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군주, 총독, 군정사령관, 대통령 등등, 한반도 국가의 최고 지도자들을 소개하는 문서이다.
댓수
| 왕호
| 휘
| 재위 기간
| 비고
|
'''<<한성백제 시대>>''' BCE 18년 ~ CE 475년 (492년)[6]
|
1대
| 온조왕(溫祚王)
| 온조
| BCE 18년 ~ CE 28년
| 시조
|
2대
| 다루왕(多婁王)
| 다루
| 28년 ~ 77년
|
|
3대
| 기루왕(己婁王)
| 기루
| 77년 ~ 128년
|
|
4대
| 개루왕(蓋婁王)
| 개루
| 128년 ~ 166년
|
|
5대
| 초고왕(肖古王)
| 초고
| 166년 ~ 214년
| 소고(素古), 초고(肖故)
|
6대
| 구수왕(仇首王)
| 구수
| 214년 ~ 234년
| 귀수(貴須)
|
7대
| 사반왕(沙伴王)
| 사반
| 234년
| 사비(沙沸), 사이(沙伊) / 살해 추정
|
8대
| 고이왕(古爾王)
| 고이
| 234년 ~ 286년
| 고모(古慕), 구이(久爾), 구이(仇爾)
|
9대
| 책계왕(責稽王)
| 책계
| 286년 ~ 298년
| 청계(靑稽), 청체(靑替)[7] 청체는 출전이 삼국유사지만 삼국유사에서도 오기라 하였다. / 전사
|
10대
| 분서왕(汾西王)
| 분서
| 298년 ~ 304년
| 암살
|
11대
| 비류왕(比流王)
| 비류
| 304년 ~ 344년
|
|
12대
| 계왕(契王)
| 계
| 344년 ~ 346년
| 요절
|
13대
| 근초고왕(近肖古王)
| 초고
| 346년 ~ 375년
| 구(句), 속고(速古), 배고(背古), 조고(照古)
|
14대
| 근구수왕(近仇首王)
| 구수
| 375년 ~ 384년
| 수(須), 귀류(貴流), 구소(久素), 귀수(貴首), 귀수(貴須)
|
15대
| 침류왕(枕流王)
| 침류
| 384년 ~ 385년
| 단명[9] 정쟁 $(document).ready(function(){ $("#rfn-8").bind("contextmenu",function(e){ $("#Modalrfn-8").attr("style", "display: block;"); return false; }); $("#Modalrfn-8").on("click", function(){ $("#Modalrfn-8").attr("style", "display: none;"); }); $("#rfn-8").bind("touchend", function(){ $("#Modalrfn-8").attr("style", "display: block;"); }); $("#Modalrfn-8").bind("touchstart", function(){ $("#Modalrfn-8").attr("style", "display: none;"); }); }); [8] 전쟁의 오타가 아니다. 정치 전쟁을 의미한다.으로 죽었다는 설도 있다.
|
16대
| 진사왕(辰斯王)
| 진사
| 385년 ~ 392년
| 휘(暉)(?)[10] 진서에서 386년 백제 왕세자 여휘를 사지절도독 진동장군 백제왕으로 삼았다는 기사가 있다. 그러나 386년은 진사왕 2년인데다 진사왕은 침류왕의 동생이었지 아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여기 등장하는 부여휘는 침류왕의 태자였던 아신왕이었으며 숙부의 찬탈에 대해 중국에서 백제왕으로 공인받기 위해 사신을 보낸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실제로 일본서기에 의하면 아신왕이 어려 숙부 진사왕이 왕위에 올랐으며 아신왕은 쿠데타로 찬탈했다고 적혀있다. / 횡사[11] 《삼국사기》에서는 사인 없이 그냥 사냥 중 머물던 행궁에서 죽었다고만 기록되어 있지만 일본서기에서는 살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17대
| 아신왕(阿莘王)
| 아신
| 392년 ~ 405년
| 아방(阿芳), 아화(阿花), 아미(阿美), 휘(暉)(?)[12] 진서에서 386년 백제 왕세자 여휘를 사지절도독 진동장군 백제왕으로 삼았다는 기사가 있다. 그러나 386년은 진사왕 2년인데다 진사왕은 침류왕의 동생이었지 아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여기 등장하는 부여휘는 침류왕의 태자였던 아신왕이었으며 숙부의 찬탈에 대해 중국에서 백제왕으로 공인받기 위해 사신을 보낸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실제로 일본서기에 의하면 아신왕이 어려 숙부 진사왕이 왕위에 올랐으며 아신왕은 쿠데타로 찬탈했다고 적혀있다. / 횡사[13] 분사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역시 정쟁에 휘말려 죽었다는 설도 있다. 이후 왕실 갈등이 벌어져 전지왕 즉위까지 섭정을 맡았던 부여훈혜가 부여설례에게 죽었다. 부여설례는 왕을 칭한 뒤 아신왕의 태자 부여전지까지 죽이려고 했으나 여론이 동조하지 않아 귀족들에게 살해당했다.
