 나가서 숨을 깊게 쉬어봐. 비 온 후 공기가 얼마나 맑은지 봐. 이 순간을 호흡하고 이런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주신 신께 감사하자. 맑은 하늘이든 구름 낀 흐린 날이든 우리는 신이 주신 것들을 매 순간 즐겨야 해. 내일 비가 온다면 나는 병에 빗물을 받을 거야. 그 물을 필터로 거르면 어느 브랜드의 생수보다 더 알칼리성이 강한 물을 마실 수 있을 거야.[334]
채드윅 보즈먼
1976.11.29 ~ 2020.08.28
저를 지원 해주신 모든 분들 덕분에 저가 더 빨리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저를 믿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저는 많은 일을 할겁니다.[335]
막심 마르친케비치
1984.05.08 ~ 2020.09.16
몸이 안 좋아[336]
디에고 마라도나
1960.10.30 ~ 2020.11.25

[1] 1900년은 19세기에 속하며 20세기는 1901년부터이다.[2] 2000년은 20세기에 속하며 21세기는 2001년부터이다.[3] 유언 전문은 열왕기상 2장 2절부터 11절까지이다.[4] 아스클레피오스에 대해서는 해석이 엇갈린다.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가리킨다는 해석(이 경우에는 닭은 제물이 된다)과, 아스클레피오스는 그저 소크라테스가 알던 사람의 이름이라는 해석이 엇갈린다. 다만 전자의 해석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더 많은 편.[5] τῷ κρατίστῳ.[6] 마지막으로 의식이 돌아왔을때 후계자를 누구로 할거냐는 질문에. 결국 이 유언에 제국은 최강자를 자처하는 장군들의 전쟁이 이어졌고, 급기야 제국은 분열되었다.[7] 칸나이 전투를 지휘한 집정관.[8] mè mou tous kuklous taratte![9] 사실 이건 의도한 건 아니었으나 유언이 되어버린 말.[10] 로마군은 한니발의 신병을 양도할 것을 요구했는데 신병이 인도되면 로마에서 처형당할 것이 기정사실이기에 한니발은 반지에 숨겨두었던 독으로 자살하였다.[11]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항목에 들어가보면 알 수 있지만, 2차 포에니 전쟁 때 위기에 몰렸던 조국을 구해낸 스키피오는 종전 후 정적들의 모함에 휘말려 대단히 피곤한 재판에 휘말렸고. 결국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시골에 처박혀 쓸쓸한 최후를 맞이했다.[12] Ecquandone similem mei civem habebit res publica?[13] 동맹시 전쟁을 막기위하여 이탈리아인 모두에게 로마시민권을 주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노력하다 살해당한 호민관. 마지막 순간에 의문을 표한 것처럼 그의 사후 그의 뒤를 이을 사람은 없었고 결국 동맹시들과의 내전이 시작된다.[14] Punish, great Jove, the author of these ills! 브루투스의 친구이자 카이사르 암살에 가담했던 푸블리우스 볼룸니우스의 회고. 패주한 브루투스가 어느 동굴 속에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남긴 말로,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에서 메데이아가 자신을 배신한 이아손을 저주한 시를 인용한 것이다. 사실 이 때 브루투스는 시 한 편을 더 말했으나 블룸니우스가 이를 기억하지 못해 결국 기록에 남지 않았다.[15] 두 유언 모두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수록되었다.[16] "By all means must we fly; not with our feet, however, but with our hands." (중략) he said, that he found an infinite satisfaction in this, that none of his friends had been false to him; that as for fortune, he was angry with that only for his country’s sake; as for himself, he thought himself much more happy than they who had overcome, not only as he had been a little time ago, but even now in his present condition; since he was leaving behind him such a reputation of his virtue as none of the conquerors with all their arms and riches should ever be able to acquire, no more than they could hinder posterity from believing and saying, that, being unjust and wicked men, they had destroyed the just and the good, and usurped a power to which they had no right. After this, having exhorted and entreated all about him to provide for their own safety, he withdrew from them with two or three only of his peculiar friends. 필리피 전투에서 패한 후 호위병 중 하나가 도망칠 것을 건의하자 이를 거절하며 한 말. 이 말을 남긴 후 브루투스는 칼 위로 쓰러져 자살했다.[17] 두 유언 모두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수록되었다.[18] εἰ δὲ πᾶν ἔχει καλῶς, τῷ παιθνίῳ, δότε κρότον, καὶ πάντες ὑμεῖς μετὰ χαρᾶς κτυπήσατε.[19] 각 복음서마다 그 기술(記述)이 다르다.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참조. 예수의 수난을 다룬 영화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에서는 죽기 전에 위에 나온 말들을 모두 하고 죽는 것으로 표현되었다.[20] 첫 번째 유언은 칼로 찔러 자결하려던 자신을 옷을 벗어 지혈해 준 병사에게 한 말. 허나 병사가 그에게 이렇게 했던 이유는 '''정말 충신이서는 아니고 '가급적이면 살려서 끌고 오라는 명령'이었기에 행한 일이었다.'''[21] 일설에 의하면 이후 "신이니까 일어서서 죽어야지." 라며 무리하게 일어나다 시종의 품에서 죽었다고 한다.[22] 생전에 신격화를 거부했던 2대 황제 티베리우스를 제외한 모든 로마 황제는 죽으면 신격화가 되었다[23] 겨울에 목욕하고서 늑막염에 걸려서 마지막을 앞에 두었을 때. 카롤루스는 생전에 의사들을 대단히 싫어했다고 전해지는데, 자신은 고기를 구워먹고 싶은데 의사들은 옥체를 생각하시어 삶아 잡수시라는 조언을 끈질기게 반복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유언에서도 카롤루스의 의사 혐오를 알 수 있는 대목.[24] 새끼 돼지들이란 라그나르의 아들들을 뜻한 것이었다. 