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적 후속작/목록

 


1. 개요
2. 목록
2.1. 게임
2.2. 만화, 라이트노벨, 애니메이션
2.3. 문학
2.4. 영화
2.5. 드라마
2.6. 특촬물
2.7. 방송 프로그램
2.8. 자동차
2.9. 소프트웨어
2.10. 전자제품
2.11. 음악
2.12. 기타


1. 개요


정신적 후속작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

2. 목록


  • 전작 → 정신적 후속작 순서로 작성.
  • 전작과 정신적 후속작의 분야가 다를 경우 정신적 후속작에 해당하는 분야에 맞춰서 문단에 작성.[1]
  • 문서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작가 및 개발자 측에서 공식적인 언급이 있는 경우만 작성할 것.
  • 정식 후속작과 혼동하지 말 것.
  • 새로운 문단 작성을 원할 경우 토론 이용.
  • 반드시 작품에 해당되는 사례만 서술하며, 작품이 아닌 경우는 계승 문서 참조.

2.1. 게임


흥미로운 점은 이와 별개로 시각적인 면에 있어서는 다른 게임의 정신적 계승작으로도 볼 수 있는데, 프로토타입 시리즈 개발에 참여한 전력이 있는 아티스트 일부가 Warframe 개발에 참여하면서 자연스레 인페스티드 팩션 유닛의 디자인 또한 그와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2.2. 만화, 라이트노벨, 애니메이션



2.3. 문학




2.4. 영화


  • 라스트 액션 히어로레디 플레이어 원
  • 러브 레터라스트 레터[29]
  • [30]
  • 살파랑도화선
  • 용형호제 → 차이니즈 조디악
  • [31]
  • 태극기 휘날리며고지전
  • 패왕별희 → 매란방[32]
  • 폴리스 아카데미 → 대두병
  • 마이크로 결사대이너스페이스
  •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발라드 이름없는 사랑 노래
  • 택시 드라이버, 코미디의 왕조커(2019)
  • 인셉션테넷

2.5. 드라마



2.6. 특촬물



2.7. 방송 프로그램


  • 가요톱10뮤직뱅크[38]
  • 가요대행진/여의도 청백전 → 100분 쇼 → 쇼 86 → 쇼! 여러분 → 쇼 특급 → 쇼 토요특급 → 토요대행진[39]
  • 대화가 필요해(개그콘서트)꼰대희
  • 켠김에 왕까지소원의 섬 캐릭 아일랜드같이 할래? GG, 심야의 라이브 배틀, 황혼에서 새벽까지
  • 쇼 비디오 쟈키개그콘서트
  • 웃찾사개그투나잇[40]
  • 김어준의 뉴욕타임스나는 꼼수다김어준의 다스 뵈이다
  •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 이문세 쇼 → 이소라의 프로포즈윤도현의 러브레터 → 이하나의 페퍼민트 → 유희열의 스케치북
  • 리얼스토리 실제상황기막힌 이야기 실제상황
  • 백종원의 3대 천왕백종원의 푸드트럭백종원의 골목식당맛남의 광장
  • 인기가요 베스트 50생방송 음악캠프쇼! 음악중심
  • 시사매거진 2580탐사기획 스트레이트[41]
  • 식신원정대 → 식신로드[42]
  • 준비됐어요1박 2일 시즌 1신서유기[43]
  • 1박 2일 시즌 3친한 예능[44]
  • 히든싱어팬텀싱어
  • 스타 무한도전헝무도 리턴즈[45]
  • 브레인 서바이버대한외국인
  • 게임쇼 즐거운 세상게임쇼 유희낙락
  • 러브하우스 → 렛미홈 → 내 집이 나타났다
  • 박진영의 영재 육성 프로젝트 99% → 슈퍼스타 서바이벌 → K팝 스타더 팬
  • 나는 가수다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46]
  •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X맨을 찾아라
  • 강호동의 천생연분리얼로망스 연애편지천생연분 리턴즈
  • 천하제일외인구단 → 유재석과 감개무량 → 무한도전놀면 뭐하니?
  • 퍼즐 챔피언우리말 겨루기
  • 퍼펙트싱어 VS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 - 사랑의 콜센타
  • MC대격돌여걸 시리즈[47]하이파이브
  • 주간 아이돌아이돌룸[48]
  • 아빠! 어디가?둥지탈출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 금쪽같은 내 새끼
  • 뽀뽀뽀 → 뽀뽀뽀 모두야 놀자 → 뽀뽀뽀 친구친구[49][50]
  • 불멸의 국가대표/패키지로 세계일주 - 뭉쳐야 뜬다뭉쳐야 찬다 - 전설들의 조기축구
  • 오늘밤 김제동더 라이브
  • 켠김에 왕까지켠왕켜놩[51]
  • 탑기어더 그랜드 투어[52]
  • 비정상회담77억의 사랑
  • 연예가 중계연중 라이브
  • 집밥 백선생백파더 : 요리를 멈추지 마!
  • 그림을 그립시다 → 밥 로스의 꿈을 이어갑시다
  • 위기탈출 넘버원재난탈출 생존왕
  • 해피투게더 시리즈컴백홈