|
섭정
| -
| 훈해
| 405년
| 섭정
|
찬탈
| -
| 설례
| 405년
| 찬탈(비정통)
|
18대
| 전지왕(腆支王)
| 전지
| 405년 ~ 420년
| 직지(直支), 영(映), 진지(眞攴)
|
19대
| 구이신왕(久爾辛王)
| 구이신
| 420년 ~ 427년
| 살해 추정
|
20대
| 비유왕(毗有王)
| 비유
| 427년 ~ 455년
| 살해 추정
|
21대
| 개로왕(蓋鹵王)
| 경사
| 455년 ~ 475년
| 개로(蓋鹵), 개루(蓋婁), 개로(盖盧), 경(慶), 가수리(加須利) / 근개루왕(近蓋婁王) / 패전 후 살해
|
'''<<웅진백제 시대>>''' 475년 ~ 538년 (63년)
|
22대
| 문주왕(文周王)
| 문주
| 475년 ~ 477년
| 문주(汶洲), 문명(文明), 모도(牟都)(?)[14] 이병도는 모도는 동성왕의 이름인 모대의 다른 표기이며 문주왕과 혼동된 것이라 하였다. , 도(都)(?)[15] / 암살
|
23대
| 삼근왕(三斤王)
| 삼근
| 477년 ~ 479년
| 임걸(壬乞), 삼걸(三乞), 문근(文斤) / 살해 추정
|
24대
| 동성왕(東城王)
| 모대
| 479년 ~ 501년
| 마모(摩牟), 대(大), 마제(麻帝), 모도(牟都)(?)[16] 이병도는 모도는 동성왕의 이름인 모대의 다른 표기이며 문주왕과 혼동된 것이라 하였다. , 도(都)(?)[17], 말다(末多) / 모대왕(牟大王) / 암살
|
25대
| 무령왕(武寧王)
| 사마
| 501년 ~ 523년
| 사마(斯摩), 융(隆), 세마(嶋) / 사마왕(斯麻王)
|
'''<<사비남부여 시대>>'''[18] 538년 ~ 639년 (101년)
|
26대
| 성왕(聖王)
| 명농
| 523년 ~ 554년
| 명(明) / 성명왕(聖明王), 명왕(明王) / 패전 후 살해
|
27대
| 위덕왕(威德王)
| 창
| 554년 ~ 598년[19] 재위 45년. 향년 일흔넷. 연도 추정과 생몰년이 확실한 백제왕 가운데는 가장 장수했다.
| 창왕(昌王)
|
28대
| 혜왕(惠王)
| 계
| 598년 ~ 599년
| 암살 혹은 단명 추정
|
29대
| 법왕(法王)
| 선
| 599년 ~ 600년
| 효순(孝順) / 암살 혹은 단명 추정
|
'''<<금마저남부여 시대>>'''[20] 639년 ~ 660년 (21년)
|
-
| 진이왕(辰爾王)
| 관
| ?~?
| 진이(辰爾) / 무왕의 생부로 거론됨, 정체불명.
|
30대
| 무왕(武王)
| 장
| 600년 ~ 641년
| 무강왕(武康王)
|
31대
| 의자왕(義慈王)
| 의자
| 641년 ~ 660년
| 마지막 왕. 당나라로 압송, 병사
|
'''<<부흥 운동 시기>>''' 660년 ~ 663년 (3년)
|
참칭
| -
| 태
| 660년
| 참칭 정식 국왕으로 보지 않음.
|
| 풍왕(豐王)
| 풍
| 660년 ~ 663년
| 풍장(豊璋), 규해(糺解) / 풍장왕(豊障王) / 부흥운동 옹립
|
'''<신라 상고>'''
|
'''박씨 이사금조''' : 221년[21] 어디까지나 삼국사기 기록상이다. 고고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연대가 현대에는 전부 허구까지는 아니라도 다소 부정확하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혁거세왕의 정확한 즉위년은 무상에 가깝다.
|
순서
| 왕호
| 재위 기간
| 휘
| 비고
|
1대
|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 기원전 57년 ~ 기원후 4년 (61년)
| 박혁거세
| [image] 최초의 박씨 군주.
|
2대
| 남해 차차웅(南解)
| 4년 ~ 24년 (21년)
| 박남해
|
|
3대
| 유리 이사금(儒理)
| 24년 ~ 57년 (33년)
| 박유리
|
|
4대
| 탈해 이사금(脫解)
| 57년 ~ 80년 (24년)
| 석탈해
| 최초의 석씨 이사금.
|
5대
| 파사 이사금(婆娑)
| 80년 ~ 112년 (33년)
| 박파사
|
|
6대
| 지마 이사금(祇摩)
| 112년 ~ 134년 (22년)
| 박지마
|
|
7대
| 일성 이사금(逸聖)
| 134년 ~ 154년 (21년)
| 박일성
|
|
8대
| 아달라 이사금(阿達羅)
| 154년 ~ 184년 (30년)
| 박아달라
| 마지막 박씨 이사금.
|
'''석씨 이사금조''' : 194년
|
9대
| 벌휴 이사금(伐休)
| 184년 ~ 196년 (12년)
| 석벌휴
|
|
10대
| 내해 이사금(奈解)
| 196년 ~ 230년 (34년)
| 석내해
|
|
11대
| 조분 이사금(助賁)
| 230년 ~ 247년 (17년)
| 석조분
|
|
12대
| 첨해 이사금(沾解)
| 247년 ~ 262년 (14년)
| 석첨해
|
|
13대
| 미추 이사금(味鄒)
| 262년 ~ 283년 (22년)
| 김미추
| 최초의 김씨 군주.
|
14대
| 유례 이사금(儒禮)
| 283년 ~ 298년 (12년)
| 석유례
|
|
15대
| 기림 이사금(基臨)
| 298년 ~ 310년 (12년)
| 석기림
|
|
16대
| 흘해 이사금(訖解)
| 310년 ~ 356년 (47년)
| 석흘해
| 마지막 석씨 이사금.[22]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주요 가문으로 존속했고 짧게나마 왕조가 부활하기도 한 박씨와 달리 석씨는 사실상 몰락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 유명인은 찾아보기 어렵고 인구도 석(石)씨에게 밀린다.
|
'''김씨 마립간조''' : 147년
|
17대
| 내물 마립간(奈勿)
| 356년 ~ 402년 (47년)
| 김내물
| 삼국유사에는 마립간, 삼국사기에는 이사금으로 기록됨.