실제로 라그나르가 감옥에서 죽은 다음 해에 그의 아들들이 이끄는 이교도 대군세가 브리튼 제도를 휩쓸었고, 결국 아들 중 한 명인 이바르가 아버지의 복수에 성공한다.[25] 이른바 '카노사의 굴욕'으로 한때 제압했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의 반격을 받고 로마에서 피신, 망명지 살레르노에서 세상을 떠나면서 남긴 말.[26] 유수프의 발렌시아 공격 당시 기습 공격에 나섰다가 중상을 입은 후 아내인 히메나에게 한 말이다.[27] 뒤늦게 찾아온 알폰소 왕이 그의 앞에서 무릎을 꿇자 한 말. 이 말을 한 후 사망했다.[28] 성명미상이지만 대시인으로 알려진 중세 프랑스의 시인. 원문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29] 동방견문록의 내용이 거짓이었다고 고백하고 눈을 감으라는 가족들과 친구들의 말에 답하며.[30] 잔 다르크가 마녀재판을 받고 화형당한 곳이 바로 루앙. 당시 루앙은 잉글랜드 영토로, 잉글랜드령 프랑스의 군사, 정치적 수도 역할을 담당했다.[31] 이 유언 때문에 그의 관은 네 구의 조각상이 떠받든 형상으로 설계되었다.[32] 이탈리아 전쟁 시대 프랑스 최고의 장군 가운데 한 사람. 1524년의 세시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퇴각하는 프랑스군의 후방에서 아군이 퇴각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 위해 스페인-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과 맞서 싸우다,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당시 적군 지휘관 가운데에는 예전에는 프랑스 왕의 신하였다가 왕이 봉토를 몰수하자 신성 로마 제국의 신하가 되어버린 부르봉 공작 샤를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와 피에르 테라일은 전부터 알던 사이였다. 샤를이 피에르에게 다가와 진정으로 고결한 기사가 이렇게 최후를 맞다니 참으로 안타깝다며 유감을 표하자, 그에게 남긴 말.[33] 처형대의 받침 위에 놓인 자기 수염을 치우며.[34] 잉글랜드 학자. 일반인도 쉽게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성경의 영어 번역에 힘을 쏟았지만 도중에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했다. 그가 죽기 직전에 남긴 이 유언은 70여년 후 그가 남긴 번역본을 토대로 킹 제임스 성경이 완성됨에 따라 현실로 이루어졌다.[35] 한 귀족이 왕의 심장을 꺼내도 되냐고 물었을 때.[36] 칼에 맞아 죽기 전 남긴 말. 죽기 몇시간 전 앙리 4세는 오랫동안 자신을 최측근에서 보필했던 신하인 막시밀리앙 드 베튄의 병문안을 가던 중이었는데, 때마침 파리는 난데없는 교통 혼잡 상태였다. 그리고 멈추어 선 마차 안에서 광신적인 가톨릭교도 프랑수아 드 라바이약의 칼에 찔려, 눈을 감았다.[37] 신성동맹을 창시한 기즈 공작의 동생. 기즈 공작 사후 신성동맹의 수장으로 앙리 4세와 대립하나 1595년 앙리 4세에게 투항, 이후 그의 충실한 조언자로 지냈다.[38] 그러자 옆에 있던 개신교 목사가 한 말이 일품이다. '''그건 예수사탄을 화해시키려는 발상이오.''' 케플러가 죽은 뒤에 유성우가 쏟아져 내렸다. 천문학 본좌에 걸맞는 아름다운 죽음이라고 할까.[39] 앞의 유언은 마지막 사형 판결을 받기 전에 했던 최후변론이고, 뒤의 유언은 진짜로 죽기 전에 했던 말이다.[40] 고전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극작가.[41] 루이 15세에게는 '''“너는 이웃나라와 싸우지 말고 평화를 유지하도록 힘써라. 이 점에서 짐이 밟은 길을 따르지 말라. 국민들의 괴로움을 덜어 주는 정치를 하여라. 아쉽게도 짐은 행하지 못했었다"'''라고 말했다. 혹은 "짐은 이제 죽는다. 그러나 국가는 영원하리라"라고 했다고. 어느 쪽이 맞든지간에 나중에는 혁명이 일어나 종국에는 왕조도 끊어지고 말지만, 프랑스라는 나라가 멸망하지는 않았으니 어떤 의미로 아직까지도 그의 말은 현실이긴 하다.[42] Ich bin nackt von meiner Mutter Leibe gekommen, nackt werde ich wieder dahinfahren, 욥기 1장 21절[43] 이건 야사쪽에서 전해지는 유언이다. 야사에 따르면 죽음을 앞두고 목사가 '내가 모태에서 알몸으로 나왔은즉 또한 알몸으로 그리 돌아가리라'[42]이라는 성경 구문을 읽어주자 이런 반응을 보였다고(...) [44] 마음이 편안하냐고 물었을 때[45] 아일랜드 작가.[46] Après moi, le déluge…[47] 여기서 말하는 홍수는 수많은 목숨을 쓸어갈 재앙과 같은 사건, 그러니까 루이 15세는 죽어가며 뒤를 이은 루이 16세프랑스 대혁명을 예감한게 아닌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유언은 실제로 이 말을 했다는 근거는 없고, 야사에서만 전한다.[48] 죽기 전에 악마를 거부하라는 말을 듣고 대답했다.[49] Ich sterbe[50] 천왕성 궤도 계산 도중 석판에 이 글을 남기고 쓰러졌다. 어떤 사람은 오일러는 마지막 순간에도 증명을 했다고 말하기도…[51] 호흡하기 쉽도록 딸이 침대에 누워 있는 그의 위치를 바꾸도록 말했을 때.[52] 자신이 작곡한 <레퀴엠(진혼곡)>에 대해 남긴 말.[53] 그 직후 목이 잘림.[54] Pardonnez-moi, monsieur. Je ne l'ai pas fait exprès[55] 단두대로 올라가다가 간수의 발을 실수로 밟았다고 한다.[56] 프랑스의 작가 겸 혁명가. 지롱드당의 일원으로 "지롱드파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 [57] 사실 사형 판결을 받고도 덤덤했지만 아내마저 체포되었다는 사실을 알자 끌려가는 길에 발버둥치며 저렇게 외쳤다. 당연히 아내도 처형.[58] 프랑스 혁명 시기 유명한 언론인으로 로베스피에르의 공포 정치에 반대하다가 처형.[59] This well[60] 역시 병상에서 한 말인 '나는 죽지만 죽음이 두렵지 않다'는 말이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숨이 끊어지기 직전에 한 말은 이것이라고 한다. 숨이 끊어지기 직전 자신의 장례는 간소하게 치르고 빨리 끝내라고 말했는데 주변에서 고개만 끄덕이고 대답이 없어서 주변에 저렇게 물어본 것. 이 말을 남기고 죽었다고 한다. 베토벤과 마찬가지로 죽음이 두렵지 않다는 말이 더 간지나는지 자주 인용되긴 하지만.[61] Es ist gut[62] Thank God, I have done my duty[63] 저 유언은 '''공식적인 유언'''이었으며, 이후에도 몇 번이고 자기 말을 확인하거나, 혼수상태에 있었다가 깨어난 뒤에도 자기 말을 확인했을 만큼 말을 꽤 많이 했다고 한다. 그 중에는 자기 딸인 호레이샤 넬슨도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해달라는 내용도 있었고(법적으로는 엠마 해밀튼과의 불륜에서 태어난 혼외자식이라서 받을 순 없었다고 한다.), 사실상 마지막 말은 "내 말 잘 받아 적었는가? 내가 뭐라고 했는가?", 혹은 "내 할머니가 자네보단 키스를 잘하겠네."라고 한다. 