2.8. 자동차



2.9. 소프트웨어


  • 넷스케이프모질라 파이어폭스
  • 오페라비발디
  • 오픈오피스리브레오피스
  • 포포루SupARC[53]
  • CyanogenModLineage OS
  • GGPO파이트케이드
  • MySQLMariaDB
  • MeeGoSailfish OS
  • NeXTSTEPMac OS X(현 macOS)[54]

2.10. 전자제품


  • 게임보이원더스완[55]
  • 드림캐스트Xbox
  • 넥스트비트 로빈Razer Phone[56]
  • Wii, Wii U, 닌텐도 3DS, PS Vita[57]Nintendo Switch
  • 슈퍼 패미컴 & 메가 CDPS
  • 갤럭시 A8갤럭시 A8(2016)갤럭시 A7(2017)갤럭시 A8 Star갤럭시 A80갤럭시 A 퀀텀[58]
  • 갤럭시 J7갤럭시 J7(2016)갤럭시 J7(2017)갤럭시 Jean갤럭시 Jean2[59]
  • 갤럭시 J3(2017)갤럭시 J6[60]
  • Newton MessagePadiPhone, iPad
  • iPhone 5ciPhone XRiPhone 11iPhone 12, iPhone 12 mini
  • iPod nano 6세대[61]Apple Watch
  • 갤럭시 J갤럭시 Feel갤럭시 Feel2[62]