|
18대
| 실성 마립간(實聖)
| 402년 ~ 417년 (16년)
| 김실성
| "
|
19대
| 눌지 마립간(訥祗)
| 417년 ~ 458년 (41년)
| 김눌지
|
|
20대
| 자비 마립간(慈悲)
| 458년 ~ 479년 (21년)
| 김자비
|
|
21대
| 소지 마립간(炤知)
| 479년 ~ 500년 (21년)
| 김비처
| 원 이두는 비처(毗處) 마립간. 소지는 고친 것이다.
|
22대
| 지증왕(智證)
| 500년 ~ 514년 (14년)
| 김지대로
| 초기에는 지증 마립간이었다가 503년부터 국왕 칭호 사용
|
'''<신라 중고>'''
|
'''성골 왕조''' : 144년
|
23대
| 법흥왕(法興)
| 514년 ~ 540년 (36년)
| 김원종[23]
| 봉평신라비에서는 매금왕(寐錦王), 천전리서석에서는 태왕(太王) / 대왕(大王)으로 호칭.
|
24대
| 진흥왕(眞興)
| 540년 ~ 576년 (36년)
| 김삼맥종
|
|
25대
| 진지왕(眞智)
| 576년 ~ 579년 (4년)
| 김사륜
| 진골 출신.
|
26대
| 진평왕(眞平)
| 579년 ~ 632년 (54년)
| 김백정
|
|
27대
| 선덕여왕(善德)
| 632년 ~ 647년 (15년)
| 김덕만
| [image] 삼국사기에는 선덕왕으로 기록됨.
|
28대
| 진덕여왕(眞德)
| 647년 ~ 654년 (8년)
| 김승만
| 삼국사기에는 진덕왕으로 기록됨.
|
'''<신라 중대>''' '''통일 신라 시대''' 개막
|
'''무열왕계 왕조'''(136년)
|
29대
| 무열왕(武烈)
| 654년 ~ 661년 (8년)
| 김춘추
| [image] '''묘호 태종(太宗)''' 삼국사기 기록중 유일하게 묘호가 기록됨.[24] 신라시대 금석문에서는 태조 성한왕이 확인 되기에 이를 포함하면 둘뿐이다.
|
30대
| 문무왕(文武)
| 661년 ~ 681년 (21년)
| 김법민
| [image] <문호왕 / 文虎王>
|
31대
| 신문왕(神文)
| 681년 ~ 692년 (12년)
| 김정명
|
|
32대
| 효소왕(孝昭)
| 692년 ~ 702년 (10년)
| 김이홍
|
|
33대
| 성덕왕(聖德)
| 702년 ~ 737년 (36년)
| 김흥광[25] 원래 이름은 융기였으나 우연히 당나라 황제와 이름이 같아 흥광으로 바꾸었다.
|
|
34대
| 효성왕(孝成)
| 737년 ~ 742년 (5년)
| 김승경
|
|
35대
| 경덕왕(景德)
| 742년 ~ 765년 (23년)
| 김헌영
|
|
36대
| 혜공왕(惠恭)
| 765년 ~ 780년 (16년)
| 김건운
|
|
37대
| 선덕왕(宣德)
| 780년 ~ 785년 (6년)
| 김양상
| 선덕여왕과는 한자가 다름. 내물왕 10대손.[26] 성덕왕의 외손자라서 모계로 무열왕 직계 혈통을 잇고 있다. 애매한 위치에 있는 왕인데 일반적으로 중대와 하대의 과도기에 있는 국왕으로 본다.
|
'''<신라 하대>'''
|
'''내물왕계 왕조'''(107년)
|
38대
| 원성왕(元聖)
| 785년 ~ 799년 (13년 353일)
| 김경신
| '''묘호 열조(烈祖)''' [27]
|
39대
| 소성왕(昭聖)
| 799년 ~ 800년 (2년)
| 김준옹
|
|
40대
| 애장왕(哀莊)
| 800년 ~ 809년 (10년)
| 김중희[28] 원래 이름은 청명이었으나 왕위에 오른 후 바꿨다.
|
|
41대
| 헌덕왕(憲德)
| 809년 ~ 826년 (18년)
| 김언승
|
|
42대
| 흥덕왕(興德)
| 826년 ~ 836년 (11년)
| 김경휘[29] 원래 이름은 수종이었으나 후에 경휘로 바꾸었다고 한다.
|
|
43대
| 희강왕(僖康)
| 836년 ~ 838년 (3년)
| 김제륭
|
|
44대
| 민애왕(閔哀)
| 838년 ~ 839년 (2년)
| 김명
|
|
45대
| 신무왕(神武)
| 839년 (181일)
| 김우징
|
|
46대
| 문성왕(文聖)
| 839년 ~ 857년 (19년)
| 김경응
|
|
47대
| 헌안왕(憲安)
| 857년 ~ 861년 (4년)
| 김의정
|
|
48대
| 경문왕(景文)
| 861년 ~ 875년 (14년 181일)
| 김응렴
|
|
49대
| 헌강왕(憲康)
| 875년 ~ 886년 (11년)
| 김정
|
|
50대
| 정강왕(定康)
| 886년 ~ 887년 (365)
| 김황
|
|
51대
| 진성여왕(眞聖)
| 887년 ~ 897년 (10년 154일)
| 김만
| 삼국사기에는 진성왕으로 기록됨.
|
'''후삼국시대'''(43년)
|
52대
| 효공왕(孝恭)
| 897년 ~ 912년 (15년 11개월)
| 김요
|
|
53대
| 신덕왕(神德)
| 912년 ~ 917년 (6년)
| 박경휘
| 728년만의 박씨 왕.
|
54대
| 경명왕(景明)
| 917년 ~ 924년 (8년)
| 박승영
|
|
55대
| 경애왕(景哀)
| 924년 ~ 927년 (4년)
| 박위응
| 마지막 박씨 왕.
|
56대
| 경순왕(敬順)
| 927년 ~ 935년 (9년)
| 김부
| [image] 마지막 김씨 왕.