두 번째 말에서 언급되는 키스상대는 자기 부관 토마스 하디였으며, 넬슨 자신이 작별인사 키스해달라 한 뒤 한 말.[64] Roll up that map. it will not be wanted these ten years[65] 아우스터리츠 전투의 결과에 대한 충격으로 남긴 말이다. 유럽 전체가 나폴레옹의 손아귀에 들어가 지도가 필요없어졌다는 의미.[66] 총살당하기 직전.[67] 총살당하기 직전.[68] If any of you have a message for the Devil, give it to me, for I am about to meet him![69] 미국의 첫 여성 연쇄살인범으로, 남편 존 피셔와 함께 살인, 강도 등의 범죄를 저질렀다. 그 당시 결혼한 여자는 사형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그녀는 법정에서 이 사실을 말했지만 판사는 그녀의 남편을 먼저 사형시킨 뒤 그녀를 처형하겠다고 했다. 그러자 그녀는 처형 당일에 웨딩드레스를 입고 자신의 빼어난 미모(착각이 아니라 진짜 미인이었다고)로 처형을 보러온 남자들 중 하나를 꼬셔 결혼식을 치를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아무도 그녀와 결혼하겠다고 나서지 않았고 처형 시간이 다가오자 그녀는 유언을 남기고 집행인이 미처 형을 집행하기도 전에 뛰어내려 자살했다.[70] 영국 시인. 의학을 공부하기도 했고 어머니와 누이동생이 폐결핵으로 죽는 걸 곁에서 간호하면서 봤기에 자신도 피를 토하는 걸 보고 폐결핵이 전염된 걸 알고 죽을 걸 알았다. 페니(1800. - 1865.)라는 약혼녀가 있었고 그녀를 사랑했으나 그녀에게도 병이 옮을까봐 그녀를 떠나 친한 친구와 요양을 하던 도중 죽었다. 페니는 12년뒤에 결혼했지만 키츠가 사준 반지를 버리지 않고 죽을때까지 간직했다.[71] France, l'armée, tête d'armée, Josephine…[72] Now I shall go to sleep. Goodnight[73] 문제는 아들이 없어 동생(뒷날의 니콜라이 1세)에게 황제 계승권도 밝히지 못한 채 죽어버렸다는 것. 그 덕분에 생긴 혼란을 틈타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일어났다. 그리고 사실 죽음을 가장하고 은둔해 성직자가 된거 아니냐는 도시전설도 있다.[74] 바로 아래의 애덤스와 같은 날인 1826년 7월 4일 사망. 제퍼슨은 애덤스보다 3시간 정도 먼저 죽었는데, 죽기 직전 제퍼슨은 주위에 그 날의 날짜를 물었다고 한다.[75] Thomas Jefferson still surv.....[76] 말을 끝내기도 전에 먼저 사망했다[77] 그러나 사실 제퍼슨은 3시간 전에 이미 세상을 떠난 뒤였다. 공교롭게도 두 사람이 죽은 날은 미국 독립 50주년이었다.[78] Plaudite, amici, comedia finita est. 엄밀히 말하면 사망 전날 한 말이라고 한다. 이게 좀 더 간지나는지 자주 인용되기는 하지만.[79] Schade, schade, zu spät![80] 베토벤이 병상에 누워있던 중 쇼트 음악출판사가 자기가 좋아하는 라임 와인 한 세트를 보냈다고 하자 뇌까린 말. 이 말을 끝으로 베토벤은 혼수상태에 빠졌고, 결국 와인은 베토벤이 죽은 뒤에야 도착했다.[81] 베토벤을 존경하여 그의 장례식에서 관을 들던 그는 딱 1년 5개월 뒤에 따라갔다. 그만큼 존경했던 모양.[82] ¡Carajo, un balazo![83] 콜롬비아에서 저격을 당하자[84] 페루볼리비아의 대통령. 베네수엘라의 독립 투사이자 시몬 볼리바르의 동료이다.[85] 로제타 석 해석으로 유명한 프랑스 언어학 및 고고학자. 42살 한창 나이로 다른 연구를 하던 도중에 갑작스럽게 죽었으니 이런 한맺히는 말을 남겼다. 게다가 샹폴리옹은 그 연구를 하다가 얻은 피로와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을 해쳐서 뇌졸중에 걸려 사망했기 때문에 더더욱 한이 맺힌 것.[86] Ne pleure pas, Alfred ! J'ai besoin de tout mon courage pour mourir à vingt ans[87] 프랑스의 수학자. 총에 맞아 죽어갈 때 면회온 아우 알프레드에게 남긴 유언.[88] 전류단위인 암페어가 바로 이 사람 이름에서 나오고 앙페르의 법칙으로 유명한 프랑스 물리학자. 고등 교육기관 교수답게 공부와 연구에 열중하다가 쓰러져서 혼수상태 와중에 이런 말을 남겼다[89] 병자성사를 신학적 지식이 얕은 아베 뒤팡루라는 신부가 집전했는데, 그가 탈레랑의 손바닥에 기름을 부어 정화하려 하자 탈레랑이 그의 실수를 지적하면서 했던 말. 주교인 탈레랑이 신부인 그보다 높기에 원칙에 맞지 않는 일이었다고 한다. 때문에 손바닥 대신 손등에 기름을 발랐다고.[90] 러시아 시인으로 살아생전 매우 인기를 끌었지만 흑인 혼혈에 키도 작은 외모였는데 아내인 나탈리야 곤차로바(1812. - 1863)가 프랑스 귀족 조르주 당테스와 염문설이 터지는 통에 그 귀족과 권총 대결을 벌였다가 총에 맞아 죽는다. 이 유언은 병원에서 아내에게 남긴 말.[91] 폭풍의 언덕 작가. 언니 샬럿이 의사를 부를지 물을 때마다 항상 싫다고 하며 일상을 지속하다가 마지막에야 의사를 부르는 것을 허락했다. 물론 너무 늦었지만.[92] 의사가 '마지막으로 할 말은 없습니까?' 라고 묻자 남긴 말이라고 한다.[93] 의식불명 상태에서 외친 말이라고 한다. 묘비명에는 이 유언이 적혀있다.[94] As this earth will suffocate me, I implore you to have my body opened so that I will not be buried alive[95] 쇼팽은 생전에 생매장에 대해 신경증적인 두려움을 느꼈고, 그래서 죽기 몇 시간 전 이 유서를 남겼다. 이 사실은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나온 적이 있다.[96] 의사가 그에게 심하게 아프냐고 물어봤을 때의 대답. 이 대답을 하고서 2시간 뒤에 쇼팽은 숨을 거뒀다.[97] 자신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의사.[98] 프로이센 지리학자.[99] I, John Brown, am now quite certain that the crimes of this guilty land will never be purged away but with blood. I had, as I now think vainly, flattered myself that without very much bloodshed it might be done[100] 처형당하기 직전 교도관에게 위 내용을 적은 쪽지를 건내주었다.[101] 남북전쟁 당시 북군의 장군이였다. 남군의 저격수 때문에 발이 묶여 있던 병사들을 타박한 후 바로 얼굴에 저격을 당해 사망하였다. [102] 암살당하던 날 보좌관에게 한 말[103] 자신의 손을 보면서[104] Tell mother, tell mother, I died for my country… (looks at his hands) useless… useless…[105] I shall be with Christ, and that is enough[106] 사망하기 전 "내세에 당신이 무엇을 할지 생각해 본 적 있습니까?(Have you ever pondered by yourself what will be your occupation in the next world?)"라는 질문을 받자.[107] 아내의 이름이다.