2.11. 음악



2.12. 기타



[1] 예) 철완 아톰록맨 시리즈의 경우 전작은 애니메이션이나 정신적 후속작이 게임인 경우이므로 게임 문단에 작성.[2] 다만 더블 드래곤 3에서 악명높았던 현질 강화 아이템 체계가 도입되어서 마냥 기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3] 상대방을 손발이나 각종 도구로 폭행할수있는게 특징인 액션 오토바이 레이싱 시리즈.[4] 로스트 웨폰의 중국 서비스판.[5] 정작 여전히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의 상표권을 가진 아타리는 롤러코스터 타이쿤이라는 시리즈 명칭을 붙이는 것 자체가 수치인 망작들을 계속 만들어내며 삽질만을 반복하고 있다. 때문에 수많은 롤러코스터 타이쿤 게이머들은 플래닛 코스터를 정신적 후속작으로 보며 기대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롤러코스터 타이쿤 관련 카페들도 대부분 이쪽으로 갈아타는 중. 게다가 프론티어와 아타리 간의 로열티 소송으로 인해 스팀에서 롤러코스터 타이쿤 3 구매가 막혀 버렸다.[6] 원래 아톰 게임을 만들려다가 도중에 무산되어서 컨셉이 바뀐게 록맨 1의 시초다.[7] 다만 미션 크래프트는 블리자드의 허락을 받지 않고 스타크래프트의 요소를 무단 도용한 게임이다. 그러나 길 잃은 바이킹은 스타크래프트의 정식 후속작에 수록된 미니게임이라는 것이 차이.[8] 원래는 게임큐브로 발매 될 예정이었으나 게임큐브 콘솔 자체가 성적이 부진했기 때문에 결국 갈아엎어졌다.[9] 이 내용은 시스템 쇼크 시리즈 문서에도 있다.[10] 웃기게도 정작 해당 시연 영상은 실제 게임 플레이가 아닌 조작된 것이었다.[11] 정작 이 병폐의 원흉들은 "Jurassic Park Genesis"라는 제목으로 돌아와 다시 개발을 시작하였다! 해당 개발진은 프리히스토릭 킹덤이 거짓말을 한다고 주장한다.[12] 무인편 한정. 다만 Mk2까지는 콜라보 RPG의 흔적이 어느 정도 남아있었고 3번째 작품인 V를 기점으로 완전히 별개의 시리즈로 거듭나게 되었다.[13] 총 프로듀서인 '브라이언 파고'에 각본가 '제이슨 엔더슨', 음악 부문 '마크 모건'[14] 팔콤에서 1986년에 출시한 어드벤처게임이다.[15] 파랜드 스토리 3 이후로 TGL을 대표해왔던 일러스트레이터 야마모토 카즈에를 비롯 일부 파택 제작진이 -1998년 독립하여 스튜디오 에고라는 성인게임 회사를 새로 차렸는데 이 회사의 전연령 브랜드인 바로크에서 엘레멘탈 아츠를 1999년 출시하면서 당시 파랜드 사가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밀어주었다. 참고로 국내판 파이널 택틱스로는 1 한정. 2는 바로크(이때 이미 실적부진으로 해체되어 성인용 브랜드 에고에만 집중)나 야마모토와는 하등 상관없다. 한편 기존의 파택 제작진이 빠져나간 상태로 TGL은 새로운 파랜드 시리즈인 파랜드 오딧세이(국내판 파랜드 택틱스 3, 4)를 내놓지만 기존의 SRPG에서 일반RPG에 가깝게 시스템이 바뀌었고 흥행은 전작들만 못했다.[16] 1999년 조이맥스에서 개발된 RTS 게임[17] 개발진이 폴뉴베 개발진이기 때문에, 좁게 보면 폴아웃: 뉴 베가스의 정신적 후속작이라고도 볼수 있다.[18] 카오스 모드(전면터치방식 모드) 한정.[19] 제작진이 겟타로보 사가의 완성을 목표로 만들었다고 한다. 감독이 과거에 겟타로보의 작가인 이시카와 켄과 겟타로보를 작업했던 인물이라서 그런 듯. "이시카와 켄의 못따한 꿈을 이루겠다"고 말했다고 한다.[20] 비록 애초에 건담 시리즈에 해당되지 않으나 제작진들이 건담W 제작진들과 동일하다.[21] 우주인의 등장 등으로 논란이 있지만, 지성체간의 대립과 반목을 비판하고 범우주적인 소통과 조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정신적 후속작이라고 할 만하다.