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인터넷 용어)/국내

 



1. 개요
2. 1990년대
2.1. 1996년
2.2. 1997년
2.3. 1998년
2.4. 1999년
3. 2000년대
3.1. 2000년
3.2. 2001년
3.3. 2002년
3.4. 2003년
3.5. 2004년
3.6. 2005년
3.7. 2006년
3.8. 2007년
3.9. 2008년
3.10. 2009년
4. 2010년대
4.1. 2010년
4.2. 2011년
4.3. 2012년
4.4. 2013년
4.5. 2014년
4.6. 2015년
4.7. 2016년
4.8. 2017년
4.9. 2018년
4.10. 2019년
5. 2020년대
5.1. 2020년
5.2. 2021년


1. 개요


이 문서는 국내에서 유행했었던 국내발 밈, 외국발 밈의 모든 것과, 인터넷상이나 현실에서 유행했었던 사회적, 문화적 현상 또는 유행어를 년도별로 기술하는 문서이다. 년도별 기술 조건은, 그 현상이 오래전부터 쓰이기 시작했지만 대중적인 인지도가 없이 특정 커뮤니티 내부에서만 쓰였을 때가 아닌,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년도를 기술한다. 그리고 특정 커뮤니티 내에서만 유행하다가 대중적으로 퍼지기 전에 사그라든 현상은 기술하지 않는다.

2. 1990년대



2.1. 1996년



2.2. 1997년



2.3. 1998년



2.4. 1999년



3. 2000년대



3.1. 2000년



3.2. 2001년



3.3. 2002년



3.4. 2003년



3.5. 2004년



3.6. 2005년



3.7. 2006년



3.8. 2007년



3.9. 2008년



3.10. 2009년



4. 2010년대



4.1. 2010년



4.2. 2011년



4.3. 2012년



4.4. 2013년



4.5. 2014년



4.6. 2015년



4.7. 2016년



4.8. 2017년



4.9. 2018년



4.10. 2019년



5. 2020년대



5.1.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자택근무가 일상이 되었다보니 다른년도에 비해 매우 많은 인터넷 밈들이 탄생&발굴 되었다.
  • 관짝소년단
  • - 1일 1깡, 꾸러기 표정
  • 나는 개인이오(차이나 게이트) - 차이나게이트의 진위여부와는 무관하게 중국인들을 까는데 사용된다.
  • 나비보벳따우
  • 아임뚜렛
  • 엄준식
  • 너 인성 문제있어? - 자매품으로 '○○은 개인주의야'가 있다.
  • 미안하다 이거 보여주려고 어그로끌었다 - 진짜 세계관 최강자들의 싸움이다.. 같은 멘트와 쓰인다. 글 자체는 2019년부터 쓰이기 시작됐지만 널리 퍼진 것은 2020년 3월.
  • ㄹㅇㅋㅋ
  • 안전가족
  • ㅋㅋ - 원래 자주 적절한 용도로 사용됐지만, ㄹㅇㅋㅋ밈으로 인해 따로 유행하게 됐다.[1]
  • ㅋㅋ루삥뽕
  • 만희물
  • 빵뚜아 이낫 - 전년도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던 제시 린가드를 뜻하는 은어이다.
  • 삼도수군통제사
  • 원앙시해자
  • 인싸, 아싸 드립 - 패션아싸 등의 단어를 탄생시켰다.
  • 종로물
  • 펀쿨섹좌 - '그것이 약속이니까'와 같은 대사가 대표적이다.
  • K- - 요즘은 억지 밈을 비꼬는 단어로 변질되었다.
  • 한화의 김성근 감독님 사랑해
  • 이왜진
  • 다메다메
  • 애기공룡 둘리 - 도우너 어서오고, 선 넘네..
  • 테스형
  • 루피 - 군침이 싹 도노
  • 이훈이 - 훈발놈
  • 자러감 드립
  • 어몽어스 유행
  • 빅맥송
  • PET THE PEEPO
  • 네~ 설명해드렸습니다
  • 불 좀 꺼줄래?
  • 사쿠란보
  • 닌자 몰살 소설 - 웹소설 작가 '경희'가 갑작스러운 닌자의 살해보다 재밌는 문장을 쓰지 못하면 다시 써야 한다는 격언을 들었지만 그보다 재밌는 게 있을지 엉뚱한 의문의 트윗을 남기면서 시작된 밈이다. 의외로 닌자 몰살이 여러 유명 소설 문장에 응용되자 놀라운 범용성을 자랑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뿜게 한 밈이었다.
  • 세뇌교육
  • 수상할 정도로 돈이 많은 퍼리: 원래 외국 밈이었으나 한국에서 흥해서 수인 짤이 많이 나와 편의상 본 목차에 작성하였다. 바리에이션으로 수상할 정도로 돈이 없는 퍼리, '배트맨이 수상할 정도로 돈이 많은 퍼리'라는 우스갯소리[2] 등이 있다.

5.2. 2021년


[1] 본래 웃는 용도로 사용됐던 'ㅋ'이 글자수로 인해 의미의 변화가 생기자 'ㅋ'처럼 대놓고 무시하는 것보단 덜하지만 'ㅋㅋㅋ' 보단 띠껍다는 느낌으로 주로 비꼬거나 상대방을 무시하는 어투로 이야기 할 때 말 끝에 붙여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2] 일단 퍼슈트의 정의상 배트맨이 수상할 정도로 돈이 많은 퍼리가 맞아서 더욱 웃긴 방향으로 골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