[108] ¡Muero con mi patria![109] 3국 동맹 전쟁의 마지막 전투인 세로 코라 전투에서 중상을 입은 와중에 신변을 보장해줄테니 항복해라는 브라질군 총사령관 카마라 공작의 마지막 제안을 듣자 칼을 빼들고 총사령관에게 달려들면서 남긴 말.[110] On the ground![111] 집 주변을 걷던 중 사망하기 1년 전에도 겪었던 뇌졸중을 다시 겪어 땅바닥에 누워달라는 말을 듣자.[112] Hurrah Boys! Let's get these last few reds then head on back to camp. Hurrah![113] It is a good day to die.[114] 크레이지 호스리 불리는 북미 원주민 추장으로 경찰관의 칼에 찔려 죽어가며 한 말. 여러 곳에서 패러디 되었다.[115] Dear Papa[116] 아버지 앨버트 공과 같은 날짜에 사망했다.[117] 죽기 며칠 전 친구 의사에게. 사망 당일에는 조용히 기도하면서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118] 대대적인 개혁 정책을 추진한 러시아의 황제. 하지만 아나키즘 세력과 혁명가들에게는 증오의 대상이었다. 최후의 날, 그를 노린 첫번째 폭탄이 터졌지만 나폴레옹 3세가 선물한 방탄 마차 덕택에 손가락 하나 다치지 않았다. 하지만 부상자들을 수습하기 위해 문을 열면서 "나는 괜찮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무사함을 드러내는 순간, 2번째 폭탄이 날아들었다. 심지어 암살자들은 만일을 대비한 3번째 암살자까지 준비해 두었다고 한다. 하지만 암살당한 당일 알렉산드르는 그간 반대해왔던 의회 설립에 대해 검토하는 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지시했고, 그의 뒤를 이은 황제는 다시 전제정치를 시행했다. 이후 로마노프 왕조는 결국 멸망의 길을 걷는다.[119] ¿Quién es? ¿Quién es?[120] 인터넷 상에서는 다윈이 죽기 전 레이디 호프라는 사람과 이야기 하면서 진화론을 부정하고 창조론을 받아들였다는 고인드립성 루머가 떠돌고 있다. 1915년 레이디 호프(Elizabeth Hope, 1842.12.9 . - 1922.3.8)는 자신이 다윈이 사망하기 전 그와 이야기를 나눴고 그가 사망 전 자신의 진화론을 부정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들였다고 주장했다. 다윈의 가족들은 당연히 이런 고인드립성 헛소리에 반박했지만 이 루머는 기독교인들을 포함한 창조론 신봉자들 사이에 널리 퍼졌고, 현재도 '찰스 다윈의 유언'이라고 검색하면 대부분 이 루머가 나온다. 도시전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여담으로 죽기 며칠전인 아내에게 말했던 '나는 죽음 앞에서 일말의 두려움도 갖고 있지 않다(I am not the least afraid to die)'는 유언이 아니다. 진짜 유언은 4월 18일 산책 도중 아내에게 남긴 이 말이다.[121] 바그너는 생의 말년에 심각한 심장 질환을 앓고 있었다. 마지막 유언을 하기 전에 바그너는 또다른 작품을 쓰기 위해서 간단한 소논문을 쓰고 있었는데 도중에 갑자기 심장마비가 찾아왔고, 위에서 언급된 말을 하고 사망하게 된다. 여기서의 아내는 코지마를 의미한다.[122] "유언으로 생각해둔 말이 있냐"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이 말을 했다는 일화가 있다. 물론 실제로는 이 말을 했다는 근거가 없다.[123] 그리고 정말로 그의 시대가 왔다.[124] 손녀에게[125] '그것'은 '창(窓)'을 말한다.[126] 영국 빅토리아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127] 우유 한 모금을 주었을 때[128] 죽기 전에 마지막에서 2번째로 한 말은 『빨리 끝내면 끝낼수록 좋겠지』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할 말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였다.[129] 최초로 안전하게 글라이더를 탄 사람. 이 후에 자신의 글라이더를 타다가 사고가 났는데 사고가 난 몇일 뒤에 이 말을 남기고 죽었다.[130] 그의 딸을 뜻한다[131] 일설에는 "나는 공(公)의 묘지에 매장되고 싶지 않다. 내가 프로이센 왕 빌헬름 대왕의 충실한 충복이었다고 묘석에 새겨 다오." 라고 유언을 했다고 하는데 빌헬름 2세와 관계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빌헬름 1세의 신하임을 명기하고 싶었을 것이란 해석이 있다.[132] Was ist mit mir geschehen?[133] 무정부주의 암살자에게 심장을 찔린 뒤 과다출혈로 사망하기 전에.[134] 미국의 정치가로 합리주의자로 유명하며, 성경을 비난하여 당대에 비난을 많이 받았으나 호탕한 성격으로 인기를 모으던 인물이었다. 그런 그가 죽을 때 기도를 한다니 얼마나 웃겼을까.[135] 1900년은 19세기에 속하며 20세기는 1901년부터이다.[136] 니체가 미쳐서 '나는 신이다'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설이 있으나 실제로 니체는 자신의 여동생인 엘리자베트가 임종을 지키는 옆에서 동생의 이름만 읊조렸을 뿐이다.[137] I killed the President because he was the enemy of the good people, the good working people. I am not sorry for my crime.[138] 바로 위의 매킨리를 저격한 사람.[139] I am sorry I could not see my father.[140] 전기의자에 묶일 때 남긴 말이다.[141] 미국 정치인. 헤이마켓 사건 주동자들의 전면 사면을 주장했다.[142] 미국의 정치가. 스스로 산소 마스크를 벗으며 한 말.[143] '인형의 집'으로 유명한 노르웨이의 극작가. 병세가 좋아지고 있다는 말을 전해 듣고 한 말.[144] I have tried so hard to do right[145] 서양인이지만 한국을 위해 공헌한 일이 상당하고 한국 땅에 묻힌 인물이다.[146] No, I shall not give in; I shall go on; I shall work to the end. 심장병으로 괴로워하면서도 일을 하며 한말이라고 한다.[147] 결국 침대에 눕고서 후의 조지 5세가 되는 아들로부터 자신의 경주마가 경마에서 이겼다는 말을 듣고 한 말이라고 한다. 이 말을 하고 잠이 든 후 잠시 있다 사망했다고 한다.[148] 남극점을 밟은 스콧 탐험대의 대원. 눈보라 속에 고립된 가운데 다리에 동상을 입어 걸을 수 없자 탐험대에 피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스스로 텐트를 나간 후 행방불명 되었다. 시체는 지금까지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의 찢어진 침낭(다리가 불편해서 드나들기 쉽게 하기 위해 한 쪽을 일부러 주머니칼로 찢어 두었다고 한다)은 지금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49] 남극점을 탐험하다 조난을 당해 사망. 위 내용은 그의 탐험일지에 마지막으로 쓰여진 내용.