[22] 유사한 애니 작화풍, 원작과 달리 킹레코드의 입김에 좌우된 성우진 등[23] 로코 스토리의 제작진 중 한 명이 스폰지밥의 창시자 스티븐 힐렌버그이며, 스폰지밥은 시즌4 이후부터 렌과 스팀피 제작진들이 스폰지밥 제작진으로 편입되기 시작했다.[24] 작가가 스스로 마브러브 얼터너티브의 표절이라고 뜬금없이 시인했다.(...) 뉘앙스를 보면 오마주에 가깝지만.[25] 각본가와 일부 제작진들을 공유하며, 완구나 스토리 전개 등에서 바쿠간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인다. [26] 작가가 원펀맨을 짱구 극장판의 분위기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고 언급한다. 호빵맨을 자체도 오마쥬한 작품이다. [27] 결정적으로 스폰서디자이너가 아예 동일하다.[28] 심지어 당하는 쪽이 고양이라는 공통점까지 있다. 마치 오기와 악동들이 톰과 제리 표절인것처럼 보일 정도로 놀라울 정도로 시놉시스가 동일하며 차이점이라고는 톰과 제리는 에게 당하는 거지만 오기와 악동들은 바퀴벌레에게 당하는 차이밖에 없다. 단 완전한 정신적 후속작인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29] 같은 이와이 슌지의 작품이지만 스토리가 서로 이어지지 않아 속편은 아니다. 하지만 이와이 슌지가 "러브레터에 대해 응답하는 성격의 영화'라는 표현을 썼기 때문에 정신적 후속작으로 분류하였다.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혀 다른 역할이긴 하지만 러브레터의 주연이던 토요카와 에츠시나카야마 미호가 출연하는 건 덤.[30] 원래 런닝맨 속편으로 내려 했다고 알려진 스토리와 어느정도 유사해서 이 영화가 런닝맨의 정신적인 후속작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31] 감독이 같고 감독이 크로니클의 정서를 이 영화에 대부분 녹여냈다고 주장하나. 악명 높은 판포스틱의 보는 눈이 썩어 문드러질 정도로 처참한 완성도 덕분에 취소선 처리 되었다.[32] 둘 다 천카이거 감독 작품.[전자는] PD의 후속작으로써,후자는 작가의 후속작으로써 드라마가 추구하는 정신,인물상,역사관,대사의 진행 방식,캐스팅 등이 매우 유사하다[33] 하이킥 시리즈에 나왔던 출연진들이 카메오로 출연하였다.[34] 둘 다 주역 라이더가 곤충형이 아니라는 점(아마존은 파충류인 얼룩무늬 왕도마뱀이 모티브이며 히비키는 더 나아가 곤충을 연상시키는 복안도 없음), 바로 전작까지의 기존 시리즈와 달리 각각 기계적 신체개조와 장착변신이 아니라 각각 고대문명의 과학기술과 수행을 통해 육체가 직접 변화하는 생체 라이더인 점, 벨트가 아닌 다른 도구가 변신도구라는 점 그리고 "변신!" 이라는 변신구호를 외치지 않는 점(아마존은 변신구호가 "아마존!" 이며 히비키는 아예 변신구호 자체가 없다.)이 비슷하다.[35] 10명 이상의 라이더의 등장을 예고했다.[36] 디자인과 변신 컨셉의 유사성과 모티브가 '가면라이더' 그 자체인 점에서. 실제로 빌드는 더블의 파기된 원안을 토대로 제작되었다.[37] 역대 라이더들의 힘을 쓴다는 점, 주인공이 세계를 파괴할 존재라는 공통점이 있다.[38] 뮤직뱅크 이전에 브라보 신세대가 방영되었지만 별 다른 인기를 끌지 못해서 후신 취급을 하지 않는다.[39] 쇼 토요특급까지는 KBS 1TV에서 방영되었고 토요대행진은 KBS 2TV에서 방영되었다.[40] 이후 다시 웃찾사로 부활했으며 경연제로 개편되었으나 얼마 못 가 종영되었다.[41] 비슷한 성격에, 편성 시간대와 PD가 같아 사실상의 후신으로 취급된다.[42] 식신원정대 때는 MBC every1에서 방송했으며, 제작진과 방송사의 계약이 끝나면서 K STAR로 방송사를 이전해 방송되었다. 따라서 이름만 다를 뿐 거의 같은 프로그램이며 메인 MC도 정준하가 그대로 진행.