|
대수
| 묘호/칭호
| 시호
| 휘(이름)
| 재위 기간
| 능호
|
01
| 태조 (太祖)
| 응운원명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신성대왕 (應運元明光烈大定睿德章孝威穆神聖大王)
| 왕건(王建)
| 918년 6월 15일 ~ 943년 5월 29일
| 현릉(顯陵)
|
02
| 혜종 (惠宗)
| 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 (仁德明孝宣顯義恭大王)
| 왕무(王武)
| 943년 5월 30일 ~ 945년 9월 15일
| 순릉(順陵)
|
03
| 정종 (定宗)
| 지덕장경정숙문명대왕 (至德章敬正肅文明大王)
| 왕요(王堯)
| 945년 9월 15일 ~ 949년 3월 13일
| 안릉(安陵)
|
04
| 광종 (光宗)
| 홍도선열평세대성대왕 (弘道宣烈平世大成大王)
| 왕소(王昭)
| 949년 3월 13일 ~ 975년 5월 23일
| 헌릉(憲陵)
|
05
| 경종 (景宗)
| 지인성목명혜헌화대왕 (至仁成穆明惠獻和大王)
| 왕주(王胄)
| 975년 5월 13일 ~ 981년 7월 11일
| 영릉(榮陵)
|
06
| 성종 (成宗)
| 강위장헌문의대왕 (康威章憲文懿大王)
| 왕치(王治)
| 981년 7월 12일 ~ 997년 10월 27일
| 강릉(康陵)
|
07
| 목종 (穆宗)
| 정공극영위혜효사선양대왕 (靖恭克英威惠孝思宣讓大王)
| 왕송(王誦)
| 997년 10월 27일 ~1009년 2월 3일
| 의릉(義陵)
|
08
| 현종 (顯宗)
| 달사덕위대효원문대왕 (達思德威大孝元文大王)
| 왕순(王詢)
| 1009년 2월 3일 ~ 1031년 5월 23일
| 선릉(宣陵)
|
09
| 덕종 (德宗)
| 광장강명선효경강대왕 (光莊剛明宣孝敬康大王)
| 왕흠(王欽)
| 1031년 5월 23일 ~ 1034년 9월 17일
| 숙릉(肅陵)
|
10
| 정종 (靖宗)
| 홍효안의강헌용혜대왕 (弘孝安毅康獻容惠大王)
| 왕형(王亨)
| 1034년 9월 17일 ~ 1046년 5월 18일
| 주릉(周陵)
|
11
| 문종 (文宗)
| 장성인효대왕 (章聖仁孝大王)
| 왕휘(王徽)
| 1046년 5월 18일 ~ 1083년 7월 18일
| 경릉(景陵)
|
12
| 순종 (順宗)
| 정헌영명선혜대왕 (靖憲英明宣惠大王)
| 왕훈(王勳)
| 1083년 7월 18일 ~ 1083년 10월 23일
| 성릉(成陵)
|
13
| 선종 (宣宗)
| 안성사효대왕 (安成思孝大王)
| 왕운(王運)
| 1083년 10월 24일 ~ 1094년 5월 2일
| 인릉(仁陵)
|
14
| 헌종 (獻宗)
| 정비공상대왕 (定比恭殤大王)
| 왕욱(王昱)
| 1094년 5월 2일 ~ 1095년 10월 7일
| 온릉(穩陵)
|
15
| 숙종 (肅宗)
| 강정문혜명효대왕 (康正文惠明孝大王)
| 왕옹(王顒)
| 1095년 10월 8일 ~ 1105년 10월 2일
| 영릉(英陵)
|
16
| 예종 (睿宗)
| 제순명렬문효대왕 (齊順明烈文孝大王)
| 왕우(王俁)
| 1105년 10월 2일 ~ 1122년 4월 6일
| 유릉(裕陵)
|
17
| 인종 (仁宗)
| 극안공효대왕 (克安恭孝大王)
| 왕해(王楷)
| 1122년 4월 6일 ~ 1146년 2월 28일
| 장릉(長陵)
|
18
| 의종 (毅宗)
| 강과장효대왕 (剛果莊孝大王)
| 왕현(王晛)
| 1146년 2월 28일 ~ 1170년 9월 기묘일
| 희릉(禧陵)
|
19
| 명종 (明宗)
| 황명광효대왕 (皇明光孝大王)
| 왕호(王晧)
| 1170년 9월 기묘일 ~ 1197년 9월 계해일
| 지릉(智陵)
|
20
| 신종 (神宗)
| 경공정효대왕 (敬恭靖孝大王)
| 왕탁(王晫)
| 1197년 9월 계해일 ~ 1204년 1월 13일
| 양릉(陽陵 )
|
21
| 희종 (熙宗)
| 인목성효대왕 (仁穆誠孝大王)
| 왕영(王韺)
| 1204년 정월 가사일 ~ 1211년 12월 계묘일
| 석릉(碩陵)
|
22
| 강종 (康宗)
| 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 (浚哲文烈亶聰明憲貽謀穆清元孝大王)
| 왕오(王祦)
| 1211년 정월 기사일 ~ 1213년 8월 9일
| 후릉(厚陵)
|
23
| 고종 (高宗)
| 안효대왕(安孝大王) 충헌왕(忠獻王)[A]
| 왕철(王㬚)
| 1213년 8월 무인일 ~ 1259년 6월 30일
| 홍릉(洪陵)
|
24
| 원종 (元宗)
| 순효대왕(順孝大王) 충경왕(忠敬王)[A]
| 왕정(王禎)
| 1259년 6월 임인일 ~ 1274년 6월 18일 1269년 11일 ~ 1269년 6월 21일
| 소릉(昭陵)
|
임시
| - ,<영종(英宗)>,
| 미상
| 왕창(王淐)
| 1269년 6월 21일 ~ 1269년 11월
| -
|
복위
| 원종 (元宗)
| 순효대왕(順孝大王) 충경왕(忠敬王)[A]
| 왕정(王禎)
| 1269년 11월 ~ 1274년 6월 18일 1269년 11일 ~ 1274년 6월 18일
| 소릉(昭陵)
|
25