[150] Es ist gar nichts… es ist gar nichts…[151] 암살자 가브릴로 프린치프의 총에 맞고 의식을 잃기 전 운전기사 하라히 중위에게 속삭이며.[152] 1903년, 주세페 사르토는 교황 비오 10세로 즉위하였다. 헌신적인 평화주의자였던 그는 오스트리아 황제이자 헝가리 국왕이던 프란츠 요제프 1세를 꾸짖던 중 사망하였다. 프란츠 요제프는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암살된 뒤에 세르비아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이것이 제1차 세계대전의 도화선이 되었다.[153]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군 보병 중위. 베르됭 전투에서 전사하기 직전에 쓴 일기의 내용이다.[154] 에스페란토어의 창안자.[155] 로댕은 말년에 정신건강이 심각하게 악화되어 요양받던 신세였으며 곁에 있던 간호사는 "그래, 당신은 신이야. 하지만 똥오줌싸는 신이지."라고 대답했고 그 대답을 들으면서 사망했다고 한다. 흠좀무…[156] 영어 원문은 "We've dressed up in our best and are prepared to go down like gentlemen."[157] 부인에게 남긴 쪽지[158] 자신을 죽인다고 한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해 대꾸한 말. 이 말을 한 직후 일가족과 함께 총살당했다.[159] 빅토르 세르주의 의견.[160] 취침 전 하인 제임스 아모스에게 한 말. 이 말을 남기고 잠이 들었는데 다음 날 아침 숨져 있었다.[161] 우익 민병대에게 끌려가 처형을 기다리는 중에 민병대의 지휘관이 "당신이 로자 룩셈부르크 부인 맞습니까?"라고 묻자 그건 당신이 알아서 결정하시죠."라고 답하고 다시 "수배자 사진을 보니 당신이 틀림없군요"라는 말에 위와 같이 답했다. 그리고 이후 침묵을 지키다가 살해당함.[162] 살해당하기 전날 쓴 글의 마지막 구절.[163] 정말 북극점에 도달했는지의 논란과 소송에 시달린 끝에 죽기 며칠 전까지 혼수상태에서 저 말을 중얼거렸다. 이후 '''1996년에 피어리는 북극점에 도달하지 못했음이 확정되었다.'''[164] 1922년, 사우스조지아의 그리트비컨에서 쓰러진 후 병상에서 의사이자 친구인 매클린에게 한 질문. 이 질문에 매클린은 '보스는 제 말에 찬성하지 않겠지만, 술을 끊어야 합니다.'라고 답변했고, 몇 분 후 사망했다.[165] Take a step forward lads - it'll be easier that way[166] 아일랜드 작가. 대표작으로 "모래톱의 수수께끼"가 있다. 신페인 당원이기도 했다. 아일랜드 내전 도중 아일랜드 자유국에 의해 처형되었다. 저 유언은 총살형을 집행하려고 늘어선 군인들에게 한 말이었다.[167] 프랑스 배우.[168] 암살자의 총에 맞은 직후 동료를 움켜잡으며.[169] 자신의 결핵이 남에게 옮겨짐을 부단히 두려워하던 그는 머리를 떠받쳐주던 친구를 여동생인 줄 착각해서[170] 러시아의 시인, 이사도라 던컨의 남편. 아내의 재능을 질투, 만취한 채 손목을 그어 피로 유서를 쓰고 목을 매 자살하였다.[171] 장미꽃 가시에 찔려 파상풍으로 죽었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백혈병으로 죽었다.[172] Adieu, mes amis, Je vais à la gloire![173] 전설적인 무용수, 목에 두른 스카프가 차 뒷바퀴에 휘말려 목뼈가 부러져 죽었다. 차를 타기 전 사람들에게 한 말.[174] 죽어서도 독일을 경계하겠다는 의미.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비슷한 동기의 유언이다.[175] It's very beautiful over there[176] 의식을 잃기 전 아내에게 한 말. '저곳'이 사후 세계를 뜻했는지 창문을 통해 그가 본 풍경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177] 자살하기 전 남긴 유서에.[178] 미국 연극 제작자. 죽기 전 자신이 무대에 올린 공연을 상상하며 외쳤다.[179] Good morning, Robert[180] 집에 일하러 온 목수 로버트라는 사람에게 아침인사를 건네고 얼마 후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다. 사인은 관상동맥혈전. 다만 죽기 며칠 전에 친구에게 남겼다는 "나는 더 이상 이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것 같네(I feel I no longer fit in with these times)"가 더 유언같은 느낌을 풍겨서인지 이 말이 잘 알려져 있다. [181] 주사를 놓으려는 의사에게[182] 아내가 기억하고 있었던 유언 중 하나다.[183] 1940년 8월 19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사주를 받은 암살자 라몬 메르카데르의 얼음 깨는 망치(혹은 도끼)에 맞고 그의 비명을 들은 경호원들이 라몬을 죽이려 하자 했던 말이었다. 하지만 출혈 과다로 다음날 사망했다. 2월 27일 반년 뒤의 죽음을 직감하고 쓴 듯한 유언장은 항목 참조.[184] 비스마르크 추격전 당시 본부에서는 함교 인원들이라도 데려오려 했으나 부하들과 끝까지 싸우기 위해 거부했다.[185]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 낙서가 적힌 곳은 스탈린그라드가 아니라 벨라루스의 브레스트 요새다.[186] Smrt fašizmu, sloboda narodu![187] Stjepan Filipović,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에 대항했던 크로아티아인 빨치산으로 추축군에게 잡힌 뒤 교수형을 당했다. 형이 집행되기 직전에 두 팔을 펼치고 당당하게 만세를 부르는 자세를 취한 것이 사진으로 남았다. 후에 유고슬라비아로부터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죽기 직전의 모습을 동상으로 만들었다.[188] 미국 배우. 손녀로 드루 배리모어가 있다.[189] The bastards tried to come over me last night-I guess they didn't know I was a Marine.[190]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과달카날 전역에서 경계를 서던 중 침투를 시도하던 일본군 부대와 조우했다. 홀로 백병전을 벌인 끝에 일본군 지휘관을 사살해 적을 쫓아냈지만 그 과정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191] 임종을 앞둔 테슬라가 고국의 지인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192] 역사학자로 2차 세계대전 당시 레지스탕스. 전쟁 발발 당시 스트라스부르 대학 교수로 53세였는데 독일이 프랑스를 침공하자마자 대위로 참전했다. 됭게르크 철수 이후 영국에서 제대하여 귀국한 이후에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다 1944년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죽기 전, 16살의 레지스탕스 대원에게 '걱정하지 마라, 얘야. 아프지 않을거야.'라는 말을 남기기도 하였다.