[43] 1박 2일 프로그램 자체는 시즌 2를 거쳐 현재 시즌 4로 이어져 왔으며, 전성기를 이끌었던 시즌 1의 출연진 대부분(강호동, 이수근, 은지원, 이승기)과 제작진(나영석, 신효정, 이우정, 최재영, 김대주 등)이 다시 뭉쳐 만든 예능프로그램이 바로 신서유기다. 즉, 1박 2일 시즌 2부터는 프로그램 플롯만 이어받은 정규 후속작, 신서유기는 제작진과 출연진이 같은 정신적 후속작이라 할 수 있다.[44] 1박 2일 시즌 3 당시 마지막 메인 연출이었던 김성 PD가 MBN으로 이직하여 런칭한 첫 작품. 프로그램의 성격은 1박 2일로 대표되는 여행 버라이어티의 그것이며 김성 PD 외에도 시즌 3의 주요 스태프였던 지현숙 작가 등의 합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시즌 3의 주요 멤버였던 김준호, 데프콘, 이용진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45] 실질적으로 시즌 2로 보는 사람들도 있지만 엄밀히 보자면 출연진들은 MBC GAME을 떠나 헝그리앱에서 한 자리에 모였으나 그 당시 프로그램을 함께 했던 이순옥 PD를 비롯한 제작진 대다수는 아직도 MBC GAME의 자회사인 MBC PLUS 계열에서 근무하고 있다.[46] 같은 MBC 음악 프로그램인데다가 일밤 코너의 일부였고, 복면가왕 제작진 중 나가수 제작진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는데다가 복면가왕에서 나가수 시절 불렀던 곡들이 많이 나왔으며 나가수에 나왔던 참가자들 중 대부분이 가왕에 올랐기 때문이다. 2017년부터 복면가왕은 사실상 일밤 그 자체가 되었다.[47] 여걸파이브의 본 제목이 'MC대격돌 여걸파이브'였다.[48] 시즌 1 제작진과 MC이 아이돌룸으로 이동했고, 시즌 2부터는 제작진과 MC가 변경되었다.[49] 중간에 똑? 똑! 키즈스쿨이 있지만 영유아 대상 영재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지상파 공영방송이 영유아들에게까지 무한경쟁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이어졌기 때문에 전작의 요소를 공유하지 못했다.[50] 뽀뽀뽀 모두야 놀자는 첫 방송을 1회로 했지만 뽀뽀뽀를 계승했기 때문에 사실상 7756회라 봐도 무방하다.[51] 다만 켠왕의 회차 수를 계승하지 않고 독자적인 회수로 계산하는 등 실질적으로는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취급하고 있다.[52] 이 쪽은 MC 3명과 일부 제작진들만 타 방송으로 전원 이동한 사례.[53] SupARC의 별칭 또한 중국+포포루를 합친 중포루였으며 한국에서는 정식명칭보다 중포루라는 별칭을 더 많이 사용했다.[54] 현재 macOS로 불리고 있는 Mac OSX은 기존의 Classic MacOS가 아니라 NeXT를 인수하며 가져온 NeXTSTEP의 후속작 격이다.[55] 둘 다 요코이 군페이가 기획했다. 게임보이의 실제 후속작은 버추얼 보이였으나 실패해서 게임보이 컬러가 사실상의 후속작이 되었으며, 원더스완 이전에 반다이가 만든 휴대용 게임기는 그 유명한 다마고치 1세대.[56] Robin을 만들었던 Nextbit사가 RAZER에 인수되었고, Robin을 설계했던 기술진 대부분이 RAZER PHONE 설계에 참여했다.[57] SIE에서 사실상 휴대기 후속작 계획이 없는 상태에서 서드파티 유통사들이 Switch는 좋은 대체제가 된다는 입장이 나왔다. 링크 실제로 Vita에서 주로 나오던 비주얼 노벨 계열 등이 Switch 출시로 대체되었다.[58] 갤럭시 A 시리즈SK텔레콤 단독으로 출시되는 최고가형 모델 라인업이다.[59] 갤럭시 J 시리즈KT 단독으로 출시되는 중가형 모델 라인업이다.[60] 갤럭시 J 시리즈LG U+ 단독으로 출시되는 최저가형 모델 라인업이다.[61] 별도의 호환 시계줄을 부착해 손목시계로 사용 할 수 있다.[62] 갤럭시 시리즈 중 일본 NTT 도코모 단독으로 출시되는 일본 내수형 모델 라인업이다.