| 충렬왕
| 경효대왕(景孝大王)[C] 공민왕 6년에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충렬왕(忠烈王)[B]
| 왕거(王昛)
| 1274년 6월 계해일 ~ 1298년 1월 갑진일 1298년 8월 임신일 ~ 1308년 7월 갑인일
| 경릉(慶陵)
|
26
| 충선왕
| 헌효대왕(憲孝大王)[C] 공민왕 6년에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충선왕(忠宣王)[B]
| 왕장(王璋) [32]
| 1298년 1월 병오일 ~ 1298년 8월 임신일 1308년 8월 갑인일 ~ 1313년 3월 갑인일
| 덕릉(德陵)
|
27
| 충숙왕
| 의효대왕(懿孝大王)[C] 공민왕 6년에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충숙왕(忠肅王)[B]
| 왕만(王卍) [33]
| 1313년 3월 갑인일 ~ 1330년 7월 갑자일 1332년 2월 갑자일 ~ 1339년 3월 계미일
| 의릉(毅陵)
|
28
| 충혜왕
| 헌효대왕(獻孝大王)[C] 공민왕 6년에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충혜왕(忠惠王)[B]
| 왕정(王禎) [34]
| 1330년 2월 초하루 임오일~1332 2월 갑자일 1339년 3월 계미일~1343년 12월 계축일
| 영릉(永陵)
|
29
| 충목왕
| 현효대왕(顯孝大王)[C] 공민왕 6년에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충목왕(忠穆王)[B]
| 왕흔(王昕) [35]
| 1344년 2월 정미일 ~ 1348년 12월 5일
| 명릉(明陵)
|
30
| 충정왕
| 충정왕(忠定王)[36]
| 왕저(王胝) [37]
| 1348년 12월 ~ 1351년 10월 임오일
| 총릉(聰陵)
|
31
| 공민왕
|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 (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38] 고려서 독자적으로 추시된 고려 국왕으로서의 시호. 공민왕(恭愍王)[39]
| 왕전(王顓) [40]
| 1351년 10월 ~ 1374년
| 현릉(玄陵)
|
32
| 우왕
| - ,<여흥왕(驪興王)>,[41] 우왕이 유배된 지역을 따서 불려진 사시(私諡).
| 왕우(王禑)[42] 조선이 편찬한 <고려사>에는 '신우', 창왕 또한 '신창'이라고 표기 되어 열전의 끄트머리 '''반역조'''에 들어가 있는데 이는 이성계 일파가 우왕과 창왕이 신돈 아들이라고 우겼기 때문이었다. 물론 지금은 이러한 주장을 이성계의 왕위 찬탈을 정당화하기 위한 조작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단 현전하는 자료만 놓고 봐서는 진위 여부를 따지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조선 당시에도 이러한 공식 사관에 대해서 불만을 가진 선비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는 성호 이익이 <성호사설>에서 우, 창왕을 반역 열전에 수록한 <고려사> 찬자들을 비판한 바 있고, 안정복은 이러한 스승의 뜻을 받들어 자신이 저술한 역사서 <동사강목>에서 우, 창왕대를 각각 '폐왕 우', '폐왕 창'이라는 편명으로 다루며 임금 취급을 해줬다.
| 1374년 9월 병술일 ~ 1389년 6월 경술일
| -
|
33
| 창왕
| - ,<윤왕(允王)>,[43]
| 왕창(王昌)
| 1388년 6월 ~ 1389년 11월 무인일
| -
|
34
| 공양왕
| 공양왕(恭讓王)[44]
| 왕요(王瑤)
| 1389년 11월 ~ 1392년 7월 17일
| 고릉(高陵)
|
'''순서'''
| '''묘호'''
| '''시호'''
| '''휘(이름)'''
| '''재위 기간'''
| '''생몰년도'''
| '''능호'''
| '''비고'''
|
01
| 태조
| 지인계운응천조통광훈영명성문신무정의광덕고황제 (至仁啓運應天肇統廣勳永命聖文神武正義光德高皇帝) [D][E]
| 이성계 (李成桂)
| 1392년 8월 4일 1398년 10월 14일
| 1335년 11월 4일 1408년 6월 18일
| 건원릉 (健元陵)
| [image]
|
이단 (李旦)[45] 피휘 때문에 지은 이름이며, 본명은 우리가 잘 알다시피 '성계(成桂)'였다.
|
02
| 정종
| 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 (懿文莊武溫仁順孝大王) 공정왕(恭靖王)[D]
| 이방과 (李芳果)
| 1398년 9월 5일 1400년 11월 28일
| 1357년 7월 26일 1419년 10월 15일
| 후릉 (厚陵)
| 영안공 영안대군
|
이경 (李曔)[46] 피휘 때문에 지은 이름이며, 본명은 '방과(芳果)'였다.