[193] Es lebe unser heiliges Deutschland![194] 히틀러 암살 미수사건에 연루되어 맨 마지막 순서에 총살당할 때 외친 말. 정확히는 마지막 처형 순서는 아니었지만 그의 부하인 대위가 그의 앞으로 뛰어와 대신 맞고 슈타우펜베르크가 마지막으로 총살당했다.[195] 이 말을 하고 박격포에 맞아 사망.[196] 이오지마 전투에 참전한 해병. 일본군의 야습에 당해 총검으로 난자당하다가 전우에게 구조되었지만 이내 사망.[197] I have a terrific pain in the back of my head[198] 이 말을 하고 의자에서 앞으로 굴러떨어져서 병원으로 옮겨진 후에 사망.[199] 루르의 산업시설을 지키기 위해 국민돌격대에게 제대장을 발부하고 휘하의 장병들에겐 무전 연락으로 자유롭게 항복해도 좋다는 명령. 이 말을 한 날과 사망일은 차이가 있지만 마지막으로 남긴 말 중 가장 유명하기에 기술한다.[200] 자살 전 휘하 참모 빈리히 베어(Winrich Behr) 소령에게 남긴 말. 이후 베어 소령이 뒤스부르크 방면으로 정찰을 가겠다는 것을 수락한 게 마지막 대화였다고 한다.[201] 하지만 무솔리니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유언에 대해서는 신빙성이 낮다고 한다.[202] 남기는 했다. '''그것도 최악으로.'''[203] Ich bin Heinrich Himmler[204] 종전 후 영국군이 그를 체포한 후, 신분이 드러날 것을 예상하고 한 말. 이 말을 한 후 입에 숨겨둔 청산가리 캡슐을 물어 자살했다.[205] 루마니아전범으로, 40만명의 유태인 및 소련인들을 학살한 혐의로 이온 안토네스쿠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206] Gott schützt Deutschland![207] My last wish is that Germany realize its entity and that an understanding be reached between East and West. I wish peace to the world.[208] 죽은 독일 군인을 뜻한다. 실제로도 카이텔은 무능한 아첨꾼이었을지 언정 자신의 부하들에게만큼은 아버지 같이 자상한 상관이었다. 똥군기 같은걸로 부하들을 힘들게 하지도 않았고 말단 사병들의 복지까지도 직접 챙겨주었다. 그가 사형 선고를 받자 수많은 장병들이 탄원을 하기도 했다고 하니 그의 인망이 어느 정도 였는지 가늠해볼수 있다.[209] 영역판의 경우 I call on God Almighty to have mercy on the German people. More than two million German soldiers went to their death for the fatherland before me. I follow now my sons — all for Germany![210] 부림절[211] 외국인이지만 한국에 상당한 공헌을 하였고, 한국에서 사망했으며 한국의 묘지에 안장되었다.[212] 282 고지 전투 당시 아가일 앤 서덜랜드 하이랜더 연대 1대대 지휘관. 해당 전투에서 전사. 연합뉴스 관련 기사[213] 한국명 방일은(方溢恩). 초대 주한 교황청 대사. 메리놀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평안도에서 사목하다 1949년 주교로 서품되었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에도 서울에 남았다가 7월에 체포되어 납북되어 북한의 퇴각과 함께 수용소를 전전하다 중강진에서 순교했다. [214] 의사가 곧 죽는다고 말하자[215] 희곡 느릅나무 아래의 욕망의 저자로 유명하다. 아버지가 순회공연을 다니는 배우였기에 호텔에서 태어났고, 본인 스스로도 한 곳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떠돌았기에 결국 호텔 투숙 중 사망했다.[216] 스페인어 원문: Espero alegre la salida — y espero no volver jamás (영문 : I hope the exit is joyful and I hope never to return)[217] 수양딸에게 작별인사를 할 때. 실제 사망 직전에도 유언이 있었다고 하나, 이는 '''독일어'''로 하였고 이를 임종을 지키던 미국인 지인들이 알아듣지 못해서 묻혔다는 야사가 있다.[218] 먼로와 <부적응자(The Misfits)>를 촬영하던 중 죽기 전에 카메라 앞에서 남긴 의미심장한 대사. 먼로의 '어둠 속에서 어떻게 길을 찾죠?'에 대답하는 대사였으며 이 장면이 게이블의 마지막 씬이 되었고, 이 촬영 후 열흘 뒤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덧붙여 이 <부적응자>라는 영화 제목은 <어울리지 않는 사람들>이라고도 번역하기도 하는데 이 영화는 클라크 게이블뿐만 아니라 마릴린 먼로의 유작이기도 하다.[219] In einem kurzen Weilchen, meine Herren, sehen wir uns ohnehin alle wieder. Das ist das Los aller Menschen. Es lebe Deutschland. Es lebe Argentinien. Es lebe Österreich. Ich werde sie nicht vergessen[220] 예루살렘에서 처형당하기 전에.[221] 요한 복음서 21장 15절. - 19절에 나오는 구절이다. 요한 23세는 의식을 잃기 전 이 구절을 또렷하게 2번 말했다.[222] 댈러스에서 카퍼레이드를 할 때 많은 환영 인파를 보고 케네디의 앞에 앉아 있던 텍사스 주지사 부인이 케네디에게 "대통령님. 댈러스가 대통령님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 마세요."라는 말에 한 대답. 이 말을 한 몇 초 후 저격당했다.[223] I'm so bored with it all[224] I am ready to meet my Maker. Whether my Maker is prepared for the great ordeal of meeting me is another matter[225] 연설을 시작하기 직전에 청중석에서 갑자기 "검둥아! 내 주머니에서 손을 빼!"라는 외침과 함께 실랑이가 벌어지면서 청중이 혼란해지자 이들을 진정시키면서 한 말. 혼란을 진정시키다가 암살범에게 저격당했다.[226] I said how we are gonna get to the Moon if we can't talk between two or three buildings?[227] 아폴로 1호의 사령관.[228] Hey(Flames)! Hey! We've got a fire in the cockpit![229] 아폴로 1호의 시니어 파일럿.[230] We have a bad fire! '''We're burning up!!!'''[231] 이 유언을 마지막으로 사령선의 교신이 끊겼다.[232] 아폴로 1호의 비행사.[233] We've reached one of our phase lines after the fire fight and it smells bad─meaning it's a little bit suspicious…Could be an amb─[234] 유명한 종군기자이자 역사가, 정치학가, 인도차이나 전문가였다. 베트남의 전장에서 테이프에 녹음을 하던 중 지뢰를 밟기 전에 한 말.[235] Da jitt et nix zo kriesche! 쾰른 지방 사투리이다. 표준 독일어로는 Da gibt es nicht zu weinen. )[236] 임종 직전 슬퍼하는 딸에게 남긴 유언.[237]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분위기가 기존의 도련님 이미지였던 비틀즈와 맞지 않아 흥행을 망칠까봐 걱정돼서 한 소리였다고 한다. 다행히 엡스타인의 이런 걱정과 반대로 페퍼 상사는 대성공을 넘어, 현재는 비틀즈는 물론이고 컨셉 앨범을 대표하는 명반으로 널리 알려져있다.[238] 체 게바라를 쏜 병사는 사람들의 비난을 견디다 못해 투신자살했다.[239] 총에 맞기 직전 호텔 발코니에 서 있었는데 발코니에 함께 서 있던 벤 브렌치라는 사람에게 건넨 말이다. 벤은 그날 저녁 킹이 참여하는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하기로 되어 있었다.[240] I've always loved my wife, my children, and my grandchildren, and I've always loved my country. I want to go. I'm ready to go. God, take me[241] 영국계 캐나다인이지만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외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이 유언은 그의 묘비에도 새겨졌다.[242] 사망 몇 분 전 아내에게 남긴 말.[243] 인물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제대로 유언을 들은 사람이 없다.[244]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가 이 유언을 주제로 곡을 쓴 적이 있다. Band on the Run 항목 참고. [245] 피노체트 쿠데타 군에의해 대통령 집무실이 점거되기 직전에 남긴 라디오 연설문 중. 원문은 항목 참조[246] In keeping with Channel 40's policy of bringing you the latest in blood and guts and in living color, you are going to see another first -- attempted suicide[247] 뉴스를 해설하고 있었는데 기술상의 문제가 생겨 방송이 중단되었다. 몇 분 후 화면이 나왔지만 그녀는 방송을 재개하지 않고 위의 내용을 말한 뒤 수만 명의 시청자가 TV를 통해 지켜보는 가운데 권총을 꺼내 자신의 머리를 쏘아 죽었다. 그녀의 '생방송 자살'은 사람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248] 처형 전날 아들에게 보낸 편지.[249] Dammit…Don't you dare ask God to help me[250] 자신의 가정부가 소리내어 기도를 하자.[251] 애인의 잠들지 말라는 부탁에 남긴 말.[252] That was a great game of golf, fellers[253] 골프광 가수. 의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18홀을 돈 다음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254] 유서이다.[255] 자살 직전 녹음한 테이프의 내용.[256] Vancouver! Vancouver! This is it![257] 화산학자로써,1980년 5월 18일 폭심지로부터 약 6Km정도에 위치한 기지에서 세인트 헬렌스 화산의 측면분화로 인한 폭발을 무전으로 보고하다 화산쇄설류로 인해 휩쓸려 사망하고 말았다.향년 31세.[258] 경찰: 당신 존 레논이죠?[259] Yes[260] 중국계 미국인. 자신을 일본인으로 착각한 두 백인 해직자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참고로 범인들은 벌금형만 받고 풀려나 논란이 되었으며, 그 중 1명은 2010년대에 다시 세상에 나와 잘못을 시인하는 인터뷰를 했지만 다른 1명은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한 상태.[261] Roger, go at throttle up.[262] 챌린저 호 승무원. 이 마지막 교신이 종료된 지 3.1초 후 챌린저호는 로켓 고장으로 폭발해 딕 스코비를 포함한 승무원 7명이 전원 사망했다.[263] I wish we could be there; you know how I love a party.[264] 미국의 가수. 당시 TV로 생중계 중이던 자유의 여신상 복원 기념 행사를 보며 아내에게.[265] Don't, don't, don't, this will hurt someone.[266] 사실 당시 상황은 생방송으로 기자회견을 하는 도중에 자살 직전에 남긴 말로, 그 후 '''총을 구개에''' '''발사하며...'''[267] I'm the problem.[268] PSA 1771편 추락사건의 주범. 자신을 해고한 항공사에 앙심을 품고 같은 계열사의 비행기를 하이재킹해 추락시켰다. 이 항공기에는 버크를 포함해 43명이 타고 있었지만 전부 사망했다.[269] I'd hate to die twice. It's so boring.[270] Where is my clock?[271] 짐 콜먼, 테드 번디의 변호사.[272] 프레드 로렌스, 감리교 목사. 번디가 처형되기 전 마지막 기도를 해줬다.[273] Jim and Fred, I’d like you to give my love to my family and friends.[274] 미국의 아나키스트. 자살하면서 남긴 유서에.[275] 사형 당하기 직전 울부짖으면서 인터내셔널 가를 부르다가, 미처 1절도 부르지도 못하고 총살당했다. 다만 사인은 심장마비.[276] 메이헴의 보컬. 같이 동거하고 있던 유로니무스와의 불화, 미래에 대한 회의감, 고향에 대한 향수, 본인이 앓고 있던 조울증이 겹쳐 1991년 4월 5일 칼과 총으로 자살했다.[277] Following the enormous conjecture in the press over the last two weeks, I wish to confirm that I have been tested HIV positive and have AIDS. I felt it correct to keep this information private to date to protect the privacy of those around me. However, the time has come now for my friends and fans around the world to know the truth and I hope that everyone will join with me, my doctors and all those worldwide in the fight against this terrible disease.[278] 사망 24시간 전에 매니저인 짐 비치를 통한 에이즈 감염 공식 발표 전문[279] 그 전에 목사가 방문했을 때는 전 당신의 상사와 약속 시간을 잡아놨어요. 라고 했다고 말한다.[280] 친구에게 전화로 말한 것.[281] Me lo aspettavo[282] 이탈리아가톨릭 신부이자 대표적인 안티마피아 운동가. 아이들과 힘 없는 사람들을 마피아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도록 돕다가 시칠리아의 마피아 보스인 그라비아노 형제의 사주로 살해당했다. 이 유언은 풀리시 신부를 쏜 살바토레 그리골리가 나중에 죄를 자백하면서 증언한 것이다. 