|
03
| 태종
| 성덕신공[F]건천체극대정계우문무예철성렬광효대왕 (聖德神功建天體極大正啓佑文武睿哲成烈光孝大王) 공정왕(恭定王)[D]
| 이방원 (李芳遠)
| 1400년 11월 28일 1418년 9월 9일
| 1367년 6월 21일 1422년 6월 11일
| 헌릉 (獻陵)
| [image] 정안공 정안군
|
04
| 세종
|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장헌왕(莊憲王)[D]
| 이도 (李祹)
| 1418년 9월 9일 1450년 3월 30일
| 1397년 5월 7일 1450년 3월 30일
| 영릉 (英陵)
| [image] 충녕대군
|
05
| 문종
| 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 (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 공순왕(恭順王)[D]
| 이향 (李珦)
| 1450년 3월 30일 1452년 6월 1일
| 1414년 11월 15일 1452년 6월 1일
| 현릉 (顯陵)
|
|
06
| 단종
| 공의온문[F]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郭孝大王)
| 이홍위 (李弘暐)[47] 증조부인 태종 이방원과 더불어 훙서 시점까지 둘뿐인 2자 이름을 가진 왕. 실록에 따르면, 단종이 태어나기 전, 이미 문종의 두 아들이 어린 나이에 요절했기에 오래 살라는 의미로 세종이 2자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1452년 6월 1일 1455년 6월 25일
| 1441년 8월 9일 1458년 1월 9일
| 장릉 (莊陵)
| [image] 노산군 노산대군
|
07
| 세조
| 승천체도열문영무[F]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대왕 (承天體道烈文英武至德隆功聖神明睿欽肅仁孝大王) 혜장왕(惠莊王)[D]
| 이유 (李瑈)
| 1455년 6월25일 1468년 9월 22일
| 1417년 11월 2일 1468년 9월 23일
| 광릉 (光陵)
| [image] 진평대군 함평대군 진양대군 수양대군
|
08
| 예종
| 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 (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양도왕(襄悼王)[D]
| 이황 (李晄)
| 1468년 9월 22일 1469년 12월 31일
| 1450년 1월 14일 1469년 12월 31일
| 창릉 (昌陵)
| 해양대군
|
09
| 성종
| 인문헌무흠성공효대왕 (仁文憲武欽聖恭孝大王) 강정왕(康靖王)[D]
| 이혈 (李娎)
| 1469년 11월 28일 1494년 12월 24일
| 1457년 8월 19일 1495년 1월 20일
| 선릉#s-2 (宣陵)
| [image] 잘산군 자을산군
|
10
| -
| [F] ''연산군(燕山君)''
| 이융 (李漋)
| 1494년 1506년 9월 2일
| 1476년 11월 22일 1506년 11월 20일
| 연산군묘 (燕山君墓)
| 연산군
|
11
| 중종
| 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 (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 공희왕(恭僖王)[D]
| 이역 (李懌)
| 1506년 9월 2일 1544년 11월 15일
| 1488년 4월 16일 1544년 11월 29일
| 정릉 (靖陵)
| 진성대군
|
12
| 인종
| 헌문의무장숙흠효대왕[榮靖獻文懿武章肅欽孝大王) 영정왕(榮靖王)[D]
| 이호 (李峼)
| 1544년 1545년 8월 7일
| 1515년 3월 10일 1545년 8월 7일
| 효릉 (孝陵)
|
|
13
| 명종
| 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 (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공헌왕(恭憲王)[D]
| 이환 (李峘)
| 1545년 1567년 6월 28일
| 1534년 7월 3일 1567년 8월 7일
| 강릉 (康陵)
| 경원대군
|
14
| 선종
| 정륜립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경명신력홍공융업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 (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景命神曆弘功隆業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 소경왕(昭敬王)[D]
| 이균 (李鈞)
| 1567년 1608년 3월 16일
| 1552년 4월 26일 1608년 3월 16일
| 목릉 (穆陵)
| 하성군
|
선조
| 이연 (李昖)
|
15
| -
| [F] ''광해군(光海君)''
| 이혼 (李琿)
| 1608년 3월 16일 1623년 4월 11일
| 1575년 6월 4일 1641년 8월 7일
| 광해군묘 (光海君墓)
| 광해군
|
16
| 열조
| 개천조운정기선덕헌문열무명숙순효대왕 (開天肇運正紀宣德憲文烈武明肅純孝大王) 장목왕(莊穆王)[G]
| 이종 (李倧)
| 1623년 3월 13일 1649년 5월 8일
| 1595년 11월 17일 1649년 5월 8일
| 장릉 (長陵)
| [image] 능양군
|
인조
|
17
| 효종
| 흠천달도광의홍렬선문장무신성현인명의정덕대왕 (欽天達道光毅弘烈宣文章武神聖顯仁明義正德大王) 충선왕(忠宣王)[G]
| 이호 (李淏)
| 1649년 5월 13일 1659년 5월 4일
| 1619년 5월 22일 1659년 5월 4일
| 녕릉 (寧陵)
| 봉림대군
|
18
| 현종
| 소휴연경돈덕수성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 (昭休衍慶敦德綏成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 장각왕(莊恪王)[G]
| 이연 (李棩)
| 1659년 5월 9일 1674년 8월 18일
| 1641년 2월 4일 1674년 8월 18일
| 숭릉 (崇陵)
|
|
19
| 숙종
| 현의광륜예성영렬유모영운홍인준덕배천합도계휴독경정중협극신의대훈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 (僖順顯義光倫睿聖英烈裕謨永運洪仁峻德配天合道啓休篤慶正中恊極神毅大勳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 희순왕(僖順王)[G]
| 이광 (李爌)[48] 본명은 '광(爌)'이었으나 대사헌 조복양이 수양제의 휘(양광)와 음이 같다고 지적해서 공모를 통해 바꿨다고 한다.
| 1674년 8월 23일 1720년 6월 8일
| 1661년 8월 15일 1720년 6월 8일
| 명릉 (明陵)
| [image]
|
이순 (李焞)
|
20
| 경종
| 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 (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 각공왕(恪恭王)[G]
| 이윤 (李昀)
| 1720년 6월 13일 1724년 8월 25일
| 1688년 10월 28일 1724년 8월 25일
| 의릉 (懿陵)
| [image]
|
21
| 영종
| 지행순덕영모의열장의홍륜광인돈희체천건극성공신화대성광운개태기영요명순철건건곤녕배명수통경력홍휴중화융도숙장창훈정문선무희경현효대왕 (至行純德英謨毅烈章義弘倫光仁敦禧體天建極聖功神化大成廣運開泰基永堯明舜哲乾健坤寧配命垂統景曆洪休中和隆道肅莊彰勳正文宣武熙敬顯孝大王) 장순왕(莊順王)[G]
| 이금 (李昑)
| 1724년 8월 30일 1776년 3월 5일
| 1694년 9월13일 1776년 3월 5일
| 원릉 (元陵)
| [image] 연잉군
|
영조
|
22
| 정종
| 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 (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 [G][E]
| 이산(셩) (李祘)
| 1776년 3월 10일 1800년 6월 28일
| 1752년 9월 22일 1800년 6월 28일
| 건릉#s-2 (健陵)
| [image] 선황제
|
정조
|
23
| 순종
| 연덕현도경인순희체성응명흠광석경계천배극융원돈휴의행소륜희화준렬대중지정홍훈철모건시태형창운홍기고명박후강건수정계통수력건공유범문안무정영경성효숙황제 (淵德顯道景仁純禧體聖凝命欽光錫慶繼天配極隆元敦休懿行昭倫熙化峻烈大中至正洪勳哲謨乾始泰亨昌運弘基高明博厚剛健粹精啓統垂曆建功裕範文安武靖英敬成孝肅皇帝) [G][E]
| 이공 (李玜)
| 1800년 7월 4일 1834년 11월 13일
| 1790년 6월 18일 1834년 11월 13일
| 인릉 (仁陵)
| [image] 숙황제
|
순조
|
24
| 헌종
| 체건계극중정광대지성광덕홍운장화경문위무명인철효성황제 (體健繼極中正光大至聖廣德弘運章化經文緯武明仁哲孝成皇帝) [G][E]
| 이환 (李烉)
| 1834년 1849년 6월 6일
| 1827년 7월 18일 1849년 6월 6일
| 경릉 (景陵)
| [image] 성황제
|
25
| 철종
| 희륜정극수덕순성흠명광도돈원창화문현무성헌인영효장황제 (熙倫正極粹德純聖欽明光道敦元彰化文顯武成獻仁英孝章皇帝) [G][E]
| 이원범 (李元範)
| 1849년 6월 9일 1863년 12월 8일
| 1831년 6월 17일 1863년 12월 8일
| 예릉 (睿陵)
| [image] 강화도령 덕완군 장황제
|
이변 (李昪)[49]
|
26
| 고종
| 통천융운조극돈윤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립기지화신렬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 (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
| 이재황 (李載晃)
| 1864년 1월 21일 1907년 7월 20일
| 1852년 9월 8일 1919년 1월 21일
| 홍릉 (洪陵)
| [image] 익성군 태황제 광무제
|
이형 (李㷩)
|
27
| 순종
| 문온무녕돈인성경효황제 (文溫武寧敦仁誠敬孝皇帝)
| 이척 (李坧)
| 1907년 7월 20일 1910년 8월 29일
| 1874년 3월 25일 1926년 4월 25일
| 유릉 (裕陵)
| [image] 효황제 융희제
|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설명'''
|
임시 / 1대 총독
| [image]
| 데라우치 마사타케
| 1910년 8월 29일 ~ 1916년 10월 14일
| 야마구치현 출신. 한국통감부와 총독부가 공존한 시기에 통감으로서 직무 대리함. 이후 기존의 지위에 이어 총독으로 승격, 초대 조선 총독으로서 무단 통치를 실시한다.
|
2대 총독
| [image]
| 하세가와 요시미치
| 1916년 10월 14일 ~ 1919년 8월 12일
| 야마구치현 출신. 3.1 운동을 무력 탄압하는 등 무단 통치로 비판을 받아, 토지 사업을 완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3년만에 교체되었다. 여담으로 한국통감부 당시 통감부의 임시 통감[50]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
3대 총독
| [image]
| 사이토 마코토
| 1919년 8월 12일 ~ 1927년 4월 4일
| 이와테현 출신.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
권한 대행
| [image]
| 우가키 가즈시게
| 1927년 5월 10일 ~ 1927년 9월
| 오카야마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하면서 한국어 시간을 대폭 축소시키는 등 문화 말살정책의 초석을 펼쳤다.
|
4대 총독
| [image]
| 야마나시 한조
| 1927년 12월 ~ 1929년 8월 16일
| 가나가와현 출신. 부패한 '금권 장군'. 조선총독부의옥(朝鮮総督府疑獄) 사건에 관련되어 사임하였다. 일설에는 타이완에서 조명하가 일본 황족(국구) 구니노미야 구니요시[51]를 칼로 찌른 사건의 책임까지 겹쳤다는 말이 있다.
|
5대 총독
| [image]
| 사이토 마코토
| 1929년 8월 17일 ~ 1931년 6월 16일
| 이와테현 출신.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
6대 총독
| [image]
| 우가키 가즈시게
| 1931년 6월 17일 ~ 1936년 8월 4일
| 오카야마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하면서 한국어 시간을 축소시키는 등 문화 말살정책의 초석을 다졌다.
|
7대 총독
| [image]
| 미나미 지로
| 1936년 8월 5일 ~ 1942년 5월 28일
| 오이타현 출신. 내선일체 등을 주장하고, 지원병 제도를 실시해 강제징용으로 조선 청년들을 중일전쟁에 참전시켰으며, 일본어 사용 창씨개명, 신사참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등 민족말살정책을 강행하였다.
|
8대 총독
| [image]
| 고이소 구니아키
| 1942년 5월 29일 ~ 1944년 7월 21일
| 도치기현 출신.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를 실시하였며, 조선 소년소녀들을 하시마와 위안부로 끌려가게 했다. 1944년 도조 히데키가 총리직에서 물러나고 총리가 되었다.