풀리시 신부는 2013년 5월 25일,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순교자로서 시복되었다.[283] 살해당한 날이 본인의 생일이었다.[284] …it's better to burn out than to fade away[285] 본문장은 그의 유서 중 일부로, 전문은 인터넷에 검색해 읽을 수 있다. 이 대목은 캐나다의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 닐 영의 노래 Hey Hey, My My 중 한 부분이다.[286] Help[287] Remember, the death penalty is murder[288] 미국의 목수. 제프리 메이즈라는 남성를 찔러 죽인 혐의로 사형되었다. 이 말은 약물주사형으로 사망하기 전에 남긴 말이다.[289] I don't care if I live or die. Go ahead and kill me[290] 이는 다머를 살해한 크리스토퍼 스칼버의 증언인데, 스칼버는 정신적 문제가 있었기에 신빙성은 낮은 편이다.[291] 투팍이 총에 맞았을 때 누가 쐈냐고 묻고 있는 어느 경찰관에게 남긴 대답.[292] <잠수종과 나비>의 저자. 전신마비 상태에서도 왼쪽 눈 깜빡임으로 책을 집필했다. 그는 책 발간 이후 3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293] I'll finally get to see Marilyn[294] 2000년은 20세기에 속하며 21세기는 2001년부터이다.[295] 독자[296] 우리에겐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더 유명한 피너츠의 작가. 피너츠의 마지막 연재분에서.[297] 마라카낭의 비극을 뜻한다.[298] Hello! We're looking, we're looking over the Financial Center. Three of us, two broken windows ─ Oh god! Ohh!![299] 당시 전화내용 (한글번역)[300] 9.11 테러 희생자. 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 남쪽 건물의 자신의 사무실에서 전화로 911에 구조를 요청하던 중 남쪽 빌딩이 무너지기 시작하자.[301] Love one another.[302] 아돌프 히틀러 최후의 비서. 2001년 다큐멘터리 "맹점 : 히틀러의 비서(Blind Spot)"에 참여했으나 2002년 2월 9일 시사회에는 건강이 심각하게 안좋았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했다. 시사회가 성공적으로 끝나고 카메라맨이 병원으로 가서 융에에게 시사회가 잘 끝났다고 알려주자 이 말을 남기고 1시간 뒤에 사망했다.[303] 2014년 4월 28일부로 시성되었다.[304] 광고 후에[305] "I'll be right back"[306] 미국 토크쇼 마이크 더글러스 쇼의 진행자.[307] 미국의 유머 칼럼니스트. 자신의 부고 동영상에서 한 말. 동영상을 미리 찍은 후 자신이 사망하면 인터넷에 올리라고 했다 한다.[308] You be good. See you tomorrow. I love you[309] 미국 출신의 소년으로 11세라는 어린 나이에 시한부 판정을 받고 2주밖에 남지 않은 인생을 살게 되었었다. 직후 어머니가 남은 시간동안 하고 싶은 게 뭔지를 물어보자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거리에서 힘겹게 살아가던 노숙자들의 모습을 보고 '''"저들에게 샌드위치를 만들어 주고 싶어요."'''라고 말하였다. 직후 브렌든의 사연을 듣고 감동한 미국 전역의 사람들의 후원으로 2주 동안 약 3,500여명의 노숙자들에게 샌드위치가 무상으로 지급되었다. 브렌든은 위의 인터뷰를 한 바로 다음 날 사망하였다.[310] 2009년 5월 10일 아침 9시 5분에 마지막으로 녹음된 마이클의 음성[311] Lara, papa kommt[312] Oh Wow! Oh Wow! Oh Wow![313] 사후세계 신봉자인 정현채는 스티브 잡스가 사후세계의 모습을 보고 한 말이라고 주장한다.[314] 리비아 내전의 마지막에서 고향 시르테가 함락되자 탈출을 시도하다가 실패, 하수관에서 끌려나와 생포되었다가 연행되는 과정에서 총격을 당해 사망하였다.[315] 미국의 종군기자. 안대 문서에서 생전 모습을 볼 수 있다. 시리아 내전 현장을 취재하다가 시리아 정부군의 포격으로 죽었다.[316] 로빈 깁의 아내.[317] 기사마다 다르다. 아내 드위나의 말로는 첫번째이고, 대부분 기사들은 두번째를 인용했다.[318] 여아 성폭행 살해범. 자신의 사형 집행을 참관하려고 모인 사람들을 보고.[319] We will be back in five minutes.[320] 죽기 전 유언은 아니고 마지막으로 트위터에 남긴 말.[321] 역시 마지막 트윗으로 남긴 말이다.[322] Joseph Robinette "Beau" Biden III. 미국의 정치인 조 바이든의 장남이자 전직 델라웨어 주 법무관. 46세라는 젊은 나이에 뇌종양으로 사망하였다. 조 바이든이 2020년 대선에 출마한 이유도 아들과 한 마지막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한다. # 이후 바이든은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접전 끝에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며 아들과의 마지막 약속을 지켰다.[323] ORLANDO!! Come out to the show tonight at the Plaza Live! Starts at 7:30![324] 공연을 끝내고 팬 사인회 중 괴한의 충격을 당해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세상을 떠났다.[325] 처형 영상을 찍던 반군들이 "동료들에게 경찰관을 그만두라고 전해라." 라고 명령하자 한 말.[326] 러시아 연방 소속국인 다게스탄 공화국의 경찰관. 7월 10일(현지시간) 사촌 동생과 함께 숲에서 캠핑을 즐기다 다게스탄 반군에게 붙잡혔다. 반군은 소지품을 검사하면서 그의 경찰 신분증을 발견했으며, 그들은 누르바간도프를 즉결 처형하였다. 그후 러시아군이 사살한 반군에게서 동영상을 입수하여 이 일이 알려지게 되었다.[327] 자신의 유고집에 남긴 말.[328] 해당 인물이 누구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스탠 리가 창조한 대표적인 히어로 스파이더맨이라고 추정하고 있다.[329] 사망 이틀 전 친한 후배이자 전직 마블 코믹스 편집장인 로이 윌리엄스 토머스 주니어에게 남긴 말. 사후 스탠 리의 트위터에 그를 상징하는 문구인 'Excelsior'가 올라왔지만 해당 트윗은 다른 사람이 작성했다고 한다.[330] 아들인 조지 W. 부시의 "사랑한다"는 말에 대한 응답.[331] 실종되기 전에 비행기에서 남긴 말. 다만 이때는 비행기가 추락하기 전이었고, 장난식으로 말하는 투였다.[332] 뉴질랜드 이슬람 사원 테러의 희생자이다. 왼쪽은 테러범에게 한 말.[333] I can't breathe.[334] 동료 배우인 조시 개드에게 생전 마지막으로 보냈던 문자메세지 내용이다.[335] 브콘탁테에 올린 마지막 글[336] "Me siento mal"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