|
9대 총독
| [image]
| 아베 노부유키
| 1944년 7월 22일 ~ 1945년 9월 28일
| 이시카와현 출신. 총리 출신이 총독이 된 경우. 마지막 해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와 인력의 수탈에 총력을 다하였다. 국민 의용대를 편성하여 비협조적인 조선인을 대규모로 탄압, 검거했다. 패전 후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
'''대한민국 대통령'''
|
[image]
|
'''번'''
| '''이름'''
| '''대'''
| '''임기'''
| '''선출 방법'''
| '''정당'''
|
'''취임일'''
| '''퇴임일'''
|
1
| [image] [image] '''이승만''' '''(1875 ~ 1965)'''
| 1
| 1948년 7월 24일[52] 관보 및 초대 대통령 취임 기념 우표, 취임식 일자 기준.
| 1952년 8월 14일
| 1948년 대선 간선 92.3%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 ~ 51) 자유당 (1951 ~ 60)
|
|
2
| 1952년 8월 15일
| 1956년 8월 14일
| 1952년 대선 직선 74.6%
|
3
|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6일
| 1956년 대선 직선 70.0%
|
''허정 외무부 장관이 권한대행 (1960년 4월 27일 ~ 1960년 6월 15일)''
|
''곽상훈 민의원 의장이 권한대행 (1960년 6월 16일 ~ 1960년 6월 22일)''
|
''허정 국무총리가 권한대행 (1960년 6월 23일 ~ 1960년 8월 7일)''
|
''백낙준 참의원 의장이 권한대행 (1960년 8월 8일 ~ 1960년 8월 12일)''
|
2
| [image] [image] '''윤보선''' '''(1897 ~ 1990)'''
| 4
| 1960년 8월 13일
| 1962년 3월 24일
| 1960년 대선 간선 82.2%
| 민주당 (1960) 무소속 (1960 ~ 62)
|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권한대행 (1962년 3월 24일 ~ 1963년 12월 16일)''
|
3
| [image] [image] '''박정희''' '''(1917 ~ 1979)'''
| 5
| 1963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1963년 대선 직선 46.6%
| 민주공화당 (1963 ~ 79)
|
|
6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 1967년 대선 직선 51.4%
|
7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2월 26일
| 1971년 대선 직선 53.2%
|
8
| 1972년 12월 27일
| 1978년 12월 26일
| 1972년 대선 간선 100.0%
|
9
| 1978년 12월 27일
| 1979년 10월 26일
| 1978년 대선 간선 100.0%
|
''최규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 (1979년 10월 26일 ~ 1979년 12월 6일)''
|
4
| [image] [image] '''최규하''' '''(1919 ~ 2006)'''
| 10
| 1979년 12월 6일[53]
| 1980년 8월 16일
| 1979년 대선 간선 100.0%
| 무소속
|
|
''박충훈 국무총리 서리가 권한대행 (1980년 8월 16일 ~ 1980년 8월 27일)''
|
5
| [image] [image] '''전두환''' '''(1931 ~ )'''
| 11
| 1980년 8월 27일[54]
| 1981년 2월 25일
| 1980년 대선 간선 100.0%
| 무소속 (1980 ~ 81) 민주정의당 (1981 ~ 88)
|
|
12
| 1981년 2월 25일[55]
| 1988년 2월 24일
| 1981년 대선 간선 90.2%
|
6
| [image] [image] '''노태우''' '''(1932 ~ )'''
| 13
|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 1987년 대선 직선 36.6%
| 민주정의당 (1988 ~ 90) 민주자유당 (1990 ~ 92) 무소속 (1992 ~ 93)
|
|
7
| [image] [image] '''김영삼''' '''(1927 ~ 2015)'''
| 14
|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1992년 대선 직선 42.0%
| 민주자유당 (1993 ~ 95) 신한국당 (1995 ~ 97) 무소속 (1997 ~ 98)
|
|
8
| [image] [image] '''김대중''' '''(1924 ~ 2009)'''
| 15
|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 1997년 대선 직선 40.3%
| 새정치국민회의 (1998 ~ 00) 새천년민주당 (2000 ~ 02) 무소속 (2002 ~ 03)
|
|
9
| [image] [image] '''노무현''' '''(1946 ~ 2009)'''
| 16
| 2003년 2월 25일
| 2004년 3월 12일 (직무정지)
| 2002년 대선 직선 48.9%
| 새천년민주당 (2003) 무소속 (2003 ~ 04)
|
|
''고건 국무총리가 직무정지 기간동안 권한대행 (2004년 3월 12일 ~ 2004년 5월 14일)''
|
2004년 5월 14일
| 2008년 2월 25일
| 탄핵소추 기각
| 무소속 (2004) 열린우리당 (2004 ~ 07) 무소속 (2007 ~ 2008)
|
|
10
| [image] [image] '''이명박''' '''(1941 ~ )'''
| 17
| 2008년 2월 25일
| 2013년 2월 24일
| 2007년 대선 직선 48.7%
| 한나라당 (2008 ~ 12) 새누리당 (2012 ~ 13)
|
|
11
| [image] [image] '''박근혜''' '''(1952 ~ )'''
| 18
| 2013년 2월 25일
| 2016년 12월 9일 (직무정지)
| 2012년 대선 직선 51.6%
| 새누리당 (2013 ~ 17) 자유한국당 (2017)
|
|
2017년 3월 10일 (인용→파면)
|
''황교안 국무총리가 직무정지 기간동안 권한대행 (2016년 12월 9일 ~ 2017년 3월 10일)''
|
''황교안 국무총리가 권한대행 (2017년 3월 10일 ~ 2017년 5월 10일)''
|
12
| [image] [image] '''문재인''' '''(1953 ~ )'''
| 19
| 2017년 5월 10일
| ''(현직)''
| 2017년 대선 직선 41.1%